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5~6세기 2개의 요동(遼東) -북위(北魏)의 천하관(天下觀)과 역사왜곡이 만들어낸 고구려(高句麗)의 요동과 북위의 요동

        최진열 동북아역사재단 2018 東北亞歷史論叢 Vol.- No.62

        Although Chinese history has no record on the periods of Koguryo’s occupation of Ryodong or occupation of Ryodong at all, Ryodong had been Koguryo’s territory from the fourth or fifth century until its collapse, as can be seen in a number of Chinese historical publications, including the Historical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三國史記) and the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三國遺事). However, the History of Northern Wei(魏書) records as if Ryodong was in Northern Wei’s territory. Japanese researchers accepted this history distortion and produced maps showing Ryodong as part of Northern Wei’s territory. Such distortion of history results from attempts to give legitimacy to the Northern Wei Dynasty, whose rulers originated from the Tuoba tribe of Xianbei tribes and ruled the Northern Chinese territory, to argue that Northern Wei is the only legitimate dynasty of China and ruled the Whole China Proper through remote governance(遙領) and empty investiture(虛封) by appointing officials of prefectures and commanderies, and by investing fiefs in Koguryo and Southern Dynasties. In doing so, the Tuoba rulers were satisfied with the false recognition of being the only legitimate and unified dynasty, and Ryodong was a scapegoat of Northern Wei’s attempt to distort the outlook on the world and history. 이 논문은 학계에서 주목하지 고구려의 요동과 북위의 요동이 양립한 현상과 그 배경을 북위의 정통성과 천하관 분식이라는 시각에서 논증한 글이다. 『위서』에서는 요동·낙랑·대방·현토의 명칭이 발견된다. 특히 『위서』와 묘지명에 ‘요동’이 자주 등장하였다. 즉 요동군을 본적지로 한 인물들의 기록이 보였고, 일부는 관리를 추천하는 대중정에 임명되기도 하였다. 뿐만 아니라 『위서』에는 요동이 실토(實土)로 오인할 수 있는 기사가 있다. 고숭의 아버지 고잠은 헌문제 시기에 고구려에서 북위로 이주하여 ‘요동’에 거주했다고 한다. 헌문제 시기는 고구려 장수왕 시기였는데, 이때 요동은 북위의 땅이 아니라 고구려의 땅이었다. 따라서 고구려를 탈출한 고잠이 머무른 ‘요동’은 요수 서쪽, 특히 의무려산 서쪽 지역을 지칭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 자연스럽다. 이민족이 세운 북위는 정통왕조임을 강조하기 위해 북위 중심의 천하관과 역사관을 만들었고 외교를 통해 이를 상대방에게 강요하였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북위가 지배하지 못하는 지역을 지배하는 것처럼 분식하기 위해 동진남조의 주군현명을 차용한 자사·태수 등 지방관 임명(遙領), 작위 수여(虛封)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북위는 남방 지역을 지배하여 중국의 유일한 통일왕조라는 허위의식을 만족시킬 수 있었다. 북위의 문서에 고구려의 영토인 요동을 자신의 영토인 것처럼 표기한 것도 이러한 허위의식의 결과였다.

      • KCI등재

        戰國ㆍ秦ㆍ漢시기 遼東郡과 그 경계

        宋眞(Song Jin) 한국고대사학회 2014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76

        본고는 고대 중국 왕조와 고조선의 경계의 위치와 성격을 이해하기 위해, 전국ㆍ진ㆍ한 시기 요동군과 고조선의 관계 및 定界 형태를 검토하였다. 기본적으로 요동군에서 왕조의 국경을 구성하는 부분은 장성이 설치된 북쪽 경계와 고조선을 비롯한 주변 국가가 위치한 동쪽 경계였다. 우선 북변을 구성하는 연진한 장성의 동단은 모두 요동군에 위치하였고, 그 위치는 오늘날 遼寧省 阜新縣과 彰武縣 부근이다. 문헌에 보이는 고조선과의 定界 형태 기록은 매우 단편적이다. 연의 요동군과 고조선이 접하는 변경에는 障ㆍ塞가 설치되어 연의 국경을 이루었다. 그러나 연과 고조선의 경계는 국경선의 형태가 아니었고, 연의 障ㆍ塞와 만번한 사이에는 넓은 국경 지대가 존재하였다. 진의 요동군과 고조선이 접하는 지역은 진의 ‘外?’에 속하였다. ‘外?’는 요동군 밖에 설치된 ?로서, 고조선이 ‘外?’에 속했다는 표현은 고조선이 진의 변경 치안 관리 범위에 속했다는 의미이다. 한대 玉門關 밖 서역과의 중간 지대나, 五原塞 밖 흉노와의 중간 지대가 한 제국의 직접 지배 범위가 아니듯, 요동군 밖에 위치한 ‘外?’의 관할 범위 역시 제국의 영역에 포함되지 않았다. 전한시기 한은 옛 변새를 수보하여 요동군의 경계이자 한의 국경으로 삼았으며, 고조선의 국경은 浿水였다. 요동군의 변새와 고조선의 국경인 浿水 사이에는 明代 遼東邊墻과 압록강 사이와 같은 ‘無主地’가 존재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nd border type between Liao Dong Jun(遼東郡) during the Warring States(戰國)·Qin(秦)·Han(漢) periods and Gojoseon. The purpose is to understand the lo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border between ancient Chinese dynasties and Gojoseon. The border line of Liao Dong Jun comprised the northern boundary with the Great Wall and the eastern boundary where neighboring countries, including Gojoseon. The Eastern end of the Great Wall of Yan(燕)QinHan, which constituted the northern boundary, was also part of Liao Dong Jun and was located near today’s Fuxin(阜新) in Liaoning province(遼寧省). The border type with Gojoseon is partially recorded in the literature. A fortress and a castle of the Yan State were installed where Liao Dong Jun and Gojoseon shared a border. However, the border between Liao Dong Jun and Gojoseon was not a line, but rather a large area between the fortress and 滿番汗. During the Qin dynasty, the border between Liao Dong Jun and Gojoseon belonged to ‘Wai Jiao(外?)’, meaning that the border line was established outside of Liao Dong Jun. If Gojoseon belonged to the outside border of Liao Dong Jun, it can be interpreted that it was included in security area of Qin. During the Han Dynasty, the middle zone among the countries bordering on Western China and located outside of the Yumen Pass(玉門關) was not directly controlled by the Han Empire. Similarly, ‘Wai Jiao’ did not belong to the Han Empire. Throughout the Han Dynasty, the Han protected the fortress and the castle to create the boundary of Liao Dong Jun. This denoted the establishment of a national border. Meanwhile, Gojoseon established the border along Pei River(浿水). A buffer zone existed between the fortress in the border area of Liao Dong Jun and Pei River in Gojeseon, as during the Ming dynasty, a buffer zone was in place between defense line of Liao Dong Jun and the Yalu River.

