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습자 요구조사와 만족도 조사를 통한 한국어 중급 교재 개발 연구: 국민 한국어 4를 중심으로

        노미연(Noh, Mi-Yeon) 동악어문학회 2021 동악어문학 Vol.83 No.-

        본 연구는 한국어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중급 교재 개발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교재에 대한 학습자의 요구를 조사하여 분석하고, 교재 사용 후 학습자의 만족도를 조사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교재 개발 과정에서 학습자의 요구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교재 개발에 반영하면 교육적인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교육적 효과를 최대화하고자 한국어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학습자의 학습 목적, 학습하고자 하는 주제, ‘문법, 어휘,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의 중요도 인식과 학습 시 어려운 부분, 선호 학습 내용과 선호 연습 유형, 듣기․읽기․쓰기 후 활동의 선호유형을 조사하였다. 요구조사 결과, 학습자들은 다양한 주제를 다루는 말하기 중심으로 구성된 교재를 요구하였으며, 어휘와 말하기를 중요시하여 담화 맥락 안에서 구어 산출에 초점을 둔 교재를 원하고 있었다. 또한 구어와 문어, 이해 영역과 표현 영역에서 선호 부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구어 영역에서는 실용 중심의 내용, 문어 영역에서는 학문 중심의 내용이 다루어지는 것을 선호하였다. 그 다음으로 말하기와 쓰기와 같은 표현 영역에서는 대화나 문어 담화의 구조에 대한 지식 부족이 학습에 방해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대화 구조의 학습이 필요하고, 듣기와 읽기와 같은 이해 영역에서는 어휘 부족이 학습에 방해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어휘에 대한 선행 학습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하여 교재를 개발하였고, 교재 사용 후 학습자에게 교재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만족도 결과 학습자들은 대체적으로 교재에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analyze learners" needs to build basic data in developing a Korean language textbook for intermediate level students, and to evaluate their satisfaction after using the textbook. Analyzing student"s needs and reflecting them on developing the textbook could help meet the students" needs and enhance educational efficiency. To reflect their demand and maximize the educational effects, it conducted a survey on the needs targeting intermediate Korean language student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students appear to like to have a textbook focusing on speaking that covers various topics, put more stress on lexicon and speaking, and prefer the textbook emphasizing colloquial language found and spoken in the context of discourse. It also appears to have differences in their preference for the areas between spoken and written languages and between understanding and expressions. First, students in the survey appear to preferably have practical usage-centered contents for the spoken language section, and academic knowledge for written language. It seems that their lacking knowledge of structure for dialogue and written discourse could be an obstructive factor for students in the expressions sector and therefore they are required to study dialogue structure, and due to the lack of lexicon in their knowledge in an understanding sector, it is prerequisite for them to learn lexicon. Based on these needs, a textbook has been developed. Another survey has been conducted on students" satisfaction in the textbook, and most students answered in the survey seem to be satisfied.

      • KCI등재

        장애인 가족의 지원 요구 조사를 위한 도구 개발

        고희선,박지연 한국특수교육학회 2022 특수교육학연구 Vol.5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family support needs survey(FSNS)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which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verify the support needs of families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provide family support. To this end, items were extracted through literature analyses, and a draft question was developed through group and individual interviews. Next, through the Delphi method, the content validity of the items constituting the draft tool was verified; then, the user convenience of the tool was reviewed to complete a survey development. The FSNS consisted of three categories: support need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six sub-areas), support needs for families other than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eight sub-areas), and special considerations. “Special considerations” are divided into multi-cultural families and single-parent families, and each consists of questions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the parents.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eveloped the needs survey that can be utilized in planning, implementing, monitoring and evaluating the family support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he study also confirmed that the survey is an appropriate tool to verify the needs of families with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hrough convenience tests of those who will use the FSNS and suggested various ways to use the tool.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가족의 지원 요구에 근거한 가족지원 제공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장애인 가족의 지원 요구 조사를 위한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분석을 통해 문항을 추출하고 집단 및 개별 면담을 거쳐 문항 초안을 개발하였다. 다음으로 3회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통해 장애인 가족지원 요구 조사지 초안을 구성하는 문항의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고 마지막으로 요구 조사지의 사용자 편의성을 검토하여 장애인 가족지원 요구 조사지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개발된 장애인 가족지원 요구 조사지는 장애 자녀를 위한 지원 요구(6개 하위영역), 장애 자녀 이외의 가족을 위한 지원 요구(8개 하위영역), 특별한 고려 사항의 세 범주로 구성되어 있다. ‘특별한 고려 사항’은 다문화 가정과 한부모 가정을 위한 범주이며, 각각 장애 자녀와 부모를 위한 문항을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선의 장애인 가족지원을 실행하기 위한 기초 조사와 가족지원 과정 및 지원 종료 후 점검에 활용될 수 있는 요구 조사지를 개발하였다. 둘째, 본 요구 조사지를 실제로 사용할 장애인 가족들을 대상으로 편의성 검사를 실시함으로써 이 도구가 장애인 가족의 지원 요구 조사에 적절함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평생교육프로그램 사회적 요구분석 모형

