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가 골-슬개건-골과 동종 아킬레스 건을 이용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임상결과 비교

        최호림(Ho-Rim Choi),최상욱(Sang-Wook Choi),권세원(Sai-Won Kwon),박종석(Jong-Seok Park),이병일(Byung-Ill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3 No.5

        목적: 전방 십자 인대 손상에 대한 자가 골-슬개건-골과 신선 동결 동종 아킬레스 건을 이용한 관절경적 재건술의 임상 결과를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3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동종 아킬레스 건과 자가 골-슬개건-골을 이용하여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 받은 6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가 골-슬개건-골 군은 29예, 동종 아킬레스 건군은 32예였다. 수술 시 환자의 평균 나이는 자가 골-슬개건 골 군 30.4세, 동종 아킬레스 건 군 32.5세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자가 골-슬개건-골 군 18.2개월, 동종 아킬레스 건 군 25.7개월이었다. 수술 전과 최종 추시 시점에서 이학적 검사와, KT-2000 관절측정기, 전방 전위 스트레스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양 군을 비교하였고, IKDC 평가와 Lysholm 점수를 시행하였다. 결과: 수술 전과 최종 추시에서 KT-2000 관절측정기로 평가한 환측과 건측의 전방 전위 정도 차이는 자가골-슬개건-골 군은 평균 6.4 ㎜±3.0에서 3.2 ㎜±1.9로, 동종 아킬레스 건 군은 7.6 ㎜±3.1에서 2.9㎜±2.0로, 두 군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p<0.001), 향상 정도는 동종 아킬레스 건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45). 전방 전위 스트레스 방사선 사진에서는 자가 골-슬개건-골 군이 평균 5.3㎜±2.5에서 2.0 ㎜±2.1로, 동종 아킬레스 건 군은 평균 6.0㎜±3.4에서 2.2 ㎜±2.1로, 두 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호전되었으며(p<0.001), 두 군 간 차이는 없었다. 최종 추시 IKDC 평가에서 자가 골-슬개건-골 군은 26예(89.7%)가 정상 또는 거의 정상이었으며, 동종 아킬레스 건 군은 28예(87.5%)가 정상 또는 거의 정상을 보였다. Lysholm 슬관절 점수는 자가 골-슬개건-골 군은 69.9점에서 90.2점으로, 동종 아킬레스 건 군은 64.4점 에서 91.4점으로 향상되었다(p<0.001). 결론: 전방십자인대 재건수술에서 자가 골-슬개건-골과 동종아킬레스건 모두 이식물에 따른 양군간 임상적 차이 없이 양호한 결과를 얻어, 자가 골 슬개건-골과 동종 아킬레스 건 모두 전방십자인대 재건을 위한 적절한 이식물로 고려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compare clinical outcomes after arthroscopic ACL reconstruction using bone-patellar tendon-bone autograft and using fresh-frozen Achilles tendon allograft. Materials and Methods: We enrolled 61 patients who underwent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by means of bone-patellar tendon-bone autograft or Achilles tendon allograft between March, 2002 and December, 2006. The bone-patellar tendon-bone group included 29 patients (mean age 30.4 years), and the Achilles tendon allograft group included 32 patients (mean age 32.5 years). The mean follow-up was 18.2 months and 25.7 months in each group, respectively. Preoperative and last follow-up clinical results were evaluated through physical examination, KT-2000 arthrometer, stress roentgenogram, IKDC knee rating system, and Lysholm knee score. Results: The mean side-to-side difference in anterior translation, as measured by KT-2000 arthrometer, was significantly improved from 6.4 ㎜±3.0 to 3.2 ㎜±1.9 in the bone-patellar tendon-bone group, and from 7.6 ㎜±3.1 to 2.9 ㎜±2.0 in the Achilles tendon allograft group (p < 0.001). The Achilles tendon allograft group improved more significantly than did the bone-patellar tendon-bone group (p=0.045). The mean side-to-side difference on stress roentgenogram was significantly improved from 5.3 ㎜±2.5 to 2.0 ㎜±2.1 in the bone-patellar tendon-bone group, and from 6.0 ㎜±3.4 to 2.2 ㎜±2.1 in the Achilles tendon allograft group (p < 0.00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According to the IKDC knee rating system at last follow-up, 26 (89.7%) patients in the bone-patellar tendon-bone group and 28 (87.5%) patients in the Achilles allograft group were normal or nearly normal. The mean Lysholm knee score significantly improved from 69.9 to 90.2 in the bone-patellar tendon-bone group, and from 64.4 to 91.4 in the Achilles tendon allograft group (p < 0.001). Conclusion: Both bone-patellar tendon-bone and Achilles tendon allograft groups showed satisfactory clinical results,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utcomes between the groups. We suggest that both bone-patellar tendon-bone autograft and Achilles tendon allograft be considered as graft substitutes for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 자가 및 동종 골-슬개건-골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중기 추시 결과의 비교-

