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동화전문회사의 배당결의에 따른 배당소득의 귀속시기에 관한 연구

        강성모 한국세법학회 2012 조세법연구 Vol.18 No.1

        유동화전문회사가 배당결의를 하는 경우, 그 배당결의에 따라 배당금 지급청구권을 가지게 되는 출자자의 입장에서 어느 시점을 배당소득의 귀속시기로 보아야 하는지를 검토하였다. 권리가 발생하였다고 하여 다른 사정에 대한 고려 없이 그 발생 시점을 소득의 귀속시기로 볼 수는 없다. 대법원은 적어도 소득 발생의 근거가 되는 권리가 상당한 정도로 성숙?확정되어야 한다는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실무상 유동화전문회사는 법인세법 제51조의 2 제1항 제1호가 정하는 소득금액 공제를 받기 위하여 배당재원이 없는 경우에도 배당가능이익의 90% 이상의 금액을 배당결의하고, 그 배당결의를 한 당해 사업연도에 소득공제를 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배당결의는 실제 배당금을 지급할 것인지 여부와는 전혀 상관없이 순전히 법인세법상 소득공제의 목적으로만 이루어지는 형식적인 것이다. 유동화전문회사는 도관(conduit)에 불과하고, 그 배당결의는 출자자에 대한 이익 실현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자산유동화거래의 구조상 유동화전문회사에 이익이 발생하여서는 아니 된다. 일시적으로는 이익이 발생할 수 있지만, 전체 유동화기간을 통틀어서는 아예 없거나 극히 미미한 정도로만 발생하여야만 성공한 자산유동화거래라고 할 수 있다. 나아가, 유동화전문회사에 일시적으로 이익이 발생하여 배당결의를 하였 다고 하더라도 실제로 배당금이 지급될 가능성은 아주 낮다. 일시적으로 이익이 발생하였다고 하여 그 이익을 배당금의 형태로 출자자에게 먼저 지급하는 것은 자산유동화거래에서 실제 금융을 제공하는 투자자의 이익을 침해하는 결과가 된다. 유동화전문회사에 유입된 자금이 투자자에게 가장 먼저 지급된다는 전제에서만 자산유동화거래가 진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특수성을 무시한 채 일반적인 회사의 배당과 동일한 잣대로 유동화전문회사의 배당과 관련된 과세 문제를 판단할 수는 없다. 유동화전문회사의 배당결의에 따른 배당소득의 귀속시기는 배당결의 시점이 아니라 실제로 배당금이 지급되는 시점으로 보아야 한다. This study reviews when dividend income should be recognized by shareholders who are entitled to claim for dividend payments upon board resolutions of SPCs to make dividend payments. It should not be viewed that the timing of income recognition is when rights to claim occur without a further consideration of other conditions. The Supreme Court has held that rights to claim should be matured and fixed in order for any income generated by such rights to be recognized. In practice, more than 90% of the profits available for dividends of SPCs are resolved to be declared as dividends and taken as deduction in the same year even in case where no funding of such dividends is available. These board resolutions on dividends, however, is usually made as a mere formality only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benefit of the dividend exclusion under the Corporate Tax Act, not considering whether the dividends should actually be paid or not. SPCs are mere conduits and their dividends are not declared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profits of shareholders. Also, in asset-backed securitization (“ABS”) transactions, SPCs cannot make profits. Profits may occur temporarily but generally no profit or only minimal profit should occur in a successful securitization. Further, although profits can be made by SPCs temporarily and the board resolutions to make dividend payments out of such profits can be made as well, the possibility of the dividends actually being paid is very low. If any temporary profits are immediately distributed to shareholders as dividends, it would result in impairing the interests of investors purchasing the securities later. ABS transactions are possible only under the promise that any profits are first distributed to investors actually funding the securitization. Without consideration of such differences, tax issues related to dividend payments of SPCs should not be determined by the same criteria as the dividends of regular corporations. Accordingly, the timing of recognizing dividend income following board resolutions on dividend payments by SPC should be the point at which the dividends are actually paid, not when the board resolutions are made.

