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급성 전방십자인대 손상의 진단에 있어 관절경 소견과의 비교분석을 통한 자기공명영상의 유용성

        최종혁,윤한국,김보람,윤춘식,Choi, Chong-Hyuk,Yoon, Han-Kook,Kim, Bo-Ram,Yoon, Choon-Sik 대한관절경학회 2005 대한관절경학회지 Vol.9 No.1

        목적 : 급성 전방십자인대의 손상에 있어 자기공명영상의 진단적 정확성 및 파열양상에 대한 유용성을 관절경 검사소견과의 비교연구를 통해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1월부터 2004년 6월까지 급성 슬관절 손상을 받고 임상적으로 전방십자인대 손상이 의심되어 자기공명영상검사를 시행한 후 이어서 관절경검사를 시행받은 환자 60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급성 전방십자인대의 손상에 있어 자기공명영상의 진단의 정확도, 파열양상에 대한 유용성에 대하여 관절경검사소견을 기준으로 양성예측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자기공명영상에서 불연속성을 보인 52례 모두에서 관절경검사상 전방십자인대 손상이 확인되었다. 파열양상에 있어서는 파열부위, 전반적인 부종, 국소 부종의 확인에 있어서는 관절경검사소견과 자기공명영상소견이 모두 일치한 결과를 보였고 원위부 허탈, 복합파열의 확인에 있어서는 정확도가 떨어지는 결과를 보였다. 결론: 급성 전방십자인대 손상의 자기공명영상의 소견은 관절경적 소견과 대체로 일치하였으며 특히 파열 양상에 있어서는 파열부위, 전반적인 부종, 국소부종의 확인에 있어서 매우 정확한 것을 갈 수 있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ccuracy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in the diagnosis of acute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injury and its tear pattern in comparison with arthroscopic finding. Materials and Methods: Sixty consecutive patients with acute ACL injury were taken NRI followed by arthroscopic examination between January 2002 and June 2004. MRI findings were reviewed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ACL discontinuity, diffuse swelling or thickening, focal edema, collapse on distal end, and any combined tear. The pathologic findings were then confirmed arthroscopically. The diagnostic accuracy of MRI on ACL tear pattern was analyzed by obtaining its positive predictive value. Results: All fifty two cases with presence of discontinuity on MRI showed ACL rupture arthroscopically. The location of ACL tear, diffuse swelling and focal edema on MRI also corresponded with arthroscopic findings respectively. However, the diagnostic accuracy of MRI was relatively lower in the presence of other ACL patterns such as collapses and combined tear. Conclusion: Preoperative MRI findings seem to be in accordance with arthroscopic findings and is significantly accurate in detection of location and diffuse swelling and focal edema of ACL tear.

      • KCI등재

        자기공명영상검사실 방사선사의 환자안전 문화 인식 연구

        박민서,허영철,조해연,이동하,조현진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 2024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지 Vol.34 No.1

        본 연구에서는 자기공명영상검사실 방사선사의 환자안전 문화 인식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수도권 자기공명영상검사실에서 근무하는 방사선사 109명을 대상으로 일반적인 특성, 실태조사, 환자안전 문화 인식에 대해 설문 조사하였다. 의료종사자들을 대상으로 개발된 한국형 환자안전문화 측정 도구에서 최상위 리더십을 경영진으로, 부서장이라는 단어를 파트장으로 수정하였고 전문가 5인에게 내용 타당도를 검증받았다. 결과적으로 자기공명영상검사실에서 근무하는 방사선사의 환자안전 문화 인식 점수는 평균 3.97로 높았지만, 안전사고경험 비율이 65.1%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정기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자기공명영상검사 안전교육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연구가 필요하며 본 연구가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라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atient safety culture perceptions of radiological technologists (RT) working 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laboratorie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patient accident status, and patient safety culture awareness of 109 RT working in MRI laboratori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ere investigated. The Korean safety culture measurement tool developed for healthcare workers was modified to replace top leadership with management. The role of department head was taken over by the part manager, and content validity was verified by five experts. As a result, the average patient safety culture awareness score of RT working in MRI laboratories was 3.97, but the rate of safety accidents remained high at 65.1%. Therefore, research is need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regular MRI safety education.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data.

