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시계열자료를 활용한 민간위탁 행정서비스의 효율성 평가 : 방사적 모형과 비방사적 모형의 비교

        유금록 한국자치행정학회 2008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2 No.2

        민간위탁 행정서비스의 효율성을 분석하는 데 사용된 방사적 자료포락분석모형은 효율성을 정확하게 측정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비방사적 자료포락분석모형인 잔여기준효율성모형(SBM)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료포락분석을 사용하여 민간위탁업무의 효율성을 측정한 주요 선행연구들을 검토한 후 방사적 자료포락분석모형의 한계를 지적하고, 민간위탁 행정서비스의 효율성을 측정하기 위한 방사적 자료포락분석모형과 비방사적 자료포락분석모형을 공식화했으며, 방사적 자료포락분석모형과 비방사적 자료포락분석모형을 사용하여 민간위탁업무의 효율성과 준거집단, 투입산출요소의 비효율성 정도, 규모수익(RTS)을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비교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방사적 자료포락분석모형을 사용하여 측정한 효율성점수가 방사적 자료포락분석모형에 의한 효율성점수보다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둘째, 시계열자료를 활용하여 민간위탁 행정서비스에 있어서 민간위탁과 직영 간의 상대적 효율성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 Radial data envelopment analysis model used for analyzing the efficiency of outsourced government services has the limitation of not measuring efficiency accurately. To solve such problems, nonradial data envelopment analysis model, the slack-based model of efficiency, needs to be used. This paper reviewed major previous studies measuring the efficiency of contracting out public services with data envelopment analysis(DEA), explained the limitations of radial data envelopment analysis model, formulated the linear programming models of input-oriented variable returns to scale(VRS) radial and nonradial data envelopment analysis, analyzed the technical efficiency scores, reference set, inefficient amount and sources, returns to scale of an outsourced government service using radial and nonradial data envelopment analysis model, and compared the analytical results of radial data envelopment analysis model with those of nonradial data envelopment analysis model.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fficiency scores measured by nonradial data envelopment analysis model are inclined to be lower than those measured by radial data envelopment analysis model. Second, using time-series data the relative efficiency of outsourced and in-house government services needs to be evaluated.

      • KCI등재

        지방공기업의 효율성 평가

        유금록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09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19 No.3

        지방공기업의 효율성을 측정하기 위해 지금까지 사용된 자료포락분석모형은 거의 대부분 방사적 자료포락분석모형에 토대를 두고 있다. 이 모형은 투입요소와 산출요소의 방사적 잔여(radial slacks)만을 고려하여 효율성점수를 측정한다. 지방공기업의 효율성을 측정하는 데 있어서 방사적 자료포락분석 모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투입요소와 산출요소의 방사적 잔여와 비방사적 잔여(nonradialslacks)를 모두 고려하여 효율성점수를 측정하는 비방사적 자료포락분석모형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방사적 효율성과 비방사적 효율성을 측정하는 논리를 설명하고, 자료포락분석을 사용하여 지방공기업의 효율성을 측정한 선행연구들을 검토했으며, 방사적 자료포락분석모형과 비방사적 자료포락분석모형을 공식화한 후, 서울특별시 시설관리공단을 중심으로 방사적 효율성점수와 비방사적 효율성점수를 비교하고 비효율적인 시설관리공단별 비효율성의 원인 및 정도, 준거집단을 분석했다. 방사적 규모수익가변 자료포락분석모형과 비방사적 규모수익가변 자료포락분석모형을 사용하여 서울시 시설관리공단의 기술적 효율성을 측정한 결과, 전반적으로 비방사적 모형에 의한 효율성점수가 방사적 모형에 비해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 KCI등재

