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스트모던 그림책의 의미작용에 관한 연구- 바르트의 의미 작용 모델 적용을 중심으로 -

        강서희,김상한 청람어문교육학회 2019 청람어문교육 Vol.0 No.70

        This study examined the signification of postmodern picturebooks. Postmodern picturebooks have the characteristic of overturning existing customs. Therefore, beyond the interaction of text and pictures,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deep signification. This study presents Barthes 's signification model as an analytical tool to investigate depth semantics. Barthes 's signification model divides the semantics of symbols into extrinsic and implicit semantics. This is appropriate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postmodern picture book reflecting characteristics. We analyzed the significations of postmodern picturebooks "black and white" and "The Stinky Cheese Man: And Other Fairly Stupid Tales". These picturebooks lead us to construct artificial myths through writings and pictures that violate conventional customs. The newly constructed anthropomorphic myth has a meaning to reinterpret picture books. Through this process, readers can discover the pleasure of reading postmodern picture books. 본 연구는 바르트의 의미작용 모델로 포스트모던 그림책의 의미작용 과정을 살펴보았다. 포스트모던 그림책은 기존의 관습을 전복하려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글과 그림이 상호작용하는 것을 넘어서, 그 심층의 의미작용을 살펴보고 탐구할 필요가 있다. 포스트모던 그림책에서 함축적 의미작용을 살펴볼 수 있는 분석 도구로 바르트의 의미작용 모델에 주목하였다. 바르트의 의미작용 모델은 기호의 의미 작용을 외시적 의미와 함축적 의미로 나누어 분석한다. 이를 활용하여 포스트모던 그림책의 특성을 반영한 의미작용 과정을 파악할 수 있었다. 포스트모던 그림책 중에서 『검정과 하양』과 『냄새 고약한 치즈맨과 멍청한 이야기들』의 의미작용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 그림책에서 글과 그림은 기존의 관습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독자는 기존의 관습에 위반되는 글과 그림을 통해 인위적 신화를 구성한다. 새롭게 구축된 인위적 신화는 그림책을 재해석할 수 있는 의미작용을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독자는 포스트모던 그림책을 읽는 즐거움을 발견할 수 있다.

      • KCI등재

        보드리야르 이론과 기호학, 의미작용에 관한 연구

        김휘택 ( Kim Hui-teak ) 한국기호학회 2020 기호학연구 Vol.65 No.-

        본 논문은 보드리야르Jean Baudriard의 이론들을 기호학의 의미작용 관점에서 고찰해 보았다. 보드리야르는 레비스트로스Claude Levi-Strauss의 이론을 자신의 초기 저서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때문에 기호학적 사고에도 매우 정통하다. 그의 시뮬라시옹 이론은 우리의 일상생활 차원에서 일어나는 의미작용을 다루고 있다. 본 논문은 보드리야르가 의미의 층위 분화를 인식하고, 이를 활용하여 자신의 이론을 전개했다는데 주목했다. 보드리야르는 사물을 주체에게 인식되는 과정을 기호학적인 방식으로 설명한다. 그의 이론은 인간의 사물의 인식 방식이 그 실질을 통해서가 아니라 그 사물에 대한 의미작용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보드리야르는 사물에 대한 의미작용을 본질적인 것과 비본질적인 것으로 나누지만, 이 의미작용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판단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그의 연구는 보편적으로 사회에서 일어나는 의미작용을 기술해나가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보드리야르는 그 의미작용이 개인적인 함축의미 차원에 머무르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의미작용은 집단적인 것으로서 개인은 그 의미작용을 수용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은밀한 사회적 의미작용의 확인은 바르트가 주장한 신화의 존재를 드러내 보여준 것이었다. 우리 사회의 신화는 제국주의, 이념과 같은 거대 담론에서만 벌어지는 것이 아니다. 보드리야르는 그 신화가 우리의 일상에 개인의 실천으로 자리 잡았다는 것을 분명히 보여준다. 이 사회적 성격의 의미작용에는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욕망들이 복잡하게 교차하고 있다. 개인은 유권자로서, 노동자로서, 소비자로서 그러한 욕망을 집요하게 강요받고, 구성원으로서 인정받기 위해 그 욕망을 아낌없이 소비하고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Jean Baudriard’s theories from the perspective of signification in semiotics. Baudriard is also very versed in semiotic thinking as he actively uses the theory of Claude Levi-Strauss in his studies. His theory of simulation deals with the process of signification occurring at the level of our daily life. This article noted that Baudriard recognized the layered differentiation of signification and developed his theory by utilizing it. Baudriard describes the process of recognizing Objects by the subject in a semiotic way. His theory shows that the way of human perception of objects is not trough their substance, but through the signification of them. Baudriard divides the signification of an object into essential and non-essential, but does not select and judge either of these signification for his study. In other words, his research can be seen as describing the signification processes that occur in a society. Baudriard believes that the meaning is not limited to personal connotation. The significations are collective, and the individual has no choice but to accept these significations. The confirmation of this secret social signification revealed the existence of the myth of Barthes. The myth of our society does not happen only in grand discourses such as imperialism and ideology. Baudriard clearly showed that the myth has established itself as an individual practice in our daily lives.