      • KCI등재

        경추부 골절에서 척추 동맥 손상의 방사선학적 특징

        안면환,공병식,김정래,신지훈 대한척추외과학회 2011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18 No.3

        연구계획: 후향적 연구연구목적: 경추부 손상 시에 척추동맥 손상의 발생 빈도와 그 방사선학적 특징을 확인하고, 척추동맥 손상의 자기공명영상 분석과 그 의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 문헌의 요약: 척추동맥 손상은 경추부 골절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6월부터 2009년 2월까지 정형외과에 입원한 자로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확인할 수 있었던 경추부 골절 5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경추부 골절의 양상은 단순방사선, 전산화단층촬영,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이용하여 판정하였고 척추동맥 손상은 자기공명영상 검사의 신호 소실을 이용하여 판정하였다. 결과: 자기공명영상 검사 상 총 57예 중에 12예(21.1%)에서 편측의 척추동맥의 손상이 확인되었다. 뇌 혈류 장애를 초래한 증례는 없었다. 통계학적으로, 척수 손상 여부와 척추동맥 손상과는 상관관계가 없었다(p=0.424). 횡돌기 골절 7예 중에서 6예에서 척추동맥 손상이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00). 골절의 위치(p=0.416), 골절의 양상(p=0.723) 그리고 연부조직의 손상(p=0.195)은 척추동맥 손상과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론: 척추동맥 손상은 경추부 골절 환자에서 비교적 높은 비율로 나타났고 척추동맥 손상과 관련된 방사선학적 인자 중 횡돌기 골절의 유무만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경추부 골절 환자에서 자기공명영상 검사상 연속된 단면의 신호 소실 결여는 척추동맥 손상을 의심하고 추가적인혈관 조영 검사가 필요한 지침으로 유용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색인 단어: 척추동맥 손상, 경추 골절, 자기공명영상 검사약칭 제목: 경추부 골절에서의 척추동맥 손상 Study Design: A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by probing vertebral artery injuries and their radiologic characteristics in cervical spine fractures,and analyzing MRI findings of vascular injurie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Vertebral artery injuries are found relatively often in cervical spine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We evaluated 57 cases of cervical spine fractures that occurred beginning in June 2011 and ending in February 2003. The characteristics of each fracture were evaluated using conventional radiographs, CT, and MRI. The presence of a vertebral artery injury was based on the absence of signal void in multilevel transverse foramens. Results: Twelve out of the 57 cases (21.1%) were found to have unilateral vertebral artery injuries. Clinically, impairment in cerebral circulation was not found. We found no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the signal change in the spinal cord and in the vertebral artery injury (P=0.424). We noted fractures of transverse processes in 7 cases, 6 of which showed vertebral artery injuries. Thus, the transverse process facture was associated with t vertebral artery injury (P=0.000). There seemed to be no relationship between the vertebral artery injury and each of following: fracture level (P=0.416), fracture type (P=0.723) and severity of soft tissue injury (P=0.195). Conclusions: Unilateral vertebral artery injuries were frequently found in the cervical spine fractures. And of all radiographic factors associated with vertebral artery injury, only the presence of transverse process fractu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bsence of signal void at multi-section MR images is considered to be a useful guide to commence additional vascular evaluation. Key Words: Vertebral artery injury, Cervical spine fracture, MRI

      • KCI등재

        편집형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뇌의 구조적 변화와 기능적 변화 : 뇌자기공명영상소견, 신경인지기능 및 정신증상간의 상관관계

        강철민,이영호,정영조,이정흠,김수지,박현진,Kang, Cheol-Min,Lee, Young-Ho,Jung, Young-Jo,Lee, Jung-Heum,Kim, Su-Ji,Park, Hyun-Jin 대한수면의학회 1998 수면·정신생리 Vol.5 No.1