        공공조직의 순위 평가 방안: 확률적 변경분석과 자료포락분석의 적용

        정수관,원두환 한국자료분석학회 2014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6 No.6

        Stochastic frontier analysis and data envelopment analysis are widely used for ranking evaluating in efficiency of public institute performance, and most previous research have measured efficiency and ranking evaluation by an analysis method. However, decision-makers are interested in efficiency ranking in order to support selective parts, but they can be confused with the differences in ranking evaluation by analysis methods. This study shed light on the complimentariness in stochastic frontier analysis and data envelopment analysis in ranking evaluation. Return to scale in efficiency of public institute is tested by stochastic frontier analysis. Then, a type of data envelopment analysis is determined by the result of return to scale. The differences of evaluation ranking between two analysis are examined. We find that the ranking order in efficiency i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analysis and suggest a weighted average of two ranking evaluation as an alternative efficiency ranking. The method can be applied to other public areas. 공공조직의 성과를 평가하기 위해 확률적 변경분석과 자료포락분석이 많이 활용되고 있는데, 대부분의 연구는 각각의 분석법을 이용하여 효율성 측정에만 집중하였다. 그러나 두 가지 분석법은 장단점이 있기 때문에 각 방법의 특성을 이해하고 보완한다면 효율성 측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확률적 변경분석과 자료포락분석을 이용하여 효율성을 각각 평가하고 두 결과를 보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부산시 28개 공공도서관을 사례로 효율성을 측정하였다. 먼저, 확률적 변경분석에서는 공공도서관의 투입-산출 변수를 이용하여 규모수익을 검증하고, 도서관의 효율성을 측정한다. 둘째, 확률적 변경분석의 결과를 통해 규모수익여부에 따라 적합한 자료포락분석을 선택한 후 개별 도서관의 효율성을 측정한다. 셋째, 자료포락분석의 모형 선택이 잘못되었을 경우에 효율성을 측정하고 비교하여, 확률적 변경분석을 통해 규모수익 확인의 중요성을 보인다. 마지막으로 분석방법의 차이점을 이해하고 각 분석을 통해 추정된 효율성에 가중평균을 이용하여 새로운 효율성 지표를 만들고자 한다. 분석결과 확률적 변경분석을 통해 부산시 공공도서관의 효율성은 규모수익체증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고, 규모수익을 고려하지 않은 자료포락분석은 효율성과는 측정에 왜곡이 발생하였다. 또한 확률적 변경분석과 자료포락분석에서 추정된 각각의 효율성을 가중평균하여 새로운 효율적 지표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평가방안은 공공도서관을 포함한 다양한 공공조직의 효율성 측정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잔여기준 자료포락분석을 이용한 지방공기업의 효율성 평가

        유금록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11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21 No.4

        본 연구에서는 지방공기업의 효율성을 분석한 선행연구들을 검토하고, 지방공기업의 운영효율성을 측정하기 위한 방사적 자료포락분석모형과 잔여기준 자료포락분석모형을 공식화하고, 하수도공기업을 중심으로 방사적 효율성점수와 비방사적 효율성점수를 비교하였으며, 비효율성의 원인 및 정도와 준거 집단을 분석한 후 비효율성을 투입요소별로 분해하였다. 투입지향적 규모수익가변 방사적 자료포락분석모형과 투입지향적 규모수익가변 잔여기준 자료포락분석모형을 사용하여 효율성을 측정한 결과, 전반적으로 잔여기준 자료포락분석모형에 의한 효율성점수가 방사적 자료포락분석모형에 의한 효율성점수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다. 73개 하수도공기업의 평균 비효율성 33.57% 중 인건비의 비효율성은 24.10%이고 물건비의 비효율성은 9.48%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하수도공기업 비효율성이 물건비 보다는 주로 인건비의 과다 투입에 기인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

