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화제작 인력의 예술가로서의 정체성이 전문성과 업무자율성에 미치는 영향: 2014-5년도 주요 활동 영역(독립영화 Vs. 상업영화)의 조절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이희진 한국영화학회 2018 영화연구 Vol.0 No.76

        This study is based on the SEM model of Korean film crews’ artistic identity, job autonomy and professionalism. Key details identified in the data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artistic identity and professionalism are slightly above the middle level of a scale, and the job autonomy is slightly below the positive assessment standard. In job autonomy,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feature film crews, independent film crews). However, although the artistic identity is significantly higher among independent film crews than that of feature film crews, the professionalism is higher among feature film crews. Second, the artistic identit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job autonomy, and job autonomy also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rofessionalism. However, The artistic identity and professionalism show a negative correlation. Third, among independent film workers, the artistic identity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their professionalism. Both direct effect are significant(artistic identity➝ job autonomy; job autonomy➝professionalism). The mediating effect of job autonomy is significant(artistic identity➝job autonomy➝professionalism). Fourth, among feature film workers, the artistic identity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their professionalism. Both direct effect are significant(artistic identity➝job autonomy; job autonomy➝professionalism), however, the mediating effect of job autonomy is not significant(artistic identity➝job autonomy➝professionalism) unlike that among independent film people. Fifth, although the artistic identity does not directly affect the professionalism in both groups, it shows that the perfect mediation effect of the job autonomy positively influences their professionalism. Lastly, it is proved that the direct effect of the artistic identity on job autonomy is far more influential in independent film crews than in feature film crews. The different aspect is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and the moderating effect is proved empirically. In identifying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the artistic identity on professionalism and work autonomy, it is confirmed that the validity of the analysis that reflects the moderating effects of major activity areas. Based on the main findings,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영화산업에서 활동하는 영화제작 인력(402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예술가로서의 정체성’, ‘업무자율성’ 그리고 ‘전문성’의 인과관계를 구조모형분석(SEM)에 기초하여 실증적으로 규명한 연구이다. 자료분석을 통해 밝혀진 주요 내용을 요약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술가로서의 정체성과 전문성은 척도의 중간수준(3점)을 약간 상회하였고, 업무자율성은 긍정적인 평가기준(4점)에는 다소 못미치는 수준이었다. 업무자율성에서는 두 집단(상업영화집단, 독립영화집단) 간에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예술가의 정체성은 상업영화 영역보다 독립영화 영역에서 주로 활동하는 응답자들이 유의하게 높았지만, 전문성은 이와 대조적으로독립영화 영역 보다는 상업영화 영역의 응답자들이 더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전체응답자들을 대상으로 연구모형을 분석에서, 예술가의 정체성은 업무자율성에 긍적적인 영향을 주었고, 업무자율성은 전문성에 긍정적이 영향을 주었다. 하지만 예술가의 정체성과 전문성은 부적상관관계를 이루었다. 셋째, 독립영화 집단의 경우, 예술가의 정체성은 전문성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예술가 정체성➝업무 자율성’ 경로와 ‘업무자율성➝전문성’ 경로’ 이 두 직접 경로는 유의하였다. 업무자율성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넷째, 상업영화 집단에서도 ‘예술가 정체성➝전문성’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고, ‘예술가 정체성➝업무 자율성’ 경로와 ‘업무자율성➝ 전문성’ 경로 이 두 직접 경로는 유의하였지만, ‘예술가 정체성➝업무 자율성➝ 전문성’ 경로의 업무자율성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다섯째, 예술가의 정체성이 두 집단 모두에서 직접적으로 전문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독립집단의 경우는 업무자율성의 매개효과가 입증되어, 업무자율성을 완전매개로하여예술가의 정체성이 이들의 전문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이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예술가의 정체성이 업무 자율성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상업영화집단에서보다 독립영화집단에서 훨씬 더 영향력이 유의하게 크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두 집단간의 상이한 양상이 발견되어 조절효과가 실증적으로 입증되었다. 영화제작 인력의예술가로서의 예술가의 정체성이 전문성 및 업무자율성에 미치는 직간접효과를 규명함에 있어서, 주요 활동영역의 조절효과를 함께 반영한 분석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주요 발견점을 토대로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희극적 자율성

