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헤겔철학에서 반성적 자기관계의 무한성과 비대칭성에 관하여 -규정하는 반성과 모순을 중심으로

        권영우 ( Young Woo Kwon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15 철학연구 Vol.0 No.52

        이 글의 목적은 규정하는 반성과 모순을 중심으로 헤겔철학에서 중요한 개념인 반성개념과 반성운동의 중요한 특징을 해명하는데 있다. 일반적으로 반성은 광학적인 의미에서 지속적인 동일한 반사와 반영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반성은 동어반복적 반복과 순환으로 이해되기도 한다. 이러한 반성에 따라 이념이 자기운동을 한다면 존재하는 모든 것들의 변화와 운동은 오로지 동어반복적 자기동일성 안에만 갇혀 있게 될 것이며 새로운 것이 없이 무한히 반복되는 단조로운 운동이 될 것이다. 하지만 헤겔이 말하는 반성운동은 이러한 단조로운 반복순환운동이 아니다. 헤겔의 반성이 자기동일성에서 자기외화를 거쳐 자기로 복귀하는 무한한 과정임에도 그것이 동어반복적 동일성에 함몰된 단순한 순환과 반복이 아니라 끝임 없이 새로운 것으로 스스로를 규정하는 운동이 될 수 있는 이유는 헤겔이 말하는 반성적 자기관계의 비대칭성 때문이다. 그리고 헤겔은 타자로의 이행이 부정적 자기관계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자기운동, 즉 반성이라는 점을 해명하고 있다. 따라서 반성적 자기관계는 유한성 속에서는 결코 멈춰질 수 없는 무한한 역동성을 지니게 된다. 바로 이러한 반성적 자기관계성 속에서 이념은 논리적인 개념으로 그리고 실제적인 자연과 ‘역사와 학문을 포함하는 정신’으로 전개하고 발전한다는 것이 헤겔철학의 중요한 핵심적 요지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반성적 자기관계의 무한성과 비대칭성에 초점을 맞춰 반성개념의 의미를 밝히고자 한다. Das Ziel dieses Aufsatzes besteht darin, mittels der Erklarung der bestimmenden Reflexion und des Widerspruchsbegriffes die wichtige Charakteristik des Reflexionsbegriffes als des wesentlichen Begriffes in Hegels Philosophie und die der reflektierenden Bewegung zu erlautern. Reflexion wird zumeist im Sinne der Optik als Wiederspiegelung verstanden, in der das gleiche Licht unendlich ab- und zuruckstrahlt. Also konnte die Reflexion als ein tautologisch wiederholender Zirkel angesehen werden. Wenn sich die Idee auf die Weise der tautologischen Reflexion bewegte, waren alle Verwandlungen und Bewegungen jedes Seienden nur die banal unendlich sich wiederholende Bewegung, in der nichts neues entsteht und die in der tautologischen Identitat eingeschlossen ist. Aber die Reflexion bei Hegel ist keine solche tautologische Wiederholungsbewegung. Die Hegelsche Reflexion ist doch eine sich von sich unterscheidende und zu sich ruckkehrende Bewegung. Trotzdem fallt sie nicht in die tautologische Identitat, sondern sie wird die sich endlos als Neues bestimmende Bewegung wegen der asymmetrischen Charakteristik der reflexiven Selbstbeziehung. Hegel erlautert, dass der Ubergang in Anderes im tieferen Sinne die Selbstbewegung respektive die Reflexion ist, die auf der negativen Selbstbezuglichkeit beruht. Die reflexive Selbstbewegung hat die unendlich sich dynamisierende Fahigkeit. Der Hauptpunkt der Hegelschen Philosophie besteht darin, dass sich die Idee kraft ihrer reflexiven Selbstbeziehung als Begriff, Natur und Geist, in den Wissenschaft und Geschichte gehoren, entwickelt. In Hinsicht auf die Unendlichkeit und Asymmetrie der reflexiven Selbstbeziehung wird dieser Text die Bedeutung der Reflexion bei Hegel erlautern.

