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미적체험’예술교육이 청소년의 문화예술 향유인식에 미치는 영향 : ‘서울창의예술 중점운영학교’를 중심으로

        하수연 경희대학교 문화예술경영연구소 2012 문화예술경영 Vol.2 No.-

        이 연구는 다양한 분야에서 그 중요성이 인식되고 있는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의 흐름이 단순한 장르통합의 수준을 넘어, 심미적 사고를 지닌 다차원적 문화예술향유자를 양성하는 방향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참여자의 ‘미적체험(Aesthetic Experience)’을 극대화하는 예술교육과 더불어 그와 연계된 ‘미적체험활동’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은, 문화예술향유를 일상으로 여기고 예술을 옹호하는 적극적인 미래의 문화소비자를 양성하는 목표로 연결된다고 보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관람・교육・활동’이라는 ‘미적체험활동’에 대한 문화예술 향유인식의 관계를 지적, 정서적, 실천적 범주에 따라 살펴보았다. 미적체험예술교육의 효과가 청소년의 문화예술향유 인식확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얻어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 교육효과가 높은 학생의 경우, 문화예술참여 ‘욕구’에 따라 문화예술‘관람’과 ‘예술교육’에 대한 향유인식이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미적체험예술교육에서의 심화된 문화예술 ‘체험’에 대한 향유인식 확대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적 교육효과가 높은 학생의 경우, 문화예술참여 ‘욕구’에 따라 문화예술‘관람’과 더불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문화예술‘체험’활동에 대한 향유인식이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천적 교육효과가 높은 학생의 경우, 문화예술참여 ‘욕구’와 ‘인식’에 따라서 문화예술 ‘관람’ 위주의 문화예술 향유인식이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문화예술참여에 대한 욕구 및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예술교육 각각의 효과를 측정한 것을 기반으로 체계적이고 단계적인 문화예술향유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미적체험예술교육과 연계시키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그를 위하여 ‘미적체험’예술교육의 효과를 측정하는 루브릭 모델을 활용하여 교육의 효과를 측정하고, 본 연구 결과에서 도출된 각각의 문화예술향유 인식확대 분야를 연계하여, 능동적이고 주도적으로 참여 가능한 미적체험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사회・문화적, 제도적 지원과 관심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began from the recognition of the problem in which the flow of the cultural art education for the adolescent which is recognized for its importance in various fields needs i) to exceed the level of simple integration of genres, and ii) to be converted in the direction of training the multi-dimensional cultural and art enjoyers who have aesthetic thinking. The researcher believed that the art education that maximizes the aesthetic experience of participants and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aesthetic experience’, suggested the direction in terms of regarding the cultural art enjoyment as the daily life as well as training the active cultural consumers of future who support the arts. In this paper, the focus was made on the educational effect of aesthetic experience cultural education that can be distinguished in three categories: intellectual, emotional, and practical, and on the relationships among the cultural art enjoyment about the aesthetic experience activities called ‘cultural art watching-education-activities’. The hypothesis for examining the influence of the aesthetic experience art education on the expansion of recognition of cultural art enjoyment of the adolescen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conclusion that was obtain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urvey and interview data based on the research hypothesis is as follows. First, as for the case of the students with high intellectual educational effects, it was shown that the enjoyment recognition about the cultural ‘education’ that can maximize the cultural art ‘viewing’ and aesthetic experience according to the ‘desire’ of cultural art participation was expanded. Also, it was shown that as the ‘recognition’ increased, the expansion of enjoyment recognition about the intensified cultural art ‘experience’ in aesthetic experience art education was affected as well. Second, in case of the students with high emotional educational effects, it was shown that the enjoyment recognition about the cultural art ‘experience’ activities that allows them to directly participate in along with viewing the cultural arts according to the ‘desire’ of cultural art participation, was being expanded. Third, in case of the students with high practical educational effects, the cultural art ‘viewing’ - oriented cultural art enjoyment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desire’ and ‘recognition’ was being expanded. Eventually,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recognition about the desire and importance of cultural art participation, and develop systematic and phased cultural art enjoyment program based on the measurement of each of the effects of art education, and relate it to aesthetic experience art education. For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measure the educational effects by utilizing the Rubric Model that measures the effects of ‘aesthetic experience’ art education, and to have social, cultural, and systematic supports and interests about the development of aesthetic experience programs that can influence the recognition expansion to be realized.