      • KCI등재

        올림픽 엠블럼디자인에 내포된 의미작용 연구 - 롤랑 바르트의 기호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

        이해만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4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2 No.1

        올림픽 엠블럼은 1924년 파리 올림픽에서 처음 도입한지 90여년의 오랜 기간에 걸쳐 동일테마로 지 속적이고 주기적으로 여러 국가적 차원에서 개발되어왔기에 아이덴티티 개발 연구관점에서 가장 가치가 있고, 그 다양한 이미지를 체계적으로 연구할 의의가 높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올림픽 아 이덴티티를 가장 핵심적으로 함축하고 있는 엠블럼디자인을 대상으로 2000년대 이후부터 최근의 올림픽을 연구범위로 설정하여, 롤랑 바르트 기호의 의미작용 2단계를 토대로 기호학적 관점에서 내포된 의미작용을 다음과 같이 분석연구를 하였다. 첫 번째, 1차 의미작용으로는 공통적으로 올림픽 개최국의 전통문화와 자연경관, 민족과 국기 상징 색 등의 형상이 외연적 기호로 나타났다. 하지만 2012년 런던 올림픽 엠블럼은 기존 유형에서 탈피 하여 파격적으로 시의성이 강한 외연적 기호이며, 2014년 소치 올림픽 엠블럼은 최초로 웹사이트 주소를 타이포그래피로 형상화하여 디지털시대를 강조한 차별적인 외시 의미로 표현하였다. 두 번째, 2차 의미작용의 공시 의미는 사회적인 이념이나 문화적 차원으로, 1차 외시 의미에 의해 전통문화와 현대사회, 그리고 개최 도시와 국가이미지를 조화롭게 공존 기호로 상징화하고, 세계 평화와 화합의 축제, 올림픽 정신 등이 내포된 의미를 띠고 있다. 세 번째, 엠블럼의 상징 색상으로는 개최국의 국기 혹은 전통 문화적인 의미 내포가 주류였다. 동계 올림픽 엠블럼의 표현 이미지는 주로 동계 스포츠 상징의 눈과 얼음 결정체 이미지를 의미화한 것 이 특징이었다. 이와 같이 1차 의미작용의 조형적인 외시 의미를 기반으로 엠블럼을 통해 궁극적으 로 전달하려는 2차 공시 의미가 특색 있게 작용하고 있음을 도출할 수 있었다. Olympic emblems have been developed for about 90 years using the same themes consistently and periodically at the national level since it was first instituted at the Paris Olympics in 1924. This study set the basis of Olympic emblem designs in which it has been the most fundamental identity for recent Olympic games held since 2000. According to the semiologic signification of Roland Barthes, the implicit signification of Olympic emblem was analyzed in a semiologic view. Firstly, ethnicity, colors of the national flag, and the traditional culture of the Olympic host nation were considered in shaping each respective emblem as 1st signification. However the emblems of London 2012 and Sochi 2014 are two examples of a denotation. The secondary connotation represents social ideologies and the cultural dimensions of the host nation. It symbolizes traditional culture, modern society, and the image of the host country and the host city by its first denotation. It also indicates Olympic spirit as an implication symbol such as the festival of world peace and harmony, and the symbolic image of the Olympics. Lastly, emblem or symbol of colors typically relates to the flag of host countries or its traditional meanings. The emblems at the Winter games are mainly borrowed images of snow and ice crystals from its predecessors. Thus it extracted the second connotation through the emblem being based on formative denotation of the primary signification.