        윤규원,김문섭,김진숙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1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7 No.2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model of needs analysis for lifelong education program in order to verify social needs as well as personal needs. The overall proces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a questionaire based on six mode classification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 was invented in order to apply to program development. Secondly, a questionaire was designed to evaluate personal needs and social needs simultaneously. Thirdly, t-test, needs analysis of Borich model,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were conducted with a view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personal needs and social needs. As a result, there showed the categories of education which are high in both personal and social needs, whereas a category like certification program is higher in social needs rather than in personal needs. The results represent the necessities of promoting programs which are high in social needs even if there is no personal needs. Therefore the needs survey and the needs analysis need to be conducted to find out not only personal needs but also social needs. 본 연구는 평생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과정 중 요구분석 단계에서 개인적 요구와 사회적 요구도를 확인할 수 있는 평생교육프로그램 사회적 요구분석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연구의 주요 과정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평생교육 6진 분류체계에 근거한 질문항목으로 설문지를 만들어 요구도 조사의 결과를 프로그램 개발에 적용할 수 있도록 내용을 구성하였다. 둘째, 개인적 요구와 사회적 요구도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도록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셋째, 재구성하여 개발한 요구분석 설문지를 사용하여 평생교육 요구 조사를 실시하고 t-검정, Borich의 요구도,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통해 개인적 요구도와 사회적 요구도를 모두 고려한 요구분석 모형을 적용하였다. 요구분석 결과, 개인적 요구도와 사회적 요구도가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자격인증과 같은 개인적 요구도는 낮지만 사회적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개인의 요구는 없지만 사회적으로 필요한 프로그램이 개설되어야 하는 당위성을 대변해주는 결과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요구 조사 설문방법과 요구분석 우선순위 결정 모형을 활용하여 개별 평생교육기관들이 학습자의 요구를 조사하여 분석한다면 사회적으로 반드시 필요한 프로그램들이 개설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오마하 시스템(OMAHA SYSTEM)를 이용한 지역사회 주민들의 건강관리 요구조사

        조원정,유일영,채선미,함옥경,서구민 연세대학교 간호정책연구소 2002 간호학탐구 Vol.11 No.1

        최근 우리나라는 경제·사회적 발전, 인구구조의 변화, 그리고 질병양상의 변화에 따른 국민 건강요구의 증가를 경험하고 있다. 국민의 건강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지역주민의 요구에 근거한 보건사업의 제공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고위험 집단의 건강문제, 만성질환관리, 영유아보건, 정신보건, 가족문제, 자녀문제, 노인문제, 일상생활습관 및 영양, 운동 등의 건강관리뿐만 아니라, 사회, 경제적 문제와 환경문제 등을 포괄하는 종합적 가족사정이 필요하다. 특히 스스로 건강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소외계층을 우선 순위로하여 필요하다면 가정방문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주민의 건강요구와 건강문제를 규명하는데 있어 오마하 분류체계의 적용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 서울시의 한 개 등을 선정하여 주민들의 건강문제와 건강요구를 파악하였다. 간호대학 연구자들과 마포구 보건소 간호사가 합동 연구팀을 구성하여, 사업계획 수립 및 방문간호사들을 등기화시키기 위한 모임을 가졌고, 지역사회 지도자들 만나 연구 목적을 설명하여 정보수집을 위한 협조를 얻었다. 훈련된 공공근로 방문간호사 11명이 표준화된 도구를 이용하여 서울에 위치한 1개동 주민 총 1,499세대 4,024명에 대한 건강실태 및 건강관리요구조사를 하였으며, 자료수집도구로는 가족건강기록부, 연령별 건강력 조사지(임부, 산모, 신생아, 영유아, 성인용), 간이치매 사정도구(65세 이상), 및 방문간호서비스 요구 조사지가 이용되었다. 지역사회 내 가족 간호문제는 오마하 진단체계를 이용하여 빈곤, 주거환경 불량, 지지자원의 부족, 정서적 불안정, 부적절한 건강관리, 통증, 물질남용의 위험성 등의 간호진단이 도출되었다. 도출된 간호진단에 근거하여 건강교육, 건강증진 및 환경개선을 위한 프로그램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한국에서 지역사회주민의 건강요구를 규명하기 위해 오마하 분류체계를 이용하는 것은 적절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The advancement of medical science, improved economic status, demographic transition, and changes in disease patterns have changed the expectations and demands of health and quality of life of people. Health promotion and prevention of illness are important aspects of public health. Provision of comprehensive health services tailored to the target community is required to many community health center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feasibility of utilizing the OMAHA classification system to identify community health needs and health problems. The joint research team was organized by nurse educators and public health nurses at one community health center. From the beginning, frequent meetings were held to motivate public health nurses which was the key to success of this problem. A workshop for community leaders and stakeholders was held to gain cooperation for data collection. A survey of households was conducted to assess family and personal health history, and visiting nursing service needs. Trained eleven visiting nurses conducted data collection through home visiting. A total of 4,024 community residents from 1,449 households reside in one district of Seoul participated in the survey. Instruments used for the study include family health record, health history record for each age group, and requests for specific visiting nurses service. Using OMAHA system, seven community diagnosis were drawn. They were poverty, poor living conditions, lack of community resources, emotional instability, inappropriate management of health problems, pain, and high risk of substance abus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appropriate to use OMAHA classification system in identifying community health needs in Korea.