      • KCI등재

        근대적 예술인식의 논리화 방식과 그 의미

        이선이(Lee, Sun-Yi) 우리문학회 2015 우리文學硏究 Vol.0 No.47

        이 연구는 우리의 근대적 예술인식이 어떤 논리화 방식을 통해 제출되었는가를 살피고, 이들 예술담론 속에 투영된 예술인식의 내용과 의미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는 근대문학 초창기에 우리 문학이 도달해야 할 하나의 이상으로 상정했던 예술의 구체적인 실상을 파악하는 작업과 결부된다. 우리의 근대문학에 대한 인식은 근대적 예술인식과 긴밀한 연관성을 가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근대적 예술인식을 활발하게 담론화한 문학담론, 미술담론, 종교담론을 중심으로 개별 담론에서 예술에 대한 인식을 수용하고 배치하는 방식에 주목함으로써 근대적 예술인식의 논리화 방식을 살펴보았다. 세부적으로는 이광수 · 김동인의 논의를 중심으로 문학담론을, 최남선 · 김환 · 김찬영의 논의를 중심으로 미술담론을, 신태악 · 오상순의 논의를 중심으로 종교담론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의 근대적 예술인식이 다양한 세부담론과 결합되면서 다양하고 복수적인 인식으로 제출되었다는 점, 예술의 타율성에서 벗어나 자율성의 획득이라는 단선적 발전 경로를 밟지 않았다는 점, 우리의 인문적 전통과 대화적 관계를 견지하며 심미적 인문성의 토대 위에서 예술을 재인식해 나갔다는 점을 새롭게 포착하였다. This essay is to explore what organizational process Korea’s modern awareness on arts has gone through and how it is formed, and to find contents and meaning of arts awareness that is reflected on such a discourse. This is also colligated with a task to understand the reality of arts that was designated as a ideology of which Korean literature should arrive, at the beginning of modern literature. It is because that the awareness on Korea’s modern literature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awareness of modern art Thus, the paper focused on the way which individual discourse including discourses on literature, arts and religion that are most actively discussed, are combined with the arts discourses as well as analyzing logical organization method of modern awareness on arts of those discourses. For example, the paper focused on arguments of Lee Kwang-su and Kim Dong-in for literature discourse, those of Choi Nam-seon, Kim Hwan, Kim Chan-yeong for art discourse, and those of Shin Tae-ak and Oh Sang-soon for religion discourse. Based on this analysis, the study has found detailed aspects of complex and multiple awareness of Korea’s awareness on arts in modern times. Also, it has newly found that Korea’s modern awareness on arts did not follow the linear footstep of just getting autonomy only escaping from heteronomy and, also that it tried to recognize the arts on foundation of aesthetic humanities while adhering to conversational relationship with Korea’s humanistic tradition during the process of accepting western arts awareness.

