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출연연구기관 융합기술 연구네트워크 구조 분석

        김홍영(Hongyoung Kim),정선양(Sunyang Chung) 한국기술혁신학회 2015 기술혁신학회지 Vol.18 No.4

        본 연구는 국가과학기술연구회(구, 기초기술연구회 및 산업기술연구회) 산하 출연연 24개 기관이 출연금과 정부수탁과제로 집행한 최근 3개년간(2011~2013)의 연구과제중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의 중분류 기준으로 2개 이상의 기술을 연구하는 융합기술 연구과제를 사회연결망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기술간에 어떠한 네트워크 구조를 가지고 있는지를 분석해 보았다. 분석결과 출연연의 융합연구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전체 융합연구와 비교할 때 더 활발하고, 다양한 기술분야에서 수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외부기관과 공동연구에 의한 융합연구보다 내부에서 더 활발히 융합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융합기술의 네트워크 중심성을 파악하여 융합연구의 중심역할을 하는 기술이 내부중심형 기술과 외부중심형 기술로 분류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융합연구는 단순히 기술간의 융합만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출연연은 융합연구 활성화를 위해서 단순히 다기술 연구만을 수행하지 말고, 신기술, 신산업을 창출할 수 있는 융합연구 영역도 창출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은 출연연의 융합연구 현황 및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출연연의 융합연구를 활성화를 위한 역할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presence of network structures among convergence technologies focusing on national R&D projects performed by GRIs(Government-sponsored Research Institutes) in Korea. The dataset of convergence technology projects, which were conducted by 24 GRIs over 3 years (2011-2013), are analysed using the network analysis method. In this paper, a convergence technology project is defined as a project that consists of 2 or more then 2 technologies according to the intermediate classification of 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S&T. The research results confirm that convergence researches of government-sponsored research institutes are performed more actively than the entire convergence researches of national R&D projects. Furthermore, technological fields of GRIs’ convergence projects are found to be much more varied. This paper also shows that in-house researches are more active than collaborative ones with external organizations. According to the network centrality analysis, it is identified that the network central characteristics of convergence technologies can be classified into internally oriented technologies and externally oriented technologies. Convergence technologies do not just mean simple mixture of different technologies. Therefore Korean government-sponsored research institutes should make more efforts to create convergence research areas which could generate new technologies and industries more effectively than simple multidisciplinary technology researches. From this perspective, some policy suggestions can be derived on the role of government-sponsored research institutes for activating convergence researches through the analysis of status of convergence researches and networks of institutions.

      • KCI등재

        과학기술분야 융합기술 인력현황 및 이동 행태분석

        이중만(Jungmann Lee),허태영(Taeyoung Hur),이정배(Jungbae Lee),황규희(Guehee Hwang),엄기용(Kiyong Om) 한국콘텐츠학회 201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5

        융합기술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기술융합 및 융합기술화 등 융합기술에 대한 전략적 활용도 증가하여 융합산업은 다양한 일자리가 창출될 전망이고, 다학제 교육의 활성화, 글로벌 협업의 증가, 지속적으로 타분야 지식습득을 위한 직무전환교육, 응용이 가능하게 하는 기초과학 교육강화, 협업 활성화를 위한 연구자 네트워크 확대 등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융합기술개발 및 과학기술분야 융합기술 인력에 대한 현황과 연구원의 인력이동 행태에 대한 분석이다. 산학연 전문가 209명을 대상 전문가 Survey 및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해서 융합기술 분야에 있어서 융합기술인력의 유동성 강화(Mobility), 글로벌 수준의 융합기술 인력양성, 인력이동 행태에 따른 다양한 공동협업연구(Collaboration) 및 전환교육, 인프라의 체계화 및 개선(Infra) 등 인력양성 정책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technological convergence of IT, BT and NT is expected to drive technological revolution in the twenty first century, so a large amount of R&D expenditure is being concentrated on the development of fusion technology worldwide. Researches on how to direct and manage fusion technology development, however, are rare up to the present. This study investigates technology development and S&T human resources practices in the fusion technology area focusing on the career path movement of researchers. On the basis of case study and a field survey of 209 scientists and engineers from academia, research institutes and industry, four strategic directions are recommended for improving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 convergence technologies. The limitations and contributions of the study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DEMATEL을 활용한 특허분석 기반의 기술융합 분석 연구