      • KCI등재

        明 前期 遼東都司와 遼東八站占據

        南義鉉 명청사학회 2004 명청사연구 Vol.0 No.21

        以上我們簡單的討論了明前期在遼東都司和遼東八站發生的狀況. 明太祖時期時準備着以遼東都司爲中心的定遼中衛, 定遼左衛, 定遼右衛, 定遼前衛, 定遼後衛等25衛體制, 占據遼東和擴展出去的時期. 特別是從連山關達到鴨綠江的遼東八站地域使遼東都司的影響力無法到達那里, 因爲當時的不安的遼東情勢, 地理的險峻, 人口的不足等. 當時的明的軍事力只有集中起來才能防御北元的勢力. 朝鮮開國以後 明的遼東統制政策仍然沒有變化. 明從明初期開始一邊在其主導下 解決着女眞人送還, 女眞招撫的問題和北元問題, 一邊展開以軍事來統制遼東八站的遼東政策. 1409年(永樂 7)遼東區域逐漸安定, 朝鮮可以通過遼東八站區域去明朝, 然而遼東八站區域由于女眞招撫的問題正在向能구引起外交摩擦的區域演變, 明朝爲了通過女眞招撫統制遼東, 只有關心遼東八站區域. 永樂帝卽位後, 認爲明的女眞招撫政策能구比朝鮮占領着優位. 到1409年, 在女眞區域設置了130餘個的女眞衛所, 衛所在1413年一共是180餘個, 正統時期到達了360餘個. 通過타們, 明初期 明認爲把女眞區域編入衛所體制可以成功, 通過明的衛所政策, 女眞勢力在永樂帝以後與朝鮮的友好關係破裂, 逐漸被明懷柔, 不僅威脅了朝鮮的遼東八站區域. 由于這樣的威脅, 朝鮮數次要求使行路變更. 但是, 明把以保護朝鮮使臣的適當的名義要在具有天然要塞的開州修筑城堡這個最終結論通報給了朝鮮. 明朝遼東八站占領可以算是從明初期開始連續進行的明代遼東政策的結果, 隨卽就可以理解通過遼東都司 奴 干都司 衛所的設置和持續的女眞招撫所得的遼東政策的結果. 明通過先占領遼東八站區域的要衝地開州, 在遼東八站的軍事要衝地被占領的同時, 使其編入明的衛所. 還有明中期在鴨綠江的其他地區開始建立城堡, 這區域的防御女眞的措施也特別輕松的完成了. 但是, 在這樣遼東防御體系統制下, 遼東邊疆還經常處于危機之中. 其原因是 第一, 墩臺等軍事防御施設隨建隨撤, 幷沒有長久保存, 第二, 分散的軍事力與軍隊的機動能力不足, 第三, 屯田經營的破壞. 屯田破壞的原因是흔多, 但是, 歷來硏究者比較主義者是邊疆危機所造成邊外土地的放置, 各級軍官官員和宦官對土地的占有, 屯田軍事的逃亡和私役, 明代邊方統治思想和紀綱的松弛 屬于衛所所有的土地公有等, 這都是有道理的. 還有朝鮮同明的國境更加接近了, 國防上的新的危機意識也出現了. 義州一帶等鴨綠江流域的關防措施, 設置, 再整備的效用也出現了. 由于這樣的原因, 十五世紀世紀義州和鴨綠江一帶的邑城和長成等的修筑雖然也是爲了防御女眞, 同時也是爲了防御明朝.

