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강진호 교수에게 ‘우리 마누라’란 무엇인가?

        최성호(Choi, Sungho)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7 철학사상 Vol.64 No.-

        본 논문의 목적은 ‘우리 마누라’의 표준적 용법에 대한 강진호의 이론을 논박하는 것이다. 한국어 표현 ‘우리 마누라’의 표준적 용법에 대한 탐구는 무엇보다 그것의 기술적 내용(descriptive content)을 확정할 것을 요구하는데, 그를 위해 필자는 ‘동의어 논제’와 ‘공동체 논제’를 도입할 것이다. 동의어 논제는 ‘우리 마누라’와 ‘우리의 마누라’가 동의어라는 논제이고, 공동체 논제는 ‘x가 우리의 마누라이다’가 참이기 위해서 x를 공유하는 마누라 공유 공동체가 존재해야 한다는 논제이다. 이때 정대현은 ‘우리 마누라’의 기술적 내용과 관련하여 동의어 논제와 공동체 논제를 동시에 수용하면서 한국어 화자가 자신의 아내를 가리키기 위하여 ‘우리 마누라’를 사용하는 표준적 맥락에서 그것이 지칭적으로 사용된다는 이론을 제시한다. 하지만 강진호는 이러한 정대현의 이론을 비판하고 나아가 ‘우리 마누라’의 기술적 내용에 대하여 대안적 이론을 내놓는데, 강진호의 대안은 동의어 논제를 수용하는 반면 공동체 논제를 거부하는 것으로 가장 자연스럽게 해석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강진호는, ‘우리 마누라’의 기술적 내용에 대한 이러한 제안과 함께, 한국어 사용자들이 ‘우리 마누라’를 사용하는 표준적 맥락에서 그것을 지칭적으로 사용한다고 보는 정대현의 입장에 반대하면서 ‘우리 마누라’가 사용되는 표준적 맥락에서 그것이 속성적으로 사용된다고 역설한다. ‘우리 마누라’에 대한 이러한 강진호의 견해는 동의어 논제는 거짓이지만 공동체 논제는 참이고 아울러 ‘우리 마누라’의 표준적 용법이 지칭적 용법이라고 보는 필자의 견해와 정반대의 대척점에 놓여 있다. 그런 점에서 본 논문에서 필자는 ‘우리 마누라’에 관한 강진호의 이론을 구성하는 거의 모든 논점을 비판할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refute Jinho Kang’s theory of the standard use of ‘우리마누라’(a Korean expression that can be approximately translated into ‘our wife’ in English). To get a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the standard use of this expression, we need determine its descriptive content, for which I will introduce the two theses named ‘the Synonym Thesis’ and ‘the Community Thesis’, respectively. The first is the thesis that ‘우리 마누라’ and ‘우리의 마누라’(another Korean expression to be translated into ‘our wife’ in English. Here ‘의’ is a postpositional particle for a possessive) are a synonym of one another; and the second is the thesis that there must be a wife-sharing community for ‘x가 우리의 마누라이다’(a Korean sentence to be translated into ‘x is our wife’ in English) to be true. When Daehyun Chung argues that the description ‘우리 마누라’ is used referentially in a standard context where a Korean speaker uses it to refer to his wife, he seems to accept both of the two theses. Criticizing Chung, however, Jinho Kang proposes an alternative approach to the descriptive content of ‘우리 마누라’, which can be best interpreted as him accepting the Synonym Thesis but rejecting the Community Thesis. On this ground, Kang goes on to argue that ‘우리 마누라’ is used attributively in its standard contexts. But I disagree. I maintain that the Synonym Thesis is false but the Community Thesis is true, and that ‘우리 마누라’ is used referentially in its standard context of use. Keeping this in mind, I will below criticize almost all major points advanced by Kang.

