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국어로의 전문번역입문 수업 사례연구

        김정연 ( Kim Jeong-yeon )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18 프랑스어문교육 Vol.61 No.-

        늘 모국어로만 번역하는 것이 관행인 서구에서는 그 외의 번역은 ‘역번역’이라 칭할 정도로 부적절한 관행으로 치부하고 전문가로서의 윤리에 어긋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전문번역사를 양성하는 교육기관의 교과과정에서도 외국어로의 번역은 완전히 배제된다. 성인이 되어서 후천적으로 외국어를 배운 경우, 모국어를 구사하는 것처럼 정확하고 자연스러운 재표현을 할 수 있는 직관이 없기 때문에 번역에 있어 많은 제약이 따르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시장의 제약이나 모국어로의 번역을 할 수 있는 번역자의 부족으로 인하여 한국과 같은 소수언어 사용 국가에서는 상당수의 번역자들이 외국어로의 번역을 수행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고 전문교육 기관의 교육과정에도 이와 같은 특수성이 반영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현실에서 본고에서는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에 개설된 외국어로의 번역입문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한불 언어조합에서 대학원 차원의 효율적인 외국어로의 전문번역입문 수업 방향에 대해 고찰해 본다. 특히 한국 학습자가 가장 빈번하게 범하는 언어 오류를 범주화하고, 이를 기반으로 출발 텍스트에서 멀어지기, 도착 텍스트 다시 쓰기 연습을 중심으로 한 교수법을 살펴본다. Si les traducteurs des pays occidentaux sont en mesure d'appliquer rigoureusement le principe selon lequel ils ne doivent travailler que vers leur langue maternelle et qu'ils enfreindraient la déontologie de leur métier en ne s'y conformant pas, il s'avère que dans de nombreux pays, dont la Corée, les exigences des échanges internationaux et le nombre trop rare de traducteurs disposant de combinaisons linguistiques permettant de respecter cette règle confrontent souvent les professionnels à une réalité du travail qui les contraint souvent à y déroger. Les difficultés et problèmes qui se posent à ces traducteurs ne pouvant que croître du fait de cette directionalité de la traduction, les établissements qui assurent la formation de ces professionnels se doivent d'adapter leur cursus d'enseignement aux particularités de ce contexte. Au vu de cette problématique, le présent article s'emploiera à définir les modalités d'un cursus d'initiation à la traduction professionnelle en langue étrangère proposé au niveau du master dans la combinaison linguistique coréen-français, en se fondant plus particulièrement sur l'exemple de l'enseignement dispensé à l'École d'Interprétation et de Traduction rattachée à l'Université Hankuk des Études étrangères. L'auteur s'attachera à répertorier les lacunes les plus fréquentes des locuteurs non natifs coréens et proposera des outils pédagogiques reposant sur une démarche de distanciation par rapport au texte de départ et sur la réalisation d'un travail de réécriture du texte d'arrivée dans le but de développer la compétence d'expression écrite en langue étrangère des apprentis traducteurs.

