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려시대 운문사 창건연기의 변천과 역사적 의의

        곽승훈(Kwaak Seung Hoon) 한국사학사학회 2014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30

        고려 전기 金陟明이 지은 「圓光法師傳」에 따르면, 운문사는 원광법사가 자신을 위해 절을 짓고 복을 빌어달라는 海龍의 부탁으로 창건되었다. 또한 절 이름을 운문사라 하였다. 仁宗代 國師를 지낸 學一은 雲門寺로 下山하여 머무른다. 그는 天台宗으로 귀의하라는 義天의 권유를 끝내 거부하고 禪宗 승려로서의 절개를 지킨다. 얼마 뒤 1161년 淸道郡 戶長들이 편찬한 『郡中古籍裨補記』에 따르면, 운문사는 鵲岬에 절을 지으면 護法賢君이 나와 후삼국을 통일할 것이라는 海龍의 권유를 받아들여 寶壤禪師가 창건하였다. 그리고 절 이름을 鵲岬寺라 하였는데, 운문사는 고려 太祖가 賜額한 이름이다. 이는 운문사의 창건자가 교종 승려인 원광이라는 이전의 주장을 선종 승려인 보양선사로 바꾼 것이다. 1277년 운문사 住持로 부임한 一然은 운문사 관련 사적을 열람하고, 김척명의 저술에 문제가 있음을 확인한다. 일연에 따르면, 그의 저술은 『고본수이전』 원광전을 바탕으로 지었는데, 여기에는 원광이 운문사를 창건한 이야기가 없다. 또 고려 초 청도군에서 작성한 공문서에 의하면, 보양선사가 운문사 주지로 활동한 사실이 확인된다. 따라서 김척명의 저술은 역사적 사실과 부합하지 않는다. 나아가 일연은 그것을 考證하지 않고 그대로 받아들인 각훈 역시 잘못이라고 비판한다. 그렇지만 여기에는 일연이 선종승려라는 입장도 반영된 것이었다. 이런 점에서 운문사의 창건자와 創建 緣起가 바뀌는 것은 아무래도 불교사의 흐름은 물론 종파간의 경쟁에서 나온 듯하다 According to Wonkwang Bopsa Chon(「圓光法師傳」) written by Kim Chok-myong(金陟明), Unmun Temple(雲門寺) was founded by Buddhist monk Wonkwang Bopsa(圓光法師) at the request of a King Dragon(海龍, which lives of Yellow sea) that the monk build a temple and pray for him. The temple was named Unmun Temple by the monk. Hak Il(學一), a national priest during King Injong(仁宗)'s reign, went into and stayed at Unmun Temple. He refused Uicheon(義天)'s recommendation to convert to Tiantai Buddhism and remained faithful to Zen Buddhism to the end of his life. According to Gunjung Gojeok Bibogi(『郡中古籍裨補記』) published by local gentry in Cheongdogun(淸道郡) in 1161, Unmun Temple was build by Boyang Sonsa(寶壤禪師) at the recommendation of a King Dragon that a temple be built in Chakgap(鵲岬) for the emergence of a wise king who protects Buddhism and unifies Later Three Kingdoms. Boyang Sonsa named the Chakgap Temple(鵲岬寺). The name Unmun Temple was granted by King Taejo(Wang kon). This indicates that the founder of Unmun Temple is non-Zen Buddhism monk Wonkwang Bopsa but Zen Buddhism monk Boyang Sonsa. Ilyon(一然), the Buddhist monk appointed as the head priest of Unmun Temple in 1277, read books and documents on Unmun Temple and found out there was something wrong with the book by Kim Chok-myong. According to Ilyon, Kim's book was based on "Wonkwang chon" in Gobon Sui Chon(『古本殊異傳』), which did not say Wonkwang established Unmun Temple. Furthermore, official documents written by Cheongdogun in the early of Koryo period confirmed that Boyang Sonsa served as the head priest of Unmun Temple. Kim Chok-myong's book, therefore, was not in line with the historical fact. Ilyon also criticized Gakhun(覺訓) for accepting Kim's work as true without investigation. Ilyon's position as Zen monk is considered to contributed to this, too. In this respect, the difference in the founder and caused of foundation for Unmun Temple seems to have been originated by competition among denominations within Buddhism.

      • KCI등재

        조선 후기 운문사의 불사(佛事)와 불화

        김정희 ( Kim Junghee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8 강좌미술사 Vol.50 No.-

