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순천만 염생식물의 생육지 환경요인 변화

        김하송 ( Ha Song Kim ),명현호 ( Hyeon Ho Myeong ) 한국도서학회 2014 韓國島嶼硏究 Vol.26 No.4

        본 조사는 2010년 4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순천만 염생식물 서식지의 기후환경과 토양환경변화를 추적한 것이다. 기후환경(기온, 강수량, 일조시간, 상대습도)은 과거 40년(1973~2013)과 최근 4년(2010~2013) 간의 추세를 비교하였고, 토양환경(pH, MC, OM, Sal, EC, TN)은 순천만의 대표적인 염생식물군락인 갈대군락, 천일사초군락, 칠면초군락과 식생이 없는 나지 지역을 중심으로 고정 방형구 지점을 모니터링하였다. 기후변화(1973-2013)의 추세분석을 위한 추세검정값(Mann-Kendall Tau)은 기온은 0.321(p<0.05)로서 유의하게 높아지는 추세이며, 강수량은 0.174(p<0.122), 상대습도는 -0.219(p<0.05)로서 유의하게 감소하는 추세이며, 일조시간은 -0.155(p<0.168) 유의한 변화가 없게 나타났다. 토양환경(2010년-2013년)의 추세분석을 위한 추세검정값(Mann-Kendall Tau)은 pH는 0.459(p<.0001)로서 유의하게 증가하는 추세이며, MC는0.097(p<.032)로서 유의하게 증가, OM는-0.284(p<.0001)로서 유의하게 감소하는 추세, Sal는 0.187(p<.001)로서 유의하게 증가, EC는 0.146(p<.001)로서 유의하게 증가, TN은 0.004(p<.934)로서 유의한 변화 없게 나타났다. 순천만 염생식물군락에 따른 토양환경 차이는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토양환경은 식물군락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토양환경의 차이가 구체적으로 어떤 식물군락지역에서 나타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사후검증한 결과(Turkey-test), pH는 갈대군락와 칠면초군락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MC는 갈대와 천일사초, 갈대와 칠면초 그리고 나지, 칠면초와 나지 간에 차이가 있다. OM는 갈대와 천일사초, 천일사초와 칠면초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Sal과 EC는 공통적으로 갈대와 칠면초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식물군락 간에 차이가 상대적으로 두드러지는 환경요인은 TN이다. TN은 염생식물군락 간에 대부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순천만 염생식물군락의 토양환경 차이를 확인한 분산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염생식물 서식지의 결정적인 토양환경은 MC와 TN인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염생식물 서식지에 따라 토양환경이 다르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며, 다른 한편으로 염생식물이 서식하기 위해서는 각기 다른 토양 환경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더 나아가 주요 염생식물군락과 토양환경과의 유의한 관계를 상정한다면, 특정한 토양환경의 변화가 어떻게 염생식물의 군락의 변화를 유인하는지 예측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토양환경과 염생식물과의 관계를 장기적으로 모니터링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또한 기후환경이 염생식물 서식지 토양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회귀분석 한 결과, 토양환경 중에 기후환경에 영향을 받는 것은 pH, OM, Sal, EC이며, 특히 Sal, EC는 기후환경(기온, 강수량, 일조시간, 상대습도)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받는 토양환경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결과가 함의하는 것은 토양환경은 기후환경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결론적으로, 순천만 염생식물 서식지의 환경요인에 대한 통계분석 결과, 염생식물군락의 토양환경과 기후환경간에 유의한 관련성이 탐색되었다. 이에 연안습지 생태계 보전을 위해 지속적으로 순천만 염습지의 토양환경과 기후환경 변화에 대한 다양한 기초 정보를 수집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This research traced changes in the climate and soil environment of the halophyte habitat in Suncheon Bay from April 2010 to June 2013. Soil enviornment differences of the halophyte communities in Suncheon Bay were investigated using ANOVA. The results showed that plant communities`` soil environment differed and indicated that according to the halophyte habitat the soil environment differed diversly. It was also assumed that plant habitation needed different soil environment. Moreover, if major halophyte communities and the soil environment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specific changes in the soil environment induced by changes in halophyte communities can be predicted. Thus, in this sense, long-term monitoring is necessary in order to figure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oil environment and halophyte. In addition, a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climate on soil environment of halophyte habitat. Soil environment affected by climate were pH, OM, Sal, and EC. Sal and EC showed to be more affected by the climate(temperature, rainfall, sunshine hours, and relative humidity). The results also implied that soil environment may vary with the climate. In conclusion, the statistical analysis on environmental factors of halophyte habitat in Suncheon Bay showed that soil environment of halophyte communitie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limate. Thus, in order to preserve the ecosystem of coastal salt marsh, basic information on the soil environment and climate of halophyte habitat should be continuously collected in the salt marsh of Suncheon Bay.

