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피해실태를 통해 본 일본군‘위안부’의 개념과 범주 시론

        박정애(Park, Jung Ae) 한국사학회 2015 史學硏究 Vol.- No.120

        이 글의 목적은 역사적 접근을 통해 시론적으로 일본군‘위안부’의 개념과 범주를 설정하는 것이다. 일본군‘위안부’문제가 제기되고 그 해결 노력이 시작된 지 30년이 되어가지만 아직까지도 일본군‘위안부’의 개념과 범주는 각각의 연구자, 활동가, 관계기관 사이에 합의가 되어 있지 않다. 자국 피해자의 특성을 고려하거나 공문서를 통해 재구성한 일본군‘위안부’제도의 역사상에 치우치거나 연구를 앞질러서 해결운동을 전개해가는 연구나 운동의 특성 때문이다. 일본군‘위안부’의 개념과 범주에 대해 생산적으로 논의하기 위해서는 일본군‘위안부’제도가 어떠한 역사적 배경 하에서 비롯했는지 따져볼 필요가 있다. 억압적으로 군 조직을 유지하면서 병사들의 군기 불량이라는 문제에 처한 일본군은 병사들의 ‘성욕’ 문제를 과잉해석하고 그 해소 문제에 골몰하면서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였다. 대응방식은 세 가지였는데 새롭게 위안소를 설치하거나 점령지에서 병사들이 저지르는 성폭력을 묵인하거나 일본의 공권력이 관리하는 성매매 시설을 활용하는 것이었다. 이중 일본군‘위안부’의 개념과 범주를 정의하면서 논란이 되는 것이 두 번째와 세 번째 경우이다. 이 글에서는 일본군‘위안부’의 개념과 범주 설정을 위해서는 ‘제도’라는 일본군‘위안부’ 문제의 역사적 특수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함을 주장하였다. 이는 전시 성폭력 피해자를 비가시화하기 위함이 아니며, 오히려 일본군이 자행한 전시 성범죄의 스펙트럼을 보여줌으로써 아시아태평양전쟁 기간 합법과 불법을 넘나들면서 얼마나 여성의 인권이 억압되고 성적 도구화되었는지 검토하기 위함이다. 일본정부나 군이 조직적, 체계적으로 시행한 일본군‘위안부’제도의 역사적 사실에 근거하여 그 정의가 이루어질 때 보편적인 성노예 문제로서 제기되고 있는 전시 성폭력 문제들에 대해 근본적인 차원에서 원인을 따지면서 각각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해결점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행정문서 재구성을 통해본 일본군 ‘위안부’제도의 성립과 운용

        최종길(崔鐘吉) 한일관계사학회 2015 한일관계사연구 Vol.51 No.-

        문서의 수·발신 관계를 통해 위안소 설치와 일본군 ‘위안부’ 모집에 관한 내용을 합리적으로 재구성하면 다음과 같다. 하급부대는 현지 사령부에 정해진 절차에 따라 위안소 설치를 신청한다. 이러한 신청이 있으면, 사령부는 이를 심의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면 위안소 설치를 허가한다. 이어서 사령부는 이러한 내용을 육군성 징모과장에게 보고하고 협조를 구한다. 그러면 파견군 일본군 ‘위안부’ 문제 담당자와 육군성 징모과장은 내무성과 외무성에 일본군 ‘위안부’ 모집 알선과 도항에 관련된 협조와 편의를 부탁하고 실무자 즉 현지 사령부와 참모 본무 제1과 제2부의 일본군 ‘위안부’ 담당자에게 이러한 업무를 추진할 것을 명령한다. 그러면 군의 실무 담당자들은 헌병대나 경찰을 통해 민간업자에게 일본군 ‘위안부’ 모집을 위탁한다. 한편 협조를 요청받은 내무성이나 외무성의 일본군 ‘위안부’ 문제 담당자는 군에서 전달한 협조사항을 상부에 보고하고 처리지침을 상신한다. 이러한 내용을 보고받은 내무성과 외무성의 상급자는 지침을 검토하고 수정하여 이를 기준으로 모집과 도항업무에 관련된 협조를 실행할 것을 지시한다. 그러면 양성의 담당자는 군의 실무 담당자인 참모본무 제1부 제2과와 현지 사령부 실무 담당자에게 결과 통지와 함께 관련 연락을 취한다. 이처럼 위안소 설치에 대해서는 처음부터 끝까지 군이 신청하고 심의하여 결정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었으며, 일본군 ‘위안부’를 모집·도항시키는 업무는 내무성과 외무성이 협조하였다는 사실을 합리적으로 재구성할 수 있다. 즉, 위안소의 설치와 일본군 ‘위안부’ 모집·도항은 일본정부의 행정체계 속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일본정부의 법적 책임이 존재한다.

