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학 경전 속의 ‘열락’에 대한 심미적 이해와 정치적 교화

        엄연석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24 감성연구 Vol.- No.28

        This article relates the aesthetic sensibility of ‘pleasure’ found in Confucian scriptures to benevolence and righteousness as the basic ideology of Confucian moral cultivation, political and social norms, and ‘rites and music’ as the principle of harmony and unification. The purpose was to examine the correlational meaning. Confucian scriptures often mention internal and external joy in relation to the moral orientation for governance, political situations, and the ruler's attitude. In Confucianism, pleasure is, on the one hand, the joy and enjoyment of the internal moral satisfaction of a gentleman or ruler who pursues moral ideology, and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an internal and external expression of the governed people's satisfaction with the ruler's rule. However, ‘pleasure’, which is the internal and external joy and enjoyment that rulers and ruled each have, is closely related to benevolence, righteousness, righteousness, and music as a moral ideology of governance, an objective normative system, and a principle of harmony. In Analects of Confucius and Mencius , ‘pleasure[說]’ and ‘zeal(悅)’ basically refer to the aesthetic sensitivity felt by the people as morally oriented rulers and ruled in an environment where moral satisfaction or an ideal political order is realized. has the meaning of In particular, if ‘pleasure [說]’ for rulers is understood as the aesthetic satisfaction felt in realizing an ideal politics with moral will and orientation, for the general public it means that rulers can lead their lives stably and peacefully with moral will. This is the feeling you get when you create an orderly system and environment. In conclusion, ‘pleasure [說]’ or ‘joy [悅]’ mentioned in Confucian scriptures is an indicator and standard that communicates moral and aesthetic sympathy between the ruler and the general public. As seen in the examples of 「Taegwae(泰卦)」 and 「Yegwae(豫卦)」, Juyeok , like the Good and Bad Hoein(吉凶悔吝), presents value standards for good and bad for external situations, allowing people to follow them. Depending on whether you follow it or not, it is predicted that emotions such as joy and joy, or conversely, sadness and depression, will be expressed. In short, in Confucianism, rites and music are the principles that bring order and harmony between rulers and ruled together, and pleasure becomes an objective opportunity for them to communicate through aesthetic sensitivity and aesthetic consciousness. 이 글은 유학 경전 속에 나타난 ‘열락(悅樂)’이라는 심미적 감수성을 유학의 도덕적 수양의 근본이념인 인의(仁義)와 정치사회적 규범과 화합통일의 원리로서 ‘예악(禮樂)’과 연관하여 그 상관적 의미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유가 경전에서는 통치를 위한 도덕적 지향, 정치적 상황 및 통치자의 태도와 연관하여 내적 기쁨과 외적 즐거움을 종종 언급하고 있다. 유학에서 열락은 한편으로 도덕적 이념을 추구하는 군자 또는 통치자의 내적 도덕적 만족감에 대한 기쁨과 즐거움이며, 다른 한편 피통치자인 민중들의 통치자의 통치에 대한 만족감의 내적 외적 표현이기도 하다. 그런데 이러한 통치자와 피통치자가 각각 가지는 내적 외적 기쁨과 즐거움으로써 ‘열락(悅樂)’은 통치의 도덕적 이념이자 객관적 규범체계 및 화합의 원리로서 인의예악(仁義禮樂)과 긴밀한 연관성을 갖는다. 논어 , 맹자 에서 ‘열락[說]’, ‘열(悅)’은 기본적으로 도덕적 지향을 가지는 통치자와 피통치자로서 백성들이 도덕적 만족감 또는 이상적인 정치적 질서가 실현될 때 느끼는 심미적 감수성의 의미를 갖는다. 특히 통치자에게서 ‘열락[說]’이 도덕적 의지와 지향을 가지고 이상적인 정치를 실현하고자 하는 데서 느끼는 심미적 만족감으로 이해된다면, 일반 백성에 있어서 그것은 통치자가 도덕적 의지를 가지고 안정되고 평화롭게 자신들의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질서체계와 환경을 만들어 줄 때 느끼는 감정이다. 결론적으로 유학 경전에서 말하는 ‘열락[說]’또는 ‘기쁨[悅]’은 통치자와 일반 백성들 사이의 도덕적 심미적 공감을 소통시켜주는 지표이자 기준이다.

