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문학 진흥의 토대에 관한 연구

        손영삼 대동철학회 2011 大同哲學 Vol.57 No.-

        우리나라 인문학의 위기라는 진단과 인문학의 진흥이라는 처방을 검토하여 이 처방에 따른 치료들 가운데 하나인 인문한국(HK)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려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우리나라의 인문학은 과연 위기에 처해 있는가? 이 물음에 답하기 위해서는 “인문학이란 도대체 무엇인가?”라는 물음을 먼저 물어야 한다. 그런데 인문학이 독자적인 연구 대상과 방법을 가진 개별학문은 아니기 때문에 인문학을 규정하는 일은 쉽지 않다. 인문학을 어렵사리 규정하더라도 인문학의 위기에 관한 의견도 다양하다. 인문학이 인간에 의한, 인간에 대한, 인간을 위한 학문이라는 점에서 보자면, 인문학의 위기는 인간의 위기로 이어지는 심각한 사태이다. 이와 같은 인문학의 위기는 반드시 극복되어야 하지만, 인문학이 정밀학이 아니라 엄밀학일 수밖에 없는, 그리고 자유라는 인간의 날개를 꺾을 수는 없는 운명을 지니고 있는 한, 인문학 진흥이라는 처방과 HK사업이라는 치료가 만족할 만한 효과를 내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보다는 무엇이든 하는 것이 인문학의 위기, 나아가서는 인간의 위기에 대처하는 바람직한 태도일 것이다. 우리나라 인문학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인문학 자체의 문제점들을 검토하고 보완하며, 인문학의 사회적 역할을 증대하는 것이 요청된다. 인문학 자체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학제간 연구와 통섭적 연구를 통해 이론의 실증성을 높여서 설득력을 확보하며, 현실적 적용의 실제적 사례를 통해 이론의 효용을 제시하여 실용성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인문학의 사회적 역할을 증대하기 위해서는 인문학이 연구성과를 전파할 수 있는 다양한 경로를 활용하여 적극적으로 사회에 참여하는 것이 필요하다. HK사업은 인문학의 연구부문을 활성화하여 우리나라 인문학의 진흥을 도모하려는 기획이다. 우리나라 인문학의 연구부문이 안고 있는 문제는 연구환경과 연구인력의 확충, 연구성과의 축적과 활용을 통해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인문학과 인접 학문영역들의 학제간 연구와 통섭적 연구에서 인문학이 연구의 태도와 방법에서 선험성과 근원성을 확보하려는 노력을 적극적으로 시도하지 않으면, HK사업은 우리나라 인문학의 외부적 환경을 일시적으로 개선하는 것에 그치고 말 가능성이 높다. 다시 말해, 인문학 자체가 바로 서지 않으면 인문학의 설득력이 강화되지 않을 것이며, 인문학의 사회적 역할이 증대되기 어려울 것이며, 그래서 인문학의 사회적 효용이 문제가 될 것이며, 결국 인문학의 외부적 환경이 다시 악화될 것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rrange groundworks for implementing successfully the Humanties Korea(HK) Project with reviewing the diagnosis "crisis of the humanities" and the prescription "promotion of the humanities" in korea. The HK project is one of the treatments in accordance with the prescription. Does the humanities of korea face a crisis indeed? For answering to this question, the question "What is the humanities?" is asked firstly. Because the humanities is not a individual science, it is not easy to determine what the humanities is. Even if it is determined with difficulty, there are various opinions about a crisis of the humanities in korea. From the point of view, that the humanities is a science by the human being, on the human being, and for the human being, a crisis of the humanities is a desperate situation, for it ends in a crisis of human being. Even though this crisis of the humanities has to be overcome, it is probably difficult to get a satisfactory effect of promotion of the humanities and the HK project for coping with crisis of the humanities in korea, because the humanities is not an exact science but a stric science, and has a fate not able to snape wings(i.e. freedom) off human being. And yet doing something is better than doing nothing for meeting with crisis of the humanities and crisis of the human being. For overcoming crisis of the humanities, it is requested to review problems of the humanities, to consider a countermeasure against them, and enlarge social role of the humanities. For considering a countermeasure against problems of the humanities, it is necessary to enforce positivity and to secure powers of persuasion of the theories with the interdisciplinary and consilient research, and to produce utility and to prove positivity of the theories with practical instances of actual application, For enlarging social role of the humanities, it is necessary to take part in society actively with various route to spread products of research in the humanities. HK project is to revitalize field of research in the humanities and to attempt promotion of the humanities in korea. Problems of research field in the humanities of korea will get solved through improving circumstance of research and expanding researcher and with accumulating and applying products of research. But if the humanities does not try to ensure transcendentality and originality in attitude and method of research in the interdisciplinary and consilient research with other research areas, HK project improves only external circumstance of the humanities in korea. In other word, if the humanities does not put itself on a sound footing, its power of persuasion becomes weak, its social role is reduced, its social utility is doubted, finally external circumstance of the humanities is going steadily downhill.

