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언택트(비대면) 시대에 따른 온라인 무도 교육의 방향성

        전기제 대한무도학회 2020 대한무도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20 No.2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에서 2019년 12월 31일에 발생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바이러스-19)가 일으키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가 원인불명 폐렴의 원인으로 전 세계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우리나라 정부는 PC방, 요양시설, 노래방 및 체육시설 등 집단감염이 초래되는 위험시설에 운영 정지를 시행하고 있으며, 외부활동을 자제하고 재택근무를 권장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 정부는 코로나19로 인한 스포츠산업의 매출 감소 등 어려움을 지원하기 위해 비대면 스포츠 시장을 본격적으로 육성한다고 밝혔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재 방역지침과 더불어 시대적 상황에 따라 온라인 무도교육의 활성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현재 온라인 스포츠 교육의 서비스 품질을 평가하고 개선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온라인 무도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효율적인 온라인 무도교육을 시행하고 더 나아가 지속적인 컨텐츠 개발을 통해 온, 오프라인의 무도스포츠의 활성화 방안에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연구대상은 온라인 스포츠 교육 컨텐츠를 이용하는 이용자로 설정하였으며, 2020년 8월 1일부터 10월 3일까지 편의표본추출방법을 활용하였다. 또한, 현 상황(코로나19)을 고려하여 인터넷 설문지(모아폼)를 활용하여 비대면조사를 실시하였다. 인터넷 설문지 구성은 이 연구의 목적과 설문방법에 대한 설명이 기재되었으며, 총 336부를 배포하였다. 자료처리는 온라인 스포츠 교육 컨텐츠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온라인 교육서비스품질 요인을 Kano의 분석 모델을 통해서 검도장 서비스품질을 ‘매력적 품질’, ‘일원적 품질’, ‘당연적 품질’, ‘무관심 품질’, ‘역 품질’, ‘회의적 품질’로 분류하였다. 그 후 Timko(1993)의 고객만족계수와 임성욱(2005)의 PCSI 지수를 도출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위해 스프레드시트인 ‘Microsoft Office Excel 2019’을 사용하였으며, SPSS 23.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첫째, Kano모델을 이용하여 온라인 스포츠 교육 서비스품질 19개의 항목을 분류한 결과, ‘체력/기술향상’, ‘부가적 서비스’, 2개 항목이 매력적 품질요소로 분류되었다. 일원적 품질요소로 분류된 항목은 모두 17개 문항으로 ‘불만 신속 처리’, ‘영상/어플 구성 유용’, ‘고객 요구 적극 처리’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Kano모델의 서비스품질요소 분류를 통해 고객만족계수를 도출한 결과 Better 지수는 ‘불만 신속처리’, ‘질문에 대한 신속 응답’, ‘영상/어플구성 유용' 항목 순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 그리고 Worse 지수는 ‘개인정보 호보’, ‘강의에 대한 친절함’, ‘강사의 예의’ 항목 순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 넷째, 온라인 스포츠 교육 서비스품질의 고객만족 개선지수(PCSI Index)는 ‘강의에 대한 친절함’, ‘강사의 예의’, ‘불만 신속처리’ 등의 항목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무도교육의 효율적인 온라인 교육은 강사의 친절함과 예의가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피교육자들의 불만과 질문에 대한 신속한 응답이 이루어진다면, 온라인 무도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이용자들의 만족도 향상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국어 온라인 교육서비스 품질이 학습성과 및 학습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JIAO YAN 대한경영정보학회 2022 경영과 정보연구 Vol.41 No.4

        코로나19뿐만 아니라 IT 산업의 빠른 변화와 성장에 맞물려 온라인 교육도 발전이 급격하게 진행되므로 온라인 교육의 역할은 강조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변화는 오프라인 중심으로 운영되던 대학들은 온라인 강의에 대한 경험 부족으로 질 높은 강의를 제공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따라서 온라인 교육에 있어서 학습자의 학습성과와 학습만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온라인 교육서비스 품질이 학습몰입을 통해 학습성과와 학습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함으로서 교육성과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요인들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Smart-PLS 방법을 통해 온라인 교육서비스 품질이 학습몰입, 학습성과 및 학습만족간의 영향관계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교육서비스 품질이 학습만족에 긍정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검정하였으나 학습성과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몰입이 학습성과 및 학습만족에 긍정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검정하였다. 셋째, 학습몰입이 온라인 교육서비스 품질이 학습성과 및 학습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매개효과가 있는 것을 검정하였다. 따라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온라인 교육서비스 품질 및 학습몰입이 높이기 위해 실증적으로 방안을 제시하였고 온라인 교육서비스 품질이 학습성과에 촉진하는 유효적인 방법을 탐색하였다.

