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하우로서의 倫理 : 프란시스코 바렐라의 인지과학과 동양철학 연구

        유권종(Yoo, Kwon-Jong) 한국동양철학회 2010 동양철학 Vol.0 No.34

        급진적 구성주의의 학문 연구를 주도했던 인물들 가운데 한 사람인 프란시스코 바렐라(1946~2001)의 강연집 『윤리적 노하우』는 동양의 전통적 가르침이 정립했던 것을 윤리적 노하우라는 관점으로 조명한 내용을 담고 있다. 그의 저서는 동양철학 전공자에게 연구의 중요한 진전을 가져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주고 있음에 틀림없는 것이다. 본 연구는 바렐라의 견해를 분석하고, 그의 관점과 연구 내용을 동양철학 연구 특히 유교 연구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과 그 방향을 탐구하였다. 본 연구의 순서는 인지과학의 흐름과 프란시스코 바렐라의 학문, 『윤리적 노하우』의 체계와 주요 관점, 윤리에 관한 지식의 본질, 윤리를 노하우로 보는 것이 타당한가? 동양철학 연구의 새로운 관점의 논의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동양철학연구에 적용가능한 『윤리적 노하우』의 특징적 구도를 네 가지로 파악하였다. 그 내용은 첫째 현대인의 윤리적 실천의 현실에 관한 그의 문제의식, 둘째 서구철학적 사고 내지는 초기 인지과학의 계산주의적 모델의 극복과 구성주의 모델의 확립, 셋째 존재론적 이원론의 구도를 넘어서는 생명론적 일원론의 구도로의 전환, 넷째 숙련에 의한 자기창조의 원리 등이다. One of leading members of radical constructivism on the basis of cognitive science, Francisco J. Varela's Ethical Know-how, which is a collective publication of his speeches, newly explains the Asian traditional teachings as a very useful and meaningful wisdom depending on a new conception of ethical know-how he developed. It is sure that his work gives a moment to specialists of Asian traditional thoughts. This article is for the analysis of his ideas about the ethical know-how and at the same time for a search for possible way to apply his ideas and methodology to the studies of Asian traditional thoughts. This study is going on with the order as follows; current stream of cognitive science and Varela's researches, the principle of Ethical Know-how and main viewpoints, the essence of knowledge of ethics, the explanary structure of Ethical Know-how, and new viewpoint of Asian philosophical studies. According to this study, his ideas and theoretical points that can be applied to the studies of Asian traditional thoughts are summarized as follow; his strong and consistent willingness to improve the low level practice of ethics in contemporary societies up to a higher level practice, changing the thinking model for the improvement leaving from the Western philosophical tradition or the computational style of the early cognitive science settling to radical constructivist model, establishment of the monistic principle on the basis of the life itself with rejection of the ontological dualism, and construction of autopoiesis(self-organization) by means of mastery of the know-how.

      • KCI등재

        나바에츠 통합적 윤리교육모형을 활용한 도덕교육 개선 방향

        석자춘(Seok Jachun),정창우(JEONG CHANG WOO)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7 도덕윤리과교육 Vol.- No.54

