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시대 한중일(韓中日) 관계와 상호인식(相互認識)의 추이

        한명기 ( Han Myunggi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0 한국학연구 Vol.0 No.57

        원대 이전까지 중국의 일본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이었다. 견당사 등으로 왔던 일본 관인, 승려들과의 접촉 경험을 통해 일본을 ‘예의지국’, ‘군자지국’으로 보았다. 하지만 왜구가 발호하면서 중국의 대일인식은 몹시 부정적으로 바뀐다. 조선도 14세기 중반 이후 극심한 왜구의 침략을 겪으면서 일본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고조되었다. 15세기 회유책이 효과를 발휘하여 왜구가 잦아지면서 일본에 대한 인식은 바뀌는 조짐을 보인다. 그런데 조선은 大國으로 자처하면서 일본에 대해 문화적 우월감을 드러냈다. 조일 양국의 상호 인식과 태도를 규정하는 바탕에는 양국의 명에 대한 태도와 인식의 차이가 자리 잡고 있었다. 15~16세기 조선 지식인들은 명과의 빈번한 접촉과 친연성을 바탕으로 일본에 대한 우월의식을 드러냈다. 일본은 神國임을 내세우면서 명에 대해 맞서거나 사대를 거부하는 ‘자주적인’ 자세를 바탕으로 조선을 멸시하려고 덤볐다. 임진왜란을 계기로 조명관계에서는 전쟁 이전의 事大와 字小를 표방했던 ‘軟性的인 관계’가 사라졌다. 명은 왜란을 계기로 자신들의 안보가 위협받자 조선에 대해 거칠고 부정적인 태도와 인식을 드러냈다. 왜란 이후 조선은 명을 ‘再造의 恩人’으로, 일본을 ‘萬世의 怨讐’로 규정했다. 또 전쟁 기간 일본의 武力과 잔학함을 목도하면서 일본에 대한 두려움도 확실히 지니게 되었다. 정묘, 병자호란 이후 조선에서는 일본을 ‘원수’가 아니라 청에 맞서기 위해 협력해야 할 우방으로 여기는 인식이 싹텄다. 명 또한 청의 위협에 맞서 조선이 일본과 협력하여 청을 견제해 주기를 기대했다. 19세기 들어 일본에서는 정한론이 대두된다. 실제로 일본의 힘이 다시 커지고 조선에 대한 위협이 증대하면서 청의 위기의식도 고조된다. 운양호 사건, 임오군란을 겪으면서 청의 양무관료들은 조선을 구미 열강과 立約하도록 勸導하는 한편 조선을 직할령으로 통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 와중에 흥선대원군을 납치하고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을 강압적으로 체결하고, 원세개의 독단적인 행보까지 더해지면서 19세기 후반 조선에서는 반청감정이 비등해질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다. 명과 청은 조선을 ‘충순한 번국’이란 운운했지만 일본이 양국 관계에 끼어들 경우 조선에 대해 거칠고 강퍅한 태도와 부정적인 인식을 드러냈다. 15세기 명의 신료들이 조선과 일본의 접촉에 신경질적인 반응을 보였던 것, 임진왜란 시기 명군 지휘부가 조선에 대한 직할통치론을 주장했던 것, 임오군란 이후 청의 양무관료들이 조선을 속방으로 만들려고 했던 것 등이 그 생생한 실례였다. 1894년 청일전쟁을 계기로 조선에서는 排日, 斥日論이 확산되고 대다수 관료와 민인들이 청군의 승리를 전망하거나 희구했다. 청이 패하자 조선에서는 당혹감과 함께 청의 허약한 실상에 대한 객관적인 인식이 대두했다. 청의 지식인들도 패전을 계기로 일본을 배워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었다. 조선시대 한국인들의 중국 인식과 일본 인식은 ‘끼여 있는 존재’라는 한반도의 지정학적 조건과 안보 상황 속에서 형성되었다. 나아가 그것은 한반도를 둘러싼 중일 양국의 역학 관계의 추이를 비롯한 상황의 변화에 따라 서로 길항하고 연동되는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The three countries of Korea, China and Japan are often referred to as the “Chinese Character Culture Zone” and “Confucian Culture Zone” or “Sinosphere” to emphasize the cultural commonality of the three countries. However, in the past, the interactions and exchanges between the people of the three kingdoms were cut off. This was because all three countries strictly forbade the movement of their subjects between the respective countries. Under this restriction, it was impossible for the majority of the residents, except for the envoys, interpreters, and some merchants, to contact people in other countries. The Chinese perception of Japan was positive before the advent of the Yuan Dynasty. Through contact with Japanese officials and monks who had been envoys, Japan was regarded as a “country of courtesy” and a “country of virtues”. However, Japanese pirates became a major problem for China by the end of the Yuan dynasty, China's perception of Japan became the opposite. The Joseon Dynasty in the late 14 <sup>th</sup> century, also suffered heavily from frequent invasions of the Japanese pirates, started to regard the Japanese with contempt. This antagonistic sentiment is shown in the terms that were used to describe Japan such as “The Island Barbarians”, “The Japanese Enemy” and “The Wicked Scoundrels”. However, since the middle of the 15 <sup>th</sup> century, the ensuing success of the policy of appeasement with the Japanese pirates and the resulting decrease of the invasions, the Korean perception of the Japanese changed, this time for the better. However, Joseon's attitude that they were a Great country and Japan was a subordinate nation continued as before . Joseon Dynasty in the 15 <sup>th</sup> century, had frequent contacts with the Japanese nation while concealing them from the paternal Ming dynasty. The Ming Dynasty did in fact were opposed to Joseon having communication with Japan. 