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삼국유사 효소왕대 죽지랑조의 서사적 의미소통과 <모죽지랑가>

        이승남 ( Seung Nam Lee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0 韓國思想과 文化 Vol.54 No.-

        본고는 효소왕대 죽지랑조의 역사적 배경적 상황보다 서사의 문면에 반영된 찬자 일연의 서사적 의도에 주목하여, 각 부분 서사들을 관류하는 하나의 일관된 의미소통의 맥락을 짚어냄으로써 전체 서사의 의미소통 구조와 양상을 살피는 동시에. 이러한 의미소통의 맥락 속에서 향가 <모죽지랑가>가 지향하는 시적 정서 및 서사적 전개상의 의미를 살피고자 했다. 효소왕대 죽지랑의 서사적 전개는 전체 서사가 죽지랑 혹은 화랑 세력의 흥성이나 쇠락의 국면보다 죽지랑의 개인적인 풍모를 중심으로 이루어지 있다. 득오의 휴가를 청하러 가는 죽지랑과 그 일행의 태도, 사리 간진과 진절 사지의 행동, 조정 화주와 대왕의 조치 등은 오로지 죽지랑이라는 한 인간의 인품이나 풍모를 드러내기 위한 이야기이다. 이 이야기는 죽지랑이 익선에게 겪은 일을 수치스러운 것으로 기록하지 않고 있으며, 죽지랑의 행동이나 태도를, 공과 사를 엄격히 구별하고 그의 문도를 아끼는 마음이 각별하다는 점에 초점을 맞추는 한편, 이러한 점을 익선의 무례하고 뇌물을 좋아하는 태도와 대비시켜 죽지랑의 重士風味를 더욱 돋보이게 하고 있다. 또한 험한 고개를 넘는 사람들을 위해 그 길을 평평하게 닦고 있던 거사의 행동은 곧 이 거사가 죽어 환생한 죽지랑의 아름다운 인간적 풍모를 암시하고 있다. 결국 이 서사는 죽지랑이 이러한 인품이 바탕이 되어 자라서 삼국을 통일하고 4대에 걸쳐 재상이 되어 나라를 안정시켰음을 결론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효소왕대 죽지랑조의 전체 서사는 찬자의 서사적 의도 하에 죽지랑의 개인적인 풍모의 아름다움을 핵심으로 그 의미소통의 맥락이 형성되고 있으며, <모죽지랑가>에서 표출되고 있는 득오의 죽지랑에 대한 무한한 그리움의 정서는 서사의 전개 과정에서 제시된 죽지랑이 지닌 인간적인 풍모를 보다 강조하여 기리는 기능을 하고 있다. The story of Hyosowangdae-Jukfirang mainly describes Jukjirang`s personality not the rise and fall of Jukjirang or Hwarang. This story does not depict what he has been through as a shameful thing rather it focuses on Jukjirang`s behavior and attitude specially concerning his member. The story compares Jukjirang to Ikseon, a rude bribee. This make Jukjirang more attractive. Also the behavior of Geosa who met Sulfonggong infers the good personality of Jukjirang, who is the reincarnation of Geosa. The story describes that the pesonality of Jukjirang became the base of the unity of three countries and the stabilization of country as a prime minister for 4 king`s period.In conclusion, this story forms the context of meaning communication mainly for the good personality of Jukjirang within the intension of storyteller. The unlimited longing for Jukjirnag in Mojukjirangga emphasis the personality of him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description.