      • KCI등재

        단절과 고립의 냉전서사로서의 일본군 ‘위안부’ 서사 연구 ― 1960∼1970년대 일본군 ‘위안부’ 서사를 중심으로 ―

        장수희 ( Jang Soo Hee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21 감성연구 Vol.- No.22

        이 논문은 1991년 김학순의 증언 이전, 특히 냉전이 한창인 1960년대와 1970년대의 일본군 ‘위안부’ 서사의 양상에 대해서 논한다. 일본군 ‘위안부’의 존재가 언급조차 잘 되지 않았던 시기, 일본군 ‘위안부’의 모습은 서사 속에서 잠깐잠깐 그 모습을 드러낸다. 단말마적인 일본군 ‘위안부’ 서사의 존재나 서사 속에서 분유하다 사라져 버리는 일본군 ‘위안부’의 재현은 한국사회 속에서 생존해 왔던 일본군 ‘위안부’의 고립과 단절을 증거하고 있다. 이 시기 일본군 ‘위안부’의 서사가 단절적이라고 하는 것은 소설 속에서 일본군 ‘위안부’의 서사가 일본군 ‘위안부’가 되기 전과 위안소에서의 경험, 그리고 해방 이후의 삶이 제각각 분절적으로 서사화 되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김정한과 하근찬의 소설들을 통해 살펴 보는데 이러한 서사적 장면이 이후 일본군 ‘위안부’ 서사의 전형으로서 활용된다. 일본군 ‘위안부’ 서사가 완결된 이야기로서 등장하는 것은 70년대 후반의 『여명의 눈동자』와『에미 이름은 조센삐였다』였다. 이 글에서는 1960년대부터 1970년대를 거쳐 1980년대에 이르는 냉전서사로서 일본군 ‘위안부’ 서사가 전형적인 형태를 갖추게 되기까지의 과정을 살펴본다. This article attempts to discuss the aspects of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narrative before Kim Hak-soon's testimony in 1991, especially in the 1960s and 1970s during the Cold War. At a time when the existence of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was not well mentioned, the appearance of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reveals itself for a moment in the narrative. The existence of the narrative of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which is unsoundingly, or the representation of the 'comfort women' of the Japanese military, which disappears after formulating in the narrative, testifies to the isolation and disconnection of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who have survived in Korean society. The reason why the narrative of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in this period is cut off is that in the novel, the narrative of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before becoming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their experiences at comfort stations, and their lives after liberation are fragmented. In this article, we look at the novels of Kim Jong-han and Ha Geun-chan, and these narrative scenes are later used as the epitome of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narrative.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narrative appeared as a full story in the late '70s "The Eyes of the Dawn" and "Mother's Name was Josenpi." In this article, we will look at the process from the 1960s to the 1970s to the 1980s, from the Cold War narrative to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narrative taking its typical form.

