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한자음(韓國漢字音) 류섭운(流攝韻)의 모태(母胎)별 층위(層位)에 대하여 -일본한자음(日本漢字音)과의 비교(比較)를 중심(中心)으로-

        최지수 ( Ji Soo Choi ) 한국일어교육학회 2015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32

        流攝 諸韻의 韓國漢字音의 母胎層에 대하여 中古音의 변화 및 韓.日漢字音의 字音形의 비교를 중심으로 고찰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開口1等 侯韻의 主母音은 中高位後舌母音.로 中古音인 南北朝音까지의 -.u가 切韻音 이후〔.u>ou>ou〕로 변화한 것으로 파악된다. 따라서 開口1等 侯韻은 中高位後舌母音 .와 陰韻尾 u의 결합체로 韓國漢字音에서는 주로 .를 탈락시키고 圓脣性이 강한 u만을 받아들인 -u형이 主層을 이루고 있다. 그렇다면 韓國漢字音과 日本 吳音에서 주층을 이루고 있는 -u형은「主母音+韻尾」의 音韻構造가 韓國語와 日本語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나타난 현상이라 할 수 있다. 즉 .u가 韓國語로서는 /어우.u/가 되지만, 이것을 1音節로 수용한다면 /오o/로 나타날 가능성이큰데, 이것을 주로 /우u/로 수용된 것은 原音에서 이미 中高位母音 .가 圓脣性이 강한 u에 흡수되는 音聲環境에 있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따라서 開口1等侯韻의 韓國漢字音 -u형은 日本 吳音과 동형으로 南北朝音을 반영한 것으로 판단된다. 2) 開口3等 尤韻 을류는 主母音 .가 介音 i와 韻尾 u라는 高母音 사이에 끼여 高母音化가 더욱 진전되어 切韻音이후 -i.u에서 -iu로 변화하였으며 秦音 이후 을류의 -iu는 갑류 -iu에 합병되었다. 韓國漢字音의 侯韻.尤韻 을류는 遇攝의 虞韻 을류와 함께 -u형으로 나타나는데, 이것은 日本 吳音과 같은 반영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韓國漢字音에서 開口3等 尤韻 을류의 -u형은 秦音 이전의 층을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ju형은 秦音을 母胎로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開口3等 尤韻갑류의 韓國漢字音 -ju형, -jui형은 을류의 -u형과 대립되는 체계이므로 尤韻 갑을류 전체의 체계로 보아서 秦音 이전의 층, 즉 南北朝音부터 切韻音을 母胎로 한다고 판단된다.3) 開口3等 幽韻은 切韻音 이후 南北朝音인 -eu가 -ieu로 변화한다. 開口3等 幽韻의 韓國漢字音 -ju형은 吳音및 漢音과 비교해 볼 때, 吳音보다는 漢音에 가까운 반영이라고 할 수 있다.따라서 韓國漢字音 -ju형은 漢音과 같은 형태를 취하고 있다는 점, 開口3等 尤韻갑류와 같은 형태를 취하고 있다는 점에서 秦音을 母胎로 할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In this research, the origin of Sino-Korean in Liu(流) group was compared with Sino-Japanese Go’on and Kan’on. In conclusion, 1)Sino-Korean appeared mainly as a -u type as like Sino-Japanese Go’on in Hou(侯) rhyme. but Sino-Japanese Kan’on appeared as a -ou type. therefore, I advocate that Sino-Korean was originated in early middle Chinese as like Sino-Japanese Go’on. 2)Sino-Korean appeared as a -u type in You(尤) rhyme contained medial-i and appeared as a -ju & -iu type in You(尤) rhyme contained medial -i as like Sino-Japanese Go’on. but Sino-Japanese Ka’on appeared as a same -ju & -iu type because of Sino-Japanese Ka’on originated late middle Chinese. therefore, it is established that Sino-Korean originated early middle Chinese because of distinguished -u type & -ju type in You(尤) rhyme. And Sino-Korean appeared as a -jui type also in You(尤) rhyme contained medial -i. It is also originated early middle Chinese because of that is changed from -ju type in Sino-Korean. 3)Sino-Korean appeared as a -ju type as like Sino-Japanese Kan’on in You(幽) rhyme. but Sino-Japanese Go’on appeared as a .eu>you type. therefore, I advocate that Sino-Korean was origined in late middle Chinese as like Sino-Japanese Kan’on. Consequently, I advocate Sino-Korean that was originated in late middle Chinese is very little, and there is possibility mainly originated in early middle Chinese as like Sino-Japanese Go’on.

