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용 허가제 이후 이주 노동자 선교의 과제와 전망

        황홍렬(Hong Eyoul Hwang)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08 선교와 신학 Vol.21 No.-

        이 논문은 고용 허가제가 실시된 2004년 이후 변화된 상황을 전제하고 이주 노동자의 현실을 살피고(Ⅱ장), 이주 노동자의 선교 현황에 대해 민중의 사회 전기(傳記)를 통해서(Ⅲ장), 설문 조사를 통해서(Ⅳ장) 알아본 후 이주 노동자 선교신학을 모색하고(Ⅴ장), 이 모든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해서 이주 노동자 선교의 과제와 전망을 제시하려 한다(Ⅵ장). 본 연구는 2005년 11월부터 2006년 10월까지 학술진흥재단에서 지원하여 진행된 박사 후 연수 과정으로 진행되었으며 그 연구 결과 전문은 2007년 2월 한국선교신학회에서 발표된 바 있다. 그러나 이 논문에서는 제한된 지면으로 인해 그 중요한 흐름만(특히 Ⅱ장과 Ⅲ장) 실었음을 밝힌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방법론으로 제시된 민중의 사회 전기, 타자와 만남의 선교론, 그리고 설문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Ⅱ장에서는 이주 노동자의 일반 상황으로서 국제 노동력의 이동과 고용 허가제 실시 등에 대해 알아보았다. Ⅲ장에서는 14개 국가 출신 이주 노동자 39명(어린이 2명 제외)의 사회전기를 통해 본 이주 노동자 선교의 과제는 한국 교회의 갱신, 감동을 주는 선교, 치유 선교, 이주 노동자 양육, 돈의 유혹 극복과 하나님 사랑, 한국 교인에 대한 교육, 정주화 대비, 세계 선교의 새로운 지평 확대, 종교 간 갈등 대비 등이었다. Ⅳ장에서는 10개 국가(11개 그룹)를 대상으로 546명에 대한 설문 조사를 한 결과 이주 노동자의 42%가 입국 전에 기독교 신자였지만 입국 후 57%로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이주 노동자 선교가 효과가 있음을 입증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긍정적 평가를 받지만 이주 노동자 선교의 주요 과제로는 첫째, 한국 교회가 복음으로 돌아가야 한다. 둘째, 한국 교회나 선교 단체의 욕구가 아니라 이들의 종교적 욕구를 수용해야 한다. 셋째, 한국인들의 외국인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넷째, 정주화 경향이 나타나는 만큼 가정을 돌보는 사역, 자녀 양육 사역 등에 대해 대비해야 한다. Ⅴ장에서는 이주 노동자 선교신학으로 성경적 전거를 보았다. 구약이나 신약 모두 이주민과 미등록 노동자에 해당하는 각각의 용어가 있지만 성경은 지속적으로 법적으로 보호받지 못하는 이주 노동자들을 섬기고 보호하라고 명한다. 이웃 사랑의 대상은 이주민을 넘어서서 미등록 이주 노동자를 향한 것이 성경의 가르침이다. 그리고 이주 노동자 선교가 함의하는 교회론은 나그네 교회와 만민이 기도하는 집으로서의 교회를 보았다. 나그네/이주민 교회는 집 없는 자들에게 집이 되는 교회, 사회적으로 소외당하는 자들에게 새로운 가정이 되는 교회, 인종성으로부터의 해방이 아니라 인종성을 통해 이루어지는 해방을 체험하는 교회이며, 이를 통해 다른 인종이나 사람들에게도 참된 해방을 이루게 함으로써 하나님 나라가 이 땅에 이루어지게 히는 데 기여하는 교회이다. 만민이 기도하는 집으로서의 교회는 다인종 교회, 다문화 교회를 가리키는데 교회 성장 신학에 기반을 둘 수도 있고, 인종 간 화해를 지향하거나 평화 공동체나 하나님 나라를 지향할 수 있지만 이 글에서는 후자에 무게를 두었다. 이주 노동자 선교신학의 유형으로는 개종 유형, 회심 유형, 환대로서의 선교, 역전된 선교, 소수자 선교 등으로 나뉜다. 이러한 구분은 타자와의 만남의 선교론에 바탕을 두고 구별했다. 가장 바람직한 유형으로서 소수자 선교를 제시했다. Ⅵ장에서는 이주 노동자 선교의 전망을 살펴보았다. 이주 노동자 선교는 이제 막 드러나기 시작한 세계 선교의 새로운 방법과 접근 방식을 많이 보여주는데 앞으로는 세계 선교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 줄 것으로 본다. 또 이주 노동자들의 정주화에 대비해야 한다. 그리고 이주 노동자들이나 이주민 가운데 타종교인들과 한국 기독교인들, 또는 이주 노동자들 사이에 종교 간 갈등의 우려가 있어 이를 예방하는 것이 필요하다. 중국 동포를 통한 중국 선교와 남북의 평화 통일에 기여해야 한다. 이주 노동자 선교가 이주민 선교에 기여하는 길을 찾아야 한다. 마지막으로 아시아 출신의 이주 노동자 선교를 통해 아시아인들이 연대하여 아시아의 평화에 참여하는 길을 찾도록 하는 데 기여해야 한다. The research on the migrant worker mission was carried out as the post-doctorate course supported by the Korea Research Fund from November 2005 to October 2006. A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as too long to reproduce within this limited space, the writer had to omit two chapters(literature survey and characteristics of migrant worker mission of