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을 이용한 가철성 국소의치의 합병증에 관한 임상적 평가

        강수현,김성균,허성주,곽재영,이주희,박지만,Kang, Soo-Hyun,Kim, Seong-Kyun,Heo, Seong-Joo,Koak, Jai-Young,Lee, Joo-Hee,Park, Ji-Man 대한치과보철학회 2016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4 No.3

        목적: 임플란트 지지 서베이드 고정성 보철물을 이용한 가철성 국소의치의 합병증을 임상적으로 조사하고, 임플란트 식립위치, 보철물 연결고정여부, 국소의치의 유지장치 종류, 케네디 분류, 대합치에 따른 연관 관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부터 2016년까지 임플란트 고정성 서베이드 보철물을 이용한 가철성 국소의치로 수복을 받은 환자 11명(남자 7명, 여자 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67.5세였으며, 상악 7개, 하악 4개의 국소의치가 제작되었다. 장착된 국소의치 11개와 이를 지지하는 37개의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의 기계적 합병증, 잔존 자연치아 상태, 주변 연조직 상태 등 모든 합병증과 그와 관련된 요소를 조사하였다. 결과: 장착된 국소의치 11개를 지지하는 총 임플란트는 37개로 국소의치마다 평균 3.4 개의 임플란트 지지 서베이드 고정성 보철물이 이용되었다. 평균 41.5 개월의 추시 기간 동안 발생한 합병증은 임시시멘트 접착 탈락, 대합치 파절/동요, 나사 파절, 나사 풀림, 클래스프 헐거움, 상부 도재파절, 임플란트 주위 골 흡수/동요, 국소의치 인공치아 파절 순으로 발생하였다. 이러한 합병증은 구치부보다 전치부에서, 연결한 보철물 보다 연결하지 않은 보철물에서, 가공선 클래스프를 유지장치로 이용한 보철물에서, 대합치가 의치를 포함하는 보철물보다 자연치열인 경우 합병증 발생이 좀 더 높은 빈도로 나타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케네디 분류에 따른 합병증 발생 빈도 차이는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결론: 임플란트 융합 국소의치는 장기간 사용되고 있고 충분히 효과적으로 기능하고 있었다. 하지만 아직까지 이러한 치료의 예후에 대한 축적된 임상 결과는 많이 부족한 실정이므로 좀 더 장기적인 임상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linical complications in removable partial denture (RPD) with implant-supported surveyed prostheses, and to analyz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complications such as location of the implant, splinting adjacent prostheses, the type of retentive clasps, Kennedy classification, and opposing dentition.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clinical study was carried out for 11 patients (7 male, 4 female), mean age of 67.5, who received RPD with Implant-supported surveyed prostheses between 2000 and 2016. The mechanical complications of 11 RPDs and 37 supporting implant prostheses and the state of natural teeth and peripheral soft tissue were examined. Then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complications were analyzed. Results: The average of 3.4 implant-supported prostheses were used for each RPD. Complications found during the follow-up period of an average of 42.1 months were in order of dislodgement of temporary cement-retained prostheses, opposing tooth fracture/mobility, screw fracture/loosening, clasp loosening, veneer porcelain fracture, marginal bone resorption and mobility of implant, artificial tooth fracture. Complications occurred more frequently in anterior region compared to posterior region, non-splinted prostheses compared to splinted prostheses, surveyed prostheses applied by wrought wire clasp compared to other clasps, and natural dentition compared to other removable prostheses as opposing denti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mplications according to the Kennedy classification. Conclusion: All implant-assisted RPD functioned successfully throughout the follow-up. However, further clinical studies are necessary because the clinical evidences are still not enough to guarantee the satisfactory prognosis of implant-assisted RPD for long-term result.