      • KCI등재후보

        한국 EFL 학생들의 자음군 축약: 삽입 대 탈락 전략

        초미희 한국콘텐츠학회 200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6 No.1

        Motivated by the fact that cluster reduction strategies such as inserting a vowel or deleting a consonant in resolving English complex clusters differ depending on studie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epair strategies employed by Korean EFL students. A total of 60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and the participants' production of English voiceless word-initial and word-final clusters was measured using the materials designed for this study. It has been shown that prosodic positions such as onset and coda and the number of cluster sequences influenced cluster reduction strategies. The error rates of both insertion and deletion were noticeably higher in the coda position than in the onset position and both insertion and deletion error rates were higher in triconsonatal cluster than in biconsonantal cluster sequences. Overall, the insertion rate was higher than the deletion rate. However, the deletion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insertion rate in triconsonantal coda cluster sequences. Because of this, the deletion rate was higher than the insertion rate for triconsonantal cluster sequences across onset and coda. Also, the high deletion rate of triconsonantal coda clusters contributed to the high deletion rate for the coda clusters in general. 모음을 삽입시키거나 자음을 탈락시킴으로써 한 음절 내의 영어 연속음을 없애는 자음군 축약 전략이 기존의 연구들마다 다르다는 점에 동기를 부여받아서 한국 학생들의 영어 자음군 축약 전략을 탐구하게 되었다. 대학생 60명의 어두와 어말 자음군 발음을 조사한 결과, 초성이냐 종성이냐 하는 운율적 위치와 자음군이 몇 개로 구성되어 있느냐는 자음군 숫자에 따라 모음 삽입이냐 자음 탈락이냐 하는 자음군 축약 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삽입과 탈락의 오류 비율은 초성보다는 종성에서 높았고 두 개의 자음군보다는 세 개의 자음군에서 높았다. 전반적으로 삽입 오류 비율이 탈락 오류 비율보다 높았으나, 종성 위치의 세 개의 자음군에서는 탈락 비율이 삽입 비율보다 중요하게 높았다. 종성 위치 세 개의 자음군에서 탈락 비율이 높은 것 때문에 운율 위치에 상관없이 세 개의 자음군에서 삽입보다 탈락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종성에서 탈락 비율이 높이 나타났다.

      • KCI등재

        어문학 : 한국한자음(韓國漢字音) 함(咸),심섭운(深攝韻)의 모태(母胎)별 층위(層位)에 대하여 - 일본한자음(日本漢字音)과의 비교(比較)를 중심(中心)으로 -

        최지수 ( Ji Soo Choe ),이경철 ( Kyong Chul Lee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6 인문학연구 Vol.0 No.51