Korean churches /mission centers) from the original report including some parts of the second, third and fourth chapters. Three methodologies adopted by the research were explained in the first chapter: the social biography of minjung suggested by Kim Yong-bock, missiology as the encounter with the others, and survey by the questionnaires. The second chapter deals with the current situations of the migrant workers such as the move of the international labor force, the life of migrant workers, the implementation of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and some perspective on the migrant workers. In the third chapter, the writer applied the social biography of minjung to 39 migrant workers coming from 14 countries. According to their social biographies the writer identified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the churches/mission centers they attended and their suggestions for the churches/mission centers. These migrant workers made some suggestions as main tasks for migrant worker mission of the Korean church/mission center such as: renewal of Korean church, mission that moved migrant workers, healing mission, nursing migrant workers’ faith, education for the Korean Christians, and preparing for the religious conflicts. The fourth chapter analyzed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s responded by 546 migrant workers coming from 10 countries. This chapter deals with their nationality, age, gender, length of stay, current job, status of visa, worship and table community, preaching, and missionary tasks of Korean church. These migrant workers suggested to the Korean church that she return to the Gospel; she accept their religious aspirations; she teach Korean Christians how to understand the migrant workers; she care for their families, especially their children. Theological reflections on the migrant worker mission was presented in the fifth chapter. First of all, the biblical foundation for the migrant worker mission was identified by the Old Testament and the New Testament. Then the church for the stranger and the church as the house of prayer for all nations were identified as the ecclesiology for the migrant workers. Lastly, five types of mission theology for the migrant worker were suggested as proselytism, conversion, mission as hospitality, mission in reverse, and minority mission. The last chapter presented the prospects of migrant worker mission. Even though the migrant worker mission is at the beginning stage, it opens a new dimension for the world mis-sion in terms of missionary methods and approaches. And it should prepare for the forthcoming immigrants. Also it has to find out how to contribute to the peace and reunification of Korea by serving Korean Chinese and how to contribute to the peace of Asia by Korean Christians solidarity with Asian migrant workers.

