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음운현상과 문법 정보의 관계

        변용우(Byeon, Yong Woo) 동악어문학회 2016 동악어문학 Vol.66 No.-

        이 글은 국어 음운현상에 관계하는 문법 정보의 역할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음운현상과 문법 정보의 관계를 규명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그간 국어음운론에서는 문법 정보를 음운현상의 구조 조건의 하나로 간주하여 기술하는 방식을 취하거나, 어휘부를 포함한 문법부 안에 음운 규칙이 적용되는 기술 모형을 세워왔다. 어떤 관점에서 보더라도 음운현상에서 문법 정보의 역할이 드러나는 것은 아니어서 이를 바탕으로 개별 음운현상의 성격을 규정하는 것은 언어 현상의 본질을 담는 것이라고 보기 어려웠다. 본 연구는 음운현상과 문법 정보가 갖는 관계를 언어 형식과 의미가 갖는 관계와 같다고 보았다. 언어 형식은 독자적인 영역을 갖지만 그것이 의미와 결합되어 결속 관계를 갖게 되면 형식의 상호작용은 의미의 지배를 받게 되는 것이다. 의미가 형식에 대해 갖는 지배 관계는 문법 정보로 나타나 음운현상을 지배하게 된다. 문법 정보가 음운현상을 지배하는 방식은 음운현상의 발생을 허용하거나 억제하는 방식과 음운현상의 발생을 유인하는 방식 두 가지로 보았다. 문법 정보에 따라 음운현상을 지배하는 방식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은 문법 정보가 갖는 속성의 차이에 있다. 문법 정보 속성은 형태소 속성과 문법 구성 속성으로 구분된다. 일정한 구조 조건을 갖는 음운현상이 관계하는 문법 정보에 따라 발생의 편차를 보이는 것은 음운현상이 문법 정보를 취사선택하여 생긴 것이 아니라 문법 정보의 속성에 따라 음운현상을 다르게 지배하였기 때문에 생긴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figure out relations between phonological phenomena and grammatical information after investigating the roles of the grammatical information relating to phonological phenomena in Korean. In Korean phonology, so far, grammatical information has been described as a part of the structural conditions of the phonological phenomena, or a descriptive model in which a phonological rule is applied to the grammatical components including lexicon has been set up. From either viewpoint, the role of grammatical information is not exposed in phonological phenomena. Therefore, it’s been hard to tell that the stipul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phonological phenomenon is to get the essence of language phenomena. In this study, it was regarded that the relations between phonological phenomena and grammatical information were the same with the relations between language form and meaning. The language form has its own domain. However, if it is mixed with meaning and forms a binding relation, the interaction of the form is governed by meaning. The governance structure between meaning and form is expressed as grammatical information and governs phonological phenomena. In terms of the governance of grammatical information over phonological phenomena, two patterns were found: permission or blocking of phonological phenomena; attraction of phonological phenomena. The difference in the governance pattern of phonological phenomena according to grammatical information lies in difference in the properties of grammatical information. These properties of grammatical information are classified into morpheme properties and grammatical structure properties. The variation of occurrence according to the grammatical information relating to the phonological phenomena with a particular structural condition takes place because phonological phenomena are differently governed by the properties of grammatical information, not the selection of grammatical information by the phonological phenomena.