      • KCI등재

        문화예술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가치인식과 추구혜택에 관한 질적 연구

        이영선,신은주 한국마케팅학회 2011 ASIA MARKETING JOURNAL Vol.12 No.4

        This research attempted to present the efficiency of culture marketing to the organizations producing culture-art products and to the companies utilizing art and suggest the practical viewpoints to the culture and art policy agencies. The methodology used was to take an in-depth look at the consumer value cognition and benefits of culture-art products in contemporary consumption culture from a social context by conducting a total of 12 Focus Group Interviews, consisting of 58 males and females in their 10s~50s who can represent culture-art product consumers. The culture-art products refer to the artist's spiritual, actual act of creating or to the end products with economic exchange value. They are also sense goods and merit goods that affect the mental state of consumers. By looking at culture-art products as consumer merit goods, this research examined consumer value cognition of culture-art product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culture-art products. As a result, this research determined that consumers view culture-art products largely as ‘aesthetic and sensuous merit goods’, ‘actual and individual merit goods’, and ‘social public property’. As ‘aesthetic and sensuous merit goods’, culture-art products are considered as the products of an artist’s creative activities; as ‘social public property’, culture-art products have a public value in terms of ownership; and as ‘actual and individual merit goods’, culture-art products act on the spirit and reality of a consumer in terms of consump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benefits of culture-art products based on the above-mentioned consumer value cognition, it was observed that the benefits of culture-art-product consumption are chiefly divided into ‘aesthetic character-oriented’, ‘social relationships-oriented’, and ‘individual benefits-oriented’ depending on how consumers see culture-art products. A 3-conceptional structures model was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value cognition of culture-art products and the benefits. This research revealed that consumers who pursue the aesthetic value or sense of beauty as the central reason experience culture-art products themselves, enjoy intellectual quests, and pursue their satisfaction by expressing affection for and interests in culture-art products. On the other hand, consumers who pursue social value as the central reason as a means of communication by perceiving culture-art products as a public property of society, pursue sympathy with people close to them through the symbolic power of culture-art product consumption or the joy of self-display. Consumers who perceive art products as spiritual and actual merit goods and pursue consumer value as a central reason want to express their own personality, develop themselves, and differentiate themselves or identify themselves with others in the context of social relations for the ultimate goal of living a happy and satisfied life while pursuing to satisfy imminent and actual necessities as emotional stability and rest. The fact that culture-art product benefits could vary according to how a consumer perceives them implies that consumer value cognition of culture-art products and their benefits significant affect consumers' decision in choosing and consuming various culture-art products. It turned out that such benefits from the consumption of culture-art products reflect the complex contemporary consumption culture of rational consumption, symbolic consumption, experiential consumption, and social reflective consumption. This research identified conceptional structures of consumer value cognition on culture-art products and benefits that can be used for studying and understanding culture-art products consumers who pursue a variety of consumption values. They can also be used by private companies in utilizing art, as well as by national agencies in enhancing the population’s quality of life. However, since this... 본 연구는 문화예술상품 소비자 연구를 위한 개념적 구조를 마련하고, 문화예술상품 생산기관 및 문화예술정책기관과 문화예술을 활용하는 기업의 문화마케팅의 효율성을 위하여 문화예술정책기관에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현대소비문화 속에서 문화예술상품 소비자의 가치인식과 추구혜택을 사회적 맥락에서 심층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문화예술상품 소비자를 대표할 수 있는 10대부터 50대까지의 남녀 58명을 12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총 12회에 걸친 표적집단면접(FGI)를 실시하였다. 문화예술상품은 예술가의 정신적․관념적 창작행위나 그 결과물인 작품에 경제적 교환가치가 부여되어 소비되는 상품이다. 문화예술상품의 특성을 바탕으로 문화예술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가치인식의 개념구조를 알아본 결과 ‘실제적․개인적 가치재’, ‘사회적 공공재’, ‘미학적․감각적 경험재’로 나타났으며, 경험적 소비재의 관점에서 문화예술상품 소비 추구혜택의 개념구조를 알아본 결과 ‘예술적 특성지향’, ‘사회적 관계지향’, ‘개인적 유익지향’의 방향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예술상품 소비에 대한 이와 같은 소비자의 가치인식과 추구혜택의 개념구조는 합리적 소비, 기호 상징적 소비, 경험적 소비, 반성적 소비라는 복합적인 현대소비문화가 반영된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문화예술상품에 대한 소비자 가치인식과 추구혜택의 관계를 개념적으로 분석한 결과 문화예술상품 소비자의 가치인식에 따라 추구혜택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문화예술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가치인식이 추구혜택의 특성을 형성하며, 소비를 결정하고 문화예술상품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 결과로 나타난 가치인식과 추구혜택의 개념구조는 문화예술상품 소비자 연구의 측정도구 개발에 사용될 수 있으며, 기업의 효율적인 문화예술마케팅 전략 및 소비자 중심의 문화예술상품 생산과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국가기관의 정책 수립에 필요한 소비자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사 양성과정에 대한 음악대학 학생들의 인식연구

        박영주(YoungJoo Park)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8 음악교육공학 Vol.- No.35

        본 연구는 음악대학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사 양성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음악대학 중 문화예술교육사 양성과정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10곳의 음악대학 재학생들에게 설문이 링크된 모바일 문자와 SNS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총 611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불성실한 36명의 응답을 제외한 575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음악대학 내에 문화예술교육사 양성과정이 설치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수의 학생들이(N=209, 36.35%) 문화예술교육사에 대해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다. 둘째, 학생들은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취득을 위한 직무역량 다섯 과목 수가 적당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학생들은 문화예술교육사 양성과정 프로그램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의 필요성에 대해 매우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M=3.888, SD=0.837), 자격증 이수 의지에 대해서는 다소 낮은 긍정적 인식을 나타내었다(M=3.137, SD=1.019). 또한 성별, 전공, 학년, 이수 과목 수에 따라 전공실기 발달에 도움, 자격증의 필요성, 자격증 이수 의지, 졸업 후 취직 연관성, 문화예술교육사 교과목 추천에 대하여 유의미한 인식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음악대학 내 문화예술교육사 양성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연구한 기초 자료로서 그 의의를 둔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s of university music majors about the Korean government’s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ACEI) certification program designed to expand opportunities for future professional musicians as well as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A link to access the study’s survey online through Google Form was distributed to music majors through music departments at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do that had been approved to provide the courses for ACEI certification. Surveys were completed from June through August 2017. There were 611 participants in this study; 36 were eliminated due to incomplete responses, so that the responses of 575 participants were analyzed.