      • KCI등재

        한국영화 <차이나타운>과 <신세계>의 갈등구조 연 구: 정신분석학적 접근

        유세문 ( Yoo Semoon ) 한국비교문학회 2016 比較文學 Vol.0 No.70

        본 연구는 정신분석학적인 접근을 통해 한국 영화의 서사를 이해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영화에서 가장 중요한 서사적 요소인 갈등 구조는 서사에 역동성을 부여함으로써 영화가 관객들과 성공적으로 소통할 수 있게 한다. 영화의 서사는 문자로만 이루어져있는 문학과는 달리 영상이나 사운드와 같은 다양한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기때문에 분석 작업에 특별한 전략이 요구된다. 따라서 갈등이라는 서사적 요소에 집중함으로써 영화 서사 분석의 난관을 돌파하고자 하였으며, 그것을 다루는 틀로서는 `유사가족(類似家族)`라는 표상을 선택하였다. 유사가족이란 혈연을 통해 엮이지 않았으면서도 가족주의에 바탕을 둔 사회적 집단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국의 문화적 특성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가족주의` 이데올로기이므로 한국 영화의 갈등 구조를 분석하는 틀로 유사가족 표상을 활용하는 것은 본 연구만의 독창적인 시도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한국에서 유사 가족 표상이 나타난 영화는 너무나 많이 존재하기에 모든 사례를 점검하려고 시도하기보다는, <차이나타운>과 <신세계>라는 일부 사례를 통해 한국 영화의 서사를 보다 체계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하나의 전략을 시험함으로써 앞으로 진행될 후속 연구의 기틀을 마련하는 것이 본 연구가 지향하는 지점이다. 분석에는 정신분석적 방법이 집중적으로 도입되었으며, 기호학적 방법으로 기능적 차원을 보충하였다. This study concentrates on understanding narrative of Korean popular films through a psychoanalytic approach. Conflict as a important dramatic element makes dynamic narrative structure to communicate with audience successfully. In analyzing films, we need some special strategies because of complexity from non-textual components like image and sound of film, unlike literature. Therefore, focusing on the conflict structure of film narratives allows us to overcome difficulties of narrative analysis of films. In addition, as a framework of the analysis of this study , the representation of `quasi-family` is chosen. Quasi-Family includes various forms of social unit that have shape of family, but these are not real family. Using the framework of quasi-family for analysing the conflict structure of Korean film narratives is a unique attempt for this study because the representational ideology of Korean society and culture is `familism`. The destination point of this study is not analyzing all the cases but testing the method to analyze narrative of films through studying on just two cases, < The Coinlocker Girl > and < The New World > because there are too many films of film related with the representation of `quasi-family`. Analysis method consisted of psychoanalytic approach mainly, and semiotic method was used partially for functional purpose.

      • KCI등재

        『삼국유사』의 <처용랑과 망해사> 서사 연구

        손승희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9 동방학 Vol.0 No.4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ocial context where Cheoyong and Manghae Temple has as text by analyzing its origin and structure, in terms of a demythologizing process into a ritual-type historical narrative. As a social narrative, Cheoyong and Manghae Temple in Samgukyusa has a double structure between the King’s drop-by and Cheoyong’s show-up mediated with a dance. As a ritual narrative, the Cheoyong text reads as a performance to drive away personified pest-like diseases. The name of Cheoyong and Cheoyong dance support this reading. In conclusion, Cheoyong and Manghae Temple provides the historical and social context for revisiting Cheoyong text, a well-known Korean folk myth, as a ritual performance. 본고는 『삼국유사』의 「기이」편 <처용랑과 망해사>의 서사구조를 분석함으로써 처용설화의 역사상 위치를 찾아 제의 텍스트로서 당대 사회적인 가치를 복원시키려 한다. 그러한 시도는 처용의 주술적인 위력의 연원을 찾아가는 논의를 거쳐서 무속적인 처용 신화를 탈신비화하고 역사상의 이야기로 다시 읽는다는 도전적인 의미를 갖는다. 『삼국유사』의 「기이」편의 사료 배열을 보면 『삼국사기』를 의식하고 집필한 흔적이 역력한 만큼, <처용랑과 망해사>를 『삼국사기』 권 제 11, 「신라본기」의 제 11대 신라 헌강왕대의 정치사에 비추어 읽어 본다. 발생 초기부터 원시 종합예술로서 주술적 양상을 띠었던 처용가, 처용무, 처용 신화, 처용 야사의 기록으로서의 정착된 처용설화를 재조명한다. <처용랑과 망해사>에서 처용가와 처용무는 방역과 주술적인 치료를 목적으로 한 행위 예술의 역할을 한다. 처용의 이름 유래, <처용랑과 망해사>의 서사 구조 및 제의 의식을 구성하는 춤의 요소 사이에 연결고리가 발견된다. 예를 들어, <처용랑과 망해사>를 두고, 당시 사회에 만연했던 역병의 퇴치 이야기로 읽어 낸 서양 학자의 상상력도 예술과 주술의 혼합성을 전제로 자연재해에 대응하는 제의적인 측면을 드러낸다. 이와 같이, 처용 이야기를 민간 설화/ 민속 신화에서 역사로 복원하면서, 정치적, 종교적, 예술적 흐름이 혼합된 <처용랑과 망해사>를 당대 사회의 맥락에서 다시 읽어 낼 수 있다. 이렇게 처용의 역사화 논의를 마치면서 <처용랑과 망해사>의 제의 서사적 측면에 중점을 둔 본고에 얹어서 다양한 관점에서 해석되고 있는 처용 다시 읽기의 후속 논의를 기대한다.

