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스라엘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의 특성 분석 연구 : 히브리어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을 중심으로

        정혜승 ( Chung Hyeseung ) 한국독서학회 2017 독서연구 Vol.0 No.44

        이 연구는 텍스트 이해와 토론을 강조하는 이스라엘 국어교육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나아가 우리나라 국어과 교육과정 개선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하여 히브리어를 중심으로 이스라엘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이스라엘 국어과교육의 목표는 교양 있는 인간을 길러내는 것이고, 이를 위해 학생이 다양한 목적의 구어적, 문어적 텍스트를 이해하고 생산하는 능력을 계발하고, 문화적, 사회적 텍스트를 학생 자신의 자산으로 만들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표 달성을 위하여 이스라엘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은 3개학년군으로 수행 기준을 나누어 각기 2, 4, 6학년말에 학생들이 도달해야 할 성취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국어과 교육과정 내용은 다양한 상황과 목적의 듣기와 말하기, 다양한 목적과 독자를 위한 쓰기, 언어 규범을 지키고 소통에 적절한 쓰기, 다양한 목적을 위한 여러 장르의 텍스트 읽기, 학습과 정보 생산을 위한 읽기, 다양한 시대와 장르의 문학작품 읽기, 유대의 고전 텍스트 읽기, 언어 체계 이해하기 등의 8개 범주로 제시되었는데, 이는 우리나라 국어과 교육과정의 내용 영역 구분과 유사하지만 보다 상세화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내용 분석 결과 이스라엘 국어과 교육과정은 장르와 상황의 다양성, 학생 소통 목적 중심의 언어 사용, 문화적 자산을 강조하는 특징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sraeli national language curriculum by focusing on primary school Hebrew curriculum in order to develop a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Israeli national language education that places an emphasis on text comprehension and discussion and to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South Korea`s national language curriculum. The Israeli primary school`s Hebrew curricula have been divided into three school year groups, and the achievement standards that students should reach at the end of the 2<sup>nd</sup>, 4<sup>th</sup>, and 6<sup>th</sup> grades are presented. The contents of the national language curricula include listening and speaking in various situations and for various purposes, writing for various purposes and for different types of readers, writing appropriate for communication while keeping the linguistic norms, reading texts of various genres for various purposes, reading for learning and information production, reading of literary works of various times and genres, reading of Jewish classical texts, and understanding of the language system. These are similar to the classification of the content domain of the South Korean national language curriculum but they are divided in more specified form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the contents, the Israeli national language curriculum is characterized by the diversity of genres and situations, the use of language centering on students` communication, and an emphasis on cultural heritages.

      • KCI등재후보

        이스라엘의 중등교육과 개혁동향

        강선보 안암교육학회 2004 한국교육학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이스라엘의 중등교육에 대한 제도적 개관과 교육과정 운영 등에 대한 현황분석을 바탕으로 이스라엘 중등교육의 개혁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우리 중등교육의 개혁을 위한 시사점을 얻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문화적 성격을 지닌 이스라엘 사회는 교육제도에 그 성격이 잘 드러나 있다. 요컨대 이스라엘의 교육제도는 '통일성 속의 다양성, 다양성 속의 통일성'을 추구하고 있다. 우리는 학교중심의 교육과정 결정 존중, 교사의 질적 관리에 대한 과감한 지원, 학교중심의 현직연수 강화, 교사들의 팀웍활동 강화, 과학·수학 교육의 강화, 실습위주의 교육 강화 등을 통해 중등교육을 개혁하려는 이스라엘의 동향에서 많은 시사점들을 얻을 수 있다.

      • KCI등재

        통합에서 독립으로, 이스라엘 컴퓨터과학 교과의 진화

        김자미 ( Ja Mee Kim ),이원규 ( Won Gyu Lee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4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17 No.4

        국가 차원에서 교육과정을 이해하는 것은 해당 교과가 어느 정도의 위상을 갖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창의 인재 양성의 선두주자인 이스라엘의 교육과정과, 컴퓨터과학 교육의 현황을 분석하고, 우리나라 컴퓨터과학 교육의 방향에 대한 성찰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이스라엘의 컴퓨터과학 교육은 중학교에서는 자연과학/기술 교과에 통합된 형태로, 고등학교에서는 독립교과로서 위상을 유지하고 있다. 2011년에는 중학교 컴퓨터과학 교육과정이 개발되면서 통합에서 독립교과로 변화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컴퓨터과학 교육 또한 통합과 독립의 관점에서 교과의 위상이 논의 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To understand an educational curriculum at the national level is to check the status of the respective subjects involved. This study aimed at analyzing computer science education and educational curricula in Israel, a leader in fostering creative human resources, so as to suggest directions for computer science education in Korea. Israel`s computer science education in middle schools is provided through integration with natural science and technology subjects, but in high school it is offered as an independent subject. In 2011, as the computer science educational curriculum for middle schools was developed, computer science evolved from an integrated to an independent subject. Accordingly, this study proposes the necessity to discuss the status of this subject from the viewpoint of integration and independence for computer science education in Korea.

