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탈리아의 패전, 냉전, 평화조약과 관념 - 한일관계에 주는 함의

        김숭배(Kim Soongbae) 동북아역사재단 2022 東北亞歷史論叢 Vol.- No.75

        제2차 세계대전 후의 이탈리아에 대한 연구는 독자적으로 존재하지만, 한일관계 연구자들이 관심을 기울이는 영역이기도 하다. 한국과 일본의 관계 성찰을 위해 전후 이탈리아를 선례적으로 주목한다는 것이다. 이 연구 역시 한일관계를 의식하지만, 기존연구와 달리 중점적으로 이탈리아의 전후 역학에 큰 비중을 둔다. 제2차 세계대전 추축국의 핵심이며, 파시즘의 상징이었던 이탈리아의 전후란 어떠한 것이었는가. 구체적으로 이탈리아의 패전 형태, 유럽 냉전 초기의 입지, 이탈리아평화조약에 내재된 전쟁과 식민지 문제, 그리고 전후 이탈리아가 가지게 된 관념 등을 부각시킴으로써 패전국 이탈리아의 특수성을 확인한다. 이러한 이탈리아를 둘러싼 층위들을 반추한 후, 결론을 대신하여 한일관계에 주는 함의를 추출한다. Although studies on Italy after World War II exist independently, postwar Italy is also an area that is noticed by researchers on ROKJapan relations. The researchers take notice of Italy after World War II as a precedent in order to contempl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OK and Japan. This study is also conscious of ROK-Japan relations, but unlik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primarily focuses on Italy’s postwar dynamics. This study examines the postwar dynamics of Italy, which was the core of the Axis powers in World War II and was a symbol of fascism. Concretely, this study checks the form of defeat of Italy in the war, the position of Italy in the early period of European Cold War, the war and colonial problems inherent in the Treaty of Peace with Italy, and ideas that Italy became to have after the war. After ruminating on the layers surrounding Italy as such, this study extracts the implications for ROK-Japan relations instead of conclusions.

      • KCI등재

        이탈리아 화장품 브랜드 연구를 통한 EXPO Milano 색조 화장품 패키지 디자인 제안

        박신혜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5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3 No.2

        역사적으로 이탈리아는 지역별로 두드러지게 발달된 특정산업이 있었기에 브랜드 하단에 지역 명을 넣어 표기하는 것이 일반적인 브랜딩 방법이 되어왔다. 또한 브랜드명에 국가명(예: Made in Italy)이나 지역 명을 사용하는 운영방식은 이탈리아만의 특징적인 마케팅 전략이다. 이러한 표기 방식은 화장품 산업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밀라노는 이탈리아 화장품 산업의 중심지로 세계적인 패션 도시라는 지역이미지와 함께 발달하였다. 이탈리아 화장품 산업은 유럽에서 4위이지만 다른 국가들과 비교하면 세계적으로 잘 알려진 브랜드는 거의 없다. 그러하기에 본 연구는 메이드인 이탈리아 화장품 브랜드를 중심으로 브랜드를 조사(정량조사, 온라인 리서치), 분석하여 “엑스포 밀라노 2015 (EXPO Milano 2015)”를 통해 이탈리아 화장품 브랜드를 세계에 알릴 수 있는 방법을 제안 해보고자 한다. 엑스포가 밀라노에서 열린다는 것과 밀라노에서 시작된 이탈리아 화장품 전문브랜드를 연계하여 결과물은 “KIKO”브랜드의 엑스포 색조 패키지를 제안하였다. 패키지 디자인은 밀라노의 상징인 두오모와 갤러리아 빅토리오 엠마누엘레 2세의 건물에서 모티브를 얻었다. 색조화장품 패키지의 감각적인 표현을 위하여 다채로운 색상조합의 엑스포 로고색상을 사용하였다. 제안하는 패키지 디자인 “KIKO” 를 통하여, 세계 소비자들이 “KIKO”브랜드가 이탈리아 밀라노 제품임을 인식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본다. 또한 “KIKO”가 이탈리아 화장품시장의 이미지를 향상시키고, 또한 소비자들이 이탈리아 화장품 브랜드를 경험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Historically, Italia’ each city state was renowned for its own special developed industry and therefore the general designation of branding would be to indicate where it was made underneath the main brand logo. Also, labeling products as “Made in Italy” or as “A Local Name” has been a remarkable marketing strategy for Italian brands. These labeling marketing have applied likewise to cosmetic industry. Milano is a city where the cosmetic market has flourished in tandem with its world famous fashion image. The Italian cosmetic industry is the fourth largest in Europe but compared to other countries, Italian cosmetic brands that are less well-recognized worldwide. Therefore, this thesis proposes a method how to spread Italian cosmetic brand more globally through the “EXPO Milano 2015” based on Made in Italy cosmetic brands with brand survey and analysis(quantitative research and online research). Out put which is a color cosmetic package of the brand “KIKO”. It was matched between holding EXPO in Milan and originally launching the “KIKO” brand in Milan. Got package design inspirations from the symbol of Milan which are Duomo and Galleria Vittorio EmanueleⅡ. For the sensuous color cosmetic package, the design was applied with a diverse color combination which is using as the logo colors in EXPO. Through the proposed package design “KIKO”, it is anticipated to help global consumers identify the “KIKO”brand as made in Milano, Italy. Furthermore, the “KIKO” enhances the image as Italian brand and the opportunity of Italian cosmetic brand experience for consumers.