      • 정보그림책의 의미구성 작용 탐색

        김정준 총신대학교 2023 總神大論叢 Vol.43 No.-

        본 연구는 그림책 전문가가 추천하는 10권의 정보그림책의 의미구성 요소를 분석함으로써 정보그림책의 요소들이 어떻게 의미 구성에 작용을 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선정된 10권의 정보그림책을 처음부터 끝까지 반복적으로 살펴보고 의미작용을 하는 요소를 추출하여 이를 범주화하고 의미구성 작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텍스트의 의미구성 상호작용, 서사활용, 가독성 제고 전략의 세 가지 범주의 의미요소가 추출되었다. 첫째, 글텍스트, 그림텍스트와 주변텍스트는 상호작용하여 아이코노텍스트를 이루었으며 각 텍스트의 의미 구성과정에서의 역할은 명확히 구분할 수 없을 만큼 서로 융합되어 의미를 생성하고 있었다. 둘째, 정보그림책도 픽션그림책처럼 서사구조를 가지는 경향이 많았으며 이는 그림책 전체를 관통하는 줄거리를 갖거나 인물과 사건 에피소드를 추가하는 형태로 나타났다. 셋째, 정보그림책의 작가와 편집자는 정보의 의미가 효율적으로 구성되어 의미를 전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전략을 사용하였다. 즉 글, 그림과 주변텍스트를 적절하게 활용하여 의미구성 요소로 활용하였으며, 책의 내용구성 방식을 다양화하고 놀이하듯 탐색하도록 독자를 유도하는 방식으로 가독성을 높였다. 본 연구는 교사나 부모가 유아와 함께 정보그림책을 읽을 때 의미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며, 유아의 흥미와 발달적 특성에 적합한 정보그림책을 제작하고 선정하는데 시사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 텍스트 이해에서 의미 구성의 층위와 인지적 상호 작용