        조성도,조수현,우종근,유창현,박문수,류석우,Cho, Sung-Do,Cho, Su-Hyun,Woo, Jong-Ken,Yoo, Chang-Hyun,Park, Moon-Su,Lew, Sog-U 대한관절경학회 2004 대한관절경학회지 Vol.8 No.1

        목적: 자가 및 신선 동결 동종 골-슬개건-골을 이용하여 관절경적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한 후 추시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3년 이상 추시 관찰하였던 자가 골-슬개건-골 시행군 59례와 신선 동결 동종 골-슬개건-골 시행군 42례를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고 결과의 평가는 주관적으로 Lysholm 점수, 2000 IKDC 슬관절 점수 및 Shelbourne의 100점 슬개골 동통 점수를 이용하고 객관적으로 Lachman검사, pivot shift검사, KT-1000을 이용한 최대 전방 전위차 및 2000 IKDC 슬관절 검사를 이용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점에서 자가 골-슬개건-골과 신선 동결 동종 골-슬개건-골 시행군의 비교로 Lysholm점수는 양호 이상이 각각 54례 (91%), 36례 (85.7%) (P<0.05), 2000 IKDC주관적 슬관절 점수가 70점 이상이 각각 52례(88.1%), 36례 (85.7%)(P<0.05), 슬개 대퇴 관절의 동통이 Shelbourne의 100점 동통 점수 기준으로 80점 미만이 각각 5례 (8.5%) 2례 (4.8%)이었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P < 0.05). Lachman검사는 1+이하의 전방 전위를 보인 경우가 각각 56례 (94.9%), 39례 (92.9%), pivot shift 검사는 음성의 경우가 각각 54례(91.5%), 36례 (85.7%), KT-1000검사상 최대 전방 전위차가 5 mm이하의 경우가 각각 55례 (93.2%). 39례(92.9%)로 모두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2000 IKDC 슬관절 검사상 유사 정상 이상은 각각 54례 (91.5%), 38례 (90.4%)이었다(P<0.05).결론·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중기 추시 결과 자가 골-슬개건-골과 함께 동종 골-슬개건-골도 이식물의 선택에서 적절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측 부분층 파열의 한 원인으로 생각할 수 있겠다.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pm}$1.5 mm였고, 5.5${\pm}$1.7 mm, 1.9${\pm}$0.9 mm, 5.1${\pm}$1 9 mm, 5.7${\pm}$1.6 mm였으며, 검사자1의 전방 전위 좌우 차는 근육 이완 상태에서 0.9${\pm}$1.0 mm였다. 전방 십자 인대 손상으로 수술을 받은 환자의 전방 전위는 평균 11${\pm}$2.93 mm쳐고, 건측과의 차이는 평균 6.5${\pm}$2.31 mm였다 좌우 슬관절의 비교에서 검사자 1과 2는 30${\pm}$굴곡, 근육 이완시 통계학적으로 좌우차는 있었으나 각각 25례(83%), 21례(70%)에서 좌우 차이가 2mm미만이었고 3 mm이상은 모두 1예에 불과하였으며 근육 이완시 정상인과 전방 십자 인대 파열 환자의 전방 전위 좌우차는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0.05) 결론: KT-2000 Knee Ligament Arthrometed의 결과에 영향을 주는 인자는 슬관절 주변 근육의 이완, 슬관절의 굴곡 각도, 경골의 회전. 전위력의 강도, 적용시점, 그리고 키, 체중등의 신체적 요인 등이 있으나 능숙한 기계사용과 정확한 슬관절 위치에서 검사할 때 전방 십자 인대 파열에 대한 진단에 유용한 기구이다.태라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근거를 바탕으로 개방형 문제의 유형을 다양한 답이 존재하는 문제, 다양한 해결 전략이 가능한 문제, 답이 없는 문제, 문제 만들기, 일반화가 가능한 문제 등으로 보고, 수학적 창의성 중 특히 확산적 사고에 초점을 맞추어 개방형 문제가 확산적 사고의 요소인 유창성, 독창성, 유연성 등에 각각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20주의 프로그램을 Purpose: To compare the mid-term follow-up results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ACL) reconstruction with the bone-patellar tendon- bone(BTB) autograft to those with the BTB allograft. Materials and Methods: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in 59 cases with BTB autograft and 42 cases with BTB allograft. Evaluations include Lysholm score, 2000 IKDC subjective knee score, Shelbourne patello-femoral pain score , Lachman test, pivot shift test, KT-1000 arthrometer test and 2000 IKDC knee examination.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statistic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Lysholm score and 2000 IKDC subjective knee score of more than 70 (p<0.05). Five cases(8.5%) showed the patello-femoral pain score less than 80 according to Shelboume with autograft group and two cases(4.8%) with allograft group (p<0.05). Lachman test, pivot shift test and KT-1000 arthrometer test showed no significant statistic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P<0.05). Fifty-four cases(91.5%) were normal or nearly normal according to the 2000 IKDC knee examination with autograft group and thirty-eight cases(90.4%) with allograft group(p<0.05).Conclusion: BTB allograft as well as BTB autograft is considered to be an acceptable choice for ACL reconstruction.