        본고에서는 韓國漢字音을 5세기 南北朝音의 字音體系를 반영한 吳音및 8-9 세기 秦音의 字音體系를 반영한 漢音과의 비교를 통해, 咸·深攝韻에 대한 한국한자음의 母胎별 層位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開口1等重韻인 覃·談韻은 그 主母音을 後舌母音에서 低位母音인 □와 中低位母音인 α의 대립으로 再構할 수 있다. 한국한자음에서 低位母音은 /아a/로, 中位母音은 /□ e/로 변별하여 수용했기 때문에 開口1等重韻인 覃·談韻이 동일한 -am/-ap형으로 출현하는 것은 1等重韻이 합류한 秦音을 반영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2) 開口2等重韻인 咸·銜韻은 그 主母音을 前舌母音에서 低位母音a와 中低位母音e의 대립관계로 파악할 수 있다. 한국한자음에서 低位母音은 /아a/로, 中位母音은 /□ e/로 변별하여 수용했기 때문에 開口2等重韻인 咸·銜韻이 동일한 -am/-ap형으로 출현하는 것은 2等重韻이 합류한 秦音을 반영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단지 咸韻에는 -j□m/-j□p형이 일부 혼재하는데, 이는 吳音과 유사한 반영으로, 主母音의 前舌性을 반영했다는 점에서 秦音이전의 층을 모태로 할가능성이 크다고 판단된다.3) 開口3等嚴韻에 일부 혼재하고 있는 -j□m/-j□p형은 鹽韻갑류의 -j□m/-j□p형과 같은 형태이므로 秦音을 모태로 하고 있다고 판단되며, 그 주층을 이루고 있는-□m/-□p형은 秦音이전의 층을 모태로 할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된다. 4) 開合3等凡韻의 -□m/-□p형은 輕脣音化의 반영이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에 秦音이전의 층을 모태로 한다고 볼 수 있다. 5) 開口3等鹽韻을류의 -□m/-□p형은 갑류의 -j□m/-j□p형과 대립관계를 이루고 있어 秦音이전의 층을 모태로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j□m/-j□p형은 갑류의 -j□m/-j□p형과 같은 형태이므로 秦音을 모태로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開口3等鹽韻갑류의 -j□m/j□p형은 을류의 -□m/-□p형과 대립관계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전체의 체계상 秦音이전의 층을 모태로 할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된다. 6) 開口3等侵韻을류의 -im/-ip형은 갑류의 -im/-ip형과 대립관계를 이루고 있어, 秦音이전의 층을 모태로 한다고 볼 수 있다. 을류에 혼재하는 -em형은 吳音과 같이 主母音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南北朝音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7) 開口3等侵韻갑류의 -im/-ip형은 을류의 -im/-ip형과 대립관계를 이루고 있어, 秦音이전의 층을 모태로 할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된다. 단지 侵韻갑류에도 -im/-ip형이 혼재하는데, 이는 한국어 자체의 1音節化의 영향으로 출현한 切韻音의 반영으로 판단된다. In this research, I studied the origin of Xian·shem(咸·深) group in Sino-Korean mainly compared with Sino-Japanese Go’on and Kan’on. 1) The 1st rhyme tam·tam(覃·談) can be phonetic by opposition between the low vowel □ and middle·low vowel α. In Sino-Korean, this study was to accept it by discriminating the low vowel as /아a/ and middle·low vowel as /□ e/. Accordingly, the appearance of tam·tam(覃·談) rhyme as same -am/-ap type is judged by reflecting on the middle chinse. 2) In the 2nd rhyme Xian·Xian(咸·銜), it can be grasped as relationship of contrast between the low vowel a and middle·low vowel e. In Sino-Korea, this study was to accept it by discriminating low vowel as /아a/ and middle vowel as /□ e/. Accordingly, the appearance of Xian·Xian(咸·銜) rhyme as same -am/-ap type is judged by reflecting on the middle chinse. 3) In the 3rd rhyme kiam(嚴) -j□m/-j□p type, this study has found out that it was same form like -j□m/-j□p type of kjaam(鹽) rhyme class A and was judged by middle chinse as the origin. This study was to judge that -□m/-□p type composing its main layer could be a very strong possibility by the layer prior to the middle chinse as the origin. 4) In the 3rd rhyme biam(凡) -□m/-□p type, this study has shown that it considered the layer prior to the middle chinse as the origin. 5) In the 3rd rhyme kjaam(鹽) □m/-□p type of class B(medial-i), there was relationship of contrast from the -j□m/-j□p type of class A(medial-i). Therefore, this study has found out that it considered the layer prior to the middle chinse as the origin. In addition, the -j□m/-j□p type was same form like -j□m/-j□p type of class A(medial-i) and was judged by the middle chinse as the origin. 6) In the 3rd rhyme ts``im(侵) -im/-ip type of class B(medial-i), there was relationship of contrast from the -im/-ip type of class A(medial-i). Therefore, this study has found out that it considered the layer prior to the middle chinse as the origin. 7) In the 3rd rhyme ts``im(侵) -im/-ip type of class A(medial-i), there was relationship of contrast from the -im/-ip type of class B(medial-i). Therefore, this study has found out that it considered the layer prior to the middle chinse as the origin.