      • 명(明)의 만주지역 영토인식에 관한 연구

        남의현 간도학회 2019 간도학보 Vol.2 No.1

        본 연구는 명대 조선과 명의 국경선을 연구한 논문이다. 일반적으로 명대 조선과의 국경선을 압록강과 두만강으로 설정하고 있다. 1480년대 이전은 압록강에서 180여 리 지점인 연산관, 이후는 100여 리 지점인 봉황성이 되어야 한다. 이것은 압록강~연산관(1480년대 이전), 압록강~봉황성(1480년대 이후~청대)이 국경지대가 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 의미에서 압록강을 국경선으로 그린 지도는 재고되어야 한다. 압록강이 조선과 명의 국경선이 될 수 없음은 명대 요동변장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명나라는 1368년 건국 후 요동에서 몽골을 축출하면서 군정기관 요동도사를 설치하였다. 명나라는 요동도사를 방어하기 위해 25개의 衛를 설치하고 이를 지키기 위해 요동변장을 수축하였다. 요동변장은 요서의 산해관과 요동 북부의 개원을 연결하면서 동쪽 압록강 방면으로 향한다. 하지만 압록강으로 연결되지 않고 있다. 또한 명대 길림과 흑룡강 지역에 분포하던 여진부락 역시 명의 판도가 될 수 없다. 두만강 유역은 명의 행정구역에 편입되지 않았으며 명이 형식적으로 여진부락을 여진위소로 편입했을 뿐이다. 흑룡강 하류 유역에 설치한 노아간도사 역시 요동도사와는 달리 상설기구가 아니라 임시초무기구이며 명 전기에 이미 요도동사 흡수되어 그 기능을 상실하였다. 흑룡강 유역 역시 명이 ‘版圖外’ 지역이었다. This study aims at the Liaodong border area in Ming Dynasty. As discussed, the Liaodongbazhan(遼東八站) located between Choseon and Ming experienced a lot of change. In the early days of the Ming dynasty, Ming applied the drastic measure of shutting off Liaodong to secure a path for moving into Liaodong and discontinuing the alliance of North-Yuan(北元) and Korea. The background for Ming shutting of the area as such was that they had no specialized army to protect the Liaodongbazhan area. Alliance with Mongolia was attempted over 5 times in the Yong-le(永樂) period, and approximately 180 wei-suo(衛所) were installed in the Jurchen area. However, in spite of this expansion of wei-suo(衛所) during the Yong-le period, Ming failed in including the Jurchen and Liaodongbazhan area into their territory. Afterwards, Ming attempted to implement a strategy consisting of military occupation of the Liaodongbazhan area between Liaodongdusi and the Yalu River and reinforcing this area with forts etc., to build a strong defensive front around Liaodongdusi. As a part of this strategy, they rebuilt forts in various locations in the Liaodongbazhan including the Fenghuang mountains(鳳凰山) which was not far from the Yalu River. Through this strategy Ming came to take over the Liaodongbazhan area from Liaoyang(遼陽) to Fenghuangcheng(鳳凰城). The border transgression problem between Choseon and Ming could not be fundamentally solved. An important reason for this was that Ming did not regulate the problem of border transgression in the Liaodongbazhan region strongly. This situation in which the Liaodongbazhan region was not under the control of Ming after Youngle's death(1403~1424) as no more active foreign policy was available, they changed their strategy to defend Liaodong based on Liaodongdusi which was leading to founding a solid Liaodong Defense Line in middle and late Ming dynasty. Soon, Liaodongdusi became a military organization in the Far eastern area to defend Liaodong in the beginning of the 15th century. Although there was some time to seek expansion like Young-le's regime, they had a defensive role in general in the relation with Northern territory tribes. Along with this background, Liaodong Defense Line was cut back and they began to establish an outpost at Amnok river. Nuergandusi(奴兒干都司) was established in the form of dusi(都司) but it could not maintain it's form with stability all the time during Ming dynasty. It was set up by Yong-le emperor(永樂帝) during his term of office in order to stablize the rear region through Meng-gu subjugation and subjugate or appease Jurchen that settled around Song-hua and Hei-long river. But Nuergandusi failed to enlarge the function and control over Jurchen after Yong-le. It was impossible for Nuergandusi to govern the Administration and the administration of Justice in all the regions except the extent of jurisdiction of Liaodongdusi(遼東都司, Rigional Military Command), because it was set up on the extreme outskirt in Liadong. Rather it is reasonable that Nuergandusi managed the officials of Jurchen Wei-suo(衛所) around Song-hua(松花) and Hei-long river(黑龍江). The important duty of Nuergandusi is to guide and protect a envoy who was sent to Jianzhou Jurchens(建州女眞)or deliver a document. We can judge these facts from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of Nuergandusi. There are no traces that many troops stayed there, rather about two hundreds of soldiers who were dispatched from Liadong treated most of military affairs. In other words, there are no independent administrative organization and the administration of justice in Nuergandusi, and it's function had the power of influence during Yong-le's period, when foreign activity was flourishing. Reaching Xuan-de's(宣德) period, the control power over Jurchen became weak and also there was no more restraining influence and control power over Meng-gu. Yong-le emperor tried to subjugate Meng-gu and gave them a blow. But he could not extinguish them. Both the growth of Jurchen and the advance of Meng-gu in Nuergandusi region made Nuegandusi difficult to peform the function more. Ming's frontier policy was changed from positive subjugation to negative defence. As a result, Ming dynasty could not restore Nuergandusi any more.

