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의미표상 비교

        이은영(Eun Young Lee),하지완(Ji Wan Ha)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5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0 No.2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언어적 의미표상과 시각적 의미표상을 비교하는 것이다. 언어적 방법 이외에 그림 과제를 통하여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시각적 의미표상 능력을 알아보고, 그 수행력을 언어적 의미표상과 비교하였다. 방법: 4-6세의 단순언어장애 집단 15명과 생활연령일치 일반 집단 15명, 언어연령일치 일반 집단 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의미표상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의미 설명하기'와 '그림으로 표현하기' 과제를 실시한 후, 집단 간 두 과제의 수행력 차이를 비교하고 두 과제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의미 설명하기 과제에서 단순언어장애 집단은 생활연령일치 일반 집단보다 수행력이 유의하게 떨어졌으나, 언어연령일치 일반 집단과는 차이가 없었다. 집단에 상관없이 기능적 반응은 관계적, 물리적, 분류적 반응보다, 관계적 및 물리적 반응은 분류적 반응보다 유의하게 많이 발생하였다. 그림으로 표현하기 과제에서 단순언어장애 집단의 수행력은 생활연령일치 일반 집단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나, 언어언령일치 일반 집단보다는 유의하게 높았다. 의미 설명하기와 그림으로 표현하기 과제는 유의하게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논의 및 결론: 단순언어장애 집단이 언어뿐 아니라 시각적 의미표상에도 결함을 보인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언어와 그림이 하나의 의미표상을 공유하고 있거나 또는 각 의미표상이 서로 활발하게 상호작용하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와 관련하여 언어치료 임상현장에서 고려하여야 할 바를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overcome the unsuitableness of accessing the semantic representation of language by using linguistic methods targeting children with language disorder.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compare linguistic semantic represen-tation and visual semantic representation by targeting a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group, a chronological age (CA)-matched group, and a language ability (LA)-matched group. Methods: Fifteen children (aged 4-6 years) in the SLI group, 15 in the CA group, and 15 in the LA group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To assess semantic representation in the three groups, 'explaining the meaning' and 'expressing with a picture' were performed. Results: In the expressing the meaning task, the SLI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in linguistic se-mantic representation than the CA group. In the percentage of response types, functional respons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relational, physical, and classificational responses and relational and physical respons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classificational re-sponses. In the expressing with a picture task, the SLI group's visual semantic representa-tion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CA. In addition, even though the SLI group's correct re-sponse score was higher than LA, SLI tended to omit typical characteristics of items, unlike LA.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erformance on explaining the meaning and expressing with picture task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children with SLI have difficulties in semantic representations visually as well as linguistically. When considering this and prior research, we cannot deny that lin-guistic semantic representation and visual semantic representation actively interact.

      • KCI등재

        잠재의미분석을 활용한 성격검사문항의 의미표상과 요인구조의 비교

        박성준(Sungjoon Park),박희영(Heeyoung Park),김청택(Cheongtag Kim) 한국인지과학회 2019 인지과학 Vol.30 No.3

        본 연구는 수검자가 검사 문항을 어떻게 이해했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검사문항의 의미표상을 탐구하였다. 잠재의미분석을 활용하여 성격검사문항과 성격요인의 의미표상 간 유사도를 나타내는 의미유사도 행렬을 제안하였고, 이를 기존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와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예비 연구에서 대학생 154명을 대상으로 제한된 맥락에서 성격의 5요인을 각각 묘사하는 지문을 수집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5차원의 축소하여 의미공간을 구성하였다. 연구 1에서는 간편형 한국어 BFI의 요인부하량 행렬과, 예비 연구에서 구성한 의미공간에서 생성한 의미유사도 행렬을 비교하여, 두 행렬이 높은 정적 상관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연구 2에서는 의미유사도를 기반으로 성격검사문항을 생성하고, 수검자의 반응을 수집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요인구조를 도출하여 두 행렬이 유사함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성격검사에 대한 수검자의 반응 없이 검사문항의 의미표상을 분석하여 구성타당도를 추론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고, 성격검사의 요인구조를 검사문항과 성격요인의 의미표상 간 유사도로 해석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성격검사 개발에 실용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o investigate how personality test items are understood by participants, their semantic representations were explored by Latent Semantic Analysis, In this thesis, Semantic Similarity Matrix was proposed, which contains cosine similarity of semantic representations between test items and personality traits. The matrix was compared to traditional factor loading matrix. In preliminary study, semantic space was constructed from the passages describing the five traits, collected from 154 undergraduate participants. In study 1,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factor loading matrix of Korean shorten BFI and its semantic similarity matrix. In study 2, short personality test was constructed from semantic similarity matrix, and observed that its factor loading matrix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emantic similarity matrix as well. In conclusion, the results implies that the factor structure of personality test can be inferred from semantic similarity between the items and factors.