      • KCI등재

        우리사주제도, 대리인비용, 보상수준과 경영효율성의 관계

        박서린,김학건 한국재무관리학회 2019 財務管理硏究 Vol.36 No.4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 between employee stock ownership plan (ESOP) and equity utilization using panel data of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HCCP) provided by KRIVET. In addition, we study the effects of agency costs and compensation levels on the relation between ESOP and equity utilization. First, we find that ESOP increases equity utiliza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ESOP can increase employees’ motivation and loyalty, thus improving the equity utilization of firms. In addition, it increases equity utilization through the reduction of inefficient investment activities. Second, the interaction term between agency costs and ESOP has a positive relation with equity utilization. Third, the interaction term between compensation and ESOP has a negative relation with firms’ equity utilization. Our results show that the positive effects of ESOP may be strong in companies with high levels of agency costs or low levels of compensation. 본 연구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제공하는 인적자원기업패널데이터(HCCP)를 활용하여 유가증권및 코스닥 기업을 대상으로 우리사주제도 도입과 자본활용도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대리인비용 및 보상과 우리사주제도 도입의 상호교차항을 통해 동 변수와 자본활용도의 관계에 대해 연구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첫째, 우리사주제도 도입은 자본활용도 제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사주제도 도입이 종업원들의 동기를 부여하고 애사심 및 주인의식을 향상시키며 종업원이 내부주주로서 경영진에 대한 감시를 강화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둘째, 대리인비용 및우리사주제도 도입의 교차항과 자본활용도는 유의미한 정(+)의 관계를 보였다. 셋째, 보상 및 우리사주 제도 도입의 교차항과 자본활용도는 유의적인 부(-)의 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사주제도 도입 효과가 대리인비용이 높거나 보상수준이 낮은 기업에서 더욱 강하게 발생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우리음악의 창조적 변용세계 계승

        신대철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6 국악교육연구 Vol.10 No.1

        Even though there were no definite differences between original idea and creation in the current curriculum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music education of Korea, the original idea and creation should be a goal for the educ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ese two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should be based on the cultural spiri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original idea should be respected in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However, the final goal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hould not be the original idea but the future oriented educative activity toward the creation which is more positive and active than the original idea. The musical transfiguration which had lasted from the 6th century to the late 19th century is one of important Korean musical traditions. It was creative musical transfiguration which had characteristics of respecting the tradition of existing music and making new music based on the tradition. In other words, many piece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were based on musical cultural spirit which had made musical transfiguration possible from the existing traditional music and enlarged the number of repertoire through the way of new music making. The creative musical transfiguration was possible because there had been the traditional Korean’s view of music which valued and willingly accepted the musical transfiguration or change as a musical beauty. A deep introspection and rumination by a cognitive attitude on the world of creative musical transfiguration which found in Korean traditional music is needed for a better future-oriented creativ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meaning and value in the world of creative musical transfiguration should be properly evaluated, educated, continued and inherited to the future generations through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education without any kind of hesitation or delay.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 school should be one of very meaningful, valuable and instructive satisfactory things. The music educ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hould aim at the instructive satisfaction which creates bright future and development. A right cognition and attitude on the creative musical figuration found in historical facts which based on tradition will help a lot to the creative future educ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chieving the aim of a desirable educ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is not an easy job. It may be more difficult in the future. The difficulty, however, is not the object of shirk or fear but the object of overcome and sublimation. The good result of overcome and sublimation surely will come true if we challenge the difficulty in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with effect. I would like to propose to keep in mind the spirit of creative figuration in Korean traditional music which will serve as a small momentum for the creation of upper mentioned overcome and sublimation of difficulty in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비록 우리의 현행 초․중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에서는 창의와 창조의 구별이 잘 드러나 있지 않지만, 이 둘은 우리음악 교육이 지향할 길이어야 한다. 우리의 초․중등학교 음악교육에서 이 둘은 우리의 음악적 전통정신에 기반을 두어야 한다. 음악교육에서 창의는 존중 받아야 하나 우리 초․중등학교 음악교육의 최종 지향점은 소극적이고 수동적인 창의를 넘어서는 승화의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창조의 세계로 다가가는 미래지향적 교육활동이어야 한다. 우리의 음악적 변용은 삼국시대 이래 조선조 후기에 이르기까지 지속되어온 중요한 음악적 전통의 하나로 이는 기존 음악의 전통을 존중하는 바탕에서 새로운 음악을 만들어 낸 특성을 지니고 있는 창조적 음악변용이었다. 즉 현전 우리음악의 상당수는 기존음악을 변용하여 새로운 음악 만들기를 통해 그 수를 확대해 온 음악적 전통정신에 기반을 둔 음악이었다. 이러한 창조적 음악변용은 변통과 변화를 음악미의 하나로 기꺼이 받아들인 우리의 전통적 음악관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미래의 보다 바람직한 초․중등학교의 창조적 우리음악 교육을 위해서는 전통음악에서 살아 숨 쉰 창조적 음악변용 세계에 대한 인식적 태도의 깊은 성찰과 반추가 필요하다. 이 창조적 음악 변용의 세계가 오늘의 우리에게 던져주는 의미와 가치는 바로 평가되고, 교육을 통해서 후대로 지속 및 계승되어야 한다. 아울러 우리음악을 가르침과 배움은 대단한 의미와 가치, 그리고 교육적인 재미를 지닌 일의 하나가 되어야 한다. 초․중등학교의 우리음악 교육은 밝은 미래와 발전을 창출하는 교육적 재미를 지향해야 한다. 역사적 사실에서 확인된 전통에 바탕 한 우리의 창조적 음악변용에 대한 바른 인식과 태도는 창조적 우리음악 교육에 작지 않게 도움을 주리라고 본다. 바람직한 우리음악 교육의 길은 결코 쉽지 않고 앞으로 더 어려워질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러한 어려움은 극복과 승화의 대상이어야지 회피와 두려움의 대상이 되어서는 곤란하다. 우리음악 교육이 처한 어려움에 효과적인 응전이 따른다면 분명 바람직한 극복을 통한 승화의 결과가 창출되리라고 본다. 초․중등학교의 우리음악 교육에서 이러한 극복과 승화의 창출을 위한 작은 계기의 하나가 될 수 있는 사안인 우리음악의 전통 속에 담겨져 이어왔던 창조적 변용 정신세계를 가르치는 이들이 가슴 속 인식의 틀 안에 담아 볼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근로자의 최적 위험분산을 위한 원금보장형 우리사주제도(ESOP) 설계 방안