      • KCI등재

        인문학자의 사회적 실천 : 연구와 제도, 대중교육의 선순환을 위한 모색

        이경란(Lee Kyung-Ran) 사회와 철학 연구회 2011 사회와 철학 Vol.0 No.21

        이 글은 실천인문학의 확산과 함께 다시 제기된 인문학과 인문학자의 ‘실천’에 대한 문제의식을 새로운 단계인 사회인문학적 실천으로 확장할 것을 제안한다. 사회적 실천을 하고자 하는 인문학자들이 참여하는 ‘대중교육’에서 인문학자와 대중양자는 지식을 생산하고 사회적 아젠다를 발굴하고 실현하는 주체로 성장해갈 수 있다. 인문학자들의 실천은 ‘대중교육’에 참여하여 자신의 연구를 확산하는 한편, 그 과정에서 얻는 통찰과 경험을 대학과 학계의 제도와 활동의 개혁으로 연결하고, 자신의 연구주제와 방법을 변화시키는 선순환을 일으킬 때 가능해진다. 대중교육과정에서 대중도 자신이 주체로서 참여함으로써 스스로를 삶의 주체이자 자기 현장을 개선하는 주체로서 변화해갈 수 있다. 이것이 가능한 대중교육의 틀을 만들어가기 위해서는 인문학자만이 아니라 여러 영역의 활동집단과의 연대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대학의 안팎에 있는 연구단체들을 통해 많은 연구자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연구자 네트워크를 만들고, 전문적인 대중교육활동을 하는 시민단체가 대중교육의 장을 유지관리하고, 지역주민들이 스스로 자신들에게 필요한 교육의 주제를 발굴하는 연대구조를 만들 것을 제안한다. Humanities and humanities scholars’ practice with expansion of the Practical Humanities got into practice of Social Humanities, a new stage. Through ‘public humanities education’, both humanities scholars and the public can grow up to be a subject to produce knowledge and to find social agenda. Humanities scholars’ practice can be realized by expanding their researches through participation in ‘public humanities education’ and applying insight and experience from the above process to reforming the system and activity of universities and academic world and causing virtuous circle to change their study themes and methods. In the process of public education, the public can also be changed to be a subject of their life and one to improve their field by participating as a subject. To construct a frame of public education to make it possible to carry out the above, it is necessary to be banded together with activity groups in diverse fields as well as humanities scholars. The study is thought that it is necessary to make a scholars’ network to participate a lot of scholars through research groups in/out of university, to make structure of solidarity to let citizen’s groups for professional activity of public education maintain and manage a field of public education and to let community residents find themes of education required to themselves in person.

      • KCI등재

        인문학으로서의 미술(교육), 미술(교육)의 인문학적 가치 탐색

        이은적(Eun-Jeok, Lee) 한국문화교육학회 2020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5 No.3

        미술 교과는 학생들이 인간과 세상을 이해하고 판단하는 안목을 형성하며 비판적 성찰을 통해바람직한 삶을 추구하도록 가르쳐 왔는가? 미술 교과는 인문학 교육과 어떻게 관련되며 이를 어떻게 구현할 수 있을까? 이러한 문제 제기로 이 논문에서는 인문학으로서의 미술(교육), 미술(교육)의 인문학적 가치를 탐색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우선 인문학 교육에 대한 논의를 살펴보고, 인문학적 가치를 중시한 미술교육에 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며 그동안 미술(교육) 에서의 인문학적 가치를 어떻게 접근하였는지 검토하였다. 이어서 미술의 인문학적 가치를 다음의 다섯 가지 관점별로 살펴보았다. 첫째, 미술작품은 인간에 관해 이야기한다. 둘째, 미술은 당시의 시대적, 사회적 배경, 삶의 방식이 담겨 있다. 셋째, 예술은 인간과 현실의 관계를 변화시킬수 있다. 넷째, 미술은 모든 인문학의 기초가 되는 행위와 경험에 기반을 두고 이를 극화하는 특수한 임무를 띠고 있다. 다섯째, 미술사, 미학과 같은 미술작품의 해석은 인문학에 의존하며, 인문학적 활동이다. 이러한 관점에 따른 탐색은 미술교육에서의 인문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자연스럽게 제시하고 있다. 이 연구 결과는 관점별로의 내용을 구현하는 질적인 수업 설계에 관한 후속연구를 제안하며, 미술교육이 인간을 이해하고 삶의 문제를 풀어가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함을 시사한다. How is art subject related to humanities education and how can it be realized? With this question raised, this study examines art as humanities and the humanities of art. This study examines the discussion on humanities education, analyzes prior studies on art education that emphasizes humanities, and examines how the humanities values in art (education) have been approached. Next, we examine the humanities of art by five perspectives: First, art works talk about human beings. Second, art contains the era, social background, and ways of life of the time. Third, art can change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reality. Fourth, art is based on the acts and experiences that are the basis of all humanities and has a special mission to dramatize it. Fifth, interpretation of art works such as art history and aesthetics depends on humanities and is an activity of humanities. The exploration of different perspectives in art naturally presents the content and method of humanities education in art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pose a follow-up study on the design of qualitative lessons that embodies contents by perspectives, and suggest that art education should go in a direction that can help humans understand and solve problems in life.