      • 자가 슬개건과 동종 슬개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비교

        전철홍,김영진,양재현,Chun, Churl-Hong,Kim, Young-Jin,Yang, Jae-Hyun 대한관절경학회 2000 대한관절경학회지 Vol.4 No.1

        목적 : 자가 골-슬개건-골 이식건과 동종 골-슬개건-골 이식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의 효능을 주관적 및 객관적 기준을 이용하여 비교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3년 3월부터 1996년 6월까지 18례의 자가 골-슬개건-골 이식건과 24례의 동종 골-슬개건-골 이식건을 이용하여 한 명의 술자가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하고, 술 후 2년 이상 추시 되어진 두 그룹에서 증상, 이학적 검사 및 Telos stress arthrometer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 Modified Feagin Scoring System을 이용한 2년 이상 추시 만족도는 자가 건 이식 그룹과 동종건 이식 그룹이 각각 $88.9\%$와 $87.5\%$를 보였으며, Tegner activity score, 추시상 장력 검사, 관절 운동 범위, 대퇴 사두근부의 둘레 비교 등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슬개-대퇴부 동통, 탄발음 및 이완 등의 슬개 대퇴부의 문제는 동종건 이식 그룹$(8.3\%)$보다 자가 건 이식 그룹$(33.3\%)$에서 더 많이 발생되어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p<0.05). 결론 : 동종 골-슬개건-골 이식건을 이용시에 슬개-대퇴부 동통 및 탄발음 등이 현저하게 적은 빈도를 보였으므로, 자가 이식건의 대용으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icacy of bone-patellar tendon-bone(B-PTB) allograft with autograft B-PTB reconstruction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ACL) according to the subjective and objective criteria. Materials and Methods : 42 patients were treated for acute rupture or chronic insufficiency of the ACL between March 1993 and June 1996. There were 18 autografts and 24 allografts for ACL reconstruction. At 2 years of follow-up after operation, autograft and allograft groups were compared based on subjective, objective criteria and Telos stress arthrometer. Results : The modified Feagin Scoring System revealed 16 patients$(88.9\%)$ with a satisfactory result by autografts, but 21 patients$(87.5\%)$ with a satisfactory result by allografts after 2-years follow-lip.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ACL reconstruction with B-PTB allograft did not produce a significant functional deficit. But patellofemoral pain and crepitus were more frequent in the autografts$(33.3\%)$ than allografts$(8.3\%)$ (p<0.05). Conclusion : The ACL deficient knees treated with allografts for ACL reconstruction tended to be better than those reconstructed with autografts fur the reduction of patellofemoral crepitus and pain. B-PTB allograft provides an acceptable alternative to autograft tissue for reconstruction of the ACL.

