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불교와 사회과학 연구 성과와 과제:지난 40년 동안을 중심으로

        이재수 한국불교학회 2013 韓國佛敎學 Vol.6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cademic performancesof encounter between Buddhism and social science for the past 40 yearsand to present research tasks. Because the areas of social science arevarious and complicated and it is difficult to cope with all the fields,the author restricted the areas to politics, economics, society,administration, and culture-related ones that are the centers of thescience. The basic research of Buddhism and social science began from the“View of State and Political Ideas of Buddhism,” a study that wasconducted to commemorate the 10th anniversary of the foundation ofthe Korea Buddhist Research Institute in Dongguk University in 1973. During 1980s and 1990s, where bases of studying Buddhism andsocial science were built,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Buddhist Studies published the Jeong Tae-Hyeok’s study, followed bythe study of social science from the Buddhist aspect by Kim Jin-Yeol,Park Gyeong-Jun, and Cha Cha-Seok and then the first study oftheoretical foundation of Buddhist sociology. Yu Seung-Mu attemptedto construct theories of Buddhist sociology from the aspects of socialscience. Studying Buddhism and social science can have twomethodologies: an approach to social science from the Buddhist basisand an approach to Buddhism from the basis of social science. Thefusion between the two measures may be most desirable. Also, social roles and tasks of Buddhism were identified via the processes anddiscussions of reform movements and Buddhism for the masses as theBuddhist social movements. Among the 877 reports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for Buddhist Studies, the ones related to history of Buddhist thoughtswere 447, or 51%, followed by the ones related to Buddhist history(216, 24.6%) and the ones related to applied Buddhism (214, 24.4%). In particular, consistent efforts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BuddhistStudies may sufficiently contribute to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growth of studies related to applied Buddhism since 2000. As for the diversified progresses and developments of Buddhismand social science since 2000, the author restricted the fields toBuddhist sociology and political science, Buddhist economics andbusiness administration, Buddhist science of public administration,Buddhist ecology, and the fields related to culture, in order tounderstand the performance and flow of the studies settled