        김형태(Hyoung Tae Kim),송홍선(Hong Sun Song),이효섭(Hyo Seob Lee) 한국증권학회 2013 한국증권학회지 Vol.42 No.1

        우리사주제도(ESOP)는 근로자로 하여금 자기회사주식을 유리한 조건으로 매입해 보유토록 함으로써 근로의욕을 고취시키고, 보유주식의 가치 상승시 이를 향유하게 함으로써 재산형성에 도움을 주는 제도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업이 도산위험에 처할 경우, 우리사주에 투자한 근로자는 임금채권을 회수하지 못할 뿐 아니라, 우리사주 투자로부터 손실을 볼 수 있는 이중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주가의 변동성이 높은 한국과 같은 시장에서, 이 같은 주가하락으로 인한 손실위험은 우리사주제도의 활성화를 가로막는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근로자의 이중위험을 분산시키고 안정적인 재산형성에 기여할 수 있는 원금보장형 우리사주제도를 제안하였다. 평균-분산 기대효용(mean-variance expected utility) 모형을 기초로, 원금보장형 우리 사주제도를 활용할 경우 근로자의 효용이 크게 증가함을 보였다. 더불어, 도덕적 해이 문제를 고려하여 근로자에게 최적 효용을 제공하는 원금보장형 우리사주제도 구조를 제시하였다. An employee stock ownership plan (ESOP) allows employees to purchase and hold shares in the company at favorable conditions. ESOPs are popular because they offer incentives to work, and the profit from a higher stock price helps employees accumulate savings. But problems arise when the company is in danger of bankruptcy. In this case, employees can be exposed to dual risks; they may not be able to recover unpaid wages, and stock ownership will incur investment losses. In the volatile Korean stock market, the potential losses from stock price declines are pointed as the biggest obstacle to ESOPs being used more widely. As an alternative, this study proposes a principal-protected ESOP which spreads the dual risks and helps employees save money more stably. Based on the mean-variance expected utility model, we show that the principal-protected ESOP significantly increases utility for employees. We also present a desirable principal-protected ESOP structure that takes into account moral hazard to provide optimal utility to employees. Considering the cost increases from moral hazard because of the principal protection structure, an ESOP that has partial principal protection and distributes some investment returns to the ESOP provider (financial firm) is found to provide the highest expected utility to employees. We hop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a more incentive- compatible ESOP system and provide fresh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s ESOP development.

