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요서(遼西) 지역에 보이는 백제의 실체

        정재윤(Chung Jaeyun) 동북아역사재단 2018 東北亞歷史論叢 Vol.- No.61

        본고의 목적은 중국 요서 지역에 보이는 백제의 실체를 구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진서』 모용황재기의 봉유 상소문과 346년 『자치통감』 기사, 그리고 백제의 요서 경략설의 사료를 차례로 살펴보았다. 345년 『진서』 모용황재기의 봉유 상소문은 검토한 결과 실제 백제와 관련된 기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346년 상황을 전하는 『자치통감』 기사는 여러 시기의 사실이 섞여 있으며, 백제와 요서 지역에 徙民된 부여계 이주민이 접촉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백제의 요서 지역 동향과 관련하여 주목되는 것은 이 지역에서 활동한 부여 계통의 이주민들이다. 특히 여울은 부여 왕자로서 전연의 멸망과 후연의 성립에 큰 역할을 하였다. 이들이 부여씨를 칭한 것은 요서 지역으로 사민된 부여왕 여현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이지만 여울을 통해 최소한 370년 이전임을 확인할 수 있다. 385년 여암의 반란도 부여계의 활약상을 엿볼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흥미로운 점은 이 시기 백제가 동진과 통교하면서 왕이 부여씨를 칭하였다는 사실이다. 백제가 동진과 통교가 가능한 것은 우선 중간 기착지인 요서 지역에 거점이 마련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백제의 부여씨 사용은 근초고왕 때 무렵이며, 이 무렵 부여씨 출자를 강조한 것은 고구려를 의식한 표방으로 보인다. 다음으로 요서 지역에 있는 부여계 이주민과의 친연성을 강조하기 위한 목적도 있었다. 이러한 동족 의식과 고구려에 대항한다는 유대감의 형성은 부여계의 도움을 받아 요서 지역에 거점을 마련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백제의 요서 경략설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요서 경략설은 『송서』에 처음 기술되었고, 사료적 가치가 높다 할 수 있다. 이후 『양직공도』에서 요서 경략의 주체를 낙랑으로 표기한 것은 착오이며, 백제와 부여계 이주민과의 교류를 보여준다. 백제에서 중국 지명이 붙은 태수직의 사신 파견도 이들의 출신지를 관칭하였다면 요서 지역과의 관련성도 엿볼 수 있는 자료이다. 끝으로, 요서 경략에 관한 사료를 분석한 결과 요서 경략설의 생성은 진나라 말기로 보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며, 요서군이라는 명칭의 등장은 후대에도 계속 요서 경략설이 재생산되고 있는 것을 보여준다. 그 실체는 4세기 중반에 백제는 요서 지역에 사민된 부여계 이주민과 교류를 하였고, 일부가 연의 도성에까지 이르렀던 모습을 말해준다. 이는 서진의 패망 이후 중국과의 교류를 할 필요성이 있었기 때문이다. 더욱이 낙랑과 대방군의 퇴각 이후 이들 지역을 둘러싼 백제와 고구려의 대립은 요하를 경계로 둔 요서 지역에서도 전개되었다. 이처럼 백제와 고구려의 대립은 요서 경략설이 생성되는 하나의 배경이 되었다. 다음으로 371년 평양성 전투에서 승리하면서 백제는 국제적인 명성을 얻게 되었다. 이를 기회로 중국계 백제 관료들에 의해 동진과의 교섭이 이루어졌고, 이는 요서 지역에 거점이 마련되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백제는 요서 진출의 실체와는 별개로 남조와의 교류 때 이러한 상황을 과장하게 전달하였다고 보인다. 이상을 살펴보면 백제가 요서 지역과 교류를 한 것은 분명하고, 거점 마련도 상당히 가능성은 높다. 그렇지만 이러한 실체와는 별도로 점유로 인식될 정도로 과장된 정보가 계속 사신을 통해 남조에 전달되었고, 남조 역사가들은 그들의 이해와 인식, 그리고 현실적인 필요에 의해 요서 경략설을 기술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6세기 중 · 후반 요서말갈(遼西靺鞨)과 돌궐 · 고구려