in theacademic system (universities and associations). In this paper, the outcome of studies of Buddhism and socialscience may include Buddhist responses and searching answers formodern social problems from the theoretical bases and discussions inthe fields of various academic fields and fostering majors in appliedBuddhism who take lead in the studies in the future. Forums forexpanding the outcome of studies related to applied Buddhism wereestablished in associations and organizations, width of relative studieswas extended, and applied Buddhism may have taken the initiative inpresenting Buddhist responses and theories about the themes of variousdiscussions demanded from the situations of the times for Buddhism. Further tasks may include expansion of research into more variousfields, settlement of research methodology, and fusion betweenBuddhist aspects and bases of social science. In this paper the authorpresented necessity of consistent efforts and interdisciplinary research on modernization and socialization of Buddhism. Applied Buddhism via the encounter between Buddhism and socialscience may be settled as the true Buddhist studies of the times andserve as the future of Buddhism. 본 논의는 지난 40년 동안 불교학과 사회과학의 만남이라는 학문적 성과를 소개하고, 연구의 과제를 도출해보고자 한 것이다. 사회과학의 분야는 다양하고 복잡하여 모든 분야를 포괄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그 중심이 되는 정치, 경제, 사회, 행정, 문화 관련 분야만 한정하였다. 불교와 사회과학의 기본적인 연구는 1973년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소의 개설 10주년 특집 ‘불교의 국가관 및 정치사상 연구’를 통해서 서막을 열게 되었다. 불교와 사회과학 연구의 토대 구축기인 1980-90년대 정태혁의 논의를 시작으로 불교학적 입장에서 사회과학을 연구한 김진열, 박경준, 차차석 등의 논의와 불교사회학의 이론적 정초의 연구 성과가 한국불교학을 동해 발표되었다. 유승무는 사회과학적 입장에서 불교사회학의 이론구축을 시도하였다. 불교와 사회과학 연구는 불교학적 토대에서 사회과학을 접근하는 시각과 사회과학적인 토대에서 불교로 접근하는 두 방식이 있는데, 가장 바람직한 것은 이 양자의 중도적 융합이라고 본다. 또한 불교계 사회운동인 개혁운동, 민중불교운동의 과정과 논의를 통해 불교의 사회적 역할과 과제를 정리하였다. 『한국불교학』 수록 논문 877편 가운데 불교교학 관련 논문은 447편으로 전체 51%이고, 불교사학 관련 논문은 216편으로 24.6%, 응용불교 관련 논문은 214편으로 24.4%에 해당된다. 특히 2000년 이후로 응용불교 관련 연구의 양적 질적 성장은 한국불교학회의 지속적인 노력에 힘입었다고 할 수 있다. 2000년 이후 불교와 사회과학의 다양한 발전과 전개는 제도권(학교 및 학회)에 학문적으로 뿌리내린 성과와 흐름을 보기 위하여 불교사회학․정치학, 불교경제학․경영학, 불교행정학 및 문화관련 분야에 한정하여 살펴보았다. 본 논의를 통해 불교와 사회과학 분야의 연구의 성과를 정리하면, 다양한 학문의 분야에서 이론적인 토대와 논의의 성과가 현대 사회문제와 불교적 대응과 해답 찾기를 이끌었으며, 이를 주도할 응용불교학 관련 전공자를 양성할 수 있게 되었다. 학회 및 단체에 응용불교학 관련 연구 성과를 확산할 수 있는 장이 마련되었고, 관련 연구의 폭이 확장되었으며, 그동안 응용불교학은 시대적인 상황이 불교계에 요구한 다양한 논의의 주제들에 대한 불교적 대응과 이론의 생산 등에 앞장서 왔다고 보았다. 향후의 과제로는 보다 다양한 분야로 연구영역이 확장되고 연구방법론이 정착되어야 하며, 불교적 입장과 사회과학적 토대를 중도적으로 융합해야 한다. 불교의 현대화 사회화에 대한 지속적인 노력 및 학제간 연구가 필요함 등을 제시하였다. 불교와 사회과학의 만남을 통한 응용불교학은 이 시대 진정한 불교학으로 자리 잡게 되고, 불교학의 미래가 될 것이다.