      • KCI등재

        ICA를 통한 우려 춤의 감정인식

        엄태영,박한훈,남상원,박종일,김운미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08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4 No.1

        우리 춤은 우리 고유의 정서를 담고 있는 종합예술이므로 우리 춤을 분석하고 이해하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춤 동작의 정량적인 분석을 통한 감정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우리 춤에 내포된 감정 패턴의 변화를 살펴본다. 먼저 한국 전통춤으로부터 무용전문가들의 정성적 분석에 기반하여 추출된 우리 춤사위를 정해진 각 감정별로 재구성하여 창작하고 창작된 우리 춤을 무용전문가가 시연한다. 이를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하고, 영상처리를 통해서 시연자의 실루엣을 뽑아낸 후, 정량적 특정량들을 추출한다. 이러한 특정량을 분석하기 위한 기존의 PCA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방법 보다는 조금 더 유용한 ICA(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방법을 적용한다. 이어 신경회로망을 이용하여 각 감정별 춤사위를 학습 시킨 후, 임의의 춤사위에 내포된 감정을 인식 한다. 또한, 시스템에 의해 인식된 감정 패턴과 변화의 정성적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무용전문가들에 의해 정립된 정성적 분석 결과와 비교, 분석한다. 이는 정성적인 분석에만 국한되던 우리 춤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객관적이고 정량화된 분석을 통한 이해의 차원으로 확장시키는 것으로, 우리 춤의 특성을 새롭게 정의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다양한 장르의 한국 전통춤 가운데 우리 춤을 대표할 수 있는 춤사위를 선정하고, 정성적 / 정량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우리 춤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체계적인 틀을 제공하고자 한다. Recently, endeavors for recognizing human emotion from full body movements. Especially, dance which is close to common human motions that are the most typical of expressing human emotion, have been made. Korean dance includes Korean peculiar emotion, which discriminates Korean dance from Western dance. Therefore, the unique method for analyzing and recognizing emotion from Korean dance has been strongly required.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ere is no method for recognizing emotion from korean dance in the literature. In this thesis, we propose a method for recognizing emotion from Korean dance and analyzing Korean dance using the recognition results. The method consists of four steps. First, dance performances associated with pre-defined emotions are extracted from several representative Korean dances based on professional dancers' qualitative analysis and danced by professional dancers. Second, the dance performances are captured using multiple cameras and quantitative features associated with dance performances are extracted from the camera images using a series of image processing algorithms. Furthermore, the features are analysed by ICA(independent Coponent Analysis) more useful than PCA(Principle Component Analysis).Third, the mapping between the dance performances and the pre-defined emotions is estimated using neural network. Finally, given arbitrary dance performances, their corresponding emotions are recognized using the neural network. Thu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extracting sequential emotional patterns of Korean dance using the emotion recognition method. and proposing a criterion for spec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dance quantitatively. The quantitative analysis can concrete the results of the existing researches o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dance depend only on the qualitative analysis. We expect that this thesis provides a systematic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whole Korean dance through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some representative Korean dances.

