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정조대 초반의 蕩平 義理와 忠逆論

        최성환(Choe Seong-hwan)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09 泰東古典硏究 Vol.25 No.-

        주자 성리학에 투철했던 조선후기의 정치는 명분상 사(私)를 배척하면서 공(公)을 가장 중요한 준거로 삼았다. 정치 의리는 공의(公義)와 떼어놓고 설명할 수 없다. 의리(義理)는 당쟁을 격화시키는 파당(派黨)의 의리[私義] 에 머물 수도 있지만, 어떤 계기에 의해서든 시비(是非)가 정리된다면 사회적 합의[公義]를 이끌어 내는 기준이 된다. 공의에 입각해 확정된 국시(國 是)는 당쟁의 대상이 아니라, 어떤 세력이든 지켜야할 규범이 된다. 탕평정 국에서 쟁점이 된 것은 조제의 기준인 의리의 정당성 여부에 있었다. 영조대 후반의 정국 변동은 영조가 즉위 의리인 신임의리(辛壬義理)와, 후계자를 폐위시킨 ‘영조의 임오의리(壬午義理)’를 확정하고, 새로운 후계자를 정하는 갑신처분의 의리를 관철시킨 과정이었다. 정조는 영조가 확정한 신임의리와 임오의리를 대의리(大義理)로 준수하겠다는 의지를 보인 후에 즉위할 수 있었다. 여기에 더하여 정조는 자신의 즉위를 돕거나 방해했던 자들을 충·역으로 판정한《명의록(明義錄)》의리를 기준으로 전반기의 탕평을 실시했다. 정조는 노론·소론·남인을 막론한 신하들이 군주가 제시한 보편 군신의리를 공통분모로 하여 당론을 극복하도록 유도했다. Politics in the later Chosŏn dynasty that idealized Neo-Confucianism tended to prioritize public(公) over private(私). For this reason, the issue of politics of Euli (義理) cannot be clarified without considering its interwoven relationship with ‘Kong-Eu(公義) . Of course, it was possible for each party to draw on Euli , which often fired existing factional conflicts. Chŏngjo(正祖) ascended a throne only after making it clear to value Sinim-Euli(辛壬義理) and Imoh-Euli(壬午義理) as Grand Euli(大義 理). In addition to this, Chŏngjo s enforcement of Tang-Pyŏng policy based its legitimacy on Euli(義理) manifested in『Myŏngŭirok(明義 錄)』that distinguished those who were against his enthronement from those who crowned him king. While each Euli tend to be perceived as a separate rule, what is common amongst those Euli is to function as a guiding principle for loyalty·disloyalty(忠·逆) towards candidates for throne. Chŏngjo reiterated the idea of Kun-Sin-Euli (君臣義理) in an attempt to lead his officials -Noron(老論), Soron(少 論) and Namin(南人)- to go beyond political creed of their party(黨 論).