        경상북도 청도에 위치한 운문사는 기나긴 역사를 보여주듯 다양한 불교유물들을 소장하고 있다. 운문사의 창건은 삼국시대 혹은 고려 초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한때는 전국 ‘제 2 의 선찰’로 불리울 만큼 사세가 확장되었지만, 1653 년의 대화재로 인해 석조유물과 일부 금동유물을 제외하고는 모두 소실되었다. 이에 따라, 운문사에 현존하는 불화 역시 17 세기 중창 이후의 것들이 대부분이다. 1655 년과 1773 년 두 차례에 걸쳐 이루어진 대웅보전 중창 때 조성된 불화로는 후불벽 뒷면에 그려진 관음보살ㆍ달마대사도가 대표적으로, 이 벽화는 雲門宗 사찰로 창건되어 꾸준하게 禪脈을 이어 온 운문사의 모습을 잘 보여준다. 대웅보전의 비로자나삼신불도와 삼장보살도는 1755 년에 통도사의 화승 任閑과 그 제자들에 의해 제작되었는데, 비로자나삼신불도는 현존하는 후불화로는 가장 시기가 올라가는 삼신불도의 형식을 보여주며, 삼장보살도는 천장보살과 지지보살, 지장보살 등 세 보살의 회상을 한 폭에 각각 독립적으로 그렸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아울러 운문사에서는 수륙재 중단탱인 삼장보살도와 함께 일찍이 수륙재관련 서적이 간행되었으며 의식 때 사용하던 佛輦이 남아있어, 당시 사찰에서 행해졌던 水陸齋의 모습을 잘 전해준다. 19 세기에는 운악 두안에 의해 萬日念佛會가 개최되면서 염불당 등에 봉안하는 불화들이 주로 제작되었다. 그중 대웅보전의 신중도와 관음전의 관음보살도, 아미타불도는 운문사에서 거행되었던 만일염불회의 모습을 생생하게 전해준다. 또한 이 시기에는 진영의 제작이 성행하여 현재 11 점의 진영이 남아있는데, 원광법사진영과 보양국사진영, 원응학일진영에는 각각 제 1 조, 제 2 조, 제 3 조 등의 명칭이 적혀있어 운문사 문중의 계보를 확립하고자 했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본고는 17~18 세기에 이루어진 운문사 대웅보전 중수 및 1861 년 염불회와 관련하여 조성된 불화를 중심으로 조선 후기 운문사의 중창불사와 불화에 관해 고찰한 것으로, 불화가 단순하게 전각에 봉안하여 예배하는 신앙의 대상이 아니라 한 사찰의 위상을 보여주고 문중의 결속력을 다지는데 큰 역할을 한다는 것을 운문사의 불화를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Located in Cheongdo, Geyongsangbuk-do, Unmunsa-temple has a collection of various Buddhist artifacts that show a long history. The Buddhist paintings existing in Unmunsa-temple are mostly after the reconstruction in the middle of the 17th century. Avalokitesvara and Bodhidharma mural painting behind the Buddha is one of the Buddhist paintings created during the reconstruction of Great Hall twice in 1655 and in 1773, and this painting shows the appearance of Unmunsa-temple, which was founded as Unmunjong temple and consistently followed Zen lineage. Great Hall's Trikaya Buddha painting and Three Bodhisattva painting were produced in 1755 by monk painter Imhan and his disciples, and Trikaya Buddha painting shows the form of Tirkaya painting which is the oldest with the existing behind Buddha paintings. Three Bodhisattva paintings are notable in that they were painted in an independent scroll with the three Bodhisattvas paintings of Cheongjang-Bodhisattva, Jiji-Bodhisattva and Ksitigarbha. In the 19th century, Manilyeombulhoe(Assembly of recitation of Buddha's name for Ten-thousand days) was held by priest Unak Duan, and Buddhist paintings that were enshrined to Yeombuldang(Hall for recitation of Buddha's name) were mainly produced. Among them, Divine Guardians painting of Great Hall, and Avalokitesvara painting of Hall of Avalokitesvaran, Amitabha painting in 1861 transmits the vividness of Manil yeombulhoe which was performed in Unmunsa-temple. In addition, at this time, production of portraits of a priest was intensified and 11 paintings still remain. This study examined the reconstruction of Great Hall of Unmunsa-temple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and the Buddhist paintings drawn due to Yeombulhoe in 1861 and the reconstruction and Buddhist paintings of Unmunsa-temple in the late Joseon, and Buddhist paintings in the temple are mostly composed in the construction and rebuilding of the temple, or in the memory of a special Buddhist event or Buddhist memorial service, etc.

      • KCI등재

        조선후기 雲門寺 전각의 건립시기와 伽藍配置 변화 검토

        오세덕 ( Oh Se-deok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8 강좌미술사 Vol.50 No.-