        서원철 ( Seo Wonchul )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13 지역산업연구 Vol.36 No.2

        기술융합은 개별적인 기술개발의 한계를 극복하고 혁신적인 기술과 제품을 도출해낼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해주는 수단으로서 인식되고 있다. 기술융합은 다양한 기술적 요소들의 결합을 바탕으로 혁신적 기능을 창출해내는 과정으로 정의되며, 이러한 융합을 기반으로 하는 실제적인 R&D가 국가 차원에서 활발하게 시행되고 있다. 기술간 경계를 허무는 형태의 기술융합을 기반으로 하는 국가 R&D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R&D의 전략을 수립하고 방향성을 설계할 수 있도록 기술융합동향에 대한 분석 방법론이 필요로 하게 되었다. 기술융합은 서로 다른 기술영역 사이에서 기술지식이 지속적으로 교류됨으로 인하여 발생되기 때문에 기술융합의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기술분야 간 기술지식흐름의 수준을 살펴보고 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특허분석과 DEMATEL을 기반으로 산업 간 기술지식흐름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고 이를 통해 국가 R&D에서의 기술융합 동향을 분석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기술지식흐름의 현황을 바탕으로 기술융합의 특징을 도출할 수 있도록 중요도-인과도 맵을 도입하고, 중요도-인과도 맵을 특성에 따라 3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각 영역에 대한 기술융합 관점의 의미를 부여한다. 이러한 의미기반의 중요도-인과도 맵을 활용함으로써 기술융합 관점에서 각 산업의 역할과 추후 R&D 기획 시 고려해야 하는 전략적 요소를 도출할 수 있다. 본 방법론의 실제적 적용과 분석적 결과 도출을 위하여 한국 국가 R&D를 통한 산출물인 국가 R&D 특허정보를 활용한다. 본 연구의 방법론은 국가 R&D의 기술융합 동향을 기술지식흐름의 관점에서 계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나아가 추후 국가 R&D 기획 시 전략적 방향을 도출하기 위한 기반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방법론은 계량적 분석을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향후 자동화된 기술융합 동향분석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기반을 제공할 것이며, 이는 국가 R&D 기획 프로세스의 효율적 실행을 지원하는 요소기술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technology fusion is becoming a mainstream phenomenon which leads to breakthrough functions by providing a definite path to innovation. There have been many attempts to generate practical R&D initiatives by merging several technologies beyond industrial boundary. As national R&D based on technology fusion which can blur technological boundaries becomes more important, it is required to analyze the trends of technology fusion to establish R&D strategies and directions. Since technology fusion is fundamentally generated by technological knowledge flow between different technology classes, to analyze the trends of technology fusion a systematic methodology is imperative which examines the extent of technological knowledge flow. Therefore, this paper presents a procedural method to analyze the trends of technology fusion in national R&D programs by exploring technological knowledge flow based on patent co-classification analysis and DEMATEL. We introduce a concept of impact-causality map and divide the map into three dimensions. Based on the meanings of the map, we draw technological implications of each dimension. Using the map with technological implications helps identify role of each industry in the perspective of technology fusion and moreover draw R&D strategies in the R&D planning processes. To show the applicability of the presented method, we conduct an empirical study using Korean national R&D patents granted between 2008 and 2011. This paper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offering an alternative to identify the phenomena of dynamic technology fusion. Moreover, it holds the potential to become a useful tool in the national R&D planning processes since it can help provide future R&D directions corresponding to features of technology fusion of each industry sector.