        이정빈(Lee Jeongbin) 동북아역사재단 2018 東北亞歷史論叢 Vol.- No.61

        본고는 6세기 중 · 후반 요서말갈 형성기 제부의 동향을 돌궐 · 고구려와 관련하여 생각해 본 것이다. 우선 6세기 중 · 후반 요서말갈의 존재를 확인했다. 말갈은 6세기 중반부터 문헌사료에 등장하였는데, 그 본격적인 활동은 요서 지역에서 나타났다. 고보령(高寶寜)의 말갈병, 돌지계 세력의 속말말갈이 대표적이다. 6세기 중반까지 요서 지역의 주인공은 거란이었다. 이와 비교해 말갈은 물길의 일파로 본래 요하 동쪽 송화강 유역에 거주했다. 이에 요서말갈은 6세기 중반 이후 물길이 이주함으로써 형성되었다고 생각했다. 6세기 중반 요서 지역의 거란 제부는 북제 · 돌궐의 공격과 압박으로 연이어 동요했다. 그 결과 공백이 발생하였는데, 이러한 국제정세의 변화가 요서말갈 형성의 배경이었다. 6세기 중반 요서 지역의 거란은 돌궐이 통제하고 있었다. 따라서 요서말갈의 형성 역시 돌궐과 밀접했다고 판단했다. 친돌궐 성향의 속말말갈이 요서말갈 형성의 한 축을 구성했다고 본 것이다. 돌궐은 요서말갈을 통해 거란을 통제 · 견제하고, 나아가 고구려를 견제하고자 했을 것이다. 6세기 후반~7세기 중반 속말부의 거주지는 상당히 광역이었고, 제소부(諸小部)로 나누어져 있었으며, 제소부는 친돌궐 · 친고구려 등으로 정치적 입장을 달리하였다. 『수서(隋書)』 말갈전의 7부는 그 중의 대표적인 소부 연맹을 가리킨다고 해석된다. 속말부의 경우 돌지계 세력의 소부 연맹 지칭한다고 했다. 『수서』 말갈전에서 백산부는 속말부의 동남쪽에 위치하였다고 했다. 그러므로 백산부는 요서 동남부에 위치하였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수서』 말갈전의 속말부와 백산부를 요서말갈의 일종으로 본 것이다. 그리고 요서말갈은 고구려와 요서동부에 설치된 군사기지를 매개로 정치적 주종관계를 맺었을 것으로 이해하였다. This article considers the trend of entire Bu(部) in relation to Dolgwo and Goguryeo in the formation period of Yoseo malgal in the middle and late 6th century. In this period, first of all, the existence of Yoseo malgal is confirmed in this article. Malgal(靺鞨) has appeared in the literature historical material since the middle 6th century, and its fullscale activity has appeared in the area of Yoseo(遼西). Malgal army of Gaobaoning(高寶寜) and Songmal malgal(粟末靺鞨) of Doljigye(突地稽) force are the representatives. Until the middle 6th century, the protagonist of the Yoseo area was Georan(契丹). On the contrary, Malgal was originally one part of Mulgil(勿吉) and located in the Songhuajiang(松花江) basin, east of Yoha(遼河). Thus, Yoseo malgal was thought to have formed by migrating of Mulgil around the middle 6th century. In the middle 6th century, Georan of Yoseo area was shaken continuously by the attack and pressure of Beiqi(北齊) and Dolgwo. As a result, a vacuum was created. This change of international situation was the background of the formation of Yoseo Malgal. In the middle 6th century, Georan of Yoseo area was controlled by Dolgwo. Therefore, it was determined that the formation of Yoseo Malgal was also closely related to Dolgwo. It is assumed that the pro -Dolgwo Songmal malgal constitutes one axis of the formation of Yoseo Malgal. Dolgwo tried to control and check Georan through Yoseo Malgal, and furthermore they tried to keep Koguryeo in check. In the late 6th and early 7th centuries, the residence of Songmal - bu(粟末部) was large area and divided into small bu(小部), and their political stance differed between pro-Dolgwo and pro -Goguryeo. The 7th part of “Biography of Malgal(靺鞨傳)” of the Shi -shu(隋書) is interpreted as referring to the representative 小部 alliance. In the case of the Songmal -bu, it was called the 小部 alliance of Doljigye forces. In the “Biography of Malgal(靺鞨傳)” of the Shi -shu(隋書), it was said that Baeksan -bu(白山部) was located in the southeast of Songmal -bu. Therefore, it was assumed that Baeksan -bu was located in the southeast of Yoseo. It regarded that Songmal-bu and Baeksan -bu of “Biography of Malgal(靺鞨傳)” as a part of Yoseo malgal. Also, it was understood that Yoseo malgal had established a political master - servant relationship with Goguryeo through military bases installed in the east of Yoseo.

      • KCI등재

        高句麗와 北朝의 경계

        李成制(Lee Seongje) 고구려발해학회 2016 고구려발해연구 Vol.54 No.-

        525~528년 무렵 고구려는 遼西로의 진출을 단행하였다. 이때의 군사행동은 요서 지역에 대한 北魏의 지배가 붕괴된 상황을 틈타 이루어진 전격적인 것이었다. 그러므로 이때의 요서 진출은 갑작스러운 것이며 이로써 고구려가 그간 유지해온 북위 위주의 대외전략을 폐기한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고구려의 요서 진출은 북위의 內政은 물론이고 북위를 둘러싼 국제정세까지 파악해가면서 단행된 것이었다. 상대가 되는 북위와의 향후 관계 뿐만 아니라 突厥 등 북방세력과의 조우도 충분히 예견할 수 있는 문제들이었기 때문이다. 이런 점들을 고려하지 않은 채 고구려가 요서로의 진출에 나섰다고는 여길 수 없는 것이다. 요서 일대를 석권하여 營州 일대까지 차지할 기회가 있었음에도 고구려가 大凌河 하류 이서로의 세력확대는 자제했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이때의 진출로 고구려는 요서의 동부지역을 차지하였고, 현재의 朝陽에 중심을 둔 북중국 왕조와 요서를 분점하게 되었다. 특히 고구려가 차지한 지역은 대릉하 하류와 북쪽에서 내려온 醫巫閭山이라는 자연경계로 그 서부지역과 구분된다는 지리적 특징을 갖고 있었다. 과거 漢이 이 지역과 요하 이동을 묶어 遼東郡으로 편성했던 것도 이러한 조건을 고려한 것이었다. 또한 여기에는 요서 서부와 요동을 잇는 고대로 부터의 幹線이 마련되어 있었다. 이러한 지리적 조건과 그 전략적 가치에 대해 고구려는 전대로부터의 경험-後燕과의 공방전, 더 거슬러 올라가면前 燕과의 대결-을 통해 익히 알고 있었다고 여겨진다. 이렇게 볼 때 고구려사에서 요서 동부지역의 확보가 갖는 의미는 요하 이서의 수 백리 영토를 얻었다는 것에 그치지 않는다. 요서의 분점을 통해 고구려는 요동의 안전을 담보할 수 있는 보다 견실한 대외 전략을 수립할 수 있게 되었다. 확보한 지역 공간을 통해 북방 유목세계의 중심세력과 교섭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는 점도 이러한 추정을 뒷받침해준다. Koguryeo advanced into the west of the Liao River(遼西) in 525-528. The military action was taken suddenly under favor of the collapse of dominance on the west of the Liao River by the Northern Wei Dynasty(北魏). Therefore, the expansion to the west of the Liao River occurred all of a sudden and Koguryeo seemed to discard its foreign policies focusing on the Northern Dynasties of China that it had maintained. However, the expansion of Koguryeo into the west of the Liao River was taken by figuring out not only the domestic affairs of the Northern Wei Dynasty but also the international situations around the dynasties. This was because it was able to expect the future relationship with the Northern Wei Dynasty and encountering with the northern powers including the Turkic Khaganate(突厥). It cannot be regarded that Koguryeo advanced into the west of the Liao River without considering these problems. Koguryeo would have considered these as it refrained from expanding into the west of the downstream of the Daling River(大凌河), although it had an opportunity to occupy the west of the Liao River and Yingzhou營( 州) area. From the expansion, Koguryeo occupied the eastern area of the west of the Liao River, sharing the west of the Liao River with the Northern Dynasties of China located in Chao Yang(朝陽). In particular, the area dominated by Koguryeo had a geographical attribute to be separated from the west area with the natural boundary of the downstream of the Daling River and Yimuryo Mountain(醫巫閭山) from the North. The Han Dynasty(漢) made Yodonggun(遼東郡) by combining this area and the east of the Liao River by considering the geographical condition. It also had the main line(幹線) from the ancient times connecting the west and the east of the Liao River. It is told that Koguryeo was well aware of such a geographical condition and its strategical value through the experiences from the previous generations – the battle with HouYan(後燕) and the battle with Qian Yan(前燕). Given the facts, the meaning of expansion of the east of the west of the Liao River in the history of Koguryeo is nothing more than it secured hundreds of Li(0.24 mile) of area in the west of the Liao River. By sharing the west of the Liao River, Koguryeo was able to establish more sound foreign policies to secure the safety of the east of the Liao River. The fact that Koguryeo was able to negotiate with the central forces in the nomadic community in the North through the secured area supports the assumption.