      • KCI등재

        습지보호지역의 염생식물 시민 모니터링 개선방안 -순천만과 보성벌교 갯벌을 중심으로-

        박성남 ( Seong Nam Park ),차성식 ( Seong Sig Cha ),양효식 ( Hyo Sik Yang ) 한국도서학회 2016 韓國島嶼硏究 Vol.28 No.1

        이 연구는 순천만과 보성벌교 갯벌에서 염생식물을 대상으로 조사한 시민 모니터링과 전문가 모니터링을 비교하였다. 시민 모니터링은 고정 방형구 내의 동일 지점에서 동일 식생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식물상 변화를 관찰하기 쉽고, 관찰 대상종의 개체수, 피도, 성장률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시민 모니터링 요원은 전문적인 지식이 부족하여 전체적인 염생식물상 및 식생 군락 파악이 어려운 점이 있다. 또한, 인위적 간섭에 의해 모니터링이 단절되거나, 조사요원의 숙련도에 따라 모니터링 결과에 차이가 있다. 전문가 모니터링은 주변 지역의 전체 식물상 및 식생 군락을 관찰하고 빈도를 조사하여 전반적인 연구지역의 식생 및 식물상을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시민 모니터링과 달리 동일지점에서의 연속적인 식생의 변화를 파악하는데 어려운 점이 있다. 시민 모니터링은 시민에 의한 조사이다. 시민 모니터링에서 전문적인 정밀 조사를 실시하게 하는 것은 시민 모니터링 취지에 부합하지 않다. 따라서 현장에서 조사가 어려운 항목은 배제해야 한다. 따라서, 염생식물 시민모니터링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연구지역의 염생식물 시민 모니터링은 대표 군락을 중심으로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절에 따른 성장 변화가 있는 우점 식생을 선정하여야 하며, 정량적 조사 외에 정성적 조사를 병행하여 주변 식물상 조성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기본적인 측정은 군락의 개체수, 피도, 성장을 대상으로 하여야 한다. 이 때, 염생식물의 정량 모니터링을 위해서 고정 방형구를 사용하여 관찰하는 것이 좋다. 방형구는 염생식물 밀도에 따라 선택하여, 서식밀도가 낮거나 식물의 크기가 클 경우 1×1 m 방형구를 사용하고, 서식밀도가 높거나 식물크기가 작을 경우 50×50 ㎝ 방형구를 사용한다. 밀도는 직접 계수하여 1 ㎡ 당의 개체수로 환산한다. 피도는 0% ~ 100% 까지 25% 구간으로 측정한다. 성장은 자를 사용하여 평균 체장을 측정한다. 또한 염생식물이 서식하는 지역의 수평범위를 설정하여 군락의 확장 또는 축소 등의 광역적인 모니터링을 병행하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volves a mutual comparative result through monitoring average citizens and expert groups on halpohytes in the Suchenon Bay and Boseong-Beolgyo tidal flats. Citizen monitoring has several advantages, such as observation accessability regarding vegetation changes. It also provides a useful quantitative measurement for individuals, coverage and growth rates since the monitored targets share the same vegetation and station in a fixed quadrat. Still, in order to figure out the entire halophyte flora and vegetation community citizen monitoring isn’t enough. Also, some artificial and unskilled works might intervene with the monitored results. Meanwhile, experts can see the overall aspects of vegetation and flora based on plant community and frequency in the monitored area. However, at the same time expert monitoring encounters difficulties in continuous observation. Professional surveys in citizen monitoring are not best fit for our goal and unsuitable field items must be reduced. Still, it does provide an insight that citizen monitored items on halophytes are individual number, coverage, and growth rate in a given fixed quadrat.

      • KCI등재

        순천만 염생식물 서식지의 토양 간극수 특성

        공병욱 ( Byeong-wook Kong ),박동철 ( Dong-cheol Park ),손화성 ( Hwa-seong Son ),이우진 ( Woo-jin Lee ),서하나 ( Ha-na Seo ),라덕관 ( Deog-gwan Ra ),정정조 ( Cheong-jo Cheong ) 한국환경기술학회 2018 한국환경기술학회지 Vol.19 No.3