        조선후기 운문사 전각의 건립시기와 가람배치 변화라는 주제로 진행한 본고를 통해 다음과 같은 몇 가지의 사실을 증명할 수 있다. 먼저 운문사에 남아 있는 주요 전각의 건립시기를 검토하여 1655년은 대웅전이 건립되는 시기이고, 1655~ 1678 년까지 만세루를 건립하고 이후 관음전, 지장전이 들어서는 3 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운문사 만세루와 같은 누각이 가람의 주축선과 입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산지, 구릉지, 평지 가람으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산지가람에서는 누각과 가람의 주축선 - 동선이 모두 영향을 받고, 구릉지 사찰 역시 산지와 비슷하였으나 관람객 진입축선은 가람은 누각과 무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마지막으로 운문사 만세루 같은 평지 누각이 가람의 주축선에 지대한 영향을 미쳐 남-북 중심축에서 동-서축으로 가람의 축선을 변화시키는 원인을 제공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1655 년 가람배치도 분석을 통해 당시의 가람의 중심축선, 대웅전과 금법당을 중심으로 하는 주축선과 나란하게 미륵전과 미타전을 중심으로 하는 부축이 함께 형성되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1655 년 운문사 경내에 남아있던 전각의 수와 그 구성이 운문사 사적기에 등장하는 고려시대 운문사의 전각 구성과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어 이 가람배치도의 사료적 사실성이 높아졌다. 1935 년 가람배치도 분석을 통해서는 1655 년 가람배치도와 4 가지의 차이점을 찾아내어 설명하였는데 첫 번째는 중심전각의 주축선 변화이다. 1655 년 가람배치도의 주축은 남-북 자오선을 중심으로 2 개의 동선이 확인되고 있으나 1935 년 가람배치도에는 대웅전 - 금법당 - 작압전으로 이어지는 주축 동선은 변화가 없고 나란하게 이어지던 부축선이 만세루 - 대웅전 - 십육전 1 축, 지장전 - 관음전 - 칠성각 - 금법당으로 이어지는 동-서 방향의 2 개의 부축선이 새롭게 생성된다. 두 번째 조전 영역에 설송대사 비각이 추가되고 있다. 세 번째로 삼보위 영역은 사라지고 동쪽으로 청신암과 내원암 북쪽은 북대암, 남쪽은 사리암이 표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암자는 현재의 운문사 주변으로 동일하게 남아 있다. 네 번째 만세루의 건립으로 인하여 남-북 중심의 가람축에서 동-서 중심으로 가람축선이 변화한 사실을 명확하게 알 수 있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construction time of major buildings and changes to the temple layout of Woonmun Buddhist Temple in the latter half of the Joseon Dynasty. The findings helped to demonstrate a few facts: the study first reviewed the construction time of major buildings remaining at the Temple and found that Daewoongjeon was built in 1655, Manseru was built in 1655~ 1678, and Gwaneumjeon and Jijangjeon were built in the third period. The study then examined the effects of such tall buildings as Manseru of the Temple on its major axis and location by categorizing the Buddhist temples into ones in a mountain, hill or flatland. Both the major axis and path of action of tall buildings and temples were affected in the Buddhist temples in mountains. It was similar with Buddhist temples in hills, but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entry axis of visitors and tall buildings. Tall buildings on flatland, such as Manseru of Woonmun Buddhist Temple, had enormous impacts on the major axis of a temple. In the case of Woonmun Buddhist Temple, they altered the axial line from north-south to east-west. The study also analyzed the temple layout of 1655 and found that a minor axis connecting Mireukjeon and Mitajeon was established alongside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Temple and the major axis connecting Daewoongjeon and Geumbeopdang in those days. In addition, the number and composition of the major buildings remaining at the Temple in 1655 were similar to those of Woonmun Buddhist Temple during Goryeo described in the historic records of the Temple, which adds authenticity to the historic materials of the temple layout. The investigator analyzed the temple layout of 1935 and explained the four differences from that of 1655. The first difference involved changes to the major axis of the central buildings. The temple layout of 1655 showed two paths of action along the north-south meridian. That of 1935 showed no changes to the major path of action connecting Daewoongjeon, Geumbeopdang, and Jakapjeon and witnessed two new minor axes including one connecting Manseru, Daewoongjeon, and Sipyukjeon and another connecting Jijangjeon, Gwaneumjeon, Chilseonggak, and Geumbeopdang. The second difference derived from the monument house for High Priest Seolsong to the Joseon area. The third difference came from the disappearance of the Sambowi area and the marking of small temples including Cheongsinam and Naewonam in the east, Bukdaeam in the north, and Sariam in the south. These small temples still remain the same around the current Woonmun Buddhist Temple. The final difference involved a clear change of temple axis from north-south to east-west after the construction of Manseru.

      • KCI등재

        운문사(雲門寺) 소장 불교공예품의 현황과 특징 고찰

        최응천 ( Choi Eungchon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8 강좌미술사 Vol.50 No.-