      • KCI등재

        資產流動化와 國際租稅問題

        金炳日 한국세법학회 2002 조세법연구 Vol.8 No.2

        이 논문은 자산동화를 행할 경우에 제기될 수 있는 국제조세법상의 문제를 살펴본 것이다. 우리 경제의 국제화가 급속히 진전됨에 따라 자산유동화 또한 국경을 초월하는 형태로 행하여지고 있다. 즉, 해외에 유동화전문회사를 설립한 후, 당해 유동화전문회사에 유동화자산을 양도하여 유동화증권을 발행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국내법상 비거주자ㆍ외국법인인 국외 유동화전문회사가 利票債나 割引債를 발생하여 비거주자나 외국법인인 외국투자가에게 매각할 때 그 이자나 상환차익에 대하여 조세조약에 의해 과세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이에 대한 우리 나라의 원천과세를 회피하기 위하여 이중구조의 유동화전문회사를 이용하게 되면 조세회피도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자산유동화와 관련하여 검토가 필요한 국제조세문제로는 다음 사항을 들 수 있다. 첫째, 중층구조인 국외 유동화전문회사를 통하여 자산유동화가 행하여지는 경우 이들 유동화전문회사간에 관련회사로 인정되면, 과소자본세제의 적용 여부에 따라 유동화증권 지급이자에 대한 손금산입 여부 등 과세상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둘째, 국외 유동화전문회사의 자산관리자가 당해 유동화전문회사의 고정사업장이 될 수 있는지가 문제로 될 수 있다. 셋째, 유동화전문기구로 외국신탁을 이용하는 경우 이에 대한 과세문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당해 신탁의 거주지문제를 검토해야 할 것이다. 즉, 신탁관계의 당사자인 위탁자, 수탁자, 수익자 및 신탁재산의 소재지 등에 의해 당해 신탁의 거주지가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넷째, 이전가격세제, 조세피난처세제 및 외국납부세액공제제도 등의 적용가능성에 대해서도 검토를 요한다. Asset-backed securitization(ABS) is utilized to raise funds from the capital market by issuing securities based on the pool of assets of low liquidity. Originators need not rely on the traditional debt financing. Under this scheme, the ownership of the underlying assets is transferred to a special legal entity called "SPV". Thus, the originators can improve their financial status including the capital adequacy ratio, since they reduce the handsome amount of riskweighted assets from their balance sheets. In order to cope with the unprecedented foreign exchange crisis, the Korean government established a special law to facilitate asset-backed securitization of debt-ridden financial institutions and corporations. References to the law and practices in the United States as well as the new legislation of Thailand and Japan were made. Based on the plan to promote the impending financial restructuring of the Ministry of Finance and Economy in April 1998. a task force was established to prepare a special law on asset-backed securitization. A few months later. the Act on Asset-Backed Securitizationi usually referred to as the "ABS Act") was passed by the National Assembly, and put into force on September 16, 1998(Law No,5555), as amended thereafter. Since its implementation. the ABS scheme has been the main tool in the capital markets to raise funds by securitizing non-performing asset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international taxation issues that can arise from ABS. Due to the rapid globalization of the Korean economy, asset-backed securities can be issued by transferring underlying assets to offshore special purpose companies(SPCs). When they were sold to foreign investors, stated interest or original issue discount can be taxed due to the tax treaties. But, if two-tier structure SPCs are used, it is possible to evade taxes.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develop countermeasures against international tax evasion using ABS through cooperation with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OECD. Preventing harmful tax competitions. which is actively discussed nowadays by the OECD, can be regarded as one of these measures. There can be other international taxation problems related to ABS Firstly, when asset-backed securities are issued through offshore SPCs and these companies are regarded as related companies, there can be differences in taxation due to whether there can be deductible expenses for the interest of asset-backed securities or not, which is determined by tax rules for thin capitalization. Secondly, the problem is whether the servicer of offshore SPCs can be a permanent establishment of the SPCs or not. Thirdly, to understand taxation issues when foreign trusts are used for offshore SPCs, the residence of the trusts should be examined. Fourthly, the applicability of various taxations such as tax rules for transfer pricing, tax haven and foreign tax credit should be examined.

      • 자산유동화증권의 구조는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가?