      • KCI등재

        웨어러블 디바이스 R&D기술 디자인 융합 연구

        이재익(Jae Ik Lee)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0 No.4

        새로운 R&D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한 디자인 융합연구는 학계, 산업계를 망라하고 전 국가적인 과제로등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스마트기기의 형태가 ‘소지’에서 ‘착용’형태로 전환되어가는 시점에 등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기기의 국·내외 R&D 관련기술의 현황과 전망, 시스템 세부기능 분류, 웨어러블 디자인 도구와 플랫폼 개발, 국내외 웨어러블 디바이스 현황과 국내외 웨어러블 디바이스 R&D기술과 디자인 융합을 통한 사례연구를 통한 향후의 웨어러블 디바이스R&D기술과 디자인 융합연구의 단초 및 흐름을 제시하고자 한 기초연구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관련 R&D기술 분야와 웨어러블디바이스의 국내외 디자인융합 사례 연구를 통해 국내 웨어러블 디바이스 디자인 융합 연구의 활성화를도모하고, 나아가 더욱 더 발전적인 응용 기술 개발과디자인 융합연구에 지표가 되는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최근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에게 가장 밀착한 기기로, 기존 제품들이 제공하지 못한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으며, 상황인지기술(Context Awareness), M2M(사물지능통신), 바이오피드백(Bio Feedback) 등, 새로운 R&D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한 디자인 융합 연구는 전자기기 디자인 융합기술, 인포테인먼트 및 게임디자인 융합기술, 산업 및군사 디자인 융합기술 등에 적용된 사례개발과 기술을 통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디자인 혁신 상품이 개발될 것으로 보여지고 있다. 특히, 사회 전반적으로 의료, 건강, 인포테인먼트 등다양한 분야에서 더욱 더 진화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기술과 디자인 융합 연구는 새로운 일자리 창출과 미래창조 신성장 동력엔진의 창출 필요성으로 국가적난제를 해결하기 위한 가장 훌륭한 대안으로 그 활용도는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The research of design convergence focused on new R&D technology areas has emerged as a national agenda included in academia and industrial world. This research is a basic research to propose the stream and preliminary offer for the design convergence research and further R&D technology via case studies on the present status of the wearable devices in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the classifications of detailed features of systems, the developments of wearable design tool and platform, the present state and future of wearable devices in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and the convergence of design and the R&D technology of wearable devices which are emerged at the point of time of translation from the ‘possession’ to ‘wear’ for the type of smart devices. Therefor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he intention for the activation of research for the convergence study of wearable devices through the case studies for the national and international design convergence of wearable devices and related R&D technological area and the propose for the basic data served as a indicator of the research for design convergence and the even more expansible development of application technology. A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recently wearable devices to give users the most intimate devices, which did not provide new services for existing products are able to provide and the design convergence technologies focus on new R&D technology areas such as context awareness technology, M2M, biofeedback and so on, are predicted to be developed wearable devices as innovative products through technologies and case studies applied to the design convergence technology with electronics, the design convergence technology with of infotainment and game, the design convergence technology with and military technology and so on. In particular, it is expected to increase even further the utilization as the greatest alternative to resolve the national challenges as a necessity to create the new job creation and a future growth engine through the convergence of design and wearable device technologies in the area of medical, health, infotainment and so on in whole society.