      • KCI등재

        특집논문 : 아리랑의 정신분석-상실에 맞서는 애도, 우울증, 열락(jouissance)의 언어

        김승희 ( Seung Hee Kim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2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0 No.2

        아리랑은 그 주요 노랫말이 보여주듯이 상실과 박탈의 트라우마에 대한 노래다. 님의 상실이나 고향 상실, 조국의 상실과 같은 자기 존재의 근거가 되는 중심이 상실되고 박탈될 때 가슴 밑바닥에서부터 끓어 올라오는 애원성(哀怨聲)이다. 또한 하나의 기표로 표상할 수 없는 큰사물(chose)의 상실에 대한 노래이기도 하다. 역사적으로 아리랑은 식민지시기에 조국을 잃고 이방의 땅을 떠돌아다니며 불렀던 디아스포라의 아리랑이었고, 고향 상실에 관한 노래이자 자기 치유의 노래이기도 했다. 아리랑은 민중들에게 ``말하기 치료``(Talking Cure), 그 자체였다. 본고는 아리랑을 일인칭 발화자에 초점을 맞춘 감정표시적 기능(emotive function)의 언어로 보며,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적 이론에 따라 상실에 맞서는 세 가지 태도, 애도(mourning), 우울증(melancholy), 열락 (jouissance)의 태도를 보여준다고 분석한다. 그것을 애도의 아리랑, 우울증의 아리랑, 열락의 아리랑이라고 부른다. 그것은 아리랑의 고정부인 후렴의 3가지 성격과도 적확하게 대응한다. 프로이드에 의하면 애도와 우울증은 둘 다 대상의 상실에 관한 태도이지만 애도는 슬픔 중에서도 님의 상실을 인정하고 그를 향했던 리비도를 철회하며 다른 대상으로 치환하거나 생의 에너지로 전환한다. 애도는 현실 원칙을 따른다. 그러나 우울증은 대상의 상실 그 자체를 물신화하며 대상이 떠난 그 자리에 자아를 놓고 자기 자아를 황폐화시킨다. 부정적 나르시시즘이나 어두운 마조히즘, 공격 충동, 죽음 충동, 모순의 양면감정 등으로 빠지게 된다. 애도의 아리랑은 님의 상실을 대자연의 우주적 법칙에 따라 승화시키고자 하며 전략적으로 두 가지 초월의 수사학을 활용한다. 우울증의 아리랑은 신아리랑이 보여주듯 "나를 버리고 가시는 님은/ 십리도 못가서 발병난다"와 같은 ``사랑/ 공격심리``라는 모순적 양면감정을 보이며 깊은 우울에 침잠하고 때로 죽음 충동을 보이며 모순어법, 역설, 반어 등을 활용한다. 열락의 아리랑은 상실의 예감 속에 느끼는 가사성(mortality)의 공포를 성적 쾌락주의를 통해 물리치며 유교적 이데올로기가 여성들에게 부여한 젠더로부터 해방되는 섹슈얼리티를 과감하게 노래한다. 그럼으로써 주체 형성 과정 이전으로 돌아가 전기 오이디푸스적(Pre-Oedipus)적 에너지를 마음껏 발산하며 상실 이전의 열락을 향유한다. 아리랑은 그 외에도 식민지적 근대에 대한 저항이나 탈식민주의적 욕망을 노래하기도 한다. 한 노래의 양식이 시간과 공간을 달리하여 계속 새로운 버전을 생산하면서도 자신의 아이덴티티를 생성, 지속해 올 수 있었다는 것은 자신의 내부에 어떤 종류의 모더니티를 내재하고 있다는 것이다. 끝으로 고려 말(1392년 경)이나 대원군 시절(1865년 경)이라고 추정된 옛날부터 생성되어 입에서 입으로 유포되며 전해져 내려온 아리랑의 끈질긴 생명력의 작인(agent)이라고 생각되는 모더니티를 5가지로 분석해 보았다. As the lyrics of Arirang show, it is a song about the trauma of loss and deprivation. It expresses the heart-felt lament rising from deep inside when a person is deprived of something that had constituted the central foundation of their being, be it the loss of a loved one, of home or of nation, of un-representable ``Chose``. Historically, Arirang was the song of Koreans living in Diaspora, wandering through foreign lands after losing their homelan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occupation, a song of loss of home and also a song of healing. For the simple people, Arirang was a ``talking cure.`` This study considers Arirang as language with an emotive function focused on the first-person speaker, interpreting it as showing the three responses to loss found in Freud`s psychoanalytic theory: mourning, melancholy and jouissance. They are labeled at the Arirang of Mourning, the Arirang of Melancholy and the Arirang of Jouissance. This corresponds precisely with the three characteristics of the refrain at the heart of Arirang. According to Freud, both mourning and melancholy are responses to the loss of someone, but among various forms of sorrow, mourning accepts the loss of a beloved one, withdraws the previously committed libido from that engagement and redirects it toward another object or transforms it into vital energy. Mourning follows the principles of reality. On the other hand, melancholy fetishizes the loss of the other, places the ego in its place, then torments it. It makes one fall into a negative narcissism, dark masochism, aggressive urges, death urges, contradictory and ambivalent feelings etc. The Arirang of Mourning sublimates the loss of the beloved according to the cosmic laws of nature, strategically utilizing a rhetoric of two kinds of transcendence. The Arirang of Melancholy, exemplified by the New Arirang, reveals contradictory and ambivalent feelings, as in the "love / aggression psychology" of "The lover who left me and went away / will have sore feet before he goes far," showing withdrawal into deep depression, sometimes even a death wish. The Arirang of Jouissance dispells the fear of mortality sensed in anticipations of loss through sexual hedonism, resolutely singing in praise of sexuality liberated from the gender attributed to women by Confucian ideology. Thus, returning to what came before the formation of the main agent, pre-oedipal energies are plentifully released and the delight experienced prior to loss is celebrated. In addition, Arirang expresses resistance to colonial modernity or anti-colonial longings. The way this one song`s form varies with time and place, constantly producing new versions, shows that it contains within itself a kind of modernity, capable of producing and maintaining its identity. Finally, since its origin in the past, whether the end of Goryeo (c.1392) or the time of Daewon-gun (c. 1865), passed down from mouth to mouth, the modernity which Arirang is reckoned to possess as the agent of its tenacious vitality is analyzed in 5.