        김필규 한국재무학회 2014 한국재무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05

        본 연구는 자산유동화증권의 구조가 스프레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 고 있다. 자산유동화증권은 자산에 기초하여 증권을 발행하기 위해 일반 회사채와 다 른 구조를 포함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자산유동화증권의 가격결정은 회사채 가격결 정과는 다른 요인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산유동화증권의 구 조가 스프레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자산유형별로 가격결정구조에 차이가 존재 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금융감독원 자산유동화 발행자료를 기초로 표본자료를 구성 하고 자산유동화증권 가격결정 모형을 설정하여 자산유동화증권 구조가 스프레드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유동화자산을 네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개별 자산유 형별 가격결정 요인에 구조적인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신용등급, 만기와 같은 채권 공통요인과 더불어 자산특성, 자산보유자의 신 용도, 신용보강 관련 요소 등과 같은 자산유동화증권 구조가 자산유동화증권 스프레 드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산유동화증권을 일반 ABS, CDO, MBS, Project Finance 유동화로 구분하여 자산유형에 따라 가격결정 요인 에 구조적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실증 분석한 결과 자산유형별로 가격결정 요소에 유 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간 더미를 포함한 회귀분석에서는 금융위 기가 발생한 경우 이러한 외부 요인이 스프레드에 반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자산유동화증권은 유동화와 관련한 다양한 구조가 가격에 반영되기 때문에 가격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자산의 특성과 유동화구조에 대한 정보가 보다 정확하 게 시장에 전달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ain the spread between asset-backed securities (ABS) yield and the government bond yield, and between the ABS yield and the corporate bond yield. Ever since the Asset-backed Securitization Act was enacted in 1998, Korea’s ABS market has grown rapidly to be one of the largest bond market segments. This has been driven in large part by strong investor demand and the variety of product structures available to meet the financing needs of issuers. Unlike plain corporate bonds, ABS adopt diverse structures and this opens the possibility that ABS have price determinants different from those of corporate bonds. I show that excess spread exists not only between the ABS yield and the government bond yield, but also between the ABS yield and the corporate bond yield. To illustrate the effect on ABS spread, this study examined spread determinants in the ABS market by using the ordinary least square regression methodology. Based on the ABS issuance data released by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and disclosures for asset securitization, we built a securitization structure database, through which we carried out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impact of the ABS structure on spread. The empirical analysis reveals that the general bond factors such as credit rating and maturity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explanatory variables in the determination of ABS spread. And liquidity factors (e.g., issue size) and structural factors (e.g., credit rating of the originator, credit enhancement level, and the dummy variable of bank credit enhancement) are also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explanatory variables. The ABS market is composed of four categories according to asset type; ABS, CDO, MBS, and project finance ABS. Through the Chow test, this study also verified if the pricing model of each asset type is structural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result, we confirm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rice determinants across asset types. The result is an indication that establishing a disclosure regime clearly showing ABS structures has an important, positive impact on price efficiency as well as market efficiency.

      • KCI등재

        유동화목적회사의 원천징수제도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

        도재호,최원석 한국조세연구포럼 2023 조세연구 Vol.23 No.3

        [연구목적]본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유동화목적회사의 설립근거법에 따른 원천징수제도의 차이가 합당한지 확인하는 것이다. 두 번째 목적은 실제 사례를 통해 원천징수제도의 차이로 인해 다른 취급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세 번째 목적은 유동화목적회사의 설립근거법에 따른 원천징수제도의 차이로 인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설립근거법이 다르지만 유동화규모가 유사한 두 개의 사례기업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유동화목적회사의 원천징수제도에 따라 「자산유동화에 관한 법률」의 적용을 받지 못하는 기업들은 이자비용이 클수록 원천징수제도의 차이로 인한 부담도 커지는 문제가 존재한다. 그리고 유동화목적회사는 설립근거에 관계없이 명목회사임으로 도관론적 과세를 해야 한다. 또한 「자산유동화에 관한 법률」의 제정당시 목적이 IMF외환위기를 극복해 금융기관의 부실자산을 매각하는 것이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현재 「자산유동화에 관한 법률」에 따른 유동화목적회사에만 원천징수의무를 면제하는 것은 합리적이지 않다. [연구의 시사점]유동화목적회사의 원천징수제도 차이로 인한 다른 취급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자산유동화에 관한 법률」을 개정하여 많은 기업들이 「자산유동화에 관한 법률」을 적용할 수 있게 하거나, 법인세법을 개정하여 상법을 근거로 설립된 유동화목적회사도 원천징수의무가 면제되도록 할 것을 제안한다. [Purpose]The first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the differences in the withholding regimes for securitization vehicles based on the law of incorporation are justified. The second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the differences in withholding regimes result in different treatment in practice. The third objective is to identify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due to the differences in withholding tax regimes of securitization vehicles. [Methodology]We analyzed two case companies with different establishment laws but similar securitization scale. [Findings]There is an irrationality problem that companies that are not subject to the “Asset Securitization Act” due to the withholding system of the securitization purpose company face a greater burden due to the difference in withholding system the larger the interest expense. [Implications]This study is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it is a case study based on the differences in the withholding obligations of securitization purpose companies, and its contribution is that it suggests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withholding system of securitization purpose companies.