        황대원(Hwang, Daewon) 현대미술학회 2016 현대미술학 논문집 Vol.20 No.1

        이 논문은 예술의 자율성의 의미를 미학적 관점에서 해명해 보는 시도다. 페터 뷔르거는 20세기 초의 아방가르드 운동들의 일반적 특성이 예술 제도에 대한 비판이라고 밝혔다. 예술 제도의 주된 기능은 예술의 자율성을 유지하는 데 있으며, 아방가르드는 이런 굴레를 부정하고 현실적 삶에 참여하려 했다. 작금의 미술 담론에서 널리 수용된 이런 시각에 따르면, 예술의 자율성은 시대에 뒤진 관념으로서, 예술의 사회정치적 참여를 가로막기 때문에 비난해야 할 것으로 여겨질 수도 있다. 그러나 뷔르거 자신은 그렇게 주장한 적이 없다. 오히려 그에 의하면, 아방가르드는 예술과 현실적 삶의 통합을 추구하지 않았고, 현실과 분리된 동시에 불가분한 예술의 ‘상대적’ 자율성은 여전히 필요하다. 이 논문은 뷔르거가 남긴 단서를 근거로, 예술이 이런 자율성을 갖는 원리를 헤겔 미학의 관점에서 설명한다. 헤겔에 의하면, 근대 이후의 예술을 대변하는 주된 특징은 ‘유머’다. 이 개념은 크게 두 가지 예술적 경향을 가리킨다. 즉, 내적 이상과 외적 현실의 불화를 드러내는 외견상의 혼란과, 그런 불화에도 불구하고 희극적으로 유지되는 개인의 자유에 대한 표현이 그것이다. 내적인 것과 외적인 것의 불화를 담아내기에, 예술은 뷔르거가 요구한 역설적 자율성을 간직한다. 다시 말해, 예술은 현실적 삶과 불가분한 것이면서도, 동시에 현실과 대립하는 주관적 이상을 대변한다. 끝으로, 이 논문은 뒤샹의 예술을 이런 유머의 주요한 사례로서 연구하고, 이로써 예술의 ‘희극적’ 자율성을 뒷받침할 미학 이론의 디딤돌을 제공할 것이다. This paper attempts to explain the meaning of autonomy of art from an aesthetic point of view. Peter Bürger argued that the general nature of avantgarde movements of the early 20th century is the criticism of the institutions of art. The avantgarde denied the yoke of the institutions whose main function is to maintain the autonomy of art, and tried to engage in real life. According to this received view, the autonomy of art might be considered an outdated idea that should be blamed for interrupting the sociopolitical participation of art. However, Bürger never argued in that way. Rather, according to him, the avantgarde artists had not sought to unify art and real life, and the relative autonomy of art that means art is separable and inseparable from reality at the same time is still necessary. Following clues Bürger left, this paper explains how art has such autonomy by means of Hegel’s theory of art. According to him, the main feature of art since the modern age is humor. This concept means two primary tendencies of art: the outwardly chaotic appearance that shows signs of discord between the inner ideal and the outer reality, and the expression of individual freedom, in spite of such discord, preserved in a comic way. As it embodies the dissonance between the inner and the outer, art has the paradoxical autonomy Bürger required. In other words, while art is inseparable from real life, it also represents the subjective ideal that opposes the reality. Finally, this paper will study Duchamp’s art as the prime example of the humor in question, and thus provide a stepping stone for the aesthetic theory that supports the comic autonomy of art.

      • KCI등재

        일반 논문 : 18세기 미적 교양의 두 가지 구상: 쉴러와 슐레겔

        최문규 ( Moon Gyoo Choi ) 연세대학교 유럽사회문화연구소 2014 유럽사회문화 Vol.0 No.13

        본 논문에서는 18세기 말 쉴러와 슐레겔이 서로 다른 의미로 구상했던 미적 교양(asthetische Bildung)을 비교 분석하였다. 미적 교양은 넓은 의미에서 신구 논쟁 선상에서 파악될 수 있으며, 좁은 의미로는 프랑스 혁명에 대한 독일 지성인의 반응으로 볼 수 있다. 이 밖에 한 가지 중요한 의미는, 미적 교양에는 다름 아닌 예술의 자율성에 대한 시각이 녹아 있다는 것이다. 이는 예술의 자율성에 관한 미학적 논쟁에서 쉴러와 슐레겔의 시각이 자주 거론되는 것을 통해서도 재확인될 수 있다. 쉴러의 경우, 삶과 현실로부터 분리된 예술의 자율성이 거론됨에도 불구하고 그 자율성은 “진실로 아름다운 것”, “인류의 이념”, “이성의 과제” 등과 같은 담론과 연결되고 있다. 그 결과 예술의 자율성은 궁극적으로 이성과 아름다움의 담론 내에서 지양되고 만다. 언뜻 보기에 삶과 예술이 분리되는 것처럼 보여도 사실은 이성에 대한 은유적 관계 속에서 예술의 자율성이 은밀히 지양됨으로써 결국 양자는 하나가 된다. 반면에 슐레겔은 미적 교양을 바탕으로 고대적 포에지와 현대적 포에지를 구분하고. 특히 후자의 새로운 특징으로 “흥미로운 포에지”라는 개념을 사용한다. 고대적 포에지와 현대적 포에지를 다루는 슐레겔의 시각은 철저히 예술적인 현상의 고유성을 짚어내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때론 정치적인 현상까지도 미학화하는 과감한 수사학도 사용하고 있다. 슐레겔의 시각은 삶과 예술을 서로 구분하지 않는 포괄적인 것처럼 보이는 가운데 실제로는 철저히 예술의 자율성 논리 내지는 예술의 절대성 논리 내에서 전개되고 있는 것이다. 이는 낭만주의적 포에지를 삶과 포에지의 경계를 해체하는 보편적인 점진적 포에지라고 규정하는 가운데사실은 예술의 자율성을 옹호했던 논리 전개와 그 궤를 같이 한다. 이와 같은 미적 교양과 예술의 자율성에 대한 쉴러와 슐레겔의 상반된 시각을 강조하는 시도는 매우 시급한데, 그것은 주로 “계몽”의 관점에서 고전주의와 낭만주의 간의 차이를 지양하려는 관점이 최근 연구에서 팽배해 있기 때문이다. Am Ende des 18. Jahrhunderts entstanden zwei Konzepte "asthetischer Bildung" von Schiller und Schlegel, die mit der Autonomie der Kunst einhergehen, wobei es sich jedoch darum handelt, die Problematik Zusammenhangs von Leben und Kunst, Politik und Asthetik zu erleuchten. Schiller hielt die Politisierung der Kunst im Auge, indem er die Aquivalenz von Schonheit und Menschheit, Kunst und Vernunft uberspielt. Hingegen wollte Schlegel die Selbstreferentialitat der Kunst verstarken, indem er sogar mit der Synonymitat von Schonheit und Menschheit, Kunst und Vernunft spielt.