      • KCI등재

        북한 일유형이 남한에서 탈북이주민 고용에 미치는 영향

        김화순 통일연구원 2014 統一 政策 硏究 Vol.23 No.1

        North Korean Migrants’ poor employment situation in the South Korean labormarket including their high unemployment rate and low wage level have raised manydebates over the causes of such problems. As the causes of the employment problems,previous studies have pointed out North Korean Migrants’ inadequacies and weakemployment intention, South Koreans’ prejudice and exclusiveness, etc., but theimportance of the cohort effect of North Korean Migrants’work experiences on theircurrent employment has been overlooked. Recognizing this problem and giving attention to North Korean residents’ workexperiences, the present researcher conducted the third and conclusive study, following theprevious studies “A Study on North Korean Residents’ Work Types” and “Determinantsof North Korean Residents’Work Type in the Period of Marketization.” The conclusiondrawn from this study i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causal relation between ‘work type inNorth Korea’ before migration and ‘employment in South Korea’ after migration, and theprobability of employment or the basic livelihood benefit take‐up rate is significantlydifferent according to whether one had an formal work, informal work, or both formal andinformal work in North Korea. According to the results of binomial logit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datacollected from 413 North Korean migrants living in Seoul and sampled through quotasampling based on the year of entry, etc., both work type and education level in NorthKorea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North Korean migrants’ employment in SouthKorea. An interesting finding was that the probability of employment in South Korea washigher in work types with more market economic activities (informal work>both formaland informal work>formal work) in North Korea. Contrary to expectation, the probabilityof employment was lowest in those who had been engaged in an formal work in NorthKorea. What is more, work types with more market economic activities in North Koreashowed a lower probability of being a basic livelihood benefit recipient, and consequentlythose with an informal work were less dependent on the government than those with anformal/both formal and informal work. The most important finding from this study is that work experience in a NorthKorean market enhanced economic adaptability to the South Korean labor marketsignificantly. This suggests that North Korean migrants’experience in working at a marketin North Korea can be more useful as human resource than experience in an formal work. North Korean Migrants’ poor employment situation in the South Korean labormarket including their high unemployment rate and low wage level have raised manydebates over the causes of such problems. As the causes of the employment problems,previous studies have pointed out North Korean Migrants’ inadequacies and weakemployment intention, South Koreans’ prejudice and exclusiveness, etc., but theimportance of the cohort effect of North Korean Migrants’work experiences on theircurrent employment has been overlooked. Recognizing this problem and giving attention to North Korean residents’ workexperiences, the present researcher conducted the third and conclusive study, following theprevious studies “A Study on North Korean Residents’ Work Types” and “Determinantsof North Korean Residents’Work Type in the Period of Marketization.” The conclusiondrawn from this study i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causal relation between ‘work type inNorth Korea’ before migration and ‘employment in South Korea’ after migration, and theprobability of employment or the basic livelihood benefit take‐up rate is significantlydifferent according to whether one had an formal work, informal work, or both formal andinformal work in North Korea. According to the results of binomial logit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datacollected from 413 North Korean migrants living in Seoul and sampled through quotasampling b... 그간 남한 노동시장에서 탈북이주민의 고실업,저임금 등 고용부진 상황은 그 원인을 둘러싸고 많은 논의를 촉발하였다. 선행연구들은 고용문제의 원인으로 탈북이주민 자신의 취약성, 취업의지나 남한사람들의 편견이나 배제 등을 지목해왔지만, 북한에서 탈북이주민의 일 경험이 현재 남한에서 고용에미치는 중요성은 간과되었다.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북한 주민의 일경험에 주목해온 필자의 “북한주민의 일자리 유형연구”와 “시장화시기 북한 주민의 일유형 결정요인”연구를 잇는 세 번째 연구이자 마무리 연구이다. 결론적으로 이주 이전 ‘북한에서 일유형(work type)’과 이주이후 ‘남한에서 고용(employment)’ 간에는 유의한인과관계가 존재하며, 북한에서 공식일/비공식일/이중일을 했는지에 따라 취업확률이나 기초생계수급률이 유의하게 달라진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입국연도 등에 의해 할당표집한 서울시 거주 탈북이주민 413명의 조사자료를 이항로짓, 다중회귀분석한 결과, 북한 일유형과 학력 변수 모두가 남한에서 탈북이주민의 취업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흥미로운 점은 북한 시장경제활동이많은 일유형일수록(비공식>이중>공식일유형) 남한에서 취업확률이 높았다. 일반적인 예상과는 달리북한에서 공식일 경력을 가졌던 사람들의 취업확률이 가장 낮았다. 또한 북한에서 시장경제활동 경험이 많은 일유형일수록 기초생계수급자일 확률이 낮아 비공식일 종사자들의 국가의존도가 공식일/이중일 종사자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가장 중요한 발견은 북한 시장에서 일했던 일 경험이 남한 노동시장에서 경제적 적응력을유의하게 높인다는 연구결과이다. 이 같은 결과는 북한 장마당 등 시장에서 일했던 탈북이주민의 일 경험이 인적자원으로서 공식 직업경험보다 더 유용하게활용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그간 정부는 북한 비공식일 종사자들을 무직자로 분류해왔는데, 이같은 탈북이주민 직업분류방식을 재검토해야 할 것이다. 향후북한 시장화가 진전된다면 북한 주민 인적자원의 개발 혹은 시장적응력이 향상될 것으로 전망된다.

