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위 아전절제술 후 십이지장 위 역류성 위염에서 p53 및 Ki-67 단백 발현 양상

        최석채 ( Suck Chei Choi ),김용성 ( Yong Sung Kim ),김기훈 ( Ki Hoon Kim ),김헌수 ( Hun Soo Kim ),윤기중 ( Ki Jung Yun )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7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3 No.2

        목적 : 십이지장 위 역류성 위염은 위절제 등에 의해서 발생하는 것으로 후에 암종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사람에서 십이지장 내용물의 역류와 암종 발생 사이의 병인론적 연구가 흔하지 않다. 이에 십이지장 위 역류성 위염을 보이는 환자의 조직과 대조군 환자의 조직을 대상으로 Ki-67 및 p53 단백 발현 정도를 측정하여 상피 세포증식 유도 및 암억제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비교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위암종으로 위아전절제술을 받은 총 57예 중 내시경 및 조직학적으로 십이지장 위 역류성 위염으로 진단된 16예의 내시경 조직과 대조군 16예의 내시경 조직을 대상으로 하여 Ki-67 및 p53 단백 발현을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하였고 그 강도를 점수화하였다. 결과 : 십이지장 위 역류성 위염 소견을 보인 환자의 내시경적 추적 기간은 평균 607일, 대조군 556일 그리고 57예의 평균은 471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십이지장 위 역류성 위염 환자의 Ki-67 발현 강도의 중간값은 3.0로 대조군 중간값 2.0보다 의미있게 높았으며, p53 단백의 발현 강도 중간값도 2.0으로 대조군 중간값 1.0 보다 의미있게 높았다. 결론 : 십이지장 위 역류성 위염은 담즙 등이 점막의 상피세포 증식을 유도하고 유전자 이상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아 시간 경과 후 암종이 발생할 가능성이 대조군에 비해서 높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Aims: Duodenogastric reflux of bile and other contents of duodenum is one of the main etiologic fators in chronic gastritis, and chronic inflammation has been recognized as a risk factor of human canc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herefore to evaluate the expression of p53 and Ki-67 protein in duodenogastric reflux gastritis. Methods: To evaluate the proliferation activity and tumor suppressor gene expression, 16 cases of duodenogastric reflux gastritis and 16 cases of control gastric tissue after subtotal gastrectomy were examined immunohistochemically using the monoclonal antibodies to Ki-67 and p53 protein. Results: The mean duration of follow-up endoscopic biopsy after subtotal gastrectomy was 607 days in duodenogastric reflux gastritis and 556 days in control groups. The mean intensity of Ki-67 in duodenogastric reflux gastriti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tissues (3.0 vs 2.0). The mean intensity of p53 protein in duodenogastric reflux gastriti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tissues (2.0 vs 1.0). Conclusions: The high expressions of Ki-67 and p53 protein in duodenogastric reflux gastritis may be one of the main mechanisms in the development of gastric stump carcinoma.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7;13:118-122)

      • SCOPUSKCI등재

        수술 후 잔위에서 Helicobacter pylori의 분포와 역할

        최윤종 ( Yeun Jong Choi ),김현수 ( Hyun Soo Kim ),박동훈 ( Dong Hoon Park ),김문영 ( Moon Young Kim ),백순구 ( Soon Koo Baik ),이동기 ( Dong Ki Lee ),권상옥 ( Sang Ok Kwon ),박광화 ( Kwang Hwa Park ) 대한소화기학회 2003 대한소화기학회지 Vol.41 No.3

        Background/Aims: The distribution of Helicobacter pylori (H. pylori) and its effect on postoperative remnant gastritis has not been clearly investigated. Thus, we carried out this study to examine H. pylori positive rate in the body and cardia and to assess the role of H. pylori on the pathogenesis of remnant gastritis. Methods: Eighty-two patients who had undergone gastric surgery (Billroth I, II) were studied. Four biopsy specimens were obtained from the cardia and oral side of anastomosis for histological analysis and CLO test. The histological grades of gastritis were determined by four parameters of visual analogue scales adopted by updated Sydney system. Results: The overall positive rate of H. pylori was 48.8%. Among the infected patients, H. pylori positive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ardia than in the body (87.5% vs. 37.5%, p< 0.01). The H. pylori positivity was not associated with age, sex, primary disease, type of surgery, chemotherapy, and postopertive interval. The gastritis scores of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were higher in H. pylori positive patients. However, the scores of atrophy and intestinal metaplasia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s: The H. pylori positive rate is higher in the cardia than in the body of postoperative remnant stomach. It suggests that H. pylori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remnant gastritis through acute and chronic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Korean J Gastroenterol 2003;41:177-18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