      • KCI등재

        다의어의 의미기술과 어휘표상 모형

        정유진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3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following three parts: first, to investigate phenomena in which one lexical item has multiple meanings; second, to present schematic semantic structures for representing sense relationships; finally to describe various meanings in a systematic lexical model. When a word has multiple meanings, it can be regarded as a polysemy, a multi-faceted word or a case of vagueness. A polysemy is a word or phrase with different, but related senses. When a word is polysemous, the meanings are composed of a basic meaning and derived meanings. Various meanings of a word can be schematized as one of the following types: a radial type, a chain type, a mixed type, or a semantic network. This study explores semantic representation model within the theory of structural semantics, generative lexicon, and cognitive semantics including lexical concepts and cognitive model (LCCM) that have been studied a lot recently 이 연구는 어휘의미론에서 제시되어온 어휘표상 모형의 변천을 고찰하고 이론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구조주의 의미론, 생성어휘부 이론, 인지의미론의 틀 안에서 의미기술과 어휘표상 모형의 특성을 제시하였다. 다의어, 모호성, 체계적 다의어, 그리고 다면어와 같이 하나의 어휘 항목이 여러 개의 뜻을 갖는 현상을 살펴보고 하나의 단어가 갖는 여러 의미에 대한 도식 구조와 의미를 체계적으로 기술하였다. 단어의 경계가 불분명하거나 하나의 의의가 분리되어 여러 의미가 생기는 경우 국면(facet)이라고 한다. 하나의 단어가 여러 국면을 갖고 있을 경우에 해당하는 다면어와 단어가 표상하는 여러 의미를 검토하고 다면성과 특질구조와 같이 의미를 구분 짓는 경계를 어떻게 어휘 의미 기술이론들이 제시하는지 알아보았다. 어휘의미론의 이론적 흐름을 개관하고 각 이론이 제시하는 다의어의 의미구조와 표상 방법을 통해 다의어의 의미를 기술하였다. 특히 최근 많은 연구가 되고 있는 어휘개념과 인지모형(LCCM)이론을 포함한 인지의미론의 다양한 접근법을 고찰함으로써 향후 다의어의 의미구조와 기술 및 어휘표상 모형에 대한 방향성을 탐색하는데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무용교육에서 표상의 의미 탐색

        이재정 ( Jaejung Lee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예술적 표상의 형태는 예술유형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개별 예술표상에 따른 상대적 특성을 탐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무용교육에서 표상능력의 의미와 특징을 탐색함으로 표상능력향상 활동으로서 무용교육의 의미를 찾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문헌분석으로 발달이론에서의 표상이론과 예술교육에서의 표상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무용교육과 표상에 대한 의미를 탐구하였다. 연구결과 무용표상은 첫째, 상징성, 창조성, 관계성, 상대성 등의 특성을 보이며, 모방성에 대한 개념적 틀이 내적 상징으로 표현되기에 무용에서의 창작관련 활동은 발달단계에 따른 표상활동 특성에 따라 조정하고 적용해야 한다. 둘째, 무용 움직임 기본요소의 활용과 적용은 표상체계에서 3차원의 이해를 전제로 상징적 표상으로서의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표상활동으로서 무용교육 활동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Since the form of artistic representation differs according to the type of art,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relativ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artistic represent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meaning of dance education as an activity to improve representational ability by exploring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representational ability in dance education. As a research method, literature analysis explored the meaning of representation in dance education and represent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representation theory in developmental theory and representation in art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dance representation shows characteristics such as symbolism, creativity, rationality, and relativity first, and since the conceptual framework for imitation is expressed as an internal symbol, creative activities in dance are adjus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representational activity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stage. And should be applied. Second, the use and application of basic elements of dance movements were analyzed to have a meaning as a symbolic representation on the premise of a three-dimensional understanding in the representation system.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dance education activities as a representation activity.