      • KCI등재

        번역 유형별 번역 사례를 통해 본 한국 고시가 번역의 문제 : 황진이 시조 <니언지 >를 중심으로

        임주탁(Yim Ju tak) 한국문학회 2014 韓國文學論叢 Vol.67 No.-

        한국 고시가 번역의 문제는 번역 유형별 번역 사례에 대한 면밀한 검토 결과를 체계적으로 통합하는 방향에서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 글은 번역 유형별 번역 사례가 가장 많은 작품 가운데 하나인 황진이 시조 를 통해 한국 고시가에 대한 번역 유형별 번역의 양상을 살피고 문제점과 그 원인을 분석함으로써 한국 고시가 번역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점을 추론해 본 것이다. 번역된 텍스트는 목표 언어가 모어인 독자들이 이해하고 감상하기에 충분해야 한다는 관점에서 번역 대상 텍스트의 시적 상황과 언어적 맥락이 얼마만큼 충실하게 번역되는가에 초점을 맞추었다. 논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에 대한 조선시대의 한어 번역은 원전의 시적 상황과 언어적 맥락을 정확하게 번역하였다. 그에 비해 일본 식민지 시대에 이루어진 한어 번역은 시적 상황과 언어적 맥락이 원전과 전혀 달랐다. 이러한 문제점은 신위의 「소악부」에 포함된 한어 번역의 원전을 번역자가 잘못 비정하고, 원전과 한어 번역이 공통으로 함축한 시적 상황과 언어적 맥락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데서 생겨났다. 그런데 일본 식민지 시대에 이루어진 원전 비정과 한어 번역의 결과는 이후 에 대한 해석과 번역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가 연가(love song)라는 해석이 지금까지도 널리 수용되고 있으며, 조선 시대의 한어 번역에 대한 현대 국어 번역에서 일본 식민지 시대의 한어 번역과 흡사하게 시적 상황이나 언어적 맥락이 모호하거나 원전과 사뭇 다르게 번역되고 있는 데서 그러한 사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에 대한 외국어 번역은 일본 식민지 시대의 한어 번역, 원전 또는 조선시대의 한어 번역에 대한 현대 한국어 번역에서와 같이 시적 상황과 언어적 맥락이 모호하거나 원전과 전혀 달랐다. 따라서 원전에 대한 조선시대의 한어 번역과 같은 번역 수준을 보여 주는 원전에 대한 외국어 번역은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외국어 번역이 기본적으로 원전에 대한 현대 한국어 번역을 바탕으로 하게 마련이라는 점에서 외국어 번역이 지니는 문제점은 결국 원전 또는 조선시대 한어 번역에 대한 현대 한국어 번역이 지니는 문제점이 거듭 표출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논의 결과는 한국 고시가의 번역에 다음 사항들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을 말해 준다. 즉, 원전 비평(textual criticism)이 충분히 이루어진 작품을 선정해야 한다는 점, 번역 대상 텍스트와 번역된 텍스트 모두 시적 상황과 언어적 맥락이 분명해야 한다는 점, 현대 한국어 번역이 원전의 창작 상황에 부합하는 해석과 성공적인 외국어 번역에 관건이 된다는 점, 목표 언어가 모어인 독자들이 번역된 텍스트에서 파악하는 시적 상황과 언어적 맥락이 재료 언어가 모어인 독자들이 원전 혹은 현대 한국어 번역에서 파악하는 것과 동일한지가 번역 평가의 중요한 잣대가 된다는 점 등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lucidate what is problematic, important, and needed now in translating Korean classical poetry into other target languages which contain modern foreign language, modern Korean language and old Chinese language, through comparing translated texts with their source language texts. So it deals those issues with all the renderings of a Hwang Jini's Sijo work, Have I ever, the renderings can be classified by most types of translation. The results of it are as follows; 1. Most translated lingual texts into old Chinese language (TT1-1) by three intellectuals in the period of Joseon Dynasty, Korea, do not have any problem because all of them had bilingual competence and could grasp the very inner context (poetic and linguistic context) and meaning of the original text (OT-1). 2. Most translated lingual texts into old Chinese language (TT1-2) by one or two intellectuals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Korea, have a little serious problems. The translaters did not have bilingual competence so sufficient to grasp the inner context and meaning of only the original texts (OT-1, OT-2) but the old Chinese translation by a former intellectual, Shin Wi. In fact, OT-2 is different from OT-1, but it seemed to be the very OT of Shin Wi's rendering version of which OT was not OT-2 but OT-2. In spite of it, the result and contents of their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of OT-2 have had an nation-wide authority as the very one of OT-1 over their modern subordinates after their times. 3. We are able to grasp the same inner context and meaning of the two, the original (OT-1) and the translated text (TT1-1). However, researchers whose mother tongue is Korean have not translated TT1-1 into modern Korean language entirely, or mistranslated it, it is, I think, related to the fact that they could not comprehend the same inner context of meaning of the two like former intellectuals in the colonial period, intellectuals who selected OT-2 as OT of the rendering by Shin Wi. 4. All the translated texts into foreign language (TT5) have the same problems as their source language texts which were translated into modern Korean language by Korean translaters, writers, or researchers (TT2). While meeting renderings of TT5, we are not able to grasp the same inner contexts in which all the texts have their own unity of meaning as ones of the original lingual texts (OT-1). These results implies several meaningful things as follows; 1. Textual criticism about Korean classical poems has not been sufficient for us to translate them into foreign languages. 2. We need to translate all the texts, OT and TTs, into modern Korean language before studying all the renderings of them. It will let us to know whether all the texts and renderings can be acceptable not only to us but also to foreigners. 3. While evaluating if every TT is successful, we have to check if the inner context and meaning of TT is the same one of its OT or source text because the primary goal of translation is to make readers whose mother tongue is the same one as the target language.