      • 한국 불교학계와 동국대 불교학과: 시대적 고찰과 분석

        김한상 ( Han-sang Kim ) 한국불교사연구소 2016 문학/사학/철학 Vol.45 No.-

        본 논문은 한국 불교학계에 대한 동국대 불교학과의 기여를 시대적으로 고찰하고 분석한다. 동국대 불교학과는 한국 불교학의 초창기부터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해왔다. 한국 불교학은 통일신라 전성기 때에는 의상(義湘)과 원효(元曉) 등의 활약에서 잘 드러나듯이 동아시아 불교학을 선도하는 위치에 있었으나 그 뒤로는 수행을 중시하는 선종(禪宗)의 득세와 조선시대의 숭유억불정책(崇儒抑佛政策) 등으로 날로 쇠퇴하여 왔다. 그러나 1906년에 동국대학교의 전신인 명진학교의 개교와 1916년 불교중앙학림으로의 교명 변경 때부터 현대적 학문으로서의 불교학이 시작되었다. 1930년 중앙불교전문학교로 승격되면서 주로 일본의 불교학 방법론이 도입되기 시작하였다. 해방 후 동국대학교 불교학과를 중심으로 한 불교학은 1964년 불교문화연구소에서 『불교학보』를 창간하면서 본격화되었으며, 1973년 한국불교학회가 창립되면서 불교학은 전국의 다른 대학들에서도 대중화되기 시작했다. 그 연구의 영역도 전통적인 교학과 사학 중심에서 인접학문과의 학제적 연구와 응용실천학 분야로 광범위하게 확장되기 시작하였다. 2002년 국제불교문화사상사학회(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Buddhist Thought and Culture, IABTC)는 불교문화와 사상에 관한 광범위한 이론의 연구를 통하여 한국 불교학의 세계화를 목표로 창립되었다. 이는 동국대 불교학과가 여전히 한국 불교학을 선도하는 위치에 있다는 점을 방증한다. 지금과 같은 한국 불교학의 양적인 팽창과 질적인 다변화는 동국대 불교학과가 없었다면 거의 불가능해도 좋을 만큼, 동국대 불교학과는 한국 불교학의 태동기부터 지금의 황금기에 이르기까지 주도적 역할을 담당해왔다. 한편 이러한 한국 불교학의 황금기는 이제 동국대 불교학과에게 도약과 자기쇄신을 위한 새로운 도전이 되고 있다. The present paper chronologically surveys and analyzes the contribution of Department of Buddhist Studies of Dongguk University to Korean Buddhist Studies. Department of Buddhist Studies of Dongguk University has been played an important role from the outset of Korean Buddhist Studies. Korean Buddhist Studies was in a position to leads Buddhist Studies in East Asia during the Unified Silla Dynasty, as was shown by activities of Uisang (義湘) and Wonhyo (元曉), but it declined until the beginning of nineteen century because of the popularization of Son chong (禪宗) and the suppression of Buddhism under the Choson dynasty. However, Buddhist Studies has restarted by the time of establishing Myeongjin School (明進學校) in 1906 and Jungang Buddhist School (中央佛敎學林) in 1916. Japanese Methodology of Buddhist Studies was generally introduced to Korean Buddhist Studies since the School raised to Jungang Buddhist College (中央佛敎專門學校) in 1930. After Korea``sindependent from Japan, Buddhist Studies was mainly conducted by Department of Buddhist Studies. Korean Buddhist Studies was officially initiated when Journal of 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佛敎學報) was firstly published by 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佛敎文化硏究院) in 1964. Buddhist Scholarship has been popular in other Universities across the country since the establishment of Korean Association for Buddhist Studies (韓國佛敎學會) in 1973. Its area has been extended from philosophical studies and historical studies into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Applied sciences.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Buddhist Thought and Culture (IABTC) was established in 2002 to promote the globalization of Korean Buddhist studies by encouraging comprehensive research of Buddhist thought and culture. This shows that Department of Buddhist Studies of Dongguk University still leads Korean Buddhist Studies. Such quantitative expansion and qualitative diversification of Korean Buddhist Studies could not be possible without Department of Buddhist Studies of Dongguk University. In this way, Department of Buddhist Studies of Dongguk University has been played an prominent role throughout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t Studies. This golden age of Korean Buddhist Studies is a new challenge for taking-off and self-renovation for Department of Buddhist Studies of Dongguk University.

      • KCI등재

        佛敎學報(불교학보)를 통해 본 한국불교연구의 동향

        이기운(Ki Woon Lee),조기룡(Ki Ryong Cho),윤기엽(Ki Yeop Yoo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2 佛敎學報 Vol.0 No.63