      • 다수의 임플란트발거로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이 실패한 환자에서의 잔존 임플란트를 이용한 부분 가철성 국소의치 수복증례

        강정경,남기훈,Kang, Jeong Kyung,Nam, Gi Hoon 대한심미치과학회 2014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Esthetic Dentistr Vol.23 No.1

        부분 무치악을 수복하는 데 있어서 선택할 수 있는 치료의 옵션으로는 전통적인 국소의치와 임플란트 지지-고정성 보철물 등이 있다. 하지만, 환자의 전신적 또는 구강의 상태(수술적인 술식이 제한되는 전신병력, 지지조직의 부족 그리고 골유착에 실패한 임플란트)와 치료비용에 대한 허용 정도에 따라 모든 옵션이 항상 가능한 것은 아니다. 가철성 국소의치는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에 비해 구강위생 관리 및 상,하악 악간관계의 부조화를 수정하기에 편리한 장점이 있다. 최근에는 전략적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하여 기존 악궁 형태에서는 제한되는 국소의치 디자인의 한계를 개선할 수 있는 임플란트지지형 RPD(Implant Supported Removable Partial Denture)가 새로운 방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ISRPD는 전략적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하여 역학적인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전악의 임플란트지지형 고정성 보철이 제한되는 환자에서 보다 경제적이고 현실적인 보철적 해결책이 될 수 있다. 따라서, RPD를 이용한 보철계획 수립시 전략적 위치에서의 임플란트의 사용은 고전적인 가철성 국소 의치에서보다 유지력과 안정성을 증진시키고 구강위생관리 또한 용이하여 환자의 적응도를 높이는 방안으로 고려될 수 있다. 본 증례는 상악 양측 구치부의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하악의 bar-type overdenture를 사용중이던 59세 남성환자에서 상악 #15i임플란트의 abutment screw fracture와 임플란트의 골유착 실패로 인한 다수 임플란트를 발거 후 남은 #15i,24i,25,26,i의 잔존 임플란트와 #23 자연치를 활용해 상악에 ISRPD를 적용한 경우이다. #23 surveyed crown, #24i=25i=26i surveyed bridge 및 #15i에 gold coping을 제작하여 국소의치의 지지와 유지,안정을 도모하였다.최종 보철물을 장착하고 2년간 주기적인 follow up 통해 예후를 관찰중이며 지대치로 사용한 임플란트에서 screw loosening이나 파절, 골흡수 등의 증상은 현재까지 관찰되지 않았다. There are several treatment options for rehabilitation of partial edentulism including the use of conventional or implant-retained fixed prostheses. However, such prosthetic options cannot always be possible because of compromised general and oral health (i.e. loss of supporting tissues, medical reasons, extensive surgical protocol and osseointegration failure of dental implant) as well as the affordability of patients. In some cases, removable partial denture provides easier access for oral hygiene procedures and the ability to correct discrepancies in dental arch relationships than implant fixed prosthesis. Recently, Implant Suppor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ISRPD) where to place dental implant in strategic position has been suggested to improve the limitation and shortcomings of conventional RPD. ISPRD can overcome mechanical limition of conventional RPD by placing implant in a favorable position and can be cost-effective, prosthetic solution for partially edentulous patients who are not immediate candidates for extensive, fixed implant supported restorations. Incorporation of dental implants to improve the RPD support and retention and to enhance patient acceptance should be considered when treatment planning for RPD. In this case, 59 years old male patient who received dental treatment of implant fixed prosthesis on both side of the upper jaw and implant overdenture on lower jaw showed implant abutment screw fracture on #15i and osseointegration failure on multiple number of implants. After removing failed implants, we planned ISRPD using #15i,24i,25i,26i and #23 natural tooth for RPD abutment. We fabricated #23 surveyed crown,#24i=25i=26i surveyed bridge and #15i gold coping for support,retention and stability for RPD. Periodic follow up check for 2years has been performed since the ISRPD delivery to the patient. No sign of screw loosening, fracture or bone resorption around abutment implants were detected.

