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내공간 이동객체 궤적 생성기

        류형규(Ryoo, Hyung Gyu),김수진(Kim, Soo Jin),이기준(Li, Ki Joune) 대한공간정보학회 2016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4 No.4

        이동객체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서는 이동객체 데이터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이동객체 질의처리 방법의 성능연구를 위하여서는 이동객체의 벤치마크 데이터가 있어야 실험이 가능하다. 이러한 이유로 도로나 실외 공간을 움직이는 가상의 이동객체를 성성하는 도구가 만들어졌다. 반면에 실내공간은 실외공간과 달리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실내공간 이동객체 데이터 생성기는 이를 반영하여 만들어져야 한다. 지금까지 몇 개의 실내공간에 대한 이동객체 생성기가 개발되었으나, 이동궤적이 사실적이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논문에서는 실내공간의 가상적 이동객체를 생성하는 도구를 소개한다. 이 도구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번째, 이동객체는 보행자를 위하여 설정하였다. 두 번째로 다양한 이동객체의 요소를 변수모델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보행자의 수, 보행자 평균속도와 같이 단순한 것에서 보행자 사이의 최소거리, 이동 패턴과 같은 복잡한 내용을 사용자가 변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세 번째로, 보행자의 현실적인 특징을 반영하도록 노력하였다. 그리고, 마직막으로 데이터의 상호운영성을 위하여 국제공간정보 표준인 IndoorGML로 표현된 실제 대규모 쇼핑몰의 실내공간을 대상으로 이동객체 데이터의 생성을 적용하여보았다. For the performance experiments of databases systems with moving object databases, we need moving object trajectory data sets. For example, benchmark data sets of moving object trajectories are required for experiments on query processing of moving object databases. For those reasons, several tools have been developed for generating moving objects in Euclidean spaces or road network spaces. Indoor space differs from outdoor spaces in many aspects and moving object generator for indoor space should reflect these differences. Even some tools were developed to produce virtual moving object trajectories in indoor space, the movements generated by them are not realistic. In this paper, we present a moving object generation tool for indoor space. First, this tool generates trajectories for pedestrians in an indoor space. And it provides a parametric generation of trajectories considering not only speed, number of pedestrians, minimum distance between pedestrians but also type of spaces, time constraints, and type of pedestrians. We try to reflect the patterns of pedestrians in indoor space as realistic as possible. For the reason of interoperability, several geospatial standards are used in the development of the tool.

      • Smallworld를 이용한 이동 객체 이력 관리 및 위치 예측기

        정영진,배종철,안윤애,류근호 충북대학교 컴퓨터정보통신 연구소 2001 컴퓨터정보통신연구 Vol.9 No.2

        시간에 따라 객체의 위치나 크기 등의 공간 속성이 연속적으로 변하는 특징을 가진 객체를 이동 객체라고 한다. 이와 같은 이동 객체를 일반적인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관리할 경우, 단순히 이산적인 시간으로 샘플링 된 이동 객체 정보만을 저장하여, 질의를 처리할 때 저장되지 않은 이동 객체의 과거 및 미래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전혀 제공하지 못하고 저장된 정보에 대한 단순 질의만을 처리 할 수 있는 단점을 가진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동 객체 정보를 저장 관리하고 샘플링 되지 않은 객체의 위치는 물론 가까운 미래의 위치를 예측하는 이동 객체 이력 관리 및 위치 예측기를 구현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 보간법과 이동객체의 속도와 방향을 고려한 삼각함수를 사용한다. 구현된 이동 객체 이력 관리 및 위치 예측기는 과거의 이력 질의와 현재의 위치 질의를 제공하고, 저장된 객체의 행위 정보를 시간에 대한 함수에 활용하여 가까운 미래에 대해 대략적인 향후 위치 질의를 제공하는 특징을 가진다. Moving objects are objects that have spatial attributes, such as position and/or extent are changing object data that are sampled with discrete time are stored only, the application has a following problem. When the queries are processed. past and future positions of the moving objects except saved data are not provided and, only simple query for saved data is processed. Therefore, in this paper, we implemented the history manager and location PFedictor of moving objects which are able to save and manacle the moving obiect data, predict positions of moving objects of about near future as well as presume ones which are not sampled. To do this, we use interpolation and trigonometrical function to well as query about historical and current position

