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comparative study of ADL and IADL of residential home and home for the aged dwelling elderly

        박찬의,장정훈,이재형,Park, Chan-Eui,Chang, Chung-Hoon,Lee, Jae-Hyoung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2006 대한물리치료학회지 Vol.18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가정 거주노인과 시설 거주 노인의 일상생활동작(ADL)과 도구적 일상생활동작(IADL)을 비교 분석하여 노인 돌봄에 관여하는 의료 종사자, 특히 물리치료사와 작업치료사의 업무에 도움을 주고자 시행하였다. 방법: 일상생활동작 및 도구적 일상생활동작의 검진은 한국형 일상생활동작 평가서와 도구적 일상생활동작 평가서를 사용하여 거주 형태가 다른 두 노인 집단의 평가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노인들의 일상생활동작과 도구적 일상생활동작의 수행 능력은 부부 동거, 자녀 수, 수입, 현재 앓고 있는 질병 및 나이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상생활동작 중에는 한 가지 동작이 도구적 일상생활동작은 한 가지 동작을 제외한 모든 동작에서 수행 능력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부부가 함께 동거하는 노인이 홀로 사는 노인에 비해 전반적으로 일상생활 활동이 원활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한국형 일상생활동작 평가서와 도구적 일상생활동작 평가서가 한국 노인의 일상생활 활동을 평가하는데 보다 사용하기 좋았다. 노인을 돌보는 의료 종사자 특히 물리치료사 및 작업치료사는 노인의 일상생활 활동을 증진시키기 위해 훈련을 시행한다면 일상생활동작 훈련에서는 목욕하기에 중점을 두고 도구적 일상생활동작의 훈련에서는 거의 모든 동작을 훈련 시켜야 할 것을 조언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 of residential home dwelling elderly and home for the aged dwelling elderly. In attempt to address medical professional caring the elderly, this comparative study examines the factors associated with dependence in the ADL and IADL in two samples of elderly people living in two different environments. Methods: The instrument of ADL and IADL widely used Katz ADL and IADL. Katz ADL and IADL was not a perfect fit for Korean. In concern with cultural factors Won developed K(Korean)-ADL and K-IADL scale reflecting Korean's own language expression and cultural factors in year of 2002. The assessment tool of this study was K-ADL and K-IADL. Differences of ADL and IADL were tested for statistical significance using group t-test and x2 test for comparisons between the residential home dwelling elderly and the home for the aged dwelling elderly. Results: Comparison of assessment for K-ADL and K-IADL in two different dwelling types was significant. Performance of ADL and IADL depend upon their living environment such as social status, number of children, income, present illness as well as age group. This study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of performance in some activities of ADL and IADL between the elderly who live in their own home and live in home for the aged. Comparison of performance of ADL and IADL in different dwelling types revealed that only one item of ADL was significant but only one item of IADL was not significant. It means that IADL is more difficult activities in the home for the aged dwelling elderly than the residential home dwelling elderly. The coupled elderly has more independent in some ADL and IADL activities compared with the single elderly. Conclusion: Using K-ADL and K-IADL is more convenient for Korean elderly. Medical professional consider some factors like dwelling style, social status, existing diseases and disabilities in order to care the elderly and train him/her activities of daily living as well as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Medical professional, especially physical and occupational therapist emphasize the training items which are bathing of ADL and grooming, housework, preparing meals, laundry, traveling, public transportation, shopping, using telephone and taking medicine of IADL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 KCI등재후보

        대전지역 노인의 일상생활동작 수행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장기연,강정미 대한작업치료학회 2005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3 No.1