      • KCI등재

        이탈리아 산업디자인 정체성에 대한 기초 연구

        조태형 ( Tae Hyung Cho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5

        하나의 시스템으로서의 이탈리아 산업디자인의 가장 두드러지는 특성은 미학적 직관(intuition)이 형성되는 과정이라고할 수 있으며, 이는 이탈리아의 민족정체성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전승된 예술적 창의성과 혁신적인 유전인자들이 작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민족정체성에 대한 고찰은 이탈리아 산업디자인의 정체성을 파악할 수 있는 논거가 된다. 연구과정에서 살펴본 이탈리아의 혼란스러운 역사적 사실들에 비춰볼 때 오늘날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자랑하는 이탈리아 산업디자인이 이룬 쾌거는 아이러니하다. 여기에는 이탈리아만의 독특한 문화적 전통에서 기인한 여러 가지 요인들이 상호간에 작용하면서 지속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최근 경제 학설에 빈번하게 등장하는 이탈리아 산업클러스터에 대한 고찰과 분석은 이탈리아의 민족정체성의 특성으로 나타나는 뿌리 깊은 지역성을 이해할 수 있으며, 지역성은 제조업 및 산업디자인 분야와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지역성은 이탈리아 산업디자인과 생산시스템의 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며 이탈리아 산업디자인 정체성의 하나로서 드러난다. 이것의 핵심은 전통적이고 민족적인 문화이다. 그리고 정체성 보전의 기본적인 수단은 문화들 사이의 대화와 계승이다.1) 이를 통해 문화연구의 한 축을차지하는 정체성과 디자인의 존재론적 의미를 이탈리아라는 민족적 틀 안에서 고찰함으로서 이탈리아 산업디자인의 정체성을 살펴볼 수 있었고 새로운 디자인 개념을 만들어 내는 경이로운 능력을 발휘하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었다. 이러한추론들은 어쩌면 직관적이고, 단지 특정한 제품군에서만 나타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지만, 연구를 통해 이탈리아 산업디자인의 경쟁력의 원천과 정체성에 대한 전문적 담론과 이탈리아 산업디자인의 특성을 논의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디자인 연구영역의 확대라는 차원에서 중요하다고 생각되며 하나의 인식으로서 지속적인 연구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The most noticeable characteristic of Italian industrial design as a system can be seen as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aesthetic intuition, which comes from the combined action of artistic creativity and innovative genes passed down from the development of the Italian ethnic identity. Therefore, the study on the identity must be based on the historical facts, such as the process of Italy`s modernization from the 18th century to the social, political, economical, cultural happenings in Italy. This study understands the background of Italy which was dominated by other countries and eventually stood as a country through the unification process. And this helped understand Italy`s history to have ethnic identity and root-deep regionality. There are many factors that lay as a basis that comes from an unique cultural tradition only from Italy and is continued. The root-deep regionality contributed immensely in catching up with the modernization of other countries and the economical development. The synthesis and evaluation of Italian business clusters which has been frequently appearing in the economics theory, is seen as a deeply-rooted regionality with Italy`s ethnic identity.