      • KCI등재

        초기 피히테의 선험적 관념론과 후설의 선험적 현상학에서 자기의식의 반성 이론 - 칸트의 통각 이론과 관련해서 -

        김정주 한국칸트학회 2023 칸트연구 Vol.51 No.-

        Die Reflexionstheorie des Selbstbewußtseins ist in Kant, Fichte und Husserl gezeigt. Nun macht aber Kant allgemeingültige Begründung objektiver Erkenntnis zu erkenntnistheoretischem eigentlichem Thema, und erkennt Zirkelargument in analytischer Einheit der Apperzeption an. Also erklärt er innere Struktur des Selbstbewußtseins nicht systematisch. Der frühe Fichte versucht Kants Probleme in der idealistischen Geschichte des Selbstbewußtseins zu lösen. Die dynamische Entwicklungsgeschichte des Selbstbewußtseins erklärt, daß das Ich seine verschiedene Vorstellungsvermögen und -leistungen durch verschiedene Reflexionsstufen systematisch entwickelt, bis es erfüllte Sebstbeziehung erreicht. Dazu muß es Tätigkeit der Einbildungskraft systematisch differenzieren. In diesem Sinne ist diese Einbildungskraft ein Grundvermögen des theoretischen Ich. Bei Fichte ist sie ein Ausgangspunkt des idealistischen Geschichte des theoretischen Selbstbewußtseins, und die intellektuelle Selbstanschauung, die endgültig unendliche Iteration überwinden kann, ein Endpunkt dieser Geschichte. Also ist Fichtes Reflexionsmodell des Selbstbewußtseins ein komplexes Modell, das die intellektuelle Selbstanschauung in sich enthält. Husserl entwickelt zwar systematische Selbstbewußtseinstheorie nicht, aber er akzeptiert ein Modell der Selbstbeziehung als Subjekt-Objekt-Beziehung und auch Reflexionsmodell, bestimmt ein Wesen der Selbstbeziehung des Ich als Selbstspaltung und Selbstidentifikation des Ich, und denkt, daß die Selbsterfassung des Ich in der zeitlichen Selbstbeziehung des transzendentalen Ich nicht durch Reflexionsstufen, sondern wesentlich unmittelbar erfolgt. Hierbei entsteht keine unendliche Iteration. In dieser Weise zeigt Husserl verschiedene Gründe, unendliche Iteration zu vermeiden. 자기의식의 반성 이론은 칸트, 피히테, 후설에게서 나타나 있다. 이때 반성 이론이 완성된 이론이 되기 위해선 주관의 자기표상에서의 무한반복과 순환논증을 극복해야 한다. 그런데 칸트는 객관적 인식의 보편타당한 정초를 <순수이성비판>의 본래의 주제로 삼고 있고, 더구나 통각 이론, 곧 반성적 자기관계에서 순환논증을 인정함으로써 자기의식의 내적인 구조를 체계적으로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초기 피히테는 자기의식의 관념론적 운동사에서 칸트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한다. 자기의식의 역동적 발생사는 자아가 자신의 여러 표상능력들과 표상작용들을 반성과정을 통해 체계적으로 전개하여 궁극적으로 완전히 충족된 직관적 자기관계에 도달하는 것을 해명한다. 이를 위해 자아는 상상력의 활동을 체계적으로 세분해야 한다. 이런 의미에서 상상력의 근본사실은 이론적 자아의 근본능력이다. 피히테에게 이러한 생산적 상상력은 이론적 자기의식의 역사의 기점이며, 궁극적으로 무한반복을 회피할 수 있는 지성적 자기직관은 자기의식의 역사를 완성한다. 이처럼 피히테의 자기의식의 반성 이론은 지성적 자기직관도 포함하는 복합적 반성 모델인 것이다. 후설은 그의 선험적 현상학에서 체계적인 자기의식 이론을 개진하고 있지는않지만, 주관과 객관의 관계로서의 자기관계의 모델 및 반성 모델을 수용하면서, 자아의 자기관계의 본질을 자아의 자기분열과 자기동일화로 규정하고 있으며, 또한 선험적 자아의 시간적 구조에서 자아의 자기관계는 근본적으로 반성이 아니라직접적 자기관계라고 생각한다. 이에 따라 무한반복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처럼 후설은 무한반복을 회피할 수 있는 다양한 근거들을 반성 이론의 측면에서 보여주고있다.