        순천만 염생식물 서식지의 토양간극수 환경특성을 파악하여, 염생식물 복원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 제공의 목적으로 2016년 8월에서 2016년 10월까지 조사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염생식물 서식지의 간극수를 파악한 결과, 갈대서식지의 경우는 DO 3.41 mg/L로 가장 낮은 농도를 보였으며, pH 7.01, 염분농도 20.9 psu, 전기전도도 32.7 mS/cm 및 COD 14.28mg/L의 평균값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DIN 및 T-N은 4.28, 7.62 mg/L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DIP 및 T-P는 0.93, 1.12 mg/L의 평균농도를 나타내었다. 칠면초의 경우는 염분 및 전기전도도가 31.2 psu 및 48.3 mS/cm로 타 염생식물에 비해 높은 값을 보였으나, 대부분의 항목에서 타염생식물과 비슷한 농도를 나타내고 있었다. 새섬매자기의 경우는 pH가 7.34, COD 및 질소계 영양염류가 타 염생식물에 비해 높은 농도를 보였으며, 천일사초의 경우는 염분농도 및 전기전도도가 13.9 psu, 23.2 mS/cm로 타 염생식물에 비해 낮은 농도를 보였다. 비서식지의 토양간극수 특성을 파악한 결과, pH 7.09, DO 4.05 mg/L, 염분농도 및 전기전도도 29.5 psu, 44.1 mS/cm를 나타내었다. 또한 DIN 및 T-N이 9.42 mg/L, 17.71 mg/L, DIP 및 T-P는 0.36 mg/L 및 0.48mg/L를 나타내며, 염생식물 서식지의 토양간극수와 비슷한 환경을 보이고 있었다. 순천만 염생식물 서식지의 토양간극수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염생식물의 서식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그러나 효율적인 관리 및 복원 방안 수립에 있어서는 제한성이 있기에, 서식지의 토양환경과 같은 물리화학적 파악과 주변 환경을 고려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oil pore water of halophytes habitats and to provide information for restoration and management of halophytes in the Suncheon Bay.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soil pore water from August 2016 to October 2016. Specific conclusions deriv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Soil pore water of Phragmites communis habitats was shown the lowest DO(3.41 mg/L) in the survey sites. It was shown average concentration that pH and salinity are 7.01, 20.9 psu and electric conductivity and COD are 32.7 mS/cm, 14.28 mg/L. Also, it had average concentration that DIN and T-N are 4.28, 7.62 mg/L and, DIP and T-P are 0.93, 1.12 mg/L. In the case of Suaeda japonica, salinity and electronic conductivity were higher than other halophytes such as 31.2 psu and 48.3 mS/cm, while other items showed similar concentrations. Soil pore water of Scirpus planiculmis habitats had 7.34 of pH and was shown higher concentration of COD and nitrogenous nutrients than other habitats. In the case of Carex scabritolia, it had lower concentration of salinity and electric conductivity than other habitats such as 13.9 psu and 23.2 mS/cm. Soil pore water of nonvegetation had 7.09 of pH, 4.05 mg/L of DO, 29.5 psu of salinity and 44.1 mS/cm of electric conductivity. Also, it had average concentration that DIN, T-N, DIP and T-P are 9.42 mg/L, 17.71 mg/L, 0.36 mg/L and 0.48 mg/L, was shown environment similar to the soil pore water of halophytes habitats. We could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halophytes habitats through soil pore water of halophytes habitats in the Suncheon Bay. But it is a limit to the establishment of plans of efficient management and restoration, so it is necessary to further research that consider physicochemical identification such as soil environment and surrounding environment.

      • KCI우수등재

        해양공간계획 적용을 위한 원격탐사 기반 갯벌 염생식물 분류 및 생태특성 분석

        장민철,최윤수,노준성,김성학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19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지 Vol.22 No.1