      • KCI등재

        하부정치문화요소를 통해 본 베를루스꼬니 정부의 성격

        김종법(Jongbub Kim) 한국정치학회 2004 한국정치학회보 Vol.38 No.5

        본 논문은 현재 이탈리아의 정치적 상황을 분석해 보고, 현 베를루스꼬니Berlusconi 정권이 갖는 성격을 검토해보고자 한다. 현 베를루스꼬니 정부는 2001년 5월 13일 총선에 의해 탄생하였다. 지난 94년 새로운 정치지형 아래 성공한 기업가 출신으로 정치적 권력까지 거머쥐었던 베를루스꼬니는 집권한 지 8개월만에 실각하였지만, 다시 한번 재집권에 성공하였다. 이에 대한 원인은 여러 가지 측면이 있겠지만, 본 논문에서는 세 가지 관점에서 베를루스꼬니 정권의 성격을 논하고자 한다. 첫째는 베를루스꼬니 정권의 신자유주의적 성격으로 피아트Fiat나 올리베띠Olivetti 등의 기존 산업자본가들과도 구별되는 베를루스꼬니의 기업적 특징을 통해 접근하고자 한다. 둘째는 가톨릭과 반공주의 이데올로기를 기반으로 하였던 기민당(DC) 정권의 몰락 이후 새롭게 등장한 정당의 성격분석을 포르짜 이탈리아Forza Italia와의 관계를 통하여 정리하고자 한다. 셋째는 이탈리아 정치문화의 가장 커다란 특징이었던 후견인주의(Clientelismo)와 변형주의(Trasformismo)를 탈피하고 ‘미디어 포퓰리즘(Populismo mediatico)’이라는 새로운 정치문화의 유형을 제시하고 있는 베를루스꼬니의 정치적 성격을 논하고자 한다. 영국이나 프랑스 및 독일 등의 주요 유럽국가들에 비해 늦게 통일을 이룩한 이탈리아는 역사적으로나 정치적으로 복잡한 구조와 문화들이 존재한다. 이는 이탈리아의 정치적 상황, 그것이 비록 현재의 상황을 이야기할지라도 이탈리아 특유의 복잡한 역사적 배경이나 복합적인 정치요소들을 이해하지 못한다면 정확하고 올바른 분석이 어렵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현재의 베를루스꼬니의 재등장 역시 역사적인 배경에 기반 하여 이미 오랜 전부터 중첩되어 온 특징들이 또 다시 표출된 것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논문 의도에 따라 다음과 같은 요인들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먼저 첫 번째 부분에서는 현재의 정치적 상황을 촉발시킨 국내외적 환경요인과 결정요인들에 대하여 다룰 것이다. 두 번째는 2001년 총선 결과와 이에 대한 의미를 여러 정당들과의 관계를 통해 정립하고자 한다. 세 번째는 2001년 총선으로 재집권하게 된 베를루스꼬니의 요인들 중에서 기업가로서 성공한 베를루스꼬니의 자본적 성격을 현재의 신자유주의 정책 기조인 세계화와 관련하여 다양한 요인들과의 복합적 분석 틀에서 다루고자 한다. 이 경우 그 대립각을 세우고 있는 이탈리아의 반세계화 운동에 기준점이 모아질 것이다. 네 번째는 2001년 총선이 그 동안의 이탈리아 특유의 하부정치문화 요소-가톨릭주의, 반공주의, 후견인주의, 변형주의, 부정부패, 마피아 등의 여러 요소-들을 해체시키고, 새로운 의미에서 베를루스꼬니로 대표되는 ‘미디어 포퓰리즘’이라는 정치문화 요소가 대체한 것인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고 결론적으로 현재 이탈리아의 정치적 변동과 상황을 서술함으로써, 앞서 이야기한 여러 요인들과의 관련성을 어떻게 볼 것인가라는 문제로 집약하고자 한다. 이탈리아의 정치적 상황은 우리나라와 많은 차이가 있지만 정치문화를 구성하고 있는 하위요소들의 유사성 여부가 항상 여러 연구자들로부터 제기되고 있다는 사실을 고려한다면, 본 논문은 여러모로 유용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general election of 2001 and the characters of the Berlusconi’s government. Berlusconi, the Italian Prime Minister who successfully obtained political power in the year 1994 was reappointed after the general election in 2001. There are some of discussions and researches on the factors that have contributed to the successful hold over power by Berlusconi and Party Forza Italia on the general election. This thesis attempts to research on the topic from three points of view: the first is the neo-liberalistic character of Berlusconi’s government which was different from that of the Italian companies, mainly Fiat, Olivetti, etc.; the second is the characteristic of Forza Italia which was instituted after the demolition of Catholic Democracy; the third is the new trend, Media Populism which was one of Berlusconi’s new political character. For the aforementioned researching goals we examined four determinative factors. The first was the internal and external conditions from which present political situations have developed. The second was the general election result in the year 2001 and its meanings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with other parties. The third was Berlusconi’s character as a successful enterpriser in relation to Globalization in Italy. The forth was dealignment of negative sub-political and cultural factors commonly found in Italy, such as Catholicism, Anti-Communism, Cliental ism, Mafia, etc., that were substituted by Media Populism represented by Berlusconi. The conclusion will descript current political situation in Italy and relate it with the factors listed above.

