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덕 교과서의 인권 관련 내용 분석

        최형찬(Choi Hyeong Cha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4 도덕윤리과교육 Vol.- No.45

        이 글은 도덕과의 인권교육과 관련하여 중학교 도덕 교과서를 분석한다. 먼저 도덕 교과서 제작 기준인 도덕과 교육과정을 살펴본다.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인권교육’의 도입은 2007 개 정 교육과정부터이다. 그리고 현행 수시 개정 교육과정까지 계속되고 있다. 도덕과 교육과정 은 인권 단원과 인권교육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이는 타 교과와 비교해 볼 때 도덕과가 인권 교육의 핵심교과임을 잘 보여준다. 다음으로 중학교 도덕 교과서의 ‘인권 단원’과 ‘인권 단원’ 이외의 내용을 분석한다. ‘인권 단원’은 인권 자료, 선언, 개념, 기관?단체 등의 적절성 여부 를 검토한다. ‘인권 단원’ 이외에서는 책임?의무와 권리의 서술 빈도를 살펴본다. 분석 결과 ‘인권 단원’은 외국 사례에 편중되거나 일부 개념 설명 등이 미흡하였다. ‘인권 단원’ 이외에 서는 대부분 책임?의무와 권리를 균형 있게 서술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일부 교과서는 권리 보다 책임?의무 중시의 서술을 하고 있었다. 더불어 교육과정상에 나타난 인권 관련 개념이 나 내용 서술이 미흡하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필자는 결론으로 인권 관련 개념, 사례, 내용 등 의 보완을 제안한다. This analyses middle school moral textbooks concerning human rights education. Firstly, this reviews the curriculum of moral subject, the base of textbooks. Human rights education in moral subject was first introduced in the revised curriculum of 2007, continuing to the constantly revised one of today. Moral subject curriculum includes ‘human rights unit’ and contents. Compared to the other subjects, moral subject is central subject of human rights education. Secondly, this analyses the contents of ‘human rights unit’ and the other units in middle school moral textbooks. In ‘human rights unit’, this examines if human rights’ material, declarations, concepts, organizations or groups are relevant. In other units, this counts the description frequencies of responsibilities & duties, and human rights & rights. These analyses reveal that ‘human rights unit’ leans too much on foreign cases or lacks enough explanation of some concepts and that other units are balanced in description of responsibilities & duties, and rights. With all this, some textbooks describe responsibilities & duties more than rights. As well, they lack proper descriptions of some human rights-related concepts or contents in moral subject curriculum. In conclusion, this suggests supplementations of human rights-related concepts, cases, and contents.

      • KCI등재

        도덕과 인권교육 방안

        최형찬(Choi Hyeong Cha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6 도덕윤리과교육 Vol.- No.50

        인간은 어떻게 살아야하는가를 묻는다. 이러한 물음은 도덕의 핵심 주제이다. 도덕은 인 간다운 삶에 대한 논의를 포함한다. 인권은 인간다운 삶의 필요조건이다. 그런 만큼 도덕과 인권은 공통점을 갖는다. 인권 실현을 위해서는 교육이 필요하다. 그런 의미에서 교과교육을 통한 인권교육은 중 요하다. 도덕과는 교과교육을 통한 인권교육에서 주도적 역할을 해 왔다. 인권은 도덕과 교 육과정의 핵심내용 성취기준 중 하나이다. 한편 교과를 통한 인권교육은 교과간 중복 문제 를 야기한다. 도덕과 또한 다른 교과와의 중복 문제에서 자유롭지 않다. 그런 만큼 도덕과 의 특성을 살린 인권교육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논자는 도덕과 인권 단원 구성 방안을 제안한다. 그것은 도덕과 인권 단 원의 핵심 내용 성취기준이 ‘인간의 존엄성’, ‘인권의 보편성’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이 러한 핵심내용 성취기준에 대한 도덕 논증이 필요하다. 논자는 이를 ‘인권의 도덕적 정당 화’라고 주장한다. 이는 인권에 대한 도덕적 탐구이자 인권의 가치를 내면화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도덕과의 특성을 살리는 인권교육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Humans ask how they should live. This is a key topic of morality. Morality involves the discussions about human life. Human rights is human being’s rights. It is a requisite for human life. Therefore, morality and human rights have common ground. Realization of human rights needs education. In that sense, human rights education through subjects curriculum is important. Moral subject has played a leading role in human rights education through subjects. Human rights are one of the key content-performance standards of moral subject curriculum. On the other hand, Subjects’ human rights education gives rise to overlapping problem between subjects. Moral subject is not free from this problem with other subjects. Therefore, review of human rights education reflected moral subject’s traits is needed. In this regard, this proposes construction principles of human rights units in moral subject. They are ‘human dignity’ and ‘universality of human rights’ which should be key content-performance standards of human rights units in moral subject. These standards need to be argued from moral perspective. This article calls it moral justification of human rights. It is a moral quest and internalization of human rights. By doing so, human rights education enhancing the moral subject’s traits can be achieved.

      • KCI등재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인권 단원의 내용 범위와 계열 분석

        구정화 한국법교육학회 2022 법교육연구 Vol.17 No.1

        이 연구는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초등학교에서부터 고등학교 과목에 제시된 인권 단원의 학습 내용 범위와 계열 분석을 통해 그 특성을 파악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성취기준, 내용 요소, 기능동사, 교수학습 방법, 평가 방법 등에서 그 범위와 계열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취기준은 인권교육에서 강조하는 내용 범위를 대체로 포괄하여 제시되고 있지만 학교급별 계열에서는 연계보다는 비연계 양상이 많았다. 특히 연계 양상의 경우에 성취기준이 학교급별로 확대나 심화되지 않고 유지되는 모습을 보여 내용의 반복이라는 비판을 받을 가능성이 있었다. 둘째, 내용 요소는 인권 내용의 범위 중 일부 내용을 대표하는 개념 등을 제시하지 않았으며, 학교급별 계열에서는 연계 양상이 많이 나타나지만 심화나 확대 양상은 적었다. 셋째, 기능동사의 경우는 학생의 수행을 강조하는 동사를 많이 제시하였지만 인권의 교육적 특성을 강조하는 동사는 적었으며, 학교급별로 비연계 양상이 주로 나타났다. 넷째, 교수학습 방법의 경우에는 교사 위주의 수업보다는 학생 중심의 수업이 많이 제시되었지만 전반적으로 학교급별 계열 양상은 약하고, 인권교육에서 제안하는 유의 사항이 강조되지 못했다. 다섯째, 제시된 평가 방법의 학교급별 계열에서 연계 양상은 적었으며, 인권 특성을 고려한 평가 시 유의 사항의 강조가 약했다. 이를 고려할 때 교육과정을 개정하면서 인권 단원의 성취기준 제시에서 인권 특성을 고려한 범위와 계열, 그리고 유의 사항 등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