      • KCI우수등재

        공직선거법상 자료제출요구권과 진술거부권의 관계 - 헌법재판소 2019. 9. 26. 선고 2016헌바381 결정의 평석을 겸하여 -

        이효진 법조협회 2024 法曹 Vol.73 No.2

        공직선거법 제272조의2는 선거관리위원회 위원·직원이 ‘선거범죄에 관하여 그 범죄의 혐의가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에 ‘관계인’에 대하여 질문ㆍ조사를 하거나 ‘관련 서류 기타 조사에 필요한 자료’의 제출을 요구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고 있어 그 규정의 형식이 포괄적이고, 판례는 ‘관계인’의 범위에 혐의자 본인도 포함된다고 해석하고 있다. 그 결과, 선거관리위원회가 선거범죄 혐의를 받는 본인을 상대로 본인의 혐의를 뒷받침하는 증거의 제출을 요구하는 과정에서 그 실질이 ‘진술’에 해당하는 자료의 제출을 요구할 경우 이는 헌법이 보장하는 진술거부권을 침해하는 결과가 된다. 이에 따라 판례는 위 ‘자료’의 의미를 ‘통상적인 선거운동과 관련하여 생성·보존·관리되는 자료’에 한정하여 해석하는 태도를 취함으로써 진술거부권을 보장하려고 하지만, 선거관리위원회의 조사 실무가 이러한 판례의 취지와 맞게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진술거부권을 침해하는 결과가 발생할 것이다. 판례가 말하는 ‘통상적인 선거운동과 관련하여 생성·보존·관리되는 자료’라고 하여도 선거관리위원회 또는 수사기관에서 그 자료를 토대로 법 위반행위의 존재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강력한 증거자료인 경우에는 그러한 자료의 제출을 요구받는 것이 곧 범죄 혐의를 자인할 것을 강요당하는 상황이 될 수도 있다. 수사절차에 대한 인권보장장치가 계속 강화되는 추세에 따라 사실상 수사로 기능하는 행정조사의 경우에도 인권보장장치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가령, 공직선거법상 자료제출요구권 행사를 통해 확보된 자료를 형사재판에서 그대로 증거로 사용하는 것은 형사절차에서 임의제출의 적법성 요건을 엄격하게 해석하는 취지를 몰각할 우려가 있다. 또한, 형사절차에서는 피의자 등이 수사기관에서 허위 진술을 하거나, 허위 자료를 제출하더라도 적극적으로 증거를 조작하는 등 특별한 사정이 없으면 형사처벌되지 않는데, 이는 공직선거법상 자료제출요구에 단순히 불응하기만 하여도 형사처벌되는 점과 매우 다르다. 한편, 형사소송법 개정으로 인하여 수사기관이 작성한 피의자신문조서의 증거능력 요건은 선거관리위원회 문답서의 증거능력 요건에 비해 더욱 엄격해졌다. 이러한 상황들로 인해 수사기관이 엄격한 인권보장장치의 적용을 회피하고자 선거관리위원회의 질문·조사권, 자료제출요구권 등의 권한에 의존할 가능성이 존재하고, 그 과정에서 피조사자의 방어권이 부당하게 제약되는 결과가 초래될 수 있다. 따라서, 자료제출요구권의 실효성 담보 수단을 형사제재가 아닌 행정질서벌로 전환하거나, ‘정당한 이유’가 있는 경우에는 선거관리위원회의 자료제출요구를 거부할 수 있는 권리를 명문으로 인정하는 방안 등이 강구될 필요가 있다. The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gives an official of the Election Commission the authority to ask questions and investigate "related persons" or request the submission of "related documents and other materials necessary for investigation" in "if he/she is found guilty of the crime in relation to the election crime," and the precedent interprets that the suspect himself/herself is included in the scope of "related persons." As a result, the Election Commission will require the person suspected of election crimes to submit evidence supporting his/her allegations and will be able to impose criminal sanctions on those who fail to comply or submit false data, contrary to the ideology of the Constitution that guarantees the right to refuse to state. The precedent interprets the meaning of "data" only to "data created, preserved, and managed in relation to ordinary election campaigns," and judges that when the request for submission of data actually requires a statement, it is an infringement of the right to refuse to state, but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 Election Commission's investigation practice exercises the right to request data submission only within this range. If the exercise of the right to request data submission under the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is legal and the data secured in the process can be used as evidence in criminal trials without any restrictions, the result is inconsistent with the fact that the legality of voluntary submission must be strictly determined in the investigation process. In addition, in criminal proceedings, the person involved in the case, such as a suspect, is not subject to criminal punishment unless special circumstances are recognized, such as making false statements at an investigative agency or actively manipulating evidence for submitting false data. This contrasts with the fact that the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imposes criminal penalties even if they simply refuse to comply with the request for data submission. Due to the revision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quirements for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in the questionnaire prepared by investigative agencies and the Election Commission's question-and-answer has become more pronounced. This phenomenon reflects the reality that human rights guarantees for investigation procedures continue to be strengthened, but human rights guarantees related to election crime investigations cannot keep up with the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means of securing the effectiveness of the right to request data submission under the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to administrative order punishment rather than criminal sanctions, or to recognize the right to reject the Election Commission's request for data submission as a prestigious if there is a “justifiable reason.”