      • KCI등재

        조선족 부모의 초국가적 이주유형과 남겨진 자녀의 우울: 자아존중감과 자아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송영호,전경숙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9 다문화사회연구 Vol.12 No.3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parental transnational migration on depression levels of left-behind children who live in Yanbian, China. In particular, this study examined the personal resources of self-esteem and self-efficacy to control the effects of transnational family types on children's social-psychological adaptation. This study analyzes data from “Survey of Korean-Chinese Adolescents in China”, which was conducted by Korea University and Yanbian University from September to November of 2014. Depressive symptoms and deviant behaviors are higher among “those whose parents both migrated and returned to China” and “those whose mother is absent” than other counterparts. In particular, the child’s depressive level was worse when both the mother moved abroad or the family reunited after the parents returned, rather than when there was an absence in long-term care due to overseas migration. Concerning individual resources, self-esteem only moderates the adverse effect of parental absence on the depressive symptoms for children whose mother migrated, whereas self-efficacy has a moderating effect only among those whose father migrated. In particular, the depression symptoms were worse when both the mother moved abroad or the family reunited after the parents returned, rather than when there was an absence in long-term care due to overseas migration. Second, both self-esteem and self-efficacy, which are personal resilience resources, had a positive effect on reducing depression. Among personal resilience resources, self-esteem was significant in the “mother moved abroad” type and self-efficacy was significant in the “father moved abroad” type. These study results can be used to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parents can enhance self-esteem and efficacy in order to improve the social psychological adaptation of Korean children left in their home country after emigration. Afterwards, I suggested ways to provide policies and programs that would enhance the bonds between reunited families. 본 논문의 목적은 중국 연변조선족자치주에 거주하는 조선족 청소년을 대상으로 부모의 초국가적 이주가 본국에 남겨진 자녀들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특히 부모의 초국가적 이주유형이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자아존중감과 자아효능감이 조절하는지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위하여 2014년 9월부터 11월까지 중국 연변조선족자치주 내 8개 시⋅현 중/고등학생 2,727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부모의 초국가적 이주유형 중 <어머니만 해외이주> 유형과 <부모 모두 해외이주 후 재결합> 유형이 여타의 집단보다 우울 수준이 높았다. 다음으로 개인 탄력성 자원 중 자아존중감은 <어머니만 해외이주>한 유형에서, 자아효능감은 <아버지만 해외이주>한 유형에서 우울을 억제하는 조절 효과가 유의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부모가 해외이주 후 본국에 남겨진 조선족 자녀의 사회심리적응 개선을 위해 강점관점에서 자녀들의 자존감과 효능감을 증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부모의 해외이주로 발생한 분거 가족뿐만 아니라 분거 후 본국에서 재결합한 가족에게도 유대감을 증진할 방안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유형에 따른 잠재집단 분류: 영향요인 탐색및 집단에 따른 자녀의 이중문화 수용태도 차이