      • KCI등재

        정조대의 정국 동향과 僻派

        최성환 조선시대사학회 2009 朝鮮時代史學報 Vol.51 No.-

        This paper examined the ways in which the officials of Byeokpa (僻派) positioned themselves between later period of Yŏngjo and the reign of Chŏngjo, with a focus on the evolving idea of Euli (義理論). In particular, attention is drawn to the ways in which the central figures of Byeokpa responded to Chŏngjo's policy during later Chŏngjo period. It is a commonly held assumption that Byeokpa had been opposed to Chŏngjo. However, it was possible for each party to adjust their ideas about Euli in order to accommodate the other's views on a way of implementing the ideal, which was the case with any other relationships between a king and his officials at that time. It is well known that Byeokpa (僻派) claimed to be a fearless defender of Yŏngjo's Grand Euli [大義理] that was formed on the basis of Shinim-Euli (辛壬義理) and Imoh-Euli (壬午義理). Despite facing a predicament caused by the close alliance between Chŏngjo and Shipa (時派), Byeokpa continued to declare their support for Grand Euli. In fact, Byeokpa had a suspicion that Chŏngjo might seek to alter Yŏngjo's Grand Euli, assuming Chŏnjo's private affection [私情] toward his dead father [Prince Sado] might be prioritized over any other principle. In addition to this, Byeokpa had to deal with its political opponent [時派] that might attempt to take advantage of the situation. It is clear that there was a political division between Byeokpa and Chŏngjo-Shipa alliance. However, it was the establishment of a finer form of Kun-Sin-Euli (君臣義理) that enabled Chŏngjo to realize Tang-Pyŏng (蕩平) policy, going beyond factional feuds. Initially. Byeokpa was against Chŏngjo's appropriation of Yŏngjo's Imoh-Euli (壬午義理). However, this can be seen as Byeokpa's attempt to put an emphasis on a kind of principle for the revision of Yŏngjo's Grand-Euli. Byeokpa, at last, gave a consent to Chŏngjo's version of Imoh-Euli (壬午義理) and the posthumous recognition of Prince Sado. The alteration of Byeokpa's position was justified by the idea of 'Soo-Shi-Byeon- Yeok-Ron (隨時變易論: adjusting itself to changes in society)'. Byeokpa moved beyond strict adherence to existing Euli-Ron(義理論), giving a favorable response to Chŏngjo's plan to abdicate to his successor in the year of Kapcha(甲子). 본 논문은 영조대 후반에서 정조대까지 벽파의 동향과 의리론을 살펴보고, 벽파의 핵심 지도층이 정조대 후반 정조에게 호응했던 행적에 대해 정리하고자 한다. 기존 연구에서 벽파가 정조와 시종 대립했다는 인식이 통설로 자리잡은 것은 벽파 특유의 확고한 의리론에 기인한다. 그러나 양자의 관계는 여느 군신관계와 마찬가지로 특정 사안ㆍ의리에 대해 비판과 포용 및 조정이 가능했던 것으로 보아야 한다. 僻派는 영조가 확립한 辛壬義理와 壬午義理의 통칭인 大義理를 正祖와 時派의 견제를 받는 窮僻한 처지에서도 고수한다고 자처하던 세력이다. 벽파는 정조가 私親에 대한 私情 때문에 영조의 大義理를 변경하려 하며, 時派가 이에 영합할 것이라고 의심했다. 벽파가 정조 및 시파를 견제하는 구도는 분명했지만, 정조의 분명한 의리론과 포용책에 의해 탕평은 가능했다. 벽파는 정조가 壬午義理를 재천명할 때에 강력히 반대하기도 했으나, 이는 정조의 영조 大義理 수정 작업에서 견지해야 할 원칙론을 강조한 것이지 끝까지 항거했다고 볼 수는 없다. 벽파는 ‘정조의 임오의리’ 천명과 사도세자 추숭에 결국 동의했을 뿐 아니라, 隨時變易論에 의거해 追王 담당 의사를 표명하기도 했다. 이 점에서 벽파는 기존 의리론을 고수하는 것을 넘어서서, 정조의 갑자년 上王 구상에도 호응하고 있었다. 정조 말년에 ‘和平’의 정치는 구현되고 있었고, 그것은 ‘정조의 임오의리’ 곧 公共大義理에 입각한 것이었다.