      • KCI등재

        현대중국어 ‘V출(出)O(래(來)/거(去))’ 구조에서 기점 논항과 공기하는 기타 논항의 위치와 어법특성에 대한 소고 ―이동 행위자와 이동 객체를 중심으로

        쉬리 ( Xu Li ) 한국중국어문학회 2018 中國文學 Vol.96 No.-

        本文以 ‘V出O(來/去)’中與起点論元共現的移動主體和移動客體爲中心, 集中探討了一价動詞出現的 ‘V出O(來/去)’的移動主體, 二价動詞和三价動詞出現的 ‘V出O(來/去)’的移動客體的句法位置和特征的多樣性。 首先, 本文簡單介紹了動詞價的槪念以及 ‘V出O(來/去)’的論元結構的形成過程。 其次, ‘V出O(來/去)’的動詞爲一價動詞時, 移動主體可以以人, 動物, 具體事物, 抽象事物等多種形式出現, 通過相關的統計分析, 移動主體爲人的情況最爲普遍, 我們認爲此種多樣性以及不同的頻率分布與生命度層級有關。與 ‘從OV(來/去)’有所區別的是, ‘V出O(來/去)’可以通過隱喩允准生命度較低的移動主體出現。另外, 我們通過認識圖示分析了在特殊的句法環境, 也就是在兼語句, 存現句和命令句中, 主體移動的差異。 另外, ‘V出O(來/去)’的動詞爲二價動詞時, 大部分二價動詞在 ‘V出O(來/去)’中出現時, 旣有的移動客體論元常常被迫删除, 同時我們發現, 移動客體幷不是一定與起點對立, 當動詞的移動客體爲可以包含起點的空間時, 移動客體可以與起點統一合幷爲一個論元。此外, 幷不是所有的二價動詞的移動客體都需要 ‘把’的前置, ‘V出O(來/去)’中存在無需任何句法手段也可前置移動客體的現象, 移動客體置于句首, 動詞前面可出現 ‘被’, ‘讓’和 ‘給’等介詞, 也可以借助 ‘把’或者 ‘將’前置移動客體, 我們認爲移動過程認知的差異導致了對移動客體的不同的處理方式。當移動客體爲一般名詞時, 一般名詞帶有可同時表達移動客體和起點的岐義, 這種岐義可通過具體的語境的分析得到消除。 最後, 通常被看做3價動詞的 ‘送’也可以用作二價動詞, 幷且根据本文的考察, 出現在 ‘V出O(來/去)’中的動詞 ‘送’均爲二價動詞。同時也有極少數三價動詞可以出現在 ‘V出O(來/去)’中, 此時施事論元和受益者論元均不出現, 移動客體居于主語位置, 後接起點論元或者移動客體作爲動賓結構的賓語出現, 而起點論元出現于 ‘出’之後。

      • 이동 객체의 궤적을 이용한 축구선수 능력 평가지수

        강찬현(Chan-Hyun Kang),황정래(Jung-Rae Hwang),이기준(Ki-Joune Li) 한국정보과학회 데이터베이스 소사이어티 2006 데이타베이스 연구 Vol.22 No.3

        스포츠는 다양한 형태의 이동 객체가 존재 한다. 이러한 이동 객체의 특성과 이동 궤적을 분석한 결과는 스포츠 분야에 유용한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축구에서 존재하는 이동 객체는 선수와 공이다. 이 이동 객체들은 서로 상호적인 반응하면서 이동 궤적을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이동 궤적은 이동 객체간의 연간 관계가 표현 되어 있다. 그래서 각 이동 객체의 특성을 이용하여 이동 궤적 간의 연관 관계를 분석 한다면 선수들이 전술적인 움직임을 분석 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선수와 공의 이동 궤적 간의 연관 관계를 분석하여 선수들의 능력을 수치적인 값으로 나타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In order to make good strategies, soccer coaches analyze the archives of matches, which can be effectively considered as a set of trajectories. We can extract several types of useful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trajectories of moving objects, which consist of 22 players and a ball. Since each moving object interacts with others and produces a trajectory, its trajectory has a certain number of relationships with others, which are a basic type of information to make soccer strategi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odel to quantitatively express the performance of soccer players. This model is based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rajectories of 22 players and a ball and allows evaluate the performance of several players in quantitative way.