15<sup> th</sup> to 16 <sup>th</sup> century intellectuals of Joseon touted that Joseon was the “most loyal subjectnation” to the Ming Dynasty and the “honoured pupil of the Great Chinese Civilisation” therefore they treated Japan as “barbarians” and a “country yetto-be-reformed”. On the other hand, Japan asserted itself as a “God's nation”, and rejected being a tributary state to the Ming Dynasty and scorned the Joseon Dynasty. The geographical difference between Joseon and Japan in relation to China, that Joseon peninsula(the Korean peninsula) is attached to the Chinese continent and Japan is separated from the Asian mainland by ocean, caused the difference in their attitude and perception towards China and this furthermore affected the mutual perceptions they had of each other. In the wake of the Japanese invasions of Korea (Imjin War 1592-1598) contacts between peoples of the three kingdoms increased explosively. First of all, after the war, the mutual perceptions of Joseon and Ming revealed a new face. As the military and geopolitical importance of Joseon emerged after the war, Ming recognised Joseon as their “front” and “defense base”. Ming pressured Joseon and even planned to colonise it. On the other hand, after the war, the Joseon Dynasty recognised the Ming Dynasty as “saviours” despite the serious havoc the military of Ming created in Joseon. But then, they perceived Japan as an “eternal enemy”. In addition, the Joseon Dynasty experienced the formidable prowess of the armed forces of Japan through the war which raised fears. It was through the Imjin War that hostility and fear toward Japan were made to coexist. With the replacement of the Ming Dynasty with the Qing Dynasty, the mutual perceptions of Joseon and Ming, and Joseon's perception of Japan showed signs of change. In particular, through the Later Jin invasion of Joseon (Jeongmyo-Horan 1627) and the Qing invasion of Joseon (ByeongJa-Horan 1636-1637) their perception towards Japan showed sings of change. Some intellectuals began to perceive Japan as an ally to cooperate with in the fight against the “barbarian forces of Qing”, not “the eternal enemy” they once thought Japan was. In the 19th century, the approaching threat of the West gave impetus to Japan's national defence efforts and they were of the opinion that Korea had to be conquered. Indeed, as Japan's power grew again, Qing's sense of crisis toward Japan also grew. In particular, some of Qing's officials who believed that Japan conquering Joseon would prove to be dangerous for Qing, argued that Joseon should be ruled directly. In 1882, during the riots of Joseon soldiers, Qing militarily intervened in the country, established military rule and attempted to make Korea a colony. The situation changed after the First Sino-Japanese War (1894-1895). Anti-Japanese sentiment spread in Joseon as Japan occupied the Gyeongbokgung Palace, oppressed peasant forces and attempted to colonise Joseon. During the war, the Qing Dynasty was overwhelmed in the face of the superior force of Japan, but many intellectuals in Joseon hoped for the victory of the Qing. However, when Qing was defeated in the First Sino-Japanese War, Joseon through embarrassment was forced to recognise Qing's waning power over the East. Qing's intellectuals also recognised that through the loss of the war they were to learn from Japan. In conclusion, Korean perceptions of the Japanese and of the Chinese during the era of Joseon Dynasty were formed under the geopolitical conditions and security conditions of the Korean Peninsula, which is sandwiched between the Chinese continent and the Japanese archipelago. And they appeared to antagonise or facilitate each other depending on the changes of relationship and situations between Korea and the two countries of China and Japan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mutual perceptions, “country of courtesy”, “country of virtues”, Japanese pirates, the “most loyal subjectnation” to the Ming Dynasty, Imjin War, “defense base”, “the eternal enemy”, the Later Jin invasion of Joseon, ‘the situation sandwiched between the Chinese continent and the Japanese archipelago’