      • KCI등재

        난징[南京] 점령지의 일본군 위안소와 ‘위안부’ 피해

        김정현(Kim Jeonghyun) 동북아역사재단 2019 東北亞歷史論叢 Vol.- No.66

        중화민국의 수도 난징은 난징대학살을 저지른 일본군 사령부 소재지로서 군인이 많았기 때문에 일본군‘위안부’ 제도가 가장 장기적으로 완전하게 실시되고 위안소와 ‘위안부’가 많았던 지역이며, 중국인·조선인·일본인 및 기타 국가 ‘위안부’ 피해가 모두 발생하였다. 난징은 일본군 고위층의 계획 아래 점령 직후 즉각 위안소가 세워졌다. 일본군 직영, 일본인 개설, 친일정권 설립 위안소가 난징점령지 여러 지역에서 운영되고 일본이 패전하여 떠날 때까지 계속 존속하였다. 일본군은 위안소를 신속히 설립하기 위해 난징의 부녀자를 대대적으로 강제징발하였다. 난징에서는 친일 세력에 의한 ‘위안부’ 징집이 다수를 이루었는데, 그 이유는 일본군의 난징 점령정책과 관련이 있다. 일본군은 난징의 친일 세력과 정권을 조직하고 중국인‘위안부’를 징집하고 위안소를 운영토록 하였다. 일본군이 난징을 점령한 8년 가까운 기간에 난징 시내와 교외 지구에 세운 위안소는 40~60여 개소가 조사되었으며, 일본군 위안소의 유형도 다양하였다. 본고는 아직 공개되지 않은 난징의 친일 조직이 남긴 문서와 ‘위안부’ 피해자의 증언을 바탕으로, 난징 점령지의 위안소 제도의 실상과 성병·아편·자살·살해·사망, 일본 군대의 규율 문란, 국제법 위배 행위 등 ‘위안부’ 피해의 다양한 실태를 분석하였다. 현재 일본군의 위안소 설치와 ‘위안부’ 피해를 입증하는 책임이 피해국과 피해자에게 있게 된 상황에서, 본고를 통해 전시 난징 점령지에서 실시된 일본군 위안소의 유형과 ‘위안부’ 제도에 의한 피해가 더욱 분명히 밝혀지고, 피해의 회복이 이루어지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남북여성연대

        문소정 ( So Jeong Moon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5 통일과 평화 Vol.7 No.2

        이 연구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갖고 조직된 초국적 여성연대에서 성취된 남북여성 연대의 경험에 주목하였다. 특별히 다음과 같은 남북여성의 연대 경험에 초점을 맞추었다. 남북여성연대에서 한국과 북한의 연대 주체의 특성과 연대의 시점과 명분,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성격과 해결 방안에 대한 남북한의 입장, ‘아시아여성기금’과 한일기본조약에 대한 남북한의 입장, 2000년 「여성국제법정」에 대한 남북한의 참여방식, 2000년 이후 일본군 ‘위안부’ 문제해결 운동의 글로벌화 등이다. 연구결과, 첫째, 일본군 ‘위안부’ 문제해결을 위한 연대 주체는 한국의 경우 1990년11월 조직된 정대협, 북한은 1992년 8월 출범한 종태위(조대위)이다. 정대협은 한국여성 운동지형에서 ‘진보적’이라고 명명되는 여성단체이다. 종태위(조대위)는 북한의 노동당과 정부의 산하, 외곽단체로서 당의 정책을 수행하는 조직이다. 둘째,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남북여성연대는 1992년 8월, 9월에 정대협의 제안으로 시작되었다. 2000년 「여성국제법정」의 북한의 참여는 한국의 정대협의 제안에 의해 이루어졌다. 2000년 「여성국제법정」 이후 일본군 ‘위안부’ 문제해결 운동의 글로벌화와 「국제연대협의회」 조직은 북한의 종태위(조대위) 제안으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남북여성연대는 2000년 이전에는 한국의 정대협이 선창하고 북한이 화답하는 남창북수(南唱北隨), 2000년 이후에는 북한의 종태위(조대위)가 선창하고 한국이 화답하는 북창남수(北唱南隨) 방식으로 전개되었다. 셋째,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한 사회역사적, 정치적 쟁점인 일본군 ‘위안부’의 용어문제,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성격, 책임자처벌 요구, ‘아시아여성기금’, 한일기본조약등에서 한국과 북한의 입장과 주장은 일치하였다. 이 지점에서 한국과 북한은 탈식민주의적 인식을 함께 갖고 있었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politics of solidarity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n women about the issue of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since the 1990s. Several findings of this research have been the followings. First, solidarity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n women about the issue of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was accomplished by Korean Council for Women Drafted for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in 1992. Second, South Korean women joined with the North Korean women about a few issues, namely using the terms and nature of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asking for “punish those who were responsible.” Further, South Korean women agreed with North Korean women on the point of the ‘Asian Women’s Fund’ and the South Korea-Japan Treaty signed in 1965. Therefore women of North and South Korea met together at postcolonial activism. And Korean Council for Women Drafted for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invited North Korea to join The Women``s International War Crimes Tribunal in the year 2000. North Korean women had a particularly important role to globalize the issue of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and demanded an official apology as well as proper legal reparation from Japan since the 2000s.