      • 한국의 <호동왕자, 낙랑공주>와 베트남의 <미 쩌우, 쫑 투이(Mi Chau Trong Thuy)>1) 비교 연구

        이현정 ( Hyeon Joeng Lee ) 한국동방문학비교연구회 2015 동방문학비교연구 Vol.4 No.-

        한국의 <호동왕자·낙랑공주>와 베트남의 <미 쩌우·쫑 투이>는 역사적 배 경을 바탕으로 국가간의 대립과 침략 그리고 그에 따른 비극적 결말이라는 유사한 서사구조(자식이 부모와 조국을 배반하고 아버지는 자식을 죽이며 사랑은 비극적 결말)를 지닌 작품이다. 한국의 <호동왕자·낙랑공주>는 적국이 침입하면 저절로 운다는 자명고각의 신비성을, 베트남의 <미 쩌우·쫑 투이>는 한 번 쏘면 여러 발의 화살촉이 발사되는 신노의 신비성이라는 표현의 유사성을 지니고 있다. 반면 한국의<호동왕자·낙랑공주>는 고구려의 영토 확장 업적의 정당성을 기술하는 이야기로 전승되었고, 베트남의 <미 쩌우·쫑 투이>는 이민족의 침략에 대한 경계를 기술하여 전승되는 차이가 있다. 두 작품의 모두 나라에 대한 충, 부모에 대한 효사상보다 남녀의 사랑을 우위에 둔 이야기로 남녀주인공 모두 비극적 결말을 맞이하는 이야기로 끝을 맺는다. 한국은 남녀의 사랑을 소재로 고구려의 영토 확장의 정당성을 이야기하고, 베트남은 남녀의 사랑을 소재로 이민족 침략에 대한 경계를 주지시키는 이야기로 형상화 되었다. Korean <Hodong & Nakrang> and Vietnamese < My Chau Chong Thuy> has a similar narrative structure based on historical backgrounds; a confrontation between two countries, invasion and tragedy (children betray their parents and countries, father kills his children and love meets a tragic ending). There are similar expressions of mystique in Korean <Hodong & Nakrang> with Jamyunggogak which plays by itself when enemy invades the country, and Vietnamese < My Chau Chong Thuy> with the Arrow of God which shoots several arrows with a single shot.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difference that Korean <Hodong & Nakrang> is a folk tale to describe legitimacy of territorial expansion by Goguryeo, and Vietnamese < My Chau Chong Thuy> is a story to describe guard of invasion by other nations. Both stories give love between man and woman superiority over loyalty and filial duty, and every main character meets tragic ending at the end. Korea is talking about territorial expansion of Goguryeo with the love between man and woman, and Vietnam is talking about guard of invasion with same one in a story.