      • 자가 슬개건과 자가 슬괵건을 이용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비교

        최성욱,오인석,김려섭,김명구,배주한,박해봉,Choi, Sung-Wook,Oh, In-Suk,Kim, Ryuh-Sup,Kim, Myung-Ku,Bae, Joo-Han,Park, Hae-Bong 대한관절경학회 2008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2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results of the arthroscopic reconstruction of ACL using autologous hamstring tendon and autologous bone-patellar tendon-bone.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04, 120 patients underwent arthroscopic ACL reconstruction using autologous hamstring tendon(60 cases) and autologous bone-patellar tendon-bone(BPTB)(60 cases). The mean followed up period of hamstring tendon group was 42 months(range $24{\sim}69$ months) and patellar tendon group was 52 months(range $24{\sim}84$ months). At the time of the final follow up, sixty patients in each group were evaluated the results of physical examination, activity level, patients' satisfaction, functional status, and objective anteriror stability using KT-2000 arthrometer. Results: At the time of the final follow up we compared the two groups who had ACL reconstruction using either autologous hamstring tendon or BPTB, and the final results of the Lachman test showed negative, or mildly positive in 85%(51 cases) of the hamstring tendon group and 90%(54 cases) of the BPTB group. Pivot shift test indicated positive in both groups, 8%(5 cases) and 5%(3 cases) respectively and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evaluation of the anterior laxity using the KT-2000 arthrometer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hamstring and BPTB groups: differences less than 3 mm compared to the healthy side were 85%(51 cases) and 90%(54 cases)(p>0.05). The Lysholm score improved from a preoperative score of 51 to a postoperative score of 79.1 in the hamstring groups and from 52 to 82.2 in the BPTB groups. According to the IKDC rating system, 87%(52 cases) were normal or near normal in the hamstring group. In the BPTB group, 83%(50 cases) were normal or near normal. The Tegner score for the hamstring groups was 4.8 preoperatively and 7.1 at the final follow up, and the Tegner score for the BPTB groups was 4.5 preoperatively and 7.3 after the last follow-up. The anterior knee pain was found in 7%(4 cases) in the hamstring tendon group and 10%(6 cases) in the patellar tendon group. Conclusion: Arthroscopic ACL reconstruction using both the autologous hamstring tendon and the patellar tendon during their mid term follow up period demonstrated excellent results. However, the final results during their last follow up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목적: 자가 슬괵건과 자가 슬개건을 이용한 관절경적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자가 슬괵건과 자가 슬개건을 이용하여 전방 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한 각각 60명의 환자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추시기간은 슬건 군은 평균 42개월(범위$24{\sim}69$개월)이였으며 슬개건 군은 평균 51개월(범위 $24{\sim}84$개월)이었다. 술 전과 최종 추시에 이학적 검사로 수술 전 후 관절운동범위를 측정하였으며, Lachman 검사 및 pivot shift 검사를 실시하였다. 환자의 활동도와 만족도, 기능적 상태는 전방 슬관절 통증 여부, Lysholm 점수, IKDC 활동도 등급, Tegner 활동도 점수를 조사하였으며 KT-2000 arthrometer를 이용하여 전방 안정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점에서 자가 슬괵건과 슬개건을 이용하여 관절경적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한 군들 간의 비교에서, Lachman 검사는 음성 또는 경도의 양성이 각각 51예(85%)와 54예(90%)였으며, Pivot shift 검사에서는 각각 5예(8%)와 3예(5%)에서 양성으로 양군 모두 차이가 없었다.(p>0.05) 최종 추시시 KT-2000 검사에서 건측과 비교한 최대 도수 전방 전위차는 3 mm미만이 각각 51예(85%), 54예(90%)였다. Lysholm 점수는 슬괵건군은 평균 51.0점에서 평균 79.1점으로, 슬개건 군은 평균 52점에서 평균 82.2점으로 호전되었으며, IKDC 활동도 등급은 술후 각각 52예(87%)와 50예(83%)에서 정상 또는 거의 정상 소견을 보였다. Tegner 활동도 검사도 슬괵건 군에서 평균 4.8점에서 평균 7.1점으로, 슬개건 군은 평균 4.5점에서 평균 7.3점으로 호전되었다. 또한 전방 슬관절 동통은 슬괵건군 4예(7%), 슬개건군 6예(10%)에서 관찰되었다. 결론: 자가 슬괵건 또는 자가 슬개건을 이용한 관절경적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후 추시 결과, 두 군 모두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나 두 군 간에 최종 추시시의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자가 골-슬개건-골을 이용한 관절경적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수술 중 및 수술 후 합병증