      • KCI등재

        일반논문 : 강호시조에 나타난 나무의 표상적 의미

        이미정 ( Mee Jeong Lee ) 한국고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학회) 2015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36

        본고는 강호시조에 등장하는 ‘나무’를 논의 대상으로, 나무의 종류별 양상에 따른 표상적 의미를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그리하여 작품에 나타난 소재적 층위의 모티프 양상과 함께 그 시적 이미지로부터 환기되는 표상적 의미를 탐구함으로써, 자연에 대한 포괄적 이해에서 나아가 보다 구체적인 국면에서 자연을 이해하고 그 연장선상에서 작품론적 특징을 규명하는 관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강호시조에 등장하는 나무에는 우선 특정 나무가 아닌 범칭으로서의 ‘나무’가 있으며, 개체별 작품수에 있어서는 ‘소나무-대나무-버드나무(버들)-오동나무-계수나무-밤나무ㆍ뽕나무’ 순의 빈도로 나타난다. 전체적으로 나무의 종류가 다양하다고 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나무의 종류별 표현 어휘만큼은 매우 다양하면서도 개성적인 양상을 띤다. 또 그런 만큼 개별 작품에 형상된 시적 이미지와 이를 기반으로 한 표상적 의미가 다채롭게 나타난다. 특히나무ㆍ솔ㆍ대ㆍ버들 등 나무 자체의 개념만을 뜻하는 표현 어휘들보다는, 녹수ㆍ풍송ㆍ한죽ㆍ벽류 등과 같은 복합어 표현 어휘들이 등장하는 작품에서 그 시적 이미지와 표상적 의미가 보다 다채롭게 환기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강호시조에 등장하는 나무들에 대해 흔히 개체별로 국한된 이미지와 표상 적 의미를 지닌 것으로 인식하기 쉽다. 그러나 실제에 있어서는 그러한 인식을 뛰어넘을 만큼 다양한 존재로서 표상되고 있다는 사실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소나무의 시적 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표상적 의미는 흔히 생각하듯 지조ㆍ절개와 같은 인격화된 존재로서만 형상되지 않고, 장생ㆍ탈속ㆍ청신성ㆍ순일성 등을 환기하는 자연의 사물 가운데 하나로서도 형상된다. 이러한 특징은 대나무 등 여타 나무들의 경우에서도 마찬가지의 양상을 띤다. 이와 같은 나무의 시적 이미지와 표상적 의미를 통해 작중 화자의 사유와 정서를 보다 긴밀하면서도 개성적으로 형상화하는 소재로 관여하고 있음을 범칭으로서의 나무, 소나무, 대나무, 버드나무(버들), 오동나무, 계수나무 등이 등장하는 강호시조 작품들을 통해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자연의 사물 가운데 특히 나무를 작품에 등장시켜 작중 화자의 사유와 정서를 형상화한 강호시조는 나무를 단순한 소재 이상의 매개물로 활용하여 화자가 지향하는 삶과 가치의식을 표상하는 데 두드러진 특징이 있다. This paper examined the appearances of trees that appear in Gang-Ho Shijo and their poetic image and symbolic meaning. It is likely to conceive that the trees in Gang-Ho Shijo possess image and symbolic meaning that is confined to each individual. However,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at the trees are formalized into diverse existence that can transcend such conception. For example, pine trees do not only have a symbolic meaning of constancy and fidelity, but also possess a symbolic meaning of longevity, unworldliness and freshness. The narrator of Gang-Ho Shijo characteristically embodies thoughts and emotions through the poetic image and symbolic meaning of the trees. Considering this, the trees that appear in Gang-Ho Shijo have characteristics of realizing the life and value consciousness pursued by the narrator, rather than being a simple subject matter.

