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이야기 콘텐츠의 창작과 전용 - 원 소스 멀티유스(OSMU)를 중심으로 -

        최시한 ( Choi Si-han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17 한국어와 문화 Vol.22 No.-

        이 연구는 문화산업 분야에서 중요하게 사용하는 `원 소스 멀티유스(OSMU)` 개념을 비판적으로 살피는 작업 중심으로 이야기 콘텐츠의 창출에 관한 문제점을 짚어보고, 그것을 개선할 연구와 교육의 방향을 몇 가지 제시해 보았다. OSMU는 인간의 이야기 활동에 항상 존재하는 `전용`의 하나로서, 디지털 혁명이 낳은 그 일종일 따름이다. 그런데도 지나치게 중요시될 뿐 아니라 대중적으로 성공하고 이야기로서 완성된 작품만을 대상으로, 그것이 이야기(서사)라는 점을 소홀히 하면서, 그것도 `재창작`보다 산업적 `재생산`과 마케팅에 초점을 둔 채, 매우 특수하고 좁게 사용되어왔다. 따라서 그것을 문화산업의 생산 및 마케팅 전략의 일종으로 그에 국한하여 계속 사용할 수는 있지만, 관련 연구와 교육의 방법을 마련하거나 정책을 세울 때 핵심 개념으로 사용하는 것은 합리적이지 않다고 본다. 그런 일들은 이야기 행위의 전반적 양상과 그 창조적 본질을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현재 OSMU 개념은 복합매체 시대가 요구하는 이야기의 연구와 창출 활동을 가로막고 또 혼란시키고 있다. 이러한 현실을 개선하기 위해서 문학 연구는 기존의 이야기 문학 중심에서 벗어나 이야기 행위나 양식의 전반적 양상, 그 가운데 특히 이야기 원형의 환치와 전용을 여러 측면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야기 콘텐츠의 기획과 창작을 위한 교육은 첫째, 자료의 개발과 창작에 필요한 스토리텔링 능력 기르기 중심이 되어야 한다. 둘째, 실용적 이야기 창작/생산에 필요한 `상황 분석`과 `제재 분석`을 중요시할 필요가 있다. 셋째, 기존의 창작 교육이 발전시켜온 예술적 스토리텔링 방법을, 콘텐츠 산출을 위한 실용적 스토리텔링에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넷째, `대본글`이라는 갈래를 새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reviews the problem of the creation of narrative contents by focusing on the concept of `One Source Multi-use (OSMU)` which is important in the cultural industries, and also suggests the direction of research and education on it. OSMU is one of the `diversion` that has always existed in human narrative activities as one of the aspects that the digital revolution has created. Nevertheless, not only is it overestimated, but it has been used as specific and narrow concept only considering the completed works that are popular and successful overlooking the fact that it is narrative. It also focuses on industrial reproduction and marketing rather than `recreation` of it. Therefore, it can be used as a kind of production and marketing strategy of the cultural industries, but it is not reasonable to use it as a core concept in setting up research and related education methods or making policies on it. It is because such things must be based on the overall aspect of the act of storytelling and its creative essence. The current OSMU concept is blocking and confusing the research and creation of narratives that are required by the multi-media era. In order to improve this problem, literary research needs to pay attention to the overall aspect of storytelling and its style, in particular, the displacement and diversion of archetype in various aspects rather than to focus on established literary storytelling studies. And the education for planning and creation of narrative contents should be centered on raising storytelling competence for development and creation of materials firstly. Secondly,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situation analysis` and `subject material analysis` for practical story creation and production. Thirdly, it is necessary to make good use of the artistic storytelling method which is already developed by creative education to practical storytelling for contents production. Final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new genre which has been existed as a `script writing`.