      • KCI등재

        이태준 문학과 예술 자율성

        송인화 상허학회 2004 상허학보 Vol.13 No.-

        In this paper, I want to show the accomplishment and the limit of lee tae joon’s literature through the structure and logics of the art in his novel. Lee’s novel was against to the philistinism of modern capitalism. His art was one of the main reaction to that, so the art had the meaning including recognition and practice of that. But before researches approached that just as a formal skill, so they could not explain of lee’ art well. In lee Tae Joon’s novel, the concept of art includes a contradictory idea for collective nations. Because he understand the unfairness of modern philistinism as the same realities of the colonial, he regarded art as a true practice for peoples who supper from the japanese colonist. Therefore his concept of art combines with nationalism ‘in the beginning’. That regulates the quality and achievement of his art. After the mid 30’s, lee tae joon was in pursuit of art in earnest but the inner world that included enlightenment impetus regulated critical tension of art. His novel was in pursuit of the images and spatial structure which against the cognition of the modern capitalism. however that could not go ahead to the level of ideology. Late in the 30’s, Lee’s novel certainly showed the impetus for enlightenment. But that did not maintain critical insight, so his novel went wrongness. 본고는 이태준 소설이 추구하는 예술의 구조와 논리를 시기에 따라 살펴봄으로써 예술 자율성을 통해 상허 문학이 성취한 의의와 한계를 해명하고자 했다. 상허 소설은 이윤추구의 목적성이라는 경제논리에 따라 진행되는 자본주의적 근대의 속물성을 30년대 식민지 현실의 주요한 모순으로 인지하였고 ‘예술’은 그러한 근대의 속물성에 대한 문학적 대응의 방식으로서 상허 소설의 인식과 실천을 포괄하는 의미가 있다. 상허의 예술 개념에는 집단적 이념으로서의 ‘민족’이 모순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식민지 근대의 속물성을 그것의 강압적인 주체인 일제와 연결시키는 상허는 근대의 부정성에 침윤된 생활현실을 벗어나 경제논리에 훼손되지 않은 예술을 추구해야 하는 이유를 민족적인 현실에서 찾는 것이다. 따라서 그의 예술 개념은 처음부터 민족주의라고 하는 식민지 지식인의 계몽적 윤리감과 결합됨으로써 상허 소설이 보여주는 예술 자율성의 질과 성과는 이로부터 제한을 받게 된다. 30년대 중반 이후 상허는 미적인식을 기반으로 새로운 대상인식을 통한 예술을 추구하지만 예술가의 내면에 존립하는 계몽주의자의 이질적인 충동이 예술의 근대비판적 장력을 제한하는 것이다. 이미지와 공간적인 구성은 형식을 통해 근대의 동일시적인 사유와 효용적 지배연관에 대한 항의를 표현하지만 여전히 근대에 대한 부정성을 이념적인 차원으로까지 고양하지 못하는 것이다. 그것은 30년 후반 그가 예술의 비판적 가능성을 포기하고 행동적인 실천을 추구하는 데서 더욱 분명하게 드러난다. 예술의 자율성이 전제로 하는 생활과의 분리를 거부하고 현실 속에서의 행동적 실천을 강조하는 것인데, 그러나 현실과의 비판적 거리를 상실하고 현실의 유입과 행동적 실천 자체가 목적으로 추구됨으로써 현실참여를 강요했던 일제의 지배 이데올로기에 흡수되는 동참의 위험을 보여주는 것이다. 30년대 후반 근대주의의 맹목성이 폭력적으로 관철되는 시기 상허는 예술의 자율성을 포기함으로써 오히려 지배현실을 추수하는 오류를 보여주는 것이다.