      • KCI등재

        주식보상제도가 노동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배현정(Hyun-Jung BAE),최웅용(Ung-Yong CHOI),조승제(Seung-Je JO) 조선대학교 지식경영연구원 2008 기업과 혁신연구 Vol.1 No.2

        우리사주제도의 여러 효과들 중에서 기업 측면을 중심으로 노동생산성 향상에 우리사주제도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데 주요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기간은 우리사주제도가 개정된 이후인 2002년부터 2005년까지로 설정하여 자료의 동질성을 확보하였다. 우리사주제도 관련 자료는 한국증권금융(주)에서 제공받은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재무자료는 KIS-VALUE에서 추출하여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사주제도의 노동생산성 제고 효과를 파악하기위해 주식보상제도를 우리사주제도와 스톡옵션제도의 시행여부에 따라 4개의 패널로 구분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이유는 우리사주제도의 시행여부에 따른 노동생산성 제고 효과와 스톡옵션시행이 노동생산성 제고에 미치는 효과가 다르게 나타남을 보여주는 것이 가장 명확한 결과를 제시할 수 있으리라는 기대 때문이다. 분석결과, 우리사주제도를 시행하고 있는 기업은 노동생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기업규모가 크고, 종업원 1인당 인건비와 종업원 1인당 교육훈련비가 높은 기업일수록 기업의 노동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있음을 밝혔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ownership structure on labor productivity. The test period was from 2002 to 2005 due to the availability to data collection and consistency of data. The ESOP(Employee Stock Ownership Plans)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Korea Securities Finance Corporation, and other finance-related data were collected from KIS-VALUE. On this research, 4 panels based on the enforcement of ESOP and stock option system were divided and analyzed to understand the effect of ESOP on the labor productivity. Because the differential effect of ESOP and stock option on the labor productivity may be expected to show clear conclusion. Our findings indicate that the ESOP may improve labor productivity. Also, the research result indicate that the labor productivity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firm size, the labor cost per employee and the education training expenses per employee.

      • KCI등재

        우리사주제도가 기업지배구조에 미치는 영향

        최웅용(Ung-Yong Choi),배현정(Hyun-Jung Bae) 한국관리회계학회 2008 관리회계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종업원이 자기회사 주식을 취득하여 주주로서의 역할이 가능한 우리사주제도가 기업지배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기간은 2003년부터 2005년까지이며 분석모형에서 종속변수는 기업별 지배구조 총 점수 및 다섯 부문별 평가점수를 사용하였다. 주요설명변수로는 우리사주제도 대용변수로 우리사주예탁여부더미변수와 우리사주예탁지분율을 회귀모형에 포함하여 분석하였다. 기업지배구조 평가점수는 한국기업지배구조센터에서, 우리사주제도 관련 자료는 한국증권금융㈜에서 입수하여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사주예탁기업더미변수는 기업지배구조의 총 점수 및 주주의 권리보호, 이사회, 감사, 공시부문의 평가점수와 유의한 양(+)의 관련성을 보였다. 둘째, 우리사주예탁지분율은 주주의 권리보호 부문에 대한 평가점수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우리사주제도는 기업지배구조를 평가하는 각 부문 중 주주의 권리보호 측면의 평가와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는 우리나라 상장기업 중 우리사주를 취득하여 예탁한 기업의 종업원들은 자신들의 예탁지분율을 통해 의결권을 행사함으로써 기업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즉, 우리사주제도는 종업원들에게 소수주의 권리를 대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종업원들로 하여금 기업의 경영자를 감시하고 견제하는 역할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주주의 권리를 강화시키고, 결국, 기업지배구조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employee stock ownership plan (ESOP) on corporate governance. The test period was between 2003 and 2005 due to the availability to data collection. An analysis was made if the ESOP, as the system that allows employees to take part in the management as shareholders, could playa internal monitoring role and bring positive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corporate governance. The total as well as individual scores of each category of corporate governance were used as dependent variables, and the dummy of ESOP joining and ESOP deposit ownership rate were used as major explanatory variables. The ESOP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Korea Securities Finance Corporation, and the corporate governance scores were from the Corporate Governance Service, and other finance-related variables were from KIS-VALUE.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score analysis showed that the higher the dummy of ESOP joining of a company were, the greater the total, protection of stock holder's rights, board of directors, audit public announcement scores, of its corporate governance were. Second, When the company with high ESOP deposit rates scored high in the protection of stock holder's rights category among the five categories of corporate governance. This was particularly true when the company with high ESOP joining and deposit ownership rates scored high in the protection of stock holder's rights category among the five categories of corporate governance. These results imply that employees who obtain treasury stocks through the ESOP may influence positively on the evaluation of the protection of stock holder's rights in the improvement of corporate governance.