        운문사에 소장된 공예품 가운데 작압전 출토 사리장엄구 일괄은 1987 년 10 월 작압전 해체 복원 당시 이곳에 봉안되어있던 석불좌상의 대좌 아래에서 발견된 것이다. 납석제 유개원합, 청동제 사리병, 숭덕칠년명 유제 뚜껑, 영락통보, 원형대소환옥, 소석편으로 구성되었다. 납석제 유개원합에 새겨진 명문을 통하여 사리합은 당시 탑에 2 과의 사리를 안치하고자 통일신라 경문왕 5 년인 865 년에 봉안된 것으로서 납석제로 제작된 점에서 통일신라 9 세기 중엽에 만들어진 일련의 신라 하대 사리기와 연맥을 같이한다. 안치된 청동제의 사리병은 고려 초기에 그 예가 많다는 점에서 이 사리병의 제작 시기에 대해서는 좀 더 검토가 요구된다. 또한 숭덕 7 년의 명문을 지닌 유제 뚜껑을 통해 조선시대 1645 년에 작압전에 대한 세 번째의 중수가 이루어졌으며 시주를 했던 10 명의 명단과 대목의 인명이 확인되어 조선중기 이후 운문사 중수 공사의 세세한 일면을 파악할 수 있다. 영락통보 동전이 함께 발견되는 것은 단순한 공양구라기 보다 중수 당시의 기념적 유물을 함께 넣은 것으로 짐작된다. 특히 운문사 사리기를 보호한 석조 사리외함이 운문사 작탑과 유사한 분황사 전탑 사리기 외함과 달리 백제식의 지하식 사리 장엄 방식을 따른 점에서 원 작압전의 건축 시기가 지금 알려진 것보다 훨씬 앞설 가능성도 제기된다. 운문사 공예품 가운데 가장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 청동 항아리는 지금까지의 용도와 달리 뚜껑 위에 장식된 독특한 화염 보주형으로 미루어 사리기 내지 경통처럼 사리와 관련된 보관용기로 쓰였을 가능성을 제시해 보았다. 여기에 1067 년에 중수되었다는 명문의 내용은 이 화염보주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것이라 추측되며 몸체는 그 이전에 만들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는 점에서 통일신라에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있음을 밝혀보았다. 이 밖에 운문사 옥등은 비록 명문은 없지만 고려 후기의 작품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불연은 바닥에 기록된 조련기의 분석을 통해 1688 년에 중하연으로 만들어진 것임을 알 수 있으며 연을 제작한 사람은 화원 정심(淨心)이란 승장으로 파악되었다. 당시 연을 만들 때 조역승 200 여명이 동원된 사실을 기록하여 운문사의 사세 뿐 아니라 불사에 많은 승려들이 동원되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전패는 조선후기 명문 있는 불전패와의 비교를 통하여 17 세기 후반쯤 제작된 삼전패(三殿牌) 가운데 하나일 가능성을 제시해 보았다. 또한 묵서명이 기록된 1682 년에 이말남(李唜男)에 의해 만들어진 목조 대경함과 1688 년에 만들어진 목조경상은 조선 후기 사찰 목공예품의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명문이 남아있지 않은 운문사 대종의 제작 시기는 19 세기 전반에서 중엽 쯤, 목어 역시 그와 유사한 19 세기 정도로 편년되었다. 운문사의 불교공예품은 비록 그 수량은 많지 않지만 통일신라의 사리장엄구와 청동 항아리와 같은 우리나라 공예사 연구에 빼 놓을 수 없는 매우 귀중한 작품이 남아있다는 점에서 운문사가 지닌 비중을 증명해 준다. The Sarira reliquaries of Unmunsa temple was founded in October 1987 under the pedestal of the seated Buddha at the time of the demolition of Jakapjeon hall. This sarira reliquaries consist of the bowl with lid made of agalmatolite, bronze bottle, the lid with inscription 'Chongde 7th, Yongle Tongbao(永樂通寶), and the small stone. According to the inscriptions on the bottom of the lid, this sarira reliquaries was enshrined to put two sarira in the stupa in 868, the fifth year of the reign of king Gyeongmun. It is likely that the bronze bottle inside stupa was made in the Goryeo period.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third renovation of the Jakapjeon hall was carried out in 1645 through the lid with inscription 'Chongde 7th. The Yongle Tongbao(永樂通寶) was considered to be the monument of the renovation. The most important bronze jar of all the buddhist crafts has been used as a sarira reliquary or a container related to sari like a sutra case. The inscriptions ‘had been repaired in 1067’ on the shoulder of the body shows that the repair was carried out centered on the flame ornament, the body was made in the Unifed Silla. The jade lantern of Unmunsa temple is supposed to be made in late Goryeo period. Of all the wooden crafts the buddhist palanquin that has a inscriptions was made in 1688. The man who made the buddhist palanquin was a monk craftsman, Jeongsim, and the two hundreds monk were joined to make a palanquin. The buddhist tablet of Unmunsa temple is supposed to be one of the three tablets for royal family made in 17th century through the comparison with the buddhist tablet with a inscriptions. Also the wooden sutra container made in 1682 and the wooden sutra table made in 1688 which were made by Lee Malnam. It is assumed that the big buddhist bell of Unmunsa temple without inscriptions made in the middle of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through the style comparison. It is also estimated that the wooden fish was made around the same time. Although the Buddhist artifacts of Unmunsa temple are not much in quantity, the works of Unmunsa temple is still very valuable in the history of Korean crafts such as the sarira reliquary of Unified Silla and bronze jar which proves the importance of Yunmunsa.