      • KCI등재

        문화산업 시대 ‘청소년 이야기’의 확장과 변모

        최배은 한국문학연구학회 2021 현대문학의 연구 Vol.- No.74

        This study raised the question of understanding ‘juvenile stories’ in a cultural industry era, where the story environment varies but the categories of ‘juvenile stories’ are limited to ‘juvenile literature’, and examined the aspects of ‘juvenile literature’, ‘juvenile plays’, and ‘juvenile stories’ in ‘web platform narratives’ formed since 2000s to raise the awareness of ‘juvenile stories’. ‘Juvenile literature’ could be formed by publishing capital, ‘juvenile plays’ by state support, ‘juvenile web narratives’ by ‘platform capital’. ‘Juvenile literature’ and ‘juvenile plays’ have many teenagers as implied readers and expose and criticize the reality of suppressing teenagers. In particular, there are various attempts to expose the taboo issues such as family dissolution, pregnancy and abortion, single mothers, homosexuality, domestic violence, and sexual violence, and explore them from the perspective of youth subject. Web narratives free from an educational perspective are content voluntarily enjoyed by teenagers. Above all, in webtoons, more and more works are delicately reproducing the lives and desires of youth readers with them a high proportion of teenage main characters and various subject matters. Web novels and web dramas are still dominated by strong genre works. In addition, genre negotiations are taking place as novels, plays, movies, webtoons, web novels, and web dramas are actively adapted. In short, the lives and conflicts of teenagers reproduced in the “Juvenile Stories” look similar, but the ways of solving the problems are different. Juvenile literature and Juvenile plays seek the value of recognition while juvenile web narratives seek emotional pleasure. Currently, “juvenile stories” do not create a characteristic youth character in common. It seems to be due to the fixed notions of “juvenile”. Namely, that is because ‘juvenile literature’ and ‘juvenile plays’ are tied to the ideal view of juvenile and “juvenile web narratives” are tied to genre customs. 이 연구는 이야기 환경이 다채롭게 변화하는 문화산업 시대에 ‘청소년 이야기’에 대한 이해가 ‘청소년문학’에 머물러 있음에 문제를 제기하고, ‘청소년 이야기’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기 위하여 2000년대 이후 형성된 ‘청소년문학’과 ‘청소년극’, 그리고 웹 플랫폼 서사에서의 ‘청소년 이야기’의 양상을 검토해 보았다. ‘청소년문학’은 출판자본, ‘청소년극’은 국가적 지원, ‘청소년 웹 서사’는 웹 플랫폼 자본에 힘입어 형성될 수 있었다. ‘청소년문학’과 ‘청소년극’은 청소년을 내포독자로 삼아 청소년들을 억압하는 현실에 대해 폭로하고 비판하는 이야기가 많다. 특히 가족해체, 임신 및 낙태, 미혼모, LGBT, 가정폭력, 성폭력 등 그동안 금기시되던 문제를 다양하게 드러내고 청소년 주체의 관점에서 탐구하려는 시도들이 있다. 교육적 관점으로부터 자유로운 웹 서사는 청소년이 자발적으로 향유하는 콘텐츠이다. 특히 웹툰에서는 청소년 주인공 이야기의 비중이 높고 그 제재도 다양하여 청소년 독자의 삶과 욕망을 섬세하게 재현한 작품이 늘고 있다. 웹소설과 웹드라마는 아직 장르성이 강한 작품들이 지배적이다. 또 소설, 연극, 영화, 웹툰, 웹소설, 웹드라마 등이 서로 활발히 각색되면서 장르 간 교섭이 이루어지고 있다. 요컨대, ‘청소년 이야기’에서 재현하는 청소년의 삶과 갈등은 유사하지만 갈래에 따라 그 갈등을 해결하는 방식과 지향이 다르다. 청소년문학과 청소년극은 깨달음을 통한 정신적 성장을 추구하는 반면, 청소년 웹 서사는 대리만족을 통한 정서적 쾌감을 추구한다. 현재 ‘청소년 이야기’는 공통적으로 개성적인 청소년 캐릭터 창출이 부족하다. 그것은 ‘청소년’에 대한 어떤 고정된 관념, 즉 ‘청소년문학’과 ‘청소년극’은 청소년에 대한 이상적 관점, ‘청소년 웹 서사’는 장르 관습에 매어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 중국영화의 새로운 이야기자원에 대한 사회적 분석 : ‘인터넷 마니아 문화를 기반으로 제작한 IP영화’를 중심으로

        원원(袁沅)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6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1

