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GeoAAC, 위치기반 보완대체의사소통 모바일 앱

        조희,홍기형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2020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 Vol.8 No.1

        Many AAC mobile applications have been developed to help people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However, the current AAC mobile applications are inconvenient. Users must select suitable communication boards manually for their current locations and situ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and develop a mobile application that automatically recommends appropriate communication boards for users’ current locations. Method: We designed an algorithm to recommend location-based communication boards. First, the algorithm finds the POI (point-of-interest) locations around the current users’ location, and then determines the location based boards of the retrieved POI locations and recommends the boards most suitable for users’ current location. Results: Based on the designed algorithm, we implemented a location-based AAC mobile application. In addition to the recommendation of location-based AAC boards, the mobile application supports the generation of customized location based boards and symbols for specific locations according to users’ needs. The mobile application also provides built-in location-based boards for the POI locations. Conclusion: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location-based AAC mobile application. By using the application, users can be free from the overhead in selecting the appropriate communication board for a specific location. We expect that the application will enable more efficient interaction between people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and others. 최근 모바일 앱과 음성합성기의 발전으로 의사소통 장애인을 도와주는 AAC 앱이 개발되어왔다. 하지만 기존의 AAC 모바일 앱은 의사소통이 필요한 장소에서 사용자가 직접 상황에 맞는 의사소통 보드를 선택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용자가 직접 의사소통 보드를 찾지 않아도 사용자의 위치에서 사용할 적합한 의사소통 보드를 자동으로 추천해주는 모바일 앱을 설계 및 구현하는 것이다. 방법: 위치기반 AAC 모바일 앱의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가장 적합한 의사소통 보드를 추천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모바일 기기를 통해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사용자의 주변에 있는 장소들을 검색하고, 알고리즘에 따라 검색된 장소에 대한 위치기반 보드를 결정하고 추천한다. 결과: 가장 적합한 의사소통 보드를 추천하는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위치기반 AAC 모바일 앱(GeoAAC)을 개발하였다. GeoAAC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특정 장소에 대한 사용자 맞춤형 위치기반 보드와 상징을 제작할 수 있는 기능도 지원한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특정 장소에서 적합한 의사소통 보드를 직접 선택해야 하는 사용자의 어려움과 불필요한 시간 소요의 문제를 해결하였다. 또한, 사용자가 특정 장소에서 사용할 의사소통 보드를 제작하지 않아도 기본형 위치기반 보드를 제공하여 다양한 장소에서 가장 적합한 의사소통 보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KCI등재

        3D 지도와 결합된 실시간 증강현실 건물 안내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김상준(Sang-Joon Kim),배윤민(Yoon-Min Bae),최유주(Yoo-Joo Choi)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 2018 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Vol.24 No.4

        최근 스마트폰을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 건물 안내 어플리케이션들은 사용자의 위치와 목표 건물의 위치 간의 거리에 상관없이 동일한 고정 형태로 정보를 보여주고 있고, 특히 다수의 목표 건물들이 근접하여 위치하고 있을 때 제공 정보들이 중첩하여 디스플레이 됨에 따라 정보 전달력이 떨어지는 제한점이 있다. 또한, 기존 증강 현실 기반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직관적으로 파악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제한점을 해결하고자 사용자와 건물의 위치에 따라 정보객체의 위치와 크기가 적응적으로 제공되고, 사용자의 위치가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3D 지도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이 직관적으로 자신의 위치와 건물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안내 시스템을 설계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증강현실 기반 건물 안내 시스템은 서울시 중구에 위치한 덕수궁내의 건물 안내에 초점을 맞추어 제작되었다. Recently, augmented reality(AR) based building information applications using a smart phone provide information in the static form irrespective of the distance between a user and a target building. If many target buildings are located close to each other, discrimination of information is reduced due to overlapping information objects. Furthermore, it is difficult to intuitively grasp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in the previous AR-based applications. In this paper, to solve these limitations, we have designed and implemented a novel building information system in which the location and size of information objects are adaptively displayed according to locations of a user and target buildings, and which allows users to intuitively understand their location by providing a 3D map that displays the user’s location and all target buildings within a given distance in real-time. The AR-based building information application proposed in this paper focuses on the building guide in Deoksu Palace in Jung-gu, Seoul.

      • KCI등재

        모바일 공간정보서비스 활용 활성화 방안 연구

        황정래,김태훈,최현상 대한공간정보학회 2012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20 No.4

        Recently, market of mobile spatial information service is increasing along with enlargement of geo-spatial information utilization area and spread of smartphone. In particular, smartphone users look forward to utilizing spatial information service more easily and conveniently. Korea has the potential for 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development, but does not have enough governmental support to develop various spatial information service in mobile network environment. Hence, it is need to make governmental support plans for utilizing mobile services and promoting the related industry base on mobile spatial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governmental action plans for utilizing mobile services and promoting the related industry by surveying mobile application/web services and analyzing demands of mobile spatial information experts. 최근에 공간정보 활용분야 확대와 스마트폰 확산에 따라 모바일 공간정보 서비스의 시장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위치기반서비스, 소셜네트워크서비스 등의 공간정보 서비스를 보다 쉽고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공간정보기술 개발의 잠재력은 보유하고 있으나 모바일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다양한 공간정보 서비스 개발을 지원할 수 있는 정책적 지원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모바일 기반에서의 공간정보 활용 및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모바일 앱/웹 현황 조사와 모바일 공간정보 관련 전문가 수요조사 및 분석을 통해 모바일 공간정보 활성화를 위한 정부차원의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 모바일 공간정보서비스 활용 활성화 방안 연구