      • KCI등재

        의미론에서의 도형 표상과 논리적 표상 : 동사 traverser의 경우

        앙뚜완블레 ( Antoine Blais ) 한국불어불문학회 2017 佛語佛文學硏究 Vol.0 No.109

        언어학적 분석에서 도형 표상은 공간에서의 형태 활용을 통해 언어 단위의 의미를 기술하는 수단이다. 언어 학습에 있어서 도형 표상에 대한 교육학적 관심은 종종 대두되기도 하지만, 도형 표상은 무엇보다도 공간에 대한 인식과 연관되어 있어 인지적인 것과 언어적인 것 사이에서 일정한 관계를 창출해내기도 한다. 본고에서는 의미론적 차원에서 언어 단위를 적절하게 기술하도록 해주는 도형 표상과 논리적 표상을 통해 언어 단위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주로 동사 traverser를 운동학적 사용 차원에서 연구할 것이다. 본고는 동사 traverser의 사용을 총망라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동사 연구를 통해 논리적 표상과 함께 도형 표상의 유기적 구성이 어떻게 가능한지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각각의 표상이 지니는 한계와 장점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동사 traverser에 관한 논리적인 분석은 전반적으로 도형 표상의 개입 없이도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본고는 도형 표상이 특히 언어학적 분석에서 논리적 표상을 설명하고 해석하는 것뿐만 아니라 인식에 관한 표현양식과 일정한 관계를 유지하는 데 유용하다는 입장을 취하고자 한다. traverser와 같은 동사는 우선적으로 시공간적 틀 안에서 식별되거나 고안된 하나의 상황을 표현해내려 하는데, 이때 논리적 표상만으로는 감각적인 것과 지각적인 것 안에 뿌리내린 그 기원을 드러낼 수 없다. 도형 표상이 바로 이러한 것을 가능케 하는데, 도형 표상은 추상적이고 상징적인 인식에 가깝게 닿아있는 논리적 표상에 대한 설명으로 연결되는 일종의 다리를 만들어낼 수 있는 것이다.

      • KCI등재

        개념과 의미해석 - 즉흥조어를 중심으로

        정동규 한국독어학회 2020 독어학 Vol.42 No.-

        Die Tendenz zu einer semantischen Vielfalt der Neulogismen ist zu einer Situation geworden, in der man mit dem traditionellen formalistischen Ansatz nicht richtig umgehen kann. Daher muss die formale semantische Theorie als externalistischer Formalismus die inneren konzeptuellen Befunde des internalistischen Ansatzes in Betracht ziehen, wenn es um die semantische Interpretation von Neulogismen geht. Hier habe ich über das Problem diskutiert, die Bedeutung der Okkasionalismen mit dem Konzept als ‘mental entities’ zu rekonstruieren, und das Problem der Bindung freier Variablen und der semantischen Relation von den Konstituenten der Okkasionalismen. Um die auf kognitiven Prinzipien beruhenden Okkasionalismen zu verstehen, sind außerlinguistische Informationen wie kontextuelles, sozialund kulturelles Wissen erforderlich. Um die Bedeutung von kontext-abhängigen Okkasionalismen zu interpretieren, muss der formale semantische Ansatz durch den kognitiven Ansatz ergänzt werden. So wurden die semantische Repräsentation und die konzeptuelle Struktur für die semantische Interpretation von Okkasionalismen schrittweise angewendet. 오늘날 빈번하게 마주치는 명사합성어의 다양한 의미적 경향은 결합기술과 의미해석의 엄밀화를 통한 종래의 형식주의적 접근만으로는 온전히 다루기 어려운 상황이 되었다. 특히 합성어의 의미해석을 다루는데 있어서 형식의미론으로 지칭되는 외재론적 형식주의는 두뇌의 역할이라는 내적 장치를 염두에 둔 내재론적 인지주의를 새롭게 고찰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는 즉흥조어의 의미해석을 위해 의미를 개념으로 재구성하는 문제와 형식의미론적 의미해석이 명사합성어 해석에서 초래하는 합성성분 사이의 관계와 변항의 결속에 대한 문제를 고찰하였다. 이 과정에서 특히 간결표현을 일종의 인지적 산출원리로 지니는 즉흥조어의 이해을 위해 사회문화적 지식과 같은 온갖 비언어적 맥락지식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따라서 맥락의존적 즉흥조어의 의미해석을 위해서는 언어와 실질세계를 연결시키는 형식의미론적 방법론이 개념적 토대 위에 구축된 내재적 인지주의 방법론을 통해 보완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의미적 표상에 개념구조를 단계적으로 적용함으로써 맥락지식적 내용을 채워나가는 방식의 즉흥조어 의미해석이 형식의미론적 의미해석에 맥락과 같은 비언어적 의미를 적용하려는 목적에 보다 부합한다고 보았다.