        This study aims to identify halophyte species and underst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marsh plants in tidal flat using remote sensing technique. In June 2012, Nov. 2016, and Sep. 2017, satellite (Sentinel-2A) and hyper spectral (CASI-1500) images were taken and ground truth data were obtained at the same date in both years. Accuracy of classification averaged 50.3% for the satellite image and 84% for the hyper-spectral image. Mahalanobis distance classification showed the highest accuracy for the satellite image and SAM (spectral angle mapper) presented the highest accuracy for the hyperspectral image. Using SAM to extract halophyte distribution from the hyperspectral image, the size of halophyte distribution in-creased from 4,158 m2 to 66,351 m2 from 2012 to 2016. Seven species of halophyte were compared in terms of elevation and inclination angle in habitats. The highest elevation was shown in Carex pumila that prefers sandy habitat and the most inclined angle was presented in Zoysia sinica that prefers muddy habitat. Daily maximum current speed of seven speci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99), showing that current speed and halophyte distribution were not related. This study implied the applicability of hy-perspectral image to accurate habitat mapping of halophyte in salt marsh especially in the case that field access was hard to do. Marine space data can be widely used for marine spatial planning such as tidal flat restoration, habitat management of blue carbon and submersible aquatic vegetation. 원격탐사 기술을 이용하여 갯벌에 서식하는 염생식물을 분류하고 생태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2012년 6월, 2016년 11월, 2017년 9월에 강화도 동막리 갯벌에서 방형구를 이용한 염생식물 현장조사를 실시하고, 동 시기에 취득한 인공위성 영상(Sentinel-2A)과 항공촬영 초분광영상(CASI-1500)을 비교하였다. 초분광영상은 2012년과 2016년, 위성영상은 2017년에 각각 획득하였다. 염생식물 7종에 대해 위성영상의 분류 정확도는 평균 50.3%, 초분광영상은 평균 84%의 정확도를 보였다. 분류기법의 정확도는 위성영상의 경우 MDC (Mahalanobis Distance Classification) 기법이 64.5%로 가장 높았고, 초분광영상의 경우 SAM (Spectral Angle Mapper) 기법이 91.9%로 가장 우수한 분류기법으로 나타났다. SAM 기법을 적용하여 염생식물 분포를 추출한 결과 2012년과 2016년의 염생식물 3종의 분포면적이 4,158 m2에서 66,351 m2로 증가하였다. 인천해수면 기준의 DEM (Digital Elevation Model)을 이용하여 강화도에 서식하는 염생식물 7종(갈대, 갯잔디, 좀보리사초, 지채, 천일사초, 칠면초, 해홍나물)의 서식범위(표고, 경사도)를 비교한 결과 좀보리사초가 가장 높은 표고에 서식하고, 갯잔디가 가장 경사도가 높았으며 나머지 5종의 서식범위는 대체로 겹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염생식물이 서식하는 퇴적상을 분석한 결과 좀보리사초는 사질에 분포하며 나머지 6종은 니질에 주로 서식하였다. 염생식물 7종이 서식하는 환경에서 일일 최대유속 평균값의 차이는 종별로 유의하지 않아(p=0.99) 유속과 염생식물 종의 분포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초분광영상을 활용한 염생식물의 서식지 매핑 가능성을 보여주며, 접근하기 힘든 해양공간에서 정보를 수집하는데 용이하고 정확도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해양공간정보는 갯벌생태계 복원, 블루카본 서식지 관리, 바다숲 조성 등 다양한 해양공간 관리에 활용될 수 있다.

      • KCI등재

        새만금 배수갑문 수위조절 특성과 염생식물 군락지 형성에 관한 연구

        신명호 ( Myoung Ho Sin ),김창환 ( Chang Hwan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0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4 No.2

        2006~2008년 동안 새만금 간척지에서 조성된 인공 염생식물 군락지와 새만금 방조제 배수갑문 수위 관리의 연관성을 밝히기 위해 배수갑문 수위특성 및 사유, 염생식물 군락지의 공간적인 분포와 형성 과정, 수위변화에 따른 염생식물 분포공간분석을 시도하였다. 배수갑문 수위조절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파종 후 생장기의 평균수위와 연평균 수위와의 차이는 유사했으며, 연간 최저수위 및 최고수위가 파종 후 생장기에 나타났다. 3년동안 4,315만㎡에 염생식물 군락지가 형성되었으며 총 2,673만㎡에 대해 인공적인 염생식물 군락 조성이 시도되어 291만㎡을 제외한 표고 약 1m 이상의 2,382만㎡(89.1%)에 염생식물 군락지가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파종지역 염생식물 군락지 형성에서 해수의 평균수위나 최저수위보다도 최고수위가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경운 및 토양 피막 여부가 군락지 형성의 2차적인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In order to examine the traits of sluice gate water control, halophyte community formation and their inter-relations in Saemangeum, both water level condition and halophyte community formation were analyzed periodically and spatially on the topographic map with Surfer, Saemageum Spatial Analysis System, and related field reports. The traits of water level condition are that average water level in the growing period of halophytes was similar to annual average water level, annual low level and high level appeared in the growing period, and water level was usually maintained within a range of -1.0m~0.5m above mean sea level, but it has changed more frequently year by year. Routine water level control, natural disaster prevention, construction, and civil appeal took major percentages of the reasons for sluice gate`s opening and shutting. Since 2007, not only the overall control frequency of sluice gate but also its control frequency for construction and natural disaster prevention have increased outstandingly. Halophyte community had formed at a rate of 1,209ha/year in the 4,315 ha land in 2008, 6.3 times larger than in 2005, and 2,382 ha above around 1.0m was estimated to be artificially vegetated, 89.1 % of the 2,673ha-size sown area. High water level was found to be a more possible determinant than average water level or low water level in halophyte community formation and it was thought to be secondary factors whether tillage was conducted or/and whether surface sealing formed.