        자료포락분석을 이용한 아웃소싱업무의 효율성 평가

        유금록 한국자치행정학회 2008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2 No.1

        본 연구에서는 자료포락분석을 사용하여 공공서비스의 효율성을 측정한 주요 선행연구들을 고찰한 후, 현대적 상대적 효율성 측정방법인 투입지향적 규모수익불변 및 규모수익가변 자료포락분석모형에 관한 선형계획모형을 공식화하고 아웃소싱업무의 효율성점수와 준거집단, 비효율성의 정도 및 근원 등을 분석했다. 본 연구결과의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웃소싱업무의 효율성 평가를 과학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자료포락분석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자료포락분석을 이용하여 공공부문의 효율성을 분석한 기존의 선행연구들이 거의 대부분 횡단면자료를 사용했으나, 본 연구는 시계열자료를 사용하여 효율성을 측정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셋째, 아웃소싱업무의 비효율성의 근원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기술적 효율성을 기술적 순효율성과 규모효율성으로 구분하여 측정할 필요가 있다. An Efficiency Evaluation of Outsourced Government Services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Yoo, Keum-Rok This paper reviewed major previous studies measuring the efficiency of the public sector with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and then formulated the linear programming models of input-oriented constant returns to scale (CRS) and variable returns to scale (VRS) data envelopment analysis, one of modern efficiency measurement methods, and analyzed the efficiency scores, reference set, and inefficient amount and sources of an outsourced government service. The implications of this article are as follows. First, we need to use data envelopment analysis to scientifically perform the efficiency evaluation of outsourcing contract services. Second, this paper shows an efficiency measurement using time-series data, even though most existing research through data envelopment analysis uses cross-sectional data. Third, we need to measure the technical efficiency of outsourced government services and then decompose it into pure technical efficiency and scale efficiency to analyze sources of their inefficiency.

      • KCI등재

        자료포락분석을 이용한 공공부문의 효율성 평가에 있어서 변별력 제고방안

        유금록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14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24 No.3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이 사용해온 전통적 자료포락분석모형은 다수의 효율적인 조직들 간의 효율성의 차이를 구분하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 자료포락분석의 한계를 해결할 수 있는 교차효율성모형을 사용하여 2012년도 서울특별시 25개 자치구 보건소들의 교차효율성(cross-efficiency)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산출지향적 규모수익가변(VRS) 교차효율성모형을 사용하였다. 전통적인 자료포락분석모형을 사용하여 효율성을 측정한 결과, 효율적인 보건소는 12개로 전체의 48%를 차지하고 있다. 표준적(standard) 교차효율성모형과 공격적(aggressive) 교차효율성모형, 호의적(benevolent) 교차효율성모형을 사용하여 교차효율성을 측정한 결과, 효율적인 보건소가 존재하지 않을 뿐 아니라 전통적 자료포락분석모형에서 효율적으로 나타난 보건소들의 효율성의 순위가 바뀌고 비효율적인 보건소들의 효율성의 순위도 차이를 보이고 있다. 표준적 교차효율성모형에서는 다수의 최적 가중치가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교차효율성이 유일하지 않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전통적 자료포락분석모형을 사용한 효율성 분석에 있어서 다수의 조직이 효율적으로 나타나는 변별력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비협조적 게임(non-cooperative game)에 토대를 두고 있는 공격적 교차효율성모형을 사용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주민자치센터의 운영효율성 비교분석:효율성 점수와 효율적 프론티어를 중심으로

        김민주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09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19 No.4

        Much scholarly work has been done on the topics of community center focusing on evaluation. For the most part, recent studies about the evaluation of community centers have tended to use the survey consisting of questions and answers. On the other hand, researchers pay scant attention to the quantitative analysis such as Data Envelopment Analysis. Although there are two previous studies using DEA, they have several problems. Therefore,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precisely measure and compare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community centers using the appropriate DEA model that can relieve the limitations of the previous papers. To conduct this study, 35 community centers in two districts of Seoul are selected and analyzed by applying the Variable Returns to Scale/Input-Oriented model of DEA and nonparametric statistics. In particular, the efficiency scores and efficient frontiers are compared between two districts respectively. 주민자치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주민자치센터에 대한 평가도 많이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그동안 주민자치센터에 대한 평가는 설문조사 등을 통한 평가지표를 바탕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이었고 자료포락분석 등을 이용한 계량분석은 극소수였다. 자료포락분석을 이용한 연구도 방법론적인 측면에서 몇 가지 문제점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편중된 연구 경향을 극복하고 방법론적인 한계를 최소화하는 주민자치센터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를 위한 분석 대상은 서울시 두 자치구의 주민자치센터 35곳이며 분석의 초점은 효율성 측정과 비교이다. 분석방법은 자료포락분석의 규모수익가변의 투입방향모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측정된 효율성을 비모수통계법으로 비교함으로써 자료포락분석을 사용한 기존 연구들보다 분석결과의 타당성을 높였다. 그리고 측정된 효율성 점수와 효율적 프론티어를 각각 비교함으로써 동 단위의 주민자치센터 운영뿐 아니라 구 단위의 주민자치센터 운영에 대해서도 유용한 함의를 도출하였다.