      • KCI등재

        [어학 · 언어교육] 감정 형용사 ‘HAPPY’ 개념에 대한 어휘적 접근

        정유진(Jung, Eu-Gene) 국제언어문학회 2019 國際言語文學 Vol.- No.42

        이 논문은 감정 형용사 ‘HAPPY’의 개념을 어휘를 통해서 이해하고자 한다. ‘감정’은 어떤 현상이나 일에 대하여 일어나는 마음이나 느끼는 기분으로 정의된다. 감정이라는 심적 개념과 그 감정을 유발하는 환경에 대한 지식과 요인, 즉 맥락에 대한 정보를 기호화된 어휘를 통해서 설명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Goddard & Wierzbicka(2014)가 제시한 의미 원초소와 프레임넷 데이터의 구성요소를 기반으로 어휘를 관찰한다. 먼저, 감정어 ‘HAPPY’가 나타나는 문맥을 살펴보고 필수 구성 요소인 감정을 일으키는 요인(stimulus)과 선택적 구성 요소인 감정의 정도(degree)를 나타내는 표현을 알아본다. 감정의 정도는 긍정과 부정으로 구분되어 전체문장의 의미에 영향을 준다. Goddard & Wierzbicka(2014)가 ‘HAPPY’의 개념에 대한 의미로 제시한 원초소들이 실제로 어떤 단어로 실현이 되는지 알아보고 그 의미영역(Moe 2003, 정유진•강범모 2015)을 기술한다. 이 연구는 감정이라는 심적 개념이 어휘를 통해 그 의미를 표상하는데 도움이 되며 향후 오피니언 마이닝과 감성분석에 기초 자료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motional concept of the word ‘HAPPY’ by examining lexical usages in the Corpus of Contemporary American English (COCA). An emotion is defined as a feeling which can be caused by the situation that you are in or the people you are with. Emotions are one of the popular topics in psychological fields. They are the words that conceptualize the emotion, ‘happy’. In order to explicate the concept of the word ‘happy’ through lexical usages, this study adopts semantic primitives by Goddard & Wierzbicka (2014) and Feature Elements in the FrameNet II (2016). First, we extract a group of co-occurring words that come together with the word ‘happy’ in the COCA corpus. Second, we divide the words into the Stimulus as a Core Feature Element (FE) and the Degree as a non-Core Feature Element. We also classify the stimulus based on the sematic domain (Moe 2003). The semantic domains allow us to capture the relationships among words in a speaker’s mind. The domain can be served as generalizing the stimuli of the emotion ‘happy’. We expect the conceptualization of the emotion to be represented via words, which come together with the word ‘happy’. This study can be used efficiently to develop opinion mining and sentiment analysis research. 이 논문은 감정 형용사 ‘HAPPY’의 개념을 어휘를 통해서 이해하고자 한다. ‘감정’은 어떤 현상이나 일에 대하여 일어나는 마음이나 느끼는 기분으로 정의된다. 감정이라는 심적 개념과 그 감정을 유발하는 환경에 대한 지식과 요인, 즉 맥락에 대한 정보를 기호화된 어휘를 통해서 설명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Goddard & Wierzbicka(2014)가 제시한 의미 원초소와 프레임넷 데이터의 구성요소를 기반으로 어휘를 관찰한다. 먼저, 감정어 ‘HAPPY’가 나타나는 문맥을 살펴보고 필수 구성 요소인 감정을 일으키는 요인(stimulus)과 선택적 구성 요소인 감정의 정도(degree)를 나타내는 표현을 알아본다. 감정의 정도는 긍정과 부정으로 구분되어 전체문장의 의미에 영향을 준다. Goddard & Wierzbicka(2014)가 ‘HAPPY’의 개념에 대한 의미로 제시한 원초소들이 실제로 어떤 단어로 실현이 되는지 알아보고 그 의미영역(Moe 2003, 정유진•강범모 2015)을 기술한다. 이 연구는 감정이라는 심적 개념이 어휘를 통해 그 의미를 표상하는데 도움이 되며 향후 오피니언 마이닝과 감성분석에 기초 자료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motional concept of the word ‘HAPPY’ by examining lexical usages in the Corpus of Contemporary American English (COCA). An emotion is defined as a feeling which can be caused by the situation that you are in or the people you are with. Emotions are one of the popular topics in psychological fields. They are the words that conceptualize the emotion, ‘happy’. In order to explicate the concept of the word ‘happy’ through lexical usages, this study adopts semantic primitives by Goddard & Wierzbicka (2014) and Feature Elements in the FrameNet II (2016). First, we extract a group of co-occurring words that come together with the word ‘happy’ in the COCA corpus. Second, we divide the words into the Stimulus as a Core Feature Element (FE) and the Degree as a non-Core Feature Element. We also classify the stimulus based on the sematic domain (Moe 2003). The semantic domains allow us to capture the relationships among words in a speaker’s mind. The domain can be served as generalizing the stimuli of the emotion ‘happy’. We expect the conceptualization of the emotion to be represented via words, which come together with the word ‘happy’. This study can be used efficiently to develop opinion mining and sentiment analysis research.