      • KCI등재

        자산유동화증권의 발행유인에 관한 연구

        문현주(Hyun-Ju Moon) 한국산업경영학회 2009 경영연구 Vol.24 No.4

        국내의 자산유동화는 외환위기 이후 금융기관의 부실채권정리 및 자기자본비율 충실화, 기업의 부채비율 감축 등 국내 금융환경의 변화로 금융 및 기업에서 적극 활용하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자산유동화증권에 대한 연구는 주로 문헌연구로 자산유동화증권의 활성방안, 과세문제, 발행구조 및 가격결정을 다루고 있고 실증연구로는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국한되어 있다. 또한 국내의 경우 자산유동화제도의 도입 역사가 짧고 대부분의 연구의 대상사례가 공공법인 또는 금융기관에 국한되어져 연구되어 왔다. 이런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자산유동화증권을 발행한 기업들의 실질적인 발행동기를 실증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기업들의 자산유동화증권의 발행동기를 보면 첫째, 유동성 악화 및 재무적 곤경에 처한 기업들의 발행동기인 재무적 관점 둘째, 정보비대칭성이 높아 자본시장 접근이 용이하지 않고 높은 대리인 비용에 외부금융의 이용에 제약을 받는 기업들의 발행동기인 정보비대칭성 및 대리인 비용 관점 셋째, 안정적인 이익흐름을 추구하고자 하는 기업들의 이익유연화 관점으로 살펴보았다. 분석기간은 1999년부터 2006년까지 유효표본 32개 상장-제조업을 대상으로 단일변량분석, 로짓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재무적 곤경성을 설명하는 영업이익은 유의한 관계를 보여주진 않았지만 부채비율과 유동비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들 변수들은 단일변량분석결과인 평균차이분석결과와 대부분 일치하는 결과이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자산유동화증권을 발행한 기업은 미발행기업에 비해 재무적 곤경성이 존재함을 추론해 볼 수 있는 결과이다. 둘째, 정보비대칭성과 대리인비용관점에서 본 자산유동화증권발행 유인은 유의한 관계를 보여주고 있지 않다. 즉 정보비대칭성과 대리인비용의 대리변수인 연구개발비 비율이 높은 기업일수록 자산유동화증권 발행 가능성이 높을 것을 예상하였으나 연구개발비비율이 유동화증권의 발행결정에 영향을 주지 않음을 볼 수 있다. 셋째, 이익유연화관점에서는 유의하게 이익의 변동성을 줄이는 이익유연화에 자산유동화증권 활용유인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자산유동화증권 발행을 통한 경영자의 이익유연화 전략은 경영위험을 줄이는 효율적인 위험관리수단으로 궁극적으로 자본시장의 참여자로 하여금 위험프리미엄을 감소시켜 자본조달비용의 감소효과를 가져온다고 볼 수 있다. 연구결과 자산유동화증권의 발행동기가 기본 목적에 배치되고 선의의 투자자들을 오도하는 결과를 가져와 자산유동화에 관련된 규정ㆍ공시ㆍ감독체제 등의 적절한 조치를 취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결과는 은행의 자산유동화증권 관련 감독당국의 규제방향을 설정하거나 자산유동화증권에 대한 폭 넓은 이해를 높여 다양한 후속연구를 촉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country’s asset-backed securities began to be actively utilized in the financial industry and enterprises due to changes in the country’s financial environment such as clearance of non-performing loans in financial institutions, strengthening of the equity-capital ratio, and reduction of the debt ratios of enterprises after the foreign exchange crisis. Since then, the issuance of asset-backed securities has recorded rapid growth and has been greatly highlighted as a new means of financing of both financial institutions and enterprises. Researches on asset-backed securities have been based, however, on literature and focused mainly on revitalization schemes, tax issuances, the issuance structure, and pricing decisions with regard to asset-backed securities, and empirical researches on them have been limited to their effects on the corporate value. The history of adoption of the asset-backed securities system in Korea is rather short, and most researches have been limited to public corporations or financial institutions. In this respect,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real motive of the enterprises that have been issuing asset-backed securities in doing so. Such motives include: first, the financial motive of the enterprises that are experiencing financial difficulties; second, the asymmetry of information and the agency cost, which is the issuing motive of the enterprises that are constrained to use external financing due to the high barrier of information asymmetry and the difficulties in accessing the capital market; and third, the income smoothing of the enterprises that are pursuing stable earning flows. One-way ANOVA and logit analysis were conducted on effective samples of 32 listed manufacturing companies for the period of 1990-2006.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operating profits that represented financial health had no significant effects but the debt ratio and the current ratio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hese variables agree with the results of the average difference analysis, which is the result of the one-way ANOVA.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enterprises that were issuing asset-backed securities were financially healthier than those that were not issuing asset-backed securities. Second, the motive behind the issuance of asset-backed securities from the viewpoint of information asymmetry and the agency cost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In other words, it was expected that the enterprises that had a high level of R&D expenses, which is a proxy variable of information asymmetry and agency cost, would have a high possibility of issuing asset-backed securities, but it was found that the R&D expense ratio had no effect on making a decision to issue asset-backed securities. Third, from the viewpoint of income smoothing, it was seen that the asset-backed securities were utilized to significantly reduce the volatilitduce thcome. The management’s income smoothing strategd, through the issuance of asset-backed securities, was an efficient means of risk management that ultimately reduced the , was an ecost by ewabliewablieparticipants in the capital market to reduce the risk premium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ed that the motives behind the issuance of asset-backed securities were contrary to their basic purpose and misled the well-intentioned investors. As such, appropriate measures should be taken to streamline the regulations, disclosure, and supervision system related to asset-backed securitie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ill help the concerned authorities establish the direction of regulations related to banks’ asset-backed securities and will bring about broader understanding of asset-backed securities and lead to diverse follow-up researches.