      • KCI등재

        자기성찰을 구성하는 내용 요소 ― 국어과 예비교사의 수업시연 보고서를 중심으로

        신호철 중앙어문학회 2019 語文論集 Vol.7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and analyze the contents of the self-reflection reports of pre–service Korean teachers after teaching rehearsal, and to reclassify the content elements that should be written in the self-reflection report based on the level of reflection. First, the introspections in the self-reflection report prepared by 45 students in the 3rd grad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 university were classified into six types: reflection on language expression, behavior, pedagogy, teaching contents, teaching material, and teaching progress. The elements of these six types of self-reflection reports were reclassified according to the level of reflection, which is divided into three levels: individual reflection level, practical reflection level, and critical reflection level. The first level, individual reflection level, focuses on the technical aspects of pre-service teacher’s own problems without direct relevance to the Korean language class and its descriptive aspects. It includes the introspections about language expression factors and behavior expression factors. The second level, practical reflection level, focuses on the appropriateness of the instruction goals and the practical actions of the pre-service teachers during the process of executing the teaching rehearsal. This level includes the introspections about the language expression factors, parts of the behavior expression factors, and pedagogical factors, except the introspections about the whole process and class factors. The final level, critical reflection level, focuses on the criticism of the value inherent in their teaching rehearsal. This level includes the introspections about pedagogical factors and class factors. 본 연구는 국어과 예비교사가 수업시연 후 작성한 자기성찰 보고서의 내용을 정리·분석하고, 또 자기성찰 보고서에 작성해야 하는 내용 요소를 반성적수준으로 재분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선 C대학 국어교육과 3학년 45명이 작성한 자기성찰 보고서의 성찰 내용을 언어 표현 성찰 내용, 행동 표현 성찰 내용, 교수학적 성찰 내용, 수업 내용 성찰 내용, 수업 진행 성찰 내용, 수업자료 성찰 내용 등 6가지 유형으로 정리하였다. 이 6가지 유형의 자기성찰 보고서의 내용 요소를 반성적 수준에 따라 재분류하였다. 반성적 수준은 개인적반성 수준, 실천적 반성 수준, 비판적 반성 수준의 3단계로 구분하였다. 먼저 1 단계인 개인적 반성 수준은 국어 수업과의 직접적인 관련성보다는 예비교사자신이 가지고 있는 개인의 근원적인 문제점에 대한 관심을 기술적인 측면에서 집중하는 것으로, 이러한 반성적 수준에 포함되는 개인적 반성 수준의 내용 요소로는 언어 표현 성찰 내용 요소와 행동 표현 성찰 내용 요소가 해당된다. 그리고 2단계인 실천적 반성 수준은 예비교사가 수업시연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수업 목표와의 적정성과 그에 부합하는 예비교사의 실천적 행위에 대한 반성에 집중하는 것으로, 이러한 반성적 수준에 포함되는 실천적 반성 수준의 내용 요소로는 언어 표현 성찰 내용 요소와 행동 표현 성찰 내용 요소의 일부와 교수학적 성찰 내용 요소 중 전 과정의 성찰 내용을 제외한 것과수업 관련 성찰 내용 요소가 해당된다. 그리고 마지막 단계인 비판적 반성 수준은 예비교사가 수업시연을 실행한 이후에 그 속에 내재하는 가치에 대한 비판에 집중하는 것으로, 교수학적 성찰 수준의 내용 요소와 수업 관련 성찰 내용요소가 이에 해당된다.