      • 華西 李恒老의 義理論과 主理論

        황의동 화서학회 2010 화서학논총 Vol.4 No.-

        이 논문은 한말의 대표적인 유학자 華西 李恒老(1792~1868)의 義理論과 그 철학적 기초가 되는 主理論을 유기적 관점에서 논구한 것이다. 화서의 철학적 특징은의리적이라는데 있다. 그는 전통적인 道統觀(學統觀) -정몽주, 길재, 김숙자, 김종직, 김굉필, 조광조-과는 달리, 孔子-朱子-宋子의 도통관(학통관)을 주장한다. 이는 의리적 관점에서 본 도통이요 학통으로 주목할만 하다. 이런 점에서 화서의 의리론은 우암의 의리론을 계승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화서는 闢異端의 의리를 전개한다. 그는 난세 구제의 길이 이단을 물리치는데 있고, 이단을 물리치는 길은 正學을 밝히는 데 있고, 정학을 밝히는 길은 天理와 人欲을 분별하는데 있다고 하였다. 그는 세세동점의 위기에서 청과 서양을 물리쳐야 할 적으로 규정하고 싸울 것을 주장하였다. 특히 서양문물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매우 강했다. 그 이유는 서양문물이 반인륜적이라는 것과 저급한 물질문명 그리고 개방적인 남여관계, 연애풍조 등 이었다. 화서의 이러한 서양문물에 대한 인식은 객관성을 갖기에는 재론의 여지가 있다. 다만 화서는 서양문물, 서학이 야만문화라고 인식하고, 이를 방치했을 때 초래될 전통문화 즉 유교문화의 위기를 심각히 우려하였다. 그래서 正學(유교)을 保衛하고 邪學(서학, 서양문물)을 물리쳐야 한다고 보았다. 또한 이것은 우암이 강조했듯이 尊周, 尊明, 尊中華의 의리와 상통하는 것이었다. 周를 높이고 明을 높이고 中華를 높이자는 것은 정치적 사대가 아니라 야만에서 문화로 회복해야 한다는 문화적 관점에서의 논리였다. 화서의 이러한 의리론은 그의 主理論에 근거를 삼는다. 화서도 전통적인 성리학의 틀을 크게 벗어나지 않지만, 가치적 측면, 윤리적 측면에서 理氣를 가치 개념화 하고 理를 강조하는 主理論을 철저하게 고수함은 매우 특징적이다. 그는 理尊氣卑, 理主氣客, 理善氣惡의 분별을 통해 理가 氣를 주재해야 性善이 확보되고 기질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고 보았다. 마찬가지로 수양의 핵심은 理를 밝히고 氣를 다스리는 데 (明理治氣) 있고, 이는 다름 아닌 明天理遏人欲과 같다고 하였다. 이러한 화서의 主理論에 근거한 義理論은 시대정신의 반영이요 실천이라는 점에서 그의 실천적, 의리적 학문태도가 잘 나타나 있다. Hwa Seo-Lee Hang No (1792-1868)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Confucianists in the late Chosun Dynasty. He was a leading figure in protecting culture of Confucianism and repelling the Western civilization at the time of surging challenges from the West and the national crisis. He considered Western civilization barbarism and Confucianism higher culture, maintaining that we should honor the Zhou Dynasty and the Ming Dynasty. For Lee Hang No, his position was not meant to be the worship of the powerful country, but to be the return to culture from barbarism. In addition, getting away from the party of the Confucian conventions, Lee Hang No maintained the scholastic lineage from Confucius, Chu-tzu, and Song Shee Yol, which is a very characteristic position seen from the perspective of justice. Lee Hang No's Theory of Justice is based on his metaphysical principles of reason and emotion. Hwa Seo distinguished reason and emotion from a viewpoint of value system, calling reason something good, emotion something evil, reason something elevated, and emotion something debased. And placing strong emphasis on reason, he asserted that we should always secure good by making reason to lead and govern emotion.