      • KCI우수등재

        자료포락분석방법을 이용한 내원환자의 지역별 벤치마킹분석

        문경준(Kyeong-Jun Moon),이광수(Kwang-Soo Lee),권혁준(Hyuk-Jun Kwon) 한국전자거래학회 2014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19 No.3

        본 논문의 목적은 지역을 대상으로 자료포락분석방법을 적용하여 한방병원에 내원한 환자의 지역적 특성 분석 및 성과개선규모를 파악하는 데 있다. 본 논문에서 사용된 자료는 대전광역시에서 운영 중인 일개 한방병원을 대상으로 수집되었다. 환자의 위치 정보는 행정구역의 가장 작은 단위인 ‘동’을 사용하였으며, 연구대상 병원의 의무기록 자료에서 환자 주소를 기준으로 수집하였다. 각 행정동의 인구사회학적 변수들은 통계청 자료를 사용하였다. 자료포락분석을 이용하여 행정동에서 내원한 환자의 규모를 비교 평가하였고, 그리고 Tobit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효율성 점수와 지역 특성 변수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DEA 분석결과 효율적인 동은 6개였으며, Tobit 회귀분석에서는 각 동별 기초생활수급자수와 총인구수 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분석단위를 행정구역의 최소단위인 행정동 별로 세분화하여 자료포락분석방법이 가지는 벤치마킹의 개념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리고, 병원의 성과 개선을 위해 필요로 하는 각 지역별 환자수를 구체적으로 파악하여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purposed to benchmark the number of patients who visited an oriental medicine hospital from its surrounding regions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model,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efficiency scores from DEA. Study data was collected from one oriental medicine hospital operated in a metropolitan city in Korea. Patient locations were identified at the smallest administrative district, Dong, and number of patients was calculated at the Dong level based on the address of patients in hospital information system. Socio-demographic variables of each Dong were identified from the Statistics of Korea web-sites. DEA was used to benchmark the number of patients between Dongs and to compute the efficiency scores. Tobit regression analysis model was appli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efficiency scores and regional variables. 6 Dongs were identified as efficient after DEA. In Tobit analysis, number of medical aid recipients and number of total population in each Dong was significant in explaining the differences of efficiency scores. The study model introduced the application of DEA model in benchmarking the patients between regions. It can be applied to identify the number of patients in each region which a hospital needs to improve their performances.

      • KCI등재

        자료포락분석(DEA) 모형을 이용한 프로야구단의 상대적 효율성 평가

        김진세,이상준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23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28 No.2