      • KCI등재

        매개적 사유와 사회인문학의 철학적 기초

        나종석(Na Jong-Seok) 사회와 철학 연구회 2011 사회와 철학 Vol.0 No.21

        이 글은 헤겔의 변증법적 사유의 핵심이라 할 매개의 사유의 중요성을 입증함에 의해 ‘사회인문학’의 철학적 기초를 해명해보는 작업이다. ‘사회인문학’은 인문학의 위기 담론을 넘어 인문학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내세우는 대안적 인문학의 하나이다. ‘사회인문학’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HK사업단이 전면에 내걸은 대안 인문학이다. ‘사회인문학’이란 인문학 본연의 성찰성, 공공성, 비판성을 회복하려는 뜻을 포함하고 있다. 즉 ‘사회인문학’은 총체적 학문으로서 인문학이 지닌 성찰적 시선과 사회적 소통 능력을 확대함으로써 비판적 인문성의 회복을 추구하는 새로운 관점이자 방법론으로서 제안된 것이다.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HK 사업단은 2008년부터 ‘21세기 실학으로서의 사회 인문학’이라는 아젠다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해오고 있는데, 이 글은 사회인문학의 내실을 다지기 위해 사회인문학의 지평을 철학적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아울러 이 글에서 필자는 현재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비판적 사유의 흐름들의 한계들을 보편과 특수의 매개의 문제라는 관점에서 다루고 있다. 필자는 보편과 특수의 관계에 대한 불철저한 사고가 현재의 주도적인 비판이론의 핵심 문제점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그러므로 인문학의 비판성과 성찰성 그리고 사회성을 회복하기 위해 제기된 ‘사회인문학’의 철학적 기초를 다지는 작업에서 헤겔의 매개의 사유를 다시 적극적으로 전유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입장을 옹호한다. The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elucidate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Social Humanities’ by arguing the importance of the mediating thought, which is the key point of the Hegelian dialectic thought. “Social Humanities” is one of the alternative humanities proposed to move beyond discussing the crisis of humanities to overcome it. “Social Humanities” is the alternative humanities proudly presented by the HK Project Research Team, Institute of Korean Studies, Yonsei University. The term “Social Humanities” represents our intent to restore the inherently reflective, public, and critical aspects of humanities. Thus “Social Humanities” is a comprehensive study as well as a new perspective and methodology that was proposed to restore the critical aspect of the humanities by expanding on its reflective perspective and socially communicative aspects. Since 2008, the HK Project Research Team at Yonsei University’s Institute of Korean Studies has been running a focused research on the agenda of “Social Humanities as the 21st Century’s Silhak”, and this thesis seeks to explore the horizon of social humanities through philosophy in order to reinforce the its fundamentals. In addition, the author delves into the problems in the flows of critical thinking-which is currently the subject of much attention-from the perspective that they are problems in the mediation of the particular and the universal. The author believes the incomplete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iversal and the particular is the main shortcoming of the current leading critical theories. Thus the author supports the idea that we must actively incorporate Hegel’s mediating thought in solidifying the philosophical basis of “Social Humanities”, which was presented to restore the critical, reflective and social aspects of humanities.

