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술계 고등학교 국악 전공의 교육과정 비교 분석 및 효율적 운영 방안

        오지연(Ji-yeon Oh)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20 음악교육공학 Vol.0 No.43

        전국에 국악 교육을 하는 예술계 고등학교는 국악을 전문으로 교육하는 학교와 예술고등학교 안에 국악 전공을 선발하는 학교가 있어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연구는 예술계 고등학교의 국악 전공 전문교육과정을 분석하고 비교하여 이에 대한 교육과정의 차이점을 밝히고, 그 결과를 토대로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모색 하는데 목적이 있다. 논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술계 고등학교는 전문예술인을 양성하기 위한 목표에 걸맞게 실기의 수업이 체계적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둘째, 실기는 음악적 지식을 바탕으로 길러지는 만큼 음악이론, 음악사, 시창·청음 등 기초 교과에 비중을 두어 실기와 기초 교과를 균형 있게 편성하여야 한다. 셋째, 예술계 고등학교는 학교의 특성이 드러나는 다양한 교과를 편성하여 교육해야 한다. 넷째, 예술고등학교에서는 국악 전공자의 정원과 상관없이 국악을 전공한 전임 교사가 확보되어야 한다. 이에 대한 결과는 국악 전공을 위한 예술계 고등학교의 교육과정을 개선하기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학교의 교육과정에 대해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것보다는 학교 운영 별로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토대로 서로 교육되어야 할 내용과 음악가로 성장하고 배워나갈 수 있는 교육과정을 조정하고 정리하여 서로 상생해 나가 지역별 균등한 교육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해본다. The arts high school, which teaches Korean traditional music, is operated in various forms because there are schools that specialize in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schools that select Korean traditional music majors in art high schools.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compare the professional curriculum of art high school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major, to find out the difference of curriculum for this, and to find an efficient operation plan based on the educational problems of art high school. The results of the discussion are as follows. First, practical skills classes should be systematically strengthened to meet the goal of cultivating professional artists in art high schools. Second, since practical skills are cultivated on the basis of musical knowledge, the practical skills and basic subjects should be organized in a balanced manner with emphasis on basic subjects such as music theory, music history, poetry and listening. Third, art high schools must organize and educate various subjects that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 Fourth, a full-time teacher who majored in Korean traditional music should be secured in art high school regardless of the number of Korean traditional music maj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curriculum of art high school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major. High school is an important time to develop musical qualities and basic skills. Therefore, rather than judging the right or wrong of the curriculum of the school, based on the problems of the curriculum, each school s operation should be coordinated with each other and the curriculum that grows and learns as a musician. I look forward to the education.

      • KCI등재

        사회과학분야 : 예술 고등학교 무용전공 학생들의 스트레스와 우울 및 무용성취

        구미나 ( Mi Na Ku ),홍미성 ( Mi Sung Hong ) 한국무용과학회 2013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0 No.3