      • KCI등재

        韓國 自撰碑誌의 변곡점과 그 배경-韓中 自撰碑誌의 상호조감을 겸하여-

        안득용 우리문학회 2022 우리文學硏究 Vol.- No.76

        To understand oneself and establish one's meaning, it is necessary to reflect on life and establish an identity by writing about oneself based on the results of such a reflection. Although the representative genre of self-writing is self-narrative, in East Asia, it has been created ceaselessly, since the beginning of the year for self-understanding, establishment of identity, and proof of unique self.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major inflection points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hile focusing on self-reflection, identity composition, and writing patterns, etc. As a result, first, in the case of self-reflection, it was possible to examine its original form in the self-written epitaph left by Kim, Hwon(金晅) in the late Goryeo Dynasty and Yi, Hwang(李滉) in the mid-Joseon Dynasty. However, the aspects of reflection and introspection are Implicit because both self-written epitaphs focused on the appended verse(銘). Conversely, the writings of Seo, Yu-gu(徐有榘) in the late Joseon Dynasty consisted of five points of waste, but did not fail to describe his identity in detail. Next, the case of realizing one's identity from a consistent standpoint does not first appear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the mid-Joseon Dynasty, Yi, Sik(李植) also interprets the events of his life chronologically and consistently builds his own image by using the model of the narrative. Additionally, regarding identity construction, it is worth considering the attempt by Nam, Gong-cheol(南公轍) in the late Joseon Dynasty to establish his own identity based on the evaluation of others. Finally, another aspect of Nam Gong-cheol's self-writing should be noted regarding writing. This is because a virtual dialogue is inserted in a self-written epitaph that emphasizes the record of facts, such as a historical narrative. Furthermore, the incident caused by Kim, Gwang-Soo(金光遂) appended to the back of the official self-written epitaph is a fictional narrative, which is valuable as an attempt to compensate for the disadvantaged reality by adding fiction to reality while emphasizing his identity by amplifying reality. As we have seen so far, if we focus on self-reflection, which is a perspective for constructing identity, and writing, which is the embodiment of the results, in the flow of self-written epitaph in Korea, they strive to reveal their meaning, prove themselves, and experiment. It can be seen that the works that described themselves appeared at each stage in harmony with the times. 자기를 이해하고 그 의미를 수립하려면 삶을 성찰하고, 성찰의 결과를 토대로 자기를 써봄으로써 정체성을 수립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자기 쓰기의 대표적 장르는 自己敍事인데, 동아시아의 경우 자기 이해와 정체성의 수립 및 고유한 자기 증명을 위해 先秦 이래로 간단없이 창작되었다. 본고는 그 하위 장르 중 가장 오랜 기간 지속적으로 쓰인 自撰碑誌를, 반성적 성찰, 정체성 구성, 글쓰기 양상 등에 초점을 맞추어 조감하면서 주요 변곡점과 그 주변의 환경을 살펴보는 일을 목표로 두었다. 그 결과, 우선, 반성적 성찰의 경우 고려 후기 金晅과 조선 중기의 李滉이 남긴 자찬비지에서 그 원형적 모습을 살펴볼 수 있었다. 다만 두 편의 자찬비지는 모두 銘에 집중했기 때문에 반성과 성찰의 양상이 암시적이었다. 이에 반해 조선 후기 徐有榘의 글은 다섯 가지 虛費라는 일관된 반성의 시점으로 구성하면서도 자기 정체성을 구체적으로 서술하는 일을 잊지 않았다. 다음으로, 그렇다고 자기 정체성을 일관된 시점으로 구현한 사례가 조선 후기에 처음 등장한 것은 아니다. 조선 중기의 李植 역시 자기 인생의 사건을 註釋的으로 해석하고 서사의 모델을 활용하여 自己像을 일관되게 구축한 바 있다. 아울러 정체성 구성의 측면에서 보면 조선 후기 南公轍이 타인의 평가로 자기의 정체성을 구축한 시도 역시 주의를 기울일 만하다. 마지막으로, 글쓰기의 차원에서 남공철의 또 다른 자기 쓰기 양상 역시 주목해야 한다. 역사 서술처럼 實錄을 중시하는 자찬비지에 가상의 대화를 삽입했기 때문이다. 이 외에도 金光遂가 공식 자찬비지의 뒤에 부록한 異蹟은 허구적 서사인데, 실재를 부연하여 자기 정체성을 부각함과 동시에 실재에 허구를 섞어 불우한 현실을 보상받으려 한 시도라는 가치를 지닌다. 지금까지 살펴본 대로 정체성을 구성하기 위한 시각인 반성과 성찰, 그 결과의 형상화인 글쓰기에 초점을 맞추어 보면, 한국의 자찬비지의 흐름 속에는 자기의 의미를 밝히기 위해 노력을 경주하고 자기를 증명하며 실험적으로 자기를 서술한 작품들이 시대와 호흡하며 역사의 단계마다 출현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반추적ㆍ반성적ㆍ경험적 자기초점화가 우울 기분에 미치는 영향

