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구(琉球) 한문학의 성립배경

        이성혜 ( Lee Seong-hea ) 퇴계학부산연구원 2018 퇴계학논총 Vol.31 No.-

        인류문명사에 있어서 문자나 문학의 성립 시기가 분명하지 않듯이, 유구에 언제 한문이 전래되었는지, 한문학은 언제쯤 성립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다만 학자들은 가장 이른 시기로 14세기 전후로 보고 있다. 유구 한문학의 성립 배경에는 두 가지 系譜가 있다. 그 중 하나는 ‘五山僧계보’이고, 다른 하나는 ‘閩人三十六姓계보’이다. 첫째, 13세기 후반 일본 승려의 도래로 유구에 한자와 가나문자가 동시에 전해졌다고 한다. 이후 14세기와 15세기에 다시 일본 승려가 도래하는데 이들도래승은 일본 오산계통의 승려로 불교 포교자인 동시에 한문 지식을 갖춘 교육자로 유구 한문학의 성립과 전개에 기여했다. 이 시기 僧門 한문학의 성과는 鍾銘과 碑記를 통해 나타나며 그 대표적인 작품이 「수리성 정전의 종명(首里城正殿の鐘銘)」이다. 둘째, 閩人 36성의 이주 시기는 분명하지 않고, 1392년·1394년·1396년 세 가지설이 있다. 그러나 유구의 학자들은 대체로 이보다 빠른 시기인 1372년 察度王이 명나라 招諭를 받은 때부터 일 것이라고 판단한다. 이들 귀화인들은 중국에서 습득한 한문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유구의 외교문서를 전담했다. 그리고 여기에 한 가지 추가하고자 하는 것은 일본 사쓰마번(薩摩藩)의 침공과 유가사상의 정착이다. 1609년 일본 사쓰마번이 유구를 침공하고, 유구지배의 필요성으로 유구에 신분제를 실시하는데 이를 위해 유가사상을 보급했다. 즉, 사쓰마번의 침공으로 유가사상이 확대되면서 유구 한문학의 융성기가 된다. 이때 많은 한시와 한문 작품이 창작되었다. 따라서 진정한 유구 한문학은 이 시기부터라고 할 수도 있다. 이런 과정을 거쳐 유구에 한문학이 성립되고 전개되었다. It’s not uncertain when Chinese letters were introduced to Yugu(琉球) and when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was formed in that region. However, researchers generally agree that it was around the 14th century. Three events, they say, made greatest contributions to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in Yugu. One is the arrival of Japanese Buddhist monks, another is immigration by people of 36 last names who lived in Min, Fujian Province, China and the other, invasion by Sathuma Province, Japan. Chinese character and Gana letters were introduced to Yugu by Japanese Buddhist monks, Seongam(禪鑑) earliest, followed by Noejung Beopin(賴重法印) and Gae Eun(芥隱) in order who were 100 years away from each other. These monks not only propagated Buddhism, but also educated Chinese letters, contributing to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in Yugu. Their accomplishments can be found in bell inscriptions and records that were made when they were working in Yugu. Another contribution to the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of Yugu was the immigration of 36 last names from Min(閩), China. The time when they first came to Yugu is known as 1392, 1394 or 1396, but not certain. However, many researchers of Yugu assume that those immigrants first arrived earlier, or in 1372. The naturalized citizens took in charge of diplomatic documentation for Yugu based on the knowledge of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that they had learned in their mother country. Confucianism was introduced to Yugu since Sathuma Province’s invasion. To govern Yugu, that province implemented a social status system, for which Confucianism was distributed. The Confucianism-based status system started with separation between the scholastic and the farming classes, generation of family genealogy and formation of clans. That system was completed in 1690 when Gyedojwa(系圖座) was established as a governmental agency of family genealogy management. Around that time, Confucian ideology and the consciousness of clanship became more an more prevalent across the scholastic class of Yugu, leading to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in the region.