      • KCI등재

        예술치료사와 예술치료전문가의 연구윤리에 대한 인식 및 요구

        최세민,오승주 (사)한국예술치료학회 2019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wareness and needs of arts therapists and arts therapy professionals for research ethics. This study includes 109 people who were 103 arts therapists and 6 arts therapy professionals. The arts therapists majored in arts therapy at graduate school and have working as therapists.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arts therapis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 consideration of background variables including academic credential, research experience, research ethics education experience and experience of publishing an article. And the arts therapy professionals were asked to give their opinions on the necessity of research ethics and which themes should be dealt with in research ethics for arts therapist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arts therapists weren't well aware of research ethics in general. Next,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s among them in research ethics awareness according to the themes of research ethics areas and their own background variables was analyzed. As a resul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erms of confidentiality, plagiarism, redundant publication and the code of ethics for therapist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data management, author qualifications, conflicts of interests, data manipulation, the method of citation and the publication of finding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Finally, the awareness and needs of the arts therapy professionals were as follows: First, the arts therapy professionals were highly cognizant of the need for research ethics education. Second, as for the major areas of research ethics for arts therapists, they commented that research methodology including how to write a paper should be included as one of the major areas. Third, as to an educational institution of research ethics for arts therapists, they commented that a college or graduate school which was to education arts therapists would be most appropriate. Fourth, concerning the reason why research ethics was important for arts therapists, their opinion was that those whom arts therapists research were socially disadvantaged, and that it focused on humans. Fifth, regarding how to make research ethics take root among arts therapists, they stressed that not only the role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but those of related academic societies were of importance. 본 연구는 예술치료사와 예술치료전문가의 연구윤리 인식 및 요구를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대상은 대학에서 예술치료를 전공하였거나 대학원과정에서 예술치료를 전공하고 치료사로 활동하고 있는 예술치료사 103 명과 예술치료 전문가 6명 등 전체 109명으로 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예술치료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다음 학력, 연구경험, 연구윤리 수강경험, 학술논문 출판경험 등 배경변인에 따라 분석하였다. 또한 예술치료 전문가를 대상으로는 전문가가 인식한 연구윤리의 필요성과 예술치료사의 연구윤리에서 다루어야 할 주제 등과 관련된 요구 를 알아보았다. 이와 같은 절차와 방법을 통하여 나타난 결과를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예술치료사의 연구윤리 인식은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연구윤리 영역별 주제 및 치료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인식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첫째, 비밀보장, 표절, 중복게재 및 치료사 윤리강령 등은 배경변인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데이터 처리방법, 저자 자격기준, 이해충돌, 데이터 조작, 인용방법, 연구결과 발표 등은 배경변인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끝으로 예술치료 전문가들의 인식 및 요구는 첫째, 예술치료사의 연구윤 리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높은 인식을 하고 있다. 둘째, 예술치료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윤리의 주요 영역에는 논문작성방법을 포함한 연구방법론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는 의견을 나타냈다. 셋째. 예술치료사를 대상 연구윤리 교육기관으로는 예술치료사 양성대학(원)이 가장 적합하다는 견해를 나타냈다. 넷째, 예술치료사들에게 연구윤리가 중요한 이유에 대하여는 예술치료사의 연구대상이 사회적 약자이고 또한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이기 때문이라 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예술치료사의 연구윤리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예술치료사를 양성하는 교육기관뿐 아니라 관련 학술단체의 역할도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 하였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유아기 문화경험과 문화자본이 문화참여에 미치는 영향