        김혜정 국어교육학회 2002 國語敎育學硏究 Vol.15 No.-

        독자는 스키마의 도움으로 텍스트 표현 구조에 함축된 의미를 추론하며 머릿속에 의미 구조를 구성해 나간다. 통사적 결속 기제나 의미적 표지와 같은 표면적 결속 구조가 얼마나 긴밀한 의미적 관계망을 형성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것이 응집성(coherence)이라면, 텍스트가 응집성을 얼마나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판단은 '텍스트 밖의' 다른 기제로서 필자의 텍스트 생산 의도나 텍스트 소통과 관련된 사회 문화적인 맥락 등을 어떻게 파악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능동적인 독자는 텍스트로부터 의미 구조를 표상하는데 있어, 텍스트 내적 정보들뿐만 아니라 텍스트 외적인 정보들을 의미 해석의 단서로 적극 이용하는대, 이러한 인지 과정에서 독자와 필자, 맥락 간에 인지적 상호작용이 전제된다. 본고는 독자의 의미 구성 과정을 비판적으로 텍스트를 읽는 과정과 관련지어 설명하고, 광고 텍스트를 일례로 분석해 보았다. 본고는 독자에 의해 재구성되는 의미를 두 가지 층위로 임의 구분하였는데,첫 번째 층위(level)은 텍스트 의미는 텍스트의 유형과 표면 구조에 구속적인, 표면적 주제 의미이고, 두 번째 층위의 의미는 텍스트 생산과 수용의 사회문화적 맥락과 결부시킴으로써 독자가 추론한 이면적 주제 의미이다. 따라서 의미 구조를 구성한다는 것은 텍스트에 드러난 표면적인 텍스트 밖의 상황 맥락적 정보들과 관련지듬으로써 숨겨진 텍스트의 2차적인 의미까지도 추론하는 과정이다. 능숙한 독자는 표층적 결속 구조에 바탕한 의미 구조를 파악함과 동시에, 텍스트의 생산과 수용에 관련되는, 텍스트 왜재적인 사회 문화적인 상황 맥락과 텍스트의 내용을 관련시킴으로써 보다 심층적인 의미를 파악한다. 비판적인 텍스트 이해란 바로 두 번째 층위의 의미가지 도출해 내는 과정을 뜻하며, 비로소 이러한 해석 과정을 통해 결과된 '의미'와 그 의미를 드러내는 '표현 형식'을 비판적 사고 작용의 대상으로 삼을 수 있다. 이것은 텍스트와 독자, 그리고 상황맥락 간의 상호 협상 과정에 비유되며, 이러한 인지 과정에서 중요한 것은 텍스트를 분석하여 얻어낸 결과인 주제를 독자가 판단하는 것이다. 따라서 비판적으로 텍스트를 읽는다는 것은 글 내용의 표면 뒤에 숨겨진 필자의 의도를 찾아내면서 그것이 얼마나 타당하고 적절한지를 자신의 스키마에 비추어 판단하는 상위 인지적 과정이다. 그러므로 독자의 스키마는 텍스트 표현에 대한 글쓰기의 관습과 규칙, 자신이 속한 담화공동체의 요구와 가치관, 무엇보다 건전한 상식과 윤리 의식 등을 포괄하고 있어야 하며, 이로 인해 읽기 교육은 단순히 독해 원리나 과정의 학습이 아니라, 사고 교육의 방법이 되며, 나아가 담화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건전한 윤리의식을 고양시킬 수 있는 범 교과적 학습이 된다. A Study on the relevance with text comprehension and semantic structure is to explain how a man understands the world-building situated meaning and communicates the external world through the real text. The concept of critical reading is reader's energic reconstructive processing in finding of Text-eaning. This paper explains to approach to the text comprehension with two dimentsions. In first level, text structure is analyzed into micro structure, macro structure, superstructure and text content is explained by description of relations of each structure. In second level, whole and further meaning of text is constructed by inferring sociocultural context, which has been theorized by transition of interpretation In literature and semiotics. Text first-level meaning interpreted in first level is superficial and locutionary, but second-level meaning in second level is further, situated, illocutionary and often perlocutionary. Especially, Critical reader reconstructes semantic world by inferring situated meaning and by grasping writer' internal intentions, text-purpose, sociocultural backgrounds of text production, and so forth. Cognition in text comprehension is divided two worlds ; internal text-world, external text-world. Internal text-world is reader's semantic representation of text contents and text structure, and external text-world is nonlinguistic representation which has interextuality against original text and is consisted of values, beliefs knowledges, backgrounds, schema, and etc. reader systhesizes 'internal text-world' and 'external text-world' uring critical reading. Accordingly, critical reading is interpretation-processes of sociocultural situated meanings and an evaluative and creative activity assuming critical thinking in constructing of text-eaning.

      • KCI등재

        폴 리쾨르의 이론에서 ‘의미작용’의 개념에 대한 일고찰

        김휘택 한국프랑스학회 2023 한국프랑스학논집 Vol.123 No.-

        본 논문은 폴 리쾨르의 연구에서 ‘의미작용’이 사용되는 양상과 개념의 외연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기호학에서, 의미작용은 주체가 기표와 기의를 결합하고 대상에 의미를 부여하고 해석하는 것이라고 정의한다. 크리스티앙 메츠는 이와 함께 의미작용을 분류하고 각 분류에 관한 정확한 정의를 하는 일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다음으로 우리는 텍스트와 의미작용의 관계를 살펴보면서, 텍스트가 의미작용을 수용하는 수동적인 대상이 아니라, 텍스트 자체의 의미작용이 주체의 담화를 현동화 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우리는 담화가 사건이 되면서 그 자체로 의미작용의 대상이 된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사건으로서의 담화는 의미작용과 분리된다. 이 과정에서 말하기와 글쓰기의 대립이 ‘텍스트’와 ‘작품’이라는 용어에 의해 변증법적으로 통합된다는것과 의미작용이 이 텍스트에서 담화를 끌어낼 수 있는 지향적 외화의 기제라는 점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리쾨르의 『시간과 이야기』1권과 3권을 통해 시간과 시간에 관한 용어들이 규정되는 과정에서 의미작용이 하는 역할을 고찰하였다.