      • KCI등재

        시진핑 체제 중국외교의 의리관(義利觀)에 관한 시론적 연구: 의리관의 내용과 외교영역에서 제기된 배경 및 그 특징을 중심으로

        허재철,임상훈 한국동북아학회 2015 한국동북아논총 Vol.20 No.1

        The View of Righteousness and Profit (VRP) have been frequently raised by not only China's senior diplomatic officials but also the paramount leader since the inauguration of the Xi Jinping government. It is even referred as the new idea of guidance and the principle for action in China’s diplomacy. Therefore, it is highly significant to analyze VRP and forecast Xi Jinping government's future diplomacy and devise strategic countermeasures based on that. As a preliminary study on VRP, this paper examines what VRP is about through historical debates on the concept in Chinese traditional society, and analyzes the background that it was raised as an fundamental idea in the current Chinese diplomacy since Xi Jinping assumed power. The debate on righteousness and profit in Chinese traditional society is mainly associated with the controversy over which is more important between righteousness and profit—Yi and Li. As the Confucian ideology became the Chinese ruling ideology since the Han Dynasty, the thought prioritizing righteousness over profit achieved dominance among a variety of opinions involving the debate of righteousness and profit. At the same time, the common interest of the people in the world was set as a goal for promotion of righteousness and profit. There are three main reasons as the background which VRP has attained significance as a essential thought of Chinese diplomacy in the Xi Jinping era. First, diverse problems that China has to face in the global arena since its rise deeply relate to VRP's contents. Second, Xi Jinping government uses VRP as its new theory for responding to “China threat theory”. Third, the expectation that VRP might be compatible with ‘Chinese dream’, which has been adopted as a main ideology of Xi Jinping government makes VRP more convincing. Moreover, Xi Jinping government which has a strong inclination towards nationalism seems to make propaganda about excellency of Chinese cultural heritage by relying on Chinese traditional thought as a source of current diplomatic ideas. In the future, while China recognizes the American position as the global superpower, it will take more of an active part in global arena as well as show the determined position on its national interests. Though Chinese diplomacy emphasizes peaceful development for the purpose of dispelling “China threat theory”, it will take a firm stance on the problem related to its core national interests. Furthermore, China is expected to promote a more active foreign policy towards developing countries as well as neighbor states based on the idea of accompanied development in line with VRP. 시진핑 체제가 출범한 이후 최고지도자는 물론이고 고위 외교 관계자들에 의해 빈번히 의리관(義利觀)이 언급되고 있다. 심지어 의리관을 중국 외교의 새로운 지도사상이자 행동원칙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이에 본 논문은 의리관에 대한 시론적 연구로서 중국 전통사회에서 전개된 의리관에 대한 논쟁을 통해 이것이 담고 있는 내용에 대해 알아보고, 시진핑 체제에 들어서 의리관이 외교영역의 주요 사상으로 제기된 배경 및 그 특징과 시사점에 대해 살펴봤다. 중국 전통사회에서 의리지변(義利之辨)으로 불리는 의리(義利) 논쟁은 ‘의'라는 도덕과 ‘리'라는 이익 중 어느 것이 중요한가에 대한 논쟁이라고 할 수 있다. 한(漢) 이후 유가(儒家)사상이 통치이념으로 굳어가면서 의리에 대한 다양한 시각은 유가의 ‘중의경리(重義輕利)’로 고정되어 갔으며, 의리관의 지향점으로서 ‘천하만민(天下萬民)의 공동이익(共同利益)’이 제기됐다. 이러한 의리관이 시진핑 체제에 들어와서 외교영역의 중요 사상으로 등장하게 된 배경으로 먼저, 세계적 대국으로 부상하고 있는 중국이 외교무대에서 빈번하게 직면하고 있는 난제가 의리관의 내용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둘째, 시진핑 체제에 들어와서도 여전히 만연해 있는 ‘중국위협론’에 대응하기 위해서 의리관을 새로운 대응이론으로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의리관이 시진핑 체제의 집권 이데올로기로서 자리 잡은 ‘중국의 꿈(中國夢)’과 접목될 수 있다는 점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중국의 전통 사상을 외교 사상으로 활용함으로써 중국 전통문화의 우수성을 선전하고자 하는 의도도 엿보인다. 이러한 시진핑 체제의 의리관은 중국외교가 국제관계에서 주권과 평등, 공정과 같은 가치를 우선시 할 것이라는 점과 기존의 도광양회(韜光養晦)에서 점차 유소작위(有所作爲)로 전이하고 있음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향후 중국 외교는 이와 같은 의리관을 내세우면서 미국의 지위를 인정하는 가운데, 글로벌 이슈에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자국의 이익을 추구해 나갈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중국위협론을 불식시키기 위해 평화 발전 등을 강조하면서도 자신들의 핵심이익과 관련된 문제에 있어서는 강경한 자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중국은 공동발전이라는 명목을 내세우며 주변국가 및 개발도상국가에 대해 더욱 적극적인 외교를 전개할 것으로 전망된다.