        목적 : 본 연구는 대전지역 노인들의 일상생활동작 수행수준과 삶의 질에 관련된 요소를 측정하여 노인들의 일상생활동작 수준 및 삶의 질에 따른 일상생활동작 수행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은 대전광역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재가 노인 500명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는 일반적인 특성 및 일상생활동작 능력 평가도구인 Barthel Index, Frenchy Activities Index와 SF-12에서 발췌한 삶의 질 관련 요소들로 구성되었으며, 일대일 면접조사를 통해 수집되었다. 결과 : 대전 지역 노인들의 일상생활동작 수행점수는 평균 96.05(표준편차 11.04)이었으며, 노인의 결혼 상태, 가족구성, 자녀유무, 직업유무에 따라 기본적 일상생활동작수행의 차이가 있었다(p<0.05). 수단적 일상생활동작 수행점수는 평균 18.41(표준편차 10.28)로 노인의 성별, 연령, 교육 수준, 가족구성, 자녀유무, 직업유무에 따라 수단적 일상생활동작 수행의 차이가 있었다(p<0.05).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및 생활전반에 대한 만족도에 따른 기본적 일상생활동작 수행수준과 수단적 일상생활동작 수행은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결론 : 본 연구결과를 통해 대전 지역노인들의 기본적인 일상생활동작 수행의 수준과 수단적 일상생활동작 수행의 수준을 알 수 있었고, 주관적 건강상태나, 생활만족도와 같은 삶의 질에 관련된 요소와 일상생활동작 수행수준 간에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노인들이 건강하게 살 수 있도록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일상생활동작 수행수준을 높일 수 있는 작업치료사의 역할이 요구되며, 노인들의 의존적인 문제를 보완하고 능동적이며 긍정적인 삶을 유지할 수 있는 중재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 : This study is designed for gaining relationship between ADL performance and quality of life by measuring the relating factors to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for elderly’s in Daejeon city. Methods : For this investigation, we chose 500 of elderly who were over 65 old, and inhabited in Daejeon city. For the assessment of this study, Barthel Index, Frenchy Activities Index, and the factors of SF-12 which is related to quality of life were used. Results : The finding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The mean of BADL performance score of elderly in Daejeon was 96.05(SD 11.04)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t BADL performance by marriage status, family organization and existence of off- spring and occupation(p<0.05). The mean of IADL performance score of elderly in Daejeon was 18.41(SD 10.28)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t IADL performance by sex, age, educational status, family organization, and existence of off-spring and occupation (p<0.05). BADL and IADL performance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 when elderly’s satisfactions of living and subjectivity of health status were high(p<0.05). Conclusion : For promoting elderly’s quality of life, occupational therapists should have a plan of intervention which prepared for the complement of elderly’s dependency problems and preserving their own life spontaneously and affirmatively.

      • KCI등재후보

        웰니스 기반의 가정방문 물리치료가 재가장애인의 일상생활 동작, 우울증,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주정열(Jeong-Youl Ju),김현성(Hyun-Sung Kim)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5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이 동반된 재가장애인을 대상으로 8주간 웰니스 기반의 가정방문 물리치료를 실시하여 일상생활 동작, 우울증, 삶의 질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K시 소재 보건소에 등록된 재가장애인중 뇌졸중 1∼3급 장애인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이중 치료에 동의한 30명을 선별하였다. 8주간 주 1회, 1시간씩 실시하였으며 치료 내용으로는 보건복지부(2013)에서 발행한 ‘뇌졸중관리 매뉴얼’에 따라 적용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상생활 동작, 우울증, 삶의 질 총점의 결과 치료 전 · 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p〈.05). 2. 일상생활 동작, 우울증, 삶의 질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치료 전 일상생활 동작과 우울증(r=-.881)이 가장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다음으로는 우울증과 삶의 질(r=-.873), 일상생활 동작과 삶의 질(r=.868)이였다. 치료 후 우울증과 삶의 질(r=-.812)이 가장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다음으로는 일상생활 동작과 우울증(r=-.796), 일상생활 동작과 삶의 질(r=.765)이였다. 3. 일상생활 동작과 우울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 결과 치료 전 일상생활 동작과 우울증이 삶의 질을 80.6%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5), 일상생활과 우울증 중 삶의 질에 미치는 변수는 K-MBI(β=.441), CES-D(β=-.485)였다. 치료 후 일상생활 동작과 우울증이 삶의 질을 69.8%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5), 일상생활 동작과 우울증 중 삶의 질에 미치는 변수는 CES-D(β=-.554)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home visiting physical therapy based on wellness on the ADL, depressive disorder, quality of life in chronic stroke patients. In this study, 30 patients, the home visiting physical therapy was performed once a week for 8 weeks and scored the K-MBI, the CES-D, the EQ-5D before and after. After 8 weeks of visiting for physical therapy, total scores of K-MBI, CES-D, EQ-5D were significant improvement(p〈.05). Before home visiting physical therapy correlation between the K-MBI, the CES-D, the EQ-5D was very strong and there were a strongly correlation between the K-MBI and the CES-D(r=-.881), the CES-D and the EQ-5D(r=-.873), the K-MBI and the EQ-5D(r=.868). After home visiting physical therapy correlation between the K-MBI, the CES-D, the EQ-5D was very strong and there were a strongly correlation between the CES-D and the EQ-5D(r=-.812), the K-MBI and the CES-D(r=-.796), the K-MBI and the EQ-5D(r=.765). The finding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EQ-5D were composed of K-MBI and CES-D by 80.6% before therapy, and the probability of those variables that could brought a change on EQ-5D are shown to be K-MBI(β=.441), CES-D(β=-.485). After therapy, the percentage of K-MBI and CES-D effect on EQ-5D were shown to be 69.8%, and this also brought a change in the variables to be CES-D(β=-.554).