      • KCI등재

        인문도시를 위한 인문정책 방향 : 수원시를 중심으로

        박연규 경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시민인문학 Vol.28 No.-

        인문학의 대중화는 이제 시대의 화두가 되었다. 한국연구재단에서는 이러한 인문학 대중화 사업을 위해 시민강좌사업과 인문도시 사업 등을 추진해오고 있 다. 그 중에서도 인문도시 사업은 도시와 대학이 하나가 되어 인문학의 방향과 운영을 함께 모색하는 것으로 기획되었다. 이는 대학의 인문학을 도시의 시민들 이 골고루 혜택을 받을 수 있게 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수원시는 3년 전부터 교육부의 인문학 대중화 사업과는 별도로 지자체의 이념 과 시장의 신념에 의해 인문학을 중심에 놓는 도시정책, 즉 인문학 중심도시를 설계하고 시행해 왔다. 교육부의 사업과 수원시의 사업이 비록 서로 다른 맥락에 서 시도되었지만 그 지향하는 바는 인문학이 시민을 위한 것이 되어야 한다는 것 으로 수렴될 수 있다. 이 글은 논자가 수원시의 2014년부터 2018년까지의 <수원시 인문학 중심도시 추진계획> 용역과제의 연구책임을 맡으면서, 한 도시가 어떤 목적과 방향을 갖 고 시민을 위한 인문학 대중화를 실현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해 논의한 것이다. 이를 위해 수원시의 도시정책과 인문학 대중화의 관련성을 밝히면서, 첫째, 도시 의 인문정책은 시정 초기 단계부터 도시정책과 하나가 되어 실시되어야 함을 주 장했다. 둘째, 도시의 인문정책은 시민들의 행복을 위해 도시의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 기여할 수 있어야 함을 지적했다. 셋째, 이러한 관점에서 인문학 사 업이 실제로 어떻게 이루어져야 할 것인가를 다양한 사례를 통해 제시했다. 인문학의 대중화는 한 도시의 공동체적 삶, 예를 들어 시민의 행복, 안전, 건강 또는 공정의식을 정상화시키는 데 일조해야 한다. 그리고 인문학이 단순히 대학 밖으로 나오는 것만으로는 만족해서는 안 되며 그것이 시민사회의 수준을 높이 고 나아가서는 시민의 공동체 의식을 강화할 수 있어야만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It has become common to talk about popularization of Humanities in contemporary society of Korea. The Education Ministry and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have promoted to develop the business of humanities and the Humanistic City project, including several academic lectures for the general public. Especially the Humanistic City project has been common concern for both city and universities. It would be right to deal with the importance of humanities, for it would give us an opportunity to share the benefits of humanities for the public who are alienated. Since 2012, Suwon City embarked the project for the humanities-centered development of the city. It has been the moto of the local government and has shown many different aspects in different contexts. The project, I believe, has been successful, for it has given a chance to show that the Humanities project really works. In this article, I will show that this Humanities project has been successful in the case study of Suwon City. The article, which was originated from my own experience as a leading researcher in the workshop entitled as “Suwon si Humanities-centered City Plan,”is ordered as follows. First, I will show why we should start with the attention of the beginning level of city policy. Second, I will explain why the city humanities project should be able to solve the problems that the citizens of Suwon confront. Third, I will propose several practical cases which are useful to understanding the humanities project that can be practically worked. I find that academic events are not sufficient to make public the humanities. Nevertheless, we come to realization that the concerns for the normalized life of city community, such as happiness, safe, health, and justness of citizens are critically important to level up or enhance the civic life of community.

      • 데이터 기반 인문학 연구 방법의 모색: 문중 고문서 아카이브와 디지털 인문학의 만남

        김현(Kim Hyeon),안승준(Ahn Seung Jun),류인태(Ryu In Tae) 숙명여자대학교 숙명인문학연구소 2018 횡단인문학 Vol.1 No.1