        현재 중국사회에서 ‘IP(Intellectual Property)’에 대한 보편적인 담론은 그 출처인 이른바 ‘지적 재산권(Intellectual Property)’ 의 개념과 다르고, 포괄범위 차원에서도 매우 큰 차이가 존재한다. ‘지적 재산권’보다는 오히려 ‘트랜스미디어(trans media)’ 혹은 ‘원 소스 멀티유즈(one source multi-use)’의 개념과 일맥상통한다. 즉, 이미 명성을 얻은 하나의 소재(IP)를 다른 장르에 적용하여 투자자의 수익을 최대한 보장하려는 것이다. 2013년부터 ‘IP’는 영화산업을 포함한 중국 문화산업의 이슈가 되기 시작했으며 중국문화산업의 구조와 발전에 영향을 주고 있다. 특히 2015년에는 ‘IP영화’의 열풍이 불어, 기존에 인기 있던 인터넷 문학, 애니메이션 및 예능프로그램, 드라마, 온라인 단편 영화 등이 잇따라 극장 영화 버전으로 제작되어 개봉하였다. 이러한 영화들의 투자비용과 제작 규모는 크지 않지만, 원래 ‘IP’작품이 대중적인 인지도와 팬 층을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제작할 때부터 주목을 받았고, 영화의 흥행으로 이어졌다. ‘IP영화’안에서도 전통 창작소재를 활용한 IP영화와 마니아 문화를 주제로 제작한 IP영화를 구별하여 정의할 필요가 있다.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은 후자로, ‘마니아 문화’가 대중에게 인기를 얻고 유행이 되었다는 것 자체가 모순적이기 때문이다. 일부 청소년의 마니아 문화가 어떻게 대중문화 안에 수용되었는지를 사회문화적인 측면에서 분석하고, 주류 엘리트층에게 무시당했던 ‘자이난(宅男, 오타쿠) 문화’ 콘텐츠가 어떻게 중국 문화 산업의 투자 이슈가 되었는지에 대하여 영화 산업적으로 접근하여 파악하려 하였다. 과열된 엔터테인먼트화와 시장화를 배경으로 한 ‘IP영화’의 출현은 전통영화에 충격을 가했으나, 유명 감독의 시대, 무협 블록버스터 시대를 탈피할 계기가 될 수도 있다. 인터넷을 바탕으로 한 ‘IP영화’가 새로운 이야기 자원을 찾아 완성도 높은 작품을 성공시킨다면 중국영화산업의 산업 사슬을 진화시키는 전환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문화산업 개발 근거 마련을 위한 지역 설화의 경제적 가치 추정―충북 지역을 중심으로―

        조택희,오세정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5 고전과 해석 Vol.19 No.-

        지역 설화를 대상으로 각종 문화콘텐츠 개발에 대한 요구나 필요성은 급증했지만 정작 문화산업으로 크게 활성화되고 있지는 못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 설화를 활용한 문화산업 개발의 근거 마련을 위해 지역 설화가 갖는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충북지역을 대상으로 조건부가치추정법을 사용하여 이중양분선택형 설문을 통해 지역의 전통 이야기의 가치를 추정하였다. 추정 결과, 연령ㆍ학력ㆍ소득ㆍ결혼 여부 등이 주요변수로 작용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전통 이야기의 계승ㆍ발전을 위해 비용을 부담할 의사는 제시금액이 작을수록, 기혼자의 경우, 고소득의 경우가 반대의 경우에 비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모델 설정 시의 가설에 부합하는 결과이나 연령과 학력은 유의성은 있으나 부호는 반대의 결과가 나왔다. 시장가치로 환산된 충북 전통 이야기의 가치는 모델과 사용변수에 따라 상이하나 크게 1인당 1년에 5000원대 ~ 8000원대의 가치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것을 충북전체에 적용하면 연간 약 200억 원의 가치에 해당하는 만족감을 지역 전통 이야기를 통해 지역주민이 느끼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지역 전통 이야기와 관련된 문화산업 및 관련 정책의 수립 및 추진에 근거자료는 물론 정책 평가 및 보완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stimate economic value of the traditional stories(local legends) for establishment of the basis of cultural industry. We estimated willingness to pay and total benefit for traditional stories by using onsite ‘Double-bounded dichotomous choice Contingent Valuation’ survey in Chungbuk. The in-person 598 survey results show that ‘relatively higher income and married person and less suggestion cost’ makes substantially the positive effect on Willing-to-pay. But age and academic ability makes the negative effect on Willing-to-pay. The Willing-to-pay estimates by ‘Double-bounded dichotomous choice Contingent Valuation’ is about ₩5000~8000(person/year) according to the model. If expansion to Chungbuk province, the Willing-to-pay of local traditional stories values is calculated to be ₩20billion. Hence, the result proves that the local traditional stories is very useful as a culture and economic resources. And its result could be fundamental data on economic analysis on culture public policy.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지식 융합의 주체되기 : 문학의 리텔링 독서를 중심으로