      • KCI등재

        영어 모음사이 자음의 인지와 발화에서 철자의 영향: 파일럿 연구

        초미희,정주연 한국콘텐츠학회 200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9 No.12

        한국어에서는 모음사이에서 겹자음이 나타날 수 있으나 영어에서는 이것이 불가능하므로 영어를 배우는 한국 학생들이 summer와 같이 겹자음 철자를 포함하는 단어들을 발음할 때 철자의 겹자음을 모두 발음하는 오류를 흔히 범한다. 따라서 본 파일럿 연구에서는 한국 학생들이 영어 겹자음 철자를 어떻게 발음하고 인지하는지 살펴보기 위해서 영어 겹자음과 단자음의 (유사) 최소변별쌍으로 구성된 36개의 실제어를 20명의 대학생이 듣고 발음하는 인지와 발화 실험을 실행하였다. 실험 결과 한국 학생들은 철자의 영향으로 영어 단자음 철자 단어를 발음할 때보다 겹자음 철자 단어를 발음할 때 이중으로 길게 발음하는 오류를 더 흔히 범해서 겹자음 철자 단어의 정확율보다 단자음의 정확율이 크게 높았으며, 인지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단자음 철자 단어의 인지 정확율이 겹자음 철자보다 확연하게 높았다. 덧붙여, 한국 학생들의 영어 유성 파열음의 발화 오류율이 낮은 이유를 한국어 음운 체계의 전이로 설명하였다. 끝으로, 한국학생들의 발화를 스펙트로그램을 통해서 분석함으로써 영어 단자음 철자보다는 겹자음 철자에서 더 많은 발화오류를 일으키는 것도 보여주었고 또한 교육적인 함축점도 제안하였다. While Korean allows the same consonants at the coda of the preceding syllable and at the onset of the following syllable, English does not allow the geminate consonants in the same intervocalic position. Due to this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English, Korean learners of English tend to incorrectly produce geminate consonants for English geminate graphemes as in summer. Based on this observation, a pilo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how Korean learners of English perceive and produce English doubleton graphemes and singleton graphemes. Twenty Korean college students were asked to perform a forced-choice perception test as well as a production test for the 36 real word stimuli which consist of (near) minimal pairs of singleton and doubleton graphemes. The result showed that the accuracy rates for the words with singleton graphemes were higher than those for the words with doubleton graphemes both in perception and production because the subjects misperceived and misproduced the doubleton graphemes as geminates due to orthographic influence. In addition, the low error rates of the word with voiced stops were accounted for by Korean language transfer. Further, spectrographic analyses were provided where more production errors were witnessed in doubleton grapheme words than singleton grapheme words. Finally, pedagogical implications are provided.

      • KCI등재

        러시아어 자음무리 단순화 연구

        김신효(Kim Shin Hyo) 한국노어노문학회 2009 노어노문학 Vol.21 No.4

        자음무리 단순화 과정에서 탈락하는 자음은 유표성 서열이 낮은 경향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자음의 유표성 서열(markedness hierarchy)을 밝히는데 Archangeli (1984)에 의해 제시된 미명시이론(Underspecification Theory)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러시아어 자음의 유표성 순위를 설정하기 위해 조음자 마디 미명시에 의한 유표성, 자질 값 미명시에 따른 자음의 유표성, 공명도에 따른 자음의 유표성등을 이용하였고 그 결과를 제약으로 만들어 최적성이론에 의해 자음무리 단순화를 분석하였다. 조음자 마디 미명시에 의한 유표성 서열에서는 [+anterior] 자질을 가지는 무표적 설정음(Unmarked Coronal)인 (/ t /, / d /, / s /, / z /, /n/, / l / / r /, / c /, / ?/)를 가장 무표적인 음으로 도출하였다. 그리고, 자질 값 미명시에 따른 자음의 유표성 서열에서는 완전명시에서 명시된 13개의 자질 중 미명시 도표에서 전혀 명시되지 않은 / t /를 가장 무표적인 자음으로 도출하였다. 또한 공명도에 따른 자음의 유표성 서열에서는 가장 공명도가 낮은 무성폐쇄음(voiceless stop)과 파찰음(affricates) 즉, / p /, / t /, / k /, / c /, / ?/ 등이 가장 무표적인 자음으로 도출되었다. 그리고 3자음 무리 단순화과정에서 나타나는 묵음화 현상은 CLUSTER [UPF], CLUSTER [UAF]등 2가지 제약이 최적형을 결정하는데 대부분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고 *CCC, CLUSTER [OCP], CLUSTER [SONORITY]. MAX-IO 제약은 결정적인 역할을 하지 못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чувство와 같은 4자음 무리, безмолвствовать와 같은 5자음 무리는 CLUSTER [UAF]+ 라는 추가적인 제약을 통해 최적형을 도출 할 수 있었다. 향후에는 동일한 환경에서 묵음화되기도 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는 자음무리들과 형태소 경계에서 묵음이 되는 자음 무리와 통시적인 자음무리 단순화과정에 대해 본 논문에서 도입한 3가지 자음 유표성 서열 결정 기준을 통해 분석해 보고자 한다. 또한 음절내 위치가 자음무리 단순화과정에 미치는 영향과 자음 유표성을 결정하는 추가적인 기준에 대해서도 지속적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 KCI등재