      • KCI등재

        상호작용 공정성이 창의성과 과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박정원(Jeong Won Park),손승연(Seung Yeon Son) 대한리더십학회 2017 리더십연구 Vol.8 No.2

        Creativity and task performance are essential for leader’s excellent performance and effective organizational functioning. Decisions by employees to engage in these important discretionary behaviors are based on how they receive treatment from their supervisors. This study had three objectives. First, we sought to ascertain the effects of Interactional justice on employee s creativity and task performance. Second, we investigated whether the impact of interactional justice on creativity and task performance is mediated by meaning of work. Third, this study tested the moderating effect of employee s locus of control.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supervisor-subordinate dyads in the Republic of Korea Navy by postal mails or direct visits. All of the items except demography were measured on a seven-point Likert scale (ranging from 1=strongly disagree to 7=strongly agree). A total of 238 matched dyadic data was used for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for testing hypotheses. Specifically, we adopted Baron & Kenny(1986) methods to examine the mediating model. Also we used SPSS macro to verify the moderated mediating model. SPSS bootstrapping methodology does not assume the data’s normal distribution. Thus, we determined the significance of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based on the confidence interval suggested by the bootstrapping method. The result of analysis showe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al justice and creativity, and interactional justice and task performance. Furthermore, mediating model analysis exhibited that the effect of change-oriented leadership behavior on creativity was partially mediated by meaning of work. We also found that employee s locus of control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al justice and meaning of work such that interactional justice is more positively related to meaning of work when locus of control is low (i.e., internal) than locus of control is high (i.e., external). Finally, this study supported the hypothesized moderated mediation model, demonstrating that the magnitude of the indirect effect was contingent upon the level of employee s locus of control. Based on these findings, theoretical and empir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including the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 of the study. 본 연구는 상호작용 공정성이 조직 혁신의 핵심인 창의성과 조직 효과성의 기초인 구성원의 과업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이 과정에 내재된 메커니즘의 일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문헌 및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구성원에 대한 배려 및 존중으로 대변되는 리더의 공정한 행동이 조직 경쟁우위의 원천인 구성원의 창의성과 조직 효과성 및 기능의 토대이자 기본 구성요소인 구성원의 과업성과를 높일 것이라고 가정하고 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상호작용 공정성이 창의성 및 과업성과에 정적인 이유가 구성원의 역량과 존재에 대한 가치 인정을 통해 구성원이 자신의 일에 부여하는 의미를 높임으로써 결과적으로 창의성 및 과업성과가 높아진다고 보고 일의 의미의 매개역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구성원의 개인특성인 통제위치에 따라 상호작용 공정성에 대한 인식 및 반응이 차이가 날 것으로 가정하고 이의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가설의 검증을 위해 해군 간부(장교 및 부사관) 상사-구성원 238쌍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상호작용 공정성은 창의성과 과업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성원의 일의 의미가 상호작용 공정성의 영향력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상호작용 공정성이 구성원의 일의 의미를 높여주고 이로 인해 구성원의 창의성과 과업성과가 증진됨을 알 수 있다. 또한 구성원의 통제위치가 내적일수록 상호작용 공정성과 일의 의미 간의 관계가 더 강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결과 일의 의미를 통한 상호작용 공정성의 간접효과는 구성원의 통제위치가 외적일 때보다 내적일 때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구성원의 창의성과 과업성과의 증진을 위해 현장의 상사가 상호작용 공정성을 발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아울러 그렇게 상사가 구성원을 공정하게 대해야 하는 이유가 구성원으로 하여금 자신이 수행하는 일에 더욱 많은 가치와 의미를 부여하고, 이로 인해 더욱 많은 노력과 열정을 업무에 쏟게 하기 때문이라는 타당한 설명을 제공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환경 및 과업에 대한 개인적인 통제감과 자기결정 정도인 통제위치에 따라 상호작용 공정성의 효과가 달라질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상호작용 공정성 효과의 경계조건을 확인하고, 아울러 상호작용 공정성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어떤 조직적 노력이 필요한지를 말하고 있다. 연구의 말미에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의미 확장에 따른 손의 상징성에 관한 사례 연구