      • KCI등재

        일본군 ‘위안부’ 재현과 진정성의 곤경 - 소녀와 할머니 표상을 중심으로 -

        허윤 ( Yoon Heo ) 한국여성사학회 2018 여성과 역사 Vol.0 No.29

        2010년대 ‘평화의 소녀상’으로 대표되는 일본군 ‘위안부’ 표상은 2015년의 ‘한일 일본군 위안부 합의’와 ‘박유하 사태’를 경유하여 정치적 힘을 갖는 것으로 거듭났다. 과거 대중서사물이 일본군 ‘위안부’를 성인 여성의 성애화된 신체로 재현한 것과 달리, 최근 영화들은 소녀나 할머니로 등장하여 여성 연대를 강조하는 방식으로 서사화된다. 영화 <귀향>(2016), <눈길>(2017)은 여성들이 서로의 이름과 생명을 이어받는 것으로 형상화한다. <아이캔스피크>(2017)와 <허스토리>(2018)는 공론장에서 증언하는 투사로서의 일본군 ‘위안부’의 존재를 형상화하며, 일본군 ‘위안부’ 재현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 이러한 서사의 다양화 경향에서 중요한 것은 일본군 ‘위안부’ 재현이 갖는 ‘진정성’의 정치이다. 일본군 ‘위안부’를 다룬 영화는 ‘실화’에 근거했다는 수식어를 빼놓지 않는다. 김숨의 소설 『한 명』과 『흐르는 편지』 등은 증언집과 연구서 등을 각주로 달아서 이 이야기가 ‘진짜’임을 설득한다. 대중서사물은 실화와 증언이라는 근거를 바탕으로 이러한 폭력이 ‘진짜’ 있었던 일이며, 우리는 이를 기억할 책임이 있다는 것을 상기시킨다. 이 ‘진짜’와 ‘실화’의 수사에서 오히려 가려지는 것은 일본군 ‘위안부’ 운동과 그 재현을 둘러싼 고민들이다. 재현과 사실을 구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은 리얼리즘의 전제였다. 그러나 이 명제가 일본군 ‘위안부’ 서사에서는 다시 부활하는 것은 사실상 ‘위안부’ 표상에 대한 고민을 중지하는 문제와 연결된다. 일본군 ‘위안부’를 다루는 대중서사는 윤리적 책임과 할머니에 대한 연대에 기반하고 있다고 여겨지기에 ‘실화’이거나 ‘증언’이면 충분히 그 텍스트의 정치적 효과를 발휘한다고 여겨진다. 그래서 일본군 ‘위안부’를 둘러싼 한국문학/문화의 재현은 아직도 그 몸피가 너무나 작다. Since 2011, the ‘Statue of Peace’ (Pyeonghwa ui sonyeosang) has represented the ‘comfort women’, victims of the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It gained symbolic power especially after the trial of Park Yuha and the controversial agreement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over the issue in 2015. In the past, ‘comfort women’ in mass culture reproduced adult female eroticism of the body. But recent films have depicted the women as girls and grandmothers, emphasizing female solidarity and agency. The films < Return > (2016) and < Snows > highlight the friendship between the women as they become grandmothers who share their names and lives. < I can speak >(2017) and < Herstory >(2018) opened a new chapter in representations of ‘comfort women’ by depicting them as fighters, speaking up in court. Important in the various narratives is the politics of ‘authenticity’ in representations of ‘comfort women’. The narratives remind us that the violence was 'real' based on true stories and testimonies with responsibility on our part to remember them. But the emphasis on ‘truth’ and ‘authenticity’ creates an aesthetic problem in the definition of realism and raises ethical questions about representation. Realism presumes that it is impossible to differentiate between representation and the real. That this problem reemerges in narratives about ‘comfort women’ is connected to the lack of reflection about representations of ‘comfort women’. It is thought that the political effect of ‘comfort women’ narratives based on true stories and testimonies are sufficient in fulfilling any ethical responsibility and solidarity toward the women. However, the representation of ‘comfort women’ in Korean literature and culture is still too thin.