        이소연,신민섭,김은정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0 인지행동치료 Vol.10 No.1

        최근 기능적으로 다른 자기초점적 주의가 존재한다는 연구들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통합하여 다양한 자기초점화가 우울 기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95명의 대학생집단을 대상으로, BDI 점수에 근거하여 우울 성향집단과 비우울 성향집단을 선별하고, 반추적, 반성적, 경험적 자기초점화 조건에 무선할당하였다. 피험자들에게 우울 기분을 유도한 후, 자기초점화 조건에 따라 자신의 신체감각, 느낌, 정서 및 사고에 대해 두 차례의 글쓰기를 하게 하였다. 연구 결과, 1차 글쓰기와 2차 글쓰기 후에, 반성적 자기초점화 조건과 경험적 자기초점화 조건은 반추적 자기초점화 조건에 비해 우울 기분이 유의하게 더 감소하였다. 또한 반성적 자기초점화 조건은 경험적 자기초점화 조건에 비해 우울 기분이 유의한 수준으로 더 감소하였다. 이에 더해, 2차 글쓰기 후, 자기초점화 조건과 성격 변인인 반추 성향이 상호작용하여 우울 기분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했다. 즉 반추적 자기초점화 과정의 글쓰기를 할 경우, 반추성향이 높아질수록 우울 기분도 증가한 반면, 반성적 및 경험적 자기초점화된 글쓰기를 할 경우에는 반추 성향이 높아지더라도 우울 기분이 증가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함의와 제한점 및 향후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Recently, increasing studies suggests there are distinct varieties of self-focused attention, each with distinct functional properties. This study integrated these three distinct forms of self-focused attention and compared the effects of these on depressive mood. For this, 95 undergraduates were assigned into two groups, depressive group and non-depressive group. All participants were randomly allocated to 'ruminative', 'reflective', and 'experiential' self-focus manipulations. To test different effects of self-focused attention, subjects wrote their sensation, feelings, emotion and thought about sad events according to each processing condition. The experiment results indicated reflective and experiential self-focus showed in depressive mood more decreases compared to the ruminative self-focus. Furthermore, after second treatment, reflective self-focus was the most effective in decreasing depressive mood. Higher levels of trait disposition to ruminative self-focus were associated with relatively greatest decreases in depressive mood in reflective self-focus and experiential self-focus condition compared to ruminative self-focus condition.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with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y.