        이 연구에서는 예술 고등학교 학생들의 스트레스와 우울 및 무용성취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유의표집(purposive sampling) 방법을 이용하여 서울특별시 2개, 경기도 3개, 강원도 1개, 충청남도 1개 지역에 소재한 7개의 예술 고등학교를 선정하여 300명을 표집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이용된 인원은 278명이었다. 조사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t-test와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한 경로분석을 통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교사와의관계, 학업, 체격, 개인심리, 경쟁스트레스와 인지적우울이 높다. 또한 2학년이 1학년 보다 교사와의관계, 학업, 체격, 개인심리, 경쟁스트레스가 높았으며, 3학년이 1학년보다 동기적우울이 높다. 발레가 현대무용보다 학업스트레스가 높았으며, 한국무용은 현대무용보다 실기스트레스가 높았다. 또한 발레는 한국무용보다 건강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은 5년이상~7년미만이 1년미만보다 학업, 체격, 개인심리, 경쟁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2년이상~3년미만이 1년미만보다 정서적우울, 인지적우울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7년이상이 1년미만보다 실기능력성취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술고등학교 학생들의 교사와의관계, 건강, 개인심리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정서적 우울은 높고 교사와의관계, 학업, 체격, 개인심리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인지적 우울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예술고등학교 학생들의 개인심리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이해능력성취는 낮고, 실기와 개인심리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실기능력성취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예술 고등학교 학생들의 인지적우울이 높을수록 무용성취는 낮고, 동기적우울이 높을수록 무용성취는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예술고등학교 학생들의 실기스트레스와 개인심리 스트레스는 실기능력성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우울에도 영향을 미쳐 무용성취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예술고등학교 무용전공 학생들의 스트레스와 우울 및 무용성취 간에는 인과적 관계가 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among stress, depression, and dance achievement of dance majors of arts high school. To achieve study purpose, samples were collected by purposive sampling. 300 dance majors were sampled from whole 7 arts high schools in four areas; two from Seoul, three from Gyeonggi-do, one from Gangwon-do, one from Chungcheongnam-do, and, 278 samples were analysed finally. Questionnaires were used as survey instrument, and collected materials were analysed by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with multiple regression. Through that process,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dancer majors of arts high schoo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ress, depression, and dance achievement. Female students had higher relationship with teacher, study, physique, individual psychology, competition stress, and perceptional depression than male ones. According to school years, second year students had higher relationship with teacher, study, physique, individual psychology, and competition stress than first year ones, and, third year students had higher motivational depression than first year ones. By Major, ballet had higher study stress than modern dance, and, Korean dance had higher performance stress than modern dance. And, ballet had higher fitness stress than Korean dance. By careers, over 5 years to under 7 had higher study stress, physique stress, individual psychology stress, and competition stress than under 1 year, and, over 2 years to under 3 had higher emotional depression and perceptional depression than under 1 year. And, over 7 years to had higher achievement of performance ability than under 1 year. Second, the higher relationship with teacher, fitness, and individual psychology stress of students of arts high school were, the higher emotional depression became, and, the higher relationship with teacher, study, physique, and individual psychology stress were, the higher perceptional depression became. Third, the higher individual psychological stress of students of arts high school got, the lower achievement of understanding ability became, and, the more individual psychology stress got, the lower achievement of performance ability became. Forth, the higher perceptional depression of students of arts high school were, the lower achievement of understanding and performance ability became, and, the higher motivational depression was, the higher achievement of understanding and performance ability became. Fifth, as results of investigation on causal relationships among stress, depression, and dance achievement of students of arts high school, stresses of performance and individual psychology had direct effects on achievement of performance ability, and, it could be said that had indirect effect on dance achievement because they had effect on depression. Thus, stress, depression, and dance achievement of students of arts high school had causal relationships.

      • KCI등재

        예술고등학교의 효율적 운영 및 발전 방안 탐색

        조성기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3 음악교육공학 Vol.- No.17

        최근 예술교육이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예술교육을 중추적으로 담당하고 있는 예술계 중․고등학교에서의 예술교육이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한 성찰과 나아갈 방향 그리고 이들 학교의 운영을 활성화하고 발전시키려는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예술고등학교의 효율적인 운영과 발전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과 각종 자료를 통해 우리나라와 외국의 예술계 고등학교 운영 실태를 알아보았고, 예술고등학교의 운영과 발전을 위한 요구를 조사하기 위해 학생과 학부모, 교사, 예술대학 교수, 예술관련 협회장 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면담조사를 실시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주요 대학의 예술계열학과 입학전형을 분석하여 대학 입시 전형방법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예술고등학교의 효율적인 운영과 발전을 위한 교육목표와 전공의 개설, 세부적인 운영과 교육과정 및 다양한 프로그램의 운영 등에 대하여 비교적 구체화된 방안을 모색하여 제시하였다. 그 결과로서, 예술고등학교는 미래의 예술을 선도하는 전문예술인을 육성하기 위한 목표를 가지고, 순수예술뿐만 아니라 대중예술을 포함하여 전공학과를 개설하여 특성화시켜야 하며, 교육과정에서는 전문교과 교육에 보다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전공과 관련한 다양한 체험과 경험을 위한 특성화 프로그램을 운영하여야 할 것이다. Recently, the importance of art education is being emphasized and in consideration of such trend, the society is working to promote and develop managements of arts middle schools and arts high schools, the center of the art education, while it considers the past and the future of the very art education conducted by those schools. For that reason, the study aimed to search for ways to realize efficient management and development of arts high school.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goal, the study looked into references and all sorts of necessary materials as well to understand present management conditions of arts high schools i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and an interview targeting students, parents, teachers, professors at arts colleges and directors of arts organizations to investigate needs of management and development of arts high school. In addition, changes in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were observed while the study analyzed th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of arts departments at major universities in Korea. Based on the results from those analyses the above, the study proposed quite detailed measures to establish educational objectives, to open majors, to realize careful management and, to manage curricula and other various programs that would be all a contribution to the efficient management and development of arts high schools. As a result, the study learned that with a goal to cultivate expert artists leading the future art established, arts high school should open and specialize not only pure art but also public art, allotting more time to specialized education courses in the curricula. Arts high school also should operate special programs to give students a chance to acquire knowledge on ones’ majors as they experience as much as possible via the programs.