        단순히 인문학 자료를 디지털화 하거나, 연구 결과물을 디지털 형태로 간행하기보다는, 정보 기술의 환경에서 보다 창조적인 인문학 활동을 전개하는 것을 ‘디지털 인문학’이라고한다. 무엇이 ‘디지털 인문학적 연구’인가 라는 물음에 답을 줄 만한 연구 모델은 아직 명확하게 정립되어 있지 않다. 하지만, 최근 수년 사이 ‘디지털 인문학 연구’로 보고된 여러형태의 인문 분야 연구에서 가장 두드러진 공통점을 찾는다면, 그것은 종래에 인간의 언어로만 기술되었던 인문 지식의 요소들을 기계가독적(machine readable) 데이터로 전환하여, 컴퓨터가 그 정보의 해석을 도울 수 있게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필자는 이 글에서, ‘무엇이 디지털 인문학인가’하는 원론적 논의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인문 지식을 데이터로 전환하는 것은 어떠한 작업이며, 그것을 통해 학술적 성과를 기대 할 수 있는지를 설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과 인문정보학 교실에서 수행하고 있는 데이터 기반 문중고문서 연구를 사례로 제시하였다. 디지털 인문학의 프레임워크 위에서 만들어진 새로운 형식의 고문서 디지털 아카이브는 연구자들이 직접 그 디지털화된 문서의 내용을 데이터로 취급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데이터의 분석, 정리, 해석을 통해 찾아낸 ‘사실’과 ‘이야기’를 확장된 데이터로 축적해 나아갈 수 있게 함으로써, ‘자료’의 아카이브에서 ‘지식’의 아카이브로의 진화를 지향한다. 고문서 내용을 데이터로 전환하여 기계적 가독성을 부여하는 것은 일차적으로 과거의 생활사에 대한 인문학적 연구에 기여하겠지만, 향후 이러한 데이터의 광범위한 축적으로 만들어질 인문학 빅데이터는 현대에 발생하는 사회과학적, 산업적 빅데이터와 엮여져서 현대사회에 대한 이해와 과거 역사의 탐구 사이의 연결고리를 만들어내는 것도 가능하게할 것이다. 인문지식이 데이터로 소통될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을 통해 우리의 인문지식은 전통적인 인문학의 경계를 넘어서는 세계와도 교섭할 것이며, 인간과 사회에 대한 이해로서의 인문학의 외연을 더욱 의미 있게 확장해 갈 수 있을 것이다. Rather than simply digitizing humanities materials or providing humanities research results in a digital format, “digital humanities” encompasses ever more creative humanities endeavors in an information technology environment. There is still no research model which can clearly answer the question of what “digital humanities research” looks like. However, if we look at the similarities among humanities research which has been deemed to fall under the umbrella of “digital humanities research,” we can see the transformation of humanities knowledge elements from human-composed language to machine-readable data, which allows computers to aid in the interpretation of said information. The author will go a step beyond the fundamental discussion of “what digital humanities is,” to explain the nature of the work of transforming humanities knowledge into data, and what kind of scholarly outputs we can expect from such work. To this end, the author presents research led by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Jangseogak Archives and Cultural Informatics Lab which is based on old documents from paternalistic lineage organizations (munjung). A new form of digital archive of old documents made for a digital humanities framework allows researchers to turn the content of digitized old documents into data. In addition, through the accumulation of data which encompasses “truths” and “stories” discovered via data analysis, organization, and interpretation, an archive of “source materials” can evolve into an archive of “knowledge.” On preliminary level, transforming the content of old documents into data and making it machine readable contributes to humanities research on the lives of people of the past. However, looking forward, the widespread accumulation of such data can create big data on the humanities. And if this humanities big data is connected to big data dealing with contemporary social, academic, and business phenomena, it can serve as a link between the understanding of modern society and the history of the past. Through efforts to allow humanities knowledge to communicate as data, our humanities knowledge can go beyond the boundaries of traditional humanities and negotiate with the larger world, and it can more meaningfully expand the full realm of the humanities as an understanding of humans and society.