      • KCI등재

        연국 논문 : "자오(自娛)"의 예술창작관 연구

        김연주 한국미학예술학회 2011 美學·藝術學硏究 Vol.33 No.-

        ``자오(自娛)``, 즉 스스로 즐긴다라는 예술적 ``쾌``의 의미가 강조된 이 창작관은 ``무목적의 목적``이나 ``예술을 위한 예술(art for art`s sake)``로 알려진 서양의 예술적 자율성을 강조하는 예술 창작관과는 분명 차이가 있다. 이는 자신들의 회화 창작관을 피력하고 있는 글을 서술한 계층의 대부분이 자신의 학문도야 및 인격수양이라고 하는 삶의 자세를 지속했던 문인사대부에 속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특수성 때문에 ``자오``의 예술창작관 속에는 문학적·철리적·인격수양적인 다양한 함의들이 포함되어 있다. 이런 문인들의 삶이 응축된 철리성이 배인 창작물로서의 문인화는 사물의 단순한 반영이기 보다는 화의(畵意)를 중시하여 따라서 뜻을 그려내는 사의화(寫意畵)라고도 불린다. 문인화를 그려내는 창작태도인 ``자오``에서 ``즐긴다``라는 쾌감의 추구는 평범하면서도 자연스러운 것이지만 그러한 정신경계를 지닌 회화는 이미 평범함을 넘어 의미심장하고 ``노님[遊]``의 화의가 흘러넘치는 화도(畵道)의 경계라 할 수 있다. 당대 이전의 회화는 문자를 터득하지 못한 백성들을 교화시키기 위하여 신성한 것과 사악한 것 등의 개념을 형상을 빌어 각인시키는 수단이기도 하였다. 또한 동일한 붓을 사용하는 서화(書畵)는 글씨를 익혀 배움의 깊이를 더하고 형상으로써 인간관계를 익히는 수단이었다. 당대 장언원(張彦遠, 815~879)은 그림을 보고 인간의 착함과 어짐을 구별하며 이를 경계하거나 배척할 수 있게 하는 것이 그림의 효용성임을 분명히 하면서도 그림을 육경(六經)의 지위에 놓았다. 그 후 오대를 거치면서 동양의 정신에 면면히 흐르는 회화정신은 ``자오``의 의식적 흐름을 형성하였으며 특히 이상화된 산수 속에서 문인들은 유유자적한 ``유(遊)``의 정신경계를 누렸다. 중국회화에 있어서 회화가 ``삶을 즐기는 방편``이라는 인식이 보편화된 것은 송대 이후라고 할 수 있는데 다른 어떤 시대보다도 예술가 자신의 생각을 표출하려는 의지가 강한 시기였다. 특히 송대 문인화는 문인들의 서정적인 감정 및 학식과 취향의 해설자로서의 역할을 톡톡히 했다. 또한 산수이건 인물이건 초충이건 새나 동물이건 주제가 무엇이든지 문인들은 눈 앞에 있는 사물을 명확하게 묘사하기보다는 상상력에 의한 형태를 끌어내고 내적인 것으로 향하는데 몰두했다. 문인화의 특징을 실용적 목적에 근거를 두지 않은 순수한 즐거움에의 추구에 두는데 이러한 경지를 대표하는 용어가 ``자오``이다. 일생동안 자유로운 삶을 구가했던 예찬(倪纘, 1301~1374)은 일기(逸氣)를 담은 일필(逸筆)을 통해 ``자오``의 예술적 경계를 실현하였다. 원대(元代)에 더욱 발전한 문인화는 문인들이 ``자오``하는 필수 도야과정이 되었고 사물의 객관적 묘사나 교화를 위한 효용성 보다는 철리성을 보전한 마음 속 뜻을 표출하는 경향이 강조되면서 예술의 자율적 특성을 확보했다. 그러므로 ``자오``라는 개념은 예술이 그 효용성에서 자율성을 확보하는 문인들이 삶에서 도출한 것이다. ``자오``는 세속적인 것에 마음을 쓰지 않는 것이며, 마음을 비우고 스스로를 되찾는 노력이다. 따라서 예술창작관으로 살펴 본 ``자오``의 경계는 흘러가버린 옛 것으로서가 아니라 현대를 살아가는 동시대인들에게도 재고해 볼만한 가치가 있다. ``자오``는 회화의 가치가 교화적 효용성으로부터 예술적 자율성을 획득한 개념이면서 예술적 통찰력을 분출할 수 있는 모든 의지를 담고 있는 마음이 자유로운 경지이다. 결론적으로 ``자오``의 예술창작관은 문인들이 학문도야와 인격수양을 통해 우러나오는 초연한 마음자세를 근본으로 하여 그 뜻을 초월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경지로서 이로부터 예술적 통찰력이 발휘될 수 있다. 이는 반드시 다양한 삶에서의 수양이 바탕이 되어야만 체험할 수 있는 경지이며, 이로부터 ``도(道)``를 담지한 진정한 자유로운 창작에의 경지를 맛볼 수 있는 것이다. 所謂"自娛",旣注重自娛自樂的藝術性之"快"的創作觀.흔顯然,這有別於與被稱爲"無目的的目的"或"爲藝術而藝術(art for art`s sake)"的,注重藝術自律性的西方藝術創作觀.這是因著述其繪畵創作觀的階層中多數人屬於致力於親身實踐學問之陶冶及人格修養爲目的的文人士大夫.而此特點又讓"自娛"的藝術創作觀裏囊括了有關文學性,哲學性及人格修養等多重含義.凝聚著文人人生的文人畵幷不僅僅是對事物的單純反映,而是重視畵意,畵出意境的寫意畵.``自娛``作爲創作文人畵的創作態度,其對快感的追求-"娛"是平凡且自然的,而包含此精神境界的繪畵可以說已超越了平凡,進入了意境深遠,"遊"之畵意橫溢的畵道之境界.唐代張彦遠(815~879)的『歷代名畵記』明確了見畵區別人之善賢,幷以此戒備或빈棄是畵之效用.而歷經唐,五代一直貫穿東方精神的繪畵精神使"自娛"的意識更加深遠了.如山水畵,將飽覽眼底的山水刻畵在心中後,每當畵意湧動,就將心中的山水當做欲想居住的境界,發揮藝術洞察力去創作.文人們就在這般理想化了的山水中享受著悠然自居的"遊"之精神境界.可以說繪畵旣"享受生活之捷徑"的觀念的普及是在宋以後.此時正處藝術家們渴望表現自我的意志比任何時期都强烈的時期.特別是宋代文人畵,其對抒發文人情致,表現學識及愛好方面的作用是非常突出的.不管其主題是山水,人物還是鳥獸,只要是展現在文人眼前的,幷不拘泥於逼眞描繪而更熱衷於憑借想像力引出其形態,轉入內在."自娛"是定義文人畵不追求任何實用目的而只追求純享受的特點,是代表此境界的用語.繪畵在重視"自娛"的境界之前,更是敎化不識字的百姓通過形象區分神聖與邪惡的手段.同樣使用毛筆的書畵又是通過學習文字來加深學問,幷以其形象交人的手段.倪纘(1301~1374)一生都在追求自由自在的生活,他通過-"自娛".而倪纘繪畵論中的代表性槪念,如"逸氣","逸筆","不求形似","自娛"等包含的追求自由的意志幷不僅僅意味著做自己想做的,而是無爲的境界,是將自我消滅於太虛中的境界.在中國,可以說"繪畵"幾乎和"文化"是同義詞.因此,타與時代的普遍思想密切相關,且隨之變化發展;幷富其傾向.文人畵就是文人在仕途平坦時,遵循儒家思想積極入世;仕途坎□時,遵循道家思想,出世,自行其樂的書畵.타是隨著文人們"自娛"傾向的流行而出現的時代産物.唐代繪畵因當時社會重視勸誡,而深受政治宗敎的影響,且唐末的政治混亂推動了山水畵的發展;經五代的變亂,此傾向更加速發展.到了元代,更上一層樓的文人畵成了文人雅士"自娛"必經的陶冶過程;比起對事物的客觀描繪及爲了敎化的效用,表露富含哲理性的心中之意更受重視.而這又保障了藝術的自律性特點.因此,"自娛"就是文人在藝術效用性中確保其自律性的人生中導出的槪念.道旣普遍規律,象則是事物各自相異的形式表現.藝術形象可通過此類象發現事物的內容本質,更可以親自領會道,幷體現道.因此,體驗畵道就是身處"可成就繪畵的最高精神境界"中,體會道之境界的自由過程中表露出的愉悅.不僅藝術創作,藝術欣賞也是如此.這樣的人生只有在文人們追求的以文學·哲學全副武裝的,超凡脫俗的遊歷境界才有可能實現.