        이수경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6

        Classification of Latent Classes by the Acculturation Type ofMarriage Immigrant Women: Exploring Influence Factorsand Differences in Children’s Bicultural AcceptanceSookyoung Lee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various types of acculturation of marriage migrant women for healthy cultural adaptation, at a time of changing into a setting period of multicultural society, and to examine factors affecting types of acculturation and the differences in their children’s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according to the acculturation types of marriage immigrant women. For this research purpose, latent classes analysis,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variable difference analysis were used for 1,051 immigrant women from the 9th data of the first panel of multicultural youth. As a result of the study, four types of acculturation were identified: acculturative confusion, integration-assimilation dominant type, separation dominant type, integration-separation dominant type. As factors affecting the latent classes, the country of origin, self-esteem, people with whom they hang out, and the language they usually use were affected. According to the latent classes of acculturat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children’s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This study bears significance as it investigated the various types of acculturation of marriage immigrant women and found that the types of acculturation had an effect on their children’s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Key Words: Marriage Immigrant Women, Acculturation, Acculturation Type, Bicultural Acceptance, Latent Classes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유형에 따른 잠재집단 분류: 영향요인 탐색및 집단에 따른 자녀의 이중문화 수용태도 차이이 수 경** 연구 목적: 본 연구는 다문화사회 정착기로 변화하고 있는 시점에서 결혼이주여성들의 건강한 문화적응을 위해 이들의 문화적응의 다양한 유형을 파악해보고, 이에 영향 미치는 요인 및 유형에 따른 자녀의 이중문화수용태도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방법: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다문화청소년 1기 패널 9차 자료의 1,051명의 이주여성들을 대상으로 잠재집단 분석과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 변수차이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내용: 문화적응 유형은 적응혼란형, 통합-동화 우세형, 분리 우세형, 통합-분리 우세형의 4가지 유형으로 확인되었으며, 잠재집단에 영향 미치는 요인으로 출신국, 자아존중감, 주로 어울리는 사람, 평소 사용언어가 영향을 미쳤으며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유형 잠재집단에 따라 자녀들의 이중문화수용태도에도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이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며, 문화적응 유형에 따라 자녀의 이중문화수용태도에도 차이가 나타남을 밝혔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핵심어: 결혼이주여성, 문화적응 유형, 문화적응, 이중문화 수용태도, 잠재집단 □ 접수일: 2022년 11월 5일, 수정일: 2022년 11월 24일, 게재확정일: 2022년 12월 20일* 이 논문은 2022년 성결대학교 교내연구비 지원을 받아 수행된 것임. ** 성결대학교 교직부 조교수(Assistant Professor, Sungkyul Univ., Email: faithlsk@sungkyul.ac.kr)

      • KCI등재

        이주를 통한 지속가능한 개발이 가능한가?: “지속가능개발 2030어젠다”를 중심으로

        박범종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2019 국제정치연구 Vol.22 No.2

        이주는 시대적 흐름이며, 이주는 지속가능한 개발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주와 지속가능개발 간의 상관성에 대한 논의하고, ‘2030 어젠다와 연계된 이주 유형’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주와 관련된 지속가능한 개발 2030 어젠다’ 목표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주는 이주송출국과 이주유입국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발전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주는 지속적인 개발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동인이다. 이주는 환경요인뿐 아니라 다양한 갈등, 분쟁들에 의해서 발생하고 있었으며, <2030 어젠다와 연계된 이주 유형>은 이주노동자, 박해, 분쟁, 인권침해 등으로 인한 이주, 난민, 밀매 및 현대노예, 환경이주의 행태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유엔이 채택한 “2030년 지속가능개발 의제(2030 Agenda for 2015)”는 17개의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SDGs)와 169개의 ​​목표를 포함하고 있으며, 보편성의 원칙하에 이주와 관련된 목표조항까지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세계적인 현상인 이주에 대한 보편적이고 포괄적인 접근으로 이들을 수용해 이주자의 역량을 지역발전에 적극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Migration is a trend of the times, and migration has an important influence on sustainable development. This study discussed the relation between migr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e 'type of immigration linked to the 2030 agenda' was analyzed. it also looked at the '2030 Agenda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migration' goal. Migration affects the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development between immigrant countries and emigration countries. and Immigration has an important relationship with Sustainable development. Migration is caused not only by environmental factors but also by various conflicts. The <2030 type of immigration linked to the agenda> was migrant workers, refugees, smugglers, modern slaves, persecution, human rights violations migrants and environmental migrants. The 2030 Agenda for 2015 adopted by the United Nations includes 17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SDGs) and 169 detailed goals. and it includes the goal clauses related to immigration under the principle of universality. Therefore, the universal and comprehensive approach to migration, which is a global phenomenon, will enable them to take advantage of migrant capacity in regional development.