      • 대용량 이동 객체 위치 데이타 관리 시스템의 개발

        김동오,주성완,장인성,한기준,Kim, Dong-Oh,Ju, Sung-Wan,Jang, In-Sung,Han, Ki-Joon 한국공간정보학회 2005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Vol.7 No.1

        최근 이동 객체의 위치 데이타를 이용하기 위한 무선 측위 기술과 모바일 컴퓨팅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였다. 또한, 이동 객체의 위치 데이타를 활용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러한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이동 객체의 위치 데이타를 효과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러한 시스템은 이동 객체의 수가 많고 위치 획득 간격이 짧을수록 위치 데이타가 급격히 늘어나기 때문에 대용량의 위치 데이타 처리가 가능해야 하며, 위치 기반 서비스를 위한 다양한 시공간 질의를 지원해야 하고, 또한 이동 객체의 불확실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동 객체의 위치 데이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해쉬 기법, 클러스터링 기법, 시간 질의 검색 기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대용량의 이동 객체 위치 데이타를 효과적으로 저장하고 검색할 수 있으며, 시공간 질의 기능과 불확실한 과거 위치 데이타 처리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크 기반의 대용량 이동 객체 위치 데이타 관리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을 SQL-Server과 성능 비교한 결과 이동 객체 저장 성능은 약 5% 증가하였으며, 이동 객체 검색성능은 약 300% 증가하였다. Recently, the wireless positioning techniques and mobile computing techniques were developed with rapidly to use location data of moving objects. Also, the demand for LBS(Location Based Services) which uses location data of moving objects is increasing rapidly. In order to support various LBS, a system that can store and retrieve location data of moving objects efficiently is required necessarily. The more the number of moving objects is numerous and the more periodical sampling of locations is frequent, the more location data of moving objects become very large. Hence the system should be able to efficiently manage mass location data, support various spatio-temporal queries for LBS, and solve the uncertainty problem of moving objects.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esented a hash technique, a clustering technique and a trajectory search technique to manage location data of moving objects efficiently And, we have developed a Mass Moving Object Location Data Management System, which is a disk-based system, that can store and retrieve location data of mass moving objects efficiently and support the query for spatio-temporal data and the past location data with uncertainty. By analying the performance of the Mass Moving Object Locations Management system and the SQL-Server, we can find that the performance of our system for storing and retrieving location data of moving objects was about 5% and 300% better than the SQL-Server, repectively.

      • 이동객체를 위한 질의처리 컴포넌트의 설계 및 구현

        김경숙,권오제,변희영,조대수,김태완,이기준,Kim, Kyoung-Sook,Kwon, O-Je,Byun, Hee-Young,Jo, Dae-Soo,Kim, Tae-Wan,Li, Ki-Joune 한국공간정보학회 2004 개방형지리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Open Geogr Vol.6 No.1

        무선통신망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탑재한 모바일 단말기의 발달로 사람이나 사물의 위치정보를 파악하고 이용하는 위치기반 서비스의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위치기반서비스와 같은 응용분야에서는 시간에 따라 연속적으로 움직이는 이동객체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가 주요한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동객체 데이터베이스를 개발하기 위한 하나의 서브시스템으로서, 이동객체에 대한 질의를 처리하기 위한 컴포넌트를 설계 및 개발한다. 이동객체에 대한 질의를 처리하기 위해서 대표적인 질의표현 및 처리방법을 조사하고, 기존에 개발된 이동객체에 대한 데이터모델과 연산자를 기반으로 SQL형태의 이동객체 질의어를 새로이 정의한다. 사용자는 본 연구에서 제공하는 이동객체 질의어를 이용하여 이동객체의 위치정보에 대한 영역질의, 위상질의, 궤적질의, 최근접질의 등을 표현할 수 있다. 이동객체 질의처리 컴포넌트는 각 질의 들을 분석한 후 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모듈들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또한, 다른 이동객체 응용시스템을 개발할 때 본 시스템의 활용을 높일 수 있도록 ADO.NET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XML을 이용하여 질의의 결과를 표현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With the growth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nd mobile devices taking in GPS, Location-Based Service(LBS) is becoming an integral part of mobile applications. LBS can deal with location-aware features such as persons holding mobile phones or vehicles equipped with GPS, and provide the users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eatures. Thus it is necessary to develop moving object database systems to store, manage, and query moving objects which change their locations continuously as time passes.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 a query processing component which deals with moving objects as a key data type. For this component, we define a new SQL-like query language(called MOQL) and as a consequence, design and implement modules that analyze and execute queries. It supports various types of operators that process range queries, infer topological relations, compute trajectories, and find k-nearest neighbors. It can be used as a subsystem if other application systems which deal moving objects and also supports ADO.NET interface that can be used to interact end-users.