      • KCI우수등재

        자산유동화(資産流動化)와 진정(眞正)한 매매(賣買)(True Sale)

        이미현 ( Mee Hyon Lee ) 법조협회 2003 法曹 Vol.52 No.10

        유동화자산이 資産保有者의 倒産으로부터 완전히 絶緣되었는지 여부는 유동화증권의 신용등급을 좌우하는 결정적인 요소중의 하나이며, 이러한 絶緣性을 확보하려면 우선 자산보유자로부터 유동화전문회사에 대한 자산의 양도가 진정한 매매로 해석되어야 하므로, 유동화자산 양도의 법적 성격이 진정한 매매로 인정되는 것은 성공적인 자산유동화를 위하여 매우 중요하다. 이에 자산유동화법 제13조는 유동화전문회사에 대한 자산의 양도는 동법 소정의 요건을 반드시 구비할 것을 요구하는 한편 이 요건들이 모두 충족되면 담보권의 설정으로 보지 아니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자산유동화에서 진정한 매매가 차지하는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동법 제13조의 요건을 갖춘 거래에 한하여 자산유동화를 허용하는 것은 문제이다. 유동화증권의 투자는 결국 유동화 증권에 대한 신용등급평가를 기초로 행하여지는 것인 바, 이러한 신용등급평가는 진정한 매매 여부를 포함하여 유동화증권의 상환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되므로, 진정한 매매의 문제는 유동화증권의 신용등급평가문제로만 남겨두는 것이 합리적이다. 따라서, 자산유동화법 제13조는 이러한 방향으로 개정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부동산 유동화시장에서 대형할인매장에 대한 투자자 선호특성에 관한 연구

        채영규(Chae, Young Kyu) 대한부동산학회 2014 大韓不動産學會誌 Vol.32 No.1

        본 연구는 대형할인매장(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 등 대형할인점을 통칭함)을 기업이 직접 소유 및 운영 형태에서 세일앤리즈백(Sale & lease back) 방식을 통한 자산유동화가 최근 활성화 되고 있다. 기업이 매각하는 이유는 보유자산 매각을 통해 확보한 자금으로 부채를 축소하여 재무상태를 개선하거나 사업확대를 위한 신규사업에 투자하여 활할 목적이다. 투자자 측면에서 보면 우리나라는 IMF 이후 오피스와 같은 대형빌딩을 중심으로 리츠 또는 펀드를 통해 투자가 이루어졌으나,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금융시장이 안정화되면서 시중의 풍부한 유동성을 바탕으로 투자기관들이 다양한 투자대상을 찾기 시작하였다. 이렇듯 대형할인매장의 매각물건 공급 및 수요 증가로 시장이 활성화되면서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중 수요자인 투자기관의 투자의도에 관한 모형을 구축하여 대형할인매장의 투자요인을 도출하고, 선호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선호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투자기관에 종사하는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이 설문을 기초로 부동산 유동화 대형할인점의 특징과 투자자들의 투자대상에 대한 인식성향과 선호도 요인, 투자자의 특성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투자인식 성향과 관련하여, 투자자는 대형할인매장 유동화자산의 수익에 대한 기대인식 조사결과 대형할인매장에 대한 투자가 여러 부동산 중 월등하지는 않지만, 부동산투자와 함께 다른 투자보다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투자시 수익성과 함께 투자의 안정성이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는데, 부동산 투자에 대한 신뢰가 높은 집단일수록 부동산 투자가 다른 투자대안 보다 더욱 안정적인 것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대형할인매장 유동화자산 투자선호도 특성분석결과 투자자는 오피스빌딩과는 달리 안정적인 수익보장을 위해 적정임대수익 보장이 되어야 투자를 결정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임차인의 장기임대차 여부 즉, 책임임대차를 통해 안정적인 수익실현을 할 수 있다. 그리고 투자방식에 있어 지분(Equity)과 대출(Loan) 중에는 대출(Loan) 투자방식을 선호하고 있으나, 이를 혼합한 혼합방식을 많은 투자기관들이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한가지 투자방식을 고집하기 보다 2가지 투자방식을 동시에 하게 되면 대출을 통해 원금보전 손실리스크를 줄일 수 있고, 지분에 대해서는 투자대상 부동산의 임대수익 상승 및 매각차익 실현시 수익성 상승효과를 얻음으로써 수익 및 리스크 헷지를 동시에 기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지분(Equity)투자나 대출(Loan)참여 또는 혼합투자방식 중 어떠한 투자방식을 선택하여도 공통적인 투자조건은 투자기간이 장기간이라는 점이다. 그리고, 투자기간 중 안정적인 이익실현을 위해 투자자의 투자기간보다 대형할인점을 운영하는 임차기관의 책임임차기간이 더 길어야 하고 이러한 조건이 투자검토시 충분히 반영되어야 투자자들의 참여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대형할인매장 유동화자산 투자자 태도분석 결과 우리나라의 부동산 간접시장은 리츠와 같이 일반인이 참여할 수 있는 여건은 마련되어 있으나 아직까지 일반화되지 않고 기관투자기관들에 의해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개인투자가와 다른 점을 발견할 수 있었는데, 즉, 투자의사 결정시 개별대상의 투자이익뿐만 아니라 투자자산구성(포트폴리오)를 중요시 여기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점은 설문대상자가 투자전문기관에 속해있는 전문가라서 일반인과 달리 많은 종류의 부동산을 고액을 투자할 수있는 자금력과 정보 등 전문성을 갖추고 있기에 가능할 수 있다. tribute sales to investors to engage in work-related agencies survey targeted at professionals. Investors prefer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vestment destination for investors of factors perceived tendencies, preferences, and characterization. Investment of an investor of a hypermarket for this preference of investors and investment determinants are largely aware of tendencies and preferences for investment factors, the investor s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There is a way investment scheme, Equity investment scheme and loan investment approach and a mixed approach of these two methods can be divided into the large, Investors should gains can be obtained with higher margins at sale and lower risk because of the advantage of the hybrid investment preferences.