      • KCI등재

        1920년대 초기 ‘예술의 자율성’과 임노월의 예술지상주의 선언

        김명훈(Kim, Myong-hoon)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7 한국문학과 예술 Vol.23 No.-

        1920년대는 조선에서 예술(문학)의 자율성이 본격적으로 개진된 시기로 문예사에 기록되어 있다. 이때 예술(문학)의 자율성이란 현실(인생)의 개조라는 역사적 사명을 실천하기 위한 부문운동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고(이광수, 카프), 근대의 합리성 체계를 거부하고 예술을 특권화하기 위한 미학적 신념으로 이해되기도 한다(동인지 문인). 1920년대 조선에서 ‘예술지상주의’는 예술의 자율성에 대해 전자의 입장을 가진 문인들이 후자를 비판하기 위해 활용한 용어이다. 본고는 형식논리상에서만 존재할 수 있는 것처럼 보이는 이공백을 임노월의 예술지상주의론을 통해 미흡하게나마 채워보기 위해 작성되었다. 임노월은 오스카 와일드 번역을 바탕으로 예술지상주의의 3단계 테제를 정식화한다. 첫째, 임노월은 ‘현실=실재’를 거부하고 ‘감각-지각’을 초월할 수 있는 인식론적 전회를 요청한다. 둘째, 인식론적 전회를 위해 임노월은 상상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는데, 이때 상상력은 단지 이미지를 변형시킬 수 있는 힘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초감각적인 정신의 능력으로 재규정되며, 이능력을 통해 예술은 ‘현실=인생’과 분리된다. 셋째, 초감각적인 정신의 능력을 통해 구성된 예술의 세계는 ‘현실=인생’으로 하여금 자신을 모방하도록 만든다. 임노월은 이 3단계 테제를 단지 비평 수준에서만 개진한 것이 아니라 창작과 삶의 지향을 결정하는 ‘사상’으로 삼았다. 그리고 이 ‘사상’ 때문에 자신의 시대와 불화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임노월의 ‘삶=예술’이 예술지상주의라는 이름으로 잠시 도달했던 위치는 훗날 임화가 예술과 혁명을 인간의 유적 보편성 속에서 종합하고자 시도했을 때, 그리고 이상과 구인회 일부 문인들이 ‘미적 근대성’의 최대치에 도달하고자 분투할때, 그들이 보았을 환상 속에서 끊임없이 재생되었던 어떤 경지였을지도 모른다. The 1920s was recorded in History of Literary, a time when the autonomy of art in Joseon was presented in earnest. It also means that the autonomy of the arts (Literature) is meant to as a section movement to practice the historical mission of reality(life), and also to demonstrate that it is an aesthetic belief to deny the modern legitimacy of the past, and to privileged the art. In the 1920s’s Joseon, ‘Art for Art’s Sake’ was coined by writers with the former opinions about the autonomy of art to criticized the latter. This article written to fill this blank, which seems to exist only in formal format, with Lim No-wol’s argument about Art for Art’s Sake. Lim No-wol embodies Three-stage these of Art for Art’s Sake based on Oscar Wilde’s translation. First, Lim No-wol rejected the ‘reality=real’ and asked Epistemological turn that could transcend ‘Sensation-Perception’. Second, He argued that we needed imagination for an Epistemological turn, then, Imagination is not merely limited to the ability to transform images, but rather to the ability of a super-sensitive psychic. Through this ability, art separates from ‘reality=life’. Third, the world of art, which consists of the ability of a super-sensitive psychic, force the ‘reality=life’ to mimic art. Lim No-wol did not only state this Three-stage at critical levels but also made to Thought decide on direction of the creation and the life. And because of this Thought, it had to be a conflict with his own age. However, the position that Lim No-wol’s ‘life=art’ arrived briefly, it might have been a rebirth in the fantasy era when Im Hwa attempted to merge art and revolution into the universality of mankind, and when Lee Sang and some of the Guinhoe’s writers and poets struggled to reach the maximum value of aesthetic modernity.