      • KCI등재

        영조대 노론 준론 이재의 신임의리 탕평론과 그 실현

        최성환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0 東洋學 Vol.0 No.79

        This study is on a new Sinim-Euli arguement and Euli-Tangpyeong based on the establishment of Lee-jae who had produced numerous Gyeong-hwa-ja-je(a youngman of noble birth in Seoul), as the leader of Yeong-jo reign’s Noron Junron(principled faction). In the process of King Yeongjo’s ascension, a argument of Sinim-Euli(辛壬義理) was in contrast to Noron and Soron. The key to determining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Tangpyeong politics is how King Yeong-jo organizes them well and leads to an agreement between the literati officials. Political justness is a crucial factor in determining the leading forces of Tangpyeong politics, as it is the basis for the proper allocation of talented persons belonging to the parties. Until now, the Tang-pyeong politics of Yeong-jo reign was being studied based on the politics of compromise, which was based on the justification suggested by the Tangpyeong faction. It means Noron and Soron was recognized by half the justness of loyalty and rebel Sinim-Euli. By this standard, a argument of the Noron Junron represented by Lee-Jae was explained as a narrow-minded justification. Because Lee-Jae claimed that Noron is loyalty and Soron is rebel. This understanding is based only on “Dang-ui-tong-lyag(黨議通略)”, but it does not reflect the political realities of the Yeong-jo reign. This study deviates from the conventional view and evaluates the political justification of Noron and Lee Jae’s Sinim-euli based on credentials as national policy of the later Yeongjo’s period, which had been strengthened. Lee did not oppose Tangpyeong, though he clearly declared Yeongjo’s rightful succession and the loyalty of the Noron officials who were unjustly sacrificed. In fact, the Tang-pyeong political situation was maintained even after 31 years of King Yeongjo, when Noron’s loyalty was almost fully realized. As seen in the case of Lee-jae, It is asked to explain more strictly the political justification and political trends in Youngjo’s period so that we reflect the view point of the time. 본 논문은 영조대 노론 준론 산림의 영수로서 수많은 경화 자제들을 교육·배출한 도암 이재가 확립한 신임의리와 그에 기반한 의리탕평의 실현 양상을 분석한 것이다. 영조의 즉위 과정에서 발생한 충·역 의리를 가리키는 신임의리는 노론과 소론의 주장이 대립적이었다. 이를 영조가 어떻게 정리하여 사대부 공론의 합의를 이끌어내느냐가 탕평정치의 성패를 가름하는 핵심이다. 정치의리는 붕당에 속한 인재를 적절히 배분하여 등용하는 기준이 되기 때문에 탕평정치의 주도세력을 결정하는 데 매우 결정적인 요소이다. 지금까지 영조대 전반의 탕평정치는 소론 탕평파가 제시한 의리론, 즉 신임의리에서 노론과 소론의 충·역을 절반씩 인정해서 절충한 정치의리를 기준으로 연구되고 있었다. 이런 기준에서 보면 이재가 대변한 노론 준론은 신축년과 임인년에 노론들의 행위가 모두 충인 반면 소론들의 행위는 역이라는 의리를 주장하였기 때문에 탕평을 반대하거나 아니면 매우 일당독재를 옹호하는 편협한 의리처럼 설명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이해 는 소론 준론에 치우친 당의통략의 의리론에 기반한 인식일 뿐, 영조대의 정치 현실을 반영한 것은 아니다. 본 논문은 기존의 시각에서 벗어나 영조대 후반에 확정되고 그 이후 더욱 강화된 국시로서의 신임의리를 기준으로 노론 준론과 이재의 신임의리론을 분석·평가한 것이다. 이재는 영조의 정당한 승계 의리를 분명히 천명하고, 이를 위해 노력하다가 억울하게 희생된 노론 신하들의 충성을 명확히 인정해 달라고 요구하였을 뿐, 탕평을 반대하지는 않았다. 실제로 노론의 의리가 거의 완전히 실현된 영조 31년 이후에도 탕평 정국은 유지되었다. 이재의 사례에서도 알 수 있지만, 영·정조대의 정치 의리와 정국 동향에 대해서는 당대의 시각을 반영한 엄밀한 분석이 더욱 요청된다.

      • KCI등재

        영·정조대 채제공의 정치 생애와 정치 의리

        최성환 ( Choe Seong Hwan ) 한국실학학회 2017 한국실학연구 Vol.0 No.33

        채제공에 대한 연구는 영·정조대 청남 세력의 정치적 동향을 이해하기 위해서 필수적이다. 그동안 정치사에서 채제공계 남인에 대한 연구는 노론 정권과 맞서다가 희생된 남인이라는 대결 구도가 당연하게 전제되었다. 이로 인하여 채제공이 견지한 정치의리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은 채, 정조시기 淸南 세력의 정치 의리는 노론의 신임의리와 대비되는 남인의 임오의리 확립을 강조하는 차원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설명은 신임의리를 확립한 영조와 이를 공고히 다진 정조에게 모두 깊은 신뢰를 받았던 채제공의 정치 의리를 제대로 평가할 수 없게 한다. 영조의 신임의리는 노론이라는 특정 정치 세력의 정치 의리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었고, 정조 역시 신임의리의 확고한 계승을 바탕으로 `영조의 임오의리`를 수정하여 `정조의 임오의리`를 정립하였다. 이러한 의리에 대해서는 당색을 불문한 합의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러한 시각에서 영·정조대 채제공의 정치 의리를 재평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채제공이 강조하고 정조 역시 인정하였던 채제공의 `三大義理`에 주목하여 그의 정치 역정을 조망하였다. 삼대의리란 정조가 채제공의 일생을 평가하면서 인정한 세 의리, 즉 신임의리, 무신년의 의리, 임오의리를 말한다. 본 논문은 채제공의 정치의리 표방과 확립 과정을 해명함으로써 노론·소론위주의 탕평 정국에서 청남의 독특한 입지를 설명하였다. The study of Chae Jae-gong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political trends of the King Young-jo and King Jeong-jo of Chosun dynasty. In the meantime, the study of Chae Jae-gong and his Namin party in the political history has been premised on the confrontation that was against the Noron party`s administration. Therefore, Cheongnam party`s political justice has been explained in terms of emphasizing the Namin`s Imoh-Euli compared with Noron`s Sinim-Euli without analysis of Chae Jae-gong`s justice. However, these explanations made it impossible to properly evaluate the political will of Chae Jae-gong, who had been deeply trusted by both Young-jo, who established Sinim-Euli and Jeong-jo, who made harder. The Sinim-Euli of Yeongjo was not limited to the political ideology of the particular Noron`s political power, and Jeong-jo also set up his Imoh-Euli revised the Yeongjo `s justice based on the firm succession. There was consensus on this principle, regardless of the factional strife From this point of view, it is necessary to reevaluate the Chae Jae-gong`s politic justice in the Young-jo and Jeong-jo. For this purpose, this paper looks at Chae, Jae-gong`s political pilgrims focused on his `three grand Euli` emphasized by himself and acknowledged Jeong-jo. The three grand Euli are Sinim-Euli, Musin-Euli and Imoh-Euli which were mentioned and evaluated by Jeong-jo through Chae Jae-gong`s life. This paper explains the unique position of Cheong-nam in the Tangpyeong situation centered on Noron and Soron by clarifying the process of claiming to advocate and the process of establishment Chae Jae-gong`s political justice.