      • KCI등재

        상악 무치악 환자에서 임플란트 지지 서베이드 크라운을 이용한 가철성 국소의치 수복

        성시영,최연조,류재준 大韓齒科補綴學會 2022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60 No.1

        상악 무치악 환자의 구강 회복을 계획할 때 치료 방법으로 임플란트를 이용한 고정성 보철 수복과 총의치 수복 또는 임플란트를 이용한 오버덴쳐 등을 고려할 수 있다. 총의치 수복의 경우 추가적인 수술이 필요 없고 상대적으로 경제적이며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수복의 경우 일반적으로 총의치 수복에 비해 기능적인 부분이 우수하지만 임상적으로 임플란트 식립이 어려운 경우가 존재한다. 최근에는 환자의 요구 및 잔존 치조골의 상태 등을 고려하여 부분적으로 임플란트를 식립한 후 임플란트 지지 서베이드 크라운을 이용한 가철성 국소의치 수복도 시도되고 있다. 본 증례는 상악 전방부의 임플란트 지지 서베이드 크라운을 이용한 가철성 국소의치 수복을 시행한 증례로 심미 및 기능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여 보고하는 바이다. When planning oral rehabilitation for maxillary edentulous patients, fixed prosthetic restoration using implants, complete denture restoration or overdentures using implants can be considered as treatment methods. In the case of complete denture restoration, it does not require additional surgery and is relatively economical. In the case of implant-supported fixed prostheses, the functional part is generally superior to that of complete denture restoration, but there are cases in which implant placement is clinically difficult. Recently in consideration of the patient’s needs and the condition of the remaining alveolar bone, after partial implant placement, a method of restoring with a removable partial denture using implant-supported surveyed crown is also being attempted. This case is a case of performing a removable partial denture restoration using implant-supported surveyed crown in the anterior maxilla, and showing satisfactory esthetic and functional results.

      • KCI등재

        임플란트와 레진 클래스프를 이용한 심미 가철성 국소의치 증례

        김수민,전영찬,정창모,윤미정,허중보,Kim, Su-Min,Jeon, Young-Chan,Jeong, Chang-Mo,Yun, Mi-Jung,Huh, Jung-Bo 대한치과보철학회 2015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3 No.1

        For the rehabilitation of fully edentulous patients, implant-supported removable partial dentures can be considered as one of the treatment options with complete dentures or implant-supported overdentures. If removable partial dentures are used in combination with a small number of implants placed in strategically important positions, it can offer additional stability, retention and support through implants and reduce a burden of surgical procedures compared with fixed implant-supported prostheses with extensive implant placement. Moreover, the economical benefit can be expected as well. The purpose of this case report is to present a treatment in which an implant-suppor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was fabricated considering residual alveolar bone status and demands after teeth loss in a patient who had been using a distal 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 for a long period of time. In anterior area, fixed prostheses were fabricated with implant placement and in posterior area, short implants provide only support for the removable partial denture. In addition, denture base and clasp were made of thermoplastic acrylic resin. Finally, functionally and aesthetically satisfying treatment results can be achieved. 완전 무치악 환자의 수복 시 총의치나 임플란트 지지 피개의치와 더불어 임플란트를 지대치로 이용하는 국소의치가 치료 방법의 하나로 고려될 수 있다. 적은 수의 임플란트를 전략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식립한 후 가철성 국소의치로 수복할 경우, 임플란트를 통해 안정을 얻고 부가적으로 유지 및 지지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범위한 임플란트 식립을 통한 고정성 보철물에 비해 환자의 수술 부담을 줄여줄 수 있으며, 치료비용 절감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본 증례는 오랫동안 국소의치를 사용해 온 환자에서 치아 상실 후 잔존 치조골의 상태 및 환자의 요구를 고려하여 임플란트 지지 국소의치를 제작한 증례로서 전치부에 식립한 임플란트는 고정성 보철물로 수복하고 구치부의 짧은 임플란트는 지지 기능만 부여하였다. 또한 의치상과 클래스프를 열가소성 아크릴 레진으로 제작함으로써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치료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

        만성 치주염 환자에서 다수치 발거 후 디지털 임시 즉시 의치 제작 및 임플란트 지지 가철성 국소의치 수복 증례

        박민재,방지원,방주혁,임선영,이용상,이근우,김성용 대한치과보철학회 2024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62 No.2