      • KCI등재
      • KCI등재

        플라톤의『향연』에서 ‘아토포스’ 소크라테스

        조흥만 한국동서철학회 2023 동서철학연구 Vol.- No.109

        본 논문은 소크라테스의 독특함(atopia)으로 인해 그의 정체성이나 위상 파악이 불가능하다는 ‘아토포스 소크라테스 테제’를 입증하려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소크라테스의 아토포스한 진면목을 좀 더 입체적으로 파악하려는 이 규명 작업은 알키비아데스의 연설뿐 아니라 『향연』의 틀 이야기 첫 장면과 본 이야기에서 아가톤의 집으로 가는 길 그리고 최고 비의에서 ‘사랑의 사다리’ 각각을 하나하나 점검하면서 검토된다. 복잡한 서사 구조가 특징을 이루고 있는 아폴로도로스 틀 이야기의 첫 장면을 아토포스 소크라테스 테제에 비춰볼 때, 이 복잡한 이야기 구조 속에서도 소크라테스는 여전히 파악이 가능하지 않고 상당히 모호하고 불분명한 대화자로 남는다는 것이 일관되게 드러나고 있다. 아폴로도로스를 뒤쫓은 글라우콘이 그와 함께 시내로 같이 올라가며 이야기하듯이, 우리는 팔로워와 리더가 함께 나아가며 리더가 팔로워에게 과거 사건에 대해 이야기를 제공하는 형태를 보게 된다. 또한 아가톤의 집으로 가는 도상에서 소크라테스는 아가톤의 허락도 없이 불청객으로 아리스토데모스를 초대하고 자신의 범상치 않은(atopos) 습관으로 인해 그와 했던 변명 약속도 지키지 않는다. 자기 자신의 의지에 충실하고 자신의 비관습적 조건이 충족되고 나서야 모임에 참석하는 그의 결행을 통해 우리는 소크라테스의 아토포스한 자율성과 독립성을 확인하게 된다. 최고 비의에 나타난 ‘사랑의 사다리’ 논의를 우리는 모두 8단계로 세분하여 구조 분석을 단행한다. 단계별 상승 논의는 한 몸에 속한 아름다움에서 시작해서 모든 아름다운 몸들, 아름다운 영혼들, 행실들과 법들의 아름다움, 앎들, 단일한 앎, 아름다움의 큰 바다, 신적인 아름다움 자체에서 마무리된다. 각 단계마다 소크라테스에 관한 상충되고 모순적인 특징들을 발견하게 되는데, 이 정도로 우리는 사다리 여기저기서 자연스럽게 아토포스한 소크라테스와 조우하게 된다. 끝으로 ‘열린 개념’(open concept) 논증과 ‘가족 유사성’(family resemblance) 방법의 도움으로 우리는 소크라테스가 사랑의 사다리 각 단계를 오르내리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게 된다. 현존과 부재를 넘나드는 그가 모든 곳에 있고 그래서 어디에도 없는 본성적으로 아토포스한 존재로 밝혀지는 것이다. This paper attempts to clearly demonstrate ‘atopos Socrates thesis’ that because of the atopia(strangeness) of Socrates it is impossible for us to comprehend his personal identity and his position in each step of the ladder. The present thorough investigations about the true aspects concerning an atopos Socrates, however, are related to the frame dialogue, his journey towards Agathon’s house, and the ladder of love in the highest mystery in Symposium. When it comes to Apollodorus’ opening journey in the structure of complex narratives, Socrates is an unbeknownst person as well as a very ambiguous one to us. Besides, the relationship between Glaukon and Apollodorus is notably revealed as the leader-follower hierarchy: who is in front, who behind, who is interested in philosophy and above all who is “in love” with Socrates. Similarly, it is introduced to us that Socrates’s journey to the house of Agathon in the company of Aristodemus is without Agathon’s permission. Socrates, left behind, violates his collaborative proposal to Aristodemus on account of his atopos habit, meditation. Socrates’ strangeness that he has a willingness to participate or follow only on his own unconventional terms is not only his autonomy in both choosing and proceeding but also his independence from social conventions. It seems that Plato encourages us to identify Socrates with all the roles connected with the ladder, which in turn echo the relationship sketched in Apollodorus’ opening journey and Socrates’s journey to the house of Agathon. I will analyze 8 steps of the ladder as outlined by Diotima: the beauty of one body(Step 1), the beauty of all bodies(Step 2), the beauty in souls(Step 3), the beauty in activities and laws(Step 4), beauty of kinds of knowledge(Step 5), beauty of a single knowledge(Step 6), the great sea of beauty(Step 7), beauty itself(Step 8). It is known that with the help of ‘open concept’ argument and ‘family resemblance’ method, in each and every step Socrates is someone who repeatedly ascends and descends like the daimōn Eros. I have tried to argue that Socrates can be viewed more or less plausibly as occupying all of the steps on the “ladder of love.” Socrates is everywhere, and therefore nowhere. He is atopos, ‘placeless.’