        이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자료포락분석(DEA) 모형을 이용해 국내 프로야구단의 효율성을 분석․평가하여 구단 경영활동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있다. 2016년부터 2021년까지 KBO리그 롯데 자이언츠, 두산 베어스, LG 트윈스, 한화 이글스, SSG 랜더스, 키움 히어로즈, NC 다이노스, kt 위즈 8개 구단을 선정하였다. 상대적 효율성 측정을 위해 필요한 투입요소는 매출원가, 산출요소는 매출액과 승수로 정하였고, R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DEA CCR 모형과 DEA BCC 모형에서 각각 기술효율성(TE)과 순수기술효율성(PTE)을 분석한 결과, 가장 효율적인 구단은 키움 히어로즈이고 가장 비효율적인 구단은 한화 이글스로 나타났다. 둘째, 규모효율성(SE)을 분석한 결과, 키움 히어로즈 구단을 제외한 7개 구단은 규모가 늘어날수록 한계생산이 감소하는 규모수익감소(DRS)로 나타났다. 셋째, 투입요소와 산출요소의 효율성을 동시에 고려하는 자료포락분석 여유기반(DEA SBM) 모형을 분석한 결과, 키움 히어로즈 구단의 효율성이 가장 높은 반면 한화 이글스 구단의 효율성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넷째, 자료포락분석 윈도우(DEA Window) 모형을 통해 효율성의 추이와 안정성을 분석한 결과, 8개 구단의 효율성이 점진적으로 향상되는 추세로 나타났으며, 키움 히어로즈 구단의 효율성 변동이 가장 안정적인 반면 롯데 자이언츠 구단의 효율성이 가장 불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상대적 효율성이 낮은 구단은 과잉 투입요소를 면밀하게 분석하여 효율적인 구단으로 탈바꿈할 수 있도록 경영활동 개선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단위농협과 단위수협의 신용사업의 경영효율성 비교분석

        강한애 ( Kang Han-ae ),박철형 ( Park Cheol-hyung ) 한국협동조합학회 2016 韓國協同組合硏究 Vol.34 No.3

        본 연구는 단위농협과 단위수협의 신용사업을 경영효율성 측면에서 비교분석하였다. 2015년도의 단위농협과 단위수협 재무제표 상의 여러 항목들 중 투입물로는 감가상각비, 출자금, 직원 수 그리고 산출물로는 예금액, 대출액을 이용하여 자료포락분석으로 효율성을 추정하였다. 분석은 단위 농협 및 수협 각 62개씩 총 124개의 전국 단위조합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은 다양한 자료포락분석의 모형을 적용하였다. 우선 단위농협의 효율성 평균은 기술효율성 85%, 순수기술효율성 92%, 규모효율성 93%로 나타났다. 단위수협은 기술효율성 87%, 순수기술효율성 91%, 규모효율성 96%로 분석되었다. 두 단위조합을 단순 통합시킨 효율변경 상에서는 기술효율성 79%, 순수기술효율성 87%, 규모효율성 92%의 효율성이 추정되었으며, 농협의 효율성 평균이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두 단위조합의 DEA 분석결과를 비교한다면 단위수협은 단위농협에 대한 벤치마킹의 필요성이 있으며, 결합비율 및 규모의 개선이 단위농협보다 더 시급한 것으로 분석된다. 효율변경이 겹치는 지점에서 비볼록성을 가정하는 시스템-자료포락분석, 상대그룹의 효율변경 상에서 추정하는 쌍방-자료포락분석을 실시하였다. 두 모형에서 추정된 단위농협과 단위수협의 효율성이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는 지 확인하기 위해 순위합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단위농협의 효율성이 단위수협의 효율성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and compare the management efficiency of the credit business of unit NongHyup and unit SuHyup. The total number of DMUs is 124 (NongHyup has 62 units and SuHyup has 62 units). The analysis applied the DEA method to estimate efficiency, using data from the 2015 financial statements. We used number of employees, depreciation costs, invested money, and operating costs as inputs and loans and deposits as outputs of the model. We used various DEA models to examine efficiency. The average efficiency of unit NongHyup was 85% technical efficiency, 92% pure technical efficiency, and 93% scale efficiency. The average efficiency score of unit SuHyup was analyzed as 87% technical efficiency, 91% pure technical efficiency, and 96% scale efficiency. As pooling two cooperatives together in a frontier, the result was estimated as a technical efficiency of 79%, pure technical efficiency of 87%, and a scale efficiency of 92%. Also, System-DEA and Bilateral-DEA models were applied to compare the two cooperatives. By conducting a rank-sum test from the efficiency of both models, we discovered that the efficiency of unit NongHyup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unit SuHyup. The results of the study also show that unit SuHyup requires to benchmark unit NongHyup relatively more and improve both its scale and proportion of inpu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