      • KCI등재

        청소년활동 실태 및 요구조사의 발전적 수행방안

        문성호,윤동엽,박승곤,정지윤 한국청소년학회 2015 청소년학연구 Vol.22 No.3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evelopmental performance plan of Youth Activity Current Status and Needs Assessment. For this research, we used content analysis to examine actual condition surveys by youth service center and youth national statistics, and conducted a focus group interview to field and academic expert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surveys by youth service center were performed ineffectively because each center had done individually. Youth national statistics, on the other hand, were systematic and scientific. And experts discussed needs of nationwide and regional investigation, well-defined purpose or concept, expansion of object, and index development. On the basis of this results we suggest a construction of performance system for a national-single-investigation and a composition of research committee, and needs of specific period, sample scale expanded, various object and method. Also, it is demanded sharing results widely, invigoration of researches, and reliability improvement.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활동의 실태 및 요구조사가 효과적이고 지속가능한 형태로 발전할 수 있도록 수행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전국 16개 지방청소년활동진흥센터의 2012년과 2013년 실태조사 자료와 6개 청소년관련 국가승인통계를 내용분석 하였으며, 현장 및 학계 전문가를 대상으로 표적집단면접(FGI)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12년과 '13년 실태조사는 각 시·도 센터에서 개별적으로 수행하여 목적, 시기, 예산 등에서 많은 차이를 보였다. 청소년관련 국가승인통계는 체계적 표본추출, 다양한 조사방법 등을 활용하여 주기적으로 실시되고 있었다. FGI 결과, 전문가들은 현행 실태조사의 문제점을 언급하며, 목적 및 개념의 명확화, 전국공통조사 실시, 지표개발 등의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에 기초한 발전적 수행방안은 전국단위 단일조사 수행체계 구축, 조사연구위원회 구성, 조사주기 및 기간 명확화, 표본규모 확대, 조사대상 및 방법의 다양화, 결과 공유 확대 및 연구 활성화, 신뢰도 향상이다. 본 연구는 국가적 필요에 의해 실시되는 청소년활동 실태 및 요구조사가 보다 체계적이며 신뢰성을 갖추어 수행될 수 있도록 실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후보