      • KCI등재후보

        유치원 교사의 문자언어 교수실천에 대한 자기 반성의 주제와 의미

        노영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5 유아교육학논집 Vol.9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themes of kindergarten teachers' self-reflection on literacy teaching practice and to discuss the meaning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57 kindergarten teachers who were study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a graduate school. Participant teachers' self-reflective journals were collected and analysed qualitatively. The study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kindergarten teachers reflected on phenomena that they confronted in practice. Second, kindergarten teachers reflected on their belief about literacy teaching practice. Third, kindergarten teachers reflected on their reflective teaching practice. 본 연구는 유아의 문자언어교육 실천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자기반성의 주제를 알아보고, 그 의미를 논의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자언어교육 실천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자기 반성적 저널을 수집하여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유치원 교사의 문자언어교육 실천에 관한 반성의 주제는 크게 현상에 대한 반성, 자기신념에 대한 반성, 전문성에 대한 반성으로 범주화 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교사들이 직면하는 현상들은 학부모의 글자교육 요구, 초등학교 1학년의 받아쓰기 시험, 유아교육 관리자의 철학과 관점, 학습지의 보편화, 주변 유아교육기관과의 경쟁 등의 하위 주제가 나타났다. 자기신념에 대한 반성은 교사 자신의 불확실한 신념, 이론적 신념과 실천의 불일치, 실천적 신념 등 이론과 실제에 대한 자기 성찰의 주제가 나타났다. 그리고 전문성에 대한 반성은 전문가로서의 자기 점검, 반성적 실천과 성장 등의 하위 주제가 나타났다. 연구자는 연구 결과에서 추출된 교사들의 자기반성의 주제들과 내용이 우리나라의 유아문자언어교수에 시사하는 의미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자기의식 문제와 지성적 직관 - 피히테의 『지식론의 새로운 서술 시도』(1997) 연구

        안윤기 한국동서철학회 2020 동서철학연구 Vol.0 No.95

        본 연구는 ‘인간의 자기의식’을 다루되, 그것의 주요 특징을 피히테의 초기 저작인 『지식론의 새로운 서술 시도』(1797)를 통해 살펴볼 것이다. 자기의식은 아주 오래전부터 그 가치와 중요성이 널리 인정되었고, 특히 근대에 와서는 우리가 가진 일체 지식을 설명할 철학의 원리로 손꼽혀서 데카르트, 라이프니츠, 칸트 등에 의해 중용되었지만, 정작 그것의 가능 조건을 논의해 보면 매우 심각한 내적 문제를 가진 주제였다. 이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적극적 해결책을 제시한 최초의 철학자는 피히테였다. 피히테는 만일 우리가 자기의식을 일종의 반성이라고 보고, 내가 나 자신과 주체와 객체 관계를 맺어 그 결과로 나 자신을 통찰하려 한다면, 우리는 ‘무한소급’ 같은 심각한 오류에 빠지고, 결국 자기의식을 설명하지도 못할 것이라고 보았다. 피히테가 보기에 자기의식을 적절히 설명하기 위해 반드시 충족해야 할 한 가지 조건은 ‘의식하는 자아와 의식되는 자아가 분리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자아가 의식의 주체와 객체의 두 항으로 분리되면, 의식 주체에 대한 확인을 위해 제2의 의식, 제3의 의식 등으로 무한소급해야 하며, 의식 주체와 객체가 동일하다는 것을 입증할 방법도 없이 그저 둘의 동일성을 주장해야만 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피히테는 자기의식에서 자아의 비분리와 직접적 내적 관계가 필수적임을 강조한다. 자아는 자기 정립이지만(존재), 그때 정립되는 나는 내가 정립한다는 사실을 이미 알고 있어야 한다(인식). 그리고 이런 비대상적이고 선반성적인 직접적 자기인식 관계를 표현할 적절한 용어로 피히테는 ‘지성적 직관’을 제안하였다. 우리가 행하는 모든 의식이 전제해야 하는 자기의식은 지성적 자기직관으로서, 사유 주체의 직접적 자기 친숙성, 곧 명증성을 의미했다. This paper deals with human self-consciousness, main characteristics of which will be examined through Fichte’s early work, Versuch einer neuen Darstellung der Wissenschaftslehre (1797). Self-consciousness has long been widely recognized for its value and importance, especially in modern times, when it was used by Descartes, Leibniz and Kant as the principle of philosophy to explain all our knowledge. But when we discuss the possible conditions of it, it is revealed as the subject with serious internal problems. It was Fichte, who first recognized the seriousness of its problems and tried to find a solution. He believes that if we take self-consciousness for a kind of reflection, and if we try to make a subject-object relationship with ourselves, we will fall into serious error. In Fichte’s view, one of the conditions that must be met in order to properly describe self-consciousness is that the thinking and the thought self must not be separated. If the self were divided into two terms, the subject of consciousness and the object, we would have to regress to the second consciousness in order to identify the subject of the first, and then to the third consciousness in order to identify the subject of the second, etc. (infinite regress) and we would just claim the identity of the thinking and the thought self, without proving they are really the same. To avoid these problems, Fichte emphasizes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I put myself, and I am simultaneously consious of myself as such. Fichte proposes ‘intellectual intuition’ as an appropriate term to express this sort of direct self-awareness. Self-consciousness presupposed by all our consciousness is an intellectual self-intuition, meaning the self-familiarity or evidence of the thinker.