      • KCI등재

        Online과 Offline 방식의 물류교육 서비스품질에 관한 비교 연구

        김영민(Young min Kim),강효원(Hyo won Kang) 한국국제상학회 2017 國際商學 Vol.32 No.3

        대학에서의 물류교육이 online과 offline 방식으로 진행되면서 e-learning과 같은 비대면의 온라인 물류교육과 전통적인 대면방식의 오프라인 물류교육에서 교육서비스품질의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고자 하였다. 유형성, 신뢰성, 반응성, 확신성, 공감성과 같은 일반적인 교육서비스품질이 온라인과 오프라인 방식의 물류교육에서 차이가 있는지 비교연구하고, 물류교육의 성과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교육서비스품질과 물류교육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통하여 물류교육 서비스품질 요인을 도출하였다. online 물류교육은 사이버대학의 물류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offline 물류교육은 전통적인 일반 대학의 물류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물류교육 서비스품질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성분석을 실시하여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인하였으며, online과 offline 방식의 물류교육 서비스품질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물류교육 서비스품질로서 유형성, 신뢰성, 반응성, 확신성 및 공감성의 요인을 추출하였다. online과 offline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공감성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유형성, 신뢰성, 반응성 및 확신성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education service quality such as tangibility, reliability, responsiveness, assurance and empathy in online and offline logistics education,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logistics education performance.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In the survey, online logistics education was conducted for students majoring in logistics at cyber university and offline logistics education was conducted for students at logistics major in general universities. For the empirical analysis,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confirm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and ANOVA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difference in logistics education service quality between online and offline methods. Results : As a result, empath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online and offline logistics education, but there was no meaningful gap in tangibility, reliability, responsiveness and assurance. Conclusions : In offline, logistics education should be carried out considering the empathy of learners. Because the learners perceive importantly logistics education service quality such as reliability, responsiveness and assurance, logistics education in the online and offline should be implemented reflecting these.

      • KCI등재

        온라인 음악교육에서 이러닝 품질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박명숙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6 음악교육공학 Vol.- No.28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learning achievement in online music education and the casual relationship between these factors to improve the quality of music education servic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author in this study suggested the quality of e-learning in online education services (the quality of system, information and service) as the factors affecting learning achievement (learning satisfaction, Intention to Continue Learning) through literary review and verified these factors through an empirical review. The results showed that the quality of e-learning in online education service (the quality of system, information and service) has a positive impact on learning satisfaction. In addition, learning satisfaction has a positive impact on Intention to Continue Lear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to help online music education learners to continue their learning satisfactorily, it is required to develop superior education contents and enhance the quality of customer service. 본 연구는 음악교육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온라인 기반 음악교육 서비스의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요인 간의 인과적 관계를 규명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문헌고찰을 통하여 온라인 교육서비스의 이러닝 품질(시스템 품질, 정보 품질, 서비스 품질)을 학습성과(학습만족도, 학습지속의도)의 영향 요인으로 제시하고 이를 실증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온라인 음악교육에서 이러닝 품질로서 시스템 품질, 정보 품질, 서비스 품질은 학습만족도에 정정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보 품질과 서비스 품질, 그리고 학습만족도는 학습지속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따른 시사점으로 온라인 음악교육 환경에서 학습자가 만족하고 지속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우수한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고 고객 서비스의 수준을 제고하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사이버대학의 온라인교육품질이 교육만족과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 개인혁신성의 조절효과

        강수림,조혜경 한국미용예술경영학회 2024 미용예술경영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사이버대학의 온라인교육품질에 대한 학습자들의 교육만족과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성과 개인특성 변인인 개인혁신성에 따른 차이점을 실증분석하였다. 조사대상은 현재 인터넷을 이용하여 사이버상에서 학습이 이루어지는 사이버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들이며, 2023년 8월 11일부터 2023년 9월 11일까지 온라인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226부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온라인교육품질의 시스템품질은 교육만족과 학습전이에 유의미한 영향력이 나타났다. 둘째, 온라인교육품질의 정보품질은 교육만족에서만 유의미한 영향력이 나타났다. 셋째, 개인혁신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시스템품질과 교육만족도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보품질과의 관계에서는 학습전이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학습자들이 안전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관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학습자들이 기대하는 형태의 정보와 전문성이 부각되도록 고급 정보나 필요한 정보, 현장에 반영하면 도움이 되고 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 정보품질을 강화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impact of online education quality at a cyber university on learners’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learning transfer, and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personal innovation, a personal characteristic variable. The subjects of the survey are college students currently attending a cyber university where learning is conducted online using the Internet. Data were collected online from August 11, 2023 to September 11, 2023, and 226 copies of the data were finally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system quality of online education qualit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education satisfaction and learning transfer. Second, the information quality of online education qualit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ly on education satisfaction.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 of individual innovativeness, it was foun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ystem quality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the relationship with information quality was foun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transfer. Through this study, it is most important to continuously support and manage the system so that learners can use it safely. It is helpful and good to reflect advanced information or necessary information in the field so that the type of information and expertise expected by learners is highlighted. It is believed that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the quality of information that can produce results.