        찌아찌아어와 한국어의 자음 체계 대조 - 유형적 보편성의 관점에서

        리오 데시아르(Dessiar, Achmad Rio) 국어교육학회 2021 국어교육연구 Vol.- No.76

        본 연구는 유형적 보편성의 관점에서 보는 찌아찌아어와 한국어의 자음을 대조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UPSID과 WALS에 나타난 자연언어의 통계를 바탕으로 유형적 보편성의 관점에서 두 언어의 자음 체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어 자음과 비교할 때 찌아찌아어에는 내파음(implosive)과 선비음화 자음(prenasalized consonant)이 있다는 점과 활음인 /w/가 자음으로 분류되었다는 점이 가장 큰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자연언어의 통계를 바탕으로 유형적 보편성의 관점에서 두 언어의 자음 체계를 비교할 때 5가지로 나누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두 언어의 폐쇄음과 파찰음 중에 /k, p, b, g/은 가장 보편적인 음운인데 반해 한국어 경음인 /kʔ, pʔ, tʔ, tɕʔ/과 찌아찌아어 내파음인 /ɓ/과 /ɗ/은 다른 자음보다 보편성이 떨어진 음소라고 할 수 있다. 둘째, 마찰음의 보편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찌아찌아어와 한국어 /h/과 /s/은 보편적인 음운이다. 그러나 한국어의 /sʔ/(ᄊ)은 자연 언어의 보편성이 낮은 소리로 속한다. 셋째, 순수 비음의 경우 한국어와 찌아찌아어는 비음 수 면에서 보면 보편성을 가진 언어라고 할 수 있다. 선비음화 자음의 경우 한국어에는 존재하지 않고 찌아찌아어에만 존재하며 선비음화 자음은 비보편적이지 않은 자음에 속한다. 넷째, 한국어와 찌아찌아어 유음의 수 면에서 보면 찌아찌아어는 한국어보다 보편적인 모습을 가지고 있다. 다섯째, 반모음의 보편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찌아찌아어에는 활음이 자음으로 분류되지만 한국어에는 반모음이 음소로 분류되지 않았다. 찌아찌아어 활음인 /w/는 많은 자연언어에 나타나는 보편적인 음운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ast the consonant systems of Korean and Cia-Cia Language in terms of typological universals of natural languages based on the statistics of natural language shown in UPSID and WALS. The result of comparing the consonant systems of two languages can be summarized into five categories. First, in the case of stops(including affricates), Korean and Cia-Cia /k, p, b, and g/ are the most common consonants, whereas the Korean tensed /kʔ, pʔ, tʔ, tɕʔ/ and the Cia-Cia implosive /ɓ/ and /ɗ / are less universal than other consonants. Second, Cia-Cia and Korean /h/ and /s/ are more common than Korean /sʔ/(ᄊ) in natural language. Third, in the case of primary nasal consonant, Korean and Cia-Cia /m, n, ŋ/ is very common in natural languages. However, In the case of prenasalized consonants, they belong to uncommon consonants and only exist in Cia-Cia language. Fourth, Cia-Cia has a more common liquids sound than Korean. Fifth, Semi-vowels are classified as consonants in Cia-Cia, but in Korean, Semi-vowels are not recognized as phonemes. /w/ sound in Cia-Cia, can be said to be a universal sound that appears in many natural languages.

      • KCI등재

        한국한자음 효(效)섭운의 모태별 층위에 대하여 : 일본한자음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최지수(Choe Ji Soo),이경철(Lee Kyong Chul)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5 인문사회과학연구 Vol.48 No.-