      • 高句麗 廣開土王의 遼東確保에 관한 新考察

        姜在光(Kang Jae-Gwang)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09 한국고대사탐구 Vol.2 No.-

        廣開土王은 수 세기에 걸쳐 遼東確保를 염원해왔던 고구려인의 宿望을 실현시킨 군주였다. 요동 영토는 고구려의 전통적인 西進政策에 따라 오랜 세월에 거쳐 점진적으로 확보되어 오다가 廣開土王代에 이르러 완전히 고구려의 領地가 되었다. 광개토왕의 부친 故國壞王은 385년 6월 遼東群ㆍ玄?郡을 기습 공격하여 이후 고구려가 力城ㆍ北豊 등 요동군의 일부 영역을 점유할 수 있었다. 고국양왕의 뒤를 이은 광개토왕은 396년 당시 최대의 宿敵이었던 백제에 대한 대규모 親征이 필요했으므로 後燕王 慕容寶의 冊封을 수력하여 후연과 平和關係를 유지했다. 그러나 광개토왕의 후연에 대한 朝貢은 모용보를 이은 慕容盛 집권기에서야 뒤늦게 이뤄졌다. 그것은 광개토왕이 후연의 내부정세를 정탐하고 400년 新羅救援戰爭으로 인한 요동방어선의 약화를 염려하여 후연과의 전쟁을 방지하기 위한 정치 군사적 목적에 起因하였다. 이러한 형식적ㆍ일회적 ‘朝貢冊封關係’는 결국 400년에 파국을 맞이했다. 같은 해 2월 후연왕 모용성은 고구려왕의 예의가 오만하다는 것을 명분으로 하고, 실제로는 고구려가 신라구원전쟁을 수행하고 있던 틈을 타 고구려를 침공하였다. 이 전쟁에서 고구려는 新城과 南蘇城이 함락되는 등 일시 수세에 몰렸다. 그러나 후연의 自中之亂을 활용하여 401년경 요동 전역을 차지한 광개토왕은 후연에 대한 반격전에 돌입하였다. 그리하여 402년에는 후연의 수도 龍城에서 가까운 宿軍城을 함락시켰고, 404년에는 大俊河 하류의 燕郡까지 공략하였다. 아울러 405~406년에 걸쳐 후연왕 慕容熙의 遼東城ㆍ木底城 침공을 효과적으로 격퇴함으로써 후연에 대해 군사적 우위를 점할 수 있었다. 최종적으로 광개토왕은 407년 초엽 遼西로 총퇴각하는 후연군을 괴멸하기 위한 전과확대 전쟁이 시급하였다. 그러한 내용은 「廣開土王碑文」 丁未年條의 ‘還破’ 앞부분에 해당하는 것으로 해석해 보았다. 반면 정미년조의 ‘환파’ 뒷부분은 백제의 6城을 攻破한 것임이 거의 확실하였다. 요컨대 407년 후연군에 대한 섬멸전은 광개토왕의 위대한 정복사업들 가운데 하나였으며 후연에서 北燕으로의 정권 교체를 유발케 하였다. 그러므로 정미년조는 고구려가 東北亞의 覇者로 등극하는 순간을 特記했다는 역사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었다. Gwanggaeto the Great(廣開土大王) was the lord that came true the dream of Koguryo(高句麗) people who had desired to secure Yodong(遼東) province during several centuries. Yodong province became a part of Koguryo territory in the rule of Gwanggaeto the Great. The father, King Gokukyang(故國壤王) made an assault on Yodonggun(遼東郡)ㆍHyuntogun(玄?郡) in 385. Owing to this successful military operation, Koguryo could take possession of Lyukseong(力城)ㆍBukpoong(北豊) which had existed as a main part of Yodonggun. Gwanggaeto the Great who succeeded to the throne, needed to go on an expedition in person against Baekje(百濟) in 396. Therefore, he accepted the installation of King Moyongbo(慕容寶) who ascended to the throne of Huyeon(後燕), for maintaining peace relations with Huyeon. But the tribute to Huyeon was accomplished belatedly in the rule of King Moyongseong(慕容盛) who was a child born of a concubine of King Moyongbo. The tribute to Huyeon was caused by following two objects. First, Gwanggaeto the Great wanted for Koguryo envoys to scout internal circumstances of Huyeon Court. Second, he longed for continuing peace relations with Huyeon, because his grand army went southward to relieve Silla(新羅) dynasty from invasion of foreign forces. Between Koguryo and Huyeon, the installation-tribute relationship that seemed to be formal and unrealistic, was abrogated finally in 400. On February the same year, King Moyongseong plundered Koguryo in the name of Gwanggaeto the Great's rudeness. Actually his invasion made good use of the time that Koguryo grand army went southward to relieve Silla. In the war, Koguryo was put on the defensive for a time, losing Sinseong(新城) and Namsoseong(南蘇城). But after a while Gwanggaeto the Great easily could occupy the whole area of Yodong province in 401, because of utilizing internal strifes of Huyeon dynasty. He broke into war of revenge against Huyeon immediately. Koguryo army took a fortress, Sukgunseong(宿軍城) which was near by Huyeon's capital, Yongseong(龍城) in 402. Further more, they boldly attacked Yeongun(燕郡) which was located on the lower Daerungha(大凌河) in 404. In addition to this, Gwanggaeto the Great kept all out attack of King Moyonghee(慕容熙) in check at Yodongseong(遼東城) and Mokjurseong(大底城) during 405~406. As a result of triumph, Koguryo could hold military superiority over Huyeon. At the last, Gwanggaeto the Great was urgent to extend military results against Huyeon army that having been made a general retreat into Yoseo(遼西) in 407. The preceding part in front of 'Hwanpa(還破)' in the Jeongminyeon(丁未年) article of Gwanggaeto the Great's inscription(廣開土大王碑文) is considered of containing this content. In short, the exterminatory war against Huyeon in 407 was a outstanding achievement of Gwanggaeto the Great. And the influence of the exterminatory war had replaced Huyeon dynasty with Bukyeon(北燕). Hence, the Jeongminyeon(丁未年) article connoted the historical meaning that it made special mention of the rise of Koguryo dynasty as a supreme ruler in the Northern Asia.