      • KCI등재후보

        19세기 이탈리아 민족시인 카르두치; 반 기독교적, 고전주의적 관점 중심

        이정현 ( Joung Hyoun Lee ) 한국이탈리아어문학회(구 한국이어이문학회) 2016 이탈리아어문학 Vol.0 No.47

        오스트리아로부터 해방된 후 이탈리아 통일운동Risorgimento의 시기인 19세기는 이탈리아인들에게 있어 역사적으로 중요한 시기이며, 그한가운데 이탈리아 국민을 사랑하고 진정한 이탈리아의 해방을 찬양하며 민족의식을 고취시킨 위대한 민족시인 카르두치가 있다. 그의 애국심은 유수한 작품들에 녹아들어 이탈리아 국민들이 자유와 정의로 눈돌릴 수 있도록 이끌었다. 본 논문에서는 그의 작품들을 1) 고전주의적관점과 2) 반 기독교적 관점, 양방향으로 조망한다. 그리고 그의 문학작품에 나타난 이 두 관점은 결국 이탈리아인의 우수성을 일깨우고 진정한 독립을 향한 애국심을 고취시키기 위한 카르두치의 투사 방법이었음을 살펴본다. 본 논문에서는 첫 째, 통일을 위해 애국심이 요구되는 당시 이탈리아시대를 감안할 때, 적어도 카르두치의 관점에서는 다소 감상적일 수 있는 레오파르디와 같은 낭만주의자와 그와 다른 시각의 고전주의자 카르두치의 관점을 비교한다. 둘 째, Inno a Satana(1863) 와 Giambi edEpodi(1867-1879)와 같은 작품들을 통해 이탈리아 통일에 방해가 되는 로마 카톨릭 교회에 강하게 반발하는 반종교적 정신을 소고한다. 셋 째, Rime(1857), Rime nuove(1887), Odi barbare(1878-1889)와 같은 그의 후반 작품들을 통해 찬란했던 역사의 부활, 고대 로마의 영광과 그 정신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카르두치의 고전 정신을 살펴본다. 결론적으로, 카르두치는 해방 이탈리아를 염원하는 ‘애국주의자’의 입장에서 통일 정신을 저해하는 교회에 적대감을 드러낸 ‘반 카톨릭 정신’을 시로 표현하였다. 둘째, 그는 ‘민족주의자’로서 고대 로마의 정신을 이어받아 본래 이탈리아인이 가졌던 우수한 국민성을 상기시키려 하는 ‘고전 정신’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가는 이 논문에서 카르두치를 시자체가 가지는 미를 추구하는 예술가로서 의의를 두지 않았다. 그는 동시대에 어쩌면 사치일 지도 모르는 예술성이나 내적 감성을 추구했던 낭만주의에 반하였고, 오히려 반 기독교정신과 고전주의로 무장하여 민족주의와 애국심을 투사시켰으며 그 시대와 국민이 실질적으로 필요로하는 ‘유용한utile’ 시를 선택한 시인이었다고 고찰하는 데 이 연구의 의의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이탈리아의 의원내각제와 연립정부