        다수 치아를 발치하면 환자는 사회적, 심리적, 심미적인 문제를 마주하게 된다. 이때, 치아를 발치하기 전 임시 즉시 의치를 제작하는 것을 통해 이러한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임시 즉시 의치를 제작한다면 기공과정이 단순해 지고 환자의 적은 내원 횟수로 임시 즉시 의치를 완성할 수 있다. 한편, 소수의 잔존치가 남은 환자에서 고정성 임플란트 보철수복이 어렵고, 가철성 국소의치의 지지 및 유지가 불량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 임플란트 지지 가철성 국소의치(Implant-supported removable partial denture)가 대체 치료 옵션으로 주목되며, 임플란트 보철물을 이용해 추가적인 지지 및 유지가 가능하다. 본 증례에서는 다수치아 발거 후 소수 잔존치 상황에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임시 즉시 의치를 제작하였다. 이후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서베이드 크라운을 제작해 가철성 국소의치의 지지, 안정, 유지를 제공하여 임상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When teeth are extracted, patient face social, psychological and aesthetic problems which can be minimized by fabricating a interim immediate denture. Interim immediate denture manufactured using digital technology can be completed with reduced number of patients’ visits and simple laboratory process. Implant-suppor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ISRPD) has been suggested as alternative treatment option when fixed implant prosthesis is not feasible. In this case, interim immediate dentures were fabricated using digital technology for patient after teeth extraction and treatment using ISRPD by installing implants and surveyed crowns is found to be successful with better support, stability and maintenance of removable partial dentures.

      • KCI등재

        하악 편측 소수 잔존치를 갖는 환자에서 임플란트 지지 가철성 국소의치 수복 증례

        박지산,이근우,이용상,방주혁,장희원,김성아 大韓齒科補綴學會 2022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60 No.1

        In removable partial dentures, abutment teeth are essential for support, maintenance, and stability of partial dentures, and are an important factor in the fabrication of functional dentures. If the number of periodontally sound abutments is sufficient and they are located on both sides, it will be easy to manufacture functional dentures with good support, maintenance, and stability. But on the contrary, if the number of teeth is insufficient or if they are located on one side, it is biomechanically disadvantageous and relatively difficult to make functional denture. On the other hand, recently, implant-supported removable dentures, which reinforce the three elements of maintenance, support, and stability by using implant surveyed crown, have been frequently selected as treatment plans. In particular, by adding an implant surveyed crown when only a small number of residual teeth remain, mastication efficiency, esthetics, patient comfort, and pronunciation can be improved. In this case, bilateral posterior extension partial denture was fabricated using implant surveyed crown as abutments by placing implants in the premolars area opposite to the residual tooth unilaterally in the mandible. As a result, the asymmetry of the abutment was resolved, and the maintenance and stability of the denture was achieved. 가철성 국소의치에서 지대치는 국소의치의 지지, 유지, 안정에 필수적으로, 기능적인 의치제작의 중요한 요소이다. 치주적으로 건전한 지대치가 충분하고 양측으로 위치할 경우 기능적인 의치 제작이 용이 하겠지만, 지대치가 부족하거나 편측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생역학적으로 불리하여 기능적인 의치를 만들기가 상대적으로 어렵다. 한편, 최근에는 임플란트 서베이드 크라운을 이용해 지지, 유지, 안정 세 요소를 보강하는 임플란트 지지 국소의치가 치료 계획으로 많이 선택되고 있다. 특히, 소수 잔존치만 남은 경우에 임플란트 서베이드 크라운을 추가함으로써 저작 능률, 심미, 환자의 편안감, 발음의 개선 등을 얻을 수 있다. 본 증례는 하악에 편측 소수 잔존 지대치를 갖는 환자에서 반대편 소구치부에 임플란트 서베이드 크라운을 추가하여 양측성 후방연장 국소의치를 제작하였다. 지대치의 비대칭성을 해소하였고, 환자와 술자 모두 만족하는 결과를 얻었기에 본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

        임플란트 지지 서베이드 금관을 이용한 하악의 가철성 국소의치 수복 증례

        박재호,민병귀,양홍서,박찬,박상원,Park, Jae-Ho,Min, Byung-Kwee,Yang, Hong-So,Park, Chan,Park, Sang-Won 대한치과보철학회 2018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6 No.2