      • KCI등재

        ‘百濟略有遼西’ 記事의 기술배경과 漢人 유이민 집단

        백길남(Baek, Kil Nam) 한국고대사학회 2017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86

        이 글에서는 南朝 史書에만 전해지고 있는 소위 ‘百濟略有遼西’ 記事의 기술배경을 검토하는 가운데, 晉平郡縣 설치를 중심으로 백제와 요서지역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백제약유요서’ 기사의 최대 쟁점은 백제의 군사적 행위와 요서점유 여부이다. ‘백제약유요서’ 기사의 출처와 관련해 백제 表文이 주목된다. 백제는 동진·남조에 자국의 군사적 능력을 과시하는 표문을 지속적으로 전달했고 중국 官爵의 追認을 요청했다. 표문의 내용은 백제 입장에 편향된 과장과 허위가 포함됐을 가능성이 높고, 남조 史家가 백제 표문을 근거로 사서에서 과장되게 서술했을 수도 있다. 표문의 사료 특성과 한계를 고려할 때, 백제의 군사적 행위와 요서점유를 액면 그대로 이해하는 것은 유의가 필요하다. ‘백제약유요서’ 정보가 전해진 이후 남조 사가의 선택적 기술, 축약, 改文 등의 變改를 거쳐 최종적으로 관련 정보가 사서에 기술된 것으로 이해된다. ‘백제약유요서’ 기사의 핵심정보는 백제가 요서와 관련해 군현을 설치하고 관할했다는 것이다. 특히 晉朝를 관칭한 군현명이 주목된다. 西晉시기 진조를 관칭한 군현명은 통일제국인 진조의 위용을 반영한 상징성이 있었다. 그러나 화북지역을 상실하고 南遷한 東晉시기의 진조를 관칭한 군현명은 진조 회복과 漢人 유이민 安置라는 수세적인 명분으로 주로 명명되었다. ‘백제약유요서’의 사건 시점은 1차 ‘高驪略有遼東’ 시기인 385년에 해당될 가능성이 높고, 당시 요서지역에는 여러 지역 출신의 한인 유이민 집단이 거주하고 있었다. 백제는 4세기 말 혼란기 속에서 동요하고 있었던 요서지역 한인 유이민 집단을 대상으로 樂浪太守와 진조를 관칭한 군현명을 표방하여 이들의 華夷觀念을 불식시켰을 것이다. 그리고 백제는 군현 단위로 결집된 한인 유이민 집단의 존재양태를 존중하여 요서군과 진평군현 같은 중국식 군현 단위를 설치하고 이들을 안치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로써 백제는 중국 내지 한인 유이민 집단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용하게 되었을 것이다. 백제는 동진·남조와 활발한 외교관계를 유지했다. 동진·남조는 백제의 漢人係 使臣과 표문을 통해 백제로 내투한 한인 유이민 집단의 유입경위(‘백제약유요서’)와 존재양태(중국 지명 태수호)에 대한 이해를 축적했을 것이다. 백제는 ‘백제약유요서’ 정보를 동진에 전달하여 진조를 지지하는 藩國의 입장을 취하면서 국왕 책봉호 승급 등의 외교적 실익을 추구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This paper examines the background of writing of the ‘Baekje Occupies Liaoxi’ article which appears only in the History of the Southern Dynasties. In doing so, it focuses on the establishment of Jinpyeong-gunhyeon and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Baekje and the Liaoxi. Perhaps the information on ‘Baekje Occupies Liaoxi’ was in the Baekje diplomatic document(表文). Baekje persistently delivered diplomatic documents that paraded its military abilities to Eastern Jin and Southern Dynasties and requested the confirmation of Chinese office and peerage(官爵) from China. The diplomatic document are highly likely to include exaggeration and falsehood that are biased towards the Baekje position. The information on ‘Baekje Occupies Liaoxi’ was ultimately written in the history documents through the selective description, abridgment, and modification of Historians of Southern Dynasties. ‘Baekje Occupies Liaoxi’ occurred in the late fourth century during the time when ‘Goguryeo Occupies Liaodong’(‘高驪略有遼東’) at the edges of Eastern Jin, and during this period, many Chinese immigration from the various regions in the China were residing in the Liaoxi. In all probability the period of confusion at the end of the fourth century, Baekje used the county names that were associated with the Jin dynasty and the NakrangTaishou(樂浪太守) title to attract the Chinese immigration in the Liaoxi who were agitated. Thus, Baekje tried to respect the Sinocentrism of Chinese immigration. It is assumed that Baekje then respected the mode of existence of the Chinese immigration who came from different county levels and established counties similar to the Chinese system such as the Yoseo-gun(遼西郡) and Jinpyeong-gunhyeon and settled these people in these counties. Baekje maintained an active diplomatic relations with Eastern Jin and Southern Dynasties. Baekje, by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on ‘Baekje Occupies Liaoxi’ to Eastern Jin, situated itself as a dependency(藩國) supportive of the Jin dynasty. Thus, it is likely that Baekje pursued diplomatically practical benefits including the raise in the level of Chinese office and peerage.