      • KCI등재

        한불 릴레이 번역 -원어민 교정자 주도의 모국어(A)→외국어(B) 번역

        기욤장메르 ( Guillaume Jeanmaire ) 한국불어불문학회 2015 불어불문학연구 Vol.0 No.102

        문학 번역은 외국어(B언어)에서 모국어(A언어)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며 또한 정석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세계적으로 충분히 보급되지 않아 모국어로 텍스트를 옮길 수 있는 번역자가 부족한 언어의 경우에는 해당 언어 화자가 외국어로 번역하게 되는 일이 자주 생기게 된다. 한국어의 경우도 여기에 해당하는데, 우선 한국인 번역자가 외국어인 B언어(번역자가 습득한 외국어, 본고의 경우 프랑스어)로 한국문학 작품을 번역해야 할 것이며, 다음 단계로는 프랑스어권 원어민의 교정 및 협업이 요구된다. 원작의 이해에 강점을 갖는 한국인 번역자와 원문의 어순이나 문장 구조에 얽매이지 않고 자연스러운 프랑스어 표현을 사용할 수 있는 원어민 교정자의 협업으로 보다 효과적인 번역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교정 과정에서 원어민 교정자가 마치 새로 글을 쓰듯이(reecriture) 원문의 의미에서 지나치게 벗어나 버린다면 한국인 번역자가 아무리 주의 깊게 검토해도 발견할 수 없는 간극(ecarts)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이런 유형의 협업 번역에는 분명한 한계가 존재한다. 실제로 번역자와 교정자 사이의 의견 교환이 아무리 빈번하다 할지라도, 번역자가 반복적으로 범하는 간극들을 교정자가 식별해 내는 것은 불가능한 경우가 많으며, 특히 사회문화적 지표와 연결된 함축 부분(part de l’implicite)을 채워 넣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번역자가 자신의 문화에 너무 친숙해져 있어 이 함축 부분을 외국 독자들에게 드러내야 한다는 사실을 간과하기 때문이다.

      • KCI등재

        현행 공증제도에 있어서 번역공증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서정목(Seo, Jeong Mok)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11