      • KCI등재

        『사유구록(使琉球錄)』의 조선 간행과 16세기 조선의 관심

        조영심 열상고전연구회 2016 열상고전연구 Vol.54 No.-

        본고에서는 갑진자 동활자로 조선에서 간행된 『사유구록(使琉球錄)』을 소개하고 이 텍스트가 간행되었던 16세기에 조선이 유구(琉球)에 대해 관심을 지속하고 있었음을 살폈다. 『사유구록』이란 현재의 오키나와현(沖縄縣)에 해당하는 옛 유구왕국(琉球王國)을 사신으로서 방문하고 남긴 기록을 말한다. 본고의 대상이 되는 『사유구록』은 조선인이 집필한 것이 아닌, 명나라인 진간(陳侃)이 저술한 것을 조선에서 편집 간행한 것이다. 1534년 쇼세이(尙淸)를 유구국 중산왕으로 책봉하기 위한 명나라 책봉사(冊封使)가 유구를 향했다. 진간은 이 사절단의 정사(正使)로서 사행에 임했다. 그리고 약 4개월 간의 유구 일정을 마치고 돌아와 유구의 실정을 담은 『사유구록』을 저술했다. 이것은 가정(嘉靖) 연간에 간행된 텍스트라고 하여 가정본 『사유구록』이라고 칭해진다. 이 텍스트는 조선에까지 전해져 조선본 『사유구록』으로 편집되었다. 조선본 『사유구록』은 갑진자 동활자로 중종 말기부터 명종조 시기에 간행되었으며, 2권1책으로 되어 있다. 임진왜란 시기 약탈되어 현재는 일본 국립국회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그 내용은 가정본 『사유구록』에 비해 생략이 많은데, 생략 내용을 살펴보면 당시 조선이 명과 유구의 관계보다는 ‘유구’의 실상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던 것을 볼 수 있다. 비슷한 시기의 텍스트인 어숙권(魚叔權)의 『패관잡기(稗官雜記)』에도 진간의 『사유구록』이 인용되어 있다. 조선본 『사유구록』에 생략된 부분이 인용되어 있어 『패관잡기』와 조선본 『사유구록』 사이의 상호 보완성을 살펴볼 수 있다. 또한 『패관잡기』의 기록에서도 ‘유구’ 자체에 대한 관심을 나타내는 부분을 찾아볼 수 있다. 조선본 『사유구록』과 어숙권의 『패관잡기』가 작성되던 무렵은 조선과 유구의 직접적이던 교린 관계가 간접적인 방법으로 변화한 직후였다. 종종 조선을 내방하던 유구의 사신들이 1519년 이후 더 이상 조선을 방문하지 않았고 조선 조정에서는 이러한 변화에 의문을 갖게 되었다. 중종(中宗)은 그들이 오지 않는 연유와 유구까지의 육해상 거리에 관심을 갖기도 했다. 더불어 조선에 표착한 유구 표류민과 유구에 표착한 조선 표류민의 송환 문제도 화제로 부상했다. 중국 또는 일본을 통한 송환이라는 두 가지 경로 사이에서의 유구의 실제 위치와 이동 방법 등에 관심을 갖게 되었던 것이다. 정리하자면, 이 시기 조선본 사유구록 이 간행된 것은 조선의 유구에 대한 관심을 반영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discusses the publication of the Records of Visiting Ryukyu(使琉球錄) in Kapjin (甲辰字) copper type and the interest in Ryukyu of the 16th century Chosŏn. Records was written by Ming envoy Chen Kan(陳侃) and described his impressions of the Ryukyu Kingdom, or present-day Okinawa Prefecture, and was edited and published in Chosŏn. In 1534, Ming China sent Chen Kan as chief envoy to invest Shousei(尙淸) as King of Ryukyu, and wrote Records upon his return from traveling for about four months in Ryukyu. It was published during the reign era of the Jiajing(嘉靖) Emperor, and thus was called the Jiajing edition of the Records of Visiting Ryukyu. This text then moved to Chosŏn, and a Chosŏn edition of the text was made. The Chosŏn edition was published in Kapjin copper type during the end of King Chungjong’s reign until King Myŏngjong’s reign as one volume and two books. However, it was stolen by the Japanese during the Imjin War(壬辰倭亂) and is currently held by the National Diet Library in Japan. Although it omits much of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Jiajing edition, the omitted content shows that Chosŏn was more interested in Ryukyu’s actual state of affairs rather than its relationship with Ming China. A text from a similar period, Ŏ Suk-kwŏn’s Paekwanjabgi(稗官雜記), also quotes from Chen Kan’s Records, particularly that of the content omitted in the Chosŏn edition of Records; both writings therefore complement each other. In addition, Paekwanjabgi also takes an interest in Ryukyu itself. The period in which the Chosŏn edition of Records and Ŏ Suk-kwŏn’s Paekwanjabgi were produced was when Chosŏn had shifted from direct to indirect relations with Ryukyu. After 1519, Ryukyu envoys no longer visited Chosŏn and the Chosŏn court was suspicious of this change in relations. King Chungjong became interested in their reasons for not visiting Chosŏn and in the distance from Chosŏn to Ryukyu. Moreover, the issue of repatriating Ryukyuan castaways that landed in Chosŏn and vice versa also came to the fore. Chosŏn became interested in the actual location of Ryukyu and the methods of transporting these castaways because repatriations took place through either China or Japan. In sum, the publication of the Chosŏn edition of Records shows how Chosŏn was interested in Ryukyu.