        미술치료를 활용한 노인 우울감소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조사

        김연옥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2014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Vol.12 No.-

        본 연구의 목적은 요구조사를 통해 미술치료를 활용한 노인 우울감소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A시, S시, H시 4개의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65세 이상 노인 328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회수하였다. 자료 분석은 빈도 분석과 함께 성별과 연령에 따른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고 X²검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요구와 관련하여 프로그램필요성과 우울감소에 관한 도움을 기대하는 정도는 매우 긍정적인 결과를 얻었다. 참여의사는 긍정적인결과를 얻었으며, 연령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미술기법과 재료에 대한 요구에서 기법은전체적으로 ‘만들기’가 가장 많았으며, 연령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재료는 전체적으로 ‘크레파스’가 가장 많았으며, 성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실시전략에 관한 요구로는 ‘평일 오후’, ‘1시간 30분 이내’, ‘주 2회’, ‘총 12회기’, ‘교육 ․ 미술활동 ‧ 집단토론’ 중심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eline data for development of senior citizen'sdepression reduce program by art therapy through request investigation. For this purpose,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from 328 senior citizens aged 65 and over, who uses4 senior welfare centers at A town, S town, and H town.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and cross analysis to figure out request on gender and age, request on X² verification was don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program development turned out to be surelyneeded. participate actively, participation rate will be raised over all age withsystematically-developed depression reduce program. Moreover, participants' program satisfactionrate can be improved based on acquired cooperation and resources of related institutes, and thatcould be gained in high expectations of reducing depression. Second, related to request on arttechniques and materials, depend on age and gender. but it should be considered when forming theprogram. Third, related to strategy of enforcement, ‘weekday afternoon’, ‘within 1 1/2 hours’,‘twice a week’, ‘total of 12 sessions’, ‘education․art activity․group discussion’ were the mostcommon, and statistically. Therefore, senior citizen's depression reduce program by art therapy isneed to developed and enforced in full consideration of these facts.

      • KCI등재

        평생예술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개선을 위한 요구조사 - 한국예술종합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최나영(Choi Na-Young),신정원(Shin Jung Won),고용수(Ko YongSu)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2021 한국예술연구 Vol.- No.33

        본 연구는 성인을 위한 평생예술교육기관으로서 대학의 역할과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방안을 탐색하기 위하여 한국예술종합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학습자의 교육요구를 조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사례 대학의 평생예술교육 수강 경험이 있는 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교육목표, 프로그램 운영, 교육방법, 선발 및 교육 환경에 대한 요구의 우선순위를 조사하였다. 요구조사 결과, 평생예술교육의 목표에 대하여 44세 이하 학습자는 개인적 차원에 중점을 두었고 45세 이상 학습자는 타인과의 관계 측면에서 높은 요구를 보였다. 교육 프로그램의 운영에 대해서는 학생의 의견 반영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으며, 단계별 심화과정 개설과 선발 방식 개선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교육방법에 대해서는 실기 수업에 대한 요구가 높았으나, 수강 경험에 따라 개인지도 또는 소집단 지도의 요구 차이를 보였다. 교육 환경 부문에서는 전문 교수인력에 대한 필요도 및 수업자료 제공에 대한 요구가 높았으며, 그 밖에 교육 공간 및 학사운영 개선 요구가 있었다. 조사결과에 기반하여 생애주기별 평생예술교육, 교수 인력의 전문성 확보, 대학의 인적 자원과 네트워크의 활용, 위계와 연속성을 고려한 교육 프로그램 제공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learners" educational needs, focusing on the case of th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in order to explore the role of universities as a continuing arts education provider, the direction of curriculum development, and specific operational strategies. Needs and priorities for educational goals, program operations, education methods, and environment were investigated for 100 students connected to the case university. We found that learners under the age of 44 focused on the individual for educational goals, while learners aged 45 and over showed a higher demand in terms of relationships with others. Needs for advanced courses, practical skills-oriented classes, and curriculum materials were high. Based on these findings, we suggest continuing arts education by life cycle, securing academic faculty’s professional resources and networks, and providing curriculum that considers sequence and continuity.