        김은선,고영미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3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35 No.-

        신체는 기본적인 의사소통의 수단인 언어와 함께 인간의 감정과 행동을 표현하는 보조 수단으로 활용되어 왔으며 특히 신체의 일부인 손은 상징성과 중요성에 큰 의미를 부여해 왔다. 손을 활용한 커뮤니케이션은 비유적인 표현과 관용적인 표현 전달이 모두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의미를 내포하는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은유와 환유는 대상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기의를 나타내는 기표의 표현 방법 중 하나로 다른 대상을 통해 의미가 전달되어지는 기호의 가장 기본적인 수단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보편적 기호생산에 의해 확장된 손의 기의에 대한 선행 연구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손은 인간의 물리적 노력과 기술력, 솜씨와 같은 수완 등을 대변하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둘째, 손은 위생적 의미작용으로 위생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셋째, 손의 감성적 의미작용으로 이성과는 대조되는 표현으로 사용되고 있다. 넷째, 손의 폭력적 의미작용으로 상대를 억누르거나 거칠게 제압하는 상대적 힘을 상징할 때 기표로 사용하고 있다. 다섯째, 제품의 특성이나 공익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광고의 목적에 따라 표현된 기표의 의미작용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다양한 매체와 목적에 따라 표현되는 대상의 기호작용과 확장에 관한 향후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Body is used as an auxiliary means of expressing emotions and behaviors of human beings along with the language is a means of basic communication, hand is a part of the body especially been given great significance to the importance and symbolism were. Communication utilizing the hand as it may be both expressions propagation conventional representation figurative, and is used as a tool for encapsulating various meanings. One of the representation of the registration table showing the instrument of interpretation to various target Metonymy and metaphor may be a primary means most of the symbols meaning is conveyed using other targets. In this study, results of the study in the previous study of the vessels of the hand that has been extended by universal symbol production is as follows. First, the hand is the enclosing sense to speak technical capabilities, the ability such as skill and physical effort of human beings. Second, the hand has a closely associated with health in hygienic signification. Thirdly, it is used in a contrasting representation heterosexual sensibility signification hand. Fourth, you are using at the registration table when you symbolize the strength relative to or pressed against the opponent in the sense violent action of the hand, subdue wildly. Fifth, it appears signification of the registration table, which is expresse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advertising to tell the public interest messa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 are different. I want to proceed with further research on extending the sign of the action target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resse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and various media.