      • KCI등재

        일반논문 : 소문과 진실의 경계 : 유구국세자(琉球國世子) 이야기의 형성과정에 대한 일고찰

        박혜민 연민학회 2014 연민학지 Vol.21 No.-

        조선시대의 문헌에는 琉球國世子絶命詩라는 시가 등장한다. 이 시는 제주목사 의 유구세자 살해사건(광해군3년)에서 나온 것이라고 하나 시에 등장하는 ‘죽서루’ 라는 지명은 제주도 소재의 누각이 아니다. 그래서 추적한 결과 유구세자절명시라 유전하는 이 시는 본래 삼척부사 조선유민 살해사건(선조28년)시 강릉의 생원 崔 參이 무고하게 죽어간 조선유민들을 위해 지은 弔詩이었음을 발견하였다. 한편 유구국세자이야기는 鮮初부터 왕왕 발생하였던 지방관리의 표류민 학살이 라는 역사적 사실과 선조·광해군 시 불안한 국내외 정세 속에서 생겨난 소문이 결합되어 만들어졌다. 그래서 이 이야기가 현재 전해지는 형태로 성립되는 광해 군·인조 시에는 불안한 국내외 정세와 맞물려 사실인양‘심각한 어조’로 유포되었 다. 그러나 淸이 건국되고 18세기 후반쯤 되면 유구국세자이야기는 절명시와 酒泉 石·漫山帳 등의 낭만적 요소가 편입되어 소설화된다. 소문의 중첩으로 한번 만들어진 ‘이야기’는 그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유전되면 유전될수록 많은 사람들을 편견으로 이끌며 그것을 확고하게 만든다. 그 편견의 확고함은 이 이야기를 ‘사실’로 믿고 유구국에 표류하면 출신지를 숨겼던 제주도인 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박지원, 이규경 등 조선문인들과 선행 연구자들 역시 유구 국세자이야기의 진위여부를 의심하면서도 이 이야기와 함께 유전하는 시에 등장하 는 ‘죽서루’가 제주도소재의 누각이라 의심치 않았던 사실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 유구국세자이야기의 생명력은 현재까지도 진행형이다. 朝鮮の文獻には琉球國世子絶命詩という詩が登場する。この詩は濟州牧使の 琉球世子殺害事件(光海君3(1611)年)から由來するものとされているが、詩に登場 する「竹西樓」という名は濟州島に所在する樓閣ではない。それで、追跡した結 果、琉球世子絶命詩として云わるこの詩は本來は三陟府使の朝鮮流民殺害事件 (宣祖28年)の時、江陵の生員の崔參(チェ?チャム)が何の罪もなく死んでいった 朝鮮の流民たちのためにつくった弔詩であったことがわかった。 一方、琉球國世子物語は朝鮮時代初からしばしば發生した地方官吏の漂流民 虐殺という歷史的事實と、宣祖?光海君當時の不安の國內 外の情勢もとでつく られた준が結びついて生まれたものだった。したがって、この物語が現在云えられ ている形となる光海君?仁祖當時は、不安な國內 外の情勢と結びつき、事實の ように「深刻な語調」で流布されもした。だが、淸が建國され、18世紀後半になる と琉球國世子物語は絶命詩と酒泉石?漫山帳などのロマン的要素が組み入れら れて小說化された。 いくつかの준が重なり結びついてつくられた「物語」は、その不確實さにも關わ らず、流云すればするほど多くの人□を偏見へと惹きつけ、それを確固としたも のとする。その偏見の根强さは、この物語を「事實」と信じ、琉球國に漂流する と、出身地を明さなかった濟州島民に限られたことではない。李圭景など朝鮮文 人たちや先行硏究者たちもまた琉球國世子物語の眞僞の是非を疑いながらも、こ の物語と共に流云する詩に登場する「竹西樓」が濟州島所在の樓閣だと疑わな かったことを通しても確認できる。そのため、この琉球國世子物語の生命力は今も健在である。