        나바에츠는 윤리적 기술 혹은 윤리적 노하우의 체화를 인격교육의 지향점으로 설정한다. 윤리적 기술은 네오콜버그주의자들의 ‘공동의 도덕성’관점을 기반으로 ‘도덕 스키마’ 이 론을 점진적으로 발전시킨 결과물에 해당된다. 이와 같이 점진적인 이론적 발전 과정을 거친 윤리적 기술에 대한 논의는 인지과학과 사회인지이론 등을 비롯한 다양한 경험과학의 연구 성과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사회적 기술 발달을 위한 윤리교육 모형을 구축하는 단계로 이 행하게 된다. 즉 윤리적 기술에 대한 이론 정립을 기반으로, 나바에츠는 윤리적 기술을 교수 하는 실천적 이론으로서 ‘통합적 윤리교육모형(IEE)’을 제시한다. 그리고 발달론적 관점에 서 신경과학에 기반을 둔 ‘삼층윤리이론(TET)’을 통합적 윤리교육모형의 이론적 토대로 설 정한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이 포괄적인 이론적 배경에 기반을 둔 통합적 윤리교육 모형을 통 해 오늘날 우리 도덕교육의 개선 방향을 탐색하고자 한다. Darcia Narvaez's major interest is to develop an educational model to embody Ethical Skills or Ethical Know-How as a anchor point for moral and character education. Ethical Skills are the gradually developed outgrowth from Moral Schema, based on a viewpoint on Common Morality. The discussion on Ethical Skills accepts constructive criticism from empirical scientific research including cognitive science and social cognitive theories. Narvaez came up with the Integrative Ethical Education Model as a practical theory to instruct Ethical Skills. Narvaez also set up the Triune Ethics Meta Theory based on as neuroscience of the brain as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Integrative Ethical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developmental theory. This study tries to inquiry the compass of the improvement in moral education through applying Darcia Narvaez's Integrative Ethical Education Model based on the comprehensive theoretical basis.

      • KCI등재

        동아시아 공동체와 공존의 윤리

        유권종 ( Kwon Jong Yoo ) 동양철학연구회 2010 東洋哲學硏究 Vol.62 No.-

        본 연구는 논의가 활발해지는 동아시아 공동체 건립 구상과 관련하여 윤리학적 관점에서 지역 공동체의 성립과 지속의 근거가 되는 것으로서 공존의 윤리를 제안하고 이를 실질적으로 성취할 수 있는 원리를 논한 것이다. 전체적인 논의의 내용은 크게 둘로 나누었는데 첫째는 `동아시아 공동체 논의의 맥락과 방향`에 관한 논의로서 지역공동체 윤리의 모색의 필요성을 밝혔고, 공동체가 공존의 윤리를 통해서야 비로소 상호 이질적인 동아시아 각국의 문화적 맥락이 조화를 이룩할 수 있음을 밝혔다. 그리고 공존의 윤리를 형성하기 위한 논의는 각국의 전통 윤리의 가르침을 공동체의 맥락에 맞도록 재해석하는 방법과 진정한 공존의 원리에 대한 깨달음에 근거해야 함을 논하였다. 둘째는 `한국의 윤리학적 전통의 재해석`에 관한 논의로서 한국의 윤리학적 전통 가운데 재해석해서 공동체의 윤리로 삼아야 할 핵심적 내용과 원리를 밝혔다. 이 논문에서는 서구의 윤리학적 방법과 더불어 전통윤리를 함께 지역공동체에 요구되는 공존의 윤리로 삼아야 한다는 점을 전제하고 특히 전통 윤리의 가능성을 찾으려고 하였다. 그 탐구의 방법으로 원용한 것은 인지과학의 한 부류인 근본적 구성주의자들의 사고, 그들이 주장하는 윤리의 노하우, 그리고 그들이 제시한 공존의 윤리라는 개념등이다. In this article an ethics of co-existence is suggested from the viewpoint of contemporary ethics under the relation to the current debates for the construction of East Asian community led by Korean government and the substantial principle for the accomplishment of the ethics is also discussed. Whole body of this article is split into two part. In the first chapter the necessity of searching a new ethics for the community is explained and the idea that very different and various contexts of culture of every country in East Asia will be harmonized necessarily by membership with respecting the ethics of co-existence and therefore the community will run lonr forever is also discussed. And how to construct the ethics is discussed as follow: the first is to re-interpret the traditional ethics according to new ask of the community and the second is that new ethics will have to be based on every member`s self-awakening of the principle of co-existence. In the second chapter a few and important ideas and methods of the Korean traditional ethics which will be necessary in developing the ethics of community are explained and the way and direction how to re-interpret them is discussed. In this article on the assumption that traditional ethics must go along with the Western ethics, especially the potentialities of Korean traditional ethics are studied. The methods of the study are from the viewpoints of the radical constructivists, and the concept of ethical know-how, and ethics of co-existence they suggested.