      • KCI등재

        뇌에서의 단어 정보 처리와 표상: 신경과학의 성과를 중심으로

        채현식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18 인문과학연구논총 Vol.39 No.1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problem of word processing and representation in the brain from the viewpoint of neuroscience. In the brain, words are processed and represented based on hearing, vision, body sensory information, and physical motor information. The new word information is processed through the hippocampal system, and represented on the cortical network of the brain after a certain period of consolidation. Among the information of the word, the phonological form is expressed around the auditory cortex, and the character form is represented by the visual (form) perceptual cortex. The sensory meaning of the word is represented in the somatosensory cortex, and the meaning related to the physical motor is represented in the motor cortex. The abstract meaning of a word is represented in several semantichuba based on sensory - physical motor representations. Grammatical words and grammatical morphemes are represented in the cortical area around the Sylvian fissure. On the other hand, lexical words are wide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sensory - motor domain, including perisylvian area. The lexical category of a word does not seem to be independently represented apart from semantic information of word. 뇌에서의 단어 정보 처리와 표상 문제를 신경과학의 관점에서 살펴보는 것이이 글의 목적이다. 뇌에서 단어는 청각, 시각, 신체 감각 정보나 신체 운동 정보에 기초하여 처리되고 표상된다. 새로운 단어의 정보는 해마 체계를 거쳐 처리되되, 일정한 응고화 기간이 지난 뒤에 뇌의 피질 네트워크에 표상된다. 단어의정보 중 음운 형식은 청각 피질 주변에, 문자 형식은 시각(형태) 지각 피질에표상된다. 단어의 구체적, 감각적 의미는 해당 감각적 지각을 표상하는 지각 피질 부위에, 신체 운동과 관련된 의미는 운동 피질 부위에 분산 표상된다. 단어의 추상적 의미는 감각-신체 운동 표상을 바탕으로 몇 군데 의미 허브 영역에표상된다. 문법적 단어나 문법형태소는 실비우스 틈새 주변의 피질 영역에 집중되어 표상된다. 반면 어휘적 단어는 실비우스 틈새 주변 피질을 포함하여 감각-운동 영역에 걸쳐 넓게 분산되어 표상된다. 단어의 어휘범주는 의미정보와 떨어져서 독자적으로 표상되지 않는 듯하다.

