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유럽과 프랑스의 특허업무와 특허담당기관

        권세훈(KWON,Sea Hoon) 유럽헌법학회 2011 유럽헌법연구 Vol.10 No.-

        특허는 유럽에서 르네상스 이전부터 발전하여 오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오늘날 EU라는 국가연합형태로 경제적 통합을 넘어서 정치적 통합으로 나가있지만, 유럽의 특허시스템은 편리하고 통일된 형태를 아직 갖추고 있지 못하다. 유럽특허협약에 의하여 유럽특허 협회라는 기구를 중심으로 유럽특허사무가 행하여지고 있다. 하지만 특허사무에 대한 사법관할의 통일화가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고, 국내특허 또는 유럽특허에 대한 분쟁이 분할되어 이루어지고 있어 특허에 대한 분쟁에 대한 판결은 각 회원국의 법원에서 다르게 내려짐으로서 서로 모순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위험성이 상존하는 상태이다. 뿐만 아니라 각국의 언어로 번역하여야 하고 특허를 얻은 후 각국의 법률에 따라서 특허권을 관리하여야 하는 것에 많은 비용이 소모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유럽이 특허담당기관이 되어 유럽공동체특허를 만들어서 실현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실현되고 있는 시스템은 여전히 유럽재판소에 특허침해와 특허의 유무효 분쟁에 대한 관할권을 집중시키지 못하고 분산되어 있다. 국내 특허와 유럽특허로 분리되어 있고, 유럽공동체특허가 첨가되어 더욱 혼잡한 시스템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와 같이 관할권이 집중되지 못함으로서 소송비용이 더욱 높고, 각국 법원간의 판결의 모순에 의한 법적 안정성이 흔들리는 측면도 있다. 결론적으로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 특허시스템이 발전하여야 할 방향은 첫째, 유럽특허와 자국(회원국)특허의 합치를 이루어내는 일이다. 현행 시스템은 특허인정 단계에서는 우리가 위에서 본 바와 같이 법적 안정성 문제와 비용의 문제를 해결하기 힘들다. 둘째, 특허분쟁 해결단계에서는 특허분쟁을 담당하는 소송체계의 문제를 해결하여야 한다. 자국의 법원과 유럽법원이 분리된 상태에서 특허 분쟁을 해결한다면, 특히 유럽차원에서 소송이 진행된다고 하면 회원국에서는 소송중단이 강제되지 않는다면, 관할권의 문제와 판결의 모순을 피하기 어렵다. 마지막으로 특허를 담당하는 자의 지위도 통일하여 변호사가 할 것인가, 특허대리인을 별도로 둘 것인가 하는 문제도 통일적으로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C`est vrai que le brevet n’est valable que sur un territoire déterminé, pour un État déterminé. De cette manière, le brevet est-il de tout temps national. Il est réalisable de déposer une demande de brevet pour un État, ou pour un groupe de pays. En effet, une demande de brevet peut envelopper plusieurs États, mais à la délivrance, il y a toujours autant de brevets nationaux que d’États où une protection est sollicitée. contrairement, l’invention doit être devoilee au public : en pratique, les brevets sont d’une manière inéluctable publiés 18 mois après la date de priorité, c’est-à-dire le premier dépôt, sauf cas particuliers. En Europe, des brevets sur des produits pharmaceutiques ou phytosanitaires peuvent être prolongé de 5 ans au plus par un certificat complémentaire de protection. Au debut, seuls existaient les systèmes nationaux de brevets, avec pour conséquence une duplication des tâches des Offices des brevets. En effet, dans différents pays, ce sont souvent les mêmes éléments de l’état de la technique et les mêmes arguments qui sont invoqués pour mettre en cause la validité des demandes de brevet et en imposer la limitation au cours des procédures officielles d’examen. Il en résultait également des coûts accrus pour les déposants. L’idée d’un 《brevet mondial》 ou d’une reconnaissance mutuelle entre différents pays étant peu envisageable, il s’est développé le système du brevet européen, permettant, par le dépôt et l’examen d’une unique 《demande de brevet européen》, d’obtenir la délivrance d’un brevet européen pouvant exercer ses effets dans un certain nombre de pays européens : le déposant peut désigner n’importe lequel des (actuellement) trente-huit États contractants. Le brevet européen peut également prendre effet, à compter de la délivrance, dans des États non contractants qui reconnaissent la validité du brevet délivré sur leur territoire.