      • KCI등재

        현대국어의 수의적 음운현상에 대한 연구

        엄태수 ( Aum Tae-su ) 국제어문학회 2014 국제어문 Vol.60 No.-

        이 연구의 목적은 지금까지 수의적 음운현상이라고 일컬어진 음운현상을 살펴보고 수의적 음운현상이라고 할 수 없는 것과 몇 가지 수의적 음운현상의 특징에 대해서 논의했다. 공시적 음운현상만을 수의적 음운현상의 대상으로 삼았다. 공시적 음운현상이라고 할 수 없는 어휘 내부의 음운변화에 의한 어휘들이나 방언 차이에 의한 어휘들도 배제했다. 사회언어학적 조건에 의한 어휘들이나 정서적 감정, 문체나 발화 속도 차이에 의한 어휘들도 수의적 음운현상에서 제외했다. 특히 2장에서는 수의적 음운현상으로 볼 수 없는 음운규칙을 대상으로 논의했다. 2장은 음운규칙의 소멸과 생성으로 인한 어휘들에 관한 문제가 논의되었다. 이에 대한 논의는 `ㄹ+ㄴ`구성에서의 `ㄹ` 탈락과 `ㄴ`의 유음화의 문제, `ㄴ+ㄹ`구성에서의 유음화와 비음화의 문제였다. 사라지는 규칙의 적용을 받는 어휘형과 새로운 규칙을 적용받는 어휘형은 서로 수의적 음운현상이라고 할 수 없다. 국어에서 공시적 규칙으로 수의적 음운현상으로 볼 수 있는 것은 `ㅎ`탈락과 위치동화이다. 둘 다 공시적인 결합 제약이 필수적인 규칙에 비해서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수의적으로 음운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현대의 이론으로는 이러한 수의적 현상을 형식화하기 힘든 것으로 파악된다.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clearly define the optional phonological phenomenon of Korean and examine its characteristics. The scope of the work is limited to the synchronic phonological phenomenon. Variants by internal phonological change of lexeme or dialects were, therefore, not considered. Variants depend on sociolinguistic conditions, emotions, style of writing, or difference in pace of speech deliverance are also excluded. The highlight of this work is Chapter 2, where the problem of variants caused by creation and extinction of phonological rules are addressed. In specific, this problem is regarding the deletion of `1` in `1+n` form and the liquidization of `n`, as well as the liquidization and nasalization in `n+1` form. Word forms that are either subject of disappearing rule or subject of newly created rule cannot be considered optional phonological phenomenon. The optional phonological phenomenon in Korean which can be considered synchronic is the deletion of `h` and place assimilation. Both cases seem to influence the rise of optional phonological phenomenon because their binding constraints are all weaker than that of essential rules. However, this kind of optional phonological phenomenon is difficult to be explained by existing works.

      • KCI등재

        구어의 음운현상 연구

        권경근 우리말학회 2011 우리말연구 Vol.28 No.-

        일상적인 구어에서는 문어 또는 규범적인 표현과는 다른 형태의 말이 흔히 사용된다. 음운현상에서도 이러한 변이형들이 자연스럽게 나타나 는데, 다양한 변이가 존재하는 가운데 다른 한편으로는 일정한 움직임이 나타나기도 한다. 또한 구어의 표현에는 발화 상황과 관련된 점들이 담겨 있거나 화자의 의사소통을 수월하게 하려는 시도가 들어 있기도 한다. 따 라서 이러한 구어의 음운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규범적인 틀에서 벗 어나 시각의 전환이 필요하다. 일상적인 구어의 음운현상의 연구는 네 하 위영역을 지닌다: 즉, 일상적인 구어에서의 음운현상 조사·기술·분류, 계층별 실태 차이 비교, 규범적인 음운현상과의 비교와 통합적 설명, 언 어 부문 사이의 인접현상. 규범적인 음운론과 비교해 볼 때, 일상적인 발 화에서는 음소체계와 음소목록의 차이, 조음위치동화를 비롯하여 다양한 줄 임과 첨가의 음운현상, 어휘적 장음보다는 표현적 장음의 사용, 화자의 감정 과 심리 상태에 따른 억양의 실현 등이 나타났다. 일상적인 구어의 음운현 상과 규범적인 음운현상의 통합적 설명이 동화현상을 사례로 시도되었는데, 여기에는 음절연결법칙, 조음제스처, 정체성 등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곡 용 및 활용의 단일화와 억양과 문형, 화자의 태도, 언표내적 행위와의 연관성 등 언어 부문 사이의 인접현상에 대한 사례도 제시되었다. 구어의 음운 현상의 연구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화자 계층과 텍스트에 따른 구어자료의 지속적인 구축이 필요하다.