        『불교학보』는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에서 발간하는 불교학 전문 학술지로서, 불교교학 불교사 불교문화 전반에 관한 논문을 게재하고 있다. 이 논문집은 1962년 창설된 불교문화연구소에서 이듬해 창간호를 시작으로 2012년 12월 현재 50년 동안 63집을 발간하고 있다. 불교계에 이렇다 할 학술논문집이 없었을 때, 불교계 최초로 창간되어 그동안 불교학자들의 학문적 업적을 발표하는 대변자로서 역할을 충실히 해왔으며, 한국 불교학의 흐름을 보여주고 새로운 학문적 방향을 제시하는 선구 논문집으로서 소임을 다해왔다. 이제 연구원 개원 50주년 63집을 발간하면서, 그동안의 연구성과를 회고하고 불교학보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새로운 50년 불교학보의 나아갈 길을 전망하고자 이 글은 기획되었다. 그동안 불교학보게재논문의 동향을 보면, 다음의 몇가지로 정리 할 수 있다. 첫째, 한국불교의 각성을 통하여 한국불교의 정체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이다. 게재 논문들은 한국불교의 각성을 통하여 교학사상과 불교사, 불교신앙과 문화에 있어서, 한국불교의 주체성을 밝히고자 노력하였다는 것이다. 둘째, 교학연구의 탈근대화를 이끌었다는 것이다. 동국대학교가 세워지면서 불교계에는 비로소 현대적 불교교육이 실시되어 불교학자들이 배출되었다. 이들을 중심으로 한 현대적 불교학의 성과들은 『불교학보』를 통하여 학계에 소개되면서 현대적 불교학으로서 학문경향이 학계에서 자리잡는데 선도적 역할을 하게 되었다. 셋째, 종파의 탐구와 禪學의 연구가 깊이 있게 이루어지면서 근본불교부터 대승불교에 이르는 교파의 교학사상을 바로 밝히려는 노력과 선학의 체계적 연구가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넷째, 고자료의 발굴을 통하여 한국 불교학 학문적 발전에 기여했다는 점이다. 다섯째, 전통적인 불교학 외에 현대과학과 의학 예술과 관련된 다양한 응용 불교학이 소개되었다. 다음은 앞으로 『불교학보』가 나아갈 길에 대해서는 한국불교학의 정체성을 바로 세우고 미래불교의 비젼을 다음 몇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는 1960년대 이후 2000년대에 이르는 동안 한국 불교학의 硏究推移를 통해서 한국 불교학의 정체성을 이어가고, 한국 불교학의 학문적 토대를 마련해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는 앞으로 전통 불교학을 기반으로 응용 불교학을 더욱 진흥시키는데 초석이 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셋째는 불교학계의 권위지로서의 위상을 유지 발전시키고, 우수한 신진학자의 학문적 성과를 발표하는 등용문의 역할을 다해야 한다는 것이다. 끝으로 이와 같은 『불교학보』의 방향설정을 통하여, 우리논문집은 국내저명학술 지로서 만족하지 않고 불교학계의 국제저명학술지로 지향점을 두어 한국 불교학을 국제 불교학계에 널리 알리는 데에도 게을리 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The Bulgyohakbo(Journal for the Buddhist Studies; 佛敎學報) is a professional academic journal issued by the 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at Dongguk University, and it is publishing treatises in general on Buddhist doctrinal studies, the history of Buddhism, and Buddhist culture. Beginning with the first issue in 1963 after the foundation of the 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in 1962, it has published 63 treatise collections as of Dec. 2012 for 50 years. When there were no treatise collections to speak of, it started its publication for the first time in the Buddhist community. Since publishing its first issue, it has faithfully played a role of a spokesperson presenting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Buddhist scholars, and it has filled its role of a pioneering collection of treatises showing the flow of the Korean Buddhist Research and proposing new directions for the Buddhist research. While we publish the 63rd treatise collection in commemoration of 50th Anniversary of the institute, this writing was planned in order to look back on its academic achievements, ascertain its identity, and to put its course during its new 50 years into perspective. If we get a full review of the treatises which was published in the Bulgyohakbo, tha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reatises published in the magazine confirmed the identity of Korean Buddhism through disillusion toward Korean Buddhism. This means that they tried to clarify the independence of Korean Buddhism in respect of Buddhist philosophy, the history of Buddhism, Buddhist faith, and Buddhist culture through reopening their eyes to Korean Buddhism. Secondly, they led the modernization of Buddhist doctrinal studies. After Dongguk University was founded, modern Buddhist education was conducted in the Buddhist community, and Buddhist scholars began to be turned out. Their achievements in the field of modern Buddhist research were introduced to the academic world through the Bulgyohakbo, so that this magazine came to play a leading role in establishing an academic trend as modern Buddhist research in the academic circles. Thirdly, as research on Buddhist orders and Seon studies was done in depth, the efforts to correctly illuminate the doctrinal philosophies of all denominations from the fundamental Buddhism to Mahayana Buddhism were made, and a systematic research on Seon studies was done. Fourthly, the excavation of old materials contributed to the academic development of Korean Buddhist research. Fifthly, diverse applied Buddhist studies in relation to modern science, medicine, and art besides the traditional Buddhist research have been introduced. Next, regarding the course this Bulgyohakbo should take, as far as the task to set the identity of Korean Buddhist studies right and the vision of the future Buddhism First,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progress of Korean Buddhist research from 1960s to 2000s, it should keep the identity of Korean Buddhism, and it should prepare the academic foundation of Korean Buddhist studies. Secondly, it should become the cornerstone of the promotion of applied Buddhist research on the basis of the traditional Buddhist research. Thirdly, it should maintain and develop the status of an authoritative journal in the Buddhist academic circles, and it should fulfill the role of the gateway to the publication of the academic achievements by excellent rising scholars. Finally, through establishing these directions for the Bulgyohakbo, our collection of treatises should aspire toward a well-known international academic journal, never satisfied with the status of a famous Korean academic journal, so that it should show no neglect of promulgating Korean Buddhist studies to the international Buddhist community.