      • KCI등재

        장애개념의 다중패러다임을 적용한 장애인스포츠인식척도 개발

        서은철 ( Eun Chul Seo ),김지태 ( Ji Tae Kim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5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3 No.1

        이 연구는 Priestley(1998)가 제시한 장애개념의 다중패러다임 이론을 적용하여 비장애인의 장애인스포츠에 대한 인식을 측정할 수 있는 장애인스포츠인식척도(Disability Sports Awareness Scale: DSAS)를 개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Messick(1995)의 통합적 타당도, Benson(1998)의 강력한 구인타당도 프로그램 틀, Wolfe와 Smith(2007a, 2007b)가 제안한 Rasch 모형의 통합적 타당도 구현방법을 종합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통합적 타당도 분석 틀을 제시하였고, 이를 각 단계로 나누어 장애인스포츠인식척도의 타당도 증거를 체계적으로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토대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스포츠인식척도는 통합적 타당도의 실제영역에 대한 증거를 제시하였다. 개발된 장애인스포츠인식척도는 ‘장애인스포츠의 가치를 바라볼 때 재현되는 장애개념에 대한 인식’으로 정의되고, 장애인스포츠와 연계된 장애개념을 측정·평가할 수 있는 준거를 제시하였다. 둘째, 장애인스포츠인식척도는 통합적 타당도의 구조영역에 대한 증거를 제시하였다. 개발된 장애인스포츠인식척도의 요인구조(개인손상차원, 개인심리차원, 사회체제차원, 사회문화차원)는 통계적으로 구분됨과 동시에, 장애개념의 다중패러다임 이론을 안정적으로 반영하였다. 셋째, 장애인스포츠인식척도는 통합적 타당도의 외적 영역에 대한 증거를 제시하였다. 개발된 장애인스포츠인식척도의 G요인(장애인스포츠인식), 사회문화차원이 증가하면, 장애편견은 감소하였다. 그러나 개인손상차원이 증가하면, 장애편견 역시 증가하였다. 이상을 토대로 이 연구에서는 장애인스포츠인식척도의 이론적·경험적 시사점을 제시하였고, 이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향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Disability Sports Awareness Scale (DSAD) which measures the awareness of people without disabilities toward disability sports by using the Multi-Paradigm of Disability Concept suggested by Priestley (1998) and Latent Variable Modeling. For this study, the analytic framework of unified validity developed by Messick (1995), the framework for conducting a strong program of construct validation by Benson (1998), and the unified validity implementation method of Rasch model suggested by Wolfe and Smith (2007a, 2007b) were provided. Furthermore, after dividing the developed analytic framework into each stage, the evidence of validity of the Disability Sports Awareness Scale (DSAD) was systematically suggested. Results indicated that the DSAS suggests evidences about the substantive domain of unified validity. The developed DSAS was defined as ‘the reenacted awareness toward the concept of a disability when the value of disability sports is expected’, and suggested the criterion which measures and evaluates the concept of disability associated with disability sports. The DSAS suggests the evidence related to the structural domain of unified validity. The factor structure (individual injury dimension, individual psychology dimension, social system dimension, social culture dimension) of the DSAS was statistically divided, and stably reflected the Multi-Paradigm of Disability Concept. The DSAS suggests evidences related to the external domain of unified validity. When the developed DSAS`s G factor and social culture dimension increased, the stereotype of disability decreased. However, the stereotype of disability also increased when an individual injury dimension increased.

      • KCI등재

        바슐라르의 '단절' 개념에 대한 세 물음과 그 해명

        김윤재(Yun-Jae Kim),박치완(Tchi-Wan Park)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0 철학탐구 Vol.27 No.-

        바슐라르의 인식론을 검토하고자 하는 본 연구는 그의 ‘단절(la rupture)"이라는 개념을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의 단절 개념은 인식론 관련 저작의 처음부터 끝까지 등장하면서 다듬어지고 복잡화되는 개념이다. 그 만큼 단절 개념은 실제 그의 인식론적 체계 내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고, 또 그런 만큼 그의 인식론 전체를 조망하기 위해서도 반드시 연구되어야 할 개념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단절 개념과 함께 바슐라르 인식론 전체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표인 바 우리는 이를 다음과 같이 셋으로(<어디에서>, <무엇과>, <무엇을 통해>)세분화시켜 그 물음과 해명을 이제까지의 논의들과는 다른 해석을 시도해보고자 한다. <어디에서>라는 물음을 통해서는 바슐라르가 그 시대의 사람들에게 주요하게 받아들여진 실증주의적인 관점의 과학의 역사 해석, 즉 일반과학(und science general)"이라는 이념에 입각하여 점진적인 확장과 발전으로서 과학의 역사를 받아들이는 입장에서 어떻게 맞서는지를 확인하게 될 것이다. 바슐라르는 당시의 과학적 성과가 보인 혁신적 이행, 즉 기존의 이론이 새로운 이론과 시간적 선후관계나 인과적인 관계를 맺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이론들은 기존의 이론으로부터 단절되어 나타나며, 기존의 이론들은 이를 통해 새로운 이론들에 의해 재평가되고 새로운 이론적 틀에서 재배치된다는 점을 강조한다. <무엇과>의 단절이라는 물음을 통해서는 바슐라르 인식론의 독특한 개념인 ‘인식론적 장애(I"obstacle epistemologique)와 우리가 어떻게 거리를 두어야 하는지를 보게 될 것인데, 특히 여기서는 상식과 최초의 관찰과의 단절이 강조된다. 바슐라르에 따르면 새로운 과학적 이론을 받아들임에 있어, 대상에 대해 갖고 있는 최초의 관찰이나 기존의 과학적 지식이 일반화된 상태인 상식은 대개가 장애로 작동한다는 것이다. 때문에 우리가 새로운 과학 이론을 받아들이기 위해서는 최초의 관찰 결과나 기존의 상식과 반드시 단절해야만 한다는 것. 마지막으로 <무엇을 통해>라는 물음을 통해서는 현대 과학이 어떻게 인간의 일상적인 인식과 구분되어 과학적 인식에 도달하는지를 검토하게 될 것이다. 현대 과학은 새로운 실험 기술들을 통해 과학적 대상에 간접적인 접근을 시도한다. 그렇다고 해서 새로운 실험 기술들에 의해서만 현대 과학의 성과들이 산출되는 것은 아니다. 이 성과들은 이론적 사유, 즉 실험에 대한 창조적 기획과 실험 도구가 맞물려 이루어진다. 그렇기에 현대 과학의 대상들은 우리에게 주어진 것이 아니라, 우리가 그것을 창안하는 것임을 살펴보게 될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우리는 위 세 물음과 해명이 곧 바슐라르 인식론의 ‘역동성’을 구성한다는 것을 밝히면서, 이러한 역동성이야말로 바슐라르 인식론 전체에서 작동되는 ‘운동’ 그 자체라는 점을 강조해보고자 한다. To study Bachelard’s epistemology, this article takes the concept of ‘la rupture’ as theme. As the rupture has been continuously grown up by adjusted and complicated through whole of his works of epistemology, the importance of the rupture in his epistemology proves that rupture is the most suitable tool to overview his entire epistemology itself. So this article consists of three questions about the rupture and its explanations. The rupture <from where>, <from what>, <by what> are the questions. Through the question of <from where>, we can see what is the critique of Bachelard about the positivist’s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natural science. That understanding is based on the idea of the general science(une science du general), that the history of natural science has been gradually expanded and developed. On the contrary, Bachelard emphasizes the history of natural science as renovative and continuous movement. In the modern physics, the former theory hasn`t any causal relation to a latter theory. Rather, the former has been revaluated by the latter, and relocated in the new theoretical system. On the question of <from what>, we will see that rupture from a epistemological obstacle, as a unique concept of Bachelard’s epistemology, especially we will treat rupture of the common sense and the prior or the first view. To accept an outcome of new theory of natural science, the common sense and the first view work as the epistemological obstacle. Bachelard insists on that if we want to accept a new theory of natural science, we must rupture from the first view and the common sense, because a new theory has no theoretical relation to the former theory. On the question of <by what>, we will see that how the contemporary science makes difference between connaissance commune and connaissance scienfitique. The contemporary science indirectly accesses to scientific object by new experimental instrument. But it is not that a outcome of contemporary science is produced only by new experimental instrument. That outcome has been produced by the ensemble of the theoretical thought, in other words, the creative plan about an experiment and the experimental instrument. by these reasons, we will see that the object of contemporary science is not given to us, but created by us. In conclusion, we claim that questions the rupture <from where>, <from what>, <by what>, and explanations of three aspects of rupture are summarized to the dynamic of Bachelard’s epistemology. We conclude the dynamic, that is the movement what operates in his epistemology.