      • KCI등재

        고구려 중기 對 遼東관계와 요동지역 壁畵墳 전통의 단절에 관한 試論

        조우연(趙宇然) 고구려발해학회 2012 고구려발해연구 Vol.44 No.-

        고구려 중기 대외 확장사 연구에서 한반도 중·남부 진출과 더불어 遼東 확보가 집중 조명돼왔다. 요동은 이른 시기부터 동북지역의 중심지로서, 오랜 기간에 걸쳐 벽화분 축조 전통이 존재했음에도, 고구려가 지배한 260년에 걸쳐 단절되어 나타난다. 이 글에서는 그러한 현상에 주목해, 시론차원에서 해석해보았다. 고구려에서는 초기부터 지속적으로 요동지역을 약탈 대상으로 삼아오다가, 5세기 초, 강력해진 국력을 바탕으로, 요동 정치세력의 공백상태를 이용해 영역으로 확보하기에 이른다. 그리고 북연 주민과 같은 중국 유이민 집단을 안치시켜 경제활동에 종사하게 함으로써 일종의 경제수취 기반으로 이용했다. 또 후기에 이르러서는 요동에 山城과 같은 대량의 방어체계를 구축함으로써 대 隋·唐 투쟁의 전초기지로 조성하였다. 요동지역에서는 장기간에 걸쳐 벽화분 축조 전통이 이어지다가, 3~4세기 빈번한 전란으로 인해 인구가 주변지역으로 이주하면서 벽화분 문화가 遼西와 고구려로 전파되고, 정작 요동에서는 멸절된다. 고구려에서는 정치적 목적으로 벽화분 문화를 수용하여 평양지역을 중심으로 벽화분 묘제를 형성하기 시작하며, 서쪽으로 집안지역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하지만 고구려에서는 요동지역을 단지 경제 혹은 군사기반으로 활용하다 보니 벽화문화 역수출이 이루어지지 않았던 것 같다. 그 주된 원인은 요동 지방세력 형성을 방지하기 위한 지배방식과 갈라놓을 수 없다. 결국 요동지역에 벽화분을 축조할 만한 지방 정치세력이 등장하지 못하면서, 벽화분 전통이 지속적으로 단절되었던 것이다.

      • KCI등재

        조선 전기 요동에서 사행(使行) 호송군(護送軍)의 역할과 국제무역의 경계

        구도영(Koo Doyoung) 동북아역사재단 2017 東北亞歷史論叢 Vol.- No.58

        본 연구는 조선 전기 조선 의주와 요동의 요양을 오간 조선 호송군에 주목하여, 호송군의 활동을 파악하고 그간 상대적으로 소홀했던 조선 전기 변경사 연구의 지평을 확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조선 전기 조명외교에서 호송군이란 명(明)의 북경(北京)으로 떠나는 조선사행단을 의주에서 요양까지 보호하기 위해 파견된 군부대를 일컫는다. 15세기 의주에서 연산관에 이르렀던 요동 지역 일대는 명의 영토가 아니라 조선과 명사이의 국경 완충지대로 존재하였으므로 도적의 습격에서 조선 사행단을 보호할 군인이 반드시 필요하였던 것이다. 호송군은 조선 대명 사행단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필수인력이었으며, 동원된 규모 역시 상당하였다. 호송군은 평안도민에서 선발하였다. 하나의 사행마다 호송군을 50~100여 명 정도만 동원해야 했지만, 실제로 많게는 1,000여명까지 동원하는 등 호송군 수는 북방 성식의 상황과 사신의 품계에 따라 가변적이었다. 동원 기간을 살펴보면, 하나의 사행단을 호송하기 위하여 평균적으로 대략 2개월 남짓한 시간이 소요되었으므로 15세기에는 호송군 인력을 거의 일 년 내내 동원해야 했다. 시기를 가리지 않은 호송군 동원은 백성들의 경제적 손실을 가져왔고, 이는 해당지역 백성의 동요로 이어질 수 있었다. 조선 조정은 농번기를 가리지 않고 동원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호송군의 경제적 피해를 보상해주고자 이들에게 요동에서의 국제무역을 허가하였다. 명과의 사무역을 강력히 통제하였던 조선 조정의 대외무역 정책을 참고하면 이는 매우 이례적인 조치였다. 조선 전기 요동에서 사무역으로 경제적 이익 획득이 가능하다고 합법적으로 고시된 자들은 호송군이 유일하였다. 호송군은 중앙 권력에 접근하지 않아도 요동에서 국제무역의 가능성이 부여된 유일한 조선 백성이었던 것이다. 이는 조선 조정이 명과의 무역을 엄금하는 국가 기조 속에서도 대명외교와 국방을 맡고 있는 평안도민의 안정을 중시하였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요동에서 중국인과 합법적으로 무역할 수 있었던 경험의 오래된 축적은 호송군이 조선의 백성들 가운데 누구보다 국제무역에 익숙하게 하였을 것이다. 또한 호송군은 요동 지역을 수시로 왕래하며 요동의 지리와 생활환경 등에 대해 누구보다 많은 정보를 획득하고 경험했으며, 달적의 습격에 대한 대처 역시 누구보다 능숙해졌다. 호송군 임무로 요동의 정보와 지리에 익숙해진 이들은 15세기말 조선과 요동 지역의 유통경제 발달과 명의 요동팔참 장악 확대로 거주의 안정성이 확보되자, 요동으로의 이주와 불법무역을 추동하는 세력이 되었다. 의주인이 요동에서의 불법무역을 기회로 포착할 수 있었던 것은 호송군으로서 요동무역을 경험하고, 외국인 명에 대한 정보력을 축적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호송군 중 일부는 그들이 가진 요동 정보를 이용하여 더 나은 삶을 꿈꾸었다. 그것이 요동으로 이주를 선택하게 하거나, 조선과 명 모두가 국초부터 절대불가의 영역으로 지정하였던 불법무역의 금단을 허물게 하였으며, 16세기 조선의 국제무역을 성장시킨 하나의 물꼬가 되었다. 조선 전기 중앙과 중앙이라는 테두리를 넘어 변경인으로서 조선 사회의 또 다른 변화를 재생한 주체가 요동의 왕래자 호송군이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할 것이다. The escort soldiers in diplomacy between the Ming Dynasty and the Joseon Dynasty were sent to protect the Joseon government envoys traveling to Beijing from Uiju to Liaoyang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These soldiers were required for securing the safety of the Joseon Dynasty envoys traveling to Ming, and the scale of an embassy was large. The soldiers were recruited from residents in Pyeongan Province. As many as from fifty to 100 soldiers had to be mobilized for each envoy. However, in actuality, more than 1,000 soldiers were mobilized, and that number differ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in the northern areas. In addition, it typically took more than two months to escort the embassy to Beijing. Soldiers were mobilized regardless of the busy farming season. The Joseon government permitted trade in the Liaoyang area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economic damage caused by the soldiers. Considering that the Joseon government’s policy toward foreign trade strongly controlled private trade with Ming, these were exceptional measures. These soldiers were the only Joseon people authorized to engage in international trade in the Liaodong area despite their not having approached the central government. The consistent accumulation of experience through which they could legally trade with Chinese in Liaodong led these soldiers to become more accustomed to international trade than any other Joseon people. Furthermore, the soldiers frequently visited the Liaodong area and obtained more information, such as the geography and the life environment in Liaodong, than other Koreans, which made them skilled in coping with attacks by bandits. Some soldiers who became acquainted with information and geography in the Liaodong area sought a better life by utilizing their own knowledge of the region. They chose to emigrate to Liaodong or broke the prohibition against illegal trade with the Ming Dynasty that had been enforced from the beginning of the Joseon period. They opened the gate for developing Joseon’s international trade in the sixteenth century. Thus it should be noted that subjects who made changes as marginal people included these soldiers who visited Liaodong.