      • KCI등재

        거주지역의 민족구성이 혼인이주여성의 사회활동과 적응유형에 미치는 영향

        김두섭(Doo-Sub Kim) 한국인구학회 2014 한국인구학 Vol.37 No.1

        이 논문은 한국에 거주하는 혼인이주여성의 사회활동과 적응유형을 설명하는 요인 중 거주지역 민족구성의 주변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같은 시 군 구에 거주하는 외국인 아내 및 같은 민족 인구의 비중이 혼인이주여성의 사회활동과 적응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 논문은 거주지역의 외국인 아내 비중이 높을수록 혼인이주여성의 사회활동을 촉진시키는 환경을 조성하며, 이들의 사회활동이 활발해질수록 적응형태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혼인이주여성의 적응유형을 통합, 동화, 고립 및 주변화로 구분하고, 이들 네 가지 적응유형과 거주지역의 외국인 아내 및 같은 민족 인구의 비중과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분석을 위하여 『2009년 전국다문화가족 실태조사』의 원자료를 사용하였다. 아울러 외국인 아내 및 같은 민족 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을 각 시 군 구별로 계산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거주지역의 외국인 아내 비중이 높아질수록 혼인이주여성의 사회활동을 촉진시키고 고립 유형의 적응 개연성을 높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주변효과는 대도시 지역에서보다는 중소도시 및 농촌 지역에서 더욱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거주지역에 같은 민족의 인구가 많을수록 이들과의 접촉과 상호작용이 많아지고, 한국사회에 동화되기보다는 고립되는 적응형태를 나타내는 혼인이주여성이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paper explores the effects of ethnic composition of the residential area on the level of social activities and the type of adaptation of foreign wives in Korea. Micro-data from The 2009 Korean National Multi-cultural Family Survey are analyzed. Results reveal that the ethnic compositional environment exerts an independent effect on social activities and the type of adaptation, apart from socioeconomic and demographic variables. The level of social activities ceteris paribus rises substantially among foreign wives who live in an area with a large population of transnational couples. However, increased accessibility to and interaction with other foreign wives tend to lead to more ‘isolated’ type of adaptation rather than ‘assimilation’. These effects tend to be stronger when a foreign wife lives in non-metropolitan area. It is also found that higher proportion of the same ethnic population in the residential area is likely to be associated with the ‘isolated’ type of adaptation among foreign wives.

      • KCI등재

        제주도 이주의 현황과 전망

        김민영 ( Min Young Kim ),최현 ( Hyun Choe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5 탐라문화 Vol.0 No.50

        2011년 이후 제주 인구는 급속한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제주 사회 내 변화가 급속하게 일어나는 데 반해 변화를 야기하는 제주 이주를 체계적이고 총체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부족할 뿐 아니라 제주 이주에 관한 실태조사도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제주 이주와 관련한 기초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다양한 자료를 활용해 제주의 인구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제주 이주 현황을 고찰하였다. 2010년까지 제주 지역의 일반적 인구이동 현상은 제주시 동지역을 중심으로 인구 집중현상을 보였는데 제주 이주는 비교적 도시와 농촌 지역에 골고루 이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장년층과 10대 이전의 인구의 증가률이 높아 가족 단위로 이주가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2011년 이후 매년 1만에서 2만 명 정도의 외지인들이 제주에 이주하면서 급속한 인구변동을 겪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제주 이주의 유형을 (1) 귀농.귀촌 정착, (2) 창업 정착, (3) 문화.예술 정착, (4) 기업이전 정착, (5) 교육 정착 다섯 가지로 세분화하여 살펴보았다. 기업이전 정착과 교육 정착을 제외한 나머지 유형에서 제주 이주가 탈물질주의적 가치와 관계가 있고 이러한 유형의 이주가 현재 제주 이주의 주요 부분이었다. 한국전쟁 이후 한국은 경제 성장을 주요한 가치로 두고 발전해 왔다. 한국의 주요한 가치는 성장주의와 시장주의로 자리매김하였고 이는 다른 삶을 살기 위해 떠나는 사람들을 만들어 냈다. 성장주의와 시장주의가 주류를 자치하는 한국의 현실은 탈물질주의적 가치를 추구하는 제주 이주와 대립한다. 따라서 한국사회의기존의 성장주의와 시장주의 체계를 급변시키지 않고 제주가 환경적 우위를 유지하는 한 당분간 제주 이주는 지속될 것이다. The Jeju population has rapidly increased since 2011, and there have been numerous profound changes in Jeju society. Yet systemic research on domestic immigrants in Jeju is not available. Therefore, we make an effort to review and prospect domestic immigration by collating various statistical data and references in this paper. In doing so, this paper shortly demonstrates recent migration trends in Jeju and considered the realities attached to it. By 2010, Jeju population tends to concentrate in “dong”(administrative districts) of Jeju city, while the number of migrants at rural places is similar to those at towns. The proportions of middle-aged adults, and children under 10 were higher than other ages. This higher migration rates mean migrants moved to Jeju with families. The rapid increase of population brings a number of changes in society. Jeju population has gradually increased by about one or two million migrants every year since 2011. So, Jeju is facing demographic change. This paper categorized migrants into five types as (1) those who return to farming or rural life (2) small business owners (3) cultural workers (4) employees on secondment (5) students. In this typology, the former three types are the main groups of migrants. With the exception of employees on secondment and studen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gration to Jeju is related to non-material values. After the Korean War South Korea has adopted policies that have stimulated economic growth and achieved rapid development. “Developmentalism(ideology regarding economic development as the most important goal of a society)” and “marketism(discourse for marketization)” have became the core values of South Korea. On the other hand, the growing numbers of migrants have moved to Jeju in order to resist against marketism and dream another life. The core values of South Korea are contrary to the non-material values of internal migration flow. Jeju must continue addressing demographic change for the present.