      • KCI등재

        설화를 활용한 자기 성찰적 글쓰기 교육 연구 -한국어 중ㆍ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김혜진 ( Kim Hye-jin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1 고전문학과 교육 Vol.22 No.-

        이 논문은 한국어 중ㆍ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화를 통한 자기 성찰적 글쓰기 교육 방법을 구안하고 이에 따른 학습자의 자기 성찰적 글쓰기의 양상에 대해 살펴본 후, 이에 대한 교육적 의의에 대해 논하였다. 자기 성찰적 글쓰기(reflective writing)란 어떤 대상을 통해 자신의 참모습을 확인하고, 자신을 반성하며, 자신의 변화 가능성을 발견하면서 삶의 가치와 태도를 확립해 가는 글쓰기이다. 이때 성찰의 매개가 필요한데 본고에서는 이를 ‘설화’ 텍스트로 상정하여 다양한 인물의 성격과 가치관을 보여 주는 <바보 온달과 평강 공주>를 자기 성찰적 글쓰기의 텍스트로 활용하였다. 설화를 활용한 자기 성찰적 글쓰기의 교수ㆍ학습 단계는 텍스트인 설화 읽기, 형식이나 내용의 제약 없이 자유롭게 쓰는 1차 쓰기, 설화 속의 등장인물에 대한 공감 및 주제에 대해 생각해 보면서 쓰는 2차 쓰기, 교사의 피드백과 더불어 자신의 경험과 관련지어 좀 더 깊이 있는 성찰의 시간을 가져 보는 3차 쓰기의 네 단계로 설정하였다. 설화를 활용한 자기 성찰적 글쓰기를 통해 학습자들이 보인 양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설화 속에 제시된 가정적 상황을 통해 자기 자신에 대해 확인하는 모습을 보였다. 둘째, 설화 속의 모범적 인물을 통해 자기반성을 시도하였다. 셋째, 경험적 자아를 통해 가치 의식을 좀 더 강화하는 양상을 보였다. 설화를 활용한 자기 성찰적 글쓰기의 의의는 쓰기 능력은 물론 한국어 학습자의 자기 탐색 및 정체성 확립에 기여할 수 있다는 데 있다. This study formulates teaching methods of self-reflective writing through folktales for intermediate and advanced Korean language learners, examines various aspects of learners' self-reflective writings and discusses its educational significance. Self-reflective writing is a type of writing for establishing values and attitudes in life through identifying one's true image through a certain object, performing self-examination and discovering one's potential for self-modifications. There must exist an medium for introspection in this process. This study brings in folktales as the medium and chooses and uses < Ondal the Fool and Princess Pyeongkang > as the main text for self-reflective writing to show personalities and values of various individuals. Teaching and learning stages for self-reflective writing through folktales consists of four steps which are reading the text of folktales, first free-writing without any restrictions of form or content, second writing of sympathy of a character from the folktale and thoughts on the theme and third writing of deeper self-examination involving instructor's feedback and experience of oneself. The following are the aspects shown by the learners on self-reflective writing through folktales. First, the students identified one's image through assumptions shown in the folktale. Second, the students attempted self-examination through an exemplary character in the folktale. Third, the students enriched value consciousness through self-experience. The significance of self-reflective writing through folktales is that it contributes to not only the writing ability but also to self-examination and establishment of identity of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 KCI등재