      • KCI등재

        제주(濟州) · 유구(流求) 표류 난민의 신분 위장과 경계인 의식

        김치완(Kim, Chi-Wan)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0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21 No.3

        표류가 월경(越境)이라면 표류민은 해난사고로 발생한 난민이다. 동아시아 해역에서 발생한 해난사고의 난민들에 대한 인도주의적인 송환 절차는 오래전부터 갖추어져 있었다. 그런데 유구(琉球)에 표착한 제주 난민과 제주에 표착한 유구(琉球) 난민 가운데는 각각 출신지와 국적을 위장한 사례가 있다. 제주와 유구 표류 난민의 이러한 신분 위장은 당시 동아시아 경계지역출신이라는 데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해난사고를 겪고 간신히 생명을 건져 표착한 곳이 출신지 관할 국가와 어떤 관계에 놓여 있는지, 그곳 주민과 관리들이 자신들을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대해 촉각을 세울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에서 표류 난민은 근대적 의미의 경계인이며, 특히 제주와 유구 표류 난민은 한국과 일본과의 관계에서 근대 이후의 트랜스-네이션을 경험한 주체라고 할 수 있다. 이들은 식민지에 복속되는 과정에서 타자성으로서 네이션(nation)을 자각하고 있었고, 일상의 시공간이 아닌 표착지의 시공간에서 자기를 타자화시키는 전략을 활용한 것이다. Drifting is crossing the border, and drifted refugees result from marine accidents. Humanitarian repatriation procedures have long been in place for refugees from maritime accidents in East Asian waters. However, there was a case that some of the Jeju refugees who drifted ashore on Ryukyu and some of the Ryukyu refugees who did on Jeju disguised their nationality as Japanese and were repatriated to Japan. The false identity of the Jeju and the Ryukyu refugees can be understood as a result of their nations at the boundary regions of East Asia at that time. It was because they had no choice but to be alert to where they came from and what kind of relationship they had with the jurisdiction nation of their nationality in which they managed to save their lives and to how the residents and officials perceived them. In this regard, the drifted refugees were the marginal men of the modern meaning, and in particular, Jeju and Ryukyu refugees were the main bodies, who experienced the trans-nation after modern times in their relations of Korea and Japan. They were aware of the nation as otherness in the process of not assimilating into the colony, and they used the strategy to otherize themselves in the space and time of the landing site, not in the daily space and time.