      • KCI등재

        연구논문 : 백제(百濟)의 요서(遼西) 영유와 “백제군(百濟郡)”

        김성한 ( Sung Han Kim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3 역사학연구 Vol.50 No.-

        百濟의 遼西 領有를 전하는 史書 가운데 『宋書』, 『梁書』, 『梁職貢圖』가 주목을 받아 왔다. 『梁書』가 『梁職貢圖』를 참조한 것처럼 『宋書』도 당시 존재하였을 職貢圖 계열의 畵帖을 참조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宋書』가 비록 가장 이른 시기의 자료이지만, 『梁職貢圖』가 梁 당대에 편찬된 原始資料인 까닭에 사료적 가치가 더 높다고 생각된다. 百濟의 遼西 領有에 관한 기사 중 『宋書』·『梁職貢圖』와 『梁書』의 차이점은 “自置百濟郡(스스로 百濟郡을 설치하다)”이란 구절의 유무로, 이 구절이 『宋書』와 『梁職貢圖』에는 없는 반면에 『梁書』에는 있는 것이다. “自置百濟郡”이란 구절은 『南齊書』에 처음으로 보이는데, 『南齊書』에는 百濟의 遼西 領有에 관한 기사가 없기 때문에 百濟의 遼西 領有와는 무관한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梁書』에서는 이전의 史書를 정리하여 서술하는 과정에서 “自置百濟郡”이란 구절을 百濟의 遼西 領有에 관한 기사 바로 다음에 위치시킴으로써 후세의 史家들이 “自置百濟郡”이란 구절이 百濟의 遼西 領有와 관계된 것으로 잘못 이해할 수 있는 여지를 제공하였다. 하지만 『通典』에서는 “自置百濟郡”이란 구절을 百濟의 遼西 領有 기사가 아닌 百濟와 東晋왕조의 교류에 관한 기사에 위치시킴으로써 “自置百濟郡”이란 구절이 百濟의 遼西 領有와 관계가 없음을 보여주고 있다. 사실 『梁書』의 撰者도 “自置百濟郡”이란 구절 앞에 위치한 百濟의 遼西 領有에 관한 기사 끝에 終結語尾인 ‘矣’를 붙임으로써 “自置百濟郡”이란 구절과 앞의 구절이 관계가 없음을 분명히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기존 학계에서는 끊어읽기를 잘못하여 “自置百濟郡”이란 구절을 새로운 문장의 시작이 아니라 百濟의 遼西 領有 기사와 연결하여 잘못 이해하였던 것이다. “自置百濟郡”이란 구절이 百濟의 遼西 領有 기사 다음에 위치한다는 사실은 百濟 遼西 領有 문제를 고찰하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종전에는 “自置百濟郡”이란 구절을 百濟가 遼西에서 영유한 지역에 百濟郡을 설치한 것으로 보았으나, 이러한 의미가 아니라고 한다면 이 “自置百濟郡”이란 구절은 ‘百濟’라는 명칭이 처음으로 사용된 사실을 보여주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梁書』의 문장 구조 속에서 보면, 百濟가 遼西를 영유한 시점은 百濟가 ‘百濟’라는 명칭을 사용하기 이전이 되고, 이는 『梁職貢圖』에서 ‘百濟’가 아닌 ‘樂浪’이 遼西를 領有하였다고 한 사실과 관계가 있을 것이다. 그리고 北朝系 史書에서 百濟의 遼西 領有 사실이 확인되지 않는 것도 百濟가 遼西를 領有할 당시 ‘百濟’라는 명칭을 아직 사용하고 있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볼 수 있다면 百濟의 遼西 領有는 ‘百濟’라는 명칭이 中國 史書에 처음 보이는 344년 이전의 일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Among the history books which mention Baekje`s possession of Liaoxi, Songshu, Liangshu, and Yangjikgondo have been attracting people`s attention. Songshu is the oldest material, but because Yangjikgongdo is a primitive material which was compiled in the times of Yang and Dang kingdoms, it is thought to have a higher historic value. As Liangshu referred to Yangjikgongdo,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Songshu referred to some literature of Yangjikgongdo. Among the articles about Baekje`s possession of Liaoxi, a difference between Songshu and Yangjikgongdo, and Liangshu is the mention of “Self-governing Baekjegun (literally meaning ‘establishing Baekjegun on its own’)”. This expression is not in Songsu and Yangjikgongdo while Liangshu has it. The expression, “Self-governing Baekjegun”, appears in Nanjishu for the first time. Because Nanjishu carries no article about Baekje`s possession of Liaoxi, it seems that it was not related to Baekje`s possession of Liaoxi. However, in the course of arranging and explaining about previous historical records, Liangshu provided a reason for later historians to misunderstand that the expression “Self-governing Baekjegun” is related to Baekje`s possession of Liaoxi by placing the expression of “Self-governing Baekjegun” immediately after the article about Baekje`s possession of Liaoxi. But Tongdian placed the expression of “Self-governing Baekjegun” in an article about the exchange of Baekje and Dongjin dynasties, not in an article about Baekje`s possession of Liaoxi, showing that the expression of “Self-governing Baekjegun” is not related to Baekje`s possession of Liaoxi. In fact, Chanja also added a letter of “eui” which is an ending particle to the end of the article about Baekje`s possession of Liaoxi which is placed before the expression of “Self-governing Baekjegun”, clearly showing that the expression of “Self-governing Baekjegun” is not related to the foregoing expression. Therefore, the existing academic world misunderstood the expression of “Self-governing Baekjegun” in connection with the article about Baekje`s possession of Liaoxi, not as a start of a new sentence. The fact that the expression of “Self-governing Baekjegun” is placed after the article about Baekje`s possession of Liaoxi provides an important clue to the deliberation of the issue around Baekje`s possession of Liaoxi. In the past, the expression of “Self-governing Baekjegun” was understood to mean that Baekje established “Baekjegun” in an area of Liaoxi, but if the expression of “Self-governing Baekjegun” didn`t mean it, the expression of “Self-governing Baekjegun” can be understood to show the fact that the title of ‘Baekje’ was used for the first time. If thinking in the sentence structure of Liangshu, the point of time when Baekje began to possess Liaoxi was before the title of ‘Baekje’ began to be used, and this may be related to the fact that Yangjikgongdo said that Lelang, not Baekje, began to possess Liaoxi. Furthermore, the fact that Baekje`s possession of Liaoxi was not ascertained in history books of Beichao can mean that when Baekje began to possess Liaoxi, the title of ‘Baekje’ was not being used yet. Based on the development of argument as above, the point of time when Baekje began to possess Liaoxi should be before the year of 334 when the title of Baekje appears for the first time in Chinese history literature.