        이은숙(Lee Eun Sook) 한국문화융합학회 2019 문화와 융합 Vol.41 No.3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인공지능은 단순노동에서부터 고도의 사고 능력을 활용하는 분야까지 인간 사회에 깊숙이 들어와 있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4차산업혁명시대에 직면하여 인간 고유의 정체성을 잃지 않고 지식 융합의 주체로 살아갈 수 있는 방안을 문학작품에 대한 리텔링 독서를 통해 모색해보고자 하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리텔링 독서’의 개념은 호모 나렌스(Homo Narrance), 즉, 이야기하는 인간이라는 개념에 근거하고 있다. 더 나아가 문학작품을 리텔링 한다는 개념은 모든 이야기 속에 상상력의 출입이 가능한 틈새가 있다는 사실에 근거를 두고 있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는 프랑스, 독일, 영미, 러시아 문학 작품을 리텔링의 원자료로 활용하였다. 작품들에 나타난 청년 주인공에 대한 ‘편지 쓰기’ ‘주인공의 이야기를 개작하기’, ‘미래자서전 쓰기’라는 세 가지 유형의 글쓰기가 바로 문학작품 리텔링의 세 가지 사례를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대학생 독자는 문학 작품의 이러한 틈새를 자신의 상상력으로 메워 새로운 서사로 리텔링함으로써 자신을 둘러싼 삶의 의미와 가치 그리고 진실과 진정성을 추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문학작품을 리텔링하는 것은 지식 융합을 위한 상상력을 가장 효율적으로 배양하는 방법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AI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our society, from simple labor to advanced thinking capabilities.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methods for college students to live as subject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ithout losing their own identities. This study focuses on “Retelling Reading”, which is based on a concept of Homo Narrans or human storytelling. Furthermore, retelling literature signifies that every story has room for imagination. In this sense, literature from France, Germany, and Russia are used as source materials for retelling. Three types of writing, writing letters to the main characters, “adapting the main characters’ story”, and “writing the autobiography of the future” illustrate three ways to retell the reading of literature. In conclusion, by retelling the story by permeating the literary works with the students own imagination, students can pursue the meaning, value, and veracity of life. Specifically, retelling literature can be the most efficient method of imagination for the convergence of knowledge.