      • KCI등재

        국내 작업치료의 일상생활동작훈련치료 실태 조사

        이춘엽,장문영 대한작업치료학회 2014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2 No.2

        목적 : 본 연구는 국내 작업치료의 일상생활동작훈련치료에 대해 일반적인 사항, 환경, 내용, 법안 개정 이후 변화 등과 관련한 전반적인 실태를 조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3년 4월부터 9월까지 국내의 성인 및 노인 대상의 작업치료실에 우편 및 이메일로 설 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84부를 분석하였다. 결과 : 일상생활동작훈련치료를 받는 1일 평균 환자의 수는 7.47명이었고 1회당 평균 치료 시간은 20분이 75.0%로 가장 많았다. 일상생활동작훈련치료의 평가 횟수는 한 달에 한 번이 60.7%로 가장 많았고사용하는 평가도구로는 수정된 바텔 척도(Modified Barthel Index; MBI)가 56.6%로 가장 많았다. 일상생활동작훈련치료 실의 환경은 공간을 분리한 경우가 76.2%이었고 가구 및 설비가 갖추어진 공간은부엌 및 식당이 45.2%로 가 장 많았다. 치료 내용으로는 옷 입고 벗기 훈련이 22.4%, 의사소통관리 훈련이 22.1%로 가장 많았고 법안 개 정 이후 변화로 수익의 변화가 없었던 경우가 47.7%로 가장 많았다. 결론 : 본 실태 조사는 국내의 일상생활동작훈련치료에 대한 체계를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이를 통해 문제점 분석 및 개선방안에 대한 지속적인 노력이 이루어진다면 국내 작업치료의 발전에 토대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뇌성마비 아동의 일상생활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

        박은영(Eun-Young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0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9 No.10

        이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의 운동손상, 손기능, 대동작 기능과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 간의 인과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통해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만 6~12세 뇌성마비 아동 105명을 대상으로 근긴장도, 근력, 관절가동범위, 선택적 운동조절 능력, 손기능, 대동작 기능,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운동손상 변인 중 근긴장도, 근력, 선택적 운동조절 능력은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의 하위 영역과 상관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 < .05); 둘째, 대동작 기능과 손기능은 일상생활동작 하위 영역과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5); 셋째, 뇌성마비 아동의 운동손상, 손기능, 대동작 기능과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실시한 결과, 이 연구의 모형은 적합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의 운동손상, 손기능, 대동작 기능과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 간의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통해 규명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use-effect relationship between motor impairments, hand function, gross motor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through the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r this, 105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between 6 and 12 years old) were assessed about muscle tone and strength, range of motion, abilities of selective motor control, hand function, gross motor function and AD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ollows: Firstly,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motor impairments of muscle tone, muscle strength, the abilities of selective motor control and ADL (p < .05); Secondly, a good correlation between the gross motor function, hand function and ADL was found in all children (p < .05); Thirdly, the appropriateness of research model was good. This study focused on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or impairment, gross motor function, hand function and ADL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 KCI등재