      • KCI등재

        북경에서 만난 조선과 유구(琉球) 사신의 민간외교

        이성혜(Lee, Seong-Hea) 포은학회 2016 포은학연구 Vol.18 No.-

        이 논문은 이수광의 「유구사신증답록(琉球使臣贈答錄)」을 텍스트로하여, 북경에서 만난 조선과 유구 사신(使臣)간의 민간외교 활동에 관한 내용을 고찰한 것이다. 조선과 유구는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되어 있는 바와 같이 태조1년(1392)에 외교 관계를 수립했으나 1524년을 마지막으로 유구 사신의 조선 내빙이 끝나고 1530년부터는 북경을 통한 우회 외교가 시작되 었으며, 이 우회 외교도 1596년까지 만난 횟수가 겨우 3회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이수광이 북경에 갔던 1611년에 두 나라는 서로에 대한 정보도 부족했을 뿐만 아니라 외교적으로도 친밀하지 못했다. 이때 양국의 사신이 북경에서 만나 문답하고 시를 주고받는다는 것은 상대국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우호를 증진할 좋은 기회였다. 물론 공식적인 접촉은 아니지만 양국의 사신으로 민간 외교의 역할을 하기에는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북경에서 만난 조선 사신 이수광과 유구 사신 채견과 마성기는 서로에 대한 궁금증을 문답을 통해 일부 해결하고, 시를 주고받으면서 우호를 증진하는 민간 외교의 역할을 하였다. 시의 내용은 창화자가 양국의 사신이라는점에서 상대 나라와 사신에 대한 의례적 묘사와 칭송이 많다. 그러나 사신간의 만남과 창화는 두 나라의 우호를 증진하는 데 그 목적이 있으므로 내용 보다는 창화했다는 점에 무게를 두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rivate diplomatic exchanges between the envoys of Joseon and Yugu who met in Beijing, with reference to 「Yugu Sasin Jeungdaprok」 written by Lee Su-gwang. According to The Tru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Joseon and Yugu made diplomatic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in the first year(1392) of king Taejo’s reign. But it was just until 1524 when Yugu directly sent its envoys to Joseon. Since 1530, the two nations made diplomatic exchanges in 1530. Even their contacts in this way were made only three times until 1596. Thus, the two countries had little information about and not diplomatic closeness to each other in 1611 when Lee Su-gwang visited Beijing. In that year, the envoys of the two countries met in Beijing and exchanged questions and answers and poems. This provided the opportunity for Joseon and Yugu to better understand and improve friendship with each other. Though informal, their meeting was presumedly enough to be regarded diplomatic exchanges between the private sectors of the two nations. At that time, Joseon’s envoy Lee Su-gwang and Yugu’s ones Chae Gyeon and Ma Seong-ki could partly solved what they wanted to know about each other through questions and answers. They also exchanged poems with each other to promote mutual friendship. Through these moves, the envoys of the two nations showed a good example of nongovernmental diplomacy. Meanwhile, those poems were mostly about the courteous depictions and admirations of each other and their respective country. However, more importance should be put on the fact that the envoys of two different countries read poems to each other and responded to it than on what the poems were about since their meeting and exchanges using poems were to improve frienship between the two nations.

      • KCI우수등재

        19세기 ‘목지, 은하사건’으로 본 유구왕국의 주체성과 저항

        장혜진(Jhang, Hyejin) 동양사학회 2018 東洋史學硏究 Vol.143 No.-

        It is a common belief that the kingdom of Yūgu(Ryukyu) was politically subordinate under the control of Satsumiburn, Japan, for about 270 years since 1609. It was also during this period that not only had diplomatic relations with China, which had been formed since the old age, but rather had strong relations with China. In other words, the Kingdom of Yūgu(Ryukyu) in modern times was in a bilateral relationship between Satsuma-han, Japan and China, which lasted until the kingdom was dismantled. However,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on what political stance the kingdom took between Japan and China, as it has been difficult to find any specific examples to confirm it in its historical sources. In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the "Mokji-Eunha incident" occurred during the opening period of the port city of Yūgu(Ryukyu), and was the only case in which Yūgu(Ryukyu)"s record of a political dispute and division was directly revealed. The background was a political event that took place during the acceptance of Western civilization during the opening years of Japan and the Yūgu(Ryukyu) Kingdom, but the internal relationship between Satsumaven and Yūgu(Ryukyu) Kingdom, which have been observed since 1609. This is not just about political relations with Satsumiburn, but also about maintaining the existing international relations with China, and the kingdom of Yūgu(Ryukyu), which has been promoted to the East Asian political change of the opening period, has emerged in the West.

      • KCI등재

        19세기 조선 지식인의 일본,유구에 대한 인식 고찰 -오주(五洲) 이규경(李圭景)의 『시가점등(詩家點燈)』을 중심으로-

        김보성 ( Bo Sung Kim ) 근역한문학회 2012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35 No.-

        Since 16th Century, Japan`s silver industry has exported almost one-third of the world`s silver, serving as a bridge that links East Asia to Western countries like Portugal. In mid 15th century, Yu-Gu Destiny (now Okinawa, Japan) declared the Bridge of all Continents which links countries in Northeast Asia such as Chosun, China, and Japan to those in Southeast Asia such as Thailand, Vietnam, Laos, and Burma. Japan that considered trade and merchant ships as very important thought Yu-Gu can be a key because of the Kurosio current. In late 19th century, Japan finally conquered Yu-Gu. How Chosun and China responded to Japan`s decision about Yu-Gu was different. Throughout mid 18th and late 19th, China treated Yu-Gu (until mid 18th) and Japan (until late 19th) as inferior who were supposed to serve them. So, China was only interested in trade routes and products while neglecting literature of Yu-Gu and Japan. On the other hand, Chosun`s viewpoint had changed since Imjin war during late16th and early 17th. After the war Japan and Yu-Gu became to have a greater power over Chosun, so Chosun became to be able to see Japan and Yu-Gu`s literature differently. In 19th, Chosun admitted Japan and Yu-Gu`s literature was worth to pay greater attention. Different from a traditional way of importing foreign books through China, since 19th Chosun directly imported foreign books from their countries such as Hwahansamjedohoe that allowed Chosun to more promptly respond to changes in other countries. Particularly, Lee Kyu Kyung, Chosun writer in 19th, cited Hwahansamjedohoe several times in his Ojuyeonmoonjunsango and Shigajumdeung, collection of criticism about poets of the Chosun and other countries. When he mentioned about Japan, he thought highly of great writers whereas when he mentioned about Yu-Gu`s literature he noticed that Yu-Gu`s literature has been influenced by Chosun, China, and Japan.