      • KCI등재

        일이관지의 비밀을 푸는 열쇠 : 공자의 삶과 사상을 하나로 꿰는 교육의 열락

        엄태동(Taedong, Eom) 한국교육원리학회 2021 교육원리연구 Vol.26 No.2

        ‘공자는 성인(聖人)인가, 집 잃은 개인가?’ 공자가 살던 당시부터 그의 정체를 놓고 상반된 의견이 대립하며 논란을 빚었다. 심지어 제자들도 스승의 진면모를 헤아리지 못하고 엉뚱한 질문을 던지곤 했다. 이런 오해를 불식하려고 공자는 자신의 삶과 사상을 한마디로 요약한 일이관지(一以貫之)라는 말을 남긴다. 그러나 그의 기대와는 달리 일이관지의 일이 충(忠)인지 서(恕)인지를 놓고 후학들의 입장이 다시 갈린다. 이 과정에서 유가는 다양한 학파로 나뉜다. 오늘날에도 여러 분야의 학자들이 일이관지를 다채롭게 논의하고 있다. 그러나 공자는 충이나 서는 물론이고 특정한 덕(德)을 거론하며 자신의 정체를 이야기한 적이 없다. 오히려 그런 시도 자체를 삼갔다. 반면 그는 교육의 열락(說樂)을 쫓는 일만큼은 세상 누구에게도 뒤지지 않는다고 자부한다. 그러나 손가락(敎育)은 보지 못하고 달(德)만 쳐다보는 외향적인 시선으로 말미암아 사람들은 공자의 그런 외침을 듣지 못한다. 교육학의 어려움이 바로 여기서 생긴다. 이 논문은 논어를 철저하게 교육학의 관점에서 읽는 가운데 일이관지의 일이 충이나 서가 아니라 교육의 열락이라는 점을 밝힌다. 그럼으로써 공자의 삶과 사상을 교육학의 관점에서 새롭게 드러낼 수 있는 길을 연다. To his contemporaries, Confucius was commonly known as wonderful person who learns a lot and memorizes them all. But this reputation unexpectedly produced various misunderstandings from excessive deification to malicious rumors. In order to dissipate misunderstandings about his identity, Confucius said that his way is penetrated by one thread. This remark well known as Iligwanji(一以貫之) has considered to be a necessary key to disclose Confucius’ mysterious life and abstruse thoughts. His disciples and so many scholars have interpreted Confucius’ one thread as Chung(忠) or Seo(恕), and originated various theories about human nature, morality and ideal society. But Confucius has never pretended to be a person who realizes any kind of virtue including Chung and Seo as his own character. He has just professed to be a person who is relentless in pursuing educational flow-experience called Yeol-Rok(說樂). This study is to interpret educational Yeol-Rok as one thread that penetrates Confucius’ whole life and thoughts with constant reference to his own confession about educational life experience expressed in Analects. This unique academic challenge to read Confucius’ Analects in the perspective of education can contribute to not only new understanding of Confucius’ thoughts but also autonomous theorization of education.