        일상생활동작 훈련실 설치현황, 이용현황 및 치료사의 요구에 관한 연구 : 부산지역 병원 중심으로

        송민옥,윤은미,이종수,장철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3 재활복지 Vol.1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일상생활동작 훈련 치료실 설치 현황과 이용현황, 그리고 치료사들의 만족도 및 치료사들이 원하는 치료실의 형태에 대해 조사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관용과 치료사 용 두 가지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조사 대상은 부산 지역 병원 15개 기관, 치료사 117명이었다. 조사 결과 조사 대상 15개 기관 중 8개의 기관만이 대한작업치료사협회에 마련한 최소 기준을 충족하고 있었다. 치료사들은 하루 평균 7~9명의 환자들을 일상생활동작 훈련 치료를 의뢰 받고 있으며, 이들의 치료를 위해 일상생활동작 훈련실을 사용하는 치료사는 54.7%였으며, 사용 빈도는 50%정도였다. 일상생활동작 훈련 치료에 대한 만족도는 3.46±0.75점 있었으며, 치료실 및 비품에 대한 만족도는 각각 3.33±0.89, 3.33±0.81이었다. 치료사들이 생각하는 일상생활동작 훈련 치료실의 조건에 대한 조사에서는 침실, 욕실과 부엌, 거실 순서로 공간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일상생활동작 훈련실의 설치현황 및 이용현황은 치료사들이 만족할 만한 수준이 되지 않았다. 환자 및 장애인들의 독립적인 일상생활의 독립을 위해 현실적 일상생활동작 훈련의 치료를 위해 현실적인 시설 및 비품의 구비와 환자들의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며, 이를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We surveyed status and utilization for the ADL training room, occupational therapist's satisfaction and need with the ADL training room, and occupational therapist's awareness of the ADL training. For this we used two questionnaire and the subjects of the survey are 15 hospitals in Busan and 117 occupational therapists. In results, Only 8 hospitals of 15 subjects met the minimum requirements for the ADL training room set by KOTA. An average 7~9 patients were referred for ADL training, 54.7% therapists used the ADL training room for training with them and the rate of utilization was 50%. The therapist's satisfaction scores for ADL training intervention was 3.46±0.75, for the ADL training room was 3.33±0.89 and for the equipments and device was 3.33±0.81. At the survey of the therapists's requirements for the ADL training room, the therapist responded that they need a bedroom, a bathroom, a kitchen and a living room in order. And the order of priority equipments and the devices needed each places were similar to the result of reference study. The status and utilization for the ADL training room did not meet therapists' needs. For independence of ADL for client, ADL training room needs to meet realistic setting and to change of client's perception for ADL training. Therefore we hope that the studies on ADL training and ADL training room should be continue.

      • KCI등재

        동작관찰 체간훈련이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체간조절능력, 균형,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영향: 무작위 대조 예비 연구

        정경만,주민철,정유진,이경화,채수민,최준완 대한작업치료학회 2018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6 No.3