      • KCI등재

        한국의 불교생태학 연구 동향

        박경준(Park, Kyoung-Joon)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1 철학사상 Vol.41 No.-

        약 60여 년 전부터 지구의 환경 위기에 대해 많은 지식인들이 경종을 울려 왔다. 하지만 환경오염과 생태계 파괴가 심화되는 가운데 우리나라에서도 환경과 생태에 관한 학문적 연구가 활발해졌다. 우리나라 불교학계에서도 1980년대 이후 불교의 연기사상과 생명존중사상을 바탕으로 생태문제에 대한 논의와 연구가 산발적으로 이루어진다. 그것은 주로 응용 불교학의 한 분야로서의 ‘불교생태학’에 관한 것이지만, 융합학문 또는 학제적 연구로서의 ‘불교생태학’에 관한 것도 포함된다. 한국 불교계에서 환경과 생태 및 생명에 관련된 본격적인 연구는 ‘에코포럼’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에코포럼은 불교와 생태학을 비롯한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학제적 접근을 통해 생태와 환경문제를 집중적으로 논의하고 실질적인 해법을 모색하기 위해 2004년 10월 창립되었다. 불교생태학 관련 단독 저술도 몇몇 출간되었다. 그 가운데 김종욱의『불교생태철학』(2004)과 서재영의 『선의 생태철학』(2007)은 불교생태학의 기본 이론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지금까지 한국에서 불교생태학은 ‘생태 변증론’이 중심이었지만, 앞으로는 우리가 어떤 태도와 행동으로 뭇 생명과 자연물에 다가갈 것인가 하는 실천론에 대해서도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Regarding the Earth’s environmental crisis, many intellectuals have warned about the serious consequences of the destruction of worldwide ecosystems. However, in the midst of continued environmental pollution and ecosystem degradation, academic research on ecology has actively increased. Since the 1980s, within Buddhist academia in Korea, ecological discussions and research on the basis of Dependent Origination theory and life-respecting thought have been sporadically made. They have been primarily concerned with Buddhist ecology in the field of applied Buddhist studies, but Buddhist ecology in interdisciplinary and fusion studies hs also been paid attention. A full-fledged Buddhist environment, ecology, and life research in Korea started with the foundation of the Eco-Forum. The Eco-Forum was established in October 2004, in diverse disciplines including Buddhism and ecology through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focus on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issues with the aim of seeking practical solutions. Some Buddhist writings have been published exclusively for ecological purposes. Among them, The Eco-philosophy of Buddhism (2004) by Jonguk Kim and The Eco-philosophy of Seon (2007) by Jaeyoung Seo have provided the basic theory. Until now, Buddhist eco-apologetics has played a key role in Buddhist ecology. However, it is expected that a practical aim of Buddhist ecology is to get closer to all sentient beings and natural objects. This concept will be researched systematically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불교문화콘텐츠학의 연구방향과 교육방법 고찰

        이재수(LEE, Jae-Soo)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구 한신인문학연구소) 2013 종교문화연구 Vol.- No.20