        연구배경 : 본 연구는 정신분열병에서 뇌의 해부학적 변화가 있는가를 관찰하고 이런 변화와 인지기능, 신경학적변화, 임상증상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시도하였다. 방법 : 편집형 정신분열병 환자군 20명(남15, 여5)과 성별, 연령을 조합한 정상대조군 23명(남15, 여8)을 대상으로하여 뇌자기공명촬영의 면적측정을 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환자군을 대상으로 신경심리학적검사, 연성신경학적 증후, 그리고 임상증상을 평가하여 뇌자기 공명 촬영 측정치와 상관관계를 보았다. 결과 : 1) 정신분열병 환자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모든 뇌설계와 기저핵의 크기가 유의하게 커져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환자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우측 전두엽이 작아져 있는 경향을 보였고(p=0.057), 좌측 측두엽의 크기가 환자군에서 작아져 있는 경향을 보였다(p=0.089). 2) 뇌실의 크기 증가가 이전의 입원 횟수의 증가와 정상관관계를 보였고(p<0.01), 이외에 다른 구조물에 대한 측정치와 임상적 요인들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3) 위스콘신 카드 분류검사 점수와 유의한 상관을 보인 구조물은 좌측 측두엽과 좌측 피각이었다. 이중 좌측 측두엽의 크기와 위스콘신 카드 분류 검사의 보속 오류검사 점수사이에는 정상관관계를 보였고(r=0.5636, p<0.05), 피각은 역상관관계를 보였다.(r=-0.5733, p<0.01). 대조군과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던 구조물 중 웩슬러 지능검사 점수와 유의한 상관을 보이는 구조물은 하나도 없었고, 좌측 편도(r=0.5727, p<0.05)와 좌측 피각(r=0.4686, p<0.05) 이 각각 언어성 지능 점수와 정상관관계를 보여 주었다. 벤톤 신경심리검사의 유의한 상관을 보여 주었던 구조물은 우측 전두엽과 좌측 편도이었다. 이외에 좌우측 측두엽은 촉각형태 지각 검사 점수(각각 r=0.4998, p<0.05; r=0.5018, p<0.05)와 유의한 정상관관계를 보였고 좌우측 미상핵(각각 r=0.4611, p<0.05; r=0.4726, p<0.05) 및 좌측 피각(r=0.5370, p<0.05)은 직선지남력 검사와 유의한 정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에서 뇌실 측정치는 어떠한 신경심리 검사와도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4) 우측 전두엽의 크기가 작을수록 연성 신경학적 징후 총점수도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r=-0.6174, p<0.01), 복합적 연성 신경학적 징후 점수와 유의한 상관을 보이는 구조물은 좌우측 편도(r=-0.4548, p<0.05; r=-0.4597, p<0.05)와 우측 담창구(r=- 0.4646, p<0.05) 이었다. 뇌실 측정치는 연성 신경학적 징후와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5) 우측 측두엽은 간이정신상태 검사상의 양성 증상 척도 점수와 역 상관관계를(r=-0.4483, p<0.05) 보였고 좌측 해마는 양성 및 음성 증상척도의 양성 증상점수(r=0.5028, p<0.05)와 일반증상점수(r= 0.5696, p<0.01) 및 간이 정신상태 검사의 총점수(r=0.6050, p<0.01)와 유의한 정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외에 우측 측뇌실의 측두각은 간이 정신상태 검사 상의 양성증상과 유의한 정상관관계를(r=0.4729, p<0.05) 를 보였다. 기저핵중에서는 우측 담창구가 양성 및 음성 증상 척도의 음성 증상 점수(r=-0.6062, p<0.01), 간이 정신상태 검사상의 음성 증상 척도(r=-0.5016, p<0.05) 와 유의한 역상관관계를 보였고 좌측 담창구가 간이 정신상태 검사상의 음성 증상 척도 (r=-0.4683, p<0.05) 와 유의한 역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통해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뇌의 구조 변화는 임상적 경과에 따른 변화인 뇌실 확장 및 뇌의 신경발달학적 이상에 기인하는 기저핵의 증가, 우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ole of structural and functional changes of the brain in the pathophysiology of schizophrenia. Methods : The authors measured the regions of interest on the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the brain in 20 patients with paranoid schizophrenia(15 men and 5 women) and 23 control subjects(15 men and 8 women). We also assessed the neurocognitive functions with the Wisconsin Card Sorting Test, the Benton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and the Weschler IQ test-Korean version, soft neurologic signs, and psychiatric symptoms in the patient group. Results : In the patient group, all ventricles and basal ganglia including caudate nucleus and globus pallidus were significantly enlarged.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values of right frontal lobe and left temporal lobe, there was a tendency of decrease in the values of right frontal lobe and left temporal lobe.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values of ventricles and the frequency of previous hospitalization.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other values of regions of interest and clinical data. The value of the right frontal lob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score of soft neurologic signs, which is suggestive of the neurodevelopmental abnormalitie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value of frontal lobe and the scores of the various subscales of Benton Neuropsychiatric Inventory. In contrast, the value of left amygdala and putamen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score of verbal IQ on the Weschler IQ test. Structural changes of the temporal lobe areas were related with the positive and general symptom scores on PANSS, while those of the basal ganglia were related with the negative symptom scores.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tructural changes of the brain in the patients with schizophrenia show the dual process, which is suggestive that the enlarged ventricle show the neurodegenerative process, while enlarged basal ganglia, and shrinked right frontal and left temporal lobe show the neurodevelopmental abnormalities. Among these changes, structural changes of the frontal lobe related with various neuropsychological deficits, while those of left temporal lobe related with language abnormality. Relative to the relation between structural changes and psychiatric symptoms, structural changes of the temporal lobe areas were related with the positive and general symptoms, while those of the basal ganglia were related with the negative symptoms.