        목적 : 본 연구는 급성기 뇌졸중 환자에서 동작관찰 체간훈련이 체간조절능력, 균형,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2017년 7월 3일부터 2018년 4월 30일까지 전북 익산 소재의 W 대학병원에 입원한 급성기 뇌졸중 환자 14명을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무작위 할당하였다. 두 군 모두 일반적인 물리·작업치료를 실시하였다. 추가적으로 실험군에는 동작관찰 체간훈련을, 대조군은 풍경관찰 체간훈련을 각 1일 1회 30 분, 주 5회, 총 3주간 실시하였다. 치료 중재 전·후 체간조절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체간 손상 척도 (Trunk Impairment Scale; TIS), 균형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수정된 기능적 팔 뻗기 검사(Modified Functional Reach Test; M-FRT)와 버그균형척도(Berg Balance Scale; BBS)를 사용하였고,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한국판 수정된 바델 지수(Korean version of Modified Barthel Index; K-MBI)을 사용하였다. 결과 : 3주 중재 후, 두 그룹에서 중재 전·후 체간조절능력, 균형, 일상생활수행능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p<.05), 중재 후 두 그룹 간 변화량의 차이는 TIS와 M-FRT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결론 : 본 연구 결과 동작관찰 체간훈련이 급성기 뇌줄중 환자의 체간조절능력, 균형, 일상생활수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 방법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립 훈련기에서 동작관찰 체간훈련은 급성기 뇌졸중 환자에게 능동적이고 동적인 체간훈련을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중재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ction observation trunk training on trunk control, balance,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patients with acute stroke. Methods : Fourteen inpatients were randomly allocated to either the experimental group, who underwent action observation trunk training, or the control group, who underwent landscape observation trunk training(n = 7 each). Each intervention consisted of a 30-min session once a day, five times a week, for three weeks. Each intervention consisted of a 30-min session once a day, five times a week, for three weeks. To measure trunk control, balance, and performance capacity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e Trunk Impairment Scale(TIS), Modified Functional Reach Test(M-FRT), Berg Balance Scale(BBS), and Korean-modified Barthel Index(K-MBI) were us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Results : After the intervention, both group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IS, M-FRT, BBS, and K-MBI scores (p<.05). Using change value compariso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greater increase in TIS and M-FRT scores (p<.05). Conclusion : Action observation trunk training was effective in facilitating trunk control, balance,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patients with trunk control deficits after acute stroke. Therefore, action observation trunk training in standing may be used as a new intervention method to provide active and dynamic training for rehabilitating patients with acute stroke.

      • KCI등재

        노인의 일상생활 동작수행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우울감의 매개효과 중심

        윤미라,이미애 대한산업경영학회 2022 산업융합연구 Vol.20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일상생활 동작수행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노인실태조사(2020) 자료의 10,097명이며, 자료분석은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노인의 일상생활 동작수행을 일상생활 불편과 동작수행 어려움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일상생활 동작수행 불편과 동작수행 어려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한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노인의 일상생활 불편과 동작수행 어려움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 유의수준으로 나타났다. 셋째, 우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파악하였다. 넷째, 노인의 일상생활 불편과 동작수행 어려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우울의 부분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노인의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서 일상생활 불편과 동작수행 어려움, 우울 감소시켜야 하는 것을 규명하였다. 이를 통해 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논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뇌졸중 환자의 자세 조절이 일상생활동작과 근 긴장도 및 상지기능수행에 미치는 영향