        김정현(Kim, Jung-Hyun) 세계헌법학회 한국학회 2012 世界憲法硏究 Vol.18 No.1

        이탈리아 헌법은 의원내각제를 채택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비례대표제와 분극화된 다당제에 기반한 의원내각제라고 평가된다. 이탈리아의 의원내각제는 정부의 교체가 빈번하게 이루어져 정국이 불안정한 특성을 갖고 있다. 이러한 이탈리아 정치의 특성을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해서는 이탈리아의 정당제와 연립정부의 구성 양상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탈리아의 정당제는 매우 분극화된 다당제이다. 이념에 따라 정당이 분화되어 있고, 이탈리아의회 또는 유럽연합의회에 진출한 정당과 별개로 지역정당이 존재하기도 한다. 수십여개의 정당이 국민의 정치적 욕구를 반영하기 위해 정치적 활동을 하고 있는 이탈리아의 정치체제에서 정당간의 연립정치는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어느 한 정당이 의회 내에서 과반수 의석을 확보하는것이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특정정당의 단독정권이 출현하는 것은 매우 예외적인 경우이고, 대체로 정당간의 연립정권이 반복적으로 출현하고 있다. 기민당이 연립정권의 파트너 정당만을 교체하면서 40년간 집권한 것이 이탈리아에서 연립정치가 얼마나 보편화되어 있는지 보여주는 실례라고 할 수 있다. 1992년 마니 뿔리떼(mani pulite)라는 검찰의 정치권에 대한 수사와 1993년 선거법 개정으로 이탈리아의 정치 구도는 완전히 재편되어 기민당 절대우위체제는 무너졌고, 정당간의 정권교체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탈리아의 헌정사를 살펴보면, 1948년 이후 57차례의 내각교체가 있을 정도로 내각의 수명이 매우 짧다. 최근 내각의 수명이 길어지면서 다소 안정적인 정국이 이어지고 있다는 점은 바람직한 변화라고 볼 수 있다. 그 외에 이탈리아 연립정치의 특성으로는 선거 전 정당연합의 결성, 각외협력, 비정치인내각 등이다. 선거 전 정당연합이 결성되므로 국민들은 어떠한 정당들이 연립정부에 참여할지 인지한 후 투표를 할 수 있다. 또한 각외협력을 통해 연립정부에 참여하지 않은 정당이라도 의회에서 정부를 지지하기도 한다. 그리고 기존 정치권에 대한 불신이 극에 달해 내각이 붕괴되었을 때 과도기적인 상황에서 비정치인내각이 출현하였다는 점도 특징적이다. Italian Constitution adopts Parliamentarism. The Italian political system has been described as a parliamentary government with proportional representation rules and a fregmented party system. Italian Parliamentarism features instability of political situation due to frequent change of government. In order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an Italian Constitutional government, understanding for the aspect Italian party system and coalition government has to be preceded. Italian party system is very fregmented. The parties are grouped by ideology, also there are local parties separately from the ones having gone into the Italian Parliament or the European Parliament. The coalitional politics of parties is necessary for the Italian political system that allows dozens of parties to reflect public demand by their political activities. Because, in reality, it is impossible for one certain party to have a majority of seats. Appearance of the coalition government of parties has been repeating while appearance of the single-party cabinet is very exceptional. Actually the Christian Democrat Party could seize power for 40 years by simply changing their coalition governmental partner and this is a prime example showing how common the coalition politics are in Italia. The extensive investigation of the political circle by prosecution in 1992 called Mani Pulite and the reform of election law in 1993 led a entire reshuffle of a political structure along with a downfall of predominant party system by Christian democrat party. Looking into Italian history of constitutional government, there were 57 times of making and breaking government since 1948 and this proves that the duration of cabinet is very short. The thing that the political situation remains stable as the duration of cabinet has been longer during the past 10 years is one of desirable change. In addition, a characteristic of an Italian coalition politic is represented by the party alliance before an election, the external support and the technocrat cabinet, etc. The fact that the party alliance is formed before an election allows people to vote after recognizing the parties who take part in the coalition government. Even for the parties who don’t take part in the coalition government can support the government in the parliament through the external support. Also it is one of the features that the technocrat cabinet appeared in caretaker government when distrust in an existing political circle reached a boiling point and consequently led a cabinet downfall.