      • KCI등재

        칸트 미학에서 `취미의 자율성` 문제 - 칸트의 수사적 예술 비판을 중심으로 -

        박배형 ( Park Bai Hyoung ) 한국미학회 2017 美學 Vol.83 No.3

        근대미학은 인간의 감성적인 차원 내지는 미적인 영역에 고유성과 독자성을 부여하려는 문제의식 속에서 성립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의식은 미학이라는 학명(Aesthetica)을 처음으로 도입하고 이와 동일한 이름의 책을 저술한 바움가르텐에게서도 또한 근대미학을 실질적으로 독립적인 철학적 교과로 확립하는 데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친 칸트에게서도 마찬가지이다. 바움가르텐과 칸트 이래로 미학의 대상은 주로 미 내지는 미적 경험과 예술이 되고 있는데, 칸트 미학 역시 예술에 관한 이론을 포함한다. 그는 『판단력비판』 51절에서 아름다운 기예(die schone Kunste), 즉 예술을 종류별로 구분하여 제시한다. 그 첫 번째 종류에 해당하는 것이 언어예술(die redende Kunst)인데, 칸트는 이를 다시 수사적 예술(Beredsamkeit)과 시예술(Dichtkunst)로 나누고 있다. 칸트는 여기서 수사적 예술을 매우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이러한 그의 분류와 평가는 그의 미학적 입장 및 예술론을 이해하고 해석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칸트가 아름다운 기예 즉 예술의 일종으로 취급하는 수사적 예술에 대한 그의 평가와 비판이야말로 무관심적 쾌와 미에 기초하는 이른바 그의 자율성 미학의 실질적인 성격을 잘 드러내주는 동시에 이 미학이 갖는 도덕적 차원과의 뿌리 깊은 결합관계를 반영하는 독특한 사태임을 보이고자 한다. 2장에서 필자는 `취미의 자율성`으로 대변되는 칸트의 자율성 미학이 그의 『판단력비판』에서 어떻게 제시되고 있는지를 고찰해 볼 것이다. 3장에서 필자는 칸트의 수사적 예술에 대한 평가와 비판을 분석할 것이다. 4장에서는 3장의 분석을 기초로 하여 취미의 자율성과 자유 이념과의 불가분적 연관성을 밝힘으로써 그의 자율성 미학이 도덕적 차원과 맺는 심층적 관계를 제시할 것이다. The development of modern aesthetics rests on the consciousness that the aesthetic realm of human being has a kind of uniqueness and an autonomous character. This consciousness is found in A. G. Baumgarten, even though not fully realized in his theory, who coined the name of aesthetics (Aesthetica) and began to advocate it as a new philosophical discipline. After him, Kant also tried to ground the aesthetic as an autonomous realm of human experience. The Critique of Judgment, Kant`s great aesthetic work, deals with aesthetic problem of beauty and assigns rhetoric to the province of the beautiful. In his system, rhetoric, together with poetry, comprise the two arts of speech. He compares rhetoric with poetry and evaluates the both kinds of fine arts. But interestingly he estimates rhetoric almost entirely negatively and in contrast to it praises poetry. This estimation of both the arts and his critique of rhetoric reveal a fundamental feature of his aesthetics of `autonomy`. In this paper, I argue that Kant`s aesthetics of autonomy is not entirely independent of, but inseparably connected to morality and this connection shows itself markedly in his critique of rhetoric. In the first part of the paper, I illustrate the background of the theme of the paper. In the second part, I explain Kant`s conception of autonomy of taste and his so-called aesthetics of autonomy. In the third part, I investigate and analyze Kant`s critique of rhetoric and show that in his critique a characteristic feature of his aesthetics of autonomy can be found. From this investigation and analysis I conclude that my thesis is based on sound arguments.