      • KCI등재

        유상증자 시 우리사주 청약률의 정보효과

        김창식,전진규 한국재무관리학회 2020 財務管理硏究 Vol.37 No.2

        우리사주조합은 기업의 성과 및 미래 현금흐름에 대한 사적정보를 가진 내부자에 해당하므로 주식발행 시 우리사주조합의 우선배정권리 행사 여부는 시장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8년부터 2018년 까지 유상증자 시 우선배정으로 예탁된 우리사주 모집단을 사용하여, 우리사주 청약률의 정보효과를 검증하였다. 먼저 우리사주 청약률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청약률은 근로자의 청약 참여율, 최초 우선배정비율, 자기자본순이익률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사주 청약률의 정보효과를 분석한 결과, 청약률은 유상증자 시 단기 비정상수익률(CARs)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우리사주 청약률과 유상증자 이후 3개월, 6개월 및 1년 보유초과수익률(BHARs)간 관계를 분석한 결과 우리사주조합의 정보우위는 단기 및 중기 BHARs에 유의하게 존재하며 시간이 갈수록 약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의무예탁 만기일을 사건일로 하여 비정상수익률을 분석한 결과 의무예탁만기에 대한 정보효과는 코스닥 시장에서만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우리사주조합의 우리사주 취득이 기업의 미래성과에 관한 주요 정보를 제공한다는 정보효과가설을 지지한다. 기존 연구에서 우리사주 관련 제한된 자료 또는 추정치를 사용하였던 것과 달리, 본 연구에서는 우리사주 전담 수탁기관에서 제공된 예탁 우리사주 모집단을 활용하였으며, 우리사주 배정비율 또는 지분율이 아닌 실제 청약률을 사용하여 우리사주 정보효과에 대한 증거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ormation effect of the subscription rate of ESOA using the population of deposited employee stocks as priority allocation in seasoned equity offerings to ESOA from 2008 to 2018. We find that the subscription rate significantly affects CARs, consistent with the information effect hypothesis. The subscription rate also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affects 3-month BHAR and 6-month BHAR, while the effect is less significant both statistically and economically in 6-month BHAR. The effect of the subscription rate on 1-year BHAR, however, is not significant, which suggests that the information advantage of ESOA is significantly present in the short and medium BHARs but weakens over time. Lastly, the result of analyzing CARs at the maturity date of mandatory deposit maturity shows that the information effect exists only in the KOSDAQ market. Overall, our results are, in general, consistent with the hypothesis that the subscription of employee stocks by ESOA provides inside information of future firm performance.