      • KCI등재

        확장형 요추부 자기 공명 영상 검사에서 발견된 동반 하부 흉추 병증

        정재윤,임지현,서형연,김하성,김도연 대한척추외과학회 2012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19 No.3

        Study Design: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o evaluate the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of the concurrent lower thoracic lesions in patients who have a lumbar spine disease, using the extended lumbar MRI.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re are no studies regarding the concurrent thoracic lesions with lumbar disease. Materials and Methods: All the patients, who had visited the out-patient department (OPD) of orthopaedic surgery in our hospital and underwent lumbar spine MRI, were studied during 1 year. Totally, 750 patients were included. The extended lumbar spine MRI contained additional extended T2-weighted sagittal images that cover the lower thoracic vertebrae with 35 centimeters long. We analyzed the highest observable level, characteristics of detected thoracic lesions. Those lesion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compression of the spinal cord and investigation for associated factors of patients. Also, the times for additional tests were measured. Results: Additional tests were able to observe up to the 7th thoracic vertebrae. In 257 cases (34.3%), the lower thoracic lesions were detected and increased with aging (p<0.001). A total of 48 patients (6%) had the lesion compressing the spinal cord and 28 patients needed further evaluation for the lower thoracic lesion. Further, 2 cases were treated surgically for lower thoracic lesions. Scanning extra time for additional test were 3 minutes. Conclusions: The prevalence of lower thoracic lesions accompanied with the lumbar disease was 34% in this study. Therefore, additional extended lumbar spine MRI is needed to check possible concurrent lesions in the lower thoracic spine. 연구 계획: 후향적 연구목적: 요추부 병증을 가지고 있는 환자에서 확장형의 요추부 자기 공명 영상 검사를 시행하여, 동반된 하부 흉추의 유병률과 관련 인자들을 알아보고자하였다. 선행문헌의 요약: 요추부 병증과 동반된 하부 흉추 병변에 대한 연구는 아직 보고 되지 않았다. 대상 및 방법: 1 년 동안 본원 정형외과 외래에 방문하여 요추 자기 공명 영상 검사를 시행한 모든 환자 756 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확장형 요추부 자기공명 영상 검사는 하부 흉추가 포함되는 35 cm의 높이의 T2 강조 시상면 영상을 촬영하였다. 관찰 가능한 하부 흉추의 범위 확인 및 발견된 병변의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척수를 압박하는 정도에 따라 분류하고 환자의 관련 요인을 조사하였다. 또한 추가 검사에 걸리는 시간을 측정 하였다. 결과: 검사 결과 평균적으로 제 7 흉추까지 관찰 가능하였다. 동반된 하부 흉추 병변이 관찰된 경우는 257 예(34.3%) 였고, 연령대에 따라 비례하여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1). 동반 병변 중에서도 척수를 압박하는 병변을 가지고 있는 경우는 48 예(6%) 였다. 그리고 발견된 하부 흉추의 동반 병변에 대하여 추가 정밀 검사를 받은 경우는 28 예, 수술적 치료를 받은 경우는 2 예였다. 추가 촬영 시간은 3 분이 더 소요되었다. 결론: 요추부 병증에 동반된 하부 흉추의 유병률은 34%였다. 따라서 확장형 요추 자기 공명 영상 검사를 시행하여, 동반된 하부 흉추 병변을 확인하는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자기공명검사 시 활력 징후의 변화