      • KCI등재

        무도윤리의 예(禮)와 윤리적 노하우(know-how)

        이상호,황옥철 한국체육철학회 2017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5 No.4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new approach on understanding of Li(禮) of martial arts. The established studies of it focus on what it is and why it needs as Eastern philosophical view. But what we know it is different from how we practice. It’s true meaning is all not as Li(禮) for country, it for teacher, and it for each other. It accomplishes when Li(禮) should be applied as normal behaviors and it has unconsciously capability to couple the moral situations. For which, we need to analyze the Li(禮) of martial arts as approach of how-know. Rather, the view of know-what is knowing what Li(禮) is and should follow the Li(禮). This does not supply the concrete solution in terms of the realization of Li(禮) to ourselves. To turn the immediate realization of Li(禮), we need the conscious turn to action itself from first-personal approach. This connects the know-how of Li(禮). Li(禮) should do as everyday occurrence of which we take immediate practice like eating, walking, and sleeping and so. It really means the authentic realization of Li(禮). For which ethical know-how of Li(禮) gets theoretical validity when we reflect the results of cognitive science. 본 연구에서는 무도의 예에 대한 새로운 접근의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한다. 기존 무도의 예와 관련된 연구는 예가 무엇이고 왜 필요한지를 다양한 동양적인 사상의 관점에서 설명해 왔다. 하지만 예를 안다는 것이 직접 예를 실천하는 것과는 다르다. 무도의 예는 국가에 대한 예, 상호간의 예, 스승에 대한 예가 모든 것이 아니라, 일상적인 행위로 자신에게 적용되고 무의식적으로 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때 완성된다. 예가 무엇이고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파악하는 것은 노왓(know-what)의 관점이다. 하지만 예의 실현이라는 측면에서 본다면, 그것만으로 윤리적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어떻게 예를 실천할 수 있을까? 문제는 남아 있기 때문이다. 예의 즉각적인 실천으로 전환되기 위해서는 일인칭의 관점에서 행위 그 자체에 대한 인식전환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예의 노하우(know-how)에 관심을 돌려야 한다. 예의 노하우는 자신이 자연스럽게 즉각적으로 예를 실천하는 것이다. 예라는 것이 우리가 일상적으로 밥 먹고 살아가는 행위와 마찬가지로 즉각적으로 실행될 때, 진정한 무도의 예가 완성된 것이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예의 윤리적 노하우의 이론적 근거는 인지과학의 결과를 충분히 반영하고 타당성을 확보해야 한다.