      • KCI등재

        전남 진도군내 무인도서의 염생식물 분포특성 연구

        양효식 ( Yang Hyo-sik ) 한국도서(섬)학회 2021 韓國島嶼硏究 Vol.33 No.4

        본 연구는 진도군 관내 무인도서의 염습지에 분포하는 염생식물의 분포상과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염생식물상을 2019년 3월부터 10월까 165개의 무인도에서 조사하였다. 조사 자료를 기초로 염생식물 분포 특성을 생육지에 따라 분류하였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조사 결과 진도군 관내 분포하는 165개의 무인도서에 분포하는 염생식물은 13과 22속 3변종 24종 총 27분류군이 출현하였다. 이 중 밀사초가 102개 무인도에서 기록되어 가장 많은 무인도에서 출현하였으며, 해국 92개, 갯쑥부쟁이 79개, 사철쑥 74개, 갯까치수영 73개, 갯장구채 60개, 갯기름나물 50개, 갈대 18개, 갯잔디 16개, 갯하늘지기 12개 무인도 순으로 분포하고 있었다. 생육지별 염생식물 분포 특성은 갯벌과 모래가 혼합되어있는 토양인 니질에 갯질경, 갯개미취, 사철쑥, 비짜루국화, 갯잔디, 모새달, 해홍나물, 갈대, 갯능쟁이, 나문재 등 14개 분류군이 출현하여 가장 많은 분류군이 출현하였으며, 다음으로 사질에 갯메꽃, 갯보리, 갯쇠보리, 갯완두, 갯방풍 등 7개 분류군, 해안육지에 해국, 낚시돌풀 등 6개 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서생물지지리학적 이론에 기반한 도서식물상과 염생식물분포율에 대한 분석 결과는 통계적 유의성(R2 = 0.4503)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염생식물 출현 비율(R2 = 0.2589) 또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육지와 떨어진 도서 지역에 서식하는 식물은 분포역이 육지보다 매우 제한적이기 때문에 지구온난화와 같은 환경변화에 따른 생태학적 경쟁에 취약하다. 진도군 관내 무인도서에 생육하고 있는 염생식물을 분포에 대한 조사 분석통하여 무인도서의 염습지 연구 등에 대한 학술적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며, 아울러 무인도서의 효율적인 관리방안 수립과 지속적인 연구조사가 더 필요하다. This study surveyed 165 uninhabited islands from March to October 2019 to understand the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salt plants distributed in salt wetlands on uninhabited islands in Jindo-gun. Based on the survey data,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salt plants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habitat. As a result of this study, a total of 27 classification groups of 24 species of 13 families, 22 genera, and 3 varieties of salt plants distributed in 165 uninhabited islands distributed in Jindo-gun appeared. Among them, Carex boottiana appeared on 102 uninhabited islands, followed by 92 Aster spathulifolius, 79 Aster hispidus, 74 Artemisia capillaris, 73 Lysimachia mauritiana, 60 Silene aprica var. oldhamiana, 50 Peucedanum javanicum, 18 Phragmites communis, 16 Zoysia sinica, and 12 Fimbristylis f erruginea var. sieboldii. As for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salt plants by habitat and, 14 classification groups such as Limonium tetragonum, Aster tripolium, Artemisia capillaris, Aster subulatus, Atriplex subcordata, Suaeda asparagoides, Suaeda maritima, Phragmites communis, Zoysia sinica, and Phacelurus latifolius appeared in mud flat soil. Next, it was found that seven classification groups, including Elymus ahuricus, Ischaemum anthephoroides, Fimbristylis f erruginea var. sieboldii, Glehnia littoralis, were distributed in the sand, and six classification groups, including Silene aprica var. oldhamiana and Aster spathulif olius, were distributed on coastal land. The analysis results of the distribution rate of island and flora based on the theory of island biological geography showe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R2 = 0.4503), and the rate of appearance of flora (R2 = 0.2589) was also insignificant. Plants living on islands away from land are more vulnerable to ecological competition due to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global warming because the distribution area is more limited than land. It is intended to provide basic academic data on salt marsh research on uninhabited islands through research and analysis on the distribution of salt plants growing on uninhabited islands in Jindo-gun, and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establish efficient management plans for such uninhabited islands.