      • KCI등재

        연구논문 : 關于李退溪對陽明學之批判的硏究

        선병삼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0 儒學硏究 Vol.21 No.-

        신유학은 선진유학과 구별하여 송명이학을 일반적으로 지칭한다. 송명이학이란 송대의 주자학과 명대의 양명학을 통칭한다. 이것이 중국 이학에 관한 기본 서술이다. 조선유학(이학)은 송대 주자학을 정통으로 삼고 명대 양명학을 이단시했다. 이것이 조선 이학에 관한 기본 설명이다. 양명학이 조선에서 이단시되는 과정에서 퇴계의 양명학 평가는 중요한 근거가 되었고 그의 양명학 비판은 <전습록논변>에 집중되어 있다. 한국학계에서 퇴계의 양명학 비판에 관한 연구는 상당한 양에 달하고 있지만 주된 연구태도는 퇴계학을 옹호하는 관점이거나 양명학을 변호하는 관점에서 상대방을 포용하거나 배척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전습록논변>을 분석하면서 양명의 본의와 퇴계의 우려가 사실은 동일한 성인지학을 추구하는 과정의 산물이라는 점을 보여준다. 다시 말하면 퇴계와 양명은 모두 도덕실천을 강조한 유학자라는 점이다. 그렇다면 퇴계가 양명학을 배척한 이유는 어디에 있는가? 통상적으로 제시하는 "일반적 오해"나 "적극적 곡해" 혹은 "정통한 비판"이라는 도식 외에 본 논문은 본체(심체)에 대한 분석을 통해 퇴계 비판의 이유를 제시한다. 여기서 설정한 심체는 장경심체와 열락심체이다. 퇴계는 주자학의 도덕보편주의를 바탕으로 자신의 도덕실천주의를 실현할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양명이 주자학의 공리주의화를 비판하면서 제시한 도덕실천주의의 제학설에 대해 부정적 태도를 가지고 있었다. 게다가 퇴계는 장경심체의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열락심체의 경향이 강한 양명학의 부작용에 대해서도 우려를 하고 있었다. 이점이 퇴계가 양명학을 배척한 주된 이유라고 할 수 있다. 本論文是關於韓國著名朱子學者李退溪對陽明學之批判的硏究。李滉(字:景浩,號:退溪,1501-1570)是朝鮮李朝(1392-1910)的著名朱子學者,被稱爲"朝鮮的朱子"、"東方百世之士"。筆者在本文裏要解釋、疏通退溪批評陽明的理由以及조尋退溪學的特色。爲了這個目標分析了退溪的《傳習錄論辯》中的"至善"論辯和"知行合一"論辯。通過分析,可知退溪學有批判的正當性,而陽明學也有自身的正當性。那마,退溪著重道德實踐的立場爲何激烈反駁陽明著重道德實踐的學說?這是本文著重討論的問題。解決這個問題僅고 "性卽理"和"心卽理"的圖式,沒有理想的作用。故筆者從他們的"莊敬本體(心體)"和悅樂本體(心體)"裏,嘗試조出線索。莊敬狀態是《詩經》所謂"昭事上帝"的莊敬嚴肅的心態,悅樂狀態是《論語》所謂"風詠舞雩"的和悅快樂的心態。本來,就工夫完成者而言,兩者是統一不分的,可是就工夫過程者而言,過重一面頗有所謂過不及的片面性。就是從悅樂本體强調的人而看,莊敬本體會有把變動不居的本體當成典要,固執形式而不靈活,從而僞道德的君子等的嫌疑。相反,從莊敬本體强調的人而看,悅樂本體會有把告子的"生之謂性"卽禪家的"作用之性"當成本體,放棄工夫而렵等,猖狂放恣而無紀律,從而無忌憚的小人等的嫌疑。總之,退溪認爲,根據朱子學可以實現他所想的爲聖之學。所以退溪反對陽明違背朱子的格物說而建立"心卽理",提倡爲聖之學。尤其是,退溪擁有莊敬心體的傾向,흔可能기視陽明的悅樂心體是放蕩心體,就是等於"禪"。就這樣,陽明學被退溪學所激烈批判,在韓國遲遲不振,幾乎沒有機會給韓國儒學添加悅樂本體的傳統。