      • KCI등재

        ‘종심소욕불유구(從心所欲不踰矩)’에 대한 현대적 해석 - F. J. Varela와 D. Narvaez를 중심으로

        김민재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the ‘從心所欲不踰矩’ part of the words and actions left by Confucius in a modern way. In particular, ‘從心所欲不踰矩’ was highlighted, focusing on the thoughts of cognitive scientist F. J. Varella and moral psychologist D. Narvaez. ㉠ To this end, this study first looked at the existing interpretations of the phras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asic interpretation, but there were large and small differences in implications depending on what kind of being Confucius was perceived by the thinker or what academic characteristics of the thinker. ㉡ Subsequently, in this study, the meaning and related keywords of ‘ethical know-how’ presented by Varella were summarized, and in light of this, the ‘從心所欲’ part of ‘從心所欲不踰矩’ was interpreted in a modern way. Although Varella and Confucius's academic perspectives do not exactly coincide,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y can be communicated to some extent in terms of ‘immediacy’, ‘experience’, and ‘enact’. ㉢ In addition,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the ‘ethical expertise’ presented by Narvaez were summarized, and in light of this, the ‘不踰矩’ part of the ‘從心所欲不踰矩’ was interpreted in a modern way. Although Narvaez and Confucius's academic perspectives do not exactly coincide,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y can be communicated to some extent in terms of ‘ethical schemas’, ‘ethical skill’, and ‘ethical intuition’. ㉣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connection between cognitive science・moral psychology and Confucius thought should be further deepened, and that reinterpreted ‘從心所欲不踰矩’ should be approached at the level of school and social (lifelong and culture) education and used in classes. 본 연구의 목적은 공자(孔子)가 남긴 언명들 중 ‘종심소욕불유구(從心所欲不踰矩)’ 부분을 현대적으로 해석하는 것이다. 특히 인지과학자인 프란시스코 J. 바렐라(F. J. Varela)와 도덕 심리학자인 다르시아 나바에즈(D. Narvaez)의 논의를 중심으로 ‘종심소욕불유구’를 조명하고자 하였다. ㉠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해당 구절에 대한 기존의 풀이들을 살펴보았다. ‘마음이 원하는 바를 좇아도 법도에 어긋나지 않는다.’라는 해석에 있어서는 큰 차이가 없지만, 풀이를 시도한 사상가가 공자를 어떠한 존재로 인식하고 있었는지, 혹은 사상가의 학술적 특징은 무엇인지 등에 따라 해석의 이면에 자리하는 함의에는 다소 간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이어서 본 연구에서는 바렐라가 제시한 ‘윤리적 노하우(ethical know-how)’의 의미와 관련 키워드들을 정리하고, 여기에 비추어 ‘종심소욕불유구’ 가운데 ‘종심소욕’ 부분을 ‘심(心)’과 ‘욕(欲)’의 풀이를 중심으로 현대적으로 해석하였다. 바렐라와 공자의 학문적 관점이나 연구방법론이 정확히 합치하는 것은 아니지만, ‘즉시성’・‘경험’・‘구성’ 등의 측면에서 볼 때 일정 수준 이상 소통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 그리고 나바에즈가 제시한 ‘윤리적 전문성(ethical expertise)’의 의미와 특징들을 정리하고, 여기에 비추어 ‘종심소욕불유구’ 가운데 ‘불유구’ 부분을 주자(朱子)와 다산(茶山)의 주석을 중심으로 현대적으로 해석하였다. 나바에즈와 공자의 학문적 관점이나 연구방법론 역시 정확히 합치하지는 않지만, ‘윤리적 스키마’・‘윤리적 기술’・‘윤리적 직관’ 등의 측면에서 볼 때 일정 수준 이상 소통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 끝으로 본 연구에서는 향후 인지과학・도덕 심리학과 공자 사유의 연결을 더 심층적으로 개진하고, 재해석된 ‘종심소욕불유구’를 학교 및 사회(평생・교양) 교육의 목표 차원에서 접근, 수업에도 적용할 것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유교문화 전통연구에 관한 통합학문의 전망