      • KCI등재

        청도 운문사의 나한신앙 고찰

        박순천(일진) 한국정토학회 2016 정토학연구 Vol.26 No.-

        아라한은 초기불교에서는 부처님의 십대명호 가운데 하나로 사용되기도 했으며, 이후 모든 수행자의 이상적인 수행자상으로서 인식되었다. 부파불교의 수행자들은 바로 이 아라한이 되기 위해 수행을 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동북아시아 전통에서는, 다시 말해 대승 불교권 에서는 아라한의 위상을 크게 끌어내려 희화화하거나, 아니면 복을 구하는 신앙의 대상으로 받아들여지게 된다. 나아가 나한신앙이 꽃을 피운 중국에서는 도교와 결합되어 신선처럼 묘사되거나, 선종의 조사가 나한으로 모셔지기도 했다. 우리나라에서도 나한은 신앙의 대상으로 받아들여졌다. 엄숙하고 근엄하며 자애로운 전형적 제불 보살과는 달리 인간의 성냄과 웃음, 때로는 욕구마저도 긍정하는 나한의 모습에서 원초적인 양재초복(攘災招福)의 기도 마음이 깃들어 있다. 이러한 나한신앙이 우리나라에서 크게 유행하기 시작한 것은 고려시대부터이다. 나한전에 모셔진 아라한은 일반적으로 16나한이며, 많게는 500나한을 모시기도 하는데, 그 전각을 응진전이라고 한다. 또 다른 표현으로는 오백전, 팔상전, 독성각, 천태각이라고도 한다. 본 논문은 특히 청도 운문사의 나한신앙의 특징을 고찰하고, 오늘날 나한신앙의 바람직한 내용과 형식을 논의해 보는 계기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제 2장에서는 먼저 ‘나한 신앙의 유래와 특징’을 살펴보았다. 인도에서 중국, 한국으로 전래되는 과정에서 나한이 어떻게 변모해 왔는지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그 결과 아라한이 보살의 성격을 가지면서, 나한 신앙이 형성 발전되어 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 3장에서는 운문사가 창건된 이래 나한신앙의 중심 도량으로 발전되어 온 역사적 과정을 고찰하였다. 운문사 창건과 함께 오백전이 건립되고, 이후 1960년대에 청도읍 적천사에 모셔져 있던 500나한을 운문사 오백전에 이운해 온 것임을 밝혔다. 그리고 아울러 나한기도를 통한 영험담을 간단하게 소개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본 논문은 운문사가 창건 된 이래, 나한신앙의 중심도량으로서 존재해 온 의미가 무엇인지에 대한 물음을 던지고, 그 해답으로서 조선시대 이후 왜곡된 나한 신앙의 본래 모습을 찾는 것, 즉 개인적인 복을 비는 사적인 영역에서 공적인 영역인 중생구제와 국가의 안녕을 기원하고, 부처님의 정법을 수호하는 중심도량이 되어야 함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An arahat was recognized as one of the Buddha's ten names in Early Buddhism. Since then, it has been known for an idealistic model for all of the practitioners. Being an arahat was the very purpose for the practitioners of Early Buddhism. However, in the tradition of the northeast Asia or in another words, in Mahayana Buddhism, the status of an arahat was caricatured or was accepted as a religious figure to gain one's merit. Furthermore, in China where the belief in arahats is popular, it was fused with Taoism so Taoist hermit was depicted as an arahat or one of the previous sages of Zen Buddhism was regarded as an arahat. Even in Korea an arahat was a religious figure. Unlike all of the Buddhas and Bodhisattvas who are typically solemn, serious, and benevolent, an arahat who seems to acknowledge humans' anger, laugh, and sometimes even desires can be viewed to chastise evil spirits and bring fortune. It is since Koryo era that this type of belief in arahats has become popular in Korea. The number of the arahats at the Hall of Arahats ranges from 16 to 500 and there are some other names given for this Hall of Arahats such as Eungjinjeon, the Hall of 500 Arahats, the Hall of Eight Phases, the Hall of the Hermit Sage. The features of arahats in Cheungdo Unmunsa will be covered in this thesis and it is also aimed to discuss the advisable contents and form of the belief in arahats, To do that, ‘The Origin and Characteristics of Belief in Arahats’ is examined in the second chapter. It will be contemplated how arahats have been changed in the course of the introduction of arahats from India to China and Korea. As a result, the nature of arahats contains the spirit of Bodhisattvas and it can be confirmed to have caused to develop an arahat into a religious figure. In the third chapter, the historical process how the belief in arahats in Unmunsa has become the main stream ever since its foundation is examined altogether. The Hall of 500 Arahats was established in company with the foundation of Unmunsa and after that, the fact about the transportation of 500 arahats from Jeokcheonsa in Cheongdo town to the Hall of Arahats in Unmunsa in the 1960’s is illuminated. Additionally some brief stories of spiritual miracles were introduced. Those argumenta of this thesis mentioned above will cast a question about the meaning of the Unmunsa serving mainly as the mainstay of the belief of arahats and some solutions are proposed in this thesis how to restore the distorted features of the belief in arahats since the Joseon era; Instead of praying for one’s merits individually, it should be the Bodhi-mandala, sacred place used as a seat where the manda (essence) of enlightenment is present or practiced, to wish for the relief of all the sentient beings and well-being of the nation as well as to guard the Buddha’s teaching.

      • KCI등재

        觀音과 達磨

        김정희(Kim, Junghee)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7 美術史學 Vol.- No.34