      • KCI등재

        일본군 ‘위안부’ 기념관의 ‘위안부’ 재현과 기억 정치

        김은경(Kim Eunkyung)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0 한국학연구 Vol.35 No.-

        본고는 일본군 ‘위안부’ 기념관의 ‘위안부’ 재현 방식과 서사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그것의 기억 정치를 드러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함께 일본군 ‘위안부’에 대한 재현의 한계와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본고의 분석 대상은 〈독립기념관〉의 ‘위안부’ 전시 코너와 나눔의 집의 〈일본군위안부역사관〉이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립기념관〉의 ‘위안부’ 전시는 ‘겨레의 시련’이라는 맥락에서 일본군 ‘위안부’를 재현함으로써 그들을 피해자로 위치시키고, 이를 통해 민족적 피해와 수탈의 기억을 생산해 낸다. 이는 개인의 경험과 기억을 국가와 민족으로 수렴하여 민족주의 담론을 강화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일본군 ‘위안부’의 경험이 갖는 중충성을 배제하고 식민성만을 부각하여 ‘위안부’ 여성이 민족적 피해의 상징으로 재현되는 결과를 낳는다. 둘째, 〈일본군위안부역사관〉은 ‘위안부’를 피해자로서가 아니라 현재의 ‘위안부’ 운동을 견인하는 주체적 행위자로 재현하며, 관람객이 참여하는 전시의 비중을 늘려 직접 체험하고 공감하게 하는 전략을 취한다. 또한 한일 양국을 비롯한 각국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는 민족과 국가의 경계를 넘어 평화와 연대의 전망을 보여준다. 이에, 〈일본군위안부역사관〉은 탈민족적인 대항 기억을 생산한다. 그러나 이 역시 기존의 ‘위안부’를 재현하는 전형성에 일부 기대고 있는 점 등의 문제가 있다. ‘위안부’ 전시가 ‘위안부’의 고통을 대상화하지 않고 관객이 성찰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사실을 실증하거나 계몽하려는 태도에서 벗어나 관객이 체험하고 함께 공감할 수 있는 다양한 전시 방식이 고안되어야 한다. The primary object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representation and description of the comfort women in the national memorial for the comfort women. In addition, I also aimed to display the memory which will be spread by the representation of the comfort women and to explore limitations and possibility of the represent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under the context of a 'hardship of the nation', the Independence Hall positions women as victims and provokes the remembrance of the damage of the nation. Converging personal experiences and memories with national experiences leads to ‘political excess,’ thereby hampering the formation of ‘memory of the future’ for the peace of mankind. Second, the 'Comfort women Historical Memorial' depicts the survivors as the independent agents, and reproduces the transnational counter memory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the citizens in both countries.