      • KCI등재

        현대패션디자인에 나타난 IT기술융합현상에 관한 연구

        나미정(Mi Jeong Na),박순천(Soon Chun Park)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3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정보기술 즉 IT를 기반으로 기술·산업 간의 융합화 현상이 가속화되면서 차세대 기반산업으로서 융합부문이 주목을 받고 있으며, 패션분야에서도 IT기술이 접목된 제품이 산업 전반에 걸쳐 큰 파급효과를 가져 올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기술융합에 대한 기본적인 정의와 현대 패션디자인에 나타난 IT기술융합이 적용된 사례를 분석하여, 새로운 창작흐름을 이해하고 경쟁력 있는 디자인과 기능을 기초로 미래 패션과 기술융합산업의 상호보완적인 발전을 제안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문헌조사와 사례연구를 병행하여, 문헌조사는 국내외 단행본, 논문 등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사례연구는 단행본과 인터넷 사이트에서 IT 패션, 스마트웨어, 웨어러블 컴퓨터, 디지털 웨어 등의 키워드 검색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연구범위는 문헌조사는 기술융합이 사회전반적인 관심사로 떠오른 2000년대부터 현재까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사례연구는 2009년부터 2011년까지 최근 3년간의 www.firstviewkorea.co.kr에 수록된 컬렉션 자료와 인터넷 검색자료를 통해 패션디자인과 IT기술융합이 복합적으로 사용된 사례를 중심으로 하되, 아이템 조사범위는 드레스, 자켓, 티셔츠, 패션소품(신발, 모자, 가방)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내용은 이론적으로 IT 기술융합의 개념 및 발생배경에 대해 조사하였고, 기술융합의 유형과 각각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에 현대패션디자인에 나타난 IT를 기반으로 한 융합 사례의 유형별 특징을 크게 세 가지로 도출하여 IT기술융합에 의한 감성지향적 디자인, U-헬스케어 디자인, 친환경 디자인으로 분류하였다. 분석결과, 이러한 IT기술과 접목한 패션산업은 소비자가 요구하는 기능적인 면과 감성적인 면을 만족시킬 수 있고 다양하고 새로운 제품과 신소재의 개발로 패션산업의 범위를 확장하여 더 넓은 범위의 고용시장 창출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디자인적 측면보다는 기술에 집중되어 있는 상황이며, 비싼 가격대, 세탁과 지속가능성에 대한 유무로 인해 보편적으로 사용하기 어렵다는 제한점이 있으므로 향후 이러한 점들을 보완하여 개발한다면 미래 패션산업을 선도할 수 있는 핵심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While recently technology industries` fusion based on IT is accelerated in variety parts, it is expected that the products with IT technologies have a great riffle effect on fashion indust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understanding new creation trend and preparing the grounds for suggesting the development of future fashion and Technology Fusion Industry based on competitive designs and function with analogizing the definition of Technology Fusion and the examples of IT Technology Fusion appeared on modern fashion designs. The research methods are carrying out documentary survey and case study at the same time. Documentary survey is theoretical consideration with focus on advanced researches like domestic and foreign books and theses. And case study is investigation with searching key words like IT fashion, smart wear, wearable computer, and digital wear in books and internet sites. The research ranch of documentary survey is from 2000 when Technology Fusion was appeared as a main interests throughout our society to present. And the research of case study is the examples of using fashion design and IT Technology Fusion complexly through collection materials and internet searching data in www.firstviewkorea.co.kr for 3years, 2009-2011. The research ranch of items is dresses, jackets, T-shirts, and fashion accessaries like shoes, hats, and bags. The research contents are investing on the theoretical concept of IT Technology Fusion and the background of its occurrence, and analyzing the types and features of Technology Fusion. With this research, the three features of each type, Sensitivity Oriented Design, U-Health Care Design, and Eco-Friendly Design, are drawn by IT Technology Fus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that the fashion industries grafting on IT technology can satisfy consumers who are asking technological sides and sensitivity side, and can be expected as the effects of creating more jobs with expanding the range of fashion by developing new products and new materials. Until now, however, they are focused on not design sides but technology sides, and they have limitation with difficulties for using commonly by the high prices, laundry, and substantiality. If they are complemented and developed from now on, they will do an main act on leading future fashion industry.

      • KCI등재후보

        인천 기술융합 네트워크의 구조 및 변화 분석: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

        유광민,김용희 (재) 인천연구원 2016 IDI 도시연구 Vol.- No.10

        Technological convergence has been spreading such as the methodology of new knowlege creation. It has emerged as an important issue because of the positive effects of Reginal Innovation Systems and new industry promotion in terms of Reginal Innovation. In order to review of structure and change of Technological convergence network, This study is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to target Technological convergence national R&D industry's projects in Incheon The analysis of this study provided three research results. First, there is a growing Technological convergence R&D in Incheon. Second, the area of high centrality of Technological convergence was Incheon's existing flagship industry of the materials, environment, car and more. Third, Node of Technology and convergence in Technological convergence networks was increase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is that the technological convergence of policies at the regional level should be encouraged and it need to be promote Technological convergence between exist flagship industry and new industry. 최근 기술융합은 새로운 지식 창출의 방법론으로서 확산되고 있다. 지역혁신의 측면에서도 지역혁신체제의 고도화 및 신산업육성이라는 긍정적효과 때문에 기술융합이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인천의 기술융합 네트워크 구조 및 2009년~2013년까지의 변화를 사회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규명하고, 인천에서 기술융합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천의 기술융합 연구개발이 증가되는 추세에 있다. 둘째, 기술융합 네트워크 내 여러 군집이 존재하며, 상위군집 내에서의 융합이활발하다. 셋째, 기술융합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기술분야가 증가하고 있으며, 기술분야간 융합도 활성화되고 있다. 넷째, 기존 주력산업분야와 연관된 분야에서 기술융합이 활발하게 나타나고 있다. 넷째, 다분야 기술융합보다는 두 분야간 융합이 주를 이루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융합기술 개발연구의 실현과정