      • KCI등재

        교회교육에 대한 대안 모색

        김진영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23 기독교교육정보 Vol.- No.79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한국 교회는 여러 가지 위기에 직면해 있다. 출석률 감소, 교회학교의 축소 및 폐쇄, 비대면 예배 경험 이후 비출석 허용성의 증가 및 헌신도 감소 등으로 교회는 그동안 수행해 왔던 정상적인 목회, 교육, 복지, 선교에 난항을 겪고 있다. 교회의 이러한 위기는 코로나19 팬데믹이 직접적인 도화선 역할을 했으나 이전부터 예견된 결과였다. 한국 사회 내 출산율 감소, 입시 중심의 학력주의, 교회 구성원 기호에 따른 온정적 목회 태도, 신자의 편의에 따른 수평 이동, 성과 중심의 양적 부흥의 요구, 비교적 짧은 기간 내 발생하는 목회자의 목회지 이동 등은 목회자가 장기적 목회 계획을 세우고 그에 상응하는 교육과정을 견지하고 실천하는 데 있어 어려움을 주는 요소들이다. 한국 사회와 교회가 직면한 이러한 문제들은 교회 구성원이라 할지라도 개인적 및 집단적 실존을 위협하는 맥락에 직면하게 될 때 그에 적절하게 대처하는 준거 및 역량을 갖추는 데 어려움을 주어 직면한 난국 속에서 헤쳐나오는 데 상당한 시간을 소요하게 만든다. 이 연구는 이러한 이해를 토대로 현재 한국 교회의 교육 현장 회복을 위한 실마리를 찾아보기 위해 이스라엘인들이 시내산에서 율법을 받은 때로부터 기원후 1세기까지 자녀에게 행한 율법교육을 탐구해 보고자 한다. 율법교육의 목적은 자녀들을 하나님 나라 제사장으로서 하나님을 경외하고 사랑하는 사람이 되도록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부모는 자녀의 첫 교사가 되었으며 그 외 예언자, 제사장, 서기관 및 현인들도 교사의 역할을 수행했다. 그리고 이스라엘 역사 속에서 시행된 다양한 의식과 상징 역시 자녀를 위한 교육에 중요한 도구가 되었다. 이러한 율법 중심의 이스라엘 교육은 자신들의 본토를 상실한 채 유구한 시간 동안 흩어진 민족으로서 살아갈 때 그들의 정체성 및 종교성을 견지하도록 했다. 이런 맥락에서 이 연구에서 제안하는 가정과 교회의 교육적 연계, 강화된 성경 교육, 그리고 다양한 의식과 상징을 통한 교회 교육은 오늘날 한국 교회의 교육환경을 성찰하게 하고 나아가 교육위기를 극복하도록 하는 단초가 될 것이라 기대한다. Since the COVID-19 pandemic, Korean churches have faced multiple crises. Declining attendance, downsizing and closure of church schools, increased tolerance for non-attendance and declining commitment after the experience of non face-to-face worship are challenging the normal pastoral, educational, outreach and mission work of the church. While the COVID-19 pandemic has served as a catalyst, these trends in the church were anticipated long before. The declining birth rate in Korean society, academic credentialism centered on entrance exams, paternalistic pastoral attitudes based on the preferences of church members, membership transfer based on the convenience of believers, the demands of performance-oriented quantitative revival, and the movement of pastors with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have made it difficult for pastors to make long-term pastoral plans and to maintain and implement corresponding curricula. These challenges facing Korean society and the Church make it difficult for even members of the church to be equipped and empowered to respond appropriately when confronted with contexts that threaten their personal and collective existence, and to spend a significant amount of time recovering from the challenges they face. The aftermath of the COVID-19 pandemic forces us to reflect on the education of the church today. Based on this understanding,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Torah education of children from the time the Israelites received the Torah at Mount Sinai until the first century A.D. in order to find clues for the restoration of the current educational scene in the Korean church. The purpose of Torah education is to prepare children to be priests in the kingdom of God and to become people who fear and love God. To this end, parents were the first teachers of their children, and other teachers included prophets, priests, scribes, and sages. The various rituals and symbols practiced throughout Israel's history were also important tools in the education of their children. This Torah-centered education helped the Israelites maintain their identity and religiosity as they lived as a dispersed people for so many years without a homeland. In this context, this study's suggestions for home-church education, enhanced Bible education, and church education through a variety of rituals and symbols will serve as a step toward reflecting o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the Korean church today and overcoming the educational crisis.

      • KCI등재

        이스라엘 국어 교과서의 질문 특성 분석 ―초등학교 히브리어 5, 6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정혜승 ( Chung Hyeseung ) 국어교육학회 2016 國語敎育學硏究 Vol.51 No.4

        이 연구는 초등학교 5, 6학년 히브리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이스라엘 국어 교과서의 질문 특성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국어 교과서 개발에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 기준은 질문의 위치와 기능 및 내용이다. 이스라엘 국어 교과서는 질문 중심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위치에서 다양한 기능을 하는 다양한 성격의 질문을 제공하고 있다. 질문 분석결과 이스라엘 교과서는 학생을 독자로 호명하면서 학습과 텍스트 이해의 주체로 인정하는 질문, 텍스트에 대한 정밀한 이해를 요구하는 비판적이고 창의적인 질문, 텍스트에 쓰이지 않은 것에 대해서도 평가하고 새로운 생각을 하도록 요구하는 질문, 학생으로 하여금 독자적인 `관점`을 가지도록 하는 질문, 다양한 형태의 협동 학습과 실질적인 협력을 지원하는 질문을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has the objective of drawing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questions of the Israeli national language(Hebrew) textbooks for 5th and 6th graders of primary school. The analysis criteria include the position and function of questions, question content. The Israeli national language textbooks provide different levels of questions with a variety of functions at various position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questions, the Israeli national language textbooks call students as readers and provide the following questions: questions that recognize students as the subjects of learning and text understanding, critical and creative questions that requires a precise understanding of texts, questions that call for students to evaluate what is not written in texts and develop a new way of thinking, questions that encourage students to form a reader`s viewpoint, and questions that support different forms of collaborative learning and practical coop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