      • KCI등재

        `2014 세계 디지털인문학` 학술대회 및 한국의 디지털인문학

        홍정욱(Hong, Jung-Wook),김기덕(Kim, Ki-Duk) 인문콘텐츠학회 2014 인문콘텐츠 Vol.0 No.34

        본 글은 스위스 로잔에서 개최된 2014년 세계디지털인문학 학술대회(Digital Humanities 2014)를 소개하고, 한국의 디지털인문학 현황을 검토한 것이다. 이 학술대회의 주제는 ‘디지털 문화의 역량강화’(Digital Cultural Empowerment) 였는데, 이는 인문학 입장에서 디지털 기술의 다양한 접목을 통해 디지털문화의 역량 강화를 모색한 것이다. 결국 이것은 ‘디지털기술’에 방점이 있는 것이 아니라 ‘인문학’ 에 방점이 있는 것이다. 본 대회는 총 223편의 논문발표와 115편의 포스터가 있었고, 학술대회 참여자 명단에는 총 873명의 저자들이 이름을 올렸다. 기조연설이 4편 있었는데, 특히 부르노 라투르(Bruno Latour)의 연설 (Rematerializing Humanities Thanks to Digital Traces: 디지털 발전으로 인한 인문학의 재탄생)이 주목되었다. 그는 디지털이라는 개념에 대한 인식을 둘러싼 일반적 오류를 지적하면서, 디지털인문학에서 디지털은 한 영역이라기보다는 인문학 연구의 확장을 가져올 수 있는 도구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디지털기술은 이전에 추상적 영역에 있던 것들을 경험적 영역속으로 전환하여 구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다양한 워크삽은 인문학 연구자들에게 필요한 디지털 기술 관련 실용적인 내용들이 다루어졌다. 즉 디지털 툴 또는 프로젝트 소개 및 활용에 관한 주제와 디지털인문학 연구방법론에 관한 발표가 있었다. 패널 세션은 현재 디지털인문학에서 추진 중인 프로젝트 및 방법론 등 다양한 주제를 가지고 패널 참가자들과의 논의를 통하여 좀 더 발전적인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디지털인문학의 융합적 특성에 맞추어, 좀 더 실용적이고 체계적이며 세분화된 방법론 정립 및 모색에 대한 노력들이 시도되었다. 일반 발표 논문은 제목으로 분석할 경우, ‘TEI’, ‘topic modeling’, ‘text analysis’, ‘archives’라는 키워드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그리고 다수의 키워드들이 ‘collaboration’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관계만을 형성하고 있었다. 즉 ‘collaboration’을 중심으로 ‘visualisation’, ‘Project Management’, ‘OCR’, ‘Software’, ‘Tool’, ‘Text analysis’ 등의 키워드가 관계망을 형성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해석해보면. 인문학적 연구방법 (text analysis, visualisation)을 토대로 다양한 디지털 기술 및 툴(tool, software, OCR 등)이 결합하는 디지털인문학의 연구방법론적 특성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발표 논문들 대부분이 2인 이상이 참여한 공동 연구들로 이루어져 있어 단독저자 논문을 찾아보기 어려운 이유도, 이러한 방법론적 특성으로 인해 인문지식과 디지털 기술의 공유가 불가피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해 볼 수 있다. 또한, ‘visualization’ 을 중심으로 ‘text analysis’, ‘text mining’, ‘ontology’, ‘poetry’, ‘xml’ 등의 키워드가 관계망을 형성하고 있는데, 이는 디지털인문학에서의 인문학 연구 및 분석을 맵핑(mapping)하고 시각화하려는 경향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끝으로 디지털인문학의 세계적인 동향과 관련하여, 이번 학술대회를 주관한 로잔공과대학(EPFL)의 프레드릭 카플란 교수에 주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세계적인 동향을 한국과 비교하자면 여러 교차점이 발생하면서 유사성과 차이성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한국도 일찍부터 인문학과 디지털기술의 결합을 시도해 왔다. 더 나아가 그러한 성과가 산업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문화콘텐츠’라 는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여 왔다. 그러나 한국의 경우 가장 아쉬운 점은 인문학자들과 디지털 기술을 구사하는 전문가가 유리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는 인문학 자료의 올바른 맥락화를 저해했으며, 여전히 인문학자들은 디지털기술과의 직접적인 결합의 주체가 되지 못하는 한계를 가져왔다. 그런 점에서 한국의 상황에서 시급한 정책 과제는 인문학자를 대상으로 한 디지털인문학 교육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디지털인문학은 인문학자가 중심이 되어 디지털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연구성과를 산출할 때에 완성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앞으로 한국도 세계디지털인문학을 주관하는 ADHO의 산하단체로 가입하여 활동할 필요가 있다는 점 을 강조하였다. The paper examines Digital Humanities 2014 conference held in Lausanne in Switzerland and also discusses the current trends in the discipline of Humanities in Korea in keeping up with so-called a new trend of digitalization. Under the conference theme of ‘Digital Cultural Empowerment’, 223 papers and 115 posters were presented and 873 authors were on the list of participants, discussing a variety of research questions applying digital technology in the humanities research. In particular, Bruno Latour, in his plenary speech with the title of ‘Rematedalizing Humanities Thanks to Digital Traces’, called attention with his notion of the digital, showing the digital is not a single domain but a single entry to bring the expansion of humanities research domain. His point of view on the digital is still in discussion among digital humanists, even after the conference. The workshop sessions comprised a variety of practical topics which mainly focus on the needs from humanities research and researchers. The participants were given practical training of digital technology or opportunities to share the experiences or information from the leading scholars of the field who are mostly involved in managing or directing some major projects or developing digital tools or technology. The panel sessions proved very active efforts of the scholars to expand and systematize the methodologies in approaching with increasingly extending research ideas and questions in the field. Through the paper sessions, some key words, such as ‘topic modeling’, ‘text analysis’, and ‘archives’, were most discussed, proving that text-based research topics or methodologies are quite dominant in digital humanities. Also, analyzing the relations among all the key words, the key word ‘collaboration’ was most frequently connected with other key words. In more detail, the key words related to text (ex. ‘text analysis’) were in network with other key words like ‘visualization’, ‘project management’, ‘OCR’, and ‘software’, through ‘collaboration’ which is one of the key features of digital humanities. This also implies that the research projects in digital humanities are not possible to be done with only one single method and by only one or two researchers, but rather requiring collaboration and cooperation with skills and knowledge from the researchers and organizations or institutes in different fields or disciplines. Discussing the interdisciplinary studies of digital and humanities in Korea and its similarities and differentces from the U.S and Europe, the paper argues that in Korea, also, the humanities research with the digital application has been attempted since the 1990s. In Korea, the term ‘Culture Contents’ has been used, replacing Digital Humanities. It has been developed as a field of study, seeking its convergence with commercial activities. However, most the humanists involved in this field have been isolated from the digital technology. Their lack of the knowledge and skills has resulted in failing convergence of humanities and digital and also failing in positioning the humanists themselves as the leading agent in the field. In this regard, the paper emphasizes that the practical training program needs to be prepared and given to the humanists, to provide the knowledge and ideas of digital application. Also, as a way to bring the advancement of the field in Korea, it suggests that the humanists in Korea create an association of digital humanities and also join in umbrella organizations or communities, such as ADHO. Through the network, they can share the ideas with the digital humanists in the globe.