        본 논의는 불교문화콘텐츠의 학문적 체계 정립을 위한 문제와 그 교육체제 및 방향성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불교문화콘텐츠학이 성립하기 위한 이론적인 토대와 그 방향성 정립을 시도하고자 한다. 즉 불교문화콘텐츠학은 응용불교학의 한 분야로, 또는 종교문화콘텐츠의 하위 분야로 자리를 잡을 때 불교문화콘텐츠학의 위치와 교육 목표는 종교성에 기반을 두고 출발할 것이지만, 문화콘텐츠학의 분과학문이 될 때는 문화콘텐츠가 지니는 공공성과 대중성의 기반 위에서 보편성을 향해 나아가야 한다. 불교가 지닌 문화콘텐츠와 관련된 문화적 배경과 내부역량의 잠재력은 무궁무진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교문화콘텐츠의 학문적 역량을 성숙시키고, 대중적 확산과 이를 구체적으로 진흥하고 체계적인 활용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중심축과 디지털 콘텐츠 생태계 조성이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 논자는 불교문화콘텐츠 교육과정의 기본적인 틀을 다양한 불교문화의 분야별 이해와 문화콘텐츠 장르별 결합을 통합 복합적 이해가 필요하다고 본다. 불교문화콘텐츠 교육과정 및 체계보다도 더 중요한 것은 불교문화콘텐츠 관련 인재들의 교육과 실습 등을 통해 현장 중심의 교육과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인재양성의 시스템 구축이 선행이다. 본 논의가 앞으로 불교문화콘텐츠학의 학문적 정립과 교육 시스템과 교육방법 등의 진전된 논의를 이끌어 내는데 이바지하길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ssues with establishing an academic system for Buddhist Cultural Contents and further its educational system and directionality. For that purpose, the investigator tried to build a theoretical foundation and directionality for the emergence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studies. If Buddhist Cultural Contents studies were established as an area of applied Buddhist studies or a subarea of religious Cultural Contents, its position and educational goals should be based on religious nature. If it were established as a segment of Cultural Contents studies, it should be based on the publicness and popularity of Cultural Contents and move toward universality. The cultural backgrounds related to the Cultural Contents of Buddhism and its internal capability have infinite potential. It is time to build a central axis and a digital content ecosystem to mature the academic capabilities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expand it among the public, promote it specifically, and utilize it in a systematic manner. The investigator believes that the basic framework for a Buddhist Cultural Contents curriculum should b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various areas of Buddhist culture and the complex understanding of many different genres of Cultural Contents. What is more important than a Buddhist Cultural Contents curriculum and system is a system of producing talents to lead the field-based education and market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through education and practice. The study will hopefully make a contribution to true discussions about the academic establishment and educational systems and methods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studies.