      • KCI등재

        근대적 예술인식의 논리화 방식과 그 의미

        이선이(Lee, Sun-Yi) 우리문학회 2015 우리文學硏究 Vol.0 No.47

        이 연구는 우리의 근대적 예술인식이 어떤 논리화 방식을 통해 제출되었는가를 살피고, 이들 예술담론 속에 투영된 예술인식의 내용과 의미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는 근대문학 초창기에 우리 문학이 도달해야 할 하나의 이상으로 상정했던 예술의 구체적인 실상을 파악하는 작업과 결부된다. 우리의 근대문학에 대한 인식은 근대적 예술인식과 긴밀한 연관성을 가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근대적 예술인식을 활발하게 담론화한 문학담론, 미술담론, 종교담론을 중심으로 개별 담론에서 예술에 대한 인식을 수용하고 배치하는 방식에 주목함으로써 근대적 예술인식의 논리화 방식을 살펴보았다. 세부적으로는 이광수 · 김동인의 논의를 중심으로 문학담론을, 최남선 · 김환 · 김찬영의 논의를 중심으로 미술담론을, 신태악 · 오상순의 논의를 중심으로 종교담론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의 근대적 예술인식이 다양한 세부담론과 결합되면서 다양하고 복수적인 인식으로 제출되었다는 점, 예술의 타율성에서 벗어나 자율성의 획득이라는 단선적 발전 경로를 밟지 않았다는 점, 우리의 인문적 전통과 대화적 관계를 견지하며 심미적 인문성의 토대 위에서 예술을 재인식해 나갔다는 점을 새롭게 포착하였다. This essay is to explore what organizational process Korea’s modern awareness on arts has gone through and how it is formed, and to find contents and meaning of arts awareness that is reflected on such a discourse. This is also colligated with a task to understand the reality of arts that was designated as a ideology of which Korean literature should arrive, at the beginning of modern literature. It is because that the awareness on Korea’s modern literature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awareness of modern art Thus, the paper focused on the way which individual discourse including discourses on literature, arts and religion that are most actively discussed, are combined with the arts discourses as well as analyzing logical organization method of modern awareness on arts of those discourses. For example, the paper focused on arguments of Lee Kwang-su and Kim Dong-in for literature discourse, those of Choi Nam-seon, Kim Hwan, Kim Chan-yeong for art discourse, and those of Shin Tae-ak and Oh Sang-soon for religion discourse. Based on this analysis, the study has found detailed aspects of complex and multiple awareness of Korea’s awareness on arts in modern times. Also, it has newly found that Korea’s modern awareness on arts did not follow the linear footstep of just getting autonomy only escaping from heteronomy and, also that it tried to recognize the arts on foundation of aesthetic humanities while adhering to conversational relationship with Korea’s humanistic tradition during the process of accepting western arts awareness.

      • 예술기관 리더십의 의미와 구현 방식

        박상언 한국문화예술경영학회 2015 문화예술경영학연구 Vol.8 No.1

        예술기관이 법령에 따라 확보할 수 있는 기본적인 리더십이 ‘역할 기반 리더십’(a role based leadership : RBL)이다. 이에 RBL은 제도적이고도 관계적인 성격을 띤다. 예술기관이 RBL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할 경우 구성 가치인 공공성(publicness)의 축소나 침해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준정부조직으로서의 예술기관의 RBL은 정부와 팔 길이(arm’s length)만큼은 떨어져 있어야 충분히 행사될 수 있을 것이므로 자율성(autonomy)을 또 한 구성가 치로 한다. 예술기관은 예술과 예술가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자질과 식견을 갖추고 그 특성에 부합하는 맞춤형 지원 제도와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 이로써 확보할 수 있는 리더십이 ‘역량 기반 리더십’(a competency based leadership : CBL)이다. 이에 CBL은 내생적이고도 독자적인 성격을 띤다. 이 CBL은 예술기관 안에서부터 갖춰지 는 전문성(professionalism)과, 경영성과에 대하여 책임을 지는 책임성(accountability)을 구성가치로 한다. ‘역할 기반 리더십’은 예술기관을 둘러싼 정책 환경과 조건, 나아가 제도와 시스템의 문제와 직결되며, 이에 팔 길이 원리(arm’s length principle : ALP)가 그 가장 중요한 방법론이 되어야 한다. ‘역량 기반 리더십’은 조직 스스로의 의지의 문제에 닿아 있으면서도 정부 등 외부로부터 보장 받아야 할 전문성이라는 구성가치 때문에 역 시 상당 부분 팔 길이 원리 위에 존재한다. 예술기관이 RBL과 CBL을 충분히 형성하고 합리적으로 행사한다면 국가 또는 지역사회에서 정당한 권위 (authority)와 신뢰(trust)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예술기관은 예술가들의 창작 활성화 및 기반 강화, 질 높은 예술작품에 대한 국민의 접근성 확대라는 사명을 다하고, 국민의 삶의 질과 행복감의 제고라는 궁극적인 목적을 이루게 될 것이다. 이것이 연구자가 제시하는 예술기관 리더십 모형이며, 이때의 리더십을 ‘팔 길이 리더십(arm’s length leadership : ALL)’이라 명명한다. The basic leadership for art organizations to secure according to the law is a ‘Role-Based Leadership’ (RBL). Hence RBL partakes of institutional and relational characteristics. If this RBL is not properly demonstrated, reduction or infringement of publicness, which is a component value, may occur. Autonomy shall be another component value, because RBL of art organizations as quasi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can be sufficiently exercised when it is distant from the government by an arm’s length. Art organizations shall establish quality and insight to fully understand arts and artists, and subsequently prepare a customized support system that corresponds with their characteristics. A ‘Competency-Based Leadership’ (CBL) is indeed the leadership to be obtained from this. Partaking of an endogenous and independent nature, this CBL accordingly assumes a component value on the professionalism secured in art organizations as well as the accountability to take charge of business performance. A ‘Role-Based Leadership’ is directly connected to policy environment and condition encircling art organizations, and furthermore the issues of the system; thus arm’s length principle (ALP) shall be the most important methodology. Due to the component value of professionalism to be guaranteed from the outside, e.g. the government, while in contact with the issue of the government’s own will, a competency-based leadership also mostly exists upon the ALP. If art organizations sufficiently form and rationally exercise RBL and CBL, they can acquire fair authority and trust from the government or community. In this case, art organizations will be able to perform the duties of vitalizing artists’ creative works, strengthening the foundation, and expanding people’s accessibility toward top-quality works of art, and to fulfill the ultimate purpose of enhancing people’s happiness and quality of life. This is the leadership model of art organizations suggested by the researcher, and such leadership shall be named as the “arm’s length leadership (ALL)”.