      • KCI등재

        순암 안정복의 『周易』 인식과 象數義理論

        엄연석(Eom, Yeon-Seok)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09 철학사상 Vol.34 No.-

        본 논문에서는 상수(象數)와 의리(義理)를 조화와 균형의 시각에서 이해하는 순암 안정복의 『주역』에 관한 인식의 특징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안정복은 象數를 중시하는 입장에서는 호체괘와 효변설 같은 방법적 기준을 중시하였으며, 義理를 중시하는 입장에서는 卦名과 함께 卦爻 사이의 比應 관계와 같은 기준을 강조하였다. 하지만, 안정복은 『주역』은 象數와 義理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理는 占에 의지하고 占 또한 理를 벗어난 것이 아니라는 견지에 『주역』을 이해하였다. 이러한 그의 시각은 기본적으로는 상수와 의리를 조화와 균형의 관점에서 이해하는 것이다. 안정복은 ‘괘명’을 중시하고, 괘효사 사이의 호응관계에 따라 『주역』 괘효사를 해석하거나, 도덕적 의리 실천의 관점에서 괘효사를 이해함으로써 의리역학적 관점을 보여주고 있다. 그는 도덕적 지향과 실천 여부로 인격을 구별하는 君子와 小人의 개념을 통하여 괘효사를 의리역학적으로 해석하기도 하였다. 다른 한편 그는 「河圖洛書」의 자연의 法象이 드러내는 수리적 원리에 대한 인식과 互體卦(互卦)를 이용한 『주역』의 괘효사 해석 사례, 「잡괘전」이해 등을 통하여 상수역학적 해석방법에 의거하여 『주역』을 이해하고 있다. 象數와 義理의 조화를 지향하는 안정복의 『주역』에 대한 인식은 기본적으로 『주역』을 미래를 예측하는 점서로서의 기능과 함께 특정한 실천 상황에서 인간이 어떻게 행해야 할 것인가 하는 의리적 목표를 함께 통섭하는 의미를 가진다. 그리고 이러한 관점은 인간이 실현하고자 하는 보편적 의리와 함께 구체적이고 특수한 상황의 특성[吉凶]에 대한 객관적평가를 함께 중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처럼 상수와 의리를 조화와 균형의 시각에서 바라보는 안정복의 『주역』인식은 경세론이나 역사사상과 관련하여 특수한 시대적 상황에 대한 구체적 인식의 중요성과 같은 측면을 중시하는 것과 연결될 수 있다. 이것은 바로 안정복의 상수와 의리의 조화를 추구하는 『주역』에 대한 인식이 그의 경세론과 주체적 의리적 역사관에 철학적 토대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This thesis intended to examine a characteristic of Sun-am An Jeong-bok’s perception of the Book of Changes, who grasps the symbol-number and rational principle in equal and harmonious point of view. An Jeong-bok valued such as hexagram of relative linking [互體卦] and the theory of lines-change[爻變說] in favor of symbol-number, and attaches importance to the name of hexagram [卦名] and relative response between two lines with relate to rational and moral principle. However, a characteristic of An Jeong-bok’s understanding of the I Ching lied in the thought that the symbol-number is connected with the rational and moral principle organically, and the rational and moral principle relies on divination and the divination doesn’t deviate from rational and moral principle. His outlook as this is that he understands symbol-number and rational and moral principle in harmonious and equal point of view. An Jeong-bok manifested the support of rational and moral principle theory by valuing name of hexagram and interpreting sentences of hexagram and lines of the I Ching in accordance with relationship of the relative response between them, and viewing sentences of hexagram and lines in relation with moral practice. He interpreted sentences of hexagram and lines morally by discriminating a superior man from inferior one. On the other hand, he understood the I Ching according to the interpreting methodology of the symbol-number theory of the I Ching through perception of the mathematical principle which natural model and symbol of Hado-Lakseo exposes, and the interpreting example of sentences of hexagram and lines availed of hexagram of relative linking and comprehension of Commentary of Mixed Hexagram[雜卦傳] etc. Basically, An Jeong-bok’ perception of the I Ching, who aimed at a harmony between symbol-number and rational and moral principle, has the meaning that he integrates organically function of divination forecasting future and the moral act of man through it.