      • KCI등재

        인식론적 수반과 자연화된 인식론

        이종왕 새한철학회 2012 哲學論叢 Vol.69 No.3

        이 논문의 주된 목적은 어떻게 믿음이 참이 되기 위해서 정당화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이해에 기여하는 것이다. 하지만 필자는 이런 기여를 어떻게 인식론적 용어들이나 속성들이 이 세계에 닻을 내리고 있는가에 대한 논점을 심도 있게 검토하면서 달성하려고 한다. 이런 의미에서 이 논문의 주장은 인식론적 정당화의 어떤 이론과도 중립적인 위치를 차지 한다고 말할 수 있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 필자는 먼저 인식론적 속성들이 자연적인 속성들에 의해 결정되고 또는 그들 위에 의존되어 있다고 주장하면서, 동시에 김재권에 의해서 확립되었던 수반(supervenience)개념을 간략하게 제시하고 검토할 것이다. 더 나아가서 인식론적 수반(epistemic supervenience)개념의 가능성을 도덕수반(moral supervenience)개념에 대한 김의 기술적인 논변을 이 인식론적 수반이란 개념에 응용함으로써 발전시키려고 노력할 것이다. 이렇게 하면서 필자가 의지해서 보이고자 하는 하나의 개념은 바로 자연적 속성들이 인식론적 속성들을 비대칭적으로(asymmetrically) 결정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바로 참의존(genuine dependency) 개념이며 이 논문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 개념은 저명한 철학자인 폴란드에 의해서 구성되었다. 이 논문은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필자는 용어 "정당화된(justified)"을 분석하면서 검토할 것이다. 두 번째 부분에서 필자는 도덕적인 속성들의 경우처럼 이 "정당화된" 더 나아가서 인식론적 속성들이 사실/가치의 간극(fact-value gap)의 문제에 연루되어 있는데 그것은 그들이 바로 평가적인 속성들(evaluative properties)이기 때문이라고 주장할 것이다. 그렇게 하면서 인식론적 속성들과 도덕적인 속성들 사이에 유추관계가 있다고 주장할 것이다. 마지막 두 부분에서는 주로 인식론적 수반개념을 확립하는데 집중할 것이다. 그래서 세 번째 부분에서는 인식론적 수반의 경우가 가치론(value theory)에서 문제가 되는 수반의 경우와 유사하다고 주장할 것이다. 마지막 부분에서는 인식론적 속성들이 자연적인 속성들에 강하게 수반한다는 것을 김의 도덕수반에 대한 기술적인 논의를 응용하면서 주장할 것이다. 그렇게 한 후 필자는 만약 인식론적인 것들과 자연적인 것들 사이에 참의존 관계가 존재한다면 이것이 바로 자연화된 인식론(naturlaized epistemology)의 정당성을 입증하는 것이라 주장할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how or in what way beliefs must be justified in order for them to be true; the understanding of how epistemic terms or properties are anchored in the world is examined. Hence the claim of this paper is neutral with respect to any doctrine of epistemic justification. In particular, in claiming that epistemic properties are determined by, or dependent upon, natural properties, the concept of supervenience espoused by Jaegwon Kim is presented and examined. Furthermore, the concept of supervenience concerning epistemic superveninece is develped, by applying Kim's technical claim about moral supervenience to the possibility of spistemic supervenience, in a way that shows that natural properties strongly and asymmetrically determine epistemic properties. This paper consists of four sections. In the first section of this paper, I examine the term "justified" by analyzing it. In the second section, I claim that, like the case of ethical properties, the term "justified," and furthermore, epistemic properties, are committed to the matter of fact-value gap because they are evaluative properties; in so doing, it is claimed that there is an analogy between epistemic properties and moral properties. In the final two sections, I concentrate on the concept of epistemic supervenience: In the third section, I hold that the case of supervenience is analogous to the case of supervenience in value theory, and, in the final section, after claiming that epistemic properties strongly supervene on natural properties by applying Kim's technical claim about moral supervenience to epistemic supervenience, I argue that, if the so called genuine dependency exists between the epistemic and the natural, then it is possible that it vindicates naturalized epistemology.