      • KCI등재

        독일 낭만주의 문학의 '예술적 자율성' 개념의 기원에 관한 소고

        장미영(Chang, Mi-yo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0 외국문학연구 Vol.- No.37

        본 연구는 누가, 또는 어떤 계층이 그때마다의 문화의 흐름을 이끌어 가는가에 따라 예술성향의 큰 틀이 결정된다는 인식에서 출발한다. 소위 이 문화의 ‘담당자’ 개념에는 생산자인 예술가․소비자인 고객․패트런이 포함되며, 경제․정치 등 제반 사회적 조건은 이들 담당자의 역할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된다. 이 요소들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예술가의 자의식 및 자율성의 정도뿐 아니라 예술작품의 내용과 형식적 특징이 결정된다. 이런 특정 조건들을 고려해 볼 때 근대적 의미에서의 시민문화는 르네상스의 산물로 규정할 수 있다. 시민계층이 문화예술의 흐름을 주도하는, 이른바 문화의 ‘시민화’ 과정은 18/19세기에 더욱 가속화된 현상이다. 산업혁명의 수혜자로 재차 도약한 시민계급은 당시 정치․경제․사회적 지형도뿐 아니라 문화의 지형도까지 바꾸어 놓는다. 낭만주의는 바로 이 부활한 시민계급을 배경으로 일어난 일련의 정신적 예술적 운동이다. 이렇게 보면 르네상스와 낭만주의는 도시의 유산시민계급을 모태로 하여 태어난 시민사회의 산물이라는 점을 공유한다. 본 연구는 르네상스와 낭만주의에 내재하는 상호관계의 의미를 예술의 ‘자율성’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아래 몇 가지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첫째, 유럽 시민계급의 발전사를 조망하고, 둘째 시민계급이 예술 내지 예술가의 위상정립에 구체적으로 어떤 기여를 했는가를 추적하며, 셋째, 이렇게 형성된 예술가의 자의식이 궁극적으로 이 두 사조에서 어떤 새로운 기법이나 장르를 창출했는가를 비교․분석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19세기 이후 서양예술사의 핵심개념이 된 ‘자율성’의 기원과 실체에 비판적으로 접근함과 동시에, 그 개념의 상대적 가치를 사회적․예술적 발전사를 배경으로 짚어내고자 한다. 그리고 결과적으로 한 사조의 문화사적 의미가 다른 사조와의 비교를 통해 어떻게 상대화되고 또 시의적으로 새롭게 재해석될 수 있는지를 가늠해볼 수 있을 것이다. 역사는 계승과 변화의 양면성을 가지고 진행되기 때문이다. Der Stellenwert der frühromantischen Poetik manifestiert scih vor allem darin, dass diese dem Autonomie-Begriff einen tragfähigen Sinn als Schlüsselbegriff der modernen Kunst im Allgemeinen eingeräumt hat. Jedoch ist bei der Rekapitulation der Romantikforschung unverkennbar, dass von der Herkunft dieses Begriffs im Rahmen der europäischen Kulturgeschichte bislang kaum die Rede war, während dessen nachhaltige Wirkung bis in die Gegenwartsliteratur hinein mehrfach unterstrichen worden ist. Im Hinblick auf die neuzeitliche Gesellschaftsentwicklung Europas lassen sich die Renaissance und die Romantik auf einen gemeinsamen Nenner bringen. D.h. beide Kunstperioden basieren auf dem Aufstieg des Bürgertums als sog. Träger der Kultur, das sowohl im politisch-wirtschaftlichen, als auch im künstlerischen Bereich in den Mittelpunkt der Geschichte rückt und dadurch immer mehr an gesellschaftlicher Bedeutung gewinnt. In der vorliegenden Studie geht es also um die Wechselbeziehung zwischen Kunst und Bürgertum. Zu verfolgen ist dabei anhand der Renaissance und der Romantik, welche Ähnlichkeiten oder Unterschiede die beiden Perioden im Prozess der Verbürgerlichung der damaligen Kulturszenen aufweisen. Schwerpunkt der Arbeit liegt vor allem in der Frage, wie sich die Romantik hinsichtlich ihrer Grundiee der Kunstautonomie zur Renaissance verhält. Diese Untersuchung ist insofern von Belang, als die kulturhistorische Bedeutung einer Epoche anhand von Vergleichen mit verschiedenen Perioden relativiert, und, je nach Kunstauffassung der jeweiligen Gesellschaft, immer wieder aktuell interpretiert werden kann. Zudem lässt sich herausarbeiten, dass Begriffe wie Kunst, Bürger, Autonomie nur dann sinnvoll und frei von Missverständnissen und Missbrauch zur Beschreibung der Kultur- bzw. Kunstgeschichte eingesetzt werden können, wenn auch deren zeitbedingter Gebrauch vorausgesetzt wir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