        Translation notarization is the legal activity officially authenticating the proper and precise translation of original and translated documents when documents are translated from the source language into the target language, vice versa, according to the needs of organizations including governmental organizations, public offices and administrative agencies, and so on. Translation notarization endows public trust and legal authority to the translated official documents. Under the current Korean notarization system, the translation notarization does not authorize the proper and precise translation of the documents from the source language to the target language, only just the factual activity of the translation by the translator. Accordingly, the current translation notarization in Korea in reality lacks the notarization that the translation, itself is proper and precise. This study proposes three solutions to address these issues of translation notarization of the translated contents. First, the certificates of translation issued by certified public translators should perform the function of translation notarization. Second, certified public translators should be qualified as translation notaries. Third, public notaries whose English proficiency has been verified should be allowed to perform translation notarization. For these solutions to be implemented, the matters of translation quality assessment should also be addressed. In practice, there may be some difficulties in implementing these proposals due to conflicts of interests among the parties concerned, such as public notaries and certified public translators, regarding translation notarization. Accordingly, as international exchange and cooperation is accelerating in Korea today, the demands for the translation of documents, including legal documents, will be expected to greatly increase. In this context, there will be a much higher demand for the translation notarization. Therefore, supplementary measures suggested herein should be implemented to solve the problems of current translation notarization. 번역공증이란 출발언어가 한국어이며, 목표언어가 외국어이든, 출발언어가 외국어이며 목표언어가 한국어이든, 법률문서를 비롯하여 각종 문서가 번역공증을 필요로 하는 기관의 요청여부에 따라 번역이 수행되고, 출발언어로 된 문서와 목표언어로 번역된 문서가 상호 그 내용에 있어서 차이가 없음을 공적으로 인증하는 법률행위이다. 이러한 번역공증은 번역물에 공문서로서 공신력과 법적 권위를 부여한다. 현재의 한국의 번역공증 제도 하에서는 출발언어에서 목표언어로 적확한 번역이 수행되었다는 사실을 공증하기 보다는 번역자의 번역행위에 사실인증의 기능밖에 수행이 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출발언어에서 목표언어로의 번역물에 대한 번역내용에 대한 공증은 결여되어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번역내용에 대한 번역공증을 실행하기 위하여 첫째, 번역공증에 관하여 번역행정사의 번역확인증명서가 번역공증에 갈음하여 번역공증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방안, 둘째, 외국어번역행정사에게 번역공증의 자격을 부여하는 방안, 셋째, 영어능력을 검증받은 공증인이 번역공증 행위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방안이 수행되려면, 부수적으로 번역결과물에 대한 품질 평가의 문제 역시 다루어져야 한다. 사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방안이 번역공증을 대상으로 공증인과 외국어번역행정사 등 관련 당사자 간의 이해와 유관기관의 업무가 복합적으로 얽혀 있어 그 시행에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오늘날 한국은 국제협력 및 교류가 더욱 더 증대됨에 따라 이에 따른 법률 문서의 통번역에 대한 수요도 역시 증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이러한 시대적인 맥락에서 번역공증의 수요도 더욱 증가일로에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현실에 직면하여 이러한 제도적 보완을 통해 현행 번역공증의 문제는 반드시 해결되어야 할 필수적인 사안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번역 학습자를 위한 읽기 수업 과정 설계

        함계임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2

        Design of Reading Class Process for Korean TranslationLearners as Foreign LanguageKyeim Hahm Abstract: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intermediate process of general foreign language education between reading and professional translation reading. Before KFLT learners start to translate, they read various genres of texts that are expected to be requested for transl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xt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enre and to help to translate it later. The class curriculum reflected the contents of the active translation reading class based on the process-based reading class. Through genre analysis, the study conducted the form, syntactic, and lexical analysis of the text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xt. In addition, some elements of the translation stage that are not included in the general reading process are included to prepare for future translation by learners. Key Words: KFLT(Korean Translation as a Foreign Language), Process Reading Class, Process-based Reading, Active Reading, Genre Analysis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번역 학습자를 위한 읽기 수업 과정 설계함 계 임* 요약: 이 연구는 일반 외국어 교육에서의 읽기와 전문 번역 읽기의 중간 과정의 읽기 교육에 관한 것으로 KFLT 학습자들이 본격적으로 번역 작업을 하기 전에 번역 요청이 예상되는 다양한 장르의 글을 읽고 그 글을 분석하여 각 장르별 특징을 이해하게 하는 것이 목적이다. 수업 과정은 과정중심 읽기수업 과정을 기준으로 능동적 번역 읽기 수업 과정의 내용을 반영하였다. 장르분석을 통해 텍스트의 형태, 통사, 어휘적 분석을 실시하여 해당 텍스트의 특징을 파악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일반적인 읽기 과정에 포함되지 않은 번역 브리프, 병렬텍스트 읽기, 유사 주제로 글쓰기 등 번역 단계의 요소들도 일부 포함시켜 향후 학습자들이 번역을 하게 될 것을 대비하도록 하였다. 본 논문은 번역 교육에서 관심을 가지지 않는 번역 이해 부분에 대해 연구를 했다는 데에서 의의가 있다. 핵심어: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번역, 읽기 수업 과정, 과정 중심 읽기, 능동적 번역 읽기, 장르 분석 □ 접수일: 2022년 3월 12일, 수정일: 2022년 3월 29일, 게재확정일: 2022년 4월 20일* 한국외국어대학교 언어연구소 책임연구원(Researcher, Hankuk Univ. of Foreign Studies, Email: ssonya1@hanmail.net)