      • KCI등재

        유럽 통합 특허법원의 설립과 발족

        김성기 한국지식재산학회 2017 産業財産權 Vol.- No.52

        유럽의 특허제도는 1978.6.1.부터 운영되고 있는 유럽 특허조약(EPC) 하의 EPO를 통하여 실체법에서는 상당히 높은 수준의 통일을 이루고 있으나, 권리 행사에 있어서는 보통법의 체계를 가진 영국과 프랑스, 독일로 대표되는 대륙법 체계의 국가들로 인하여 커다란 차이가 존재하고 있다. 이처럼 오랜 전통의 상이한 사법체계를 가진 국가들을 통합하는 어려운 작업 결과로 탄생한 것이 유럽 통합 특허법원인 것이다. 이러한 법 체계의 차이는 근본적으로 소송에 사용되는 언어상의 차이 외에도 인적 요소인 법원과 대리인이라는 측면과, 둘째로 소송 절차 측면 이렇게 두 가지에서 크게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인적 요소의 측면을 살펴 보았다. UPC에서는 소송의 적정성 확보를 위하여, 소송의 유형을 9가지로 구별하여 각 유형별로 필요한 전문성을 고려하여 재판부 구성을 달리 하였다. 이와 같은 소송 유형별 재판부 구성방법은 기존의 독일 연방 특허법원에서 채용되던 방법이다. 여기에 더하여 특허 침해소송에서 제일 자주 주장되는 항변 사유인 특허 무효 주장을 어떻게 전문성을 유지하면서 다룰 것인가 하는 문제가 있다. 특허 무효의 반소에 대한 재판은 당사자의 선택에 따라, 특허 침해의 본소와 함께이거나 또는 본소와 분리하여, 지원 또는 본원에서 재판할 수 있게 하였다. 독일식의 침해소송/무효소송 분리 재판제도와 영국, 프랑스식의 통합 재판의 2가지 모두를 허용하고, 당사자의 선택에 맡긴 것이다. 재판의 전문성을 위하여 1심 법원을 본원(Central Division)과 지원(Local Division)으로 나누어 특허권의 취소를 위한 특허 무효소송이나 특허 침해/비침해 확인 소송은 본원에서, 특허 침해에 기초한 손해배상 또는 침해 금지 소송은 지원에서 재판하는 것을 기본 구조로 하고 있다. 이를 감안하여 본원 재판부에는 항상 기술 판사를 포함시키고 있으며, 지원에서 당사자의 선택으로 특허 무효의 반소를 심리할 때에 기술판사를 포함시키는 것이 의무화 되어있다. 특허소송에서 인적 요소의 또 다른 축인 소송 대리인에 있어서 UPC는 산업계의 강력한 요청으로 유럽 변리사를 소송 대리인으로 선택하게 하였다. 이는 2007년 영국의 법조개혁에 따른 성공적 경험에 힘입은 것이지만, 1978년 이래 40년 가까이 EPO에서 특허 분쟁을 대리해오면서 축적한 발명자와 출원인들의 신뢰가 없었더라면 불가능하였을 것이다. 보통법과 대륙법간의 수백년간의 상이한 법률 전통과 같은 대륙법체계라하여도 상당한 차이를 보이는 독일과 프랑스의 사법제도를 아우르는 통합 특허법원의 발족은 매우 흥미로운 발전이며, 21세기 과학기술 발전에 대한 유럽의 과감한 대응이다. 대륙법체계에 바탕을 두고 있으나, 점증하는 미국법의 영향을 받고 있는 우리에게 UPC는 더욱 흥미로운 연구대상이다. The patent system in Europe achieved a high degree of harmonization in substantive law through the EPO established under the European Patent Convention(EPC) since June 1, 1978. In respect of enforcement, however, substantial differences are existing between the UK under the common law tradition and other European states including France and Germany under the tradition of civil law. The Unified Patent Court (UPC) of Europe is a result of successful integration of different legal traditions and judicial systems. The differences of judicial system reflected in, first, human factor of the judges and representatives and, secondly, legal rules of procedure for litigation. This study looked into human factor of the differences among European states discussed during preparation of the UPC. Under the UPC, nine(9) types of patent litigation are prescribed and specific composition of the panel of judges for the prescribed litigation are provided for fair and competent decision by the court. Different composition of judges for different kinds of litigation has been successfully adopted in the German Federal Patent Court. Another issue debated during preparation of the UPC was how to competently adjudicate counterclaims of invalidity raised in infringement actions. Counterclaim of invalidity heard before the original infringement panel has been decided to be transferred to the Central Division, with or without the infringement claim, upon the parties’ choice. Bifurcation between invalidity claim and infringement claim in German patent litigation as well as integration of invalidity and infringement claim found in UK or French patent litigation procedures are provided in the UPC and can be taken upon the parties’ choice. Taking into consideration of the competence of panels, the First Instance Court of UPC is divided into, in principle, the Central Division to hear patent revocation and declaration of patent (non)infringement, and Local Divisions to decide remedies for infringement, i.e. damages, injunctive relief and provisional measures. Considering the division of work 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Divisions, the panels of the Central Division always include a technically qualified judge. Also a Local Division hearing a counterclaim of revocation upon the parties’ choice shall include a technically qualified judge. For another human factor in patent litigation, i.e. the representative, the UPC provide a unique solution. For a litigation to be heard before the UPC, the parties must be represented either by a lawyer of the member state or an Europena Patent Attorney (EPA). Representation of a patent litigation by an EPA reflects a successful experience of Legal Services Act of 2007 in England and Wales as well as the trust in EPAs of the patentee developed over the last 40 years’ successful history of representations by EPA before EPO. The successful establishment of the UPC is a very interesting development showing harmonization among different judical systems of the UK, France and Germany. The co-operation among different legal systems in Europe has developed for centuries. The new system of the UPC is a brave response to challenges encountered in Europe caused by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The UPC is an interesting subject of study for lawyers of patent jurisprudence in Korea, the legal system of which is based on jurisprudence of civil law but under the rapidly increasing influence of that of the American law.