      • 제1차~제7차 교육과정기 국사교과서에 나타난 고대 영토사 인식의 변화

        李富五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0 한국고대사탐구 Vol.4 No.-

        본고는 교육과정 시행 이후 고대 영토사 인식에 대한 국사교과서 서술의 변화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교과서 서술의 개선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1956년부터 검정제로 발행된 제1차 교육과정 국사교과서에서는 민족적 과업을 강조하는 교육정책으로 인해 민족주의적 영토사 인식이 강조되었다. 이와 함께 실증주의가 국가별로 차별적으로 적용되었고, 식민사학적 흔적도 남아 있었다. 1968년부터 발행된 제2차 교육과정 국사교과서는 이러한 문제를 안은 채 민족주의적 영토사 인식을 좀 더 강화한 반면, 실증주의적 인식을 상대적으로 약화시켰다. 여기에는 교육정책에 대한 군사정부의 의지가 크게 작용했다. 이에 따라 교과서들의 영토사 인식은 순치화하는 경향을 보였다. 1974년 국정제가 실시되면서 국민적 일체감을 조성하려는 정책적 의도에 따라 국사교과서는 민족적 긍지를 유난히 강조했다. 이에 따라 민족주의적 영토사 인식을 더욱 크게 강조하여 일부 내용에서 다소 비약을 가하기도 했다 제 . 5차 제7차 교육과정 교과서에서는 민족주의를 조장하려는 정책적 의지는 크게 약화되었다. 그러나 국가정체성의 확보를 위해 민족주의적 영토사 인식을 여전히 유지할 뿐만 아니라 내용적으로 더욱 심화시켜 왔다. 실증주의적 인식은 여전히 차별적으로 적용되었다. 교육과정기 국사교과서의 영토사 인식 변화는 주로 정치적 의도에 따라 교육정책이 영향을 받은 결과였다. 고대 영토사에 대한 연구성과는 세부내용을 수정하는 데 머물렀다. 이는 교육적 정당성과 학문적 타당성이라는 기준에서 볼 때 적절하지 않은 방향이었다. 앞으로 교과서에서는 학문적 근거를 담보하지 않은 민족주의적 영토사 인식을 지양하는 한편, 실증주의적 요소를 국가별로 고르게 적용해야한다.

      • KCI등재

        니야야 학파의 인식수단과 인식결과에 대한 지넨드라붓디의 검증

        박기열 ( Park Ki Yeal ) 인도철학회 2018 印度哲學 Vol.0 No.52

        본고는 디그나가의 『집량론·자주』(PSV Ⅰ) 「직접지각」장: kk. 19c-20에 상당하는 지넨드라붓디의 『집량론·복주』(PST): pp. 112.12~117.4)에 대한 번역 및 분석이다. 서론에서는 본고의 이해를 돕기 위해 PSV 해당 개소의 번역과 개요를 서술하였다. 내용은 PSV Ⅰ중에서 니야야 학파의 지각의 정의에 대한 검증 중에 후반부, 인식수단과 인식결과에 대한 디그나가의 검정과 지넨드라붓디의 주석이다. 니야야 학파는 인식수단과 인식결과는 상이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디그나가는 그 두 가지의 인식요소들이 서로 다르다고 한다면, 각각은 서로 다른 인식대상을 가져야만 하지만, 그것은 실질적으로 모순이라는 취지 아래, 니야야 학파의 반론들을 차례차례 논파해 나간다. PST에서는 PSV에 대한 주석 이외에 지넨드라붓디의 독자적인 해설과 논증식이 보인다. 파니니 문법에 기반한 구문 분석과 다르마키르티의 변충의 일종인 비존재(=비인식)를 증인으로 내세워 귀류환원법과 반소증거척법을 이용하여 불교 측의 주장을 입증하는 동시에 니야야 학파의 주장을 거척한다. 결론적으로 디그나가의 주장과 지넨드라붓디의 주석은 어떤 하나의 인식대상을 기반으로 한 인식수단과 인식결과의 동일성, 즉 자기인식설을 입증하고 있다. This research is translation in Korean and the analysis on Jinendrabuddhi’s PramanasamuccayaTika (PST ) Ⅰ 112.12-117.4, commenting to Dignaga’s Pramanasamuccaya (PSV ) Ⅰ kk. 19c-20 and svavrtti. The PSV is translated in Introduction to help to understand Jinenedrabuddhi’s point in the body of the paper. The contents of the paper are on examination of the means of cognition(pramana) and result(phala) of Nyaya school in PSV Ⅰ and Jinendrabuddhi’s comments. Nyaya school insists the result of cognition is different from the means of cognition. Dignaga says, however, if the two elements of cognition were separated each other, they should have different objects of cognitions, but it is contradictory against the real cognitive. He disputes in turn the objections of Nyaya school. In PST, there are some Jinenedrabuddhi’s own line of explanation and syllogism besides the comment to Dignaga’s words or compounds. Jinendrabuddhi excludes Nyaya’s objections and proves Buddhist position through analyzing syntaxes based on Panini and using prasangaviparyaya or sadhyaviparyate badhakapramana including reason(hetu) with vyapakaviruddha or viruddhavyapta, a kind of anupalabuddhi- s in Dharmkirti’s anumana theory. In the final analysis of Dignaga and Jinendrabuddhi, they establish the theory of self-awareness(svadhigama, sva-samvitti ) based on whether the means of cognition and its result have the same object of cognition or not.