      • KCI등재

        주술과 『주역』 : 점서역(占筮易)과 의리역(義理易)의 통합적 이해의 역사

        이창일 (Changil Lee) 西江大學敎 人文科學硏究所 2008 서강인문논총 Vol.23 No.-

        이 글은 주술과 합리적 이성의 두 상반된 시각에서 파악된 『주역』이 동아시아의 사상적 맥락 속에서, 점서역과 의리역의 갈등으로 표현되어 왔다고 생각하고 있다. 『주역』의 역사는 점서역(占筮易)의 비합리적 인식이 합리적 인식으로 대체되기를 바라면서, 의리역(義理易)을 발전시켜 왔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주역』의 역사는 점서역과 의리역의 갈등을 통해서 부침을 겪어 왔지만, 최근 고고학적 발굴을 통해서 공자에 의한 의리역의 출현은, 실제 점서역과 의리역을 통합적으로 이해한 결과라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후인들은 두 역 해석의 경향을 대립적으로 파악했기 때문에, 『주역』의 전체적 의미를 해명할 수 없었다. 이후 주자에 의해 다시 통합의 계기가 마련되고, 그 결과 역리(易理)의 수립이 이어졌다. 역리의 의미는 우주의 선험적 질서 혹은 우주의 예비된 선험적 이념이 역의 괘상과 역사(易詞) 속에 담겨져 있으며, 이것을 이해하는 것은 자연의 질서뿐 아닌 인간의 우주적 의미 곧 덕의 실현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후인들은 점서역과 의리역의 대립을 조장하기 시작하였다. 그 결과 『주역』은 부분적으로 이해되었고, 근대적 세계의 압도적인 영향 속에서 주술의 지위로 전락하게 되었다. 그러나 점서역은 의리역으로 대체되어 사라진 것이 아니라, 『주역』의 역사에서 『주역』의 창조적 해석의 순간은 점서역과 의리역을 통합시키면서 가능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계몽주의 시기 서양으로 건너간 『주역』은 기호논리학의 탄생에 자극을 주었고, 그때 전해진 『주역』은 점서역과 의리역을 통합하기 위해 『주역』을 재해석한 성리학의 주역이었다. 결과적으로 이 역학은 서양에서 새로운 전기를 마련한 것이다. 이후 과학적 합리주의를 편향적으로 강조한 근대적 세계의 부분적·편파적 세계를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시도로, 융에 의에 『주역』은 다시 재해석된다. 이때 융은 동아시아인들이 공식적으로 회피했던 점서로서의 『주역』이 가진 사유방식을 적극 탐구하여, 그것의 의미가 근대 세계에서 결여되어 있는 부분이라는 것을 해명한다. 그리고 그 결과 근대 세계에 상보적인 측면 곧 인과율에 상응하는 또 하나의 보편적인 원리인 동시성원리를 제창하게 된다. 『주역』의 역사 속에서 이것은 점서역과 의리역의 통합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점서역과 의리역의 통합이란 인간의 합리적 사유방식과 합리적이지 않은 사유방식의 통합이다. 『주역』의 역사에서 볼 수 있듯이, 창조의 한 계기는 합리 속에 동거하고 있는 비합리적 요인을 배타적 대립으로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두 계기를 통합하면서 성취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This article has a standpoint that I Ching which have understood in contraction with each other finds expression in the conflicts between the divinatory oracle I Ching and the philosophical I Ching at the historical context In East Asia. The history of I Ching has shown the gradual developments of philosophical I Ching, expecting the irrational understanding on the divinatory oracle I Ching to be replaced with rational one. Recently archeological excavations evidenced that there were close connections between Confucius and the divinatory oracle I Ching. This might result from which integrated the divinatory oracle I Ching and the philosophical I Ching. For descendants, however, understood these two tendencies of interpretation with very contradictory, I Ching could not be understood wholly. Since then, two interpretations of I Ching were wholly were unified by Zhu Xi, and the philosophical principle of I Ching was established by him. The principle means that there is a priori meaning in the universe, and already prepared idea in the universe has been existence. And also a priori meaning can be found out through the hexagrams, and if catch the meaning, human can realize his own virtue. Unfortunately, descendants misunderstood Zhu Xi’s philosophical messages, and merely have promoted the old conflicts. I Ching continued to understand partly and partially, and during the modernization period, western rationalism made I Ching mere occult arts or manuals. The divinatory oracle I ching, however, was replaced with the philosophical I Ching, but did not disappeared. The integrative understanding on both aspects of I Ching interpretation have offered the opportunities of creative interpretation to I Ching. At Enlightenment, I Ching motivated the symbolic logic. At that time, that I Ching was Zhu Xi’s and integrative I Ching. After modern times, recent times, Jung tried to overcome the scientific world view, which partly and partially emphasized on scientific rationalism. Jung reinterpreted I Ching as occult art or text , and proposed that I Ching is another principle correspondence to causality in the whole universe. In the history of I Ching, this may be a kind of integrative understanding on the divinatory oracle I Ching and the philosophical I Ching. The integration of divinatory oracle and philosophical I Ching is equal to the integration of rational and irrational thinking in human being. Like I Ching history, opportunity of creation does not exclude irrational factors from rational factors, rather have to integrate each other to accomplish whole understanding on I Ching or universe. Ignoring another function of I Ching as occult art, I Ching may lose life force and become meaningless. Likewise do human being.