      • KCI등재

        La « traduction-relais » coréen → français : traduction en B (langue étrangère) orchestrée par un « réviseur » natif

        Jeanmaire Guillaume 한국불어불문학회 2015 불어불문학연구 Vol.0 No.102

        문학 번역은 외국어(B언어)에서 모국어(A언어)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며 또한 정석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세계적으로 충분히 보급되지 않아 모국어로 텍스트를 옮길 수 있는 번역자가 부족한 언어의 경우에는 해당 언어 화자가 외국어로 번역하게 되는 일이 자주 생기게 된다. 한국어의 경우도 여기에 해당하는데, 우선 한국인 번역자가 외국어인 B언어(번역자가 습득한 외국어, 본고의 경우 프랑스어)로 한국문학 작품을 번역해야 할 것이며, 다음 단계로는 프랑스어권 원어민의 교정 및 협업이 요구된다. 원작의 이해에 강점을 갖는 한국인 번역자와 원문의 어순이나 문장 구조에 얽매이지 않고 자연스러운 프랑스어 표현을 사용할 수 있는 원어민 교정자의 협업으로 보다 효과적인 번역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교정 과정에서 원어민 교정자가 마치 새로 글을 쓰듯이(réécriture) 원문의 의미에서 지나치게 벗어나 버린다면 한국인 번역자가 아무리 주의 깊게 검토해도 발견할 수 없는 간극(écarts)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이런 유형의 협업 번역에는 분명한 한계가 존재한다. 실제로 번역자와 교정자 사이의 의견 교환이 아무리 빈번하다 할지라도, 번역자가 반복적으로 범하는 간극들을 교정자가 식별해 내는 것은 불가능한 경우가 많으며, 특히 사회문화적 지표와 연결된 함축 부분(part de l’implicite)을 채워 넣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번역자가 자신의 문화에 너무 친숙해져 있어 이 함축 부분을 외국 독자들에게 드러내야 한다는 사실을 간과하기 때문이다.

      • KCI등재

        La place de la traduction dans l’enseignement des langues étrangères

        선영아 한국프랑스학회 2011 한국프랑스학논집 Vol.76 No.-

        전문 번역 교육이 대학의 틀 속으로 편입된 것은 비교적 근래의 일이지만, 해석과 작문으로 이루어진 학습 번역은 외국어 학습의 오랜 전통으로 견고하게 자리 잡아 왔다. 최근 번역에 대한 사회적 수요가 날로 증대되어 가면서 전문 번역이 부상하는 과정에서, 전통적인 학습 번역의 교육적 폐해에 대한 비판 또한 늘어가는 실정이다. 특히 전문 번역가의 육성을 목표로 하는 전문 번역의 입장에서 보자면, 외국어 습득을 위한 도구로서의 학습 번역은 엄밀한 의미에서의 번역이 아니다. 실제로 전문 번역과 학습번역은 그 목표나 지향점, 교육 대상에서 분명히 다르며, 그런 점에서 전문 번역이 학습 번역과의 차별성을 분명히 하고자 하는 데는 나름의 충분한 이유들이 있다. 특히 번역이 학으로서의 독자성을 인정받고자 애쓰던 초기에는 이러한 거리 두기가 필요한 것이기도 했다. 이 논문에서 한 편으로는 우리는 외국어 교육에서 학습 번역이 담당해왔던 역할을 검토하고 종래의 작문-해석 훈련이 갖는 의의와 한계를 되짚어 보았으며, 다른 한 편으로는 학습번역과 전문번역 간의 수렴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전문 번역에서 획득한 경험을 학습 번역에 도입하는 새로운 실험들은 아직 초기 단계에 있는 번역 교수법의 진전을 위한 뜻 깊은 작업이 될 것이다.