        소수의 잔존치가 편측으로 남아 있을 때 전통적인 가철성 국소의치를 제작하는 경우, 기능시 잔존 치아를 연결한 축을 중심으로 의치의 회전이 발생하며 부분 무치악 부분이 긴 경우 점막 지지 비중이 증가되어 지대치에 대한 유지와 안정을 얻기 어렵다. 이런 의치의 움직임은 의치의 유지와 안정을 감소시키며 지대치에 과도한 힘을 가하게 되고 치주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추가적인 임플란트를 식립하여 부가적인 유지와 안정을 얻는 국소의치의 치료가 좋은 선택이 될 수 있다. 잔존치와 대칭적인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 후 임플란트 지지 서베이드 금관을 제작하여 국소의치 삽입로와 각종 구성 요소를 받아들일 수 있는 설계로 제작하여 좋은 임상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When making conventional removable partial denture for the remaining teeth where the remaining teeth are only on one side, rotation of the denture occurs -in function- on the axis of the connected remaining teeth. If the edentulous portion is long, it becomes harder to obtain retention and stability for the abutment as the importance of the mucous membrane support is elevated. Such movements of denture decrease denture retention and stability, put excessive stress on the abutment, and give bad influence on periodontal health. Therefore, additional implant placement can be of a good choice in gaining additional retention and stability for partial denture. Thus hereby we report this clinical case as successful results were obtained by placing implants symmetrical to the remaining teeth and putting implant-supported surveyed crowns on the implants, allowing the partial denture to be designed to accept varying components and to have suitable path of insertion.

      • KCI등재

        상악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6개의 임플란트를 동반한 두가지 가철성 의치 치료의 8년 경과 관찰 증례

        양승원,김종은,김지환,Yang, Seung-Won,Kim, Jong-Eun,Kim, Jee-Hwan 대한치과보철학회 2017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5 No.3

        자연치열에 대합하는 완전 무치악 환자의 수복에서 임플란트를 이용한 고정성 보철물 또는 임플란트 피개의치는 좋은 치료법이다. 그러나, 완전 고정성 보철을 통한 치료는 충분한 골질, 골량이 뒷받침되어야 하기에 그 한계가 있다. 한편, 최근에는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과 함께 그것을 가철성 국소의치의 지대치로 사용하는 치료가 행해지고 있다. 본 증례보고는 자연치열에 대합되는 두 상악 완전 무치악 환자에 있어 임플란트 피개의치와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 및 가철성 국소의치를 이용한 치료 및 8년 경과관찰, 유지보수를 비교 고찰해 보고자 한다. An implant-supported fixed dental prosthesis (ISFDP) or an implant-supported overdenture (IOD) are good options when treating a completely edentulous jaw opposing natural teeth. However, an ISFDP for a full arch requires sufficient bone quality and quantity, which limits its application. Meanwhile, using an ISFDP as an abutment of a removable partial denture has been considered recently. This clinical report discusses the treatments applied to two patients with edentulous maxillas and opposing natural teeth: one was treated with an IOD and the other was treated with an ISFDP and removable partial denture. Follow-up and management were performed for 8 years.

      • KCI등재

        하악골 변연절제술 환자에서 임플란트를 지대치로 이용한 가철성 국소의치 수복 증례

        백창현,허성주,곽재영,김성균,박지만,Baek, Chang-Hyun,Heo, Seong-Joo,Koak, Jai-Young,Kim, Seong-Kyun,Park, Ji-Man 대한치과보철학회 2016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4 No.2

        Surgical management of oral cancer results in compromised masticatory and swallowing function which affects patient in social and psychological aspects due to reduced phonetic ability and facial deformity, thus, it is imperative to provide applicable prosthetic treatment to overcome such complications. This clinical study describes rehabilitation of a patient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treated with marginal mandibulectomy and implantation on preserved posterior portion of mandible to provide stability and support for subsequent denture treatment. Kennedy class IV removable partial denture has provided satisfactory results in esthetics and function. Bone level stability around implants was reported to be maintained during eight months of clinical observation. 구강암에 의해 하악골 절제술을 받은 환자들은 저작 및 연하 기능의 저하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며 동반된 안모의 변화와 발음의 문제로 인하여 사회적, 심리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보철적인 수복을 통해 하악골 변연절제술 환자의 문제를 개선해 나아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증례는 편평세포암으로 인하여 하악골 변연절제술을 받은 환자에서 골결손이 일어나지 않은 후방부위에 전략적으로 임플란트를 식립하였고 임플란트를 통해 의치의 유지와 지지를 담당할 수 있도록 보철물을 설계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Kennedy class IV 국소의치를 제작하여 만족스런 심미적, 기능적 결과를 얻었으며, 8개월 간의 임상 관찰 동안 임플란트 주변 골의 안정적인 유지가 관찰되는 바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 KCI등재