      • KCI등재

        백석 시의 비유적 표현과 환유적 상상력

        신철규 ( Cheol Gyu Shin ) 민족어문학회 2011 어문논집 Vol.- No.63

        이 논문은 1920년대의 시들이 은유적 구조를 바탕으로 고립과 유폐된 자아로서의 자기 동일성을 확인하는 차원에 머물렀다고 보고 그러한 한계를 넘어서는 1930년대의 시인으로 백석에 주목했다. 특히, 고립된 시적 주체의 내면에 집중하지도 않았고 시대적 현실을 교조적으로 비판하는 자리에 서지도 않았던 백석의 시의식이 어떻게 대상을 바라보고 그것을 재현해냈는지 그 비유적 표현을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백석은 은유에 비해 범위가 한정될 수밖에 없고 설명적 성격이 강한 직유를 주로 사용했다. 직유는 비유의 과정을 명시적으로 드러내기 때문에 단일한 의미의 전달에 치우친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지만, 은유처럼 전이의 흔적을 말소하지 않기 때문에 오히려 은유에 내재된 근대의 표상 작용의 한계를 극복해내는 지점을 마련한다. 백석은 직유를 통해 체험의 직접성을 드러내면서 장소를 효과적으로 환기한다. 백석의 시에는 화자의 장소에 대한 애착과 개방적인 시선이 중첩되어 유사성과 함께 인접성이 비유(직유)의 동력으로 작동한다. 이러한 비유 속에서 시 속의 인물은 그가 속한 장소와 운명 공동체로 결속된다. 백석 시의 비유는 단순한 듯 보이지만 사물 간의 유사성이 인접한 장소에 대한 연상으로 보완되면서 풍부한 의미를 내포하게 된다. 또한 백석의 시들은 대개 집단적 기억에 관련된 풍부한 일상적 경험을 원천으로 하고 있다. 백석의 시에서 가족 혹은 친지의 외양은 동물(가축)에 자주 비유되는데, 이는 그만큼 그러한 동물(가축)이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백석의 직유는 단순히 인물이나 사물의 이미지에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가진 이야기(역사)에 집중하고 그것을 직유의 앞뒤에 풀어낸다. 이를 통해 백석은 우리 민족의 고유한 풍습과 관계된 사물에 인격을 부여하고 그것과 함께 슬픔과 시간을 나누면서 공감하는 세계를 직조한다. 백석의 시에서는 사물의 누적된 슬픔과 시간의 다의성과 비규정성을 드러내기 위해 직유가 사용된다. 하나의 사물은 하나의 속성으로 귀결되지 않으면서 풍부한 함의를 가지며 독자의 상상력을 작동시킨다. 또한 이는 막연하게 표현할 수밖에 없는 인간의 복합적인 감정을 구체적이고 감각적으로 향유하게 한다. 백석 시의 비유적 표현은 대상 간의 유사성을 부각시키기는 하지만 하나가 다른 하나를 일방적으로 설명하는 것이라고 보기 힘들다. 오히려 그것은 대상 간의 유사성뿐만 아니라 근친성을 드러내면서 그 고유성을 부각시키고 인간과 자연, 사물과 장소가 하나의 운명 공동체임을 확인하게 해준다. 이러한 인식의 바탕에는 자연(사물)을 대상화하는 것이 아니라 사물의 입장에서 바라보는 시선이 깔려 있다. 이러한 개방된 시선과 그 이동의 자유로움은 환유적 상상력에 기인한 것이다. 환유적 상상력은 주체가 대상을, 혹은 대상과 대상을 동일시하는 연상 체계가 아니라 주체가 대상을, 혹은 대상과 대상을 인접성에 의해 병렬적으로 파악하는 연상 체계를 말한다. 백석의 시는 서정시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졌던 주관과 객관이 구분되지 않는 통일성을 기반으로 하는 동일성의 시학을 환유적 상상력을 통해 극복했다고 볼 수 있다. The aim of this treatise is to explore the metaphorical expression in Baek seok`s poetry. 1920`s poetry is based on metaphorical structure, in which poetic subject is isolated and do nothing but confirm self-identity. Baek seok`s poetry does not concentrate the inner world of isolated poetic subject and not dogmatically criticize the colonialized real situation. This treatise especially considers how Baek seok look into and represent objects by metaphorical expression. Baek seok mainly make use of simile than metaphor that attempt transference and expansion of meaning by appropriating terms belonging to another objects. Although demonstrating plainly the process of metaphor there is a limit to simile of inclining toward delivering single meaning, not erasing traces of transference it arrange a place that overcome the limitations of modern representative system that is immanent in metaphor. By simile, Baek seok expose the immediacy of experience and evoke places effectively. Combined topo-philia and open view in Baek seok`s poetry, adjacencies among objects operate upon metaphor(simile) with similarities. In these metaphors, characters in poems are bound together places that they belong to. Moreover an appearance of family and close acquaintance is compare to animal or livestock, it proves animal and livestock is connected with their life. A simile in Baek seok`s poetry concentrates upon a history and episode of object rather than their image. In short, simile is applied to expose the accumulated time and emotion in object. Then, certain object don`t have one property, but it have abundant significance and give reader`s imagination full play. Also, it makes reader to enjoy concretely and sensitively man`s mixed emotion that is expressed obscurely and ambiguously. Although metaphorical expressions in Baek seok`s poetry standout similarity between objects, one hardly ever explains another one-sidedly. Instead, it displays singularities of objects by disclosing not only similarity but also adjacency between objects, and make reader to find that man and nature, object and place are bound together a single group sharing a common destiny. Poetic subjects in Baek seok`s poetry don`t see objects from man-centered view or objectification, but give place to objects themselves. These open views and free transpositions arise from metonymic imagination. The metonymic imagination is a association system that do not identified subject and object, or object and object, but understand objects in parallel with adjacency between one and another. By metonymic imagination Baek seok`s poetry overcome a poetics of identification, which is dealt with significantly in lyric poetry that is based on a uniformity of subjectivity and objec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