      • KCI등재

        장자 철학에서 인식의 본질과 그 깨어남에 대한 고찰

        송정애(Song, Jung Ae) 새한철학회 2015 哲學論叢 Vol.81 No.3

        기계화 · 기술화는 인간 또한 ‘소비사회’ 의 동력으로써 한 방향을 향해 쉼 없이 작동하도록 하는 데 기여하였다. 기호화된 욕망에 길들여진 자기 자신을 알아채지도 못한 채, 인간이 바로 기계가 되어버린 것이다. 인간이 인간일 수 있는 가장 뚜렷한 특징은 변화가능성이다. 이때의 변화는 인식의 변화를 의미한다. 따라서 인간으로서의 삶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인식의 본질과 그 변화의 방법을 탐구하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변화의 철학이라고 일컬어지는 장자의 철학을 연구하는 것은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장자가 생각하는 변화가 필요한 인식은 ‘지知’ ‘성심成心’ 에 의한 인식이다. 지와 성심은 자아와 타자의 나누어짐에서 비롯된 대상화되고 주체화된 인식이며, 외부 세계에 대한 지식을 구조화하듯 자아 내부를 구조화하는 인식이다. 이처럼 외부 세계에 맞춰진 인식 형식이 본질적 인식을 막아버린다. 장자가 본 인식의 본질은 ‘무위無爲’ 이다. 무위는 ‘무기無己’ 의 상태, ‘견독見獨’ 의 상태에서의 작용인데, 이는 대대對待 관계를 벗어난 인식이자, 정해진 형식이나 구조가 없는 ‘혼돈混沌’ 상태의 걸림이 없는 인식이다. 무위한 인식은 연장되지 않고 ‘끊어짐’ 이 있는데, 결코 ‘끊음’ 이 아니다. 끊음은 유위이기 때문이다. 유위의 인식에서 무위의 인식으로 변화하는 과정은 장자의 ‘꿈이야기’에서 잘 드러난다. 이 이야기에는 두 번의 꿈과 깨어남이 있다. 꿈에서 깨어 자기를 나비로 인식한 것은 현실성의 측면에서 환등상을 인식한 것이고, 장주임을 인식한 것은 현존의 상태인 환등상을 인식한 것이다. 이러한 환등상을 인식하자 그에게는 의혹이 일어난다. 그리고 그 의혹을 ‘장주가 꿈에 나비가 된 것인가. 나비가 꿈에 장주가 된 것인가’ 라는 정확한 물음으로 명확하게 인식하여 표현함으로써 모든 것이 ‘물화物化’ 임을 깨달으며 참으로 깨어난다. 인식의 변화는 이러한 ‘깨어남’ 으로 은유될 수 있다. 깨어남을 위한 요건은 불안과 두려움에 대한 자각, 그로 인한 의혹, 정확한 물음, 자기 본연의 모습을 봄, 기존 인식 방식의 그침, 본질적 인식 작용으로서의 통함, 그에 대한 믿음[확신]과 얻음이다. 이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지극히 능동적인 ‘물음’ 이라고 할 수 있겠다. 물음을 통해서만이 ‘대불혹大不惑’에 이를 수 있기 때문이다. 대불혹의 상태, 기존 인식 방식이 멈춘 상태에서 ‘직관’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이러한 직관의 상태가 진정한 ‘생명’ 이요, 그러한 존재가 엄정한 의미에서의 ‘인간’ 이다. 인간으로 살기 위해서 우리는 변화해야 할 숙제 앞에 놓여있는 것이다. Mechanization and technicalization contributed to that people work with no pauses toward one direction as power of ‘a society of consumption(La societe de consommation)’. People did not sense themselves trained by a symbolized desire, and became a machine. The clearest characteristic of human to be human is the potential for change. This change means the change of cognition. Chuang-tzu urged to stop an objectified and discretized cognition, and a structuralized cognition, and to turn into ‘doing nothing’, an essential cognition. ‘Doing nothing’ is a cognition that human being stands alone without leaning and stumbling over by cognizing ‘absence of ego’. Inactive judgment or verbal expression is conducted by knowing a simple reason ‘That is from this, and this is from that’, because judgment or language has no fixed true nature but coincides relatively and mutually-exclusively. A process to turn into such cognition of ‘doing nothing’ can be known through a dream story of Chuang-tzu. There are two dreams and waking up in this story. After a dream, Chuang-tzu said he is a butterfly, because he cognized pantasmagorie in an aspect of reality. He realized that he is Chuang-tzu, because he cognized pantasmagorie, an existing condition. Chuang-tzu realized by doubting whether he is Chuang-tzu or a butterfly so asking. The change of cognition can be metaphorically expressed by ‘awakening’. Requirements for ‘awakening’ are ‘having a doubt’ by realizing anxiety and fear, ‘asking’, ‘seeing’ true character, ‘stopping’ an existing cognition, and ‘getting’ to be the very thing by conviction. The point of such ‘awakening’ can be an extremely active ‘asking’. Through this, ‘intuition’ becomes feasible. Such condition with intuition is a real ‘life’, and such existence is a ‘human being’ in the strict sense of the world. We are in front of a task ‘change’ to live like a human being.