      • KCI우수등재

        예술 교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연구

        임은정(Eun-Jung Lim) 한국음악교육학회 2020 음악교육연구 Vol.4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예술 교과 교육과정의 구조와 내용을 분석하여 교육과정 구성의 문제점 파악과 개선점을 제안하는데 있다. 연구는 2015 고등학교 교육과정 ‘보통교과 영역’의 예술 교과군 7개 교과목과 ‘전문교과Ⅰ영역’의 예술 계열 교과군 40개 교과목으로 총 47개 예술 교과의 교육과정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과정은 예술 교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를 추출하고, 이에 따라 각 예술 교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2015 고등학교 예술 교과 교육과정은 총론의 주요 교육 중점 및 방향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어, 교육과정의 주요 교육 방향과 각 교과 특성을 반영한 교육과정 체계와 구성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high school arts curriculum and to propose improvements accordingl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 total of 47 arts curriculums in high school, including 7 general arts curriculum and 40 arts affiliated curriculum. The research method extracted the common structure and contents of the arts curriculum and then analyzed them of each art curriculum. The results have shown that the 2015 high school arts curriculum does not fully reflect the main focus of the 2015 revised high school curriculum and the content and characteristic in each art field. Therefore, the arts curriculum requires a re-organization of the system and contents of the arts subjects.

      • KCI등재

        예술고등학교 학생의 학교만족도 분석

        조정은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9 음악교육공학 Vol.0 No.4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rt high school students’ school satisfaction using the data of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Ⅱ(KEEPⅡ) collected by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 the analysis of art high school students’ school satisfaction, variables were identified centering on private education expenses, school facilities, friend recognition, self-consciousness reflecting the time of formation of ego-identity, and attitudes in clas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variables and the effects of the variables on each other were examined. As an analysis method, a structure equation model was set and the causal relationships appearing in art high school students’ school satisfaction were identified through the LISREL program.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identified in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individual variables of satisfaction with art high schools, which are special-purpose high schools, and elements that have direct effects on art high school students’ school satisfaction were school facilities, friend recognition, self-consciousness, and attitudes in class, which showed effects. In addition, parameters for school satisfaction were self-consciousness and attitudes in class. Self-consciousness mediated between school facilities and friend recognition while attitudes in class played the role for mediation between private education expenses and school satisfaction. However, contrary to the expectation, private education expenses had no direct effect on school satisfaction but showed indirect effects through attitudes in clas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 purpose of establishment of art high schools, which are special-purpose high schools, and demander-oriented school operation were checked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variables for school satisfaction were identified to discuss the implications. 본 연구의 목표는 한국직업능력 개발원에서 수집한 한국교육고용패널Ⅱ(KEEPⅡ)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예술고등학교 학생들에 대한 학교만족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예술고등학생의 학교만족도 분석에서는 사교육비, 학교시설, 친구인식 그리고 자아정체감 형성시기를 반영하는 자아의식과 수업태도 등을 중심으로 구분하여 변수별로 그 특성과 변수 간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자 하였다. 분석방법은 구조방정식모형을 설정하고 LISREL 프로그램을 통하여 예술고등학생의 학교만족도에 나타나는 인과관계를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특수목적고인 예술고등학교의 학교만족도는 각 변인의 인과관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으며, 예술고등학생의 학교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학교시설, 친구인식, 자아의식, 수업태도가 영향을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학교만족도에 이르는 매개변수로는 자아의식과 수업태도이며, 자아의식은 학교시설, 친구인식를 매개하였고, 수업태도는 사교육비와 학교만족도에서 매개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예상과는 달리 사교육비는 학교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었으며, 수업태도를 통하여서 간접적인 영향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하여 특수목적고등학교인 예술고등학교의 설립 목적과 수요자 중심의 학교운영을 점검하고, 학교만족도의 변수에 따르는 매개효과를 확인함으로써 그 시사점을 논하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예술계고등학교 진학희망 중학생의 서울공립예술고등학교 설립에 관한 인식