      • KCI등재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결혼이주여성 문화적응 유형과 자녀의 개인 심리적·대인 관계적 특성 차이

        김서정,오인수,노은희,이승은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3 교육문화연구 Vol.29 No.6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유형을 분석하고, 유형별 자녀의 개인 내적 및 대인 관계적 특성 차이를 살펴보았다. 분석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 8차년도 자료 중 총 1,110명의 다문화가정 청소년과 그들의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다. 문화적응 유형을 도출하기 위해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유형 구분에 영향을주는 요인과 유형별 자녀의 개인 내적(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 우울, 사회적 위축) 변인과 대인 관계적(교우관계, 교사관계) 변인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첫째,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유형은 중간수준-통합형, 한국지향적-통합형, 분리주변화형의 3가지 유형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문화적응 유형 구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한 결과, 한국문화와 원문화 차이는 모든 유형 구분의 예측 요인이었으며, 가정소득은 중간수준-통합형과 한국지향적-통합형구분에만 유의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화적응 유형에 따른 자녀의 개인 심리적·대인 관계적 특성을살펴본 결과, 한국지향적-통합형의 자녀들이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 교우관계가 높은 반면, 우울과 사회적 위축의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유형과 유형에 따른 자녀의 개인 내적 및 대인 관계적특성의 차이를 확인한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explored the acculturation types of marriage migrant women and the associated differences in their adolescents’ intra-personal and inter-personal characteristics. The analysis involved 1,110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their mothers, using data from the 8th year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urvey by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Latent profile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acculturation types, considering factors influencing these types and differences in intra-personal (self-esteem, life satisfaction, depression, social withdrawal) and inter-personal (peer and teacher relationships) variables of adolescents. The results identified three main cultural adaptation types among marriage migrant women: Intermediate-biculturalism, Korean-oriented integration, and Separated-marginalization. Key influencing factors included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native cultures across all types, with household income significantly affecting Intermediate-biculturalism and Korean-oriented integration. Adolescents of women with Korean-oriented integration showed higher self-esteem, life satisfaction, and better peer relationships, while differences in dep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were not significant. This research highlights the impact of acculturation types of marriage migrant women on their adolescents’ inter-personal and interpersonal characteristics. It delves into the nuances of adolescent development in multicultural families, discussing interventions for these youths' psychological stability and educational success. The study offers critical insights into the dynamics of cultural integration and its effect on the next generation in multicultural contexts, providing valuable perspectives for policy and educational interventions

      • KCI등재

        교육 영역에서 이주배경 소수자 명명과 유형화 문제: 대화적 방법론으로서의 이중문화기술지(duoethnography)