        김경태,이송,정순영,김현수,박준성,Kim, Kyung-Tae,Lee, Song,Jeong, Soon-Young,Kim, Hyun-Soo,Park, Jun-Seong 대한관절경학회 2002 대한관절경학회지 Vol.6 No.1

        목적 : 자가 골-슬개건-골을 이용한 관절경적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시 발생하는 수술 중 및 수술 후 합병증을 비교 분석하여 그 발생 빈도와 원인 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자가 골-슬개건-골을 이용하여 관절경적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하고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85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중 발생한 합병증은 발견 즉시 기록 후 교정하고자 하였으며 수술 후 합병증은 최종 추시 기간에 따라 수술 후 1년에서 2년 사이(I군), 2년에서 3년 사이(II군), 3년 이상(III군)의 3군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수술 중 발생한 합병증은 슬개골 골절 1예, 채취한 이식건의 오염 1예, 이식건의 충돌 2예, 대퇴터널 후방 피질골 골절 1예, 간섭나사의 관절강내 후퇴가 1예였다. 수술 후 최종 추시 시 남아있던 합병증을 추시 기간에 따라 비교 분석한 결과, 슬개골 주위 합병증 중 슬관절 전방부 동통, 이식건 공여부 동통 및 슬개골 주위 탄발음은 I군과 II군, I군과 III군간의 비교에서는 각각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나, II군과 III군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관절운동 제한과 피부 절개부위의 감각이상은 3군간에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자가 골-슬개건-골을 이용한 전방 십자인대 재건술 시 발생한 수술 중 합병증은 수술 수기의 부정확 및 수술 팀의 부주의 등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수술 수기의 향상과 경험의 누적 등으로 예방이 가능한 것으로 생각되며 수술 후 발생한 슬개 대퇴관절 주위의 합병증은 어느 정도 불가피한 면이 있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점차 호전되는 양상도 보이는 바 이식건의 선택 시 참고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Evaluation and analysis of the incidence and causes of intraoperative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fter arthoscopic anterior cruciate ligament(ACL) reconstruction using bone-patella. tendon-bone (BPTB) auto graft. Materials and Methods : We reviewed 85 cases of arthroscopic ACL reconstruction using BPTB autograft which had been followed up for more than 1 year. Intraoperative complications had been recorded and corrected during the operation.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analyzed and compared between 3 groups which were classified by the last follow-up period after the operation. Results : There were a few intraoperative complications including patellar fracture(1 case), contamination of harvested graft(1 case), impingement of graft(2 cases), blow-out of tile posterior wall of the femoral tunnel(1 case) and intraarticular retraction of the screw(1 case).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mong the groups shows that the incidence of anterior knee pain, donor site pain and patellofemoral crepitation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2 year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ecrease in these complications after 3 years. Conclusion : Intraoperative complications after arthroscopic ACL reconstruction using BPTB autograft were due to incorrect technique and carelessness of the operation team, and can be prevented by improvement of surgical technique and accumulation of experience. Postoperative complication were somewhat unavoidable but gradually improved with time; hence, we should consider it for the selection of graft donor.