      • KCI등재

        언어적 시간 표현의 형식화 연구 : 한국어 상 표지 ‘-고 있-’을 중심으로

        서정연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10 프랑스어문교육 Vol.35 No.-

        Ce présent travail propose une contribution méthodologique aux représentations temporelles des langues. Il se situe dans le programme de la Grammaire Applicative et Cognitive et s'introduit dans une architecture globale d'application multilingue visant le traitement automatique des langues naturelles. A l'aide de conceptualisation empruntée à la Topologie générale, les valeurs sémantiques du marqueur aspectuel '-ko iss-' en coréen sont analysées d'une manière indépendamment de la langue naturelle. La modélisation que nous proposons nous permet de donner des repésentations sémantico-cognitives sous-jacentes aux informations aspecto-temporelles du marqueur ayant une structure applicative des opérateurs complexes aspectuels, qui se rappelle au langage formel de la logique combinatoire typée de Curry. Ainsi ce travail ouvre des perspectives vers la constructuion du réseaux sémantique du temps linguistique afin de concevoir une ontologie formelle du temps linguistique et aussi vers la conception d'un outil de TAL (traitement automatique des langues) pour la langue coréenne. 우리는 다음 예문 (1)의 사건을 통해 다음과 같이 두 가지 사건을 하위 추론해 볼 수 있다. 첫째, 어느 한 순간 ‘Pierre'는 ‘편지를 쓰는 작업을 시작했다’ 그리고, ‘지금, 편지를 쓰고 있다.’ (1) (En ce moment), Pierre écrit une lettre. 그리고 이러한 사실은 다음 (1)'과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언어적 표지를 통해 각각 표현될 수 있다 (각각, /être en train de/와 /commencer à/). (1)' Pierre est en train d'écrire une lettre. (1)''Il y a eu un moment pendant lequel Pierre commençait à écrire une lettre. 위의 세 문장은 모두 공통적으로 하나의 술부 관계 <écrire une lettre, Pierre>를 가지면서, 동시에 각기 다른 언어적 표지와 함께 상이한 시상 의미 값을 표상하고 있다. Battistelli & Desclés (1999:351)는 어떤 한 사건은 세부적인 하위 사건들 간의 추론적 관계를 통해 개념화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개념은 프랑스어의 다양한 ‘상황 유형의 양태 modalité d'action’의 표지를 통해 증명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이러한 각각의 ‘상황 유형 양태 표지’들은 연산자 opérateur로서 술부관계와 연산 작용을 가짐을 증명했다. 본고는 이러한 그들의 주장을 받아들여, 한국어의 상표지 ‘-고 있-’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1.1. 예비적 고찰 ‘-고 있-’은 일반적으로 예문 (2)에서와 같은 ‘진행상’과 예문 (3)에서와 같은 ‘결과 상태 지속상’의 의미를 가진다고 알려져 왔다. 또한 후자의 의미는 같은 의미를 가지는 ‘-어 있-’과 상보적 분포의 특성을 가진다고 간주되었다. 다시 말해서, ‘-고 있-’은 타동사 구문과 ‘-어 있-’은 자동사 구문과의 분포적 조건을 따른다고 보았다 (예문 (4)). (2) 순희는 한 시간째 달리고 있다. (3) 순희는 교복을 입고 있었다. (4) 순희는 의자에 앉아 있다. 하지만, 다음 예문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 있-’은 정태적인 의미 값을 가지는 동사구문들과 공기하며, 또한 예문 (6)에서와 같이 자동사 구문과도 함께 나타난다. (5) 그 사람은 지금 동경에 머무르고 있다. (6) 이 회사의 체인망은 5개국에 걸치고 있다. 이에, 이호승 (2001)은 ‘-고 있-’은 [미완료상]의 의미를 가지며, 공존하는 동사구문의 어휘적 의미와 담화·화용론적 요인에 의해, 상황의 예비 단계, 내부 단계, 결과 상태 단계 중 어느 하나만을 드러내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보았다. 더불어, 양정석 (2004:121-128)은 ‘-고 있-’은 [비한계성]의 어휘적 자질을 가지는 연산자로서, 공존하는 동사구문에 의미적 조건을 부여한다고 보았다. 또한, 모든 동사구문에는 고유한 어휘 의미적 사건 구조가 존재하며, 이러한 사건 구조로 인해, ‘-고 있-’의 [비한계성]의 어휘적 자질과 부합할 수 있다고 보았다 (예문 (6))의 경우). 우리는 이러한 선행 연구들이 가지는 ‘-고 있-’의 직관적인 의미 기능은 받아들이되, ‘상황 유형의 양태’를 표상하는 표지로서 해당 표지가 가지는 언어적 기능을 객관적인 기제를 통해 표상하고, 개념화하고자 한다. 또한 기술된 의미 값들은 다시 발화 연산 작용에 대입되어 형식화될 것이다. 이러한 의미 기술 작업을 통해, 언어로 표현된 의미들은 상황에 의해 결정된다는 소극적인 접근 대신에, 가능한 의미들과 그들의 의미전이 방식을 개념화함으로써, 직관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해당 표지가 가지는 의미 기능의 실제적인 정보를 보여줄 것이다. 이를 위해, 본고는 언어 표현의 분석과 형식화를 위한 융합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는 인지...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