        본고에서는 효(效)섭운에 한하여 그 한국한자음의 모태별 층위에 대해 일본 오음 및 한음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그 결과를 각 운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개구1등 호(豪)운은 후설저위모음 ɑ와 운미합개음 u가 결합된 운인데, 일본 오음과 한음은 대부분 -au형으로 나타나지만, 순음자는 순음 자체의 원순성으로 인해 -ou형이나 -o형으로 나타난다. 한국한자음은 한자음를 1음절로 수용하고 있기 때문에 /아우au/와 같은 2음절표기는 나타날 수 없다. 따라서 -ɑu가 한국한자음에서 -o형으로 나타나는 것은 1음절화로 인한 음운결합에 따른 결과로, 이를 통해 그 모태를 판별하기는 곤란하다. 2) 개구2등 효(肴)운의 한국한자음 -jo형은 오음의 -eu형과 유사한 자음형으로, 2등 주모음의 전설성을 반영한 형태이므로 진음(秦音) 이전의 층을 모태로 한다고 볼 수 있다. 3) 소(宵)운 갑을류의 한국한자음 -jo형은 일본 오음 · 한음에서도 갑을류 모두 -eu형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남북조음, 절운음, 진음의 어느 층을 반영할 가능성을 모두 가지고 있지만, 효(效)섭 전체의 체계상 한음보다는 오음에 가까운 체계, 즉 진음 이전의 층을 모태로 할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In this research, I studied the origin of the Xiao(効) group in Sino-Korean mainly compared with Sino-Japanese Go'on and Kan'on. The first rhyme Hao(豪) is combines ɑ low vowel in the back of tongue, and u. Sino- Japanese Kan'on and Go'on show mostly in the form of -au. However, Labial show in the form of -ou or -o due to rounded features in Labial iʦelf. Sino-Korean is accepts the Chinese language as one syllable, thereby unable to show two-syllable mark like -au form. Accordingly, what ɑu is appears to be o in Sino-Korean is the outcome according to the phonological combination caused by one-syllable pattern. Through this, the origin of Sino-Korean in Hao(豪) rhyme cannot be discriminated. In the 2nd rhyme Yao(肴), -jo form of Sino-Korean is similar to -eu form in Go'on that means reflects of main vowel's frontness in the 2nd rhymes. thereby seeming to reflect early middle Chinese. In the 3rd rhyme Xiao(宵), A type contained medial ï appears to be -jo form like B type contained medial i in Sino-Korean. Both Go'on and Kan'on also appear to be -eu form. in Go'on and Sino-Korean, it appears to be Yo'on(拗音) form such as -eu form and -jo form, respectively, by reflecting frontness even in Yao(肴) rhyme of aperture 2nd. A type in Xiao (宵) rhyme also reflected frontness in the main vowel as in the 2nd-grade Yao(肴) rhyme, thereby being judged to be indicated as Yo'on form. Accordingly, it can be considered to have the matrix as a system close to Go'on rather than Kan'on, namely, to the layer before the late middle Chinese.