        유재경(You Jae-Kyung),권정숙(Kwon Jung-Sook),조혜영(Jo Hye-Young)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5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유아기 문화경험과 문화자본이 문화참여에 미치는 영향에서 문화예술 인식 및 문화예술 활동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남부지역 소재지 유아교육과와 보육과에 재학 중인 762명을 대상으로 유아기 문화경험, 문화자본, 문화참여, 문화예술인식 및 문화예술 활동 만족도 척도를 사용하여 SPSS 18.0과 AMOS 1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기 문화경험, 문화자본, 문화예술 인식 및 문화예술 활동 만족도는 문화참여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문화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모두 고려하여 분석한 결과,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의 적합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기 문화경험과 문화참여간의 관계는 문화예술 인식과 문화예술 활동 만족도에 의해 완전 매개되었다. 문화자본과 문화참여간의 관계는 문화예술 인식과 문화예술 활동 만족도에 의해 부분 매개되었다. 문화예술 인식과 문화참여 간의 관계는 문화예술 활동 만족도에 의해 완전 매개되었다. 결론적으로 예비유아교사의 문화예술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도모하여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인프라 조성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ultural experience in early age and cultural capital affected on their cultural participation with analysing mediate effects of their perception of culture and arts and satisfaction of culture and arts activiti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762 studen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at colleges located in the Gyeonggi-do. Collected data were put to SPSS 18.0 and AMOS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cultural experience in early age, cultural capital, perception of culture and arts and satisfaction of culture and arts activities were correlated with cultural participation.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all variables affecting culture participation, the goodness-of-fit tests of measurement model and structure model were fine. The relation between cultural experience in early age and cultural participation was wholly mediated by perception of culture and arts and satisfaction of culture and arts activities. The relation between cultural capital and cultural participation wa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perception of cultue and arts and cultural participation was wholly mediated by satisfaction of culture and arts activities. This study implied that cultural infrastructure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to improve satisfaction of culture and arts activities.