      • KCI등재후보

        마음인문학의 과제와 전자문화지도

        백현기(白顯基)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1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49 No.-

        마음인문학에서의 공유(共有, sharing)의 의미는 웹2.0 시대에 개인과 개인 사이의 사회적 관계를 뜻하는 것으로, 특정 관계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 간에 존재하는 연결선을 말한다. 즉 마음인문학의 지식자원을 사람들 간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매체를 연구하고 실현하는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마음인문학 공유분과의 과제와 전망을 통해 마음인문학이 인류 정신문명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전개하는 학문으로 성장 발전하고 개인뿐만 아니라 세계인들이 마음인문학의 심층적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즉, 새로운 조화의 정신문명을 창출하기 위해 마음인문학의 공유분과에서 10년 동안 어떻게 연구할 것인지를 단계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로는 마음인문학 콘텐츠 기반 구축이다. 마음인문학 콘텐츠 자료의 기반 구축으로 이론과 실천의 균형 있는 결합을 통해 마음인문학 콘텐츠 개발의 핵심적 가치를 이끌 것이다. 둘째로는 마음인문학 전자문화지도의 제작 및 적용이다. 새로운 공유 패러다임으로서의 마음인문학, 나아가 마음인문학의 그 변화와 인식 속에서 어떻게 자리매김할 수 있을지,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우리의 시도가 위기에 빠진 인문학의 실용적 대안 모델 가운데 하나가 될 수 있는지를 모색하기 위하여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셋째로는 마음인문학 전자문화지도 확충 및 유통이다. 마음인문학 전자문화지도를 전문분류체계에 따라 구축해 시간과 공간을 뛰어넘어 살아 숨 쉬는 정보이자 생활문화로 만들어 가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공유분과에서는 마음인문학 디지털 지식자원 구축을 활성화하고 더 나아가 상품으로써 생산, 유통 및 소비될 수 있도록 마음인문학 디지털 지식자원이 다른 디지털 지식자원과 차별되는 정체성을 지니도록 하여야 한다. The Mind Humanities ‘sharing’ is defined as a networking line of group members who share specific goals. It also means social relationships among individuals in the era of web 2.0. In other words, it is considered as a study which enables social members to connect or share knowledge resources of the Mind Humanities.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the Mind Humanities to be a human science presenting a new paradigm of spiritual civilization of mankind through studying issues and prospect of the Mind Humanities sharing. First, this study will draw a core value of the Mind Humanities by combining their theory and practice in building contents of the Mind Humanities. Second, it focuses on producing and adapting electronic cultural atlas of the Mind Humanities, which is thought to find out the change and awareness of a new paradigm of the Mind Humanities sharing and explore a practical alternative model of endangered humanities. Third, it centers on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electronic cultural atlas of the Mind Humanities, which can enhance the quality of daily life beyond time and space. The ‘sharing’ department of the Mind Humanities will try to make built digital knowledge resources be unique products which are produced, circulated and consumed, and bear their unique identity different from other digital knowledge resources.