      • KCI등재

        논어 ‘학이시습지’ 장(章)에 대한 교육학적 오독(誤讀): 학시습의 열(說)과 회화의 낙(樂), 그리고 홍도(弘道)하는 삶

        엄태동 한국교육원리학회 2019 교육원리연구 Vol.24 No.2

        The purpose of this unended study is to rethink, or redescribe what is education by reading the Analects of Confucius with the hermeneutic method called intentional strong misreading. Especially this study tries to draw new academic concepts, educational imagination and insights from the first three sentences of the Analects. The first three sentences are very important to interpret consistently the hundreds of fragmented sentences of the Analects, understand the details of Confucius' thought, and disclose the hidden aspects or totality of education. The tentativ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self-sufficient flow-experience(Yeol-Rok, 說樂) of education is depicted and exalted to be worthy of living for everyone. The educated man(Gunja, 君子) is willing to devote his life to pursuing and enjoying Yeol-Rok. This kind of educational life of Gunja accompanies naturally the life of searching and widening human transcendental ways(Hong-do, 弘道). The educational life of pursuing Yeol-Rok and attempting Hong-do can be conceptually divided but exist as one that can not be separated. Although these results are very far from satisfaction and just first step to educational conceptualization, they can be used as a cornerstone of educational interpretation on the Analects and making autonomous educational theory. 이 글은 공자의 교육사상을 논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교육학이 하나의 자율적인 학문이라면, 동일한 텍스트를 놓고도, 다른 학문이 하는 것과는 다르게 읽을 수 있어야 한다. 이 연구는 논어 학이편의 첫 세 문장인 학이시습지 장을 중심으로 논어를 교육학의 시선을 통해 의도적으로 오독한다. 그럼으로써 논어 속에 등장하는 단편들을 재료로 삼아 교육에 대한 새로운 이야기를 할 수 있는지를 탐색한다. 학이시습지 장은 학시습의 열과 회화의 낙을 서로 구분되는 각별한 삶의 보람으로 노래하고 있으며, 이를 추구하는 삶을 살아보라고 권고하는 글로 읽을 수 있다. 일반적인 생각과는 달리 공자는 도(道)가 아니라 도를 넓히는 홍도(弘道)에 주목한다. 홍도하는 삶은 교육의 열락을 쫓으며 사는 삶의 자연스러운 귀결이라 말할 수 있다. 교육의 열락이 없이는 홍도하는 삶이 가능하지 않다. 논어에 대한 이러한 교육학적 오독을 계속 수행해서 논어 전편을 다시 서술하는 가운데 이를 가지고 교육에 대한 새로운 이야기를 만드는 것은, 논어 연구는 물론이고 교육학 연구와 관련해서도, 시도해볼 만한 가치가 충분하다.