      • KCI등재후보

        순천만 연안습지의 염생식물 분포 현황과 서식지의 토양환경 특성

        장형국 ( Hyung-guk Jang ),공정태 ( Jung-tae Gong ),공병욱 ( Byung-wook Kong ),한상호 ( Sang-ho Han ),라덕관 ( Deog-gwan Ra ),정정조 ( Cheong-jo Cheong ) 한국환경기술학회 2013 한국환경기술학회지 Vol.14 No.6

        순천만 연안습지에 서식하는 염생식물 군락의 친환경적 관리 및 복원을 위한 기초자료의 확보를 목적으로 하여, 순천만에 서식하는 대표 염생식물의 분포현황과 염생식물 서식지 토양의 환경 특성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순천만에 서식하는 대표 염생식물 6종을 선정하여 서식 염생식물의 군락지를 파악하고 해당지점의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순천만에 서식하는 대표 염생식물은 갈대(Phragmites communis), 칠면초(Suaeda japonica), 새섬매자기(Scirpus planiculmis), 천일사초(Carex scabrifolia), 나문재(Suaeda asparagoides), 퉁퉁마디(Salicornia herbacea) 순으로 나타났다. 갈대가 군락을 형성한 지역의 물리화학적 토양환경은 함수량, 토양의 염분농도, 화학적산소요구량, 황화물이 비교적 높은 니질(mud) 토성 임을 알 수 있었으며, 칠면초는 함수량이 다소 낮고, 염분농도가 높은 니질 토양환경에 군락을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새섬매자기는 함수량, 염분농도, 화학적산소요구량이 높은 니질 토양에 주로 분포하는 경향을 보였다. 나문재와 퉁퉁마디는 함수량과, 염분농도, 황화물, 화학적산소요구량이 낮은 해수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지 않는 토양에 서식하였으며, 나문재는 사질토양에, 퉁퉁마디는 니질토양에 서식하는 것을 알았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갈대나 칠면초 같은 염생식물의 친환경적 관리뿐만 아니라 순천만에서 자취를 감출 수 있는 퉁퉁마디와 같은 염생식물의 복원을 타진해 보는 것도 꼭 필요하리라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ake information on distribution pattern of main halophyt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physico-chemical soil environment for environmentally-friendly management and restoration of halophytes community living in the saltmarsh of Suncheon Bay. We selected the main six halophytes and surveyed of the communities and analyzed the soil environment. The main halophytes living in the saltmarsh of Suncheon Bay were Phragmites communis, Suaeda japonica, Scirpus planiculmis, Carex scabrifolia, Suaeda asparagoides, Salicornia herbacea. Physico-chemical environment of soil living Phragmites communis were more higher than the others in the items of water content, salinity, COD, AVS, and soil texture was muddy facies(The sum of clay and silt contents was 98%). Suaeda japonica was living in the condition of lower water content and higher salinity, and muddy facies. The water content, salinity, and COD were higher in soil living Scirpus planiculmis, and soil texture was muddy facies. Suaeda asparagoides and Salicornia herbacea communities were formed with lower condition in the items of water content, salinity, COD, AVS and with no seawater influx. From this study, we desire the trial to restore the Salicornia herbacea and the environmentally-friendly management of Phragmites communis and Suaeda japonica living in the saltmarsh of Suncheon Bay.

      • KCI등재

        통영시 무인도서지역 식물의 분포특성

        명현호 ( Myeong¸ Hyeon-ho ),장면 ( Jang¸ Myeon ),이점숙 ( Lee¸ Jeom-sook ),이정윤 ( Lee¸ Jong-yun ),최대훈 ( Choi¸ Dae-hun ) 한국도서(섬)학회 2021 韓國島嶼硏究 Vol.33 No.2