      • KCI등재

        연구논문(硏究論文) : 이탈리아 해상법에 관한 연구 -그 입법 형태와 내용상 특색을 중심으로-

        채이식 ( Lee Sik Chai ) 한국해법학회 2012 韓國海法學會誌 Vol.34 No.2

        본 논문은 이탈리아 해상법을 한국에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이탈리아 해상법의 입법형태와 내용상 특색을 살펴보고 그 비교법적 고찰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상법과 비교하여 그 특색을 살피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고찰의 전제로 이탈리아 민사법이 갖는 전반적인 체계도 살피고자 한다. 이탈리아는 근대 대륙법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로마법을 제정한 국가이지만 이탈리아 법은 우리나라에 그 분야를 가리지 아니하고 전반적으로 전혀 소개되지 아니하였다. 이탈리아는 민상법이 통일된 국가이고 해상법이 항공법과 함께 별도 입법 형태로 유지되고 있으며 해상법이 해상 행정법과도 같이 규정되어 있다. 이러한 복잡하고 난해한 이탈리아 해상법을 독자들이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우리 상법 해상법과 편제를 맞추어 정리하여 소개하는데 주력하였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우리나라법을 해석하고 입법하는 데에도 참고할 만한 많은 부분을 발견하였다. 그렇다고 이러한 거대한 작업을 제한된 시간 내에 할 수는 없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이탈리아 항행법(航行法) 원문을 번역하여 첨부하였다. The article is intended to introduce Italian maritime law into Korea. Italian law in general has not been known to Korea so far. This is the first attempt to look into Italian maritime law. But it turned out that it is not easy to introduce Italian maritime law without addressing on Italian Civil Law in general. The author therefore attempted to align it in line with what Korean maritime law tries to do so that readers easily understand it without fully understanding Italian Civil Law in general. It turned that there are many areas of Italian maritime law which are innovative and therefore conducive to our future better legislation. With time constraint due to a short time allowed to present this paper, the article has to be satisfied with a short overview on Italian maritime law. In particular it has to rely on the Italian Navigation Act in which the provisions equivalent to our maritime law is contained. Knowing shortcomings and imperfection in the research, the author attaches at the end of this article a translation of the relevant part of the Italian Navigation Act so that the reader who are in doubt can have access to the material direct.