      • KCI등재

        유럽사법재판소 판결로 본 유전자 특허의 한계

        박기주(Park Ki-ju)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12 法學論叢 Vol.19 No.2

        유전자 특허는 그 성립자체가 많은 논란을 일으킨 문제이고 지금도 그 논란은 계속되고 있다. 유럽연합(EU)은 이미 유럽생명공학지침을 통해서 유전자특허 및 생명특허의 문제에 대한 일정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었다. 그러나 생명공학지침은 그 자체로 해석의 여지를 남기는 대상으로 회원국은 각자의 특허법을 통해 유전자특허를 규율하고 있었다. 이에 대해 유럽사법재판소(CJEU)는 2010년 7월 6일과 2011년 10월 18일에 의미 있는 결정을 내리게 된다. 이 두 결정은 유전자 특허의 한계에 대한 유럽사법재판소의 법적 판단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우선 2010년 7월 6일 유전자변형대두박(soybean meal)에 대한 특허 결정은 많은 당사자들이 연관된 국제적인 소송임과 동시에 유전자변형생물체의 산업적, 경제적 이용을 위한 특허보호의 범위가 문제된 사안이다. 이 판결에서 유럽사법재판소는 다국적 종자기업인 몬산토의 유전자변형생물체에 대한 특허가 기능적인 관점에서 제한된다고 판단했다. 그리고 유전적 특성의 발현시점이 현재적이어야 하며 과거 또는 미래의 가능성만 있는 경우에는 특허보호 대상에서 제외된다는 점을 판시하였다. 2011년 10월 18일의 판결은 유럽생명공학지침 제6조 제2항 c)의 인간배아(human embryos)의 의미가 무엇이며 인간배아의 산업적 혹은 상업적 이용이 무엇인지에 대해 밝힌 판결이다. 유럽사법재판소의 결정은 인간배아의 사용에 대해 제한적인 해석을 내리고 있으며 이에 대한 파장은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생명공학 분야의 특허 특히 유럽 내의 특허 위축이 예상된다는 견해들이 대두되고 있다. 앞으로 이 판결이 어떻게 보다 구체화될지 지켜보아야 할 것이다. 이 두 판결은 유전자 특허의 한계를 설정했다는 점에서 법률가들은 물론 생명공학자들의 비상한 관심을 받는 판결이다. 생명공학기술이 앞으로 발전해 감에 따라 일정한 법적 체제 안에서 기술발전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다. 특히 인간배아의 이용과 같은 윤리적이고 철학적인 문제에 대해서 지혜로운 해결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유전자의 산업적 이용이 무한대로 확대되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함께 나오고 있다. 이러한 민감한 문제들에 대한 법적 판단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우리도 이에 대한 연구와 대응을 서둘러야 할 것이다. The Court of Justice of the European Union(CJEU) has issued the interpretation of the European Union Biotechnology Directive(Dirctive 98/44/EC), which established the foundation for patening genetic material in member countries. Monsanto Technology LLC v. Cafetra BV was the first decision by determinig that genetic patents are only effective when the patented gene “performs the function for which it is patented.” on 6 July 2010. The CJEU's analysis of the European Union Biotechnology Directive in the ruling in Monsanto Technology LLC v. Cafetra BV marks an important and definitive interpretation of European patent law. The finding that European Union patent protection of genetic material is “purpose-bound” helps clarify a murky area of patent law but places a significant limitation on biotechnology patents in Europe and may cause many holders of such patents to reconsider their comfort level with their patent portfolio. On 18 October 2011, the CJEU issued its eagerly anticipated decision in Brüstle v. Greenpeace(C-34/10) concerning the patentability of inventions relating to the use of human embryonic stem cells(hESC). The CJEU has ruled that inventions involving hESC derived from the destruction of a human embryo are unpatentable. Scientific, religious and environmental groups have keenly awaited this decision given the likely profound implication for the patentability of inventions in this field. The article will outline the major implications of the recent rullings of the CJEU in relation to the patentability of inventions relating to human embryonic stem cells and soy beans produced by soy plants that were modified with a gene developed by Monsanto.

      • KCI등재

        유럽통합특허 및 유럽통합특허법원

        알로이즈휘터만 ( Aloys Huttermann ) 중앙대학교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법연구소 2013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 법 Vol.7 No.2

        이 논문은 앞으로 진행될 유럽통합특허 및 유럽통합특허법원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유럽통합특허는 두 가지의 EU 규칙에 근거하고 있으며, 기존의 유럽 특허 검증 시스템에 대한으로 활용되게 될 예정이다. 유럽통합특허법원은 국제조약에 근거하고 있으며, 유럽통합특허 뿐만 아니라 유럽특허 전반에 대하여 기존 국가들에서 진행된 특허 소송을 대체함으로서, EPO에 부여된 모든 특허의 관할을 가지게 될 것이다. 이 하에서는 유럽통합특허법원의 법적 근거와 위상, 절차 등에 대한 소개를 설명하고자 한다. The article gives a brief introduction of both the coming Unitary Patent and the Unified Patent Court in Europe. The Unitary Patent is based on two EU-Regulations and is drafted as an alternative to the existing validation system in Europe. The Unified Patent Court is based on an international treaty and will replace the existing national litigation for Unitary patents as well as European patents, i.e. all patents granted by the EPO will fall under the courts jurisdiction. The Unified Patent Court`s juridical basis as well as the topological and personal organization is shortly explained, together with an introduction into the procedures.