      • KCI등재

        자음군단순화와 관련된 몇 문제

        최은영 어문연구학회 2013 어문연구 Vol.75 No.-

        한국어의 어말자음군은 어말이나 자음 앞에서 두 자음이 모두 실현될 수 없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는 종성에 하나의 자음만 실현되는 음절구조제약에 따른 것으로 이를 자음군단순화라 한다. 이러한 자음군단순화의 실현 양상을 체계적이고 간결하게 규칙화하는 것은 어렵다. 그러므로 본고는 자음군단순화의 규칙을 찾기에 앞서 방언에서 실현되는 자음군단순화의 현상의 특징을 먼저 검토하고자 한다. 한국어의 어말자음군은 크게 ㄹ이 선행하는 자음군과 ㄹ이 아닌 다른 자음이 선행하는 자음군으로 나눌 수 있다. 본고는 ㄹ외의 자음이 선행하는 비ㄹ계 자음군을 자료로 하여 방언에서 어떻게 실현되고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방언의 자료는 제주도를 제외한 8개 지역을 대상으로 하되 한국정신문화연구원의『한국방언자료집Ⅰ~Ⅷ』(1987~1995)에 준하여 논의하였다. 본고는 비ㄹ계자음군단순화와 관련하여 자음군의 방언별 실현 양상을 검토하고 그에 관련하여 특이하게 실현되는 양상을 검토하였다. 방언에서는 기존의 연구와는 다르게 실현되는 양상들이 있다. 크게 후행음절과 관련된 것과 자음군단순화가 두 자음이 아닌 제3의 자음으로 실현되는 경우가 있었다. 후행음절과 관련된 것으로는 두 가지 특이한 실현 양상을 검토하였다. 첫째, ‘ㄳ, ㅄ’ 자음군은 자음이 후행하든 모음이 후행하든지 간에 경음으로 실현되어야 한다. 그러나 경음이 아닌 평음으로 실현되는 양상을 확인하였다. 둘째, ‘ㄶ’ 자음군은 자음이 후행하면 격음으로 실현된다. 그러나 평음으로 실현되는 양상이 있었다. 그리고 어말자음군 다음에 후행하는 음절의 자질을 검토하여 어떠한 양상을 포착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모음이 후행하는 경우 연음이 되어 자음군이 모두 실현되어야 하지만 하나의 자음이 탈락하여 재구조화가 실현되기도 한다. 이러한 재구조화가 방언별로 어느 정도 실현되고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이와 같이 자음군단순화와 관련된 몇 가지의 문제점들을 통하여 자음군단순화의 실현에 대한 특질을 규명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The Korean word final consonant cluster has the feature that both of the two consonants in the coda, Korean word final consonant clusters, shouldn't be pronounced in front of the coda or the consonants in in the initial position. This is why a restriction of only one consonant in the word final consonant cluster having sound by the syllable structure constraints. This rule is called the consonant cluster simplification. It is very hard to make the aspect of the consonant cluster simplification a rule systematically and simply. Therefore I intend to examine the aspects of the consonant cluster simplification which can be seen in dialects in this paper before I try to find the rule for the consonant cluster simplification. The Korean Word final consonant cluster is largely divided into the two groups. One is the consonant cluster starting with ‘ㄹ’. The other is the consonant cluster not starting with ‘ㄹ’. I have examined how the aspects of Korean Word final consonant clusters, especially not starting with ‘ㄹ’ in the word final consonant clusters, appear in dialects, Most of the date dealt with in this paper are from『The Collection of Korean Dialects』(1987~1995), by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which are collections of dialect data from 9 districts, namely the whole country. But the date of Je-ju were not studied in this paper. I have found two aspects in those dialects, which the former studies had passed by. One is related with the following syllable, and the other is the case which the consonant cluster simplification appears not with one of the final consonants but with a third consonant. Especially, I've examined the two extraordinary aspects related with the following syllable. First, the consonant cluster ‘ㄳ, ㅄ’ should be sounded into a tense sounds whether they are in front of the consonants or the vowels. But I have found the extraordinary aspects that they are sounded into lax consonants not tense sounds. Second, the consonant cluster ‘ㄶ’ should be sounded into aspirated sounds in front of the consonants. But I have also found the extraordinary aspects that they are sounded with lax consonants. Through Examining the features of the syllables behind the Word final consonant cluster, I have able to catch how the Word final consonant cluster are sounded. Finally, in front of the vowels, the latter one in the Word final consonant cluster should be linked, and then both in the Word final consonant cluster should be pronounced. But I have also found the extraordinary aspect that one of the consonant in the word final consonants is dropped out by the reconstruction. So I have tried to examine how the reconstruction appears in each district except Je-ju. I hope that my research help look into the features of the consonant cluster simplification minutely.

      • KCI등재

        한글 子音字 배열의 역사적 변천과 그 수정의 필요성

        김미미 국어사학회 2012 국어사연구 Vol.0 No.14

        본고는 한글 子音字 배열 순서의 역사적 변천 과정을 살피고, 이를 토대로 현행 맞춤법 규정인 「한글 맞춤법」(1988, 문교부 고시 제88-1호)에 제시된 한 글 子音字 배열 순서의 적절성에 대하여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를 위하여 우선 『訓民正音』(1443)에서 「한글 마춤법 통일안」(1933)에 이르기 까지 한글 子音字의 변천을 살필 수 있는 자료들 가운데 특징적인 몇몇 자료 들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현행 맞춤법 규정에 제시된 子音字 배열은, 시대의 흐름과 함께 발생했던 문자 상의 몇몇 변화가 子音字 배열의 전체적인 수정 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관습을 핑계로 부분적인 수정만 가해져 왔던 까닭에, 그 순서를 합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일정한 원리가 부재한 상태임을 알 수 있었다. 현행 子音字 배열을 표면적으로 보면 마치 子音의 발성 자질에 따라 ‘[-기식성]’인 것을 먼저 배열하고 ‘[+기식성]’인 것을 나중에 배열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러한 배열 기준은 결과론적인 것이며, 그 과정적인 측면을 고려한다면 결국 「諺文字母」의 배열 기준이 적용된 것이라 할 수 있다. 하지 만 현대 국어의 정서법은 형태주의를 기본으로 삼고 있으며 ‘ㅊ, ㅋ, ㅌ, ㅍ, ㅎ’을 初聲字와 終聲字로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관습적인 배열 방 식이 더 이상 가치를 가지지 못하게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배열 순서는 그대로 남게 되면서, 현행 子音字의 배열이 마치 ‘[-기식성]-[+기식성]’과 같은 순서를 따르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현행 子音字 배열에 대한 수정의 필요성을 말하고 그 수정 방향의 한 가지로서 각 子音字의 소리 가 만들어지는 발음 기관의 순서에 따른 배열에 대해 언급하였다. This research aims to study historical changes of Hangul 子音字 arrangement and points out some problems with the array suggested in 「The rules of spelling of Hangeul」(1988, Official Notice of Education Department, No. 88-1). For this purpose, I checked the various materials from 訓民正音 (1443) to 「A draft for unified Korean spelling system」(1933) which are remarkable for this study. As a result, there is no certain principle that we can explain the current array of consonants clearly. Furthermore the order of ‘牙-舌-脣-齒-喉’ hardly have the educational effect any more. Therefore, I think that the 子音字 array need to be adjusted to provide some meaningful linguistic information of each phoneme and the reasonable 子音字 array criteria.