      • KCI등재

        코로나 19로 인한 온라인 교육이 교육서비스 가치와 전공만족에 미치는 영향 : 2년제 항공서비스학과를 중심으로

        나소정 ( Na So-jung ) 한국관광산업학회 2020 Tourism Research Vol.45 No.4

        코로나 19는 대학교육도 빠르게 변화시키고 있으며, 그 변화의 중심에는 온라인 교육의 역할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이제 온라인 수업은 과거의 대면수업을 보조하는 수단이 아닌 교육의 중심이 된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 19 이후 대면수업을 보조하는 역할이 아닌 대면수업을 대체하고 대학교육의 중심이 된 온라인 교육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온라인 교육서비스품질이 교육서비스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고, 교육서비스 가치는 학생들의 전공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그리고 온라인 교육서비스품질과 전공만족 간의 영향관계도 조사하고자 한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온라인 교육서비스품질과 전공만족의 관계에서 교육서비스 가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 경기의 수도권 지역에 위치한 대학의2년제 항공서비스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통해 조사하였다. 조사는 편의표본추출방식으로 시행하였으며 수집된 설문지는 총241부였다. 이 중 불성실 응답 25부를 제외한 216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요인분석, 회귀분석, 매개효과 검증이 시행되었으며,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온라인 교육서비스품질 구성요소 중 유형성, 신뢰성, 확신성이 교육서비스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교육서비스 가치는 전공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온라인 교육서비스품질의 구성요소 모두가 전공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매개효과 검증에서는 온라인 교육서비스품질 구성요소 중 신뢰성, 확신성과 전공만족 간의 관계에서 교육서비스 가치가 부분매개효과를 보인다는 사실도 확인하였다. Covid-19 is rapidly changing university education, and the role of online education is important at the center of the change. Now online classes have become the center of education, not the means of assisting face-to-face classes in the past. Therefore,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look at online education, which replaced face-to-face classes and became the center of university education, rather than the role of assisting face-to-face classes after Covid-19. To this end, we will investigate whether the quality of online education services significantly affects the value of educational services and verify that the value of educational services significantly affects students' satisfaction with majors. Also, I would like to investigate the impact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online education service and satisfaction of major. In addition, we would like to verify the mediated effectiveness of the value of education servi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nline education service quality and major satisfaction. To that end, the study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students who major in airline service at college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survey was conducted by convenient sampling, and the total number of questionnaires collected was 241. Of these, 216 were used for analysis, excluding 25 unfaithful responses. Facto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ed effectiveness verification were performed for hypothesis testing, and the results of the verification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derived that among the online educational service quality components, materiality, reliability, and confidence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value of educational services. We also found that the value of educational service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major satisfaction, and that all the components of online educational service quality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major satisfaction. The mediation effects also confirmed that the value of educational service among online educational service quality components showed a partial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ability, confidence and major satisfaction.