        유권종 중앙대학교부설 중앙철학연구소 2007 철학탐구 Vol.22 No.-

        본 연구는 동아시아의 문화 전통에 해당하는 유교의 특성과 장점올 통합 학문으로써 조망할 수 있는 길을 찾아보고자 하는 목적 하에, 통합학문의 분야와 방법음 소개하고 그들이 유교 연구에 어떠한 미래적 전망을 줄 수 있는가를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글에서는 작은 수이지만 세 가지 유형의 통합학문을 선택하여서 그들이 제시하고 있는 관점과 방법론 내지 그것을 받쳐주는 이론적 가정들을 살펴보고, 그틀이 유교 연구에 어떠한 전망을 줄 것인가 하는 점을 살펴보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탐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검토한 통합학문은 다음 세가지이다. 첫째 생물학에 근거하여 자연과학과 인문학의 통섭을 지향하는 사회생물학 계열, 둘째 인지과학의 계열에 속하면서 근본적 구성주의를 주장하는 학문 계열, 셋째 철학자이자 섬라학자로 일컫는 켄 윌버에 의하여 주창되는 통합적 패러다임의 유형이다. 윌슨의 통섭에 대한 연구에서는 통섭의 궁극적 지향이 자연과학적 지식에 근거한 지삭의 통일을 지향하는 것이 통섭의 본질이라는 점, 서구의 계몽주의의 지적 유산을 계승하여 인간의 앎의 능력에 대한 신뢰를 보인다는 점, 인문학보다는 자연과학을 통섭의 주축으로 삼는 점, 나아가서 생물학 내지는 물질과학의 지식을 근거로 인간의 사고와 행위에 대한 윤리적 지침까지 판단할 수 있다고 보거나 또는 그렇게 해야 한다고 보는 점을 특징으로 파악하였다. 그라고 이러한 통합의 유형은 유교 연구에 긍정적이라가보다는 부정적이거나 소극적일 수 있다는 예측을 하였다. 근본적 구성주의에 대해서는 그 담론의 참여영역이나 학자들, 인식이란 자기 구성의 과정이자 그 표출이라는 견해, 앎에 대한 앎은 곧 인간의 자신의 한계에 대한 앎이자 윤리의 근거가 된다는 점, 생물학적 사회적 구조에 대한 깨달음에 근거하는 공존의 윤리를 제안하는 점 등의 내용과, 아울러 윤리적 행위의 본질은 윤리의 노하우라는 주장 등이 주요한 고찰 내용이다. 이 담론은 인간의 인지체계의 자기구성으로부터 사회 체계의 구성에 이르기까지 기존의 서구 인문학이나 자연과학의 전통적 지식 추구의 방법 가운데 칸트, 비코 등에 연원을 둔 구성주의적 사고를 더욱 철저히 발전시켜 온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동시에 그로 인하여 동아시아의 문화전통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의 관점을 세우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점이 서구의 인문학적 관점에 의한 연구로는 설명하지 못했던 유교의 특징들을 더 잘 인식할 수 있는 관점을 열어줄 것으로 기대하게 하는 것이다. 켄 윌버의 통합적 패러다임에서는 그 패러다임의 구조를 살피면서 인식의 3차원, 그것과 대응하는 3가지 안목, 홀론 내지 홀라키적 체계, 진리의 4상한, 전일성 등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유교 연구와 관련하여 본다면, 몇 가지 긍정적 전망을 주는 점이 발견된다. 우선 그의 홀라키적 체계는 물질과학적 지식보다는 정신적 가치나 의미, 또는 도덕적 성취의 아름다움을 강조하는 유교의 지향성을 학문적 연구대상으로 삼는 관점을 주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홀라키적 체계는 유교라는 문화와 그 지적 창조물들을 어디다 위치시켜야 옳은가 하는 의문을 과제로 주고 있다. 아울러 그가 과학적 지식의 엄밀성처럼 종교의 진실 성취를 검증하는 방법의 엄밀성을 강조함으로써 종교적 진실의 객관화를 꾀하는 것은 유교 연구에서도 본받아야 할 점이다. 특히 근본적 구성주의의 관점이나 켄 윌버의 통합적 패러다임은 표현에는 차이가 있더라도 양자 공히 궁극적으로는 근대 이후의 인간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과 원리 및 궁극적 지향점을 제시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인류가 동서양을 막론하고 성취해온 지적 전통 특히 철학과 윤리, 종교의 가치를 인정하는 태도나 그 방식에 있어서는 차이가 있지만, 그로부터 향후 인류가 취해야 할 개인적 집단적 삶(또는 행위)의 방향과 방식을 이끌어내고 있다. This paper, for a purpose to explain features and virtue of Confucianism with the methodologies of kinds of integrated studies, introduces fields and methods of integrated studies and inquire what perspective the integrated studies can give to studies of Confucianism. Three models of integrated studies were chosen and their viewpoints, methodologies and theoretical hypotheses were observed. The first is Edward Wilson's socio-biology which has been trying to make a consilience of natural sciences and humane studies, the second radical constructivism which originated from a kind of cognitive sciences, and the third a kind of integrated paradigm insisted by Ken Wilber. Inquisition about Wilson's consilience revealed as follow: the ultimate head of his consilience for unification of all kinds of knowledge based on the natural scientific knowledge is real nature of consilience. His conception of consilience has confidence in human intellectual capacity in the same way with Enlightenment. It gives the main role of the unification to natural science rather than to the Humanities and it takes a matter of course that guiding ethical principles must be abstracted from biology or other natural sciences. However such a way of consilience could be thought negative to the contemporary interpretation of Confucianism. Things about radical constructivism were studied as follow. Scholars who have joined the discourse of radical constructivism and their fields of research were mentioned. According to their conclusion, human cognition must be a process and expression of its self construction, and knowledge of knowledge is just knowledge of limits of human being itself and becomes basis of ethics. The members of the constructivism have suggested ethics of coexistence based on the realization of biological and social construction, and also insisted that the essence of ethical practice was not know-what but know-how of ethics. Their discourses ranging from about self-construction of cognitive system to construction of social system have been produced as a result of developing thoroughly the context of constructive thinking rooted in thinking of Kant and Vico rather than many context of seeking knowledge methods in the Western modern era. In addition they developed a new and positive viewpoint to estimate the East Asian cultural traditions, and therefore radical constructivism can be anticipated to establish a new viewpoint to recognize the real features of Confucianism that have not been explained well from the viewpoints of modern humanities of the West. About Ken Wilber's integrated paradigm, the structure of the paradigm was researched. Three dimensions of cognition and three eyes correspondent to the dimensions, his points ranging from holon to system of holarchy he devised, four quadrants of truth, the totality, etc., are details of his paradigm. It is sure that his ideas can give some positive perspective to study Confucianism. First, the system of holarchy is very inclusive because it gives a proper place of knowledge not only to natural science but also to humanities or religion. So we must discuss how to decide proper places of Confucian knowledge and culture. At the same time he insisted that objectification of religious truth is necessarily pursued as strict as the objectification of natural scientific knowledge. His insist as like this must be applied to research of Confucianism. Both of the latter two, even though each opinion is not the same, seem to suggest radical solution of problems especially about mankind occurred in the modern civilization. Even though they are not the same in attitudes or methods of acknowledgement of intellectual traditions, for example philosophy, ethics and religions on the both sides of the globe, they are the same that they established directions and styles that mankind have to adopt as their desirable lives in the future just from the traditions. Their ideas must be a new creation of traditions. Faced to these new currents of integrated studies, research of Confucian cultural tradition has to be joined to these currents and therefore they will become methods to make Confucian wisdom more affluent 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haman lives. If there is no reason why we have to stick to Confucianism itself, then construction of new wisdoms that fuses wisdom of Confucianism and other great wisdoms in a context will be allowed.