        본 연구는 통영시 138개 무인도서의 관속식물 분포특성과 식생 조사를 위해 2019년 5월부터 10월까지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지역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은 85과 301종 3아종 24변종 2품종 등 총 330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출현종에 대한 빈도분석을 한 결과 돌가시나무가 120로 가장 높은 빈도로 분석되었으며 억새(112회), 명아주(107회), 돈나무(102회), 곰솔(100회) 순으로 확인되었다. 환경 평가, 식물의 특성 및 서식처 보전 우선순위를 정하는데 활용되는 식물구계학적 특정 식물은 총 70 분류군으로 전체 출현종 중 21.21%를 나타났다. 또한 자생식물의 서식지를 침입해 생태계 영향을 미치는 귀화식물은 21종이 확인되었으며, 그중 망초(87회), 미국자리공(54회)로 나타났다. 해안선을 중심으로 생육하며, 염분스트레스나 혹독한 환경에서 살아가기 위해 형태 및 생리적으로 잘 적응한 염생식물은 32종이 생육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출현 빈도를 분석 한 결과 해국, 갯장구채, 갯까치수염, 갯강아지풀 순으로 나타났다. 연안에 생육하는 염생식물은 광합성을 통해 흡수 효과적이다. 식물 생활형의 분류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는 라운키에르 생활형으로 분류 한 결과 반지지중식물(H)이 87분류군(26.36%)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대형 육상식물(M)이 78분류군(23.64%), 일년생식물(Th)이 53분류군(16.06%)으로 나타났다. 식생은 대부분이 산지침염수림인 곰솔군락이 우점 분포하고 있으며 그 외에 소나무군락, 후박나무군락, 동백나무군락, 소사나무군락, 굴피나무군락, 느릅나무군락, 구실잣밤나무군락, 섬향나무군락, 밀사초군락, 참억새군락, 칡군락, 이대군락, 왕대군락 등이 분포하고 있었다. 조사지역은 지리학상 남해안아구에 속하고, 식생은 난온대삼림대에 해당되어 후박나무, 동백나무, 구실잣밤나무군락과 같은 상록활엽수림 천이가 활발하게 진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도서생물지리학 이론 관점에서 식물종 분포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도서면적에 대한 환경변수에 대해 출현종수(r<sup>2</sup>=0.6544)와 귀화식물(r<sup>2</sup>=0.524)에 대해서는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났으나 귀화율 및 염생식물 출현양상은 상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육지와의 거리에 대해 출현 종수, 귀화식물, 귀화율, 염생식물은 상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통영시 무인도서는 남해안 도서 중에서도 비교적 생태계 보전과 자연경관이 뛰어난 지역으로 식물상 및 식생 분포 특성에 대한 평가를 통해 효율적 관리방안을 수립하여야 한다. This surve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lora and vegetation of Tongyeong uninhabited island from May 2019 to October 2019. Vascular plants were identified as 330 taxa in total, including 85 families, 301 species, 3 subspecies, and 24 varieties, with 2 forms of Rosa wichuraiana s. showing the highest frequency at 120, followed by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112 times), Chenopodium album var. centrorubrum (107 times), Pittosporum tobira(102 times), and Pinus thunbergii(100 times). There are a total of 70 taxa(21.21%) of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specially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the Environment. 21 taxa of naturalized plants were also found, among them, in the order of Erigeron canadensis(87 times), and Phytolacca americana(54 times). Halophytes were identified as 31 species and the most frequent species were Aster spathulifolius, Silene aprica var. oldhamiana, Lysimachia mauritiana and Setaria viridis var. pachystachys. Furthermore Hemicryptophytes(H) had 87 taxa(26.36%), Microphanerophyte(M) was at 78 taxa(23.64%), and Therophytes(Th) stood at 53 taxa (16.06%), which showed a high proportional ratio in life forms. According to the physio-gnomic classification, this area can be divided into the following 5 categories. The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evergreen coniferous forest,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herb vegetation and plantation forest. such as Pinus densiflora, Pinus thunbergii, Machilus thunbergii, Camellia japonica, Carpinus turczaninowii, Platycarya strobilacea,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Castanopsis sieboldii, Juniperus chinensis, Carex boottiana, Miscanthus sinensis, Pueraria lobata, Pseudosasa japonica, and the Phyllostachys bambusoides community. Number of species and naturalized plants at the islands shows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ize of the island (r<sup>2</sup>=0.6544, r<sup>2</sup>=0.524), but the correlations with distance from the mainland is not significant. The survey area is one of the southern coastal islands with a relatively excellent ecosystem of conservation and natural landscape. Therefore, for each island, management plans should be established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uninhabited islands.

      • KCI등재후보

        경상남도 연안습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

        유주한,박경훈,윤영철,송봉근 한국습지학회 2009 한국습지학회지 Vol.11 No.2

        연안습지는 바다와 육지의 전이지대로서 다양한 생물종다양성을 가진 중요한 지역이다.식물상 분석 결과, 85과 212속 278종 27변종 5품종 등 총 310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염생식물은 가는갯능쟁이, 수송나물, 나문재 등 총 14분류군이 조사되었고 수생 및 습생식물은 좀깨잎나무, 여뀌, 흰꽃여뀌 등 총 23분류군이 관찰되었다. 귀화식물은 메밀, 소리쟁이, 양명아주 등 40분류군이 조사되었고 평균 귀화율 및 도시화지수는 각각 17.9 % 및 3.67 %로 분석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봉의꼬리, 쇠고비, 홍지네고사리 등 총 28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향후 연안습지의 식물상을 시계열적으로 분석해야 할 것이며, 염생식물에 대한 군락 동태 및 종조성에 대한 조사가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A coastal wetland is the important area of diverse biodiversity as a transitional zone between coast and land. The results of surveying the flora were recorded as 310 taxa; 85 families, 212 genera, 278 species, 27 varieties and 5 forma. The halophytes were 14 taxa; Atriplex gmelini, Salsola komarovii, Suaeda asparagoides and so forth. The hydrophytes and hygrophytes were 23 taxa; Boehmeria spicata, Persicaria hydropiper, Persicaria japonica and so forth. The naturalized plants were 40 taxa; Fagopyrum esculentum, Rumex crispus, Chenopodium ambrosioides and so forth. The specific plants for the floral region were 28 taxa; Pteris multifida, Cyrtomium fortunei, Dryopteris erythrosora and so forth. In future, the flora of coastal wetland will be analyzed in series, and community dynamics and species composition for the halophytes will be studied.