      • KCI등재

        화폐 읽기

        원용진(Yong-Jin Won),홍성일(Sung-IL Hong) 한국언론정보학회 2008 한국언론정보학보 Vol.41 No.1

        화폐를 소통 미디어로 간주하고 화폐가 야기하는/실패하는 소통 형식을 추적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현대 자본주의사회에서 화폐를 경제적 역할(가치척도 수단, 유통 수단, 축장 수단, 지불 수단)에만 한정해 논의할 수는 없다. 사회 전 영역에서 인간을 매개하고, 의미를 전하는 사회문화적 역할을 수행하는 미디어로도 이해해야 한다. 이 같은 인식 아래 화폐에 대한 언어학적/기호학적 이론화를 시도했다. 마르크스의 가치형태론과 언어학/기호학을 접합시키고자 했다. 접합을 통해 소통 미디어로서 화폐는 두 가지 의미작용을 펼치고 있는 것으로 파악했다. 하나는 무한한 부의 축적을 욕망케 하는 메타 의미작용이다. 그 결과 화폐는 두 번째 의미작용인 개별 상품들 사이의 구체적이고 중층적인 의미작용들을 대신하게 된다. 화폐가 주인 기표가 되며 모든 기호들의 의미작용은 파괴되고 아무것도 아님은 모든 것이 될 수 있음을 의미화하였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소통 미디어로서의 화폐는 모든 개별 주체의 보편적인 상상적 동일시의 대상이 되었다. 화폐는 개별 기호를 묘사할 뿐만 아니라 대표하는 지위를 점한다. 그러나 대표와 묘사는 지속적인 긴장을 일으키며 주인 기표로서의 화폐의 지위를 위협한다. 마르크스의 보나파르티즘 분석에 대한 화폐기호학적 재독해는 이와 같은 긴장의 구체적 국면을 드러내고 있었다. 즉 묘사될 수는 있으나 보나파르티즘에 의해 대표되지 못하고 이탈된 주체들은 체계의 위협 요소로 상존하였다. 소통 미디어로서의 화폐는 의미작용의 작동을 통해 화폐 체계의 성립과 와해의 가능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다. The paper aims to figure out the meaning of money in terms of communication in which we can find the specific communicative and cultural form of money. In the modern capitalist society, we cannot limit money within the economical terms - for example, store of value, medium of exchange, unit of account and means of payment - because money mediates all human activities beyond the economic boundary and conveys specific meaning in the social and the cultural area. Money can be the medium of the cultural and the communicational as well as the medium of the economic. In this respect, we've try to articulate money with linguistic or semiotic insight. Through this theoretical dialogue, we find two significations of money as a medium of communication. The first signification is meta-signification which drives the individual to the unlimited accumulation of the money. Meta-signification displace the second signification of the money that is the singular, over-determined and the mosaic significations. In this process money can be the signifier without signification. And then, money is the Master signifier which all sign should be identified imaginary. Finally, Money is not only the re-presense (Darstellung) of all sings but also the representative (Vertretung) of all signs. But this double position creates some tensions and makes master signifier of money unstable. Marx's analysis of Bonapartism, which shares the linguistic or semiotic insight, shows the crack of the re-presence between the representative. Like Marx's analysis, the money has the tension between two signification which makes the room for the struggle to signify.

      • KCI등재

        평가적 의미의 개념작용 양상 연구 - 신소설 속 동물어휘를 중심으로 -

        유인선 ( Yu In-seon ) 배달말학회 2021 배달말 Vol.68 No.-

        본 연구는 정서와 평가의 상관관계를 비교 분석하여, 평가적 의미의 개념을 정립하고, 신소설 속에 사용된 포유류 동물어휘를 수집하여 그 평가적 의미 양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평가적 의미 양상 분석은 단순히 분석한 의미 결과를 제시하는 데 그치지 않고, 평가적 의미 개념작용을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한 후 이에 따라 평가적 의미가 어떻게 다르게 사용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총 21종류의 동물어휘가 10번 이상 사용되었다. 그리고 어휘별 평가적 의미 양상의 분석을 통해, 긍정 극성을 지닌 동물어휘는 없었으며, ‘노루, 흑마, 양’은 중립 극성으로 사용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부정-중립 의미 양가성 어휘는 ‘말, 소, 송아지’가 있었고, 긍정-부정 의미 양가성 어휘는 ‘강아지, 원숭이’가 있었다. 나머지 어휘들은 모두 부정적 의미가 주된 개념작용의 결과였다. 평가적 의미 개념작용은 문자적-비유적, 간단한-복잡한, 단위-비단위의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어휘별로 선호하는 개념작용 유형이 달랐으며, 유형별 평가적 의미 사용 양상에서도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work presented in this study is comprised of two objectives. The first objective is to establish the conception of evaluative meaning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emotion and evaluation. The second objective is to collect mammalian animal words used in the Sinsoseol and to analyze their aspects of evaluative meaning. The analysis of evaluative meanings of the animal words used in the Sinsoseol did not stop at simply presenting the analyzed semantic results, but also classified the conception of evaluative meanings into three types and tried to examine how evaluative meanings were used differently. It was confirmed that the total of 21 kinds of animal words were used more than 10 times in the Sinsoseol.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spects of evaluative meaning of each word, there were no animal words with positive polarity, and ‘roe deer, black horse, and sheep’ were used as neutral polarity. The negative-neutral semantic ambivalent words were ‘horse, cow, and calf’, and the positive-negative semantic ambivalent words were ‘dog and monkey’. All other words were the result of the main conception with negative meaning. By analyzing the aspects of evaluative meaning, based on the three types of conception, (1) literal - figurative, (2) simple - complex, and (3) unit - non-unit types, it was confirmed that the preferred conception types were different for each word, and that there were also differences in the aspects of evaluative meaning by each typ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