        쓰기에서 자기평가 교육 내용 연구

        양경희 ( Yang Kyounghee ) 한국작문학회 2021 작문연구 Vol.- No.48

        이 연구의 목적은 자기평가의 교육적 가치를 바탕으로 쓰기를 위한 자기평가 교육 내용을 마련하고 쓰기 교육에서 자기평가 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쓰기에서의 자기평가를 ‘학습자가 쓰기 전(全) 과정에서 쓰기 수행을 진단하고 문제를 파악하여 쓰기 수행의 긍정적 변화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수집한 후 이를 피드백을 위한 정보로 정련하는 일련의 성찰적 행위’로 규정하고 자기평가의 과정을 준거의 적용, 반성적 성찰, 결과의 정보화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자기평가 이해하기’, ‘자기평가하기’라는 교육 단계와 지식(아는 것)과 기능(하는 것)을 범주로 하는 교육 내용 체계를 마련하고 교육 내용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쓰기에서 학습자의 자기평가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줌과 동시에 구체적인 교육의 방향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추후 교육 내용의 정밀화, 실제 수업 상황에 자기평가 교육을 녹이는 방안 모색, 자기평가에 작용하는 조정 기제 탐색이라는 남은 과제를 지속적으로 해결해야 할 것이다. Based on the educational value of self-assessment, this study aimed to prepare educational contents for such a self-assessment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implementing related training in writing education. To this end, self-assessment in writing was defined as a series of reflective actions in which learners examine their writing performance throughout the process of writing, identify problems, collect necessary information for positive change in writing performance, and convert it into information. The process of self-assessment was present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criteria, reflection, and informationization of assessment results. In addition, a training program on self-assessment was prepared and the contents of this education were present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hows the possibility of improving the self-assessment ability of learners and simultaneously identifies a specific direction for related training. In future,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refine the educational content, identify ways to implement self-assessment and related education in the actual classroom, and establish a coordination mechanism that facilitates self-assessment.

      • 반성적 기독영어교사양성 프로그램 연구

        김영숙 總神大學校 2020 總神大論叢 Vol.40 No.-

        최근의 교사교육 프로그램은 기존의 지식전수 중심의 교사교육 모델이 아니라 교사들이 스스로 자기성찰과 탐구, 그리고 교사동료들 간에 서로 경험이나 지식 공유를 통해 꾸준히 교수기술을 향상시키는 자기주도적 반성적 교사교육 모델을 지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미래사회 교육환경 변화에 대비한 교사교육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에 부응하고 기독영어교사들을 교육수행에 대한 반성적 전문가(reflective practioner)로 계발시키기 위해 반성적 기독영어교사양성 프로그램을 제안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반성적 교사교육에 대한 이론적 검토와 기독영어교사양성 프로그램의 특징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기독영어교사들이 자신의 교수활동을 스스로 성찰하면서 자기주도적 교사학습을 통해 교육환경 변화에 대응하고 더 나아가 교육공동체 변화의 주체로 교사의 사명을 감당하기 위한 프로그램 체계를 제안하였다. 이 프로그램에서는 특히 예비영어교사들이 교사로서의 자질을 갖추고 미래 전문적인 교원의 자질을 꾸준히 계발시켜나갈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자가평가(self-assessment)를 도입하여 예비영어교사 개별 포트폴리오 활용을 제안하였다. 또한 예비영어교사 학습공동체(pre-service English teacher learning community) 운영을 통해 기독영어교사들이 교사소명감에 기반하여 공동체적인 비전을 함께 공유하고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해 협력함으로써 교사역량을 키워나갈 수 있도록 운영방안을 모색하였다. 교사양성과정에서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의 운영은 현장학교나 지역사회 교육기관과의 파트너십이나 협력이 없이는 그 적용에서 제한점이 있을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독영어교사들을 미래 교사 리더로 세우기 위해서는 이러한 자기주도적 학생중심의 협업 구조의 문화가 교사양성과정에서부터 조성되어 교사성장과 전문성계발의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여겨진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반성적 기독영어교사교육 프로그램은 예비영어교사들로 하여금 미래 교육환경에 대응하고 지역사회 영어학습의 필요와 요구에 부응하는 영어교육 전문가 양성의 큰 틀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