      • KCI등재

        신안군 장산면 장산도의 염생식물상 및 식생군락에 관한 연구

        양효식 ( Yang Hyo-sik ),오만호 ( Oh Man-ho ) 한국도서학회 2017 韓國島嶼硏究 Vol.29 No.1

        본 논문은 신안군 장산면 장산도 연안에 서식하는 염생식물에 대하여 식물상, 식생 및 군락의 생산량을 연구 하였다. 장산도 연안습지에 분포하는 염생식물은 13과 20속 22종 2변종 총 24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이 지역의 우점종은 벼과의 갈대와 갯잔디, 사초과의 천일사초, 명아주과의 해홍나물, 나문재, 메꽃과에 갯메꽃 및 마편초과에 순비기나무 등이 우점하여 출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성별 출현하는 염생식물은 펄로 이루어진 니질에 갯질경, 갯개미취, 비짜루국화, 큰비쑥, 가는갯능쟁이, 나문재, 칠면초, 해홍나물, 갈대, 갯잔디, 천일사초 등 16종(66.7%)이고, 모래로 이루어진 사질에 순비기나무, 좀보리사초, 모래치치, 갯완두, 갯까치수영, 좀보리사초 등 8종(33.3%)으로 나타났다. 조사지역의 연안습지에 분포하는 의미있는 염생식물군락은 갈대군락(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갯잔디군락(Zoysia sinica community), 해홍나물군락(Suaeda maritima community), 천일사초군락(Carex scabrifolia community), 순비기나무군락(Vitex rotundifolia community), 좀보리사초군락(Carex pumila community), 갯사상자군락(Cnidium japonicum community), 큰비쑥군락(Artemisia fukudo community), 갯질경군락(Limonium tetragonum community) 등 9개 군락으로 분석되었다. 연안습지의 염생식물군락별 생산량은 큰비쑥군락이 687.17d.w.g/㎡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해홍나물군락 656.48d.w.g/㎡, 좀보리사초군락 637.76d.w.g/㎡, 순비기나무군락 625.36d.w.g/㎡, 갯질경군락 547.60 d.w.g/㎡, 갈대군락 519.36 d.w.g/㎡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서식지 파괴와 소실의 위기에 처한 연안습지를 유지와 보존 및 복원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관심과 서식지의 보존 노력 및 이들에 대한 기초 조사가 계속되어야 한다고 생각 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lora, vegetation, and production of communities on halophytes in the coastal areas of Jangsando, Jangsanmyeon, Shinangun. Halophytes distributed in the coastal wetlands of Jangsan-do were classified into a total of 24 taxa, including 13 family, 20 genus, 22 species, 2 varieties. The main species in this area was dominated by the Phragmites communis and Zoysia sinica of Graminaceae, the Carex scabrifolia of Cyperaceae, the Suaeda maritima and Suaeda asparagoides of Chenopodiaceae, Calystegia soldanella of Convolvulaceae, and Vitex rotundifolia of Verbenaceae. Halohpytes distributed by soil texture were found in Limonium tetragonum, Aster tripolium, Aster subulatus, Artemisia fukudo, Atriplex gmelini, Kochia scoparia var. littorea, Suaeda asparagoides, Suaeda japonica, Suaeda maritima, Phragmites communis, Zoysia sinica and Carex scabrifolia ect. 16 species (66.7%) were found in mud flat(Vitex rotundifolia, Carex pumila, Lathyrus japonicus, Lysimachiam auritiana, Carex pumila ect), while 8 species (33.3%) were discovered in sandy sands. Significant halophyte communities covered 9 communities including the 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Zoysia sinica community, Suaeda maritima community, Carex scabrifolia community, Vitex rotundifolia community, Carex pumila community, Cnidium japonicum community, Artemisia fukudo community, Limonium tetragonum community. The biomass of the halophyte communities of coastal wetlands were highest at 687.17 d.w. g/㎡ of the Artemisia fukudo community, followed by 656.48 d.w. g/㎡ of the Suaeda maritima community, 637.76 d.w. g/㎡ of Carex pumila community, 625.36d.w. g/㎡ of Vitex rotundifolia community, 547.60 d.w. g/㎡ of imonium tetragonum community, and 519.36 d.w. g/㎡ of the 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In conclusion, it is thought that continuing interest and conservation efforts are needed since the coastal wetlands are at risk of destruction and disappearance of habita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