      • KCI등재

        음운현상과 이론 - 비음운론적 정보의 처리를 중심으로 -

        권경근 우리말학회 2008 우리말연구 Vol.22 No.-

        비음운론적 조건을 지닌 음운현상은 예외로 다루어지거나 특 정한 음운이론 내에서 처리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는 다른 부문과 연 관지어 설명되었다. 이 글은 비음운론적 조건 또는 정보를 지닌 음운 현상이 지금까지 어떻게 다루어왔는지에 대한 개괄적인 소개를 하고,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비음운론적 조건을 지닌 음운현상은 크게 두 부류로 나누어진다. 비음운론적 조건이 음운부 이외의 부문 또는 그 하위 부문 전체와 연 관되어 음운현상이 나타나는 경우는 몇몇 어휘에 한정되어서 음운현 상이 일어난 경우와 구분된다. 이 글에서는 전자의 경우를 음운론과 다른 부문과의 상호작용이 일어난 인접현상(interface)으로 보고, 이러한 조건 및 제약을 각 부문별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즉, 비음운론적 조건에 따라 음운론과 형태론, 음운론과 통사론의 상호작용 및 유추 적 작용 등으로 나누어 고찰하고자 한다. 하지만 비음운론적 조건을 지닌 음운현상이 어떤 부류에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몇몇 어 휘에 나타나는 경우, 다른 부문과의 상호작용의 결과나 인접현상으로 파악하지는 않는다. 비음운론적 조건을 지닌 음운현상은 예외적인 현상이 아니라 음운 부와 다른 부문과의 상호작용이 일어난 인접현상으로 파악되고 통합 적인 언어활동의 결과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며, 앞으로 이러한 측면에서의 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 KCI등재

        한자어에서의 음운현상의 발생과 제약의 기제

        변용우 한국어문학회 2019 語文學 Vol.0 No.14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mechanism of the occurrence and constraints of phonological phenomena in Sino-Korean words by analyzing information which is involved in the occurrence and constraints. The structure information which is involved in the occurrence of the phonological phenomena in Sino-Korean words was described from the viewpoint of a morphological structure analysis of Korean grammar. However, this structure information had the problem which cannot provide consistency as the information on the occurrence of the phonological phenomena in Sino-Korean words. So we tried to analyze the structure information of Sino-Korean words that speakers recognize based on the occurrence patterns of the phonological phenomena and explain the mechanism of the occurrence of the phonological phenomena on the basis of it. For ‘n-r’ sequence used in Sino-Korean words, constrains occur because of an articulatory cause, but the method that the constraints are eliminated is subject to the structure information of Sino-Korean words, not the phonetic information. Lateralization is chosen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structure of Sino-Korean words with ‘n-r’ sequence is recognized as simple words by them or speakers. The change from ‘r’ to ‘n’ is chosen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structure of Sino-Korean words is recognized as the components are analyzed by complex words or speakers. And Glottalization of Coronal obstruent are applied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structure of Sino-Korean words with sequence of liquid and coronal obstruent is recognized as simple words or simple words. There are the cases of constraints in the occurrence because phonological phenomena are causative of Sino-Korean words. Enough discussions on the mechanism of constraints of Sino-Korean words in phonological phenomena have not been done until now. The Sino-Korean words participate by Korean grammar, but there are the cases that specific phonological phenomena could not be applied. Phonological phenomena could not be applied to Sino-Korean words not because they avoid applying the applicable phonological phenomena but because they are not closely related to neighboring elements morphologically and syntactically. Glottalization of nouns in Sino-Korean words is not applied behind ‘-eul’, an adnominal clausal ending. It's because glottalization was attracted in order to represent intimacy between adnominal forms and following nouns in the noun phrase composition. If the Sino-Korean words participate in the composition, there cannot be close relationships between preceding and adnominal forms. And the purpose of 'n'-insertion is to keep free morpheme of following elements in the composition of grammar. But 'n'-insertion does not occur in the Sino-Korean words that following words have a vowel ‘i’. 'n'-insertion is not applied not because the Sino-Korean words avoid the 'n'-insertion but because there is not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precedent elements and them when the Sino-Korean words with the vowel ‘i’ participate as following elements. 본 연구는 한자어에서 음운현상의 발생과 제약에 관여하는 정보를 분석하여 그 기제를 설명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한자어 음운현상이라 함은 한자어의 구조 정보가 관여하여 발생하는 것을 지칭하는데, 순수 음성적 조건에서 발생하는 음운현상은 한자어라는 범주를 따로 필요로 하지 않는다. 한자어에서 음운현상의 발생에 관여하는 구조 정보는 국어 문법의 관점에서 기술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 정보는 한자어 음운현상의 발생 정보로서 일관성을 갖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우리는 음운현상의 실현 양상을 바탕으로 화자가 인식하는 한자어 구조 정보를 해석하고 이를 근거로 음운현상의 발생 기제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한자어에 나타나는 ‘ㄴㄹ’ 연쇄는 조음적인 이유 때문에 제약이 발생하지만, 제약이 해소되는 방식은 음성 정보가 아니라 한자어 구조 정보의 지배를 받는다. ‘ㄴㄹ’ 연쇄를 가진 한자어 구조가 단일어나 화자에 의해 단일어로 인식되면 유음화가 선택되고, 한자어 구조가 복합어나 화자에 의해 구성 요소가 분석되어 인식되면 ‘ㄹ’의 ‘ㄴ’화가 선택된다. 또한 유음과 설정장애음의 연쇄를 가진 한자어 구조가 단일어나 단일어로 인식되는 조건에서는 설정장애음의 경음화가 적용된다. 음운현상에 한자어가 원인이 되어 발생에 제약을 입는 경우가 있다. 지금까지 음운현상에서 한자어 제약의 기제는 논의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했다. 한자어는 국어 문법 단위의 지위를 갖지만 특정 음운현상의 적용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그것은 한자어가 해당 음운현상의 적용을 기피해서가 아니라 형태ㆍ통사적으로 인근 요소와 긴밀한 관계를 갖지 못해 음운현상의 적용을 받지 못하는 것이다. 관형사형어미 ‘-ㄹ’ 뒤의 한자어 명사에 경음화가 적용되지 않는 것은 이 명사구 구성은 관형사형과 후행 명사의 긴밀성을 표시하기 위해 경음화를 유인하는데, 한자어가 후행 요소로 참여하면 선행 관형사형과의 관계가 긴밀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ㄴ’ 첨가는 문법 구성에서 후행 요소의 자립성을 보존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데 후행어가 모음 ‘i’를 가진 한자어에서는 ‘ㄴ’ 첨가가 일어나지 않는다. 한자어가 ‘ㄴ’ 첨가 현상을 기피한 것이 아니라 모음 ‘i’를 가진 한자어가 후행 요소로 참여하면 선행 요소와의 관계가 긴밀하지 못하기 때문에 ‘ㄴ’ 첨가가 적용되지 않는 것이다.