      • KCI등재

        축제콘텐츠의 원천콘텐츠화 전략 -<강릉부사 납시오>의 사례를 중심으로-

        조해진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9 No.3

        2023년에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공식적으로 개최되는 지역축제는 1129개에 이를 만큼 전국각지에서개최되어 단순한 지역행사를 넘어 국가적인 차원에서그 성과를 관리해야 할 중요한 문화와 경제의 한 분야다. 하지만 온라인과 오프라인 등의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지속적으로 향유와 소비가 가능한 문화콘텐츠와 달리 지역축제의 다양한 행사와 프로그램들은축제장에서 1회성 행사로 그치고 마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유사한 속성을 지닌 두 분야의 제품수명주기(Product Life Cycle)는 매우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문화콘텐츠는 이야기를 근간으로 하기 때문에 이야기산업이라고도 불릴 만큼 이야기와 스토리텔링이 매우중요하다. 따라서 콘텐츠 장르전환으로 경제적 가치를극대화 하기 위해서 이야기자원의 확보는 제조업의에너지나 원자재 확보만큼이나 콘텐츠의 창작과 개발에 반드시 필요한 필수요소라 하겠다. 이런 점을 고려하면서 본고는 전국 각지에서 활발하게 성장하고 발전하는 지역축제에 담긴 축제콘텐츠를 콘텐츠제작의이야기자원으로 기능할 수 있는지 즉 원천콘텐츠로서작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려 하고자 한다. 나아가 축제콘텐츠가 콘텐츠의 창구화, 장르전환에 있어서 충분한 가치가 있는지도 살펴보려 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국내외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연구결과를 실증하기 위해 강릉문화재야행의 축제콘텐츠인 <강릉부사 납시오>’의 사례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정리하였다. 축제콘텐츠의 원천콘텐츠화 가능성을 모색하고자출발한 본고는 축제콘텐츠와 관련한 기존논의를 바탕으로 축제콘텐츠의 창구화와 장르전환에 대해 살펴본결과 축제콘텐츠는 콘텐츠산업에 있어서 원천콘텐츠로 기능하기에 충분하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특히 <강릉부사 납시오>의 사례를 분석해서 논의를 실증했다는 점에서 어느 정도 신뢰성을 획득했다고 판단한다. As there are 1,129 local festivals officially held by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in 2023, local festivals held in various parts of the country are not just local events, but are a nationally important cultural and economic sector to manage their achievements at the national level. However, unlike cultural contents that can be continuously enjoyed and consumed through various media such as online and offline, various events and programs of local festivals are often only one-time events at the festival venue, so the product life cycle in the two fields with similar properties is very different. Since cultural content is based on stories, stories and storytelling are so important that it is also called the story industry. Therefore, in order to maximize economic value through content genre conversion, securing story resources is as essential for content creation and development as securing energy and raw material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Considering this, this paper intends to discuss whether festival content contained in local festivals that are actively growing and developing across the country can function as a story resource for content production, that is, source content. Furthermore, I would like to examine whether festival content is sufficiently valuable for windowing and genre conversion of content. For this, I summarized the results in order to review prior research at home and abroad and demonstrate the research results, and To demonstrate this, this paper analyzed the case of <Here comes the Gangneung Governor!>, a festival content of Gangneung Cultural Heritage Night, and summarized the results. This paper, which start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original content of festival content, examined the windowing and genre conversion of festival content based on existing discussions on festival content, and found that festival content was sufficient to function as original content in the content industry. In particular, <Here comes the Gangneung Governor!>, a representative festival content of Gangneung Cultural Heritage Night Tour. It is judged that it has obtained some reliability in that it has demonstrated the discussion by analyzing the case.

      • KCI등재

        이야기박물관을 위한 밑그림

        허원기 ( Weon Gi Heo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구 건국대학교 중원인문연구소) 2008 동화와 번역 Vol.15 No.-

        This paper deals with concepts, necessities, precedent signs, and structuring methods of a Story Museum. A Story Museum refers to facilities for collection, preservation, research, display, and education about materials for Story Culture. Especially, modern Museums actively use digital technology, thus, extending previous function of Museum. A Story Museum is essential for overall collection and arrangement about substances of Story Culture : research of universal narrative theory, research basic theme of the humanities, and secure creative power of Culture Technology. The whole form of a Story Museum does not exist yet. But it is an important preceding sign of Story Museum that Jangseogak(藏書閣) of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multimedia Hongrumong site; Gojeon-soseol yeongujaryo chongseo of Jo Hi-wung; Pansori-jaryo-chongseo of Kyonghee University. To establish a Story Museum, first of all, the materials of Korean narrative literature should be collected and extension of boundaries will be easier and easier. And scholars of narrative, owners of Story Culture materials, and workers in digital technology have to join and cooperate. Also, the design of a Story Museum should put an emphasis on the essential qualities and meanings of Story Culture.