      • KCI등재

        지식재산기업의 자본조달을 위한 저작권 유동화의 규제법리 -일본법과의 비교연구를 중심으로-

        이성웅 ( Seongwoong Lee )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法學硏究 Vol.23 No.4

        지식기업의 자본조달방법으로서 저작권이나 기타의 지식재산권을 활용하는 방법이 지식산업의 발전을 위해서 적극적으로 지원되어야 한다. 저작권을 기초로 한 자산유동화의 방법으로 자본조달을 목표로 한 경우 그 법적 정당성 및 합리성을 확보해야 한다는 과제가 남아 있다. 이러한 견지에서 저작권 유동화를 위한 고유한 법리를 발견하여 이를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기본적으로는 지식재산기업에 자본조달의 편의성을 부여하고 이에 참가하는 투자자의 보호에 만전을 기하는 것이다. 자본조달시장에 관한 기초법인 자본시 장법의 목적이기도 한 이 원칙은 저작권의 유동화를 통한 자본조달에 있어서는 좀 더 특화될 필요가 있다. 우리의 자산유동화법은 저작권이라는 지식재산권을 유동화하는 것을 미리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우리의 자산유동화법은 너무 단순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유동화자산이 채권, 부동산, 저작권인가에 따라 특별한 규정을 가지고 있는 것도 아니다. 자본조달에 대한 기본법인 자본시장법이나 상법에 대해 자산유동화법은 유동화를 위한 독자의 법리를 내포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한국에 비해서 일본의 자산유동화법은 유동화자산, 유동화기구, 유동화증권에 대해서 일반의 법과는 분리하여 유동화법에 고유한 성격을 인정하고 이를 입법 내용에 포함시키고 있다. 유동화자산에 있어서 그 대상을 폭넓게 인정하여 어떤 기업도 제한 없이 유동화제도를 이용하여 자본조달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유동화기구에 대해서는 특정목적기구를 따로 설정하여 운영하도록 하고, 유동화증권에 대해서는 공시규제법이나 금융상품거 래법에서 유동화증권의 특징을 고려하여 자산에 중점을 둔 공시를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법은 일반적인 재산법과는 구별되는 고유한 유동화법을 인정하려는 것으로 볼 수있다. 우리의 법이 아직 고유한 유동화법으로서의 법체계를 구비하지 못하고 있는 현재, 일본의 법제는 우리의 유동화법에 대한 입법 및 법해석에 중요한 시사를 제공할 수 있다고 믿는다. How to utilize the copyright or other intellectual properties as a financing of knowledge company must be actively supported for the development of knowledge industry. Aiming a raising capital as the way of the securitization of asset-backed copyrights, there remains the challenge of ensuring the legal validity and the rationality for that. In view this, it is necessary to ensure and to find a unique legal principles for copyright securitization. Basically, the legal principles have to give the intellectual property companies the the ease of raising capital and investors to participate in this securitization the perfect legal protection. The above principles, it is also purpose of Capital Market Act as the basic act on raising capital market, need to be more specialized in the financing through the securitization of copyright.65) Our Korean asset securitization law did not consider in advance that the securitiza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like copyright. Our law has a very simplified structure, it has not any special regulations in accordance with weather securitization asset is the bonds or real estate or copyrights. It does nat have a special rule for securitization in contrast with Capital Market Act or the Commercial Act as the basic law on financing of corporaions. Compared to Korea, Japanese Asset-Backed Securitization Law accepts the unique nature of the securitization separated from general financial law in securitization asset, securitization instruments, seceuritization securities. Currently our law does not yet include specific securitization law as the legal system, Japanese legal system give korea the great implications for the legislation and interpretation of act on the securitization of our copyrights.