        청도 운문사 대웅보전의 후불벽 뒷면에는 관음보살과 달마대사가 함께 표현된 벽화가 그려져 있다. 이 벽화는 수묵의 높고 험준한 바위산으로 구획된 화면의 향우측 보타락가산에서 善財童子의 방문을 받고 설법하는 관음보살, 향좌측에는 선종의 初祖인 達磨大師(483-540)와 2祖 慧可(487-593), 6祖 惠能(683-713)에 이르는 선종의 계보를 한 화면에 표현한 것이다. 조성시기는 건물이 중건된 17세기 중반에서 다시 중수된 1773년 사이, 즉 17세기 중반-18세기 중, 후반 경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동안 이 벽화에 대해서는 조선 후기 전각의 후불벽 뒷면에 관음보살을 그리던 전통에 달마대사를 더해서 그린 것, 당시 불교계를 주도하던 선종의 영향과 아울러 이 벽화가 제작된 17 세기에 선종화가 유행했던 경향을 반영하여 관음보살과 달마대사를 함께 그린 것이라는 의견 등이 제시된 바 있다. 본고는 운문사에 관음보살·달마대사벽화가 제작되게 된 배경에 대해 살펴보았다. 필자는 운문사에 다른 사찰과 달리 관음보살과 달마대사를 나란히 배치된 벽화가 그려진 것을 창건 때부터 이어져 온 운문사의 선종적 전통에서 찾아보고자 하였다. 운문사는 중국의 대표적 선종인 운문종을 종지로 하여 창건되었는데, 운문종에서는 일찍이 ‘달마대사는 관음보살의 화신’이라는 인식이 존재했으며, 이러한 인식은 운문종의 승려 雪竇 重顯의 대표적 저술인 『설두송고』를 거쳐 圜悟 克勤의 『벽암록』으로 이어져왔다. 우리나라에는 고려시대 초기에 운문종이 전래되었으며,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설두송고』와 『벽암록』이 간행됨에 따라 운문종의 ‘달마대사=관음보살’이라는 내용이 국내에도 널리 알려지게 되었고, 이것이 결국 중국 운문종을 宗旨로 하여 창건된 선종사찰 운문사의 관음보살 · 달마대사벽화로 표현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선종의 초조인 달마대사와 그의 화신인 관음보살을 나란히 배치한 운문사 대웅보전의 관음보살 · 달마대사벽화는 조선후기 불전에 표현된 다른 관음보살 · 달마대사 벽화와 달리, 운문종과 가지산문의 전통이 꾸준하게 이어져 온 선종사찰로서의 운문사의 성격을 가장 잘 표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Mural paintings with Avalokitesvara and Bodhidharma are depicted behind the wall of Great Hall(Daeungbojeon) in Cheongdo Unmunsa temple. These mural paintings have Avalokitesvara, that receives a visit of eonjaedongja(Sudhana) from Potalaka and preach on the right side of the screen, which is partitioned by the high and rugged rocky mountains. On the left is expressed on one screen the Zen sector that is the 1st Zen sector, Bodhidharma(483-540), 2nd Huike(487-593), and 6th Huineng(683-713). In this article, Avalokitesvara‐Bodhidharma mural paintings were examined in the background of Unmunsa temple. In Unmunsa temple, unlike other temples, the author tried to find the mural paintings arranged side by side with Avalokitesvara and Bodhidharma in the Zen style tradition of Unmunsa temple which had been built since its foundation. Unmunsa temple was founded on the basis of the representative Zen of China, Yunmen Sect(Unmunjong). Early in Yunmen Sect there was a perception that ‘Bodhidharma was an incarnation of Avalokitesvara’. This recognition has been linked to “Byeokamrok(The Blue Cliff Record)” of Yuanwu Keqin(1063-1135) through “Seoldusonggo”(Xuedou’s brief explication in verse of the essence of koan), a representative work of Yunmen Sect’s monk Xuedou Zhongxian(980-1052). In Korea, Unmunjong was introduced in the early Goryeo period. With the publication of “Seoldusonggo” and “Byeokamrok” in the Goryeo and Joseon era, “Bodhidharma=Avalokitesvara” of Yunmen Sect became widely known in Korea. This would have been expressed as Avalokitesvara‐Bodhidharma mural paintings of Zen Buddhism in Unmunsa temple, which was eventually built as China’s Yunmen Sect as basis.