      • KCI등재후보

        지리학과 역사학의 융합으로 본 요동성의 위치 - 고대요동, 요수, 요동 성의 위치에 대하여 -

        박종민 바른역사학술원 2021 역사와융합 Vol.- No.8

        6세기 말과 7세기 초에 동아시아에서 대전쟁이 있었다. 그 전쟁은 고구려와수나라 사이의 전쟁이다. 고·수전쟁은 다물정신으로 고조선의 고토회복을 한고구려와 위진남북조시대를 끝내고 중원을 통일한 수나라 간의 대 전쟁이였다. 당시에 수나라는 2백만 명의 병력으로 침공하였으나 고구려가 그들을 물리쳤다. 전쟁에서 패한 수나라 2대 황제 수양제는 고구려와의 무리한 전쟁을 계속하여내부에서 반란이 일어나 나라가 망하였다. 이 대전쟁의 전투지 중 요동성과 요수가 있다. 고구려는 필사적으로 싸워 요동성과 요수에서 승리하였다. 그렇다면고·수전쟁은 역사적으로 중요한 사건임이 틀림없다. 또한 이 사건이 일어난 공간을 밝히는 것은 중요하다. 이 사건이 일어난 공간을 밝히려면 전쟁 당시의 지명들에 주목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고·수전쟁 당시에 고구려가 수나라에 맞서서 많은 사상자를 낸 곳인 요수와 요동성에 대해서 주목하였고, 현재 남북학계와 중국학계에서 비정한 요수는 요하이고, 요동성은 요녕성 요양시로 보고 있다. 이는 요동군을 만주로 보고 요동군의 속현인 요양현을 요양시로 본 것이다. 현재 남한, 북한 그리고 중국의 역사학자들은 고·수전쟁 당시 요동성을 만주지역의 요녕성 요양시로 보고 있으며, 요수를 요하로 보고 있다. 이는 고대요동을현재의 요동으로 보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고대요동은 갈석산으로 보면 지금의 요서지역, 하북성 동쪽에 있음을 알 수 있으며, , 또한 요수는 요수의 흐름을알려주는 사료를 통해서 지리적인 관점에서 지금의 난하로 비정하였다. 이에 따라서 요동성의 위치를 알려주는 사료와 부합하는지 알아보았고, 이것은 지리학과 역사학의 융합을 통해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여말선초 정도전의 建州女眞 인식과 요동정벌계획