      • ‘에스닉영화’로서의 한국영화의 흐름과 포스트식민시대의 나아갈 길

        최예솔,오종진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6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1

        영화는 제한된 러닝타임과 비교적 복잡한 소비과정, 철저한 등급제 운영과정 등 그 콘텐츠 특성상 내러티브 속에 다양한 상징체계가 구현되기에 충분하다. 할리우드 영화산업을 중심으로 영화의 상업성은 계속하여 성장하는 동시에 장르와 표현상의 다양화를 이루며 예술성도 강화되고 있다. 상업영화와 예술영화를 구분하는 것이 점차 의미를 잃을 만큼 영화콘텐츠의 서사에는 사회적 담론과 정체성 고민 등 무거운 주제도 담기고 있다. 한국은 부산국제영화제 등 유수의 국제영화제를 개최하는 동시에 세계 3위 규모의 영화시장을 성장시키면서 꾸준히 영화콘텐츠의 강국으로 성장해왔다. 이제 한국영화가 가진 정체성의 고민은 영화연구의 한 맥락이 아니라 지속가능한 영화콘텐츠의 성장을 위한 필수가 되었다. 식민지배와 비민주사회를 경험한 한국의 경우, 경제적 비평등과 권위주의, 여성을 비롯한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보수적 시각 등은 사회 전반적으로 깊이 뿌리내리고 있다. 문화콘텐츠가 사회적 현실과 괴리된 채 텍스트 그 자체로만 해석될 수 없다는 점을 생각했을 때, 이러한 사회적 고민과 담론들이 콘텐츠 수용과 해석 과정에서 고려되어야 함은 자명해 보인다. 그럼에도 지역 정체성과 세계화를 아우르는 글로컬리즘(glocalism)적 콘텐츠 연구는 미흡하였다. 영화 콘텐츠를 읽는 과정에서 한국사회가 가진 문화적 정체성과 지역적 특수성을 결합하는 시도 또한 마찬가지다. 본고는 한국영화의 민족영화적 정체성과 포스트식민시대의 한국영화의 주체성에 대해 이야기한다. 식민지배 후반기 한국의 영화인들에 의해 제작되었던 친일영화에서 시작하여, 사회운동이 꽃피우던 시절 젊은 영화인들을 중심으로 발달했던 민족영화 등 에스닉영화(민족영화)로서의 한국영화의 흐름을 통시적으로 짚어본다. 전 지구적 흐름에 따라 한국영화계가 할리우드영화의 영향력 하에 놓이게 된 시기 속 ‘한국형 블록버스터’의 탄생을 통해 한국영화 속 탈식민주의를 고민해보고, 이를 한국영화의 현 주소와 연결 짓는 작업을 통해 포스트식민시대 한국영화의 비판점과 나아갈 점에 대해 생각해본다.

      • KCI등재

        문화자산으로서 민속문화 유산의 경제적 가치 재인식

        임재해(Lim Jae-hae) 비교민속학회 2004 비교민속학 Vol.0 No.27

        On conversing century from economic era to cultural era, the relationship of economy and culture become to convert with position. According as one recognize that culture lead to the economic development, we are concentrating to cultural industry. Especially folk culture, that is, intangible properties remark not limited cultural industry, unlike material properties. Unesco also watch with deep concern intangible properties newly. Because folk culture related with ordinary life of people, it practice to create national image, and this cultural image assist with refreshment export of goods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If material properties go abroad, that is not allowed carrying out, but if folk culture like as intangible properties go abroad, that is exportation our culture. Because folk culture originated by local communal society, it give full play to their power of culture creation, and make insure a variety of culture, and practice real cultural democracy that citizen could be secured sovereignty of cultural production. Therefore the insurance of cultural sovereignty that centered folk culture carty out decisive faculty not only a development of politic but also a development of economy. Future Society is predicted as 『Dream Society』. Almost of customers will buy the stories of goods more than material goods. A creation of story is more important than the productions of goods. The animations and characters in disneyland also belong to the industry of stories. A folk culture phenomena such as myth, legend and folktale will be concerned especially. A development of new technical goods that originated tradition of folk culture such as home freezer only for Kimchi and Ondol-bed and so on, also secure us for economic value. But more important thing is not a economic value of cultural goods, but purposive value of a culture itself that make higher quality of human life. Conclusionally, because a economic wealth also have meanings when it invest in a enjoyment of high quality human life. Therefore Samuel Huntington also insist that culture is really important, recent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