      • KCI등재

        영상저작권의 증권화에 대한 법률문제 - 영상저작권의 유동화자산 적격성을 중심으로 -

        이성웅 한국저작권위원회 2016 계간 저작권 Vol.29 No.1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영상저작권의 증권화를 통하여 영상기업이 자본조달을 행한 예가 없다. 이러한 사실은 우리법상으로는 영상기업이 영상저작권을 통해 자본을 조달하는 것이 곤란한 일인가라는 의문을 갖게 한다. 영상기업이 영상저작물을 기초로 하여 자본조달을 하는 데 관련된 법률로는 영상저작물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는 저작권법, 재산권에 관한 일반법인 민법, 영상저작권을 기업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 설립되는 회사에 적용되는 상법, 유동화 증권의 발행 및 유통에 대해서는 자본시장법 등이 있다. 그렇지만 가장 직접적으로 적용되는 법은 자산유동화법이며 이 법은 기업의 자본조달편의를 위해 자산의 증권화를 직접적으로 규제하고 있다. 자산유동화법은 자산유동화의 구조를 크게 자산에 관한 권리를 가지고 있는 자산보유자가 자산의 분리방법으로서 유동화기구에게 양도하고 이 유동화기구가 양수받은 자산을 기초로 하여 유동화증권을 발행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자산유동화의 법률관계는 그 구조에 따라서 자산유동화의 대상인 유동화자산의 법률문제, 유동화수단인 유동화기구의 법률문제, 유동화객체인 유동화증권의 법률문제로 분류할 수 있다. 결국 영상저작권의 증권화에 관한 법률문제는 위의 세 가지 문제를 분석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영상저작권의 유동화에 관한 법률문제에 있어서 가장 기초적이고도 중요한 문제가 바로 영상저작권의 유동화적격에 관한 문제이다. 우리의 자산유동화법은 유동화자산의 대상으로서 ‘채권, 부동산, 기타 재산권’이라고 규정하고 있을 뿐, 어떤 권리가 현실적으로 이에 해당하는지는 따로 정하고 있지 않다. 다만 이와 관련하여 유동화자산의 ‘진정매매’에 관한 규정을 두고 있을 뿐이다. 무엇보다도 자산유동화구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유동화자산을 일반자산으로부터 분리하는 것이다. 법이 규정하는 진정매매는 유동화자산의 분리수단이며 법적으로 ‘권리의 완전한 이전’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영상저작권의 증권화를 위해서는 첫째, 영상저작권이 재산권으로서 영상제작사에 귀속되어야 하고, 둘째, 유동화대상인 영상저작권이 양도 가능해야 하며, 셋째, 영상저작권의 양도는 진정매매이어야 한다는 것이 요구된다. 본고는 저작권법상의 영상저작권에 대한 규정을 기초로 하여 영상저작권이 자산유동화법상 유동화자산으로서의 성격을 제대로 구비하고 있는지를 분석한다.

      • 체납지방세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 체납조세채권 및 압류권의 양도와 유동화 방안을 중심으로