      • KCI등재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 인식 및 요구도 조사 도구 개발과 적용

        강정찬(Kang Jung Ch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1

        본 연구는 대학 교원을 대상으로 교수역량에 관한 인식 및 요구도 분석을 위한 조사 도구를 개발하여 적용하는 데 있다. 이에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교수역량 및 요소를 도출하고, 도출된 교수역량 체계에 대해 델파이 조사를 통한 전문가 검토를 거쳐 조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조사 도구는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고, 대학 교원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교수역량의 인식 및 요구도 분석 실시 후 수정·보완을 거쳐 최종 도구로 완성하였다. 이에 본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첫째, 국내·외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할 교수역량을 기본역량 과 수업역량 으로 구분하여 도출하고, 대학의 특성을 반영하여 지원역량 을 추가하고 3개 영역 및 52개 요소로 교수역량 체계를 구성하여 조사 도구를 개발, 적용하였다. 둘째, 본 연구의 조사 도구 개발 및 적용의 체계적인 과정 및 절차를 제시하여 대학의 교수역량 인식이나 요구도 조사 도구 개발 및 활용의 안내 자료 및 지침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교수역량에 대한 인식 및 요구도 조사 결과의 타당성과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IPA에 Borich 요구도 분석과 LfFM 분석을 단계적으로 추가 실시하였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develop and apply research tools for the analysis of recognition and needs regarding teaching competencies to university faculty members. In response, the research tools were developed through expert review through Delphi survey on the teaching competencies and the model of teaching competencies derived through consideration of prior research. Research tools were conducted for validity and reliability verification, and the final tools were completed after the recognition and needs analysis of teaching competencies by applying them to university faculty members. If this research result is presented, firstly, through consideration of prior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s, the required teaching capacity was derived by dividing into basic competencies and instructor competencies . In addition to support competencie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university, the research tools were developed and applied by forming the model of teaching competencies of three areas and sub-components. Second, by presenting systematic processes and procedures fo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research tools in this study, universities will be provided guidance needed to develop and utilize research tools for the analysis of recognition and needs regarding teaching competencies. Third, the recognition and needs for teaching competencies were also gradually added Borich s Needs Assessment Model and LfFM(The Locus for Focus Model) to the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n order to increase the validity and usability of the survey results.

      • KCI등재

        국가교육과정기준의 연구 개발에서 학습자 집단의 요구분석을 위한 영역과 항목 설정 연구

        홍후조 ( Hoo Jo Ho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0 교육과정연구 Vol.28 No.2

        교육과정을 개선할 때 학년이 높아질수록 진로 선택이 가까워질수록 학습자들의 교육과정적 요구, 즉 적절한 학습기회 제공에 대한 요구는 더 중요해진다. 그러나 실상은 주로 정치사회적 요구나, 성인들의 사회적 요구가 일시적으로 파악·반영되는데 반해, 학습자의 요구는 체계적으로 파악·반영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국가교육과정기준의 연구 개발에서 초·중등학교 학습자들의 요구에 관한 정보를 왜, 무엇을, 어떻게 수집할 것인가를 시론적으로 밝혀 보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현재 학업에서 선호도, 자신감, 이해도, 장차 학업 및 직업 진로 계획을 중심으로 조사항목을 설정하였고, 그 선행 사례를 정리해 보았다. 이를 기초로 요구조사할 학습자 집단을 초등학생, 중학생, 진학계 고교생, 직업계 고교생의 4개로 나누고, 영역은 총론, 교과, 창의적 체험활동으로 하며, 각각의 유지와 변화에 대한 학습자의 요구를 조사하는 항목을 시론적으로 제시해 보았다. 학습자 요구는 달라질 수 있지만 다년간 꾸준히 개인적·집단적으로 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축적하면 일정한 패턴을 찾을 수 있다. 초·중등학교에서는 NEIS나 창의적 체험활동 종합지원시스템(Edupot)을 통해 정보를 수집 분석하여, 다른 집단의 요구와 절충하여 반영함으로써 국가교육과정기준은 학습자존중 교육과정으로 더 가까이 갈 수 있을 것이다. It gets more important to identify students` needs regarding school curriculum as students grows up. School curriculum, which means offering learning opportunities for realizing students` potentiality, should be tailored to students` academic and career plan. However socio-political ideology and opinion leaders` views had been represented excessively in national curriculum development comparing with students` needs and views. This article address how to identify students` needs and put the results of needs survey into national curriculum research and development. Thus this research deals with the problems of discovering and selecting questionnaire items, through NEIS or Edupot in Korea, to find out the curricular needs of learners who enrolled in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With the justification of each items students needs were selected surrounding educational expectation, academic plan, career plan, school choice, course choice, course preference, course difficulty, etc.. Long term and systemic survey of students curricular needs shall brings forth coherent trends and patterns of change for a number of years to students-honored school curricul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