      • KCI등재

        백제 遼西진출설과 역대 교과서 서술 검토

        임기환(Lim, Ki-Hwan) 고려사학회 2016 한국사학보 Vol.- No.63

        본 연구는 역대 교과서에 서술된 백제 요서진출(경략)설에 대해 검토하였다. 왜냐하면 역대 교과서에서 당당히 기술되어 왔던 백제의 요서진출상이 역사 연구성과에 의해 충분히 뒷받침되지 못한 주제라는 점에서, 역사 연구의 동향과 교과서 서술 사이에 놓여있는 간극이 가장 큰 대표적인 사례이기 때문이다. 백제의 요서진출이나 대륙진출에 관한 서술은 3차교육과정 이후 한국사 교과서에 실리기 시작하였다. 이후 현행 2009교육과정 교과서까지 관련 서술을 모두 검토한 결과, 교육과정별 교과서마다 백제 요서진출설에 대한 서술 비중이나 구체적인 기술 내용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전체적으로는 3차교육과정 국사 교과서의 서술 내용과 방향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고 있다. 그리고 교육과정별 교과서 서술 내용의 차이도 역사학계의 관련 연구 성과와는 그다지 관련없다. 이는 요서진출설이 교과서에 등장한 이후 지속적으로 민족사의 긍지와 자부심을 교육하는 소재의 하나가 되었던 점과 무관하지 않다고 본다. 그리고 역대 교과서 서술의 변화 양상을 보면 자체적으로 백제 요서진출설의 논거를 만들어가는 경향도 나타나고 있다. 3차교육과정 교과서에 처음 서술될 때에는 ‘점령’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면서 동시에 고대 상업세력의 거점으로서 성격을 시사하였다. 4차교육과정부터는 ‘진출’로 표현의 수위는 낮추었지만, 내용적으로는 오히려 1세기 이상 진출하였다고 하여 군사적, 정치적 경략이란 성격으로 흐름이 바뀌었다. 5차교육과정에서는 “백제의 세력권”이란 표현이 등장하며, 동시에 대외무역과 관련된 해상활동이라는 성격도 함께 기술하고 있다. 6차교육과정 교과서에서는 백제의 ‘해상세력권’과 관련하여 백제 수군의 역할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서술은 학술적 근거를 갖고 있지 않은 채 백제의 요서진출설이 국사 교과서 서술 내에서 점차 자체 논리를 만들어가는 과정에서 나타난 결과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근본적으로 요서 진출 역사상 자체가 매우 혼란스럽게 기술되고 있는 면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즉 ‘점령’, ‘진출’, ‘장악’ 등 여러 층위를 갖는 용어로 기술되고 있으며, 요서지방이나 산동반도 지역에 진출하였다고 기술할 뿐이지, 그 진출의 내용과 성격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거의 언급이 없다. 군사적 지배인지, 고대 상업무역기지인지 혼란스럽게 역대 교과서에 기술되고 있다. 특히 5차교육과정 이후에는 내용 준거안이 만들어져 일종의 지침 역할을 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한국 상고사를 둘러싼 학술외적인 요인이 개입되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준거안이 요서진출설을 고착화하는 역할을 하였던 것이다. 또 7차교육과정부터는 송서 등 관련 사료를 제시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는데, 사료 비판을 거치지 않은 단순한 사료의 제시는 오히려 학생들에게 요서진출설을 사료에 의해 뒷받침되는 역사적 사실로 이해하게 하는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한편 한국고대사학계에서 백제 요서진출설에 대한 비판적 연구가 지속되면서, 2009년 교육과정의 교과서에서 비로소 논란이 있는 역사상으로 서술되었다. 거의 40년 만에 비로소 교과서에서 백제의 요서진출설이 학계의 연구 상황이 반영된 형태로 서술된 것이다. 이와같은 백제 요서진출설의 서술 문제는 역사교과서 서술 내용의 선정에서 역사학계의 관련 연구성과에 의해 보다 엄밀한 검증의 뒷받침을 받고 매우 신중하게 진행되어야 함을 보여주는 중요한 교훈의 사례로서 깊이 되새겨야 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the description of the Korean History Textbook according to the national history curriculum on on BaekJae"s advance in the YoSoe(遼西) area. The description of the Korean History textbook on BaekJae"s advance in the YoSoe(遼西) area, has begun in the 3th national curriculum. From 3th until the current national history curriculum, The description of the Korean History textbook on BaekJae"s advance in the YoSoe(遼西) area, has shown little difference in the specific gravity and describe information. But The context of the description is not a big difference. Visible difference of the contents of the textbook is independent historical research and academic achievements, but depending on the specific goals of the history curriculum. Consequently the description of the Korean History textbook on BaekJae"s advance in the YoSoe area, was imprecised and inconsistented. As an academic study that reexamined on the theory on BaekJae"s advance in the YoSoe(遼西) area, changes were described as controversial historical fact in the 2009 revision national history curriculum. That the academic study to reflect descriptions of the Korean History textbook took 20 years. When selecting a history textbook descriptions, the proven historical fact by academic research to be selected , the process should be conducted very carefully.

      • KCI등재

        百濟의 遼西 영유와 ‘百濟郡’