        변혜정,김필헌 한국지방세연구원 2016 위탁연구보고서 Vol.2016 No.4

        □ 연구목적 ○ 본 과제에서는 체납지방세채권 또는 체납지방세채권의 압류재산에 대한 압류권을 양도하거나 유동화 하는 방안을 검토함. -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자립도가 열악한 가운데 사회복지비 등의 재정지출 부담은 더욱 증가하고 있어 체납지방세 해소를 통한 지방세수 확보가 필요한 상황임. - 체납지방세를 해소하는 방안으로서 체납지방세채권 자체 또는 체납지방세의 압류재산에 대한 압류권의 양도 또는 유동화를 고려해 볼 수 있음. ·지방세 체납징수 인력이 부족한 현실을 감안할 때 이러한 체납지방세채권과 압류권의 양도 또는 유동화는 지방세 체납금액의 일정부분을 해소하여 지방세 체납징수율을 낮춤으로써 지방자치단체의 재정건전성을 개선하는데 일조할 수 있음. □ 주요내용 ○ 현행 법령에 따라 지방세 체납처분과 지방세 체납에 대한 행정적 제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체납지방세를 효과적으로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임. - 각 지방자치단체 내에 전문 체납징수조직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지방세 체납이 누적되고 있음. ·그럼에도 불구하고 체납지방세 규모를 축소하기 위한 세무공무원의 증원은 예산 및 공무원 인사제도상 한계가 있음. - 압류재산에 대한 공매를 한국자산관리공사로 하여금 대행하도록 하는 경우, 그 공매대행 수수료가 법원의 경매대행 수수료와 비교했을 때 매우 높게 책정되어 있으며 수수료 산정기준도 공매로 매각되는 재산과의 관련성이 부족함. - 체납지방세채권 압류재산의 선순위 권리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 부족하여 조세채권을 실현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함. ·체납지방세채권의 압류재산에 근저당권, 압류 및 가압류, 가처분, 가등기가 있는 경우 이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 있어야지만 압류재산을 통한 조세채권 실현이 가능함. ·한국자산관리공사에 공매를 대행하는 경우 공매재산에 대한 분석이 형식적인 내용에 한정되어 공매가 반려되기도 하고 지방자치단체가 추가적인 비용을 부담하게 되기도 함. - 압류재산이 장기간 미공매 상태로 남아있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음. ·강력한 민원이 우려되는 경우, 또는 압류재산에 국세에 의한 선압류가 있거나 선순위 근저당권부 채권이 있는 경우에는 공매 등 강제환가가 어려워져 압류재산이 미공매 상태로 장기간 방치되게 됨. ○ 미국의 지방정부에서는 재산세 체납에 효과적이고 신속히 대응하기 위하여 체납조세채권 또는 압류권의 양도 및 유동화를 제도화하고 있음. - 미국의 지방정부들은 1990년대 후반부터 체납재산세의 대상자산에 대한 압류권(lien)을 대규모로 양도 또는 증권화(securitization)하기 시작하였음. - 미국의 지방정부들은 각기 다른 재산세 징수 및 압류제도를 가지고 있어 압류 및 체납처분, 이에 대한 사법부의 개입 여부, 압류권 또는 그 대상자산의 공매, 상환기간 등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고 있음. ○ 체납지방세채권 등의 양도 및 유동화는 금융수단의 역할을 넘어서 체납지방세의 효율적 해결방안이 될 수 있으므로 관련 제도의 도입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음. - 체납지방세채권 등의 양도 및 유동화를 제도화하기 위해서는 현행 관련 법령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기존 제도와 조화될 수 있는 도입 방안을 마련하여야 함. ·체납지방세채권의 양도와 관련된 제도 도입을 위해서는 「민법」상 채권의 양도에 관한 규정, 「채권의 공정한 추심에 관한 법률」에 따른 채권추심의 원칙 등을 검토할 필요가 있음. ·체납지방세채권 등의 유동화에 있어서도 「자산유동화에 관한 법률」에 따른 자산유동화 방식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여야 함. - 체납지방세채권은 양도가 허용되는 종류물채권 중에서 양도성이 높은 금전채권에 해당하나, 공적 채권으로서 인격적 결합의 정도가 강하여 대가형(代價型) 계약 등과 비교할 경우 그 양도에 제한이 있음. ·따라서 체납지방세채권의 양도를 제도화할 경우 이와 같은 양도상 제한을 감안한 제도를 마련할 필요가 있음. - 체납지방세채권 또는 그 압류권을 유동화하는 경우 체납지방세채권 등에 대한 평가와 체납지방세채권 등의 금액산정, 체납지방세채권 등의 유동화 방식, 위탁기관의 선정 등에 관한 구체적 제도 확립이 필요함. - 체납지방세채권 등의 양도 및 유동화는 징세업무의 민간위탁이 가능한지의 문제와 연결되어 체납지방세업무의 민영화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함. - 체납지방세채권 등의 양도 및 유동화는 체납정리의 연장에 해당하는 것이므로 납세자의 권리가 침해되지 않도록 하는 제도적 뒷받침이 같이 논의되어야 함. ·특히 체납조세 대상자산의 소유자가 저소득층이나 노령층 등 취약계층인 경우에 대한 특별 방안이 마련되어야 함. - 체납지방세채권 등의 유동화에 있어서는 체납자는 물론 그 외 거래에 관련되는 자들에 대한 형평성도 고려하여야 함. ·따라서 매수자들이 대상자산에 대한 권리의 행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방안도 함께 마련되어야 함. □ 결론 ○ 체납조세채권 등의 양도와 유동화는 지방세 체납을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음은 물론 새로운 금융상품으로서 투자대상이 될 수 있으므로 관련 제도의 도입 방안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음.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