      • KCI등재

        미국 판례상 집단인식에 의한 법인책임의 법리 연구

        안성조(Ahn Seong-Jo)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법학연구 Vol.50 No.1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기업규제의 목소리가 높아져 가고 있는 가운데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법인 고유의 범죄의사를 인정해 법인의 형사책임을 구성하려는 이론적 시도가 거세지고 있는 바, 본고에서는 그러한 논의 중 미국 판례상 발달, 적용되고 있는 집단인식의 법리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집단인식의 법리란 회사 종업원의 개별 인식들이 합해지면, 비록 그 각각의 인식은 처벌할 수 없는 무책한(innocent) 것이라 하더라도 - 법인의 주관적 범죄성립요소인 'mens rea(범의)’를 구성할 수 있다는 법리이다. 그동안 우리나라에도 몇몇 연구자들에 의해 집단인식의 법리가 간략히 소개된 바가 있었으나, 집중적인 연구성과가 아니라 단편적 개념 및 사례의 소개에 그쳤고, 약간의 오해되고 있는 측면도 있었다. 첫 번째 오해는, 집단인식의 법리가 주류적인 위치를 차지하지 못하고 예외적인 판례에 불과하다는 인식이다. 그러나 이것은 분명 잘못된 평가고, 오해다. 미국 내 많은 연구문헌들이 지적하고 있듯이 집단인식 법리는 법인의 '조직적' 고의를 인정하려는 다수의 판례에 의해 인정되고 있는 최근의 경향이고, 따라서 현실적으로 미국 내에서 기업활동을 하고 있는 외국 기업들이라면 분명히 유념하고 있어야 할 법리인 것이다. 두 번째 오해는 도대체 어떻게 개인의 무책한 인식이 총합이 법인에게 귀속될 수 있는가에 대해 충분하게 이해되고 있지 못하다는 점이다. 즉, "책임을 근거짓기 불충분한" 또는 "발생한 범죄에 대한 인식으로 인정하기 어려운" "무책한 인식”이란 어떤 경우를 의미하는 것인가? 또한 그러한 인식내용이 합해진다고 해서 어떻게 범죄사실의 인식이 되는지에 대해 납득할 만한 해명이 되고 있지 않았다. 그것이 합해져 법인의 범의(mens rea)를 인정하게 되는 '무책한 인식’이란 "전체 범죄사실의 인식”에 필요한 어느 한 단계(facet)다. 예컨대 기준치 이상의 환경오염물질을 배출한 어느 기업의 법인책임은 그 회사 종업원 중 누군가가 어느 물질이 기준치 이상의 환경오염물질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고(facet 1), 다른 누군가는 그 물질의 배출사실을 알고 있었으며(facet 2), 또 다른 누군가는 그러한 행위가 위법하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 경우(facet 3), 각각의 종업원의 인식을 회사의 인식으로 귀속시킨다면 그 회사는 환경오염물질의 불법배출사실을 알고 있는 것이 된다(facet 1+2+3=범죄사실의 인식). 이밖에 본 논문은 집단인식 법리를 탄생시킨 리딩케이스들과, 고도 자본주의 사회에서 기업구조가 거대화, 복잡화 되면서 유책한 책임자를 찾아내기 힘든 구조로 기업의 내부구조가 변모된 것을 배경으로 형성된 법리라는 점, 그리고 동 법리는 기소를 수월하게 하는 실천적 유용성이 있는데 반해 위헌적 요소라는 법리적 한계 가 있다는 점, 그러나 국내법에도 긍정적으로 수용할 여지가 남아 있다는 점 등을 비판적으로 검토해보았다. The collective knowledge doctrine imputes to a corporation the sum knowledge of all or some its employees aggregating individual employee's innocent knowledge for the purpose of creating the necessary guilty intent for the corporations. Thus, a corporation may be liable even if there is no single employees entirely at fault. By recognizing that the act of a corporation are simply the acts of its employees operating within the scope of their employment, the collective knowledge doctrine prevents corporations from evading liability by compartmentalizing and dividing employee duties. There are two misunderstanding on the collective knowledge doctrine. One is that it is an exceptional legal doctrine in decisions of U.S. courts. But this is not true, because it is now prevailing doctrine in the courts since the leading cases such as Inland Freight Lines v. United States, 191 F.2d 313(10th Cir. 1951); United States v. T.I.M.E.-D.C., Inc., 381 F. Supp. 730 (W.D. Va. 1974) ; United States v. Bank of New England, N.A., 821 F.2d 844(1st Cir. 1987). So, foreign corporations doing business in the United States should know the doctrine in order not to be exposed to much wider scope of criminal liability than they have heretofore experienced. The other misunderstanding comes from the vague explanation of the individual employee's innocent knowledge. What the innocent knowledge means? It means exactly one facet necessary to knowledge of total requirement of a crime. If employee A knows of one facet of total requirement of a crime, B knows another facet of it, and C knows a third facet of it, the corporation knows them all.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collective knowledge doctrine is that as time goes on, the decisionmaking procedures of corporations aremore and more complex. Corporations compartmentalize knowledge, subdividing the elements of specific duties and operations into smaller components. The aggregate of those component constitutes the corporations's knowledge of a particular operation. For this reason, it is irrelevant whether employees administering one component of an operation know the specific activities of employees administering another aspect of the operation.