      • KCI등재

        한국어 체언 어간말자음의 역사적 변화 양상과 전망

        정윤자 동양고전학회 2007 東洋古典硏究 Vol.29 No.-

        한현대국어 체언 어간말 위치에서 단일자음은 ‘ㄱ, ㄴ, ㄹ, ㅁ, ㅂ, ㅅ, ㅇ’ 등 7자음만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후기중세국어와 비교하면 매우 단순화된 것이다. 현대국어 음절말 위치의 자음과 비교하면 나타나는 개수는 동일하고 목록도 거의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음절말자음의 미파화와 체언 어간말자음의 단순화가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고, 국어 음절말자음의 미파화와 체언 어간말자음의 단순화에 대하여 통시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용언을 제외하고 특히 체언만을 대상으로 하는 이유는, 우선 현대국어에서 보이는 어간말자음이 용언과 체언의 경우 각기 다르게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는 용언에 비해 자립성이 강한 체언이 자립형 이형태를 기준으로 이형태의 최소화가 이루어져 비교적 체계적으로 설명되기 때문이다. 즉, 용언 어간은 항상 자음 또는 모음으로 시작되는 어미와 결합하여 사용되기 때문에 어간말자음이 비교적 자유롭게 나타날 수 있었다. 이에 비해 곡용을 하는 체언은 자음 또는 모음으로 시작되는 조사와 결합하여 쓰이기도 하지만 단독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적지 않아 어간말자음에 많은 제약이 따를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이러한 사실을 역사적으로 체계화하고 특히 현대국어의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체언 어간말자음이 앞으로 어떻게 변화될지에 대하여 전망해 볼 것이다. 이는 국어의 변화를 역사적으로 되짚어 현대국어의 현상을 바르게 인식한다는 데에도 의의가 있지만, 앞으로의 변화 가능성을 예견해 본다는 데에도 큰 의미가 있는 것이다. 언어는 유기체이므로 항상 변화되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한다면, 지금 이 순간도 국어는 변화 과정에 있으며 따라서 변화 방향을 인지함으로써 변화될 형태를 예견한다면 국어를 교육하는 데 좋은 길잡이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This paper looks at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simplification of modern Korean nominal stems and the non-plosive nature of syllable final consonants. Syllable final consonants have been becoming non-plosive since the late middle ages up until the modern time. Since the late middle ages, nominal stem final consonants such as ㅿ, ㅎ, and ㄷ have disappeared as time progressed towards the modern period. Contrasting this, ㄲ has newly emerged. There has been no major change over the last 100 years but minor changes were observed. For example, there are cases where ㅍ becomes ㅂ; ㅋ becomes ㄱ; and ㅈ, ㅊ, and ㅌ have become ㅅ. Basically ㅈ, ㅊ, ㅋ, ㅌ, and ㅍ have become unstable in modern Korean. As for nominal stem final consonants: ㅺ disappeared in the late 19th century; ㄼ and ㄿ disappeared during the 20th century; and ㄺ currently has an unstable existence. In the end, if nominal stem final consonants steadily become simplified, they will become like syllable final consonants (on condition that ㄷ is replaced by ㅅ). As for consonant clusters, it is thought that ㄳ, ㅄ, ㄽ, and ㄻ will remain. This simplification can be analysed as the unification of plosiveness and word ending for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