        서민정(Seo, Min-Jeong) 효원사학회 2019 역사와 세계 Vol.- No.55

        본 논문은 정도전의 요동정벌계획이 고구려 故土 수복을 위한 理想이 내재된 북진정책이라는 시각에서 벗어나, 요동지역에 위치한 주변세력의 동향과 연관시켜 세운 것으로 판단하고 기존과는 다른 입장에서 살펴보았다. 14세기 후반 동아시아 정세변화 속에서 요동지역은 고려(조선)와 명에게 있어 동아시아 패권을 결정하는 중요한 사안 중 하나였다. 특히 양국은 요동 지역의 建州女眞세력을 통제·포섭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들에 대한 통제가 실질적으로 요동의 주도권 확보 및 변방 안정시키는데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당시 명은 고려든 조선이든 간에 요동지역의 북방민족과 결속해서 자신의 요동지배권에 방해가 되면 가감하게 고압정책을 실시했다. 물론 동북면지역의 여진부족 대부분은 고려 말부터 이미 이성계 휘하에 내속되어 있는 상황이었다. 명 태조는 요동지역의 건주여진세력마저 조선지배에 들어가게 되면 요동경략이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지배권도 빼앗기게 될 것 같아 두려웠다. 따라서 그는 요동정벌계획을 세운 정도전을 제거하려고 표전문제를 빌미로 고압정책을 지속적으로 내세웠다. 정도전은 역성혁명을 통해 새 왕조국가를 세우면서 영토를 보존하고 변경 안정을 해결하기 위해 요동정벌계획을 생각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물론 그는 정통성을 중시하는 성리학자로서 명과의 사대관계를 유지하고자 했다. 하지만 그는 명의 무리한 요구를 무조건 들어주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보았다. 그는 명이 더 이상 고압적인 태도를 취하지 못하도록 요동에 대한 지배권을 차지해야 한다고 결론을 내리고 요동정벌계획을 세운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정도전의 요동정벌계획을 고구려 故土 수복을 위한 원대한 꿈으로 보기에는 현실성이 떨어진다. 실질적으로 그는 조선안위와 변경안정을 위해서 요동정벌을 택한 것이라고 본다. 또한 위협 세력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건주여진 세력통제에 대한 현실적인 해결책으로 계획을 세웠다고 생각한다. 정도전은 지정학적으로 교두보 역할을 하고 있었던 요동지역을 수복함과 동시에 건주여진을 중심으로 그들 세력의 규합을 미리 통제하고자 했다. 또한 그들을 이용해 명의 고압적인 외교정책에 따라 더 이상 조선 입지가 약해지지 않도록 요동정벌계획을 세워 실현하고자 했던 것이다. 따라서 정도전이 막연하게 조선이 중원의 주인공이 되려는 것이 아니라 조선의 안정과 부국강병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정책으로 개국 전부터 이미 계획을 구상한 것이라고 판단된다. 그는 조선에 위험요소가 될 수도 있는 건주여진의 성장을 사전에 막기 위해서 요동정벌이라는 해결책을 제시하고 실현해서 국가의 기반을 튼튼히 유지하고자 하는 입장이었을 것이다. 정도전의 요동정벌계획은 실현되지 못하고 구상으로 끝나버렸다. 그러나 그는 여말선초 국제정세를 정확히 파악하고 체계적으로 해결책을 강구하려고 노력한 실용주의자인 유학자이면서 정치가임에 틀림없다. 따라서 그가 내세운 요동정벌계획은 이제 막 개창한 조선의 국가기반을 튼튼하게 유지하여 ‘조선의 위상을 강화’시키고, ‘위민을 표방한 부국강병’의 일환으로 이후의 정책에도 영향을 미친 실천적 대안이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 연구를 통해 정도전의 요동정벌계획이 북진정책이었다는 기존의 해석에서 벗어나 주변세력과의 관계를 살피고 중요성을 인식한 계획이었다는 또 다른 관점을 제공하게 되었다고 본다. This thesis examined Jeong Do-Jeon(鄭道傳)"s Liaodong Conquest Plan in the viewpoint different from the existing one, by judging it as the plan established in the relation with the trend of surrounding powers located in Liaodong area, instead of the policy of northward advancement for recapturing the native land of Goguryeo. Under the changed situation of East Asia in the late 14th century, Liaodong area was one of the important matters deciding the supremacy of East Asia for Goryeo (Joseon) and Ming. Especially, both countries perceived that controlling/winning over the Jianzhou Jurchens(建州女眞) of Liaodong area would be very important because the control of them was connected to the actual securement of leadership in Liaodong and also to the stabilization of the frontier. The Ming Dynasty of the time resolutely implemented the high-handed policy by uniting with northern races of Liaodong area if anyone obstructed their control over Liaodong, regardless of Goryeo or Joseon. Of course, most of the Jerchen tribes in the north-east area were already under the command of Lee Seong-Gye(李成桂) from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Therefore, the first king of the Ming Dynasty was afraid of Joseon"s domination over Jianzhou Jurchens of Liaodong area as it would be tough for them to govern Liaodong and the control over it could be taken by Joseon. Thus, in order to remove Jeong Do-Jeon who originally set the Liaodong Conquest Plan, he continued the absurd high-handed policy with an excuse of royal family"s letter to the emperor. Jeong Do-Jeon might conceive the Liaodong Conquest Plan in order to solve the instable frontier problem when founding the new dynasty through a dynastic revolution. Of course, as a Neo-Confucian scholar emphasizing the legitimacy, he aimed to maintain the toadying relationship with the Ming Dynasty. However, he thought that it would be difficult to accept all the impractical demands of the Ming Dynasty. He probably set the Liaodong Conquest Plan after concluding that the control over Liaodong should be taken, so that the Ming Dynasty could not maintain the high-handed attitude. Here, the Liaodong Conquest in his plan was not the policy of northward advancement for recapturing the native land of Goguryeo. He might choose the Liaodong Conquest for correcting the instable frontier problem and the national security. Thus, he established the plan as a solution of Jianzhou Jurchens that could grow into a threatening force. On top of recapturing Liaodong area geopolitically playing the role of bridgehead, Jeong Do-Jeon aimed to control the unity of these forces focusing on Jianzhou Jurchens in advance. Also, he used them for the realization of Liaodong Conquest Plan, so that the position of Joseon would not be weakened any more by the high-handed diplomatic policy of the Ming Dynasty. Therefore, Jeong Do-Jeon probably conceived the plan as an essential policy for the stability, national prosperity, and military power of Joseon instead of vaguely becoming the hero in the central districts, even before founding the country. And, in order to prevent the growth of Jianzhou Jurchens that could become a risk factor to Joseon, he probably aimed to solidly maintain the basis of the country by suggesting/realizing the insight of Liaodong Conquest. Jeong Do-Jeon"s Liaodong Conquest Plan was not realized. However, he was certainly a pragmatistic Confucian and politician who tried hard to systematically seek for the solution by accurately understanding the international situation in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and the early Joseon Dynasty. Thus, his Liaodong Conquest Plan would be the practical insight having influences on the policies afterwards, as a part of the "reinforcement of the status of Joseon" and the "national prosperity and military power for the people", by solidly maintaining the basis of the Joseon Dynasty that was just founded. And this study provided another viewpoint that Jeong Do-Jeon"s Liaodong Conquest