        최은식,신지혜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5 음악교육공학 Vol.- No.2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pinions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hope to attend arts high schools about the establishment of a public arts high school in Seoul. The survey was distributed to 382 middle schools in Seoul, and 1221 students in 144 school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the following: First, the majority of the respondents agreed to the establishment of a public arts high school in Seoul, which would provide students with better opportunities to learn arts and reduce private education expenses. Second, the respondents thought that the programs which stimulate students' creativity and are closely related to arts fields as well as educational environments including secure educational space, facility for arts education, and excellent instructors should be provided. Third, the participants considered performance skill improvement and creativity development to be educational objectives of a public arts high school, but it was also shown that the majority of the responses were closely related to students' performance and career. Fourth, the respondents primarily hoped pure arts majors to be provided in a public arts high school in Seoul, but they also thought that various public arts majors, including musical, model, and broadcasting, needed to be provided. Finally, the majority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current entrance examination of arts high schools, and when asked to choose additional methods of selection, they preferred interview, a standardization test, and portfolio. 본 연구에서는 예술고등학교 진학을 희망하는 서울시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서울공립예술고등학교 설립 및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조사를 실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서울시교육청의 협조를 얻어 서울시 382개 전체 중학교에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144개 학교의 1221명의 중학생이 최종 연구 대상이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의 대다수가 서울공립예술고등학교 설립에 찬성한다고 답변하였으며, 그 이유로 사회·경제적으로 소외되어 있는 예술영재들에게 교육 제공의 기회와 사교육비 경감을 우선 순위로 꼽았다. 둘째, 응답자들은 효과적인 교육과정을 위해서 예술가적 창의성 개발을 위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하고, 예술현장과 연계된 프로그램 강화가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서울공립예술고등학교 교육환경 운영 방안과 관련하여 응답자들은 전공실의 확보, 전공교육을 위한 시설 구축, 우수한 교·강사의 확보를 매우 중시하였다. 셋째, 응답자들은 서울공립예술고등학교의 교육목표로 실기능력 강화와 창의성 신장을 우선으로 선택하였다. 하지만 응답을 영역별로 묶어 비교 분석한 결과 과반수의 학생들은 실기 및 진로와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영역을 서울공립예술고등학교의 주요 목표로 선택함으로써 예술고등학교가 예술가 인재 양성을 위한 주요한 역할을 감당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넷째, 서울공립예술고등학교의 개설전공으로 순수예술과 관련된 전공을 우선적으로 희망하였다. 하지만 응답자들은 또한 연극영화, 문예창작, 만화창작 뿐 아니라 뮤지컬, 실용음악, 모델학과, 영상제작, 방송영상 등 다양한 종류의 대중예술과 관련된 전공이 개설되기를 희망한다고 답변하였다. 다섯째, 과반수의 응답자들은 내신성적과 실기시험 위주인 현 예술고등학교 선발방식의 만족감을 나타냈다. 또한 이외 추가적인 선발방안으로 면접, 표준화검사, 포트폴리오 등이 도입되기를 희망하였다.

      • KCI등재

        서울공립예술고등학교 설립에 대한 서울시 중학교 교장의 인식 조사

        최은식,신지혜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5 교과교육학연구 Vol.19 No.1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소재 전체 중학교의 교장을 대상으로 서울공립예술고등학교 설립에 대한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다. 공립예술고 설립이유, 설립방안, 교육목표, 운영방안, 입학전형을 중심으로 한 설문의 응답결과(총 382개 학교 중 144개 학교, 37.7%의 회수율)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설문 응답자의 대다수는 서울공립예술고등학교의 설립을 찬성하면서 그 이유로 사회·경제적 요인과 관계 없이 예술적 잠재성을 가진 학생들에게 전문 교육의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는 점을 들었다. 둘째, 설립 방안에 관한 인식은 다음과 같았다. 서울시 중학교 교장은 교육과정과 관련해서 학생의 개성과 수준을 반영할 수 있는 개별화 과정, 진로탐색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등이 제공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였고, 교육공간의 충분한 확보, 전공교육에 적합한 기자재 및 시설의 구축 등의 교육환경이 구성되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효과적 인행·재정적 지원을 위해서 적정수준의 강사료가 지급되어야하고, 전공교과에 대한 충분한 수의 교원 등이 확보되어야 한다는 점을 들었다. 셋째, 대다수의 응답자들은 서울예술고등학교의 교육목표로 창의성 신장과 더불어 실기능력 강화를 우선시하였다. 또한 예술을 통한 교육목적이 예술을 위한 교육목적보다 중시되었다. 넷째, 운영 방안에 관한 인식은 다음과 같았다. 대다수의 응답자들이 음악, 미술, 무용 등의 순수예술 전공을 선호하였지만 대중 예술 전공에 관한 수요 및 요구 또한 제기되었다. 또한, 서울시 중학교의 교장은 공립학교 수준의 보수수준, 4-6개의 학급수, 11-20명의 학급 당 학생 수가 적절하다고 생각하였다. 다섯째, 대다수의 응답자들은 내신성적과 실기시험 위주인 현 입학전형에 만족한다고 응답하였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nduct a survey to investigate the opinions of middle school principals in Seoul over the establishment of a Seoul public arts high school. The survey was distributed to 382 middle schools in Seoul, and 144 schools decid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resulting in a 37.7% responding rat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several important findings were discovered. First, the majority of the respondents thought that students with an artistic potential should have study opportunities regardless of their economic factors, so they supported the establishment of a Seoul public arts high school. Second, the respondents’ opinions on the plan for establishing a Seoul public arts high school was the following; a public arts high school should provide not only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s and career exploration programs but also adequate education space and facilities for major education. Also, reasonable fees for lesson instructors and arts teachers who have professional knowledge of their own majors should be secured. Third, the majority of the respondents argued that arts high schools should consider creativity development and performance skill improvement as their major educational objectives. Fourth, not only pure arts majors but public arts majors were chosen as the educational objectives of arts high schools. Regarding the school management system, a salary level comparable to that of public schools, 4-6 classes, and 11-20 students per class were considered appropriate. Finally, the current admission process focusing on the academic records and performance tests was considered appropriate.