        구순구개열 환자에서 Locator<sup>®</sup> 유지장치가 장착된 milled titanium bar를 이용한 가철성 임플란트 피개 국소의치의 보철수복증례

        양상현,김경아,김자영,서재민,Yang, Sang-Hyun,Kim, Kyoung-A,Kim, Ja-Yeong,Seo, Jae-Min 대한치과보철학회 2015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3 No.3

        본 증례는 구순구개열 환자에서 상순의 반흔, 상악 잔존치조제의 과도한 흡수, 협소한 구개 및 상악골의 열성장을 동반한 3급 악간관계로 인해 통상의 가철성 국소의치 수복에 한계를 보이기 때문에 상악 무치악 부위에 4개의 임플란트를 식립 후, CAD/CAM 시스템으로 밀링한 titanium bar를 이용한 상악 가철성 임플란트 피개 국소의치를 계획하였다. 통상의 주조방법은 주조 후 수축을 하게 되지만 CAD/CAM 시스템으로 밀링한 titanium bar는 높은 정밀성과 경제성 그리고 가벼운 장점이 있다. 하지만 실제 임상에서 milled bar는 아주 균등하고 정확한 마찰결합을 얻기 힘들며 의치의 반복적인 착탈에 의해 마찰 유지력이 감소 할 수 있다. 이에 milled bar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보조 유지장치(e.g. friction pin, $ERA^{(R)}$, $CEKA^{(R)}$, magnetics, $Locator^{(R)}$ 등)를 같이 사용함으로써 부가적인 유지력, 경제성 및 교체의 용이성 등을 추가적으로 얻을 수 있다. 본 증례에서 milled titanium bar의 상부면에 drill and tapping 방법으로 $Locator^{(R)}$ 유지장치를 연결하였다. milled bar에 screw hole을 형성하고 3개의 $Locator^{(R)}$ 유지장치를 20 Ncm으로 체결하여 추가적인 유지력을 확보하였다. 보철수복 후, 환자가 원하는 심미적인 안모, 저작 기능 및 의치 유지에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Due to the limitations of conventional removable partial denture prostheses to treat a cleft lip & palate patient who shows scar tissue on upper lip, excessive absorption of the maxillary residual alveolar ridge, and class III malocclusion with narrow palate and undergrowth of the maxilla, 4 implants were placed on the maxillary edentulous region and a maxillary removable implant-supported partial denture was planned using a CAD/CAM milled titanium bar. Unlike metal or gold casting technique which has shrinkage after the molding, CAD/CAM milled titanium bar is highly-precise, economical and lightweight. In practice, however, it is very hard to obtain accurate friction-fit from the milled bar and reduction in retention can occur due to repetitive insertion and removal of the denture. Various auxiliary retention systems (e.g. $ERA^{(R)}$, $CEKA^{(R)}$, magnetics, $Locator^{(R)}$ attachment), in order to deal with these problems, can be used to obtain additional retention, cost-effectiveness and ease of replacement. Out of diverse auxiliary attachments, $Locator^{(R)}$ has characteristics that are dual retentive, minimal in vertical height and convenient of attachment replacement. Drill and tapping method is simple and the replacement of the metal female part of $Locator^{(R)}$ attachment is convenient. In this case, the $Locator^{(R)}$ attachment is connected to the milled titanium bar fabricated by CAD/CAM, using the drill and tapping technique. Afterward, screw holes were formed and 3 $Locator^{(R)}$ attachments were secured with 20 Ncm holding force for additional retention. Following this procedure, satisfactory results were obtained in terms of aesthetic facial form, masticatory function and denture retention, and I hereby report this c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