        김성한 호남사학회 2013 역사학연구 Vol.50 No.-

        Among the history books which mention Baekje’s possession of Liaoxi, Songshu, Liangshu, and Yangjikgondo have been attracting people’s attention. Songshu is the oldest material, but because Yangjikgongdo is a primitive material which was compiled in the times of Yang and Dang kingdoms, it is thought to have a higher historic value. As Liangshu referred to Yangjikgongdo,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Songshu referred to some literature of Yangjikgongdo. Among the articles about Baekje’s possession of Liaoxi, a difference between Songshu and Yangjikgongdo, and Liangshu is the mention of “Self-governing Baekjegun (literally meaning ‘establishing Baekjegun on its own’)”. This expression is not in Songsu and Yangjikgongdo while Liangshu has it. The expression, “Self-governing Baekjegun”, appears in Nanjishu for the first time. Because Nanjishu carries no article about Baekje’s possession of Liaoxi, it seems that it was not related to Baekje’s possession of Liaoxi. However, in the course of arranging and explaining about previous historical records, Liangshu provided a reason for later historians to misunderstand that the expression “Self-governing Baekjegun” is related to Baekje’s possession of Liaoxi by placing the expression of “Self-governing Baekjegun” immediately after the article about Baekje’s possession of Liaoxi. But Tongdian placed the expression of “Self-governing Baekjegun” in an article about the exchange of Baekje and Dongjin dynasties, not in an article about Baekje’s possession of Liaoxi, showing that the expression of “Self-governing Baekjegun” is not related to Baekje’s possession of Liaoxi. In fact, Chanja also added a letter of “eui” which is an ending particle to the end of the article about Baekje’s possession of Liaoxi which is placed before the expression of “Self-governing Baekjegun”, clearly showing that the expression of “Self-governing Baekjegun” is not related to the foregoing expression. Therefore, the existing academic world misunderstood the expression of “Self-governing Baekjegun” in connection with the article about Baekje’s possession of Liaoxi, not as a start of a new sentence. The fact that the expression of “Self-governing Baekjegun” is placed after the article about Baekje’s possession of Liaoxi provides an important clue to the deliberation of the issue around Baekje’s possession of Liaoxi. In the past, the expression of “Self-governing Baekjegun” was understood to mean that Baekje established “Baekjegun” in an area of Liaoxi, but if the expression of “Self-governing Baekjegun” didn’t mean it, the expression of “Self-governing Baekjegun” can be understood to show the fact that the title of ‘Baekje’ was used for the first time. If thinking in the sentence structure of Liangshu, the point of time when Baekje began to possess Liaoxi was before the title of ‘Baekje’ began to be used, and this may be related to the fact that Yangjikgongdo said that Lelang, not Baekje, began to possess Liaoxi. Furthermore, the fact that Baekje’s possession of Liaoxi was not ascertained in history books of Beichao can mean that when Baekje began to possess Liaoxi, the title of ‘Baekje’ was not being used yet. Based on the development of argument as above, the point of time when Baekje began to possess Liaoxi should be before the year of 334 when the title of Baekje appears for the first time in Chinese history literature. 百濟의 遼西 領有를 전하는 史書 가운데 『宋書』・『梁書』・『梁職貢圖』가 주목을 받아 왔다. 『梁書』가 『梁職貢圖』를 참조한 것처럼 『宋書』도 당시 존재하였을 職貢圖 계열의 畵帖을 참조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宋書』가 비록 가장 이른 시기의 자료이지만, 『梁職貢圖』가 梁 당대에 편찬된 原始資料인 까닭에 사료적 가치가 더 높다고 생각된다. 百濟의 遼西 領有에 관한 기사 중 『宋書』・『梁職貢圖』와 『梁書』의 차이점은 “自置百濟郡(스스로 百濟郡을 설치하다)”이란 구절의 유무로, 이 구절이 『宋書』와 『梁職貢圖』에는 없는 반면에 『梁書』에는 있는 것이다. “自置百濟郡”이란 구절은 『南齊書』에 처음으로 보이는데, 『南齊書』에는 百濟의 遼西 領有에 관한 기사가 없기 때문에 百濟의 遼西 領有와는 무관한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梁書』에서는 이전의 史書를 정리하여 서술하는 과정에서 “自置百濟郡”이란 구절을 百濟의 遼西 領有에 관한 기사 바로 다음에 위치시킴으로써 후세의 史家들이 “自置百濟郡”이란 구절이 百濟의 遼西 領有와 관계된 것으로 잘못 이해할 수 있는 여지를 제공하였다. 하지만 『通典』에서는 “自置百濟郡”이란 구절을 百濟의 遼西 領有 기사가 아닌 百濟와 東晋왕조의 교류에 관한 기사에 위치시킴으로써 “自置百濟郡”이란 구절이 百濟의 遼西 領有와 관계가 없음을 보여주고 있다. 사실 『梁書』의 撰者도 “自置百濟郡”이란 구절 앞에 위치한 百濟의 遼西 領有에 관한 기사 끝에 終結語尾인 ‘矣’를 붙임으로써 “自置百濟郡”이란 구절과 앞의 구절이 관계가 없음을 분명히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기존 학계에서는 끊어읽기를 잘못하여 “自置百濟郡”이란 구절을 새로운 문장의 시작이 아니라 百濟의 遼西 領有 기사와 연결하여 잘못 이해하였던 것이다. “自置百濟郡”이란 구절이 百濟의 遼西 領有 기사 다음에 위치한다는 사실은 百濟 遼西 領有 문제를 고찰하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종전에는 “自置百濟郡”이란 구절을 百濟가 遼西에서 영유한 지역에 百濟郡을 설치한 것으로 보았으나, 이러한 의미가 아니라고 한다면 이 “自置百濟郡”이란 구절은 ‘百濟’라는 명칭이 처음으로 사용된 사실을 보여주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梁書』의 문장 구조 속에서 보면, 百濟가 遼西를 영유한 시점은 百濟가 ‘百濟’라는 명칭을 사용하기 이전이 되고, 이는 『梁職貢圖』에서 ‘百濟’가 아닌 ‘樂浪’이 遼西를 領有하였다고 한 사실과 관계가 있을 것이다. 그리고 北朝系 史書에서 百濟의 遼西 領有 사실이 확인되지 않는 것도 百濟가 遼西를 領有할 당시 ‘百濟’라는 명칭을 아직 사용하고 있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볼 수 있다면 百濟의 遼西 領有는 ‘百濟’라는 명칭이 中國 史書에 처음 보이는 344년 이전의 일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 KCI등재