      • KCI등재

        청년세대 불평등인식과 능력주의적 분배원칙 선호의 관계: 노력, 성과, 필요·평등 선호의 구분을 중심으로

        신지현(Jihyoun Sheen),김민지(Minzee Kim)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2024 사회과학연구논총 Vol.40 No.1

        본 연구는 청년 집단 내에서 불평등인식이 능력주의적 자원 분배 중에서도 노력 선호 및 성과선호와 가지는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2021년 시행된 ‘한국인의 행복 조사’의 자료를 활용한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청년들은 더 많은 영역에서 불평등을 인식할수록 한편으로는 노력에 비해 필요·평등 등 비능력주의적 분배원칙을 선호하였으나, 다른 한편으로는 능력주의적 분배원칙 중에서도 노력에 비해 성과를 분배의 기준으로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양극화 경향은 고졸 이하 학력을 가진 청년에게 더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또한 불평등인식이 선호하는 분배원칙에 미치는 영향은 불평등의 영역별로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영역에서의 불평등인식은 노력대비 성과 선호와 관련되었으나, 법 집행과 성별영역에서의 불평등인식은 노력대비 성과 선호와 필요·평등 선호 모두와 관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과 소득 및 재산 영역에서의 불평등인식은 분배원칙 선호와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가 불평등의 악화와 능력주의적 공정성인식의 확산이 동시에 일어나고 있는 우리 사회에 가지는 함의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erception of inequality and preferences for meritocratic resource distirubution among young adults, particularly focusing on distictions between preferences for efforts and achievements as a just base for resource distribution. Using data from the 2021 Korean Happiness Survey,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as young adults perceive inequality in more social domains, they tend to prefer either achievement or a non-meriocratic base over effort. This polarization tendency was more pronounced among young individuals with a high school education or lower. Furthermore, the influence of inequality perception on preferred distribution principles varied across different domains of inequality. Perception of inequality in education was associated with preference for achievement-based distribution, while perception of inequality in law enforcement and gender was related to both achievement-based and need-based distribution preferences. However, perception of inequality in employment and income/wealth did not show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distribution preferences. Finally, implications of research findings for our society, where exacerbating inequality and the spread of meritocracy are occurring simultaneously, are discussed.

      • KCI등재

        인식적 합리성의 통시적 접근에 대한 고찰 - 김기현 교수의 견해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

        김도식 범한철학회 2010 汎韓哲學 Vol.56 No.1

        This paper critically examines a diachronic approach to epistemic rationality. While the classical epistemology focuses on whether a belief or a proposition is epistemologically justified, the diachronic approach claims that an inquiry by which a belief is formed can be an object of epistemic evaluation. According to this explanation, the belief which is produced by an inquiry is unjustified if the inquiry itself is irrational. I point out, in this paper, the diachronic approach is hard to be successful. The approach says that there should not be an alternative inquiry, accessible to S, which has better epistemic value than the original inquiry. In other words, only the best inquiry which is accessible to S, is epistemically rational. Also, only beliefs that are produced by the best inquiry are epistemologically justified. This condition is too high to be satisfied by our ordinary justified beliefs. So the diachronic approach cannot be accepted unless it is able to provide a solution to this kind of predicament. 이 논문에서는 인식적 합리성의 통시적 접근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인식적 합리성의 문제를 믿음이나 명제에 한정하여 다루었던 전통적인 인식론과는 달리, 인식적 합리성의 통시적 접근은 인식 주체가 믿음에 도달하는 탐구 과정도 인식적 합리성의 평가 대상이 된다는 입장이다. 게다가 탐구의 과정이 인식적으로 비합리적이라면 그 탐구의 결과로 나오는 믿음 역시 인식적으로 합리적일 수 없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기에 기존의 인식적 정당성에 대한 입장과는 상당히 대립되는 견해라고 볼 수 있다. 필자는 이러한 인식적 합리성의 통시적 접근이 성립되기 어려운 점을 이 논문에서 지적하고 있다. 통시적 입장에 따르면, 탐구 과정이 인식적으로 합리적이기 위해서는 보다 더 나은 탐구가 인식 주체인 S에게 접근 가능하지 않아야 한다. 다시 말하면, S가 접근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탐구만이 인식적 합리성을 보장받을 수 있으며 그 탐구의 결과에 해당하는 믿음만이 인식적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는 인식적 정당성의 조건을 너무 강하게 만드는 것이며, 우리가 상식적으로 볼 때, 인식적으로 정당하다고 인정하는 믿음들 중 많은 부분이 이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난점을 해결하지 못하는 한, 인식적 합리성의 통시적 접근은 유지되기 어려울 것임을 이 글에서 논증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