      • KCI등재

        예술고등학교의 국내 정책운영현황 및 국외 사례 연구

        정옥희 ( Jeong Ok-hee ) 한국예술교육학회 2020 예술교육연구 Vol.18 No.1

        한국에서 예술 전문교육기관의 하나인 예술고등학교는 설립 초기부터 정부의 교육정책과 사회의 예술에 대한 시대적 인식을 반영하여 운영되어왔다. 국내 예술 전문교육은 예술 영재교육과 혼돈되어 사용되고 있어 이에 대한 차별화된 운영 방향이 요구된다. 또한,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예술인재양성은 현대 디지털화된 인공지능과 정보기술시대에 부합된 변화된 환경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지역사회에 기여하고 사회의 지도적 역할을 할 수 있는 정책과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 그런데도 아직 예술고등학교는 소수의 엘리트적인 예비 예술가를 양성하는 대학에 진학하고자 하는 입시 준비기관의 역할을 하는 곳이라는 인식이 국내에 지배적이다. 이에 이 연구는 국내 예술고등학교 설립 초기부터 이루어진 정책변화 과정과 현재 전공 교과 개설 현황을 조사하고 미래사회 변화된 환경에서의 예술 전문교육의 의미와 역할에 비교적 충실한 국외 사례를 조사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여 예술고등학교에 대한 위상 제고를 시도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얻은 시사예술고등학교를 예술 전문교육기관으로서의 방향을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제안한다. 첫째, 현재 운영되는 전공 개설학과를 예술의 사회적 진출과 직업으로의 연계하여 순수예술에서 대중예술의 경계를 벗어나 융합형 예술 인재양성을 위한 예술통합 교육과정으로 편성하여 운영하여야한다. 둘째, 현재 예술고등학교가 특수목적고등학교로서 가진 수월성과 자율성을 특권이 아닌 특화된 방식의 지역사회의 특성화된 인프라를 활성할 수 있는 예술 인재 선발에 활용해야 한다. 넷째, 미래사회환경이 요구하는 전문예술 분야에 필요한 교육시설 환경 구축이 갖추어져야 한다. 이 연구의 결과는 미래사회 변화된 환경에서의 예술고등학교의 위상을 제고하고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데 기초적인 자료가 될 수 있다. Since its establishment, arts high schools in South Korea have been widely regarded as arts-specialized educational institutions that help prepare students to enter universities that foster future artists by taking into account government education policies and society’s perception of art. Despite the need for education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digitalization and the information technology era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the perception of art education is still confused with fostering few privileged artists that leads to lack of differentiated operational directions and improvement measures. Thus, this study reviews policy changes and the current curriculum since the initial establishment of arts high schools to prospect the meaning and role of art specialized education in the future society. By analysing outstanding overseas cases based on policy changes and operational status of arts high schools this study was able to find the following focal points. First, expanding fine art majors to mainstream art by integrating currently operating departments with jobs and career paths. Second, examining educational goals for integrated art education curriculum that is required for fostering convergent art talents. Third, utilizing the special status of arts high schools as special purpose high schools in differentiating operation methods. Finally, establishing connec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and the necessary environment for the future art fiel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in the search for developing arts high schools in the changed future environment.