      • 학생 검도 선수들의 비대면 온라인 교육서비스품질과 전공만족, 진로행동준비와의 관계 분석

        김영주(kim, Yeong-Ju),강진형(Kang, Jin-Hyung) 대한검도학회 2022 대한검도학회지 Vol.33 No.1

        이 연구는 학생 검도 선수들의 비대면 온라인 교육서비스품질과 전공만족, 진로행동준비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학생 검도 선수들의 교육과 훈련 지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한검도회 한국대학검도연맹에 등록된 검도 선수를 모집단으로 설정하여 176명의 자료를 연구결과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대학 검도 선수들의 비대면 온라인 교육서비스품질과 전공 만족, 진로행동준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변량 분산분석과 Duncan방법을 이용한 다중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대학 검도 선수들의 비대면 온라인 교육서비스품질과 전공 만족, 진로행동준비 변인간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하였다. 셋째, 대학 검도 선수들의 비대면 온라인 교육서비스품질과 전공 만족이 진로행동준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적 유의수준에 대한 해석은 p<.05에서 결정하였다. 그 결과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특성에 따른 비대면 온라인 교육서비스품질과 전공만족, 진로행동준비에 대한 차이를 검증 결과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비대면 온라인 교육서비스품질, 전공 만족, 진로행동준비의 모든 변인들 간에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직막으로 비대면 온라인 교육서비스품질의 하위 요인인 공감성, 확신성, 전공 만족의 하위 요인인 진로만족은 진로행동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education and training guidance of student kumdo players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of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service,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action prepara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data of 176 Kumdo players registered in the Korea kumdo Association Korea University Kumdo Federation were set as the population and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results. Data analysis is SPS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18.0 program. First,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service quality,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action preparation of college kumdo player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comparison analysis using Duncan method were performed. Second,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service quality,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action preparation variables of college kumdo players. Thi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service quality and major satisfaction of college kumdo players on career action preparation. The interpretation of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determined at p<.05.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differences in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service quality,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action prepara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partial difference.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all variables of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service quality,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action preparation.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 sub-factors of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service quality, such as empathy, certainty, and career satisfaction, which are sub-factors of major satisfaction, had an effect on career action preparation.

      • KCI등재

        언택트(비대면) 교육활성화에 따른 온라인 스포츠 교육 서비스품질이 운동몰입 및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전기제,유도상,신승호 한국스포츠학회 2021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9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스포츠 교육 컨텐츠를 이용하고 있는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KS-SQI모형을 적용한 온라 인 스포츠 교육 서비스 품질이 이용자들의 운동몰입과 운동지속의도와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시대적 상황 에 대한 극복과 온라인 스포츠 시장의 본격적인 육성에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연구의 대상은 온라인 스포츠 교육 컨텐츠를 이용하는 이용자로 설정하였으며 현 상황(코로나19)을 고려하여 인터넷 설문지(모아폼)를 활용하여 비 대면 조사를 실시하였다. 인터넷 설문지 구성은 이 연구의 목적과 설문방법에 대한 설명이 기재되었으며, 총 339부를 배포하였다. 이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Windows ver. 21.0 프로그램과 Amos 21.0 프로그램 빈도분석, 확인적요인분 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였다. 첫째, 온라인 스포츠 교육 서비스품질 요인 중 본원적서비 스, 부가서비스, 신뢰성, 친절성, 적극지원성, 매체유형성은 운동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접근용이성은 운동몰입에 유의한 영항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온라인 스포츠 교육 서비스품질 요인 중 본원적 서비스, 부가서비스, 친절성이 운동지속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신뢰성, 적극지 원성, 접근용이성, 매체유형성은 운동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온라인 스포츠 교육 이용자의 운동몰입이 운동지속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s' immersion in excercise and exercise continuous intention with the quality of online sports education services applied with the KS-SQI model to users who use various sports education contents. The research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t up as users of online sports education content. In consideration of the current situation (COVID-19), th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using the Internet questionnaire(Moaform), and a total of 339 copies were distributed. Survey data was process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 as follows. First, among the factors of online sports education service quality, the main service, additional service, reliability, kindness, active supportability and media type were had a positive effect on exercise immersion. However, accessibility was not had an effect on exercise immersion. Second, among the factors of online sports education service quality, the main service, additional service, and kindness were had a positive effect on exercise continuous intention. However, reliability, active supportability, accessibility, and media type were not had an effect on exercise continuous intention. Third, exercise was had a positive effect on exercise continuous intention.