      • 자가 골-슬개건-골을 이용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경희수,Kyung, Hee-Soo 대한관절경학회 2010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4 No.2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시 자가건 선택에 대해서는 많은 논쟁의 소지가 존재하며 많은 보고들이 나오고 있으나, 현 시점에서 이식건으로써 자가 골-슬개건-골이 표준(gold standard)라는 주장은 이제 변화하고 있으며, 골-건 고정방법의 개선에 따른 조기 슬관절 안정성의 호전으로 자가 슬괵건의 사용이 점점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자가 골-슬개건-골은 이식건으로써 강한 물성, 튼튼한 고정, 장기 추시에서 높은 성공률 등으로 젊고, 강한 활동을 요하는 운동선수에서 종종 선택되고 있으며 조기에 강한 활동으로의 운동 복귀를 할 수 있다. 그러나 슬관절 전방 통증, 무릎을 꿇을 때의 통증, 슬개골골절, 슬개-대퇴 관절의 염발음 및 대퇴사두근력의 감소 등 이식물 채취로 인한 공여부 이환이 문제가 되었다. 그래서 자가 골-슬개건-골의 이식건으로서의 문제점 및 문헌상 고찰을 하여 논하고자 한다.

      • 자가 또는 동종 이식물을 이용한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 후의 결과

        전재균,김의순,최보열,윤창훈,이정웅,선두훈,문명상,Chon Je-Gyun,Kim Eui-Soon,Choi Bo-Yeul,Yoon Chang-Hoon,Lee Jeong-Woung,Sun Doo-Hoon,Moon Myung-Sang 대한관절경학회 2001 대한관절경학회지 Vol.5 No.2

        목 적 : 후방 십자 인대 손상의 치료로서 관절경적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하여 임상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추시상 후방 불안정의 재발 여부와 자가 골-슬개건-골을 이용하여 재건한 경우 및 동종 이식물을 이용한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4년 1월부터 1999년 5월까지 본원에서 수술 치료한 총 34례의 후방 십자 인대 손상의 환자 중에서 전외측 다발만을 관절경적으로 재건술을 시행하고 12개월 이상 최종 추시가 가능했던 25례 중 자가 반건양건을 이용한 1례를 제외한 24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24례 중 자가 골-슬개건-골을 이용하여 재건한 경우를 제 I군(11례), 동종 아킬레스 건을 이용하여 재건한 경우를 제 II군(7례), 동종 골-슬개건-골을 이용하여 재건한 경우를 제 III군(6례)으로 하였다. 평가 방법은 24례 모두를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IKDC) knee ligament standard evaluation form, Lysholm knee scoring scale을 이용하여 세 집단을 비교하였으며 전 후방 안정도의 측정을 위해서 $KT-2000^{TM}$ knee ligament arthrometer MED metric, USA(KT-2000)를 사용하였다. Kruskal-Wallis test와 Mann-Whitney U(Wilcoxon Rank Sum) 검정법을 이용하여 세 집단을 비교 통계 분석하였다. 결과 : IKDC 최종 평가상 B(거의 정상)이상은 전체 24례 중 11례$(46\%)$로 만족스러운 결과는 아니었고, KT-2000으로 측정시 양측 비교하여 6mm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는 제 I군 4례$(36\%)$, 제 II군 2례$(29\%)$, 제 III군 2례$(33\%)$에서 후방 불안정성을 보였다. Lysholm knee scoring scale을 이용한 평가 결과는 제 I군이 평균 78점 (fair), 제 II군이 75점(fair), 제 III군이 76점(fair)이었다. 재료에 따른 각 군간의 객관적, 주관적 결과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 : 후방 십자 인대 손상시 불안정의 정도가 심하지 않은 단독 손상을 제외하고는 관절경적 재건술이 보편화 되는 추세이나, 보다 정확한 수술 술기와 동반 손상에 대한 치밀한 치료 계획이 요구되며, 새로운 시도와 그에 따른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linical results after arthroscopic PCL reconstruction and to compare the clinical results after arthroscopic PCL reconstruction using BPTB(bone patellar tendon bone) autograft(Group I : 11 cases), Achilles tendon allograft(Group II : 7 cases) and BPTB allograft(Group 111.6 cases). Materials and Methods : We reviewed the result of 24 patients who had been managed with arthroscopic reconstruction using different graft materials such as BPTB autograft, Achilles tendon allograft and BPTB allograft. Twenty-four patients(average age, 37 years) with PCL rupture were retrospectively evaluated more than one year(average, 31 months) after having arthroscopic pos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The clinical results were evaluated by IKDC ligament standard evaluation form, using $KT-2000^{TM}$ knee ligament arthrometer and also evaluated Lysholm knee scoring scale. Results : The final evaluation was nearly normal in 11 patients($45\%$ in Group I, $43\%$ in Group II, $50\%$ in Group III). The corrected posterior sagging was abnormal(side to side difference more than 6mm) in 8 patients($36\%$ in Group I, $29\%$ in Group II, $33\%$ in Group III). We could not find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ree groups by IKDC scale. Conclusion : Comparing with other reports, our overall results were not satisfactory. And also, we could not find any remarkable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Further research is necessary to evaluate new surgical approaches as well as improved techniques for capsular and collateral ligament injuries.