      • KCI등재

        숙달도와 거주 기간에 따른 베트남인 학습자의 발음 습득 양상 : 자음과 음운현상을 중심으로

        이혜정 이화어문학회 2015 이화어문논집 Vol.3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cquisition aspect of Korean pronunciation due to the period of stay and proficiency of Vietnamese learners. The correct communication premises exact pronunciation. First of all, the consonant system of Vietnamese and Korean were compared, and then phonological phenomena of Vietnamese and Korean were also compared. This content was written particularly considering about which part among Korean consonant and phonological phenomena Vietnamese learners may feel more difficult. Then the influence of staying period on acquisition of second language was searched. Consequently, the result shows that, for the aspect of consonant pronunciation, the most difficult pronunciation for vietnamese learners are alveolus fricative /ㅅ/, /ㅆ/ among all Korean consonants which are tripleopposition in experimental questions. And for the phonological phenomena, the error rate is high in all experimental phonological phenomena, particularly the phonological phenomena with highest error rate was nasalization, and the error rate of double final consonant is higher than that of single final consonant in liaison rule. And result shows that the proficiency exists as a variable in acquiring pronunciation. It also shows that staying period doesn’t exist as a variable. I could confirm, through this study, the consonant system between Korean and Vietnamese are so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because of it, various errors occurred in pronunciation of consonants and phonological phenomena by Vietnamese learners. Considering these, this result implies the Vietnamese learners must acquire consonants pronunciation through systemic and visible reference, and they have to pay attention to and study about phonological phenomena from the beginning. And this study suggested that educators must teach phonological phenomena from easier ones to difficult level step by step in teaching Korean. 본 연구의 목적은 숙달도와 거주 기간에 따른 베트남인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습득 양상을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베트남어와 한국어의 자음 체계를 비교하고, 이어서 베트남어와 한국어의 음운 현상을 비교했다. 이 과정을 통해 베트남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자음과 음운현상의 발음 중 특히 어떤 부분에 어려움을 느낄지 예상하여 그 내용을 서술하였다. 이어서 제2언어 습득에 거주 기간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실험 결과 베트남인 학습자의 자음 발음 양상에 대해서는 베트남인 학습자가 실험 문항이었던 삼지적 대립을 이루는 한국어 자음 중 경음과 치조 마찰음 /ㅅ/, /ㅆ/의 발음을 가장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음운현상에 대해서는 모든 실험 음운현상에서 오류율이 높게 나타났는데, 특히 가장 오류율이 높았던 음운현상은 비음화였으며, 연음규칙에서는 홑받침보다 겹받침의 오류율이 높았다. 그리고 숙달도는 변인으로, 거주 기간은 변인으로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베트남어의 자음 체계와 한국어의 자음 체계, 그리고 베트남어의 음운현상과 한국어의 음운현상이 현저히 다르다는 점, 이로 인해 베트남인 학습자들의 자음 발음과 음운현상 발음에서 다양한 오류가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고는 체계적이고 가시적인 자료를 통해 자음 발음을 습득하고, 음운현상에 대해서 학습 초기부터 미리 접하고 학습해야한다는 점을 시사했다. 또한 음운현상 교수에 있어 난이도가 낮은 현상부터 단계적으로 교수할 것을 제언했다.