      • KCI등재

        대학의 번역강의 내용개발 연구 - 프랑스어 중급 학습자의 번역물 평가 분석을 중심으로 -

        황순희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10 프랑스어문교육 Vol.33 No.-

        Cette étude vise à développer le contenu du cours de traduction universitaire et à scruter les méthodes évaluatives de la qualité de la traduction en analysant les traductions produites par l'apprenant (désormais, produits). La traduction en formation doit différer de celle professionnelle par les quatre points suivants : l'objectif de l'enseignement, le contenu de l'enseignement, la méthode utilisée de l'enseignement, et l'évaluation sur les produits. Nous avons analysé les produits en traduction franco-coéenne et celle contrastive franco-coréenne, en établissant chacun des deux critères de « typologie du contresens » ainsi que de « traduction créative » pour le premier, et ceux de « faute de traduction faite par le traducteur professionnel » ainsi que de « l'intervention du traducteur professionnel » pour le dernier. L'analyse de l'exercice de la traduction franco-coéenne montre que l'apprenant fait des erreurs du sens lexical et celles d'au delà des items lexicaux. Ce qui résulte d'une part de la polysémie des items lexicaux et d'autre part du registre de langue en traduction. Quand on s'en tient à la traduction contrastive franco-coréenne, il faudrait développer le contenu du cours en profondeur ainsi que les méthodes de l'enseignement. A travers cet exercice, l'apprenant est capable non seulement d'acquérir la compétence linguistique, mais aussi d'appréhender la faute de traduction par le traducteur, l'aspect des stratégies de la traduction, et l'intervention du traducteur. 번역행위와 번역물의 역사는 문명의 시작만큼 오래되었지만, 번역 traduction이 체계적인 학문분야로 등장하기 시작한 것은 1950년대 말이다. 이후 다양한 번역 방법론과 번역과정의 모델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번역분야와 관련하여 국내 대학의 학부과정에는 최근 10여 년 전부터 통번역학과가 다수 개설되었고, - 물론 대부분이 영한, 한영 전공 과정이지만 - 다양한 교육과정이 개발되었다(김련희 2001, Cho 2009, Nam 2009). 이러한 현상은 전문 통·번역사를 양성하려는 통번역 교육과정 개설의 일차적 목표와는 무관하게 대학 졸업 이후 취업 및 진로 결정에 자유로운 외국어, 특히 영어 구사능력 compétence linguistique이 매우 중요하다고 여기는 현실적 이유가 크게 작용한 탓이다. 그러나 이러한 현실적 이유를 고려하지 않더라도 번역은 외국어 학습에서 언어학습자가 반드시 거치는 필수적인 과정으로, 학습자에 의한 번역과정은 자신이 학습한 내용을 스스로 확인하고 자가진단하는 중요하고도 기초적인 활동이다. 따라서 외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번역교육은 전문 번역가 양성을 위한 번역교육과는 분명히 차별화된 학습목표와 내용, 교육방법, 평가방법 등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 논문은 중급 이상의 프랑스어 능력을 지닌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대학의 번역강의 내용 및 방법개발과 효율적인 설계를 위해 계획되었다. 아울러 학습자가 직접 산출한 번역물을 분석 평가하여 보다 효율적인 강의 내용개발의 기초 연구로 삼고자 한다. 응용 언어학 linguistique appliquée 연구의 연장선 상에서 설계된 번역강의는 먼저 ‘학습목표는 무엇으로 해야 할 것인가?’, ‘무엇을 강의할 것인가?’, ‘어떻게 교육할 것인가?’,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등의 제 문제와 직면하게 된다. 이 논문의 목적은 다음 두 가지이다. 첫째, 이 연구는 대학 번역강의에 활용 가능한 강의모형 및 내용개발을 위한 기반연구로 한 학기 동안 진행한 전공생 대상의 번역강의 내용과 학습자의 번역활동 사례를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번역강의의 세부적 내용을 소개함과 동시에 학습자의 번역연습 결과물을 기초로 발견된 ‘오류 erreur및 오역 contresens; faux-sens; faute de traduction’ 유형의 분석과 평가를 통해 보다 효율적인 번역강의 내용을 제안한다. 둘째, 번역강의에서 학습 결과물에 대한 ‘평가 évaluation’는 그 어떤 강의에 비해 보다 효율적이고 세부적인 평가기준과 방법이 요구된다. 학습자의 번역연습은 ‘실용번역 traduction instrumentale/pragmatique’ 영역으로 국한하고, 중간고사 이전에는 ‘불한번역 traduction franco-coréenne’을, 이후에는 ‘불한 대조번역 traduction contrastive franco-coréenne’ 연습을 시행하며, 학습자가 번역 결과물을 발표 exposé형식으로 표현하게 한다. 또한, 발표 직후 교수자는 학습자에게 즉각적인 피드백 rétroaction을 제시하여 동료들 간의 논의를 유도하도록 한다. 이러한 번역연습에 대한 평가는 <불한번역>의 경우, 학습자가 직접 산출한 번역 결과물에 대해 ‘오류유형 분석 평가’와 ‘창의적 번역 평가 évaluation de la traduction créative’로 나눠 실시한다. 그리고 <불한 대조번역> 평가는 ‘전문 번역자의 오류 및 오역 분석’과 ‘번역가의 개입’을 추출, 분류하여 평가하게 된다.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번역강의 내용개발을 위해 기반이 되는 제반 요소를 고찰한다...