      • KCI등재

        유럽연합 특허시스템의 대대적 변혁과 그 교훈

        김용진 한국법제연구원 2018 법제연구 Vol.- No.54

        In 2013 a new era for EU patent law system was launched. The creation of the EU patent with unitary effect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Unified Patent Court established a new legal framework on substantive patent protection and patent litigation in Europe. This year the EU Patent Package would become a reality. It includes a regulation on a unitary patent, a regulation on the translation regime and an international Agreement on the Unitary Patent Court. In contrast to the classical European patent, the post-grant life of unitary patent will be governed by the newly created unified patent court and it will have unitary effect. In this article, I highlight the effect of the unitary patent and the jurisdiction of the unified patent court over unitary patents (and ‘traditional’ patents granted under the EPC that are not opted-out) for actions in relation to patent infringement or to revocation of a European patent and to licences of right. This article explores on the one hand the relation between national patent, the classical European patent and EU patent with unitary effect and on the other hand the relation of unified patent court to the Brussels Ibis Regulation. Particular attention is paid to the institutional changes created by the unitary patent package abd the new supplementary forum that enables the UPC to hear disputes involving defendants from third States that relate to an infringement of a European patent and give rise to damage inside as well as outside the Union. Furthermore on the perspective North-east Asia this essay examines the lessons from the experiences of EU patent package. 최근 유럽특허제도가 대대적으로 개편됨으로써, 이제 유럽연합은 하나의 특허와 하나의 통합특허법원 시대로 접어들고 있다. 2013년 유럽 특허법은 새 시대를 열었다. 유럽연합 차원에서 단일한 효력을 갖는 특허를만들고 단일특허는 물론 종래의 특허도 보호하는 통합특허법원을 설립함으로써 유럽에서 특허의 실체적 보호와 특허소송에 관한 새로운 법적 체제가 갖추어졌다. 단일특허(unitary patent)는 유럽연합법에 기초하여 만들어졌으며, 통합특허법원(unified patent court)은 유럽연합 차원의 협정에 의하여 탄생된다. 통합특허법원에 관한 협정이 올해 안에 발효되어 통합특허법원이 작동하면 새로운 유럽 특허법 체제가 마무리된다. 이에 따라2018년은 유럽 차원의 단일특허와 통합특허법원 시대를 개막하는 첫 해로 기록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 논문은 단일특허의 효력 범위와 단일특허 및 전통적 의미의 유럽특허와 관련한 침해소송, 유무효확인소송, 권리의 라이선스 등에 관한 통합특허법원의 관할 범위를 조망한다. 종래의 유럽특허와는 달리 일단 단일특허로 취득된 경우에는 통합특허법원에 의하여 규율되고 유럽연합 전역에서 동일한 효력이 주어진다. 이와 관련하여 한편으로는, 국내특허, 전통적 의미의 유럽특허, 그리고 단일효력이 주어지는 유럽연합 특허의 상호간 효력 범위를 검토하고, 통합특허법원과 개정 브뤼셀규정과의 상관관계를 밝혔다. 특히 유럽연합 내외에서 손해를 발생시킨 유럽특허 침해 사건에 제3국인이 피고로 등장하는 경우에도 통합특허법원의 관할을 발생시키는 보충적 재판적을 면밀히 분석하였다. 발명을 적극 보호하여 국가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새로운 지식재산제도를 벤치마킹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고 시급하다. 이 논문은 최근 급격한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유럽특허법 체제를 분석하여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과 교훈을 도출하고, 이를 기초로 우리나라 특허법 체제가 나아가야할 방향을 위한 법리의 개발과 실무의 운영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2018년 시행이 전망되는 유럽 차원의 단일특허와 통합특허법원을 집중분석하여, 2017년 초부터 시행되고 있는 우리나라의 관할집중 제도에서 수용가능한 부분과 개선해 나가야 할 방향을 탐구하였다. 무엇보다 우리 나라 개정법(민사소송법)이 추구한 관할집중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관할 집중에서 빠뜨린 가처분제도로 인하여 서울중앙지방법원과 서울고등법원으로 본안인 침해사건이 범람하는 현상을 타개 내지는 완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중앙지방법원의 중복관할을 당사자가 합의한 경우로 제한하고, 가처분항고 관할을 특허법원으로 이관시키는 내용의 법개정을 제안하였다. 나아가 유럽연합 제도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을 통하여 한국과 중국, 그리고 일본을 포함한 3국간 지식재산제도의 협력적 제도 방안으로 절차법적 통일을 넘어 실체법적 통일로 나아갈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 KCI등재