      • KCI등재

        국어 음운 현상에서 비음운론적 정보의 처리와 관건

        김영선 우리말학회 2008 우리말연구 Vol.22 No.-

        이 글은 국어의 음운 규칙에 작용하는 비음운론적 정보의 생성 원인과 그것의 문법적 성격 및 처리 방안을 연구사적인 측면에 서 다루었다. 비음운론적 정보의 존재는 국어의 음운 현상을 논의하 는 과정에서 풍부한 음운론적, 형태론적 해석의 가능성을 가져다준 반면 음운 규칙의 일관된 적용을 방해하고 음운 현상의 본질을 구명 하는 장애물로 기능하였다. 비음운론적 정보가 규칙의 적용 과정에 적극적으로 관여한다는 사실은 1970년대 이후 점진적으로 알려져 왔 지만 그것들이 가지는 문법적 의미는 1980년대 후반 들면서 본격적 으로 해석되었다. 이 과정에서 비음운론적 정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 기 위한 다양한 이론적 방안이 쏟아졌지만 규칙 체계의 전체적인 모 습을 고려할 때 만족스러운 합의는 여전히 이루어지지 못했다고 평 가할 수 있다. 결국 음운 현상과 관련되는 비음운론적 정보에 대한 보다 차원 높은 논의가 본격화해야 할 필요성이 점증하고 있으며, 이 러한 점에서 지금까지 형식화되어 왔던 규칙과 비음운론적 정보에 대한 보다 면밀한 검토가 새롭게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근대한어(近代漢語) 구개음화 연구 (2): -변화의 양상과 원인을 중심으로-

        신포권 한국중국언어학회 2010 중국언어연구 Vol.0 No.33

        本文著重探討了近代時期北方漢語顎化現象的發生原因、表現形試及演變過程。本文爲了硏究進代漢語顎化現象的發生原因及演變過程中所表現出的各種現象,對於下列幾項問題進行了較有深度的探討。首先, 細緻分析了反映顎化現象的各種資料, 倂以此爲基礎, 指出在17世紀以前的北方漢語中就已經較有系統地存在顎化現象的事實。其次, 通過考察相關資料中所出現的顎化現象, 探討了顎化現象的演變方式及演變過程中所出現的各種問題。再次, 爲了探明進代北方漢語顎化現象的語音環境, 進代北方漢語語 音系統中的內在原因、滿漢對譯過程中出現問題、與周謁語言中發生的顎化現象的相關性 問題。本文的硏究目的爲全面理解近的漢語顎化現象的表現形式及發生原因, 倂對此作出科學合理的說明。령外.希望通過這一硏究, 形成一個新的契機, 不僅對進代漢語顎化現象進行硏究, 同時也對韓團與中國資料中所記錄的漢語音韻變化、漢語語音系統、相關語言中的有關音韻 現象等,進行更加細緻、更有深度的探討。