      • KCI등재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구제에 관한 일고(一考)

        김관원(Kim Gwanwon) 동북아역사재단 2015 東北亞歷史論叢 Vol.- No.50

        일본군‘위안부’ 문제가 한일 간 주요현안으로 불거지기 시작한 것은 일본군‘위안부’ 피해를 공개 증언한 김학순 할머니 등 일본군‘위안부’ 피해자들이 일본에서 희생자 보상청구 소송을 제기한 1991년부터다. 이때 일본 정부는 ‘위안부’ 동원에 일본군이 직간접적으로 관여했음을 인정하고 사과와 반성을 표명한 고노 담화를 발표하였다. 그리고 이를 기초로 아시아여성기금을 만들어 ‘위안부’ 피해자에 대해 ‘보상’함으로써 해결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아시아여성기금은 일본 정부가 피해 여성들에게 사죄와 배상을 해야 했음에도 위로금으로 인도적 책임을 지겠다는 것이었으므로 피해 할머니들에게 거절당해 실패하였다. 2011년 8월 헌법재판소는 한국 정부가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해 청구권협정 제3조가 정한 절차에 따라 해결하지 아니하고 있기 때문에 한국 정부의 부작위는 ‘위헌’이라고 하였다. 이 판결에 따라 한국 정부는 일본 정부에 ‘위안부’ 문제 해결을 강력히 촉구하였다. 2012년 4월 일본 정부도 절충안을 제시했으나 해결에는 이르지 못하였다. 2014년 4월 이후부터 현재까지 한일 양국은 국장급 회의를 개최하는 등 ‘위안부’ 문제의 해결을 위한 외교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와 관련해서 왜 일본 정부는 ‘위안부’ 피해자에게 ‘법적사죄’와 ‘배상’을 해야 하는지, 왜 한국 정부는 일본 정부에 해결을 요구해야 하는지, 한국인은 물론 일본인들도 알아야 한다. 그러면 한국 정부의 조치에 정당성이 있다는 것을 양국 국민은 이해할수 있을 것이며 오해도 해소될 것이다. 이 글의 목적은 일본군‘위안부’ 문제의 해결 책임은 일본 정부에 있음을 논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몇 가지 사안을 제시하고 분석한다.

      • KCI등재

        한 · 일 중 · 고교 역사 교과서의 ‘위안부’ 서술 비교

        서현주(Hyunju Seo) 한일관계사학회 2017 한일관계사연구 Vol.58 No.-

        ‘위안부’문제를 둘러싼 한 · 일 간 인식 차이는 정치 지도자들과 언론계등의 오피니언 리더들은 물론 일반 시민들 사이에서도 광범위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처럼 과거사에 대한 관련국(가해국과 피해국)의 현저히 다른 인식이 현재의 정치 · 외교 상 첨예한 갈등 요소가 되고 있을 때, 역사 교과서는 그 문제를 어떻게 서술해야 하는가? 한국과 일본의 중 · 고교 역사 교과서는 동일하게 검정제도로 발행되고 있지만, 일본군 ‘위안부’ 서술을 둘러싼 상황은 많이 다르다. 한국은 집필기준(2011년)과 교육 과정(2015년)에 일본군 ‘위안부’를 명기하고, ‘위안부’의 연령과 규모에 대한 일정한 기술 지침을 제시하는 등 서술을 강화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반면 일본은 정치 · 사회적 압력으로 관련 서술이 약화되는 추세 속에서, 학계와 관련 단체로부터 비판을 받고 있는 정부의 견해를 기술하라는 요구까지 받고 있다. 화해는 고통스런 과거를 점차 망각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식으로든 책임을 묻는 과정을 포함해야 하며, 이를 통해 가해자가 마땅히 치러야 할 대가를 치러 사태를 바로잡고 사회에 다시 통합될 수 있게 해야 한다. 이점에서 마나비샤의 중학교 교과서와 짓교출판사의 고교일본사처럼 교과서 집필자들의 고민과 분투로 일본군 ‘위안부’의 역사적 실태와 최근 동향에 대해 상당히 균형 잡힌 서술이 이루어지고 있는 사실은 분명히 평가받아야 한다. 그러나 보다 일반적이고 광범위한 수준에서 갈등을 해소하고 화해로 나아가기 위한 서술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일본의 정치 · 사회적 분위기의 변화, 그것의 제도적 결과인 검정 기준의 변경이 필요하다. 한국 사회에서 일본군 ‘위안부’는 비교적 최근에 사회적 의제로 등장해서 진상이 밝혀지고 있는 과정에 있기 때문에 잘못 알려진 부분과 오해, 편견 등이 적지 않다. 이런 요인들로 인해 형성된 선입견-근로정신대와 일본군 ‘위안부’의 관계 등-에서 벗어나고, 한일관계만이 아닌 보다 보편적인 관점에서, 현재 세계 도처에서 자행되고 있는 여성에 대한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폭력의 역사적 선례로서 이 문제를 서술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한국과 일본의 교과서 집필자들이 양국 교과서의 관련 내용을 검토하고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어떻게 기술한 것인가에 대해 논의하여, 이에 대한 서술 권고안을 마련해 볼 필요도 있다. 12.28 한일 합의를 둘러싸고 양국 정부 사이의 이견이 확대되고 있는 지금, 민간 차원의 이러한 활동이 갈등을 해소하고 화해로 나아가는 긴 도정의 마중물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해방 후 중국 上海지역 일본군 ‘위안부’의 집단수용과 귀환