        570년대 후반~580년대 전반 요서지역의 情勢와 고구려의 대외관계

        이정빈 동북아역사재단 2014 東北亞歷史論叢 Vol.- No.44

        본고의 목적은 570년대 후반~580년대 전반 고구려의 대외관계를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이 무렵 遼西地域을 둘러싼 동아시아의 국제정세를 주목하였다. 이제까지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고구려와 北周․隋의 대립구도를 전제로 동아시아 국제정세를 설명하였다. 이에 따라 고구려와 요서지역의 高寶寧 세력이 동맹관계였다고 파악하였다. 고보령 세력은 북주․수와 대립하였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설명의 중요한 근거 중 하나는 『삼국사기』 溫達傳에 보이는 肄山戰鬪였다. 이산전투는 고구려의 平原王과 북주 武帝의 전투였다고 하는데, 종래의 여러 연구에서는 이를 북주와 고보령 세력의 대립으로 보고, 고구려가 고보령 세력과 연합해 북주와 전투하였다고 파악한 것이다. 그런데 본고의 검토 결과, 570년대 후반 북주와 고보령 세력의 대규모 무력충돌은 찾아볼 수 없다. 그러므로 이산전투의 실상은 다른 각도에서 설명할 여지가 있다. 고보령이 북주와 대립한 것은 577년 10월 이후였다. 이때 高紹義를 내세워 북제의 부흥을 표방한 것이다. 북제가 멸망한 577년 2월부터 10월까지, 고보령은 북주와 정면으로 대립하지 않았다. 오히려 그의 대외적인 직함은 북주의 영주자사였다. 그러므로 이 무렵 고구려의 입장에서 고보령 세력은 북주로 인식될 수 있었다. 한편 고보령은 요서지역 諸種族을 포섭해 세력을 확장하였는데, 이는 고구려에 서방 변경지대의 안정을 위협하였을 것이다. 그런 만큼 요서지역 제종족을 둘러싸고 고구려와 고보령 세력이 대립하였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에 본고에서는 이산전투가 570년대 후반 고구려와 고보령 세력의 대립을 반영하는 사건으로 해석하였다. 570년대 후반 고소의를 중심으로 한 북제부흥운동은 실패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보령 세력은 요서지역에서 북제의 부흥운동을 지속하였다. 581년 고보령은 돌궐의 沙鉢略可汗과 연합하였고, 그와 함께 남진을 시도했다. 이때 고구려는 돌궐과 대립하고 있었다. 반면 북주․수와는 우호관계였다. 이로 보아 고구려는 북주․수를 통해 돌궐을 견제하였고, 북주․수 역시 돌궐과의 대립구도 속에서 고구려와의 우호관계를 필요로 하였다고 생각된다. 그러므로 580년대 전반 고구려는 요서지역에서 고보령 세력을 견제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그런데 583년 수—돌궐 전쟁에서 돌궐이 패배하며 고보령 세력도 몰락하였다. 이제 고구려는 요서지역을 두고 수와 마주하였는데, 이로부터 양국의 우호관계는 지속되기 어려워졌다. 요서지역을 둘러싸고 갈등의 소지가 발생했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This paper investigates Koguryo’s foreign relations between the late 570s and the early 580s, and focuses on the dynamics of international relations in East Asia surrounding the Liaoxi region. The existing literature bases analysis about international relations in East Asia on the assumed confrontation between Koguryo on the one hand and Northern Zhou (北周) and Sui (隋) on the other. It has suggested that Koguryo and Gaobaoning (高寶寧) were allies, since Gaobaoning had been in conflict with Northern Zhou and Sui. The Yisan (肄山) battle as documented in Samguk sagi (三國史記) is important evidence in support of the Koguryo and Gaobaoning alliance thesis. The Yisan battle occurred between Koguryo and Northern Zhou, and since previous studies have contended that the battle was a manifestation of hostility between Northern Zhou and Gaobaoning, scholars have thought that Koguryo fought against Northern Zhou as an ally of Gaobaoning. However, this paper finds no evidence of a large-scale military conflict between Northern Zhou and Gaobaoning in the late 570s, thus challenging the conventional wisdom regarding the Yisan battle. In the tenth month of 577 Gaobaoning began to advocate the revival of Northern Qi (北齊) and to confront Northern Zhou. Between the second month and the tenth month of that year, Gaobaoning avoided direct confrontation with Northern Zhou. Its official title was, in fact, Yingzhou Regional Commandery Office (營州刺史) of Northern Zhou. From Koguryo’s perspective, there were plausible grounds for believing that Gaobaoning was part of Northern Zhou. Gaobaoning expanded its sphere of influence by winning the support of ethnic groups, and the changing balance of power most likely threatened the stability of the western border for Koguryo. All suggest a possibility of hostility and confrontation between Koguryo and Gaobaoning over Northern Ch’i in the Liaoxi region. This paper argues that the Yisan battle was a reflection of this confrontation that existed in the late 570s. Despite the failure of the Northern Qi movement led by Gao Shaoyi (高紹義) in the late 570s, Gaobaoning continued the Northern Qi revival movement in the Liaoxi region. In 581, Gaobaoning made an alliance with the Turks’ Spara Khagan (沙鉢略可汗), and attempted to advance south together. Koguryo then was in conflict with the Turks, while the relationship with Northern Zhou and Sui was friendly. Koguryo sought to contain the Turks with Northern Zhou and Sui, while Northern Zhou and Sui similarly needed friendly Koguryo in the broader context of their conflict with the Turks. Accordingly, it is likely that Koguryo tried to control Gaobaoning in the Liaoxi area during the early 580s. However, as Sui defeated the Turks in 583, Gaobaoning began to crumble, too. Koguryo now faced Sui over the Liaoxi, and no longer was a strategic alliance likely to continue: the Liaoxi presented new potential sources for tensions.