        김학수(Hak-Soo Kim),김사라(Sara Kim),김청희(Cheonghee Kim)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6 현상과 인식 Vol.40 No.3

        전세계적으로 중요시되고 있는 ‘융합연구’ 내지 ‘융합기술’ 관련 기존 탐구는 주로 ‘의미분석’ 차원의 개념적 논의에 머물렀다. 그런 논의에 바탕을 둔 융합기술(融合技術) 관련 정의들은 크게 수렴적(converging) 융합기술, 통합적(integrative) 융합기술, 또는 다학제적(interdisciplinary) 융합기술 등의 용어로 대변되었다. 그러나 그런 개념들은 실제로 융합기술을 개발연구 하는 데 구체적으로 유용한 아이디어들을 거의 제공해주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몸체(body)’ 못지않게 중요한 ‘행위과정(behavior)’ 자체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통해, 융합기술 개발연구 실현과정의 토대가 될 새로운 사회과학 패러다임과 그것으로부터 어떻게 융합기술이 구현될 수 있는가를 제시하고 있다. 한 마디로 ‘융합을 위한 기술’과 ‘융합을 통한 기술’을 차례로 성취하는 것이 융합기술 개발연구의 핵심이라는 것을 밝혀냈다. 그것은 곧 팀워크(teamwork)의 실현과 그것을 통한 팀 전체의 창작력(創作⼒)을 극대화시킴으로써 혁신적인 융합기술을 생산할 수 있음을 가리킨다. First, this study reviewed why the concepts of technology convergence, technology integration, and interdisciplinarity came to currently attract more attention in the arena of science and technology. We find that those concepts have been defined mainly in view of ‘meaning analysis’ type by/for grouping particular instances, and so, provide no useful insight on effectively developing converging, integrative or interdisciplinary technology. Second, this study introduced a new concept of ‘unifying/unified technology,’ derived from a theory of (collective) behavior per se, and then, elaborated on a new social science paradigm that is vital to realize it. Finally, we came to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not only realizing “teamwork” but also developing its “compositional capability” to accomplish ‘unified (innovative) technology.’

      • KCI등재후보

        융합기술 분야의 정부 투자성과에 대한 연구: 정부의 융합기술 추진전략 실천과제별 기업성과 사례 분석

        이진석 국회예산정책처 2016 예산정책연구 Vol.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key factors(4-factors : technical, market, business, financial ability of firms) and the firm performance of government policies for convergence technology. The summarized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ey factors and the firm performance of government policies for convergence technology, 3 factors(technical, market, business abi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firm performance. Second, in the firm performance of government policies for convergence technology, we found the differences of relationship between the key factors and the firm performance of government policies for convergence technology. In conclusion, government departments should plan the policies for convergence technology based on firm performance and support private firms to increase the ability(technical, market, business, and financial) of firms in the market of convergence technology. 본 연구에서는 정부의 융합기술 투자성과를 기업 측면에서 분석하기 위해 정부가 발표한 융합기술 5대 중점 추진전략별 기업성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융합기술 중점 추진전략별 세부 실천과제를 중심으로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친 수 있는 영향요인을 기술적 요인, 시장요인, 시장역량 요인, 그리고 재무적 요인으로 설정하고 기업성과와 이들 요인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융합기술 육성 부문에서는 기술적 요인과 사업역량 요인이 기업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융합기술 사업화 부문에서는 기술적 요인, 사업역량 요인, 재무적 요인이 각각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쳤다. 융합연구 활성화 부문과 융합기술 인재양성 부문에서는 기술, 시장, 사업역량, 그리고 재무적 요인에 걸쳐 전반적으로 기업성과와 관련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융합기술 기반구축 부문에서는 기술적 요인, 시장요인, 그리고 재무적 요인에서 각각 기업성과와의 관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기업의 융합기술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향후 과제는 다음과 같다. 타 기술과의 융합 및 상품화를 위한 환경조성, 특허/지식재산권 보유기반 마련, 정부 지원과제 수행능력 강화, 융합기술을 위한 자금지원 활성화, 융합기술 분야별 기술력 극대화 지원 등이다.