        유럽 통합특허법원의 개원과 우리나라에서의 시사점

        정극원 유럽헌법학회 2024 유럽헌법연구 Vol.- No.44

        27개의 회원국을 가진 유럽연합은 2023년 6월 1일부로 유럽 통합특허법원을 개원하여 유럽특허권의 보호 및 지식재산권 보장 강화에 선도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유럽 통합특허법원의 개원으로 인하여 이제 유럽연합 내에서는 각 나라마다 여러 개의 복잡한 특허 취득 절차 대신에 단 하나의 절차만으로도 회원국 모든 나라에서 특허를 보호받을 수 있게 되었다. 유럽연합은 이러한 하나의 통합된 특허체제의 구축을 통하여 특허의 침해 및 무효의 효력의 단일화가 이루어져 행정적으로는 번역 등의 비용 절감, 절차의 신속성, 법률해석의 통일성을 갖게 되었다. 유럽 통합특허법원의 특징은 소송의 진행에 있어서 변호사/유럽 특허변리사 강제주의를 취하여, 소송대리인으로서 변호사뿐만 아니라 유럽 특허변리사도 단독으로 소송을 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나아가 각국의 변리사들도 변호사 및 유럽 특허변리사들을 보조하여 법원의 심리에 참가하여 변론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도 지식재산권에 대한 세계적 추세에 발맞추어 2011년 5월 19일 지식재산기본법을 제정하였고, ‘지식재산의 창출ㆍ보호 및 활용을 촉진하고 그 기반을 조성하기 위한 정부의 기본 정책과 추진 체계를 마련하여 우리 사회에서 지식재산의 가치가 최대한 발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국가의 경제ㆍ사회 및 문화 등의 발전과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제1조).’라고 규정하고 있다. 그렇지만 우리나라는 유럽연합과는 달리 변리사는 지식재산의 권리침해에 대하여 특허심결소송에 대해서만 단독으로 소송대리권을 가지고 있을 뿐 특허법원의 특허침해소송에는 대리권을 가지지 못하고 있다. 현재로서는 우리나라에 변리사의 소송대리가 인정되고 있지 않지만, 장래의 언젠가에 변리사에게도 특허에 관한 소송대리를 제도화하게 된다면 유럽 통합특허법원의 변호사/변리사 강제주의는 유용한 참조가 될 것이다. 변호사는 소송의 전문가이지만 공학적 지식과 자연과학적을 기반으로 하는 특허 그 자체에 대해서는 부족한 면이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특허에 관한 사항에 한정하여 변호사와 변리사의 공동대리는 최첨단 지식산업이 주도하는 기술입국의 구현과 소비자 법률주권의 보호는 물론 기업 및 산업계의 이익 창출과 국익의 향상을 위하여서도 꼭 필요한 것이다. 오늘날 제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있어서 한 기업과 국가의 명운이 걸린 특허소송에 있어서 변호사ㆍ변리사 공동대리는 이제 선택사항이 아니라 필수사항이 되고 있다. 즉 영국의 변리사 소송대리, 유럽연합의 특허변리사의 단독 소송대리, 미국의 특허변호사(이공계+특허대리인(agent)+변호사), 일본의 부기변리사 제도처럼 특허소송에서 변리사의 단독 대리 또는 변호사와의 공동소송대리는 이제 ‘글로벌 스탠다드’가 된 것이다. 세계 선진 국가에 비하면 우리나라는 이미 많이 늦었지만, 국회는 더는 직역이기주의에 발목 잡히지 말고 세계적 흐름과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는 현실적 대안으로서의 특허소송에서의 변호사ㆍ변리사 공동소송대리제도를 조속히 입법화하여야 한다. With 27 member countries, the European Union opened the European Unified Patent Court on June 1st, 2023, leading the way in enhancing the protection of European patent rights and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he European Union now allows for a single procedure to protect patents in all member states with the opening of the European Unified Patent Court, replacing multiple complex acquisition processes previously demanded in each country. The European Union has achieved harmoniz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patent infringement and invalidity via the establishment of this unified patent system, resulting in administrative cost savings, procedural efficiency, and legal interpretation consistency including translation costs and procedural expediency One distinctive feature of the European Unified Patent Court is the mandatory representation by attorneys or European patent attorneys in litigation proceedings, allowing both attorneys and European patent attorneys to independently represent cases. Furthermore, attorneys from each country are allowed to assist lawyers and European patent attorneys in participating in court proceedings and presenting arguments. Meanwhile, in line with the global trend in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South Korea enacted the Basic Intellectual Property Law on May 19th, 2011. This law focuses to establish the government's fundamental policies and implementation framework for promoting the creation, protection, and utiliza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Its purpose is to ensure that the value of intellectual property is maximized in Korean society, thereby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s economy, society, culture, and the enhancement of the quality of life for its citizens, as stipulated in Article 1. However, in contrast to the European Union, in South Korea, patent attorneys only have exclusive representation rights in patent invalidation lawsuits, not in patent infringement lawsuits in the Patent Court. Currently, representation by patent attorneys in litigation is not recognized in South Korea. However, if representation by patent attorneys in patent litigation is institutionalized in the future, the mandatory representation by attorneys/patent attorneys in the European Unified Patent Court could serve as a useful reference. Considering that attorneys may lack expertise in patents, which are due to engineering and natural sciences, joint representation by attorneys and patent attorneys, limited to patent matters, is not only essential for realizing the advancements in knowledge-based industries but also for protecting consumer legal rights, generating profits for businesses and industries, and enhancing national interests. In today's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ere the fortunes of both companies and nations hinge on patent litigation, joint representation by attorneys and patent attorneys has become not just an option but a necessity. This means that practices including solicitor representation in the UK, sole representation by European patent attorneys in the European Union, patent attorneys in the U.S. (combining technical expertise, patent agent qualifications, and legal advocacy), and Japan's qualified patent attorneys have all evolved into global standards for patent litigation. While South Korea may lag behind advanced nations in this aspect, the National Assembly must swiftly legislate the joint representation system for attorneys and patent attorneys in patent litigation, aligning with global trends and meeting the demands of the times, rather than being hindered by egoism in work environment.