      • KCI등재

        우리사주가 IPO 주식의 저평가 정도 및 상장 후 투자성과에 미치는 영향

        반주일,최원용 한국재무관리학회 2018 財務管理硏究 Vol.35 No.4

        In an institutional situation in which companies allocate ESOP(Employee Stock Ownership Plan)shares to employees over ordinary shares assigned to external investors at the time of IPO, there exists a need to induce employees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IPO subscription and a possibility that IPOs are more underpriced. In addition, the more employees actively participate in ESOP shares, the more likely investors are to subscribe for IPO shares and to purchase more shares after listing by interpreting employees' participation as a signal that the offer price is cheaper or that the future prospects for companies are positive. Under these assumptions, we examine the effects of ESOP on underpricing and aftermarket Performance of IPOs using Korean data consisting of 543 companies newly listed on KOSPI market and KOSDAQ market for 10 years from January 2008 to December 2017. Our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87.8% of the companies issued ESOP shares at the time of IPO, while only 40.1% of the samples had ESOP before IPO. Second, we find that one percent increase of ESOP share ownership at the time of IPO is associated with 3.82% increase of underpricing. These results only appear at the time of IPO and were not observed in case of ESOP shares issued before IPO. Third, the impact on performance after listing is also due to ESOP shares issued at the time of IPO. The results show that one percent increase of ESOP share ownership at the time of IPO is related to 2.8% to 3.6% increase of excess returns over 1, 3, 6 months after listing. The effects are magnified to 3.6~4.8% if the sample is limited to KOSDAQ companies. Fourth, 5.5% of KOSDAQ companies and 44.8% of KOSPI companies that issue ESOP shares at the time of IPO, experienced ESOP undersubscription. While the undersubscription event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underpricing, it reduces excess returns over 1, 3 months after listing. This study has academic contribution in that it explains ESOP is related to underpricing and aftermarket performance of IPO by complementing previous studies related to ESOP and IPO. It also has practical implication by providing useful criteria for investing IPO shares. IPO 시점에 외부투자자들에게 배정하는 일반 주식보다 우선하여 종업원에게 우리사주를 배정하는 제도적인 상황에서, 기업이 IPO를 흥행시키려면 종업원들의 적극적인 우리사주 청약 참여를 유도해야 하며, 이를 위해 IPO 주식을 더욱 할인 발행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또한 외부투자자들은 우리사주 지분참여가 활발할수록 공모가가 저렴하거나 기업의 미래전망이 밝다는 긍정적인 신호(signal)로 해석하여 IPO 주식 청약 및 상장 후 주식매수를 촉진시키게 될 것이다. 이러한 가정하에, 본 연구는 우리사주가 IPO 주식의 저평가 정도 및 상장 후 투자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2008년 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10년 동안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 신규로 상장한 543개 기업을 연구표본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IPO 이전에 우리사주를 보유했던 기업은 대략 전체 표본의 40.1%에 불과하지만, IPO 시점에 87.8%의 기업이 우리사주를 발행하고 있을 정도로, 우리사주가 IPO시 자본조달 수단으로 활발히 이용되고 있다. 둘째, IPO 시점에 발행된 우리사주 지분율이 1% 증가하면, 저평가 정도는 무려 3.82%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오직 IPO 시점에 공모된 우리사주에서만 나타나며, 기발행된 우리사주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셋째, 상장 후 성과에 미치는 영향 또한 기발행된 우리사주가 아닌 공모시 발행된 우리사주에서 기인하였는데, IPO 시점에 발행된 우리사주 지분율이 1% 증가할 때 상장 후 1, 3, 6개월 초과수익률이 2.8%~3.1% 증가하였으며, 코스닥 표본으로 한정하였을 경우 3.6~4.8% 정도로 영향력이 더욱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12개월 초과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는데, 이는 공모 시 발행된 우리사주의 락업(lock-up) 기간이 12개월인 점과 관련된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IPO 시점에 우리사주를 공모한 기업 중 코스닥의 경우 5.5%, 유가증권시장의 경우 44.8%의 기업에서 우리사주 청약미달이 발생하였는데, 청약미달이라는 사건은 저평가 정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은 반면, 상장 후 성과에서는 코스닥 표본에서만 1, 3개월 초과수익률을 13% 정도 감소시켰다. 코스닥시장에서 우리사주 청약미달은 매우 드물게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시장참가자들은 부정적인 신호로 받아들이고 있으며, 그러한 영향이 1~3개월가량 지속된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이 연구는 기존의 우리사주 관련연구, IPO 관련연구를 보완하여 우리사주가 IPO 주식의 저평가 정도 및 상장 후 성과와 관련되어 있음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인 공헌이 있으며, IPO 주식에 투자하는 투자자들에게도 참고할 유용한 기준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실무적 시사점이 있다. 또한, IPO 이전 발행된 우리사주와 IPO 시점에 발행된 우리사주가 미치는 영향력이 상이하다는 결과를 보임으로써 추후의 연구들도 이를 명확히 구분할 필요가 있음을 말해준다.