      • KCI등재

        운문사의 寺格과 眀星의 불교 인문정신

        김광식 한국정토학회 2016 정토학연구 Vol.26 No.-

        본 고찰은 비구니 교육도량으로 명성이 높은 雲門寺의 현대기의 寺格을 역사적 맥락에서 살핀 글이다. 동시에 이 글에서는 현대 운문사 사격을 고양, 정립시킨 비구니 큰스님인 眀星의 교육 내용, 이념 등을 정리하였다. 운문사는 신라시대에 창건된 1400여년의 역사를 갖고 있는 고찰이다. 이런 역사에는 신라기의 원광법사가 주도한 화랑의 수행처 라는 성격과 함께 고려시대에는 선종 사찰의 명성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조선시대 이후에는 전반적으로 사세가 퇴진하였다. 그러나 불교정화운동을 거치면서 1956년부터 비구니 사찰과 비구니 승가교육의 중심이 되었다. 1970년대부터 운문사 강주, 주지를 역임한 명성은 수십여 동의 가람을 중수, 신축하면서 오늘날의 운문사를 만들었다. 즉 명성은 제5중창주가 되었다. 이런 역사를 창조한 명성은 開放, 兼學, 立體的 교육을 추진하면서 비구니 교육에 매진하였다. 이는 비구니들을 인재로 양성하려는 원력에서 나온 교육의 현대화, 세계화이었다. 이런 명성의 교육철학은 불교 人文精神으로 부를 수 있다. 그런데 그 성격은 명성에게 가르침을 준 師僧들의 영향에서 비롯된 측면도 있었다. 그 사승들의 은사는 박한영 이었다. 박한영은 1926∼1944년까지 서울 개운사에서 강원을 열면서 승려, 지식인 등을 가르친 대강백이었다. 때문에 그의 불교학풍, 인문정신이 명성에게까지 계승되었다. 때문에 명성의 교육철학은 역사성이 있는 불교 인문정신이었다. This article is about the research for the dignity of modern Woonmun monastery which gained great fame as the educational ground of Bhiksuni. And also, I illustrated the educational method and ideology of the great buddhist monk, Myeongseong(眀星) who boosted and made up the dignity of modern Woonmun monastery. The Woonmun monastery is the old temple with a long history of about 1400 years, since its establishment at the Silla period. In this history, it gained fame as the temple of Seon school in the time of Goryeo, with the feature of the cardle of the Silla chivalry that Dharma teacher Wongwang led in the Silla period. However, its fame markedly declined after the Joseon period. Since 1955, the Woonmun monastery became the center of Buddhist nuns' temples and Sangha education as passing through the Buddhist purification movement. Since the 1970s, the reverend Myeongseong has taken in charge of a lecturer and abbot. For many decades, she reformed and rebuilt the monastery for making today's Woonmunsa. That is, the reverend Myeongseong became the fifth ower of reestablishment. The reverend Myeongseong who created such a history strived for Buddhist nun's education as proceeding the open, doctrinal, healthy education. This was the modernization and the globalization of education coming from the wish to make Buddhist nuns as talented persons. Such the reverened Myeongseong's educational philosophy can be called Buddhist Humanial Spirit(人文精神). But this feature may come from the influence by teacher reverends who taught the Myeongseong. The teacher of those reverends was Park Hanyeong. He was the great master who opened a buddhist school at Gaewoonsa in Seoul from 1926 to 1944, and taught monks and intellects. His buddhist academic tradition and humanial spirit were succeeded to Myeongseong, so her educational philosophy was able to be the buddhist humanial spirit with historicity.

      • KCI등재
      • KCI등재

        청도 운문사 작압전 석불좌상과 석조사천왕상에 대한 고찰

        최성은(Choe, Song-eun) 신라사학회 2020 新羅史學報 Vol.0 No.50

        운문사 작압전에 봉안되어 있는 석불좌상과 석조사천왕상은 지금까지 태조 왕건의 후원에 의해 청태 4년(937)에 조성된 것으로 알려져 왔다. 이것은 『삼국유사』 「보양이목조」에 의거한 것으로서, 당에서 귀국하여 봉성사에 머물던 보양조사가 태조 왕건에게 전술의 비책을 알려줌으로써 그와 각별한 인연을 맺게 되고, 이후 보양조사가 대작갑사로 옮겨 무너진 전탑(黃塔)을 다시 세우고 주석하던 중, 삼국통일을 완성한 태조가 밭 500결을 하사하고 ‘운문선사’라고 사액하여 운문선사가 크게 중창되었다는 내용에 근거하여 그 시기를 조성시기로 이해한 것이다. 그런데 작압전의 해체수리 과정에서 발견된 납석제사리호의 명문에 의하면 咸通 6년(경문왕 5년, 865)에 탑의 수리가 이루어 졌으며 원래의 작탑에서 지금은 ‘작압’이라는 현판이 달린 목조건물의 형태로 바뀐 작압전의 전신이 塼塔이었음이 알려져 있다. 작압전의 사천왕상은 신라하대 석탑과 승탑에 부조된 사천왕상들과의 비교를 통해, 860~880년대에 조각된 것으로 추정되며 전탑 남면과 북면의 초층 탑신 탑문의 좌우에 봉안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네 구의 사천왕상의 크기는 두 구는 151-152㎝, 두 구는 161~162㎝ 이므로 두 구가 한 쌍이 되어, 동방 지국천왕-남방 증장천왕-서방 광목천왕-북방 다문천왕이 시계 방향 순으로 배치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사천왕상과 같은 시기에 조성되었다고 생각되어 왔던 석불좌상은 2007년 얼굴에 덮혀있던 호분이 제거되고 보수되어 原 모습을 알 수 없으나, 광배와 대좌의 형태면에서 신라하대~고려초기 불상으로는 편년하기 어려운 요소가 발견된다. 가로(橫)로 긴 육각대좌는 상대 연화좌의 연화문에 여의두문과 유사한 세 개의 꽃머리 장식이 새겨져 있고, 나말 여초 석불 대좌에서 발견되는 중대석 받침(괴임석)이 보이지 않으며, 광배는 2중원으로 이루어진 단순한 구성으로 化佛과 초화문으로 장식된 나말여초 석불의 광배와는 차이가 크다. 조형적인 분석을 통해서 석불좌상의 조성시기는 고려중기 왕실과 긴밀하게 활동했던 학일선사가 운문사로 하산하였던 12세기 전반 무렵일 것으로 추정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 시기는 고려 왕실을 중심으로 도선에 대한 현창이 활발하게 일어났던 때인데, 운문사의 전탑이 청도지역의 비보사탑으로 새롭게 보수되고 사찰의 중창이 크게 일어났을 것으로 생각된다. Stone Images of Seated Buddha and Four Guardian Kings enshrined in the Jakapjeon Hall(鵲鴨殿) at Unmunsa Temple(雲門寺) have long been regarded as sculptures of early Goryeo period from around AD 937 under the patronage of the First King of Goryeo(Wang Geun). According to Samgukyusa(三國遺事) monk Boyang(寶壤), returning from Tang China, stayed at a temple called Bongseung-sa, and happened to meet the First King(Taejo) of Goryeo, whom Boyang gave a clever scheme to defeat enemy troops. Later Boyang moved to Daejakgap-sa and reconstructed the five-storied brick-pagoda, which was most likely erected in the late Unified Silla period and destroyed during the war of Later Three Kingdoms’ period. At that time, Wang Geun accomplished the unification of the Later Three Kingdoms, and presented the new temple name of ‘Unmunseun-sa(雲門禪寺)’ and five hundred ‘geul(結)’ of paddy and field to support the temple. In 1987, however, sarira reliquaries were excavated beneath the stone Buddha image of Jakapjeon, which is now a wood and tiledro of building, although its ancestral form was most likely brick pagoda. Among the reliquaries, as tone pot bears an inscription of the year AD 865 o f the Unified Silla period as the repaired date of the pagoda, which indicates that the brick pagoda was first erected earlier than AD 865. Comparing the stone Four Guarding King images w ith those of the ninth century images carved on the surface of monk sarira pagodas, it was discovered that the stone Four Guarding King images of Unmunsa were most likely made no earlier t han AD 860 and no later than AD 880 of the Unified Silla period. Since two of the Four Guardian Kings are 151-152㎝ in size and two of them are 161-162㎝ in size, it can be presumed that apair of similar sizes were placed on both sides of the entrance gate on the first floor of the brick pagoda: Guardian King of the East and South on the south wall and those of the West and the North on the north wall of the pagoda. Although the face of the stone Buddha image was heavily repaired and does not convey the original facial expression, its halo and pedestal still show the original condition of the image. The stone pedestal of six angles, a rare form in the late ninth and early Goryeo period, doesn’t have the buttress platform supporting the middle part of the pedestal, which is common of pedestals from the late ninth and early Goryeo period. Besides, the pedestal of Uunmunsa, compared with the Goryeo stone hexagonal pedestals of Goryeo 11th century, lacks exquisite quality. A rather simply designed halo, it has two embossed circles encircled by a flame, while the halos of the stone Buddha images of the late ninth and early Goryeo period have decorative designs o f incarnation Buddha images and beautiful plants. Stylistic aspects of the halo and the pedestal of the stone Buddha image of Uumunsa demonstrate that this image can be dated to the first part of the 12th century, when Goryeo court supported Uunmunsa probably because of the eminent monk Hakil, who had been in King Injong’s confidence and left capital Gaeseung to retire and reside at Uunmunsa until his death.