        정미애,최관우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6

        This study was proposed to investigate vital signs in subjects undergoing high magnetic field (3T) MR imaging for provide basic data on causes of claustrophobia as few previous studies were conducted on this special issue. Vital signs of 104 patients were monitored before and during the clinically indicated MR examinations to identify any relationship between MR scanning and the vital signs. An increase of systolic,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pulse pressure were observed. However, the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which meant the vital signs measured before and during the MRI scanning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This study is considered to be meaningful basic data for analyzing the links between vital sign fluctuations on claustrophobia during routine clinical MR examinations. 본 연구는 고자장이란 특수성으로 인해 자기공명영상 검사 중 활력징후를 측정한 연구가 없는 상황에서 검사 중 활력징후를 측정하여 분석함으로서 폐소공포증의 원인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104명을 대상으로 MRI 검사 시 활력징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검사 전과 검사 중 활력징후를 측정하여 비교평가 하였다. 연구 결과, MRI 검사 시 심박수와 혈중산소포화도는 감소하였고,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 그리고 맥압은 증가하였으나, 모두 유의수준이 0.05이상으로 나타나 MRI 검사 중 활력징후의 변화는 검사 전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는 폐소공포증의 원인분석을 위한 기초자료 중 하나인 활력징후를 최초로 자기공명 검사 중 측정하여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회전근 개 봉합술 후 발생한 재파열의 양상

        태석기(Suk-Kee Tae),김영성(Young Sung Kim),이호민(Ho Min Lee),박판건(Pan Kun Park)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2 대한견주관절의학회지 Vol.15 No.1

        목적: 관절경적 회전근 개 봉합술 후 시행한 자기 공명 영상 검사 소견을 분석하여 재파열의 빈도와 발생 위치, 재파열이 임상적 결과에 미치는 영향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관절경적 회전근 개 봉합술 후 평균 10.6개월에 자기 공명 영상 검사를 시행한 109예 (평균 연령 57세, 남:여=50예:59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관상면 자기 공명 영상 검사 상 Sugaya IV, V 형을 재파열로 규정하였다. 재파열의 위치는 앵커 삽입부위 내측 1 cm를 기준으로 내측 및 외측으로 구분하였다. 나이, 성별, 파열의 크기 및 복원 방법에 따른 재파열의 빈도와 위치를 알아보았으며, 평균 13.9개월에 추시 후 재파열 유무에 따른 견관절 기능점수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결과: 109예 중 38예 (34.9%)에서 재파열을 보였다. 남성에서 재파열은 25예 (50.0%)가 발생하였으며, 여성에서 재파열은 13예 (22.0%)가 발생하였다. 3 cm미만 크기의 파열에서는 21예 (25.6%)에서 재파열이 발생하였으며, 3 cm를 넘는 크기의 파열에서는 17예 (63.0%)에서 재파열이 발생하였다. 재파열이 내측에서 발생한 경우는 일열봉합에서 71.4%, 이열봉합에서 71.0%이었다. 최종 추시점에서 재파열군과 재파열이 없는 군 모두 견관절 기능점수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호전을 보였으며 양 군간의 호전 정도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 회전근 개 봉합술 후 추적 자기 공명 영상 검사상 34.9%에서 재파열이 발생하였으며 환자의 나이, 복원방법에 따른 발생률의 차이는 없었으나 남성 및 파열크기가 큰 경우 재파열의 가능성이 높았다. 재파열은 주로 내측에서 발생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는데 이는 봉합시 과도한 긴장이 봉합부의 내측에 부하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rate of incidence, location and the clinical value of the rotator cuff retear by analyzing MRI scans, which was taken after an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included a total of 109 patients, who underwent a shoulder MRI scan after an average of 10.6 months later from the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We only defined the ‘retear’ when the Sugaya type IV and V was observed in the sagittal section of the MRI. The location of the retear was divided into the medial and lateral areas by the site, which was 1 cm medial to the anchor insertion. We investigated the incidence rate and the location of the retear, in terms of the age, sex, initial tear size and the suture method. Also, we compared the functional score of the retear group and the non-retear group, after an average of 13.9 months follow-up. Results: There were 38 of the 109 patients that showed the rotator cuff retear. Of these patients, 25 were male patients, and 13 were female patients. Of the 38 patients with the rotator cuff retear, 21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3 cm retear group, and 17 were included in the ≥3 cm retear group. At the end of the follow up period, all 109 patients showed a statistical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shoulder functional score. Conclusion: According to the follow up of the MRI scan, which was taken after the rotator cuff repair, the retear rate reached 34.9 %,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age and the suture method. More rotator cuff retear occurred in male patients, and the initial tear siz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incidence rate of the rotator cuff retear. Also, the retear was more frequently observed at the medial side. That is because when the suture was performed, excessive tension was loaded on the medial side of the suture site.