      • KCI등재후보

        한국인의 대인관계에서의 기본도덕으로서의 의리분석:한국인에게 진정한 친구는 의리있는 친구인가

        김기범,김미희,최상진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02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8 No.1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Urie(義理; interpersonal morality) in Korea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terms of qualitative approach and quantitative approach. In study 1, the authors developed an open-ended questionnaire focused on Urie behavior and not Urie behavior. The results revealed that helping, trusting, and caring behaviors and historicality were the key elements of Urie relationships. On the other hand, selfish and distrusting behaviors disrupted Urie relationships. In study 2, the authors conducted video experiment in order to study how the subjects interpret and understand Urie phenomenon. This video stimulus composed of love and friendship. The main characters showed their conflicts between love and friendship. Thus, subjects were asked to answer their interpretations and understandings about what was going on according to the scene. In study 3, we made three kinds of scenarios which were constituted in conflict situation between close friends who works together at their own company. If one asks some favors to you against social justice, how do you do? Most subjects evaluated the whistle blowing behavior as moral and just. However, they evaluated the insider as not good friend. They evaluated one who did favor even though that behavior was socially unjust as good friend and having Urie. Consequently, Korean people emphasize on their human relationships in everyday life. Urie relationship is built in close and Cheong relationship. 본 연구는 한국인들의 의리의식에 관한 것으로, 친밀한 대인관계 즉 우리성․정 관계에서의 의리행동 및 의리의식에 관해 개방형 질문지를 통한 질적인 접근 방법(연구 1)과 비디오(연구 2) 및 시나리오를 통한 실험(연구 3) 등의 양적 연구를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1차 연구에서는 의리있는 행동 및 의리없는 행동을 대비시켜 의리의 중요성을 조사하였고, 2차 연구에서는 두 친구간의 의리를 주제로 한 비디오를 보면서 의리행동에 관한 이해 및 공유된 의식 체계를 분석하였다. 이 비디오를 통한 실험은 피험자들이 자극으로 사용된 비디오를 보고 설명하는 방식과 이해하는 방식이 일반인들이 생각하고 이해하는 방식과 동일하다는 분석 방법에 따른 것이다. 마지막으로 3차 연구에서는 의리와 정의가 상충되는 상황을 시나리오를 통해 조작하여, 한국인들이 사회적 정의보다는 사(私)적인 정의이자 도덕인 의리를 더 중요시하는 가를 알아보았다. 연구 1, 2를 분석해 본 결과, 한국인들은 서로를 믿고, 어려울 때 도와주며, 아껴주는 마음을 보일 때 그리고 오랜 시간을 함께 보냈을 때 의리가 있는 것으로 생각하는 반면, 서로의 믿음을 저버리고 이기적일 때 의리가 없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친구간에 어떠한 행동이 의리를 지키는 행동이고, 친구간에 의리를 지켜야하는 당위성 및 행위양식에 대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3의 결과, 피험자들은 비록 사회적으로 정의롭진 않지만 친구와의 의리를 지키는 사람이 친구로서 바람직한 것으로 평가하였고, 의리를 지키는 것이 친구간에 관계를 유지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