      • KCI등재

        소통인문학의 정립을 위한 비판적 제언

        이진남 대동철학회 2010 大同哲學 Vol.53 No.-

        최근 인문학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인문학에 대한 다양한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다. 통일인문학, 감성인문학, 로컬리티인문학, 인문치료 등 새로운 용어들이 만들어지고 합종연횡의 시도가 계속 되고 있다. 이러한 시도 가운데 시공간적 벽을 허물고 소통과 이해, 창신을 꾀하는 소통인문학이 제안되고 있다. 고전의 의미를 새롭게 해석하고 현재와 대화하게 하며 이를 통해 미래를 기획하는 시도로서의 소통인문학은 그 아젠다의 크기만큼이나 담을 내용이 많은 것으로 보인다. 이 글에서 평자는 김남이 교수의 「시공간의 교류지, 인문학의 좌표와 가능성: 고전번역학+비교문화학을 통한 소통인문학」에서 제시하고 있는 소통인문학의 정립을 위해 몇 가지 문제를 제기하고 논의한다. 이를 위해 제 2절에서 평자는 논자가 제시하는 소통인문학의 개념 규정의 애매함 혹은 모호함을 지적한다. 인문치료와 관련하여 최희봉이 내린 개념 규정과 비교함으로써 그 여러 가능성을 타진해 본다. 또한 소통인문학의 존재 이유에 대해 더욱 근본적인 문제 제기를 한다. 제 3절에서는 학문으로서의 소통인문학이 채택하고 있는 방법론이 드러나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한다. 제 4절에서는 소통인문학의 모범적 연구 대상으로서의 최남선의 자조론 번역에 대해 평가해 본다. 논자의 다른 논문에서 자세하게 분석하고 있는 최남선의 자조론 번역은 스마일즈, 나카무라와는 다른 조선의 시대적 상황과 그에 대한 최남선 자신의 인식이 반영되어있는 점을 보인다. 그러나 그의 계몽주의적 한계를 지적하지 않게 되면 최남선의 차별성이 과장될 수 있다는 위험에서 자유롭지 못하게 된다는 점을 지적한다. 제 5절에서는 인문학적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구체적 방법으로서의 고전 재발견과 제시에 대해 검토한다. 실용성 콤플렉스에서 벗어나야 인문학이 산다는 홍성욱의 주장의 핵심이 인문학적 사유의 부활에 있다는 점을 보인다. There have been various approaches to humanities as we have paid more attention to them. New terminologies such as reunification humanities, emotional humanities, locality humanities and humanities therapy have been introduced and they have been mixed together. Among them, trans-humanities are suggested as an endeavor to break space-time barriers between past and present and to foster communication, understanding and creation. In this essay, I propose some questions and make some discussion on Nam-Yee Kim's article, "space-time exchange, coordinates and potentials of humanities: Trans-humanities through Translation Studies of Classics + Comparative Cultural Studies." For these, in section two, I point out vague and unclear definition of the term, trans-humanities that Kim suggested in her article. I sound out its various possibilities through comparing it with Hee-Bong Choi's definition of humanities therapy. I also propose more fundamental problems on the raison d’être of trans-humanities. In section three, I point out that its methodology is not sufficiently explained in her article. In section four, I evaluate Namsun Choi's translation of Samuel Smiles' Self-Help as an ideal study object. I show that she does not sufficiently analyze the limits of Choi's perspective while she stresses the differences of his translation from Smiles' original and from Nakamura's Japanese translation. In section five, I examine the re-discovery and suggestion of the classics as a concrete way to enable humanities communication. I emphasize the fact that Kim misses Sung-Wook Hong's point of humanities thinking when she cites his essay on pragmatic complex of humanities.

      • KCI등재

        인문도시지원사업의 서비스 품질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송덕근,노영희,곽우정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4

        본 연구는 인문학 프로그램의 강좌 및 체험을 통해 시민들의 인문학 필요성과 만족도를 조사하여 인문학 인식을 고취시키고 확산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회귀분석과 다중회귀 분석 등의 이론에 기반을 두고 분석모형을 구성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인문학 프로그램의 서비스 품질, 즉 강의 및 체험의 시간, 내용, 시설, 공간, 강사의 질, 전문성 등이 시민들의 인문학 프로그램 만족도 즉, 운영시간, 교육기간의 인지도, 강사의 능력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문학 프로그램의 서비스 품질은 시민들의 인문학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문학의 필요성이 시민들의 인문학 프로그램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문학 프로그램의 서비스 품질은 인문학 필요성을 매개로 하여 시민들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인문도시지원사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시민들의 다양한 수요조사가 필요하다. 이를 바탕으로 설계 단계부터 시민들이 참여하게 할 수 있어야 한다. 그것이 시민들의 인문학에 대한 인식을 드높이고 관심을 확산시키는 요인이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necessity and satisfaction of the humanities of citizens through lectures and experiences of the humanities programs and to promote and spread the awareness of humanities. To do this, an analysis model was constructed based on theories such as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irst, the quality of service of the humanities program, ie, the time, content, facility, space, lecturer quality and professionalism of the lecture and experience, influences the satisfaction of the humanities program, that is, the operating time, the awareness of the education period, Respectively. Second, the service quality of the humanities program was found to affect the satisfaction of the humanities. Third, the necessity of humanities affects the satisfaction of humanities programs. Fourth, the service quality of the humanities program was found to affect satisfaction through the necessity of humanities. Therefore, it will be meaningful to conduct citizen’s human-education programs through various demand surveys from the design stage to the programs that citizens participate in. This will be a great help for citizens to participate more actively and promote and spread the human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