      • KCI등재
      • KCI등재

        공감의 도덕발달심리학적 해석과 도덕교육적 함의

        김은미 ( Kim Eun-mi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21 초등도덕교육 Vol.- No.72

        본 연구는 도덕발달심리학의 연구동향에 따라 ‘공감(empathy)’의 기제를 밝히고 이 기제가 지니는 도덕교육적 함의를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공감할 수 있는 능력이 자아를 도덕적 자아로 거듭나게 한다는 도덕심리학적 연구에 주목하고자 한다. 자아의 발달이 타인과의 반복되는 공감의 과정을 겪으면서 자율성과 상호성이 그 강도를 함께 높여간다는 연구결과들이 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서 공감의 도덕철학적 접근이 가지는 한계를 넘어서기 위해서는 도덕발달심리학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을 알리고자 한다. 아울러, 도덕심리학적 해석에 기초해서 공감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도덕과 교육의 구체적인 적용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This study tries to discuss the importance of empathy and its mechanism based on the current moral psychological theories. For this purpose, we consider the result of psychological theories that a person becomes a moral self when he has an ability to empathize with others. That's because the development of sense of self is enhanced by the progress of reiterated empathy in the interaction with others. We should examine the necessity of the moral psychological approach as well as the moral philosophical one. At the end of this study, we try to come up with several ideas to improve empathy ability in moral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