      • 이동 객체의 불확실한 위치 정보 관리

        안윤애,류근호 충북대학교 컴퓨터정보통신 연구소 2001 컴퓨터정보통신연구 Vol.9 No.1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연속적인 이동 객체를 관리할 경우 매 시간마다 변경된 모든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일정한 비율의 시간 주기를 결정한 후 매 시간 주기마다 이동 객체의 위치 정보를 이산적으로 저장하게 된다. 그런데, 연속적인 모델의 이동 객체 데이터를 이산적인 형태로 관리하게 될 경우 샘플링되지 않은 불확실한 위치 정보에 대한 질의에 적절히 응답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 논문에서는 기존에 제시된 선형 보간법 대신 좀 더 고차원적인 3차 스플라인 보간법을 이용하여 샘플링되지 않은 연속적인 이동 객체의 위치 정보 획득 방법 및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이동 객체의 위치 정보에 대한 불확실성 값의 정량화 방법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제안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응용 분야의 한 사례 시스템을 설계하고 그 특성을 분석한다. If continuous moving objects are managed by conventional database, it is impossible that all position information changed over every time are stored in the database. Therefore, a time period of regular rate is determined and position information of moving objects are discretely stored in the system for every time period. However, if moving objects data of continuous model are managed as discrete type, the problem which the system cannot properly answer to the query about the uncertain position information without sampling will occur. In this paper, to solve this problem we propose the method and algorithm to capture continuous position information of moving objects without sampling using by the cubic spline interpolation method of higher level than the traditional linear interpolation, and we also suggest the method to quantify uncertainty value of position information of moving objects. Finally, we design an application system for which apply the proposed methods to the various area and analyze characteristics of the designed system.

      • 이동 객체의 궤적을 이용한 축구선수 능력 평가지수

        강찬현(Chan-Hyun Kang),황정래(Jung-Rae Hwang),이기준(Ki-Joune Li) 한국정보과학회 데이터베이스 소사이어티 2006 데이타베이스 연구 Vol.22 No.2

        스포츠는 다양한 형태의 이동 객체가 존재 한다. 이러한 이동 객체의 특성과 이동 궤적을 분석한 결과는 스포츠 분야에 유용한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축구에서 존재하는 이동 객체는 선수와 공이다. 이 이동 객체들은 서로 상호적인 반응하면서 이동 궤적을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이동 궤적은 이동 객체간의 연간 관계가 표현 되어 있다. 그래서 각 이동 객체의 특성을 이용하여 이동 궤적 간의 연관 관계를 분석 한다면 선수들이 전술적인 움직임을 분석 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선수와 공의 이동 궤적 간의 연관 관계를 분석하여 선수들의 능력을 수치적인 값으로 나타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In order to make good strategies, soccer coaches analyze the archives of matches, which can be effectively considered as a set of trajectories. We can extract several types of useful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trajectories of moving objects, which consist of 22 players and a ball. Since each moving object interacts with others and produces a trajectory, its trajectory has a certain number of relationships with others, which are a basic type of information to make soccer strategi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odel to quantitatively express the performance of soccer players. This model is based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rajectories of 22 players and a ball and allows evaluate the performance of several players in quantitative way.