      • 국내 공공번역 정책에 대한 고찰 -공공 용어 번역을 중심으로-

        강미영 ( Kang Mi-young ),이은조 ( Lee Eun-jo ) 한국공공언어학회 2021 공공언어학 Vol.5 No.0

        이 글은 국내 공공번역 정책 현황을 공공 용어 번역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국내에 번역을 전담하는 기관이 없는 상황에서 한국어와 외국어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려면 관련 기관들이 공공번역의 기능을 체계적으로 분담하면서 분야별로 협업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글에서는 이와 같은 공공번역과 관련한 국내 정책의 현황을 살펴보고 국립국어원의 공공번역 업무의 방향을 알아본다. 2014년 국립국어원은 공공번역 중에서 공공 용어 번역 업무를 담당하게 되었으며, 2020년 공공 용어의 외국어 번역 및 표기 지침 (문체부 훈령 제427호)을 제정함으로써 공공 용어 번역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였다. 따라서 이 글은 이 훈령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공공번역 개선 방안에 대해서 모색한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translations of public terms and explores the policy status of the public sector translation in Korea. In order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communication between Korean and foreign languages in the absence of an institution monitoring the translation, it requires systematic collaboration among relevant institutions.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policy status of the translation in the public sector identifying the direction of the public sector translation work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Since 2014,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has been in charge of the public sector translation and the standard for translation of public terms has emerged with the enactment of the directive, Korean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Directive No. 427. The paper thus critically examines the enactment of the directive while seeking the measures to improve public sector translation.

      • KCI등재

        특수외국어의 수용을 통한 외국어번역행정사 제도의 활성화에 관한 연구

        구본석(Gu, Bonseog),서정목(Seo, Jeongmok) 한국통번역교육학회 2020 통번역교육연구 Vol.18 No.3

        The License of Certified Public Translator & Administrative Agent is acknowledged as the only officially recognized license in th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industry issued by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of the Government of Korea. As of 2020, the system of Certified Public Translator & Administrative Agent covers eight languages such as English, Chinese, Japanese, French, German, Russian, Spanish and Arabic. In reality, it is difficult, for now, to adequately deal with the demands for official translation related to certificates and affidavits arising from countries where economic exchanges with Korea are rapidly increasing, such as Vietnam, Indonesia and Thailand. In this context, this study proposes the inclusion of the Vietnamese language in the examination of the Certified Public Translator & Administrative Agent because the translation between Korean and Vietnamese is in the biggest demand among the languages of the Southeast As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