      • KCI등재

        자가 슬건과 슬개건을 이용한 관절경적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단기 추시 결과 비교

        서재성(Jae Sung Seo),이동철(Dong Chul Lee),손욱진(Oog Jin Shon),장우혁(Woo Hyuk Jang),김세동(Se Dong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1

        목적: 자가 슬건과 슬개건을 이용한 관절경적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술후 결과를 임상적, 방사선적으로 분석하여 비교하여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9월부터 2003년 1월까지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받은 환자들 중 추시기간이 18개월 이상인 자가 슬건 군 22예와 자가 슬개건 군 3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임상적 평가는 IKDC 평가법, Lysholm 점수, Tegner 점수를 이용하였으며 방사선적 평가는 Telos기기를 이용하여 90도 굴곡위에서 전방 전위도를 정상측과 비교하였고 무릎을 꿇은 상태에서 나타나는 전방 슬부 동통의 빈도, 대퇴 사두근의 위축 정도 등을 비교하였다. 결과: IKDC 평가법에 의하면 슬건 군은 A등급 2예, B등급 14예, C등급 6예였고 슬개건 군은 A등급 3예, B등급 20예, C등급 7예로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Lysholm 점수는 슬건 군이 술 전 평균 58.2점에서 최종 추시상 평균 88점으로, 슬개건 군은 평균 56.3점에서 평균 90.6점으로 호전되었고, Tegner 점수는 슬건 군이 술 전 평균 2.4점에서 최종 추시상 평균 5.8점으로, 슬개건 군은 평균 2.3점에서 평균 6.2점으로 활동도가 증가되었으나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Telos기기를 이용한 최종 추시 전방 전위도는 슬건 군이 정상측과 평균 2.6 ㎜의 차이를 보였고 슬개건 군이 평균 2.3 ㎜의 차이를 보여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무릎을 꿇은 상태에서 나타나는 전방 슬부 동통은 슬건 군이 2예(13%), 슬개건 군이 11예(37%)로 통계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결론: 슬건을 이용한 관절경적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은 무릎을 꿇은 상태에서 나타나는 전방 슬부 동통의 빈도를 낮출 수 있으며 슬개건과 비슷한 정도의 만족할 만한 인대 안정성 및 임상적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Purpose: To evaluate the stability, activity level and clinical results of an autologous hamstring and Bone-patellar tendon-bone (BPTB) graft in an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reconstruction.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September 1997 and January 2003, 22 patients with an ACL reconstruction with an autologous four strand hamstring tendon, and 30 patients with a BPTB autograft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t the time of the final follow-up, the patients were evaluated by stress radiographs using a Telos instrument, the Lysholm score, Tegner activity score, IKDC activity grades, and anterior kneeling pain. Results: An evaluation of the anterior laxity using the Telos instrument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hamstring and BPTB groups: side to side difference 2.6 ㎜ in the hamstring group vs 2.3 ㎜ in the BPTB groups (p>0.05). The Lysholm score improved from a preoperative score of 58 to a postoperative score of 88 in the hamstring groups and from 56 to 91 in the BPTB groups. The Tegner score for the hamstring groups was 2.4 preoperatively and 5.8 at the final follow up, and the Tegner score for the BPTB groups were 2.3 and 6.2 preoperatively and after the last follow-up, respectively. The Tegner score was similar in the two treatment groups (p>0.05). According to the IKDC rating system, 9% were normal and 64% were almost normal in the hamstring group. In the BPTB group, 10% were normal and 67% were almost normal. Anterior kneeling pain after a reconstruction with the hamstring tendon autograft (13%) was significantly less common than with the patellar tendon autograft (37%)(p<0.05). Conclusion: The hamstring autograft for an ACL reconstruction decreased the incidence of anterior kneeling pain and produced equivalent clinical results to the BPTB autograft.