      • KCI우수등재

        범유럽 특허집행 제도의 탄생과 전망

        김용진 ( Yongjin Kim ) 법조협회 2018 法曹 Vol.67 No.3

        재판지에서 주어지는 재판의 효력이 외국에 미치기 위해서는 집행국에서 승인되고 집행가능하다는 선언을 받아야 한다. 수 개국에서 보호되는 특허에 관한 분쟁을 어떤 국가의 법원에 제소할 것인가를 선택함에 있어서는 다른 나라에서 승인되고 집행될 수 있는가의 여부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 이는 대부분의 경우 패소자의 재산이 소재하는 곳의 법원에 승인과 집행이 신청되고, 재판국의 재판의 효력이 집행국의 영토로 확장되면 또 다시 동일한 당사자 사이에 동일한 소송이 다른 나라의 법원에서 제기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점에 비추어 타당하다. 그런데 미합중국의 경우에는 재판이 50개 주에 걸쳐 즉시 집행가능하기 때문에, 미국의 특허권자는 연방 차원에서 자신의 특허권을 보장받는 반면에, 유럽연합 특허권자는 현행법상 개별 회원국가로부터 집행받아야 한다. 이는 유럽기업인들에게는 유럽연합 특허제도가 미국의 제도보다 경쟁적 열위에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이른바 유럽특허패키지가 등장함에 따라 위와 같은 상황에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단일특허 제도의 강점은 역내 전역에서 집행을 한꺼번에 할 수 있고, 특허통합법원의 장점은 단일한 절차를 통하여 범유럽 집행이 가능하다는 점에 있다. 그런데 단일특허 시스템이 구축된다고 하더라도, 특허출원인은 단일특허 대신 종래의 유럽특허를 선택할 수 있고 또 독일, 영국, 프랑스에 특허신청이 집중되고 있는 현실에 비추어 굳이 유럽연합 전역을 대상으로 하는 단일특허를 받을 필요성이 크다고 할 수 없기 때문에, 현행 시스템이 급격하게 바뀐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이는 결국 양 제도 사이에 적지 않은 효과상의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에, 아래 논문은 양 제도에 내재되어 있는 위험과 대응방안을 특히 제3국의 입장에서 분석하고 제안하였다. A foreign judgment must be recognized or declared enforceable in the local forum in order to produce its typical effects as a judgment in the forum country. The choices as to whether to litigate disputes concerning these equivalent rights only in one jurisdiction, and in which particular jurisdiction, may be greatly influenced by the possibility to have a judgment from a prospective forum recognised and enforced in other countries. This is to be justified from two aspects. The one is that for the most part recognition and enforcement are usually sought in the forum where (judgment debtors’) assets are located. The other is that recognition of a foreign judgment prevents subsequent litigation in a different forum. Reliance on the res judicata effect of a foreign judgmen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losing party from bringing new proceedings involving the same cause of action and between the same parties in the courts of another country. While in principle an American IP holder gets protection at the federal level, by means of judgments and orders which are immediately enforceable throughout the 50 States of the Union, to get a corresponding outcome his European counterpart has to work much harder. This lack of enforceability entails for European business competitive disadvantage relative to their American peers. With European Patent Package this has been changing. The main advantages of unitary patents are their broad geographic coverage and the ability to enforce centrally, and the clearest benefit of the Unified Patent Court is the fact the it offers the possibility of Europe-wide enforcement in a single court action. Even when the unitary patent system is adopted, this situation for a long time seems to remain the same. If a patentee should assert an unitary patent, he is permitted to have the choice to ‘opt out’ from the Unified patent Court system by filing a request with the EPO. This implies that the two systems are different each other. In this regards I analyse the respective risks from them and strategies against them, especially from the Third State’s perspective.