      • KCI등재후보

        한국에서의 이탈리아어 교육 및 이탈리아학 현황

        이상엽 ( Sang Yeob Li ) 한국이탈리아어문학회(구 한국이어이문학회) 2011 이탈리아어문학 Vol.0 No.33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는 처음으로 이탈리아어문학자들의 학술대회가 지난 6월 초에 대만에서 개최되었다. 참가국은 주최국인 대만을 포함하여 모두 8개국 이었다. 대만, 한국, 호주, 일본, 중국, 태국, 인도, 베트남이 참가국이었다. 본 논문은 그 학술대회에서의 발표내용을 전체적으로 정비하고 보완하였다. 따라서 본고의 목적은 한국에서의 이탈리아어 교육과 이탈리아학의 현황에 대하여 설명하고 아시아 태평양 지역 국가들과 우리나라의 상황을 비교하여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 언급함으로써 우리가 취할 수 있는 방향에 대해 생각해보고자 한다. 인상적인 것으로는 호주와 일본에는 이탈리아어를 공부하고 있는 사람들의 숫자가 매우 많다는 사실에 놀랐다. 이탈리아인 이민자들의 숫자가 매우 많은 호주에서는 대부분의 대학에서는 물론이고 이탈리아어를 가르치는 고등학교도 매우 많다고 한다. 일본의 경우도 대부분의 대규모 대학에는 이탈리아어 과정이 있으며 가장 좋은 대학으로 평가되는 6개 명문대학에는 모두 이탈리아어과가 있다고 한다. 뿐만 아니라 대학 등의 평생교육 시스템을 통해 장년층에서도 이탈리아어 학습 수요가 매우 많다는 일본 단테 협회 회장 Fabrizio Grasselli의 설명도 인상적이었다. 또 한 가지 나의 관심을 끈 것이 있었다. 호주, 일본은 물론이고 중국, 인도, 태국, 베트남에도에도 단테 협회(Societa Dante Alighieri)가 설립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호주에는 수도 캔버라를 포함 10개 도시, 일본에는 동경과 오사카, 중국에는 홍콩과 북경 그리고 태국의 방콕, 베트남의 하노이와 인도의 뭄바이에 협회가 나와 있다. 이탈리아가 대만과는 정치적으로 정식 외교관계를 맺고 있지 못한 점을 고려하면 참가국 중 유일하게 한국에만 단테 협회가 없다는 사실에 놀랐다. 단테 협회를 통해 이탈리아가 공유하고 전하고자 하는 상징적 의미를 고려할 때 우리학회가 주관이 되어 이탈리아 정부에 한국내의 협회 설립을 건의할 수 있었으면 한다. 이탈리아어 교육과 관련한 학회 참석자들의 질문과 그에 대한 나의 답변을 논문의 마지막에 첨부하였다.

      • KCI등재

        이탈리아 해상법에 관한 연구 - 그 입법 형태와 내용상 특색을 중심으로 -

        채이식 한국해법학회 2012 韓國海法學會誌 Vol.34 No.2

        본 논문은 이탈리아 해상법을 한국에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이탈리아 해상법의 입법형태와 내용상 특색을 살펴보고 그 비교법적 고찰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상법과 비교하여 그 특색을 살피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고찰의 전제로 이탈리아 민사법이 갖는 전반적인 체계도 살피고자 한다. 이탈리아는 근대 대륙법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로마법을 제정한 국가이지만 이탈리아 법은 우리나라에 그 분야를 가리지 아니하고 전반적으로 전혀 소개되지 아니하였다. 이탈리아는 민상법이 통일된 국가이고 해상법이 항공법과 함께 별도 입법 형태로 유지되고 있으며 해상법이 해상 행정법과도 같이 규정되어 있다. 이러한 복잡하고 난해한 이탈리아 해상법을 독자들이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우리 상법 해상법과 편제를 맞추어 정리하여 소개하는데 주력하였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우리나라 법을 해석하고 입법하는 데에도 참고할 만한 많은 부분을 발견하였다. 그렇다고 이러한 거대한 작업을 제한된 시간 내에 할 수는 없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이탈리아 항행법(航行法) 원문을 번역하여 첨부하였다. The article is intended to introduce Italian maritime law into Korea. Italian law in general has not been known to Korea so far. This is the first attempt to look into Italian maritime law. But it turned out that it is not easy to introduce Italian maritime law without addressing on Italian Civil Law in general. The author therefore attempted to align it in line with what Korean maritime law tries to do so that readers easily understand it without fully understanding Italian Civil Law in general. It turned that there are many areas of Italian maritime law which are innovative and therefore conducive to our future better legislation. With time constraint due to a short time allowed to present this paper, the article has to be satisfied with a short overview on Italian maritime law. In particular it has to rely on the Italian Navigation Act in which the provisions equivalent to our maritime law is contained. Knowing shortcomings and imperfection in the research, the author attaches at the end of this article a translation of the relevant part of the Italian Navigation Act so that the reader who are in doubt can have access to the material direct.