      • KCI우수등재

        〈기술편집예술〉의 대상과 인식 연구 - 디지털회화의 욕망과 인공자연의 아우라

        이용욱(Lee, Yong-wook) 국어국문학회 2021 국어국문학 Vol.- No.196

        모든 예술 관념은 범주 안에 포함되는 ‘대상’과 대상에 대한 미적 ‘인식’에 기초한다. 우리에게 주어진 고정된 개념처럼 보이는 ‘예술’이 사실은 다양한 역사적 인식들과 실천들 속에서 구성된 것이며, 지금까지 견지해온 예술 개념이 현재와 같은 기술 환경에서 더 이상 예술을 설명하는 데에 적절하지 않다는 것은 예술의 대상과 인식이 변했기 때문이다. 기술편집예술의 모방과 재현의 대상은 인공자연이다. 인공자연은 가상적 기술을 통해 물리적 존재성을 드러내는 것으로 비인간-주체와 네트워크-공간, 디지털-도구라는 비물질적 토대 위에서 성립된다. 현실공간 예술 텍스트의 단순한 코드변환 수준에 머물던 기술편집예술은 인공자연이라는 재현 대상이 등장하고 특히 인공지능과 블록체인 같은 디지털 기술이 예술 창산과 향유 과정에 직접적으로 개입하기 시작하면서 특이점에 도달한다. 예술은 대상을 그대로 복사하는 재현(reappearance)이 아니라 주관에 의해 다시 구성하는 표현(expression)의 산물인데 ‘주관’을 갖추고 있지 않은 기술이 예술 의지의 추동에 중요한 역할을 하면서 전통적인 예술 패러다임에 균열이 나기 시작한 것이다. 본 논문은 창작의 전 과정이 인공자연에서 비물질적 상상력과 기술교감을 통해 이루어지는 기술편집예술의 대상과 인식의 문제를 논의해 보고자 한다. 2장에서는 예술의 대상과 인식에 대한 기존 미학 이론을 재매개해보고, 3장에서는 현재 기술편집예술의 가장 선도적인 대상인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회화를 자본주의 예술의 욕망이라는 관점에서 분석해 보았다. 4장에서는 인간-주체에게 예술적 영감을 주는 비인간-주체와 네트워크-공간이 어우러진 인공자연이 조성되는 새로운 분위기를 ‘아르투라(Artura)’로 명명하고 인식의 변화라는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예술을 다른 것과 차이나게 하는 예술 자체의 특징은 형식의 창조라는 점이다. 예술은 사물을 형태 지우는 것이거나 달리 말해서 조성해내는 것이다. 예술은 물질과 정신에 형식을 부여한다. 예술이 자연의 산물이 아니라 인간 활동이라는 점은 확실하다. 더구나 예술은 우연의 반영이나 소산이 아니라 ‘의도적인(conscious)’ 활동이다. 예술의 존재는 결국 당대 예술과 기술과 자본을 관통하고 연결하는 욕망의 문제이다. 문학이 기술편집시대에도 여전히 존재하기 위해서는 욕망을 갱신하고 새로운 수요를 창출해야 한다. 새로운 형식의 창조에 망설인다면 기술편집예술에서 문학의 자리는 사라지게 될 것이다. 메타버스 안에서 춤추고 노래하는 디지털 음유시인의 모습이 문학의 미래가 될 수도 있음을 인정할 수 있을 때 문학의 새로운 도전은 시작될 수 있다. All artistic ideas are based on the ‘object’ included in the category and the aesthetic ‘recognition’ of the object. ‘Art’, which seems to be a fixed concept given to us, is actually constructed from various historical perceptions and practices, and the concept of art that has been held up to now is no longer appropriate to explain art in the present technological environment. This is because the object and perception of art have changed. The object of imitation and reproduction of technical editing art is artificial nature. Artificial nature reveals physical existence through virtual technology and is established on the immaterial basis of non-human-subject, network-space, and digital-tool. Technological editing art, which stayed at the level of simple transcoding of texts in real space art, reaches a singularity when an object of representation called artificial nature appears and digital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lock chain begin to intervene directly in the process of art creation and enjoyment. Art is not a reproduction of an object as it is, but a product of expression that is reconstructed by subjectivity. it started to come out This thesis intends to discuss the problem of object and perception of technical editing art, in which the entire creative process takes place through immaterial imagination and technical communication in artificial nature. In Chapter 2, we re-mediate the existing aesthetic theories on the object and perception of art, and in Chapter 3, we analyzed the blockchain-based digital painting, which is currently the leading object of technical editing ar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riangle of desire. In Chapter 4, a new atmosphere in which artificial nature is created in harmony with non-human-subject and network-space, which gives artistic inspiration to human-subjects, was named ‘Artura’ and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change of perception. What sets art apart from others is that art itself is the creation of forms. Art is about shaping things, or in other words, creating them. Art gives form to matter and spirit. It is clear that art is not a product of nature, but a human activity. Moreover, art is not a reflection or product of chance, but a ‘conscious’ activity. The existence of art is ultimately a matter of desire that penetrates and connects contemporary art, technology, and capital. In order for literature to still exist in the era of technical editing, it must renew desires and create new demands. If he hesitates in creating a new form, the place of literature in the technical editing arts will disappear. A new challenge in literature can begin when it can be acknowledged that the digital minstrel dancing and singing within the metaverse could be the future of literature.

      • KCI등재

        학교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참여자의 인식 분석과 개선방안 연구: 예술꽃 씨앗학교를 중심으로

        이경진 ( Lee Kyung-jin ),최나영 ( Choi Na-young ),강주희 ( Kang Joo-hee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9 예술교육연구 Vol.1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일환인 ‘예술꽃 씨앗학교’를 운영 중인 참여자, 즉 학교 행정가, 교사, 강사들이 가지고 있는 예술꽃 씨앗학교의 성과에 대한 인식과 집단 간 차이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에 참여하고 있는 학교행정가, 교사, 예술강사, 문화기획자(예술꽃 씨앗가꿈이) 총 308명을 대상으로 교육성과와 운영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설문을 실시하고 네 집단으로 구분하여 일원배치분산 분석을 실시한 후 집단 간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질적 자료는 워드 클라우드로 비교하였다. 그리고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예술꽃 씨앗학교 뿐 아니라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성공적 실행을 위한 개선사항을 도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참여자들은 전반적으로 예술꽃 씨앗학교가 교육목표를 달성했고, 학생의 문화예술역량과 정서 함양 및 인성 개발, 교육과정과의 연계나 지역주민에 대한 교육효과가 있으며, 지역 거점 역할을 하고 있다고 인식했다. 그런데 많은 항목들에서 교장·교감 및 교사 집단과 예술강사 및 문화기획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잘 실행되고 있지 않거나 개선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부분들도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학교문화예술교육에 대한 물적·인적 자원 투입에 대한 제고, 지원 사업 종료 후 지속을 위한 노력, 최근 제안되고 있는 개선방안들의 도입과 실천, 교사 집단과 학교 밖 전문가들 간의 협력관계 구축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quiry the perception of the educational achievements of participants who are operating the "Arts-Flower Seed School," part of School Arts and Culture Education, as well as to explore differences in perception among stakeholder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308 school administrators, teachers, art instructors, and cultural agents (SSiat Gakkumi) who have been involved in the operation of Arts-Flower Seed Schools were surveyed to find out how they perceive their educational achievements and operations and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perceptions among different groups. And based on the quantitative and word cloud analysis results, this study suggests ideas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School Arts and Culture Education as well as Arts-Flower Seed Schools. As a result of the survey, stakeholders recognized that the Arts-Flower Seed Schools achieved its educational goal, and enhanced students' cultural and artistic capabilities, students' emotion and personality, and linkage with the school curriculum. Additionally, they recognized educational effects on local residents and a leading role that the school played for the local arts and culture.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poses the enhancement of material and human resources input to School Arts and Culture Education, efforts to continue after the completion of the four-year financial support, the attempt and implementation of recently proposed improvement plan, and the establishment of cooperative relations between teachers in the school and experts outside the school.