        양영자,김윤영 한국교육과정학회 2023 교육과정연구 Vol.41 No.4

        정부 부처 간, 부처 내 학령기 이주배경 소수자에 대한 명명과 유형화 차이로 인해 관련 정책과 교육 지 원에 혼란과 혼동이 있다. 학술적으로도 이들에 대한 통일된 명명과 유형화 노력은 실현가능한 목표에 도달하 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두 연구자의 대화적 성찰을 비판적 변증법으로 병치하여 이중 언어를 창조하는 방법인 이중문화기술지를 통해 학령기 이주배경 소수자 명명과 유형화에 관한 제반 문제를 조명하 고 그 의미를 탐구했다. 구체적으로 우리는 세 가지 아이디어, 곧 학령기 이주배경 소수자를 재명명화 한다면 어떤 용어가 적절한가, 학령기 이주배경 소수자를 타당하고 신뢰할 만하게 유형화 할 수 있는가, 명명과 유형 화에 이주배경 소수자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것이 가능한가에 대해 대화를 나눴다. 이를 통해 교육 영역에서 학령기 이주배경 소수자를 명명하고 유형화하는 측면에서 정책과 교육 지원 체계의 모순적 현상을 드러내고, 이들을 명명하고 유형화하는 데 있어서 이주배경 소수자 당사자 목소리와 의견을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했다. The differences in naming and categorizing school-age minority groups with a background of migration between and within government ministries have led to confusion over policy implementation and educational support. In academic pursuits, endeavors to establish a unified nomenclature and classification of such groups have often struggled to reach a feasible objective. This study clarified the issues surrounding the naming and categorizing of the aforementioned group via a “duoethnography” approach, which juxtaposes dialogic reflection of two researchers. Specifically, we tackle three larger ideas: i) the necessity of creating a new term to represent this group and what term is appropriate, ii) an alternative way to establish valid and reliable categorizations of this group, iii)and the possibility of reflecting the opinions of this group in the process of naming and categorizing. Ultimately, this study reveals a contradictory phenomenon in the policy and educational support system in terms of naming and categorizing school-age minority groups with a background of migration. Additionally,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reflecting their voices and opinions in naming and categorizing this group in the policy and educational support.

      • KCI등재

        OECD 주요국의 이주정책과 이주민 특성분석

        송해련 한국노동연구원 2019 노동정책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OECD 주요 국가의 이주정책을 살펴보고 실증분석을 통해 세계적인 이주흐름의 파악과 동시에 우리나라의 이주정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우선 분석 국가를 영미형 국가와 유럽형 국가로 구분한 후, 각 국가의 이주정책을 숙련수준에 따라 자세히 살펴보았다. 그 결과, 초기 이주정책의 목적과 최근의 이주경향에서 공통점을 갖지만, 자격요건 및 선별제도 등에서 차이가 존재한다. 이주정책은 유입되는 이주민의 특성과도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각 국가유형별 이주민의 특성차이를 OECD 국제 성인역량조사 2012년 자료를 활용하여 살펴본 결과, 부모의 학력수준, 전공분야, 배우자 동거 여부, 종사 직종 등에서 이주민의 숙련집단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숙련수준별 이주민 집단에 역량변수와 이주변수가 미치는 영향이 크며, 특히 역량변수 분석결과는 국가유형에 따라 선호하는 이주민이 다름을 보여준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우리나라 이주정책의 목적과 방향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This study examines immigration policies in OECD countries and analyzes global trends and immigrants’ characteristics. Prior to the examination, we classify six countries by the Varieties of Capitalism and welfare capitalism theory: one is Anglo-Saxon countries and the other is European countries. By reviewing strategies for attracting immigrants by types of the states and the skill level, we find out that most countries have tried to attract from the lower skilled to highly skilled immigrants recently. And we analyze immigrants’ characteristics using OECD 2012 PIAAC data with skill and immigration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basic statistics present distinct differences between the highly skilled and the lower skilled. Second, the immigrants’ reading and numeracy skill levels in Anglo-Saxon countries are higher than those of the lower skilled. It means that the high skilled group has excellent abilities to communicate, understand, discuss, and deal with some problems at work. Third, the higher skilled is excellent in reading skill compared to the lower skilled in European countries. We find out immigration trends through reviewing policies and analyzing data and it will be useful and helpful to reestablish and enforce the immigration policies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