      • KCI등재

        이탈리아 민족주의 기원으로서의 초기 낭만주의와 데카당스 연구

        한성철(Han, Sung-chul)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09 외국문학연구 Vol.- No.35

        이탈리아 낭만주의는 다른 유럽 국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늦게 시작되었고 농도 면에서 매우 옅다. 중부 유럽에서 만연하였던 초기 낭만주의의 양상이 이탈리아에 수용되고 이탈리아 사회에 확산되는 데 오랜 시간이 흐르게 된다. 초기 낭만주의가 채 정착되기도 전에 이탈리아 통일운동과 함께 독일에서 시작된 후기 낭만주의는 민족적으로, 역사적으로 질곡의 삶을 살아가던 이탈리아 작가들에게 큰 반향을 일으키게 된다. 다시 말하면 후기 낭만주의에 이르러 비로소 이탈리아 작가들의 낭만적 혼이 깨어나게 되는 것이다. 포스콜로Ugo Foscolo는 조국 이탈리아가 처한 현실적인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으로 이탈리아 민족의식의 고취와 이를 통한 민족적 동질성 추구 그리고 이민족과의 투쟁을 통한 통일된 민족국가의 탄생을 꿈꾸었다. 반면 단눈치오D'Annunzio의 경우는 보다 복잡하다. 이미 조국은 통일이 되어 있으나 무기력하고 사회주의는 사회 곳곳에 침투하여 민족 보다는 계급을 우선순위에 두고 투쟁하는 관계로 민족은 오히려 분열하고 있다. 이에 단눈치오는 감성적 민족주의를 넘어 이탈리아 민족과 고대 로마를 동일시하며 이탈리아 민족의 역사적 사명을 강조하게 된다. 즉 인종주의Razzismo를 통한 민족주의의 부흥을 기도하게 된다 Un romanticismo nel senso originario, di stampo tedesco e inglese, in Italia non c'è stato, come vago è stato del resto, se si eccettua L'Ortis, redatto sulla scia del Werther, il Preromanticismo. Le necessità storiche spingevano verso una letteratura educatrice, che disponesse ai cambiamenti sociali, attesi dalla nuova borghesia, e ai rivolgimenti politici auspicati. Il Romanticismo italiano fu “risorgimentale”: in sostanza un movimento di intellettuali liberati dalle regole classiche, ma non dalle regole sociali . L'utile come fine, tipico dell'Illuminismo, delle lettere, restò in Italia un punto fermo, cambiando obiettivo: non più soltanto quello culturale ed economico, ma anche quello morale. Ugo Foscolo è il più grande interprete di quei sentimenti che caratterizzano il passaggio dal Neoclassicismo al Romanticismo. Già nella sua prima opera significativa, il romanzo epistolare Ultime lettere di Jacopo Ortis, presenta alcuni dei temi principali della sua poetica: accanto al pessimismo storico trovano posto l'amore per la patria e il valore morale e civile dell'esempio degli antenati illustri. D'Annunzio fu lo scrittore che tra la fine dell'Ottocento e l'inizio del Novecento ebbe la risonanza più vasta di pubblico e influì inmodo determinante sulla letteratura e sul costume del tempo. Va inoltre ricordato che in Italia, per alcuni decenni, tutta la nostra letteratura o nascerà in polemica con lui (i crepuscolari, Svevo, Pirandello) o assorbirà da lui (i futuristi). Egli ha offerto al nazionalismo e al fascismo molti miti. E' stato maestro di quell'arte oratoria che sarà poi dei fascisti e di Mussolini. Ha divulgato uno stile snobistico di vita che ha attecchito anche nella piccola borghes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