        박창식,안승헌 대한작업치료학회 2006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4 No.2

        목적 :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자세 조절이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과 근 긴장도 변화 및 상지기 능 수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를 위하여 국립재활원에 입원한 41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모든 환자들은 자세조절 평가 척도(Postural Assessment Scale stroke, PASS),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 측정 도구(Modified Barthel Index, MBI), 긴장도 사정 척도(Tone Assessment scale, TAS), Fugl-Meyer 평가 척도(Fugl-Meyer Assessment scale-upper extremity) 등을 이용하였고 자료 분석은 피어슨 상관분석(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단계적 다중 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으며 내적 일치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Cronbach's alpha Coefficient를 구하였다. 결과 : PASS항목에서 가장 기능이 좋은 것은 지지하여 서기로 나타났으며,가장 기능이 낮은 것은 환측으로 서기였고,MBI항목에서 가장 기능이 좋은 것은 의자/침상 이동이며, 가장 기능이 낮은 것은 목욕하기로 나타났다.PASS의 모든 항목은 MBI, FM-UE, TAS와 유의한 상관관계(r=-33~91, p<.05~01)가 있으며,FM-U/E와 MBI(r=.35, p<.05), TAS- 안정(r=.-40, p,<.0.1), 연합항목(r=-.39,p<.05)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내적 일치도는 Cronbach's a=.86로 높게 나타났으며,PASS의 합과 자세유지 항목 (r=.90 p<.01)의 합,자세변화 항목(r=.93,p<.01)의 합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자세유지 항목의 합과 자세변화 항목의 합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r=.69,p<.01)가 있었다.PASS 항목 중 누운자세에서 건측으로 돌기와 바닥에서 볼펜집어 올리기가 각각 ADL과 상지 기능을 예견하는데 가장 중요한 변수(R2=.95, R2=.56)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 : PASS는 일상생활동작 수행 능력과 근 긴장도 및 상지기능수행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뇌졸중 환자의 기능적 독립성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find correlations among 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MBI, Tone Assessment Scale, FM-U/E, and to predict MBI, FM-U/E: from subscales of Postural Assessment Scale Stroke. Methods : The subjects were 41 stoke patients of the Korea n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in Seoul. All patients were assessed on Postural control was measured with the use of the Postural Assessment Scale Stroke, ADL(by the Modified Barthel Index), Tone(by the Tone Assessment Scale), performance function of U/E(by the Fugl-Meyer assessment),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 product correlation. 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PASS)scale between other clinical and instrumental index,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identify prognostic factors for ADL incline, Cronbach's alpha coefficient to identify Internal Consistency on PASS scale. Results : The highest level was standng with support, the lowest level was standing on paretic leg on PASS scale. The highest level was chair/bed transfer, the lowest level was bathing on MBI. All items of the Postural Assessment Scale,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MBI, FM-U/E, TAS(r=-.33~.91 p<.05~,01).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MBI-U/E and MBI(r=.35, p<.05), TAS-rest(r=-.40, p<.01), TAS-asso(r=-.39, p<.05). The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 a=0.86) was very high, indicating that the PASS is homogeneous and is likely to produce consistent response. Furthermore, the sums of maintaining position items and of changing-position items were strongly correlated(r=.69, p<.01) and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sums of PASS and sums of maintaining position items(r=.90, p<.01), changing-position items(r=.93, p<.01). The Supine to nonaffected side lateral and Standng picking up a pencil from the floor of PASS items was the strongest variance(R2=.95, R2=.56) of the predicting ADL function, performance of function U/E. Conclusion : The PASS is suited to the assessment of postural control abilities, it demonstrated an acceptable for the evaluation of functional recovery of stroke patients in clinical practices.

      • KCI등재

        긍정적 행동지원이 장애아동의 일상생활동작과 장애아동 어머니의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손정선,김병석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5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5 No.2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positive behavior supports on the ADL of handicapped child and self-esteem of handicapped child’s mother. This study was targeting 3 handicapped children and 3 handicapped children’s mothers who don’t have independent daily living but show dependent daily living activities and have difficulty in family, school and social life. Study results showed dependent daily living activities of target children were reduced with positive behavior supports and self-esteem of target children’s mother was improved. Reduction of children’s dependent ADL and mothers’ self-esteem were maintained as well after positive behavior support intervention was completed. This study showed positive behavior supports affected the reduction of handicapped children’s dependent ADL and improved self-esteem of their mother. 본 연구는 긍정적 행동지원이 장애아동의 일상생활동작과 장애아동 어머니의 자존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는 것이었다. 일상생활이 독립적이지 못하고 의존적 일상생활동작을 나타내어 가족, 학교, 사회생활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장애아동 3명과장애아동의 어머니 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긍정적 행동지원을 통하여 대상아동의 의존적 일상생활동작이 감소하였고 대상아동 어머니의 자존감은 향상되었다.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아동의 의존적 일상생활동작 감소와 어머니의 자존감 향상이 유지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긍정적 행동지원이 장애아동의 의존적 일상생활동작의감소에 영향을 미치고 장애아동 어머니의 자존감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