        황정래,김태훈,최현상,Hwang, Jung-Rae,Kim, Tae-Hoon,Choi, Hyun-Sang 한국공간정보학회 2012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0 No.4

        Recently, market of mobile spatial information service is increasing along with enlargement of geo-spatial information utilization area and spread of smartphone. In particular, smartphone users look forward to utilizing spatial information service more easily and conveniently. Korea has the potential for 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development, but does not have enough governmental support to develop various spatial information service in mobile network environment. Hence, it is need to make governmental support plans for utilizing mobile services and promoting the related industry base on mobile spatial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governmental action plans for utilizing mobile services and promoting the related industry by surveying mobile application/web services and analyzing demands of mobile spatial information experts. 최근에 공간정보 활용분야 확대와 스마트폰 확산에 따라 모바일 공간정보 서비스의 시장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위치기반서비스, 소셜네트워크서비스 등의 공간정보 서비스를 보다 쉽고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공간정보기술 개발의 잠재력은 보유하고 있으나 모바일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다양한 공간정보 서비스 개발을 지원할 수 있는 정책적 지원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모바일 기반에서의 공간정보 활용 및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모바일 앱/웹 현황 조사와 모바일 공간정보 관련 전문가 수요조사 및 분석을 통해 모바일 공간정보 활성화를 위한 정부차원의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 KCI등재

        지역관광 활성화를 위한 비콘 기반의 온오프라인 관광 솔루션

        류갑상,Ryu, Gab-Sang 한국사물인터넷학회 2016 한국사물인터넷학회 논문지 Vol.2 No.2

        본 논문에서는 지역 상권들과의 연계가 가능하며 실시간 관광정보 업데이트 및 무선 데이터망 없이도 관광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블루투스 비콘기반의 온오프라인 관광 솔루션(BBTS)을 제안한다. BBTS는 블루투스 기반의 저전력 데이터 공급시스템과 비콘과 연동 가능한 스마트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되어 있다. 데이터 공급시스템은 브류투스 비콘 기반의 Pairing/non-pairing 데이터 전송모듈과 일체형 하드웨어로 되어있다. 스마트 어플리케이션은 설치된 비콘 중심으로 사용자의 실내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모듈, 주변정보(교통, 숙박 쇼핑, 관광지 등)를 제공하는 기능 그리고 관광지 정보수집 서버구축과 내부 가이드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되어 있다. BBTS는 Beacon 기술을 활용하기 때문에 관광객이 요구하는 실내 관광서비스가 가능하며 실외관광 정보는 비콘에서 수신 받는 정보를 APK 파일로 스마트폰에 다운받아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개발되어 스마트관광 서비스 산업에 큰 파급효과를 불러일으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paper, it is possible to update the tourist information in real time, on/off-line tour proposes a solution(BBTS) based on a bluetooth beacon can provide tourist information without the need for wireless data network. BBTS consists of a bluetooth based data of the low-power supply system and the beacons and interoperable smart applications. Data supply system consists of the BLE & Beacon Pairing-based / non-pairing data transmission module with integral hardware. Smart application modules that provide indoor location of users information, internal server module and tourist information collection and information guide around comprised of applications. The proposed BBTS is possible that indoor service tourism tourist demand due to utilizing the beacon technology. Outdoor tourist information is designed to be downloaded to the smartphone receives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beacon APK file to provide services. BBTS system is expected to make a big impact on the smart tourism services industry.

      • KCI등재

        간호학생을 위한 안전관리 설계 및 구현

        이성현,홍성정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1

        최근 간호학생의 증가로 학교 인근 병원 실습 이외에도 원거리에서 임상실습을 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어 한국간호평가원에서는 간호학생의 원거리 실습과 관련된 안전확보와 규정과 대책마련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원거리 실습을 하고 있는 간호학생의 안전을 위한 안전관리 앱을 개발하여 간호학생을 위한 안전관리의 기초자료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앱의 구성은 숙소위치 정보, 간호학생 위치정보 확인, 담당교수 알림제공 등으로 구성된다. 간호학생들의 위치정보 서비스 시간은 간호학생들의 근무표를 기준으로 평일 오후 10시에서 오후 11시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해당 시간에 숙소위치에서 벗어난 학생들의 위치정보가 담당실습교수에게 전송되도록 하였다. 이에 간호학생들이 본 앱을 사용하여 임상실습 후 자신의 위치 알림서비스와 학생이 안전 반경을 이탈하거나 문제가 될 경우 위험 알림서비스 및 구조 요청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Recently, due to increases in the numbers of nursing students, there are many cases of clinical practice in remote areas other than in hospitals near a school. In this regard, the Korea Institute of Nursing Evaluation emphasizes the securing of safety, the provision of regulations, and countermeasures related to long-term practices of nursing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afety management application for nursing students who are practicing at a distance. This application configuration consists of accommodation location information, nursing student location information check, and notification of the professor in charg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nursing students was based on their location on weekdays from 10 pm to 11 pm, due to the work schedule of the nursing students. For this reason, nursing students can use this app after their clinical practice; if the student is out of the safety radius or there is a problem, a risk notification can be provided through a service and a rescue request can be ma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