      • KCI등재후보

        魏毌丘儉紀功碑와 관련하여

        김영주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0 한국학논총 Vol.34 No.-

        관구검기공비는 『三國史記』 「高句麗本紀」 동천왕 20년 秋8月條(246년-신라 조분왕 17년․백제 고이왕 13․魏 齊王 7년)에 기록된 魏將 관구검의 침공과 관련된 유물이다. 질 좋은 철의 산지이자 전략적 요충지인 요동은 고구려에게 매우 중요한 지역이었다. 태조왕 이래로 꾸준히 추진되던 고구려의 요동경략은 후한 이후의 혼란을 틈타 요동을 근거지로 삼은 공손씨에 의해 어려움에 처하게 되었다. 공손씨의 존재가 自國의 이익에 큰 위협이 된다고 인식한 고구려는 동천왕 8년(234) 위에서 먼저 사신을 보내온 것을 계기로 위와 우호관계를 맺었다. 고구려는 요동공략에 장애가 되는 공손씨를 견제하고 결국은 제거하기 위하여 위와 오, 양국과 동시에 관계를 유지하였으나 현실적으로 위가 더 필요했으므로 魏와의 외교에 중점을 두게 된 것이다. 공손씨가 점차 영향력을 넓혀가게 되자 당시 중국대륙의 ‘삼국시대’라는 복잡한 상황과 맞물려 점차 요동은 중국영향권에서 이탈해가는 모습을 보이게 되었다. 공손씨가 위와 오 사이에서 그 대립을 이용하여 외교전을 펼치게 되자 오, 촉과 대결상태였던 위는 후방인 요동 공손씨 정권에 대해 유화책을 취하였고 공손씨도 위나라쪽으로 기울게 되었으나 위의 정책은 일시적인 것이었다. 공손씨를 그대로 두고서는 요동이 안정될 수 없고 그렇게 되면 당장 국익에 손해가 된다는 점에 있어서 고구려는 삼국 중 魏와 이해관계가 일치하였던 것이다. 이후 魏가 공손연을 공격하여 요동에 三代 50여 년 동안 자리잡고 배후에서 위를 위협해온 공손씨 문제를 마무리지을 때 고구려는 군사를 보내 돕기까지 하였다. 동천왕이 위와 우호관계를 맺고 원군까지 보냈던 것은 복잡한 상황을 극복하고 고구려가 요동을 공략하기위한 기반을 만들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위에게도 요동은 배후안정과 삼국전쟁에서 우위를 점하여 전쟁에 전념하기위해 양보할 수 없는 지역이었다. 결국 고구려와 위의 연대역시 일시적일 뿐이었던 것이다. 그리고 위는 요동의 지리와 사정에 익숙한 유주자사 관구검을 보내어 고구려를 대대적으로 침공하였다. 관구검의 고구려 공격은 단순히 요동으로부터 고구려를 배제하기 위한 것만은 아니었으며 중국을 통일하고 천하를 장악하려는 魏의 대외정책 중 하나였다. 그것이 요동을 공략하면서 적극적 대외정책을 펼쳐나가던 고구려와 충돌하게 된 것이다. 위의 침공이 고구려에게 준 충격은 컸으나 곧 중원에서 魏․晋의 왕조교체가 일어나고 위의 뒤를 이은 진도 오래가지 못한 채 환란에 휘말리면서 중국세력은 요동과 한반도에 집중할 수 없었다. 이러한 대외적 여건도 고구려가 빠른 시간 내에 국력을 회복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이후에도 고구려는 끊임없이 요동을 공략하였고 미천왕이후. 고국원왕시기의 시련을 딛고 요동을 차지하게 되었다. 결국 관구검의 침공은 배후를 튼튼히 하여 삼국 간 항쟁에서 주도권을 잡고 중국중심의 세계질서를 되찾고자 하는 위의 대외정책과 전략적 요충지였던 요동을 차지하여 국가의 발전을 도모하고자 한 고구려의 대외정책, 양국 간 대외정책의 충돌이었던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