      • KCI등재

        잠재적 간성혼수 환자의 인지기능과 양성자 자기공명분광 소견과의 상관관계

        김성윤,정범석,서동완,이정희,이 철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6

        연구목적 : 잠재성 간성혼수 환자들의 신경인지기능 장애 정도와 기저 핵이나 두정엽 백질부에서의 자기공명분광 (proton MRS)으로 측정한 양성자 함유 화합물의 변화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한국판 웩슬러 지능 검사(KWIS) 중 토막짜기나 기호 바꾸기, 그리고 번호잇기 검사를 적용하여 잠재성 간성혼수로 정의된 18명의 간경변 환자를 대상군으로 하고 20명의 정상인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복합주의력과 시각 정보 분석능력 측정을 위해 Vienna 전산화 신경인지기능 검사 중, Cognitrone 검사. 미세 협응 운동능력을 위해 Grooved pegboard 검사를 적용하였단 1.5 Tesla 임상용 자기공명 촬영기를 이용해 자기공련명 분광을 얻었으며 두정엽 백질부와 기저핵의 각각 2×2×2cm3 vocel에서의 myoinositol(ml), N-acetyl-L-aspartate(NAA). creative(Cr), choline(Cho) 등의 농도를 측정하고 Cr 농도에 대한 상대적 농도비율을 구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1) 잠재성 간성혼수 환자들의 기저핵과 두정엽 백질부에서 Cho/cr 및 ml/Cr 비가 감소하였다. 2) 미세 협응 운동능력을 반영하는 Grooved pegboard 검사의 수행능력이 기저핵의 ml 및 두정엽 백질부의 Cho농도와 유의미한 역상관관계를 보였다(r= -0.59. p<.05). 3) Cognitrone 검사 중 정반응하는데 걸리는 평균시간은 두정엽 백질부의 NAA와 역 상관관계를 보였다(r= -0.55, p<.05) . 결론 : 잠재성 간성혼수 환자들의 특정 신경인지기능의 장애는 양성자 자기공명분광법으로 측정한 기저핵 및 두정엽 백질부의 신경화학적 변화와 상관관계를 보인다. 하지만 이러한 신경화학적 변화가 잠재성 간성 혼수의 근본적 병리 생리인지 2차적 변화인지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질병의 경과에 따른 신경인지기능 및 양성자 자기공명분광 소견의 추적연구가 필요하며 비슷한 인지기능의 장애를 보이는 다른 신경퇴행성 질환과의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 0bjective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neurochemical changes of brain in SCHE patients and the level of cognitive function, the authors measured hydrogen containing neurochemicals in two brain regions using 1H MRS, and compared those changes with the level of cognitive performances such as attention, visual analysis, or fine motor function. Methods ; A total of patients with liver cirrohosis were defined as SCHE, for they performed poorly(out of 1 SD of normative data) in more than one neuropsychological tests conventionally used(digit symbol and block design tests in KWIS, trail making test A and B). They were further evaluated in attentional ability and efficacy of visual analysis using Cognitrone subtest in Vienna Neurocognitive Test battery. Fine motor coordination were also measured by Grooved Pegboard test. Patients and 20 nodal controls underwent proton MRS study. Proton containg neurochemirals , such as myoinositol(mI) , N-acetrl-L-aspartate(NAA) , creating (Cr) , choline(Cho) were measured from 2*2*2cm3 voxel of basal ganglia and parietal white matter using 1.5 tesla dinical MRI/MRS system. The ratios of above metabolites to Cr were analyzed. Results : 1) Patients with SCHE showed reductions in Cho/Cr and ml/Cr in both basal ganglia and parietal white matter compared to normal subjects. 2) Performance of Grooved Pegboard test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ml level of basal gang1ia and with Cho level of parietal white matter(r= -0.59, p<.05). 3) Mean time of correct responses in Cognitrone test ske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NAA level of parietal white matter(r= -0.55, p<.05). Conclusion : Certain neurocognitive disturbances in SCHE patients seemed to be related with neurochemical changes in basal ganglia or parietal white matter. To further elucidate the relationship of focal biochemical changes and neurocognitive deficits in SCHE patients, however, fo11ow-up study according to the illness stage must be performed. Studies on other disorders showing similar cognitive deficit patterns would be helpful.