        황선익(Hwang, Sun-ik)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6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54

        아시아·태평양 지역으로 침략전선을 확대해간 일본제국주의는 치밀하게 일본군 ‘위안부’를 강제동원했지만, 전쟁 종결 후 이들을 현지에 방치했다. 일본의 책임방기로 인해 일본군 ‘위안부’는 종전의 소용돌이에 내던져졌다. 그런 가운데 이들이 어떤 환경 속에서 해방을 겪었는지조차 제대로 파악되지 못했다. 이 논문은 중국 상해지역에 수용되었던 한인 여성들을 통해 일본군 ‘위안부’가 처한 해방의 현실을 규명하고자 했다. 전쟁 종결 당시 중국에 있던 일본군 ‘위안부’는 ‘일반 한인[韓僑]’로 구분되어 처리되었다. 대부분의 여성들은 일반인과 마찬가지로 거주지 인근의 항구에 집결된 후 1946년 이후 귀환하거나 중국에 잔류하였다. 이때 귀환하지 않고 현지에 일시 체류하고 있던 여성들에게는 혹독한 ‘이력조사’ 혹은 ‘거주조사’ 등이 뒤따랐고, 이들 중 일부는 ‘풍기문란’ 등을 이유로 강제수용당하다가 송환되었다. 중일전쟁 이후 일본군의 교두보였던 상해(上海)는 친일한인의 경제적 거점이 되었다. 1945년 8월 무렵 상해에는 약 5천명의 일반 교민과 귀국 하기 위해 화중(華中)지역에서 몰려든 한인들로 북적였다. 이 중에는 일본군 ‘위안부’로 동원되었다가 현지에 방치된 여성들도 있었다. 이때 한 국부녀공제회는 이들을 ‘구호갱생’시킨다며 여성들을 집단수용했지만, 사실 공제회는 과거 위안업자 등이 간여하고 있었다. 결국 한인 여성들은 전쟁이 끝난 후에도 ‘업자’에게 휘둘리며 해방되지 못했다. 부녀공제회에 수용되었던 여성들은 1946년 3월부터 한국광복군 주호잠편지대와 함께 귀환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일부는 귀환을 포기하고 상 해거리를 전전하다가 현지 당국의 통제를 받기도 했다. 또 일부는 귀향을 주저하며 현지인과 결혼하기도 했다. 전쟁 종결과 함께 일본제국주의로부터 벗어난 여성들은 역설적으로 해방과 혼돈의 교차점에 방치되어 어떠한 보호와 보상도 받지 못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