      • KCI등재

        정순칙의 「중산동원팔경시」로 본 오키나와의 경관

        박재덕,이성혜 동아시아일본학회 2018 일본문화연구 Vol.0 No.65

        본고는 오키나와 지역의 아름다운 경관을 정순칙이 노래한 「중산동원팔경시」로 확인하고, 이를 관광자원화 할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집필되었다. 자연경관은 장소가 같고 주변 상황이 크게 변하지 않았다면 옛사람이 느끼는 정취나 지금 사람이 느끼는 정취가 별반 다르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보다 더 의미 있는 것은 옛사람이 느꼈던 아름다운 장소에서 세월과 함께 변한 경관 혹은 시간이 흘러도 변하지 않는 모습을 바라보며 역사를 반추하는 것은 그 자체로 의미가 있다고 본다. 이는 고전을 통한 현대의 이해일 뿐만 아니라, 역사의 이해이며, 지역에 대한 이해와 애정이다. 다만 본 논문은 정순칙이 노래한 「중산동원팔경시」가 제대로 평가된 적이 없으므로 그 가치를 제시하여 오키나와 관광지에 활용될 수 있다는 의미만을 제기하고자 하였으며 그 구체적인 활용방안은 다음 과제로 삼고자 하였다. 그러나 한 가지 방안을 제시하면, 「중산동원팔경시」와 관련한 장소에 팻말 등의 형식에 해당 시를 적어 관광객이 경관과 함께 음미해보도록 하는 것이다.

      • KCI등재

        조선 호피・표피의 琉球國 贈與와 通交관계의 정립

        서인범 명청사학회 2023 명청사연구 Vol.- No.60

        In the late 14th century, the Ryukyu Kingdom emerged as a pivotal player of the East Asian triangular trade. It is no exaggeration to state that during the early modern era, the Ryukyu Kingdom served as a crucial link connecting the waters of East and Southeast Asia. Relations between the Ryukyu Kingdom and the Ming Dynasty initiated when Emperor Hongwu of the Ming Dynasty sent an official letter to King Qiao of Zhongshan in Ryukyu, requesting tribute. Subsequently, Ryukyu Kingdom took advantage of the Ming Dynasty's tributary system and maritime prohibition policy. In other words, they actively exploited the preferential policies of the Ming Dynasty and engaged in extensive trade with port cities in Southeast Asia using the sea ships they received from the Ming Dynasty. Furthermore, they forged a new maritime Silk Road by connecting Joseon and Japan. Ming goods were exported to various foreign countries, while foreign products were imported and sold within the Ming Dynasty, establishing a profitable trading system based on intermediation. This paper examines the Ryukyu Kingdom as an integral component of a broader study on East Eurasian states and societies,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attributes of non-human commodities, notably tiger and leopard skins. Comprehe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Joseon and the Ryukyu Kingdom necessitates an examination of its political, economic, and diplomatic dimensions. However, if we move away from the institutional aspect and turn our attention to the goods, we may be able to identify the cultural nature of the contact between Joseon and the Ryukyu Kingdom from a new angle. While the King of Ryukyu Kingdom professed that both Joseon and his kingdom were vassals of the Ming Dynasty within the Ming's tributary system, the reality forced him to acknowledge substantial disparities in how the Ming Dynasty treated the two countries and the regulations that governed them. As a result, he aimed to establish a diplomatic framework that portrayed Joseon as Ryukyu’s older brother and Ryukyu as Joseon’s younger brother, all while preserving their communal relations. Meanwhile, Joseon, well aware of the Ryukyu Kingdom's stance, presented the Ryukyu King with gifts in the form of tiger skins and leopard skins, items laden with distinctive attributes signifying authority and stat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