      • KCI등재

        특허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기술융합 및 융합기술의 확산 연구 ―디지털 데이터 처리 기술 중심으로―

        전상규 ( Jeon Sangkyu )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21 지식재산연구 Vol.16 No.4

        산업기술이 급격히 변화함에 따라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고 개별 산업 내부에서 융합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기술융합과 산업융합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관련 연구도 활발하게 소개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특허의 인용관계와 동시분류기술을 이용하여 기술융합의 강도와 융합기술 확산의 영향력을 비교할 수 있는 지표와 기술융합확산 경향을 확인하고 예측하기 위한 모델과 융합기술의 확산 경향을 비교할 수 있는 지표를 제시하고, 제시된 지표와 모델의 적합성과 적용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IPC G06F(디지털 데이터 처리)에 해당하는 디지털 데이터 처리 기술의 미국등록특허 데이터를 수집하여 지표와 모델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대상기술과 융합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기술과 융합기술의 재확산에 기여도가 높은 기술을 확인할 수 있었고, 기술융합과 융합기술확산의 성장성과 잠재적 성장규모를 예측할 수 있었다. Convergence indicates that distinct industries leads to a new industry thereby replacing or complementing the former segment. The variety of consumers needs and the limit of breakthrough in the discrete industry promote technological convergence and industrial convergence. As the importance of technological convergence and industrial convergence is increasing, related research has been actively introduced. In this regard, this paper introduces indicators for evaluating intensity of technological convergence and influence on convergent technology diffusion, and model for confirming and forecasting trend of the technological convergence and the convergent technology diffusion. In order to evaluate the suitability and applicability of the presented indicators and models, this study collected the US patent data of digital data processing technology corresponding to IPC G06F (digital data processing) and applied the indicators and models.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echnologies that actively converge with target technologies and technologies that contribute to the diffusion of convergent technologies, and forecast growth rate and potential growth size of technology convergence and convergent technology diffusion.

      • 특허에 기반을 둔 기술융합 분석

        유준상,이희상 대한산업공학회 2013 대한산업공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13 No.11

        현재 전 세계적으로 기술의 융합은 과학기술 분야에서 메가트렌드를 형성하고 있으며 선진국에서는 자국이 보유한 강점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융합기술의 도출에 주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술융합의 실질적 현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명시화된 지식인‘특허’와 특허에 인용된 ‘논문’ 그리고 특허분류와 산업 분류체계 연계를 통한 산업군 분석을 하였다. 첫째, 융합기술에 영향을 끼친 과학 분야를 분석하기 위해 특허의 비특허 문헌(특허에서 인용된 논문)을 이용하였다. 인용된 저널과 과학 분야를 대분류와 소분류로 나누어 융합기술에 영향을 준 과학 분야를 파악하여 정량적으로 정리하였다. 둘째, 융합기술의 원천기술과 흐름을 살펴보기 위해 인용분석을 하였다. 이를 통해, 바이오인포매틱스 기술융합분야에 영향을 준 기술 분야를 찾아냄으로써 융합기술의 다양한 원천기술 분야들과 핵심 분야를 분석하였다. 셋째, 특허분류체계에 따라 각 기술 분야의 교차영향분석(Cross Impact Analysis)을 하였다. 융합기술 특허들이 분류 체계를 통하여 영향력 지수를 측정하고 융합이 일어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넷째, 융합기술과 산업과의 흐름을 분석하기 위해 국제특허분류-국제산업분류 연계표를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융합기술들이 산업에서는 어떠한 영역에 속하며 활용되고 있는지를 찾아냄으로써 향후 산업 융합의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연구를 통해 기술융합에 앞서 과학 분야가 기술 융합에 미치는 영향, 기술융합의 양상을 분석하고 원천기술분야를 확인하였다. 또한 기술융합에 있어 핵심기술과 도움을 주는 기술을 구분하여 융합의 본질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하지만 단순히 바이오인포매틱스 한 분야에 대해서만 분석을 하였기에 향후 다른 기술융합의 연구와의 비교가 필요하고, 이를 통해 더 일반화 된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