      • KCI등재

        브렉시트 이후 유럽특허제도의 변화와 전망

        양대승 ( Yang Dae Seung ) 한남대학교 과학기술법연구원 2017 과학기술법연구 Vol.23 No.3

        지난 수 십 년 동안 유럽은 단일특허제도를 기다려 왔다. 그리고 그러한 염원은 단일특허와 통합특허법원 패키지와 더불어 마침내 실현되어 2017년에 시행될 것처럼 보여 졌다. 하지만 2016년 6월 23일 영국국민들은 예상과 달리 국민투표를 통해 브렉시트(Brexit)라고 불리는 유럽연합 탈퇴를 결정하였다. 브렉시트 결정에도 불구하고, 영국은 지난 11월 새로운 통합특허 시스템을 비준하겠다고 약속함으로써 다른 유럽연합 파트너들을 기쁘게 함과 동시에 놀라게 했다. 따라서 브렉시트가 오랜 동안 기다려온 단일특허패키지안의 자동적인 종말로 이어지지는 않겠지만, 이러한 불확실성은 단일특허제도 개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는 점은 분명하다. 설령 특허패키지가 발효된다고 하더라도 현재로서는 영국과 함께 할 수 있을 것인지도 예측하기 어렵다. 단일특허제도에 대한 영국의 회원자격이 짧게 유지될 수도 있고, 상황은 앞으로 더 복잡해 질 수도 있다. 이는 영국이 역내시장을 떠난 이후 유럽연합과 영국간의 합의내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많은 기업들은 발명을 보다 쉽고 저렴한 비용으로 등록시킬 수 있는 단일특허와 28개 개별회원국에서 소송을 진행하지 않고 한 번에 분쟁을 해결할 수 있는 통합특허법원을 기다리고 있다. 이러한 유럽특허제도의 변화에 따라 우리 기업들도 유럽특허출원 전략을 검토해야 할 때이다. 본 연구는 브렉시트가 유럽단일특허제도 메카니즘과 유럽특허패키지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 이를 통해 앞으로 우리 기업들이 준비하고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였다. For decades, Europe has awaited a single EU patent system. Such aspirations finally seemed in reach, with the unitary patent and Unified Patent Court(UPC) package on the home stretch and set to become operative in 2017. However, on June 23 2016 the United Kingdom electorate voted in a referendum against all expectations to leave the European Union, commonly referred to as ‘Brexit’. Despite the Brexit vote, the UK pleased and surprised some of its European Union partners last November by pledging to ratify a new, unified patent system for the bloc. Thus Brexit will not automatically put an end to the long-awaited unitary patent package project, this uncertainty will certainly have some negative impact on the launching of the unitary patent. Even if the patent package eventually enters into force, it is currently unforeseeable as to whether it will do so with or without the United Kingdom. The UK’s membership to the unitary patent could be short-lived, the situation could get further complicated. It would depend on the solution agreed between the EU and the UK after exiting the internal market. Despite of this uncertainty, many companies are waiting for a unitary patent system to register invention easier and less costly and a unified patent court to solve disputes in one instance and avoid multiple litigation cases in up to 28 different national courts. Thus, it is the right time for our applicants to review their European patent filing strategy.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mechanism of single EU patent system and the impact of Brexit on unitary patent package for Europe. This will help our companies to find directions to go further.

      • KCI등재

        유럽 통합특허제도에 대한 역사적 논의가 주는 시사점에 관한 소고 - 역사는 발전하는가, 순환하는가? -

        이일호 ( Il Ho Lee ) 연세법학회(구 연세법학연구회) 2018 연세법학 Vol.32 No.-

        유럽은 EU를 중심으로 통합적인 특허제도를 탄생시키기 위한 노력을 줄곧 이어온 바 있다. 그 결실을 조만간 보게 될 것으로 보이는데, 이러한 결과가 있기까지 70년이 넘는 논의가 필요했다. 흔히 과거의 실패를 극복하고, 당시 드러났던 문제를 하나하나 해결해온 과정이 국제적 합의로 귀결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통합특허를 위한 유럽국가들의 논의와 여러 시행착오는 국가들 사이에서 새로운 제도를 출범시키는 데 상당히 다양하고 예측하기 어려운 요소들이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깨닫게 해준다. 따라서 특허제도를 국제적으로 통합하는 것은 제도적으로 완벽한 이상에 부합하도록 하는 것 또는 국가들 사이에서 최소한의 공통점을 도출해내는 것을 통해 달성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그보다는 역시와 정치적 요소에 좌우되는 바 크고, 더욱이 과거에 제시된 지혜는 현재의 제도를 만드는 데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 논문은 유럽에서 공동의 특허제도를 구상했던 때부터 시작하여 EU를 중심으로 한 두 번째 공동체 특허제도의 실패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다루고 있다. 유럽이사회를 중심으로 했던 논의, 유럽특허협약의 성립 시까지의 논의, 제1차 및 제2차 공동체 특허제도를 역사적 단계로 나누어 고찰해볼 것이고, 그것이 현재의 통합특허에 준 영향에 대해 간략하게나마 정리할 것이다. 끝으로 통합특허의 역사가 주는 교훈과 시사점이 무엇인지에 대해 생각해보고, 이를 간단하게나마 정리해보겠다. European countries have strived to build a unitary patent system among them, especially in the EC/EU’s institutional framework. While this hope seems to come to an end soon, there has been a long period of negotiations for over 70 years and there have also been a number of controversies among the States. We tend to think that a final agreement emerged from the cumulative solution to which the lawmaker has struggled to handle. However, the negotiations for the Community Patent among the European States and their dissatisfactory outcomes give us the lessons that various kinds of factors have been affecting the success of the international negotiation/agreement. Thus, it can be said that presenting a more idealistic vision or pursuing the minimum possible level does not make negotiation productive. It should be kept in mind that more focus should be on their dependence on historical and/or political situations, and that the unfashionably traditional wisdom (even though it was not previously successful) can be a useful means to come to a mutual agreement. This article outlines the factors mentioned above by tracing the history of failure the EC had experienced with regards to the unified patent system. It covers, however, only the negotiations/outcomes until the 2nd attempt to the CPC and summarizes them with reference to documents, reports and articles at that time as much as possible.