      • 자가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후 이차 관절경 검사

        방진수,유문집,김명호,방승철,김유진,박희곤,Fang, Zhen-Zhu,Yoo, Moon-Jib,Kim, Myung-Ho,Bahng, Seung-Chu,Kim, You-Jin,Park, Hee-Gon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07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6 No.1

        목적: 자가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후 이차 관절경 검사 소견으로 이식건의 상태를 평가하고 이식건 주위의 변화를 관찰하여 의미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6월부터 2007년 2월까지 자가건을 이용한 관절경적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이차 관절경 검사를 시행한 22예를 대상으로 평균 15.1$(7\sim31)$개월에 이차 관절경 검사를 시행하였다. 슬괵건 15예, 슬개건 7예였다. 이식건의 긴장도는 탐침 시 이동 거리로 측정하였고, 활액막 형성 정도는 관절경 소견을 시각 등급으로 나눴으며 재건술 전과 이차 관절경 검사 시에 Lysholm 점수, Lachmann 검사, KT-2000 계측 차이로 이식건 상태를 확인 하였다. 결과: 이식건의 긴장도는 슬괵건 군이 정상 11예 느슨함 4예였고, 슬개건 군이 정상 3예, 느슨함 2예, 부분 파열 2예였다. 활액막 형성 정도는 슬괵건 군이 good 11예, half 3예, pale 1예였으며 슬개건 군이 good 4예, half 3예였다. Lysholm 점수는 수술 전에 비하여 자가 슬개건에서 더 의미있게 상승하였고(p<0.05), KT-2000 계측 결과는 두 군간의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결론: 자가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후 이차 관절경 검사에 의한 결과는 슬괵건 군이 슬개건 군보다 우수하였으나 장기적인 추시가 필요하다. Purpose: To evaluate status of reconstructed ACL and changes around graft through second-look arthroscopy after arthroscopic reconstruction of the ACL with autograft tendons. Material and Methods: Between Jun. 2003 and Feb. 2007, the second look arthroscopy was performed on 22 cases. Second-look arthroscopy was conducted on average 15.1 $(7\sim31)$ months after reconstruction. 15 cases received hamstring tendon autograft, 7 cases received bone-patellar tendonbone autograft. We measured graft tension using displacement by probing, synovial coverage by visual analysis at second-look arthroscopy The assay in Lysholm score, Lachmann test and KT-2000 arthrometer were evaluated status of reconstructed ACL. Results: The hamstring tendon group showed normal tension in 11 cases and lax tension in 4 cases. The patellar tendon group showed normal tension in 3 cases, lax tension in 2 cases and partial tear in 2 cases. In the hamstring tendon group, synovial coverage was good in 11 cases, half in 3 cases and pale in 1 case, and the bone-patellar tendon-bone group was good in 4 cases and half in 3 cases. The patellar tendon group was superior to the hamstring tendon group in Lysholm score (p<0.05), but insignificance difference in KT-2000 arthrometer results statistically. Conclusion: The hamstring tendon group was superior to the bone-patellar tendon-bone group in second-look arthroscopy after ACL reconstruction with autograft tendons results, but long term follow up will be necessary to further evaluat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