      • KCI등재

        김수영 시에 나타난 ‘우리’와 ‘사랑’의 의미 -C. D. 루이스『현대시론』의 영향을 중심으로-

        김지녀(Kim, Ji-Nyeo) 우리문학회 2020 우리文學硏究 Vol.0 No.68

        이 연구는 김수영 시의 언술에서 인칭대명사 ‘우리’가 어떤 용법으로 활용되며 의미화되는지를 분석했다. 김수영은 시에서 ‘우리’의 문제를 사유하게 해준 텍스트로 C. 데이 루이스의 『현대시론』을 언급했다. 이점에 주목해 이 연구에서는 김수영 시의 언술주체가 ‘나’에서 ‘우리’로 이행하는 이유를 다각도로 살펴보고, C. 데이 루이스의 시론이 김수영 시에 어떻게 내면화되었는지를 규명하고자 했다. 먼저, 김수영 시에서 인칭대명사 ‘우리’가 사용된 작품을 목록화하고 정리했다. 김수영 시에서 인칭대명사 ‘우리’는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표출되었다. 하나는 ‘우리’를 일인칭 단수의 의미로 사용한 경우로, 주로 개인적 관계를 통해 유일성이나 친근감을 표현하며 가족이나 공간을 지칭할 때 자주 출현했다. ‘우리’가 ‘나’로 대체가능했다. 다른 하나는 ‘우리’를 ‘나’를 포함한 복수의 의미로 사용한 경우였다. 이 경우는 주로 공동체 의식에 기반해 역사적이고 사회적인 사건이나 관념을 표현할 때 사용되었다. 김수영 시의 언술 주체가 ‘나’에서 ‘우리’로 변모해가는 과정에는 4·19혁명과 C. 데이 루이스의 시론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이 연구에서는 그 동안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C. 데이 루이스의 시론과 김수영 시에 출현하는 ‘우리’의 상관성을 살펴보았다. C. 데이 루이스는 ‘우리’를 호명하면서 젊은 시인들에게 과거와 교통하고 선조들의 중요성을 인식해야 함을 강조했다. 김수영은 선조의 의미를 가장 소박하고 일상적으로 살아가는 ‘민중’에서 발견하며 ‘우리’를 드러내고자 했다. 이점은 김수영에게 C. 데이 루이스의 시론이 일정정도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을 뒷받침한다고 볼 수 있다. 김수영의 ‘우리’에 대한 자각은 시에서 ‘우리’에 대한 ‘사랑’으로 이어졌다. 이때의 ‘사랑’은 보다 사회적이고 역사적인 관계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우리’를 호명하며 김수영은 당대 현실을 대립과 반목보다는 화해와 사랑으로 접근하고 ‘아들’로 대표되는 젊은 세대가 경험할 ‘사랑’이 과거의 역사과 전통을 통해 개진해나가는 현실의 모습에 기반해 있음을 강조했다. 이는 영원한 ‘우리’에 대한 믿음과 연결되어 있는 것이기도 했다. This study analyzed how Kim Soo-young’s poems utilized the term ‘we’ is used and explored its meaning within the context of his poetry. Kim Soo-young stated that A Hope for Poetry by C. D. Lewis provoked the problem of ‘we.’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why ‘we’ was increasingly used in place of ‘I’ in his works and explored how C. D. Lewis’ theory was manifested in Kim Soo-young’s poems. First, this study identified the works in which ‘we’ was used and analyzed them. ‘We’ was expressed in two ways in his poems. The first was the use of ‘we’ in first person singular form. This was primarily utilized to express uniqueness or friendliness through personal relationships, such as referring to family or an intimate space. The other case indicated the plural meanings of ‘we’ to express historical and social events or ideas. Next, this study examined A Hope for Poetry by C. D. Lewis. The book emphasized the need for young poets to communicate with the past an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ir ancestors. This is similar to the manner in which Kim Soo-young perceived ‘we’ in his poetry. In other words, A Hope for Poetry enabled Kim Soo-young to realize that ‘we’ represents the entire nation. It also facilitated his recognition and rediscovery of ‘history’ and ‘people.’ The ‘awareness’ of ‘we’ resulted in the emergence of ‘love’ for the collective (‘we’). In this case, the ‘love’ arises due to a stronger social and historical relationship. Through several poems, Kim Soo-young realized the true meaning of ‘we’ who made ‘our’ history. Consequently, he began to affirm ‘our’ history and tradition, which have shown persistent vitality. This set him on the path of living his life with reconciliation and love instead of opposition and antagon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