      • KCI등재

        코로나-19 이후 온라인 교육 서비스품질 개선을 위한 실증적 연구 - IPA기법을 중심으로 -

        이초양,박재용 대한경영정보학회 2021 경영과 정보연구 Vol.40 No.4

        코로나-19는 전 세계로 퍼지고 있어서 일상생활에 많은 변화가 발생하였으며 모든 영역은 다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상황이 장기화할 것으로 예측되어 학교들은 향후 집중해야 할 과제로 질이 높은 온라인교육을 설정하 고 이를 실현할 수 있는 다양한 과업들을 추진하고 있다. 실제로 온라인 교육의 한계 등으로 학생들의 만족도가 떨어 지고 있다. 따라서 온라인 교육에 있어 학생들이 느끼는 교육서비스품질을 측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중국에서 일반 학생들을 대상으로 인식하는 온라인 교육 서비스품질 결정요인을 파악하여 이들에 대해 학생들이 어떤 요소를 중요하게 생각하거나 만족하는 지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모든 학생 들이 온라인으로 수업을 들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특정되지 않아서 일반 학생들을 대상으로 각 문항에 대한 중요도 및 만족도에 온라인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021년 2월1일부터 2월15일까지(2주 동안)에 총 230부의 설문을 배포 하였으며 회수된 설문 중 불확실하게 응답한 것을 제거한 후 총 227부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을 SPSS23.0으로 빈도분석,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IPA기법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IPA기법은 평가속성 결과를 매트릭스 도면 위에 가시적으로 도출해 마케팅 실무 담당자에게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제Ⅰ사분면은 현상유지 영역으로 이에 해당하는 것이 없으며 제Ⅱ사분면은 과잉노력지향 영역으로 유형 성과 공감성이 포함되어 있고 제Ⅲ사분면은 열등우위 영역으로 이에 해당하는 것이 없으며 제Ⅳ사분면은 집중 관리 지향 영역으로 확신성, 신뢰성, 반응성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를 따라 교수(교사)들은 강의 내용을 풍부하게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하며, 학습 진도 체크관리를 잘 수행 해야 학생만족을 형성시킬 수 있기 때문에 교수(교사)는 학생만족을 높이려면 학습 진도 체크관리를 잘 할 필요가 있 다 등의 시사점을 교수(교사)에게 제시해 준다. COVID-19 is spreading around the world, so many changes have occurred in daily life, and all areas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particular, as the COVID-19 situation is expected to be prolonged, schools are setting up high-quality online education as a task to focus on in the future and pushing for various tasks to realize it. In fact, students' satisfaction is falling due to limitations in online educ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easure the quality of educational services that students feel in online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the quality of online education services perceived by ordinary students in China and analyze what factors students think are important or satisfied with them. Since COVID-19 forced all students to take classes online, it was not specified, so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each question for general students. A total of 230 surveys were distributed from February 1 to February 15, 2021 (for two weeks), and a total of 227 copies were analyzed after removing uncertain responses among the collected survey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using SPSS23.0, and the IPA technique was analyzed through IPA technique to derive results, and the evaluation attribute results can be visually derived on the matrix drawing and used efficiently by marketing practition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Quadrant I is a status quo area, and quadrant II is an over-effort-oriented area, and quadrant III is an inferior advantage area, and quadrant IV includes certainty, reliability, and reactivity as an intensive management-oriented area. According to these results, professors (teachers) need to conduct lectures in a variety of ways, and to achieve student satisfaction by performing well in order to improve student satisfaction, professors (teachers) need to manage their learning progress well. It presents the implications of such things to the professor (teacher).

      • KCI등재

        IPA 분석을 통한 중학교 온라인 체육수업 개선방안

        송지현(Song, Ji Hyun),최원석(Choi, Won Seok),이혁기(Lee, Hyunk Gi) 한국체육교육학회 2021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6 No.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IPA 기법을 활용하여 온라인 체육교육서비스 품질에 관한 중학생의 인식을 조사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중학생 452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약 2개월간 총 3회에 걸쳐 설문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365부를 최종 자료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대응 t-test와 ipa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온라인 체육교육서비스 품질의 유형성, 신뢰성, 반응성, 확신성, 공감성 등 5가지 모든 구성요인에서 중요도와 만족도 간의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으며, 18개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IPA 매트릭스 분석 결과 현상유지인 I사분면에서는 유형성의 전체 항목, 확신성의 전체 항목, 공감성의 3항목이 포함되었고, 집중노력지향인 Ⅱ사분면에서는 공감성의 1항목이 포함된 것으로 드러났다. Ⅲ사분면에서는 유형성의 전체 항목과 신뢰성의 2항목이 포함되었고 Ⅳ사분면에는 신뢰성의 1항목이 위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온라인 체육교육서비스 품질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교사의 교과 내용 지식, 자율성지지 환경 제공, TPACK 습득 및 발달, 학생의 피지컬 리터러시 능력 향상 등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e curr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service quality that middle school students perceived in online PE via IPA technique. Methods: Four hundred fifty-two middle school students were selected and responded to the survey questionnaire that asked the service quality of online PE. Three hundred sixty-five usable surveys were analyzed by paired t-test and IPA technique. Results: First, this study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in all five factors (tangibility, reliability, responsiveness, assurance, and sympathy) and all 18 service quality items in online PE. Second, the IPA matrix analysis found that "Quadrant I (keep up the good work)" included all items of responsiveness, assurance, and three items of sympathy. "Quadrant Ⅱ (concentrate here)" included only 1 item of reliability, and "Quadrant Ⅲ (low priority)" included all items of tangibility and two items of reliability. "Quadrant Ⅳ (possible overkill)" included only 1 item of reliability. Conclusion: It was suggested that the development of PE teachers" PCK and TPACK, provision of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for autonomous support, and the improvement of students" physical literacy ability to develop service quality in online physical education bet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