      • KCI등재

        유럽연합 특허패키지를 통해 살펴본 남북 특허 협력의 기반조성을 위한 비교법적 연구

        김동규 법무부 2021 統一과 法律 Vol.- No.48

        The Korean government’s unification policy and plan has its theoretical background in promoting the integration of high-politics through the cooperation in low-political agendas. In accordance with such emphasis on cooperation in low-political agendas, the need for Inter-Korean cooperation in intellectual properties have been raised as a preemptive measure for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and as a field unlikely to be against sanctions, despite being uneased. Thus, to derive the implications for Inter-Korean patent cooperation, this paper examined the European Patent Package, to be implemented in the near future. This paper carried out a comparative law study via the research methodology proposed by Zweigert: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development of the legal system; any distinct legal way of thinking; any special legal system and the types and interpretation of the sources of law; ideological factors. In result, through the legal analysis of the introduction of the European patent package, there were several factors identified: prolonged discussion of institutionalization due to conflicting perspectives between sovereignty and regional integration; the recognition and enforcement of foreign judgements based on the EU law, which plays a constitutional role binding domestic law, and the revision of Brussels-Ⅰ regulation; differing state interests surrounding language and court jurisdiction; Europe going through an era of a Unified European Patent and a Unified Patent Court, as an ideological ground. Throughout the analysis, this paper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or Inter-Korean patent cooperation: the need for an adoption of a detailed agreement stipulating the recognition and protection of mutual party’s rights, preparing procedures for preventing and resolving industrial property disputes, contemplating the means for unification of Inter-Korean patent systems; preparation for Inter-Korean judicial cooperation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commercial arbitration, recognition of mutual jurisdiction rulings, approval and enforcement of arbitration ruling based on Inter-Korean agreements; efforts to gradually reduce the differences of language of patent law and ways of approaching the law; enhancing the perception that patent and economic cooperation is a common interest that both Koreas share to overcome the dividing ideology. 대한민국 정부의 「민족공동체통일방안」은 비정치부문의 협력을 통해 정치적 부문의 통합을 도모하는 데 이론적 배경이 있다. 하위 분야의 협력을 강조하는 동 정책에 따라 대북제재가 완화되지 못하더라도, 특허 협력을 위한 인프라 마련 등은 제재에 저촉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은 협력사업이고 남북 경제협력을 원활히 발전시키기 위해 특허를 포함하는 지식재산권 문제 해결이 선결조건이라는 이유 때문에 동 분야에서 남북 협력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따라서, 이 논문은 남북 특허협력을 위한 시사점 도출을 위해 츠바이게르트의 비교법 분석 틀인 ① 역사적 배경과 법체계 발전 ② 특징적인 법적 사고방식 ③ 특이한 법제도나 법원(法源)의 종류와 해석 ④ 이데올로기적 요인을 바탕으로 유럽에 임박한 특허패키지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에, 유럽 특허패키지 도입의 법적인 분석을 통해 ① 도입과정에서 국내 의회 비준의 문제, 주권과 통합 간 괴리가 발생함에 따라 장기간의 제도화 논의 ② 특허통일화 과정에서 국내법을 구속하는 헌법적 역할을 하는 EU법과 브뤼셀-Ⅰ 규정 개정을 통한 외국 법원의 판결에 대한 승인·집행 허용 ③ 언어와 법원 관할을 둘러싼 첨예한 이해관계 대립 ④ 이데올로기적 측면에서 2010년 ‘하나의 유럽 특허, 하나의 특허법원’이라는 시대정신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남북 특허협력을 위한 남북의 법제 현황 및 남북합의를 바탕으로 ① 상대측 권리 인정·보호, 산업재산권 관련 분쟁 예방·해결절차 마련, 남북 간 특허제도의 통일화 방안 등을 규정하는 세부합의서의 체결 ② 남북 합의를 기반으로 상사중재의 실현, 남북 간 재판관할권 인정, 중재판결의 승인 및 집행에 관한 남북 사법공조 준비 ③ 남한의 특허법과 북한의 발명법 간에는 내용의 차이에 더해 법을 바라보는 접근법에서부터 차이가 나타나는데 이러한 차이를 점진적으로 줄여나가고 언어를 통일시키기 위한 노력 ④ 남북 간에 존재하는 분단 이데올로기 극복을 위해 남북 특허협력과 경제협력이 남북 공동 이익의 창출을 위한 것이라는 인식을 확산해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