      • KCI등재후보

        차량 위치 추적을 위한 이동 객체 관리 시스템의 설계

        안윤애,김동호,류근호,Ahn, Yoon-Ae,Kim, Dong-Ho,Ryu, Keun-Ho 한국정보처리학회 2002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9 No.5

        이동 객체 관리 시스템은 사람, 동물, 자동차 등과 같이 시간에 따라 위치를 변경하는 시공간 데이터를 관리한다. 이러한 이동 객체 관리 시스템은 차량 위치 추적, 디지털 전장, 위치 기반 서비스 등에 적용된다. 그러나 기존의 이동 객체 관리 시스템은 이동 객체의 과거 및 미래의 위치정보를 개별적으로 관리하며, 불확실한 과거 및 미래의 위치 추정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한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이동 객체의 이력 정보를 관리할 뿐만 아니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이력정보를 이용한 이동 객체의 과거 및 미래의 위치 추정이 가능한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차량 위치 추적을 위한 이동 객체를 모델링하고 이동 객체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제시한다. 아울러 제안 시스템의 실행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차량 추적을 위한 가상 시나리오에 적용한다. Moving object management systems manage spatiotemporal data, which change their location over tine such as people, animals, and cars. These moving object management systems can be applied to vehicle location tracking, digital battlefield, location-based service, and so on. The existing moving object management systems only manage past or future location of the moving objects separately. Therefore, they cannot suggest estimation method of uncertain past or future location of the moving object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oving object management system, which not only manages historical data of the moving objects, but also predicts past and future location of the moving objects using historical data stored in database. We define the moving objects for vehicle location tracking and propose a moving object database structure. Finally, we suggest an execution model of the proposed system and apply the execution model to a virtual scenario for vehicle tracking.

      • KCI등재

        R*-Tree와 Grid를 이용한 이동 객체의 위치 일반화 기법

        고현(Ko Hyun),김광종(Kim Kwang Jong),이연식(Lee Yon Sik)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07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2 No.2

        패턴 탐사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1,2,3,4,5,6,11,12,13]은 이동 객체의 위치 이력 데이터 집합에 대한 위치 일반화 접근법을 사용하지 않거나 사용해도 특정 공간상의 이동 패턴들 중 단순히 시공간 제약이 없는 빈발패턴만을 추출하므로, 특정 지점들 간의 최적 이동 경로나 스케줄링 경로와 같은 시공간 제약을 갖는 빈발 패턴탐사에는 적용하기 어렵다. 또한 패턴 탐사의 수행에 있어 기존의 기법들은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반복 접근을 줄이기 위해 메모리 상에 패턴 트리를 생성하여 사용하므로 보다 많은 메모리 공간을 소요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기존 탐사 기법들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보다 효율적인 패턴 탐사 기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효율적 탐사 기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방대한 이동 객체의 이력 데이터 집합에 대한 탐사 수행 시간 및 탐사에 필요한 메모리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상세 수준의 데이터들을 의미있는 공간영역 정보로 변환하는 새로운 위치 일반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패턴 탐사의 전처리 과정에서 R*-Tree와 영역 Grid 해쉬테이블(AGHT:Area Grid Hash Table)을 기반으로 이동 객체의 위치 속성들을 2차원 공간영역으로 일반화하여 이동 시퀀스를 생성함으로써 효율적인 이동 객체의 공간 이동 패턴 마이닝을 유도할 수 있다. The existing pattern mining methods[1,2,3,4,5,6,11,12,13] do not use location generalization method on the set of location history data of moving object, but even so they simply do extract only frequent patterns which have no spatio-temporal constraint in moving patterns on specific space. Therefore, it is difficult for those methods to apply to frequent pattern mining which has spatio-temporal constraint such as optimal moving or scheduling paths among the specific points, And also, those methods are required more large memory space due to using pattern tree on memory for reducing repeated scan database. Therefore, more effective pattern mining technique is required for solving these problems. In this paper, in order to develop more effective pattern mining technique, we propose new location generalization method that converts data of detailed level into meaningful spatial information for reducing the processing time for pattern mining of a massive history data set of moving object and space saving. The proposed method can lead the efficient spatial moving pattern mining of moving object using by creating moving sequences through generalizing the location attributes of moving object into 2D spatial area based on R*-Tree and Area Grid Hash Table(AGHT) in preprocessing stage of pattern mi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