      • KCI등재

        예술고등학교 음악전공교육의 활성화 방안

        조성기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2 음악교육공학 Vol.- No.14

        문화의 세기로 대변되는 21세기 우리는 창의성 교육의 강조와 더불어 문화예술 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노력해야 할 시점에 이르렀다. 이에 본 연구는 예술고등학교 음악전공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탐색해보았다. 선행연구를 통해 예술고등학교의 설립목적과 취지, 그리고 본 연구의 방향을 위한 시사점을 추출하였고, 이를 토대로 예술고등학교 교육 주체들을 대상으로 하는 설문문항을 개발하여 실태와 요구 및 의견을 조사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진단하고 그 해결로서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탐색하여 제시하였다. 그 결과로서 음악전공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첫째, 음악예술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국가의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며 둘째, 국가는 학교에게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자율권을 확대해 주어야 하고 셋째, 학교는 입시위주의 교육으로부터 벗어나 다양한 특성화된 프로그램을 운영할 필요가 있으며 넷째, 음악교육의 주체들을 위한 음악교육 학교 공유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국가는 우선적으로 학교에게 물적(시설), 인적(강사) 지원을 해 주어야 하며, 음악전공 학생들을 위한 입시의 개선이나 전형제도의 개발 등 제도적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In the 21st century, so-called the century of culture, we have reached a turning point in our efforts to revitalize culture and arts education, with emphasized creative education. Accordingly, this research investigated an activation plan for music education in Arts High Schools. Its previous researches derived the establishment purpose and intention of the Schools and implications for this research direction, on which a development of survey questions targeted to arts high schools and investigation on its situation, requirement and opinion were based. We analyzed the result of survey questions, diagnoses its problems and inquired activation plans as its solution. As a result, those for activation of music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social interests and national policy efforts for music and art are required. Second, school autonomy for curriculum composition and operation should be extended at the national level. Third, schools should run various specialized programs, instead of college entrance exam centered education. Fourth, schools should be constructed their sharing system for subjects in music education. Fifth, schools should be preferentially provided with supports of materials (facilities) and human resources (lecturers) at the national level, as well as systematic supports such as improvement of college entrance exam systems for future music students and development of admission systems.

      • KCI등재후보

        한국 예술고등학교 연극과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 -계원, 안양, 전주예술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이귀숙 한국문화예술교육학회 2011 모드니 예술 Vol.5 No.-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연극과가 설치되어 있는 예술계열 고등학교 중, 선구자적인 역할을 하였다고 볼 수 있는 계원, 안양, 전주예술고등학교로 그 범위를 정하였다. 계원과 안양예술고등 학교는 1980년대에, 전주예술고등학교는 1990년대 설립되어, 적어도 15년 이상 된 학교이기에 교육의 흐름이라든지, 실제 방향에 대한 연구 가치가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 연구의 내용을 설정하는데 있어 잣대로 삼은 것은 내용에 해당하는 교육 과정과 교육이 이루 어지는데 영향을 끼치는 요소로서의 환경적 요건이다. 학교별 환경적 요건을 알아보기 위하여 학교의 설립 시기, 목적, 교육목표 그리고 교사 현황과 같이 교육 현장의 현황 조사를 통하여 객관적 자료를 제시하는데 초점을 맞추었고 교육 과정에 대해서는 먼저, 우리나라 교육과학기술 부가 제시하고 있는 특수목적 고등학교로서의 예술계열 고등학교 교육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는 3개 학교를 대상으로 실제 운영되고 있는 지도 형태 및 내용과 비교해 보기 위한 것으로, 국가 에서 제시하고 있는 연극 교육의 이상향과 실제 모습이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 수 있었다. 또한 예술계열 고등학교 교육 과정의 변천에 대해 알아보고, 각 학교가 개별성 있게 운영하고 있는 보통 교과와 전문교과의 과목의 지도 형태에 대해서도 비교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이를 토대로 예술계열 고등학교의 연극과 교육 과정 구성상의 문제점과 실제 운영상의 문제를 살펴 보고,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는 바람직한 예술계열 고등학교 교육 과정을 모색해 보았다. 그 외 에 실제 교육현장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한 인터뷰와 설문조사를 통해 드러나는 문제점도 고찰 하고 개선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