      • 사실과 재현의 관점에서 수인스님 다시보기

        최연희(Yeonhee Choi)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2020 불교와 사회 Vol.12 No.2

        본 연구는 ‘비구니 관련 자료와 연구의 부족’이라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사실과 재현’의 관점에서 근현대 시기에 활동한 1세대 비구니 스님들의 서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인스님과 운문사를 주제로 다룬 여러 텍스트에서 관련 서술을 정리하고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비구니 사찰로의 전환에 대해서는 불교정화운동 시기에 여러 비구니 스님들의 노력으로 대처승과의 투쟁과 재판을 거쳐 운문사가 청정도량으로 전환되는 과정이 재현되지 않고 결과만이 서술되어 있었다. 때문에 당시 대처승으로부터 비구니 사찰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였던 수인스님과 대중스님들의 노고가 망각된 채 후세에 전달하지 못하고 있다. 오늘날과 같은 대가람의 기초를 마련한 불사도 사실에 부합하게 재현되지 못하고 단편적인 사건들로 나열되고 있었다. 이로 인해 불교정화운동 시기부터 1960년대 중반까지 사찰을 되찾고 재건하는 일련의 과정을 주도하였던 수인스님은 ‘종교지도자’로서 기록되지 않고 있다. 운문사 발전의 기초를 마련하였던 당시 운문사 대중스님들과 지도자였던 수인스님의 원력과 성과를 의미 있는 역사로서 바로 세우고 기록하기 위해서 이제는 사실에 의거한 서술로의 수정작업이 필요하다. This paper intended to analyze the recent issues about Buddhist bhikkhuni, which were active in Korea in the 50s and 60s [the first-generation bhikkhuni]. For this purpose, this study reviewed critically the contents about the Buddhist monk Sooin at related books. This study results are so following: First, in the contents, only the result is described simply rather than the process of converting of Unmunsa Temple to Bhikkhuni Temple. Unmunsa Temple became a pure and sacred temple after overcoming struggles and trials with the married Buddhist monks during the period of the Buddhist Purification Movement. Because of this, the hard work of Sooin and temple community who tried to protect Unmunsa Temple from the married Buddhist monks at that time have been forgotten and have not been passed on to next generations. Second, the description regarding the reconstructions of temple buildings and temple works was focused to list as fragmentary events, not reproduced in accordance with the facts. For this reason, Sooin, who led the process of purifying and rebuilding temple from the period of the Buddhist purification movement to the mid-1960s, was not recorded as a “religious leader”. In order to correctly record and evaluate the vows and achievements of temple community and Sooin, who was the leader of the temple community at the time, when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Unmunsa Temple was been laid, it is now necessary to revise the contents about Buddhist monk Sooin with fact-based cont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