      • KCI등재

        허웅의 음운 변동 연구

        권경근 우리말학회 2005 우리말연구 Vol.16 No.-

        눈뫼 허웅 선생이 제시한 음운 변동 현상은 형태소가 음소로 실현될 때 나타나는 음소의 바뀜 현상이다. 음운 변동 현상은 형태부와 음운부 사이 의 연관성을 파악하는 데 기초적으로 이해되어야 할 언어 현상이다. 허웅 선생이 제시한 음운 변동 현상을 변동 규칙과 그 적용 순서를 통해 자세히 살펴보면서 선생의 음운 변동 연구의 흐름과 언어연구 방법론에 대해 고찰해본다. 허웅 선생은 구조주의적 관점에서 국어의 변동 현상을 파악하였 다. 하지만 변동 규칙의 적용 순서를 고려했다는 점에서 생성적 관점도 아울 러 드러난다. 이를 통해 특정 이론에 얽매이기보다는 국어 현상의 설명에 더 치중하려는 선생의 연구 경향을 엿볼 수 있다. 음운 변동 현상, 변동 규칙, 규칙의 적용 순서 등에 있어서 보완되어야 할 점에 대해서도 생각해보고 전체적으로 확장된 변동 규칙의 적용 순서도 제시 해본다.

      • KCI우수등재

        중국 단동(丹東)지역의 한국어 음운론 연구

        이금화(Li, Jin-hua) 국어국문학회 2016 국어국문학 Vol.- No.177

        한국어음운론 연구는 개별 방언에 대한 귀납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는데 그 이유는 한국어의 하위 방언인 각 방언의 음운체계와 음운현상이 명확하게 연구되었을 때 비로소 한국어 전체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음운론 연구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제까지 한반도 남쪽에만 치우쳐 연구된 음운론 연구의 대상과 범위를 넓혀 중국 단동지역에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한국어를 대상으로 공시적 음운현상을 분석하였다. 논의 순서는 우선 현지 조사과정을 통하여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이 지역어의 음운체계를 밝혔는데 크게 자음, 유음, 활음, 모음 등 네 부류로 나누어 검토 하였다. 다음 형태소 경계에서 일어나는 공시적인 음운현상을 그 변동 양상에 따라 ‘교체, 탈락, 삽입, 축약’이 네 유형으로 구분하여 논의하였다. 논의를 통해 음운체계는 중부방언과 비교해 보았을 때 /ㅈ, ㅊ, ㅉ/ 등 부분 자음의 음가차이를 비롯한 꽤 큰 차이가 있었고 음운현상은 큰 차이가 없었는데 서북방언의 기타 하위 방언과는 아주 비슷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매체 등의 발달로 개신형이 존재하는가 하면 언어적으로 상대적으로 고립되어 왔기에 고어의 자취도 많이 남아 있었다. 한국어의 실체는 자연어의 실제 모습인 방언에 대한 연구를 통해서만이 더 확실히 밝혀질 수 있는데 본고의 논의를 통해 서북방언의 한 하위방언의 모습이 어느 정도 드러났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Korean phonology studies can be done through the induction of the individual dialects because the Korean sub-dialect is due to finally allow the Korean phonology study of the entire Korean when each dialect phonological and phonetic phenomenon is clearly research to be. This paper aims to analyze and describe the phonological phenomena of current Dandong Dialect. First I establish the phonological system on the basis of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field survey. Phoneme catalogue can be divided into four groups, including consonant inventory, liquid inventory, glides inventory, vowel inventory. Then I deal with the phonological process occurring at the morpheme boundaries in this dialect with some phonological rules. The phonological process has four subtypes such as alternation, deletion, insertion, and contraction. The phonological system, when compared with the central dialect, has considerable differences, including the difference in the phonemes of the partial consonants such as /ㅈ, ㅊ, ㅉ/. There are new types due to development of media. Because it was relatively isolated from language, there was much trace of archaic word. But phonological phenomenon was found to be very similar to the other sub-dialect of the Northwestern dialects. There are Korean entities of which I have revealed the appearance of a sub-dialect of the Northwestern dialects degree through discussion paper to believe that it can be revealed only through research on the physical appearance of tongues of its natural significance. It is meaningful to be able to provide evidence for Korean language history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