      • KCI등재후보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대뇌 피질 두께 분석법을 이용한 파킨슨병의 경도인지장애 신경심리검사와 신경해부학적 상관관계

        이현용(Hyeonyong Lee),박형후(Hyonghu Park),이재승(Jaeseung Lee),임인철(Inchul Im) 한국방사선학회 2014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8 No.4

        본 연구는 경도인지장애가 동반된 환자를 대상으로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인지 영역에 대한 대뇌 피질 두께를 측정하고 신경심리검사 결과와 비교하여 신경해부학적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파킨슨병으로 최초 진단 받고 신경심리검사를 시행한 78명(경도인지장애군: 39명; 비인지장애군: 39명)과 정상인 그룹 32명을 선정하였다. 신경심리검사에서 경도인지장애군과 비인지장애군의 상관관계와 신경심리검사와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대뇌 피질 두께의 상관관계는 독립표본 T 검증 또는 피어슨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유의 수준은 p<0.05에서 검증하였다. 결론적으로 경도인지장애를 동반한 파킨슨병 환자는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양측 쐐기압소엽과 우하측두엽의 대뇌 피질 두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인지 기능 평가를 위한 신경심리검사에서 시공간 기능, 언어 및 시각 기억력 기능이 저하되었다. 특히 언어 및 시각 기억력 영역에 대한 신경심리검사와 신경해부학적으로 좌측 쐐기 앞소엽에서 상관관계가 있었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neuro-anatomical correlation between neuropsychological results and cerebral cortex thickness of cognitive ability in the brain MRI targeting the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It was that 78 people who were diagnosed as first Parkinson’s disease followed by neuropsychological screening battery(Parkinson’s disease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39 people; Parkinson’s disease with normal cognition: 39 people) and 32 people of normal group were selected. Correlation between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normal cognitive impairment and correlation between neuropsychological screening battery and cerebral cortex thickness in the brain MRI were performed by independent sample t-test or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then level of significance of collected data was verified in p<0.05. As a result, cerebral cortex thickness of the Parkinson’s disease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in both side precuneas and right inferiortemporal lob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addition, function of visuospatial ability, verbal and visual memory was reduced in neuropsychological screening battery for cognitive assessment. Especially, there was correlation between neuropsychological screening battery of verbal and visual memory anatomical left precuneus.