      • KCI등재

        요서지역 전국 연문화의 전개와 그 배경 - 출토 유물을 중심으로

        배현준(Bae Hyunjoon) 동북아역사재단 2020 東北亞歷史論叢 Vol.- No.69

        요서지역 연문화는 지역별로 각기 다른 양상을 보이는데, 요서 남부, 중부, 북부지역은 연문화의 출현 시점과 전개양상에 차이가 있다. 토제예기의 경우 기형, 문양, 부장조합에서 지역 간에 연문화 계통이라는 공통점 외에는 차이점이 더컸으며 이러한 현상은 연문화가 요서지역을 전면적으로 장악하는 전국후기까지도 이어진다. 이는 각 지역별로 연산이남 연문화 집단과 개별적인 교류가 이루어졌기 때문이며, 때로는 토착세력이 연문화의 물질문화를 모방하여 직접 제작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편 전국중기부터 요서 남부와 북부로 이원화되어 집중 출토되는 청동예기는 당시 토제예기를 소유한 계층보다 상위 계층이 소유한 것으로 연산이남 연문화 세력과 직접적인 교류를 하였음을 보여준다. 그런데 전국중기는 연산이남 연문화 지역의 경우 무덤에 청동예기가 부장된 사례는 극소수에 불과하며, 전반적으로 토제예기를 부장하는 양상으로 전환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요서지역에 풍부한 청동예기를 부장한 무덤의 출현은 이 두 지역에 연나라에게 전략적으로 중요한 지위에 있는 정치체가 존재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 두 지역에서 고고학적으로 확인되는 중심지(동대장자, 철영자)의 존재 배경에는 지리적·역사적 요인이 있다. 이 중 일부 문헌 기록을 고려하면, 요서 북부지역은 동호와의 관련성을, 요서 남부지역은 고조선과의 관련성을 상정할 수 있다. 당시 중원 제후국들과 경쟁하던 연나라에게 연산이북지역의 안정화는 중요한 화두였고, 이들과 일정한 정치관계를 맺고 전략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그 결과로 이 두 지역에 풍부한 청동예기를 소유한 집단이 출현할 수 있었던 것이다. This study found that there are different cultural conditions of Yan-Culture(燕文化) in the southern, central and northern areas of Liaoxi(遼西). The appearance time and development of Yan-Culture are different in each region. In terms of pottery ritual vessel, in the shape, decoration and burial combination, the differences between regions are greater than the commonality of belonging to the Yan-Culture system. This situation continued from the early Warring States period to the late Warring States period. The reason is that different regions separately communicate with the people of Yan-Culture of the south of Yanshan(燕山) mountain, and at the same time, it cannot be excluded the possibility that the aboriginal people can imitate the Yan-Culture and make pottery ritual vessel. On the other hand, from the middle of the Warring States period, bronze ritual vessels unearthed in the South and north of Liaoxi respectively indicated that there is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local top class and the Yan-Culture group of the south of Yanshan mountain. However, at the same time, there were few tombs with bronze ritual vessels in the south of Yanshan mountain, and most of the tombs have been transformed into the tombs with pottery ritual vessels. In this situation, the appearance of tombs with a large number of bronze ritual vessels in Liaoxi means that there are a very important strategic political systems for Yan state(燕國). The appearance background of the two archaeological centers (Dongdazhangzi東大杖子, Tieyingzi鐵營子) found in the South and north of Liaoxi has historical and geographical reasons. Considering some literature records, it can be inferred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northern part of Liaoxi and the Donghu(東胡) group, and the southern part of Liaoxi is related to Gojoseon(古朝鮮) group. And because Yan state had been competing with the vassal states in the Central Plains at the time, the stability of the north of Yanshan mountain was very important to Yan state. Therefore, Yan needed to establish a brief political relationship with them. So in order to maintain this relationship, Yan state provided rich bronze ritual vessels and other precious things to them.

      • KCI등재

        연구논문 : 百濟(백제)의 遼西(요서) 영유와 "樂浪(낙랑)"

        김성한 ( Sung Han Kim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3 역사학연구 Vol.52 No.-

        百濟의 遼西 영유에 관련하여 주목되는 것은 중국 正史 등에는 遼西를 영유한 주체를 百濟라고 한 반면에 『梁職貢圖』에서는 樂浪이라 하였다. 『梁書』『通典』 등에 의하면 百濟가 遼西를 영유한 것은 ‘百濟’라는 국호를 사용하기 이전으로 보이기 때문에, 이는 百濟가 遼西와 관계를 가질 때 ‘百濟’라는 명칭으로 관계를 맺은 것이 아니라 樂浪이라는 명칭으로 관계를 맺은 것을 의미한다. 중국 史書에 의하면 百濟라는 명칭은 345년 이전에 사용되기 시작하였으나 그 상한은 불분명하다. 중국 史書에 百濟라는 명칭은 慕容□에 의해 徙民된 高句麗宇文氏段氏와 함께 언급되는데, 徙民의 사례를 살펴보면 百濟만이 그 예를 찾아볼 수 없다. 반면에 徙民의 사례에 百濟가 보이지 않는 대신 遼東大姓이 등장하는데, 이 遼東大姓이 百濟의 前身이 아닌가 생각된다. 313년을 전후한 시기에 遼東大姓 출신인 張統이 樂浪郡과 帶方郡 지역에서 高句麗에 대항하다가 流民 천여 家를 이끌고 慕容□에 귀부하자, 慕容□는 이들을 安置하기 위해 樂浪郡을 遼河 以西에 僑置하고 張統을 그 太守에 임명하였다. 樂浪郡이 僑置된 지역은 『通典』에 의하면 唐代의 柳城(오늘날의 朝陽市) 부근으로 遼河(大凌河 또는 小凌河) 以西에 위치하였다. 이 지역은 『通典』에 의하면 百濟가 遼西를 영유한 지역으로 比定한 곳이기도 하다. 遼東大姓 출신의 張統이 遼河 以西에 僑置된 樂浪郡의 太守를 지낸 사실을, 百濟의 前身이 된 遼東大姓들은 그들이 遼西를 영유한 것처럼 南朝에 전달하였던 것이다. 이것이 바로 百濟 遼西 영유설의 실체이다. The point that draws our attention regarding Baekje`s possession of Liaoxi is that the Chinese authentic history recorded Baekje as the subject that possessed Liaoxi but on the other hand, 『Yangjikgongdo』 described the subject as Lelang. According to 『Liangshu』·『Tongdian』, it means that because Baekje seemed to possess Liaoxi before it used the country name of `Baekje`, Baekje made the relationship not with the name of `Baekje` but with the name of Lelang when Baekje make the relationship with Liaoxi. Based on the Chinese history, the name of Baekje started to be used before 345 but its least upper bound is not clear. The name of Baekje based on the Chinese history was mentioned together with Koguryo·the Yuwens·the Duans forced to move by Murongwei and the case of forced movement can not be found only from Baekje. While there is no record of forced movement in Baekje, Zhangtong bred from a Liaodong`s noble family appeared and this Liaodong`s noble family is believed to be its former self of Baekje. Around 313, Zhangtong bred from a Liaodong`s noble family obeyed Murongwei with the wandering people of around 1,000 households after confronting Koguryo in the areas of Lelanggun and Daifanggun and Murongwei placed Lelanggun in the west of Liaohe and appointed Zhangtong as its governor-general in order to rule them by restricting their residence. Accoridng to 『Tongdian』, the area where Lelanggun was placed was located at the west of Liaohe (Dalinghe or Xiaolinghe) around Liucheng (present Chaoyangshi) Tang Dynasty. This area was also designated by Baekje to possess Liaoxi according to 『Tongdian』. Liaodong`s noble families that became the former self of Baekj transferred to Nanchao the fact that Zhangtong bred from a Liaodong` noble family was a governor-general of Lelanggun that was placed at the west of Liaohe as they possessed Liaoxi. This is the real fact of the Baekje`s possession of Liaox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