      • KCI등재

        유아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과 가정의 유아 문화예술교육 실천에 대한 연구

        안혜령,류미향 한국문화교육학회 2022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7 No.4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401 mothers with children in early childhood in Busan. It aimed to examine the mothers' awareness of early childhood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e family's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 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use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awareness and practice.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using SPSS 25.0. First, the mother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culture and arts education very highly and considered the development of cultural and artistic sensibilities and emotional stability, cultivation of creativity, and enhancement of expressiveness as reasons for its importance. Second, the mothers' satisfaction with early childhood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vided by kindergarten or daycare centers and with the contents of local cultural facilities were generally high. Third, the frequency of the family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 was occasionally, and the representative cultural facilities visited were in the order of historical sites, museums, and art galleries. Forth, the families with children in early childhood used early childhood culture and arts education for children, and the number of times was slightly less than one, the average. The most preferred type of program was art, and the use of a private academy was the most favored. Fifth, the higher the mother perceived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e more she tended to experience family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and to use early childhood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Based on this result, we discussed the need for parent education on culture and arts and early childhood culture and arts education. We also suggested improving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rough mutual cooperation among families, institutions, and local communities. 본 연구는 유아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가정의 문화예술교육 실천에 대해 살펴보고 인식과 실천 간의 관계를 탐색해보고자 부산시 유아 어머니 4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SPSS 25.0을 활용한 통계분석을 통해 다음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어머니는 유아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을 매우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감성 발달 및 정서적 안정, 창의성 함양과 표현력 신장 등을 중요성의 이유로 여겼다. 둘째, 유아교육기관의 유아 문화예술교육과 지역문화시설 콘텐츠 각각에 대한 어머니의 만족도는 대체로 높았다. 셋째, 가족 문화예술 경험 빈도는 가끔 하는 수준이었으며, 방문한 대표적인 문화시설은 역사유적지, 박물관, 미술관 순이었다. 넷째, 유아가정에서는 평균 1개보다 약간 적은 수준으로 유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그 유형으로는 미술이, 진행방식으로는 사설학원 이용이 가장 선호되었다. 다섯째, 어머니가 유아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을 높게 인식할수록 가족 문화예술 경험과 가정 내 유아 문화예술교육 이용을 각각 더 많이 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문화예술 및 유아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부모교육의 필요성을 논의하였으며, 가정-유아교육기관-지역사회 등의 상호협력을 통한 유아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제고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예술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유아의 창의적 인성 간의 관계: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심숙영,문시연 한국보육지원학회 2015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1 No.4

        본 연구에서는 예술교육에 대한 교사인식,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과 유아의 창의적 인성 간의 관련성을 조사하였고 예술교육에 대한 교사인식과 유아의 창의적 인성 간에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는 서울시에 소재한 사립 유치원 및 국공립 어린이집과 민간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156명과 그들이 담당하는 유아 593명이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술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높을수록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의 역할 수행이 높았으며 유아의 창의적 인성 점수도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예술교육에 대한 교사인식과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은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술교육에 대한 교사인식은 직접적으로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영향을 주면서, 동시에 예술교육에 대한 교사인식은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수행에 영향을 주고 그에 따라 유아의 창의적 인성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유아의 창의적 인성을 계발시키기 위해서는 예술교육에 대한 교사의 올바른 인식과 더불어 예술 활동 시 유아의 창의적인 표현을 격려하고 예술과정에 동기를 부여하는 등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을 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