      • KCI등재

        종무행정학의 정체성(identity) 규명

        조기룡 대각사상연구원 2002 大覺思想 Vol.5 No.-

        So far, studies on the administration of the Buddhist Order have focused on analyzing the phenomena and searching for problems and solutions. This type of study was insufficient to raise the study of the administration of the Buddhist Order to the level of a science. This presentation will discuss the identity of the study of the administration of the Buddhist Order so that it can take shape as a scientific study. Rather than discuss the phenomena of the administration, I will focus on its characteristics as a science. Before we go on any further, I should define the term I am using. I will comprehensively define the study of the administration of the Buddhist Order since 1960 as "a science that serves the organization that learns and follows the teachings of Buddha." In order to discuss the identity of the study of the administration of the Buddhist Order, we need to define the nature of this scientific study and its objectives. I will first look at the nature of this study and then talk about its objectives. First, the study of the administration of the Buddhist Order belongs to applied Buddhist studies. The study of Buddhism as a science can be classified into pure Buddhist studies and applied Buddhist studies. The study of the administration of the Buddhist Order is a branch of applied Buddhist studies. Second, the study of the administration of the Buddhist Order belongs to private administration. Administration can be classified into public administration and private administration. The subject of the study of the administration of the Buddhist Order is the administration of a religious order, which is a nongovernmental organization, so it is a branch of private administration. However, unlike other kinds of private administration, which are based on the logic of market economy, the administration of the Buddhist Order has normative characteristics. The study of the administration of the Buddhist Order as a private administration must take this into consideration. Third, the study of the administration of the Buddhist Order is an interdisciplinary study. It is a scientific study that combines adminstration with Buddhism, and inherits the scientific method of the study of administration and Buddhist studies. Then, what is the objective that needs to be pursued for the study of the administration of the Buddhist Order to become a scientific study? First of all, the tools of analysis should be expanded. The subject of the study of the administration of the Buddhist Order is the administration of the Buddhist Order, and as for the fools of analysis, both Buddhist Studies and Public Administration are needed. In other words, the study of the Administration of the Buddhist Order is "a field of study that uses Public Administration and Buddhist Studies to research the phenomena occurring in the Buddhist Order." Of course, this is a concocted definition. Next, we need to differentiate the study of the administration of the Buddhist Order from the study of general administration. Ancient countries existed for the monarch or the emperor, and modern countries are said to exist for the people; administration exists to serve this purpose. However, in the Buddhist Order, anyone who believes in Buddhism has a priority over the monarch or the people. The administration of the Buddhist Order serves so that a person who believes in Buddhism can experience spiritual awakening, and this is the subject of the study of the administration of the Buddhist Order. Finally, pure Buddhist studies and the study of the administration of the Buddhist Order should coexist. The distinction between pure Buddhist studies and applied Buddhist studies was not made artificially but is purely a historical phenomena. There is no saying what is right and what is wrong. Each age has its own Buddhist studies, and in this age, this is how we define Buddhist studies. Therefore, when we talk about Korean Buddhist studies, it is proper to include all kinds of Buddhist studies without asking whether it is from the old days or belongs to a recent field of study. It will be enough to point out that traditional studies and modern studies each have its own characteristics. I hope this presentation will be of some use in fostering the development of a scientific study of the administration of the Buddhist Order.

      • KCI등재

        불교 교육학 연구의 과제와 전망

        고진호 한국종교교육학회 2006 宗敎敎育學硏究 Vol.22 No.-

        이 글은 불교교육학의 정체성 논의에 입각해서 불교교육학 연구의 지향점을 살펴보고 과제와 전망을 탐색하는 목적이 있다. 먼저 이 글에서는 불교교육학 연구의 과제와 전망은 궁극적으로 불교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의 기반위에서 언급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따라서 불교교육학의 정체성의 문제를 학문적(연구의) 특수성과 보편성의 관점에서 다루어 나가고자 하였다. 불교교육학의 학문적(연구의) 특수성은 불교교육학 연구가 여타의 교육학 하위연구 분야와 차별성과 독자성을 갖는 측면으로서, 불교가 그 중핵적 기반을 형성한다고 보았다. 반면에서 학문적(연구의) 보편성은 불교교육학 연구가 일반교육학적 인식범주에서 인정되고 이해될 수 있는 측면에서 언급되었다. 이 글에서는 보편성과 특수성의 관계를 불교교육학이 학문적(연구의)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있어서 대립적 요소가 아닌 균형과 조화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내재하고 있는 것으로 보았다. 불교교육학의 연구지향점은 이러한 학문적(연구의)정체성의 기반위에서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이 글에서는 불교 교육학의 연구지향점을 연구주제와 내용의 측면과 연구체제와 방법론 이라고 하는 두 가지 측면에서 다루어나가고자 하였다. 불교교육학 연구의 지향점의 두 측면에 대한 논의에 있어서도 보편성과 특수성의 문제를 중요한 화두로 하여 논의를 진행시키고자 하였다. 이 글에서는 학문적(연구의) 보편성과 특수성의 문제의 조화가 불교교육학 연구의 발전을 기할 수 있는 핵심요소로 보고, 이러한 토대위에서 불교교육학 연구의 과제와 전망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