      • KCI등재

        잠재성 간성혼수 환자의 인지기능과 양성자 자기공명분광 소견과의 상관관계

        김성윤,정범석,서동완,이정희,이철 대한신경정신의학회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6

        연구목적: 잠재성 간성혼수 환자들의 신경인지기능 장애 정도와 기저핵이나 두정엽 백질부에서의 자기공명분광 (proton MRS)으로 측정한 양성자 함유 화합물의 변화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 법: 한국판 웩슬러 지능 검사(KWIS) 중 토막짜기나 기호 바꾸기, 그리고 번호잇기 검사를 적용하여 잠재성 간성혼수로 정의된 18명의 간경변 환자를 대상군으로 하고 20명의 정상인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복합주의력 과 시각 정보 분석능력 측정을 위해 Vienna 전산화 신경인지기능 검사 중 Cognitrone 검사, 미세 협응 운동 능력을 위해 Grooved pegboard 검사를 적용하였다. 1.5 Tesla 임상용 자기공명 촬영기를 이용해 자기공명 분광을 얻었으며 두정엽 백질부와 기저핵의 각각 2×2×2cm3 voxel에서의 myoinositol(mI), N-acetyl- L-aspartate(NAA), creatine(Cr), choline(Cho) 등의 농도를 측정하고 Cr 농도에 대한 상대적 농도비율 을 구하여 분석하였다. 결 과: 1) 잠재성 간성혼수 환자들의 기저핵과 두정엽 백질부에서 Cho/Cr 및 mI/Cr 비가 감소하였다. 2) 미세 협응 운동능력을 반영하는 Grooved pegboard 검사의 수행능력이 기저핵의 mI 및 두정엽 백질 부의 Cho 농도와 유의미한 역상관관계를 보였다(r=-0.59, p<.05). 3) Cognitrone 검사 중 정반응하는데 걸리는 평균시간은 두정엽 백질부의 NAA와 역 상관관계를 보였다(r=-0.55, p<.05). 결 론: 잠재성 간성혼수 환자들의 특정 신경인지기능의 장애는 양성자 자기공명분광법으로 측정한 기저핵 및 두 정엽 백질부의 신경화학적 변화와 상관관계를 보인다. 하지만 이러한 신경화학적 변화가 잠재성 간성혼수의 근본적 병태생리인지 2차적 변화인지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질병의 경과에 따른 신경인지기능 및 양성자 자 기공명분광 소견의 추적 연구가 필요하며 비슷한 인지기능의 장애를 보이는 다른 신경퇴행성 질환과의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 Objectives: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neurochemical changes of brain in SCHE patients and the level of cognitive function, the authors measured hydrogen containing neurochemicals in two brain regions using 1H MRS, and compared those changes with the level of cognitive performances such as attention, visual analysis, or fine motor function. Methods:A total of patients with liver cirrohosis were defined as SCHE, for they performed poorly(out of 1 SD of normative data) in more than one neuropsychological tests conventionally used(digit symbol and block design tests in KWIS, trail making test A and B). They were further evaluated in attentional ability and efficacy of visual analysis using Cognitrone subtest in Vienna Neurocognitive Test battery. Fine motor coordination were also measured by Grooved Pegboard test. Patients and 20 normal controls underwent proton MRS study. Proton containing neurochemicals, such as myoinositol(mI), N-acetyl-L-aspartate(NAA), creatine(Cr), choline(Cho) were measured from 2*2*2cm3 voxel of basal ganglia and parietal white matter using 1.5 tesla clinical MRI/MRS system. The ratios of above metabolites to Cr were analyzed. Results:1) Patients with SCHE showed reductions in Cho/Cr and mI/Cr in both basal ganglia and parietal white matter compared to normal subjects. 2) Performance of Grooved Pegboard test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mI level of basal ganglia and with Cho level of parietal white matter(r=-0.59, p<.05). 3) Mean time of correct responses in Cognitrone test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NAA level of parietal white matter(r=-0.55, p<.05). Conclusion:Certain neurocognitive disturbances in SCHE patients seemed to be related with neurochemical changes in basal ganglia or parietal white matter. To further elucidate the relationship of focal biochemical changes and neurocognitive deficits in SCHE patients, however, follow-up study according to the illness stage must be performed. Studies on other disorders showing similar cognitive deficit patterns would be helpfu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