      • KCI등재

        조위(曹偉) 시의 천기묘출양상(天機描出樣相)과 그 의미 : 정신적 자유에의 지향을 중심으로

        유호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5 民族文化硏究 Vol.42 No.-

        본고는 成宗朝 士大夫 漢詩의 특성을 해명하기 위하여 曹偉의 自然詩에 나타난 시적 특성과 정신적 지향에 대해 서술한 글이다. 조위의 자연시를 살펴보면 사물의 아름다움과 개성, 그리고 靈性을 주로 묘사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는 그가 莊子가 역설한 사물의 天機를 注視하고 있음을 드러낸다. 이러한 관점에 따라 시인은 자연물상을 자연스럽고 편안하며 자유로운 모습으로 형상화하였다. 특히 무질서하게 움직이는 것들의 이미지를 빈번히 묘사하여 그가 사물의 자유로움에 주목하고 있으며 정신적 자유를 지향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정신적 자유에 대한 지향은 자연물과의 調和나 感應을 즐겨 시화한다는 사실에서 보다 뚜렷이 드러난다. 그에게 있어 자연물과의 조화와 감응은 자연생명과 교감하여 내면을 맑힘으로써 우주의 질서에 동참하는 것이어서 이를 통해 사물과의 대립은 해소되고 孤立的인 個我는 宇宙的인 自我로 확장된다. 이를 묘사한 시에 悅樂의 정서가 솟구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러한 자연시의 창작은 宦路에서의 속박감과 인생에 대한 허무감, 그리고 형식상의 기교를 중시했던 당대 시단의 매너리즘에 대한 반성에서 촉발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시인은 천기를 묘출한 시를 통해 당대 시단에 새로운 활기를 불어 넣고 미적 체험의 장을 확장시켰다. 한편 그의 시는 도학에 아직 침잠하지 않은 당대 신진사류가 노장사상에서 정신적 귀의처를 발견하기도 했다는 소식을 전한다. This paper, for explaining the features of Chinese poetry of the gentry during Seongjong(成宗)'s reign, described poetic characteristics and mental intention represented Jowui'(曹偉)s poems which depicted natural things. His poems which depicted natural things shows that he seeks for the beauty and features of things and divine true character, which implies that the poet carefully looks at Cheongi(天機) of things Jangja(莊子) stressed. Accordingly, he encapsulates natural things by dividing them into a shape changing according to its life principle, a self-satisfying shape with leisure, and a free shape. Especially that he frequently depicts the image of the things which moves flexibly implies that he seeks for mental freedom. A longing for mental freedom shows more distinctly in that he enjoys representing harmony(調和) and sympathy(感應) with natural things. To him, the harmony and sympathy with natural things means participating in the order of the universe(道) by being in rapport with natural things and disclosing the inside, through which opposition to an object disappears and individual isolated self is extended to universal self. That is the reason his poems which depicted scenery are full of delightful emotion(悅樂). It can be said that such creation of natural poems was derived from restrictions in holding a government post, a sense of emptiness in life and reflection on the mannerism of current poetical circles. The poet inspired the poetical circles with new vitality through poems which depicted Cheongi and expanded the opportunity of an aesthetic experience. Meanwhile, his poems shows a fact that a mental longing was discovered through Taoism under a cultural atmosphere in which the current new scholars did not absorb Seongrihak(道學).

      • KCI등재

        박범신의 『주름』에 나타난 죽음 담론 고찰

        최영자(Choi, Yoing-Ja)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6 한국문학과 예술 Vol.18 No.-

        이 글은 박범신의 『주름』에 나타난 죽음담론을 고찰하였다. 박범심의 『주름』은 인간이 궁극적으로 도달해야 할 죽음 담론을 제시한다. 『주름』은 평범한 가장이자 회사의 중요한 직책을 맡은 비본래적인 삶을 살던 ‘그’가 하루아침에 모든 것을 팽개치고 연상의 여류시인에게 매혹돼 잠적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이후 ‘그’는 아프리카를 비롯해 바이칼까지의 긴 여정을 시작한 ‘그녀’를 쫓아 죽음의 여정을 시작한다. 시한부로서의 ‘그녀’는 죽음의 시간을 지연시키기 위해 여정을 감행해야 했다. 반면 ‘그’의 ‘그녀’를 향한 맹목적인 숭배는 본래적 자아를 찾는 계기가 된다. ‘그녀와의 만남-떠남-그녀의 죽음-돌아옴-나의 죽음’이라는 플롯구조는 ‘시간 여정’으로 함축되고 있다. 이는 ‘시간의 주름’으로 바꾸어 말할 수 있다. 인간의 존재론은 결국 시간의 주름과 직결된다. 시간의 주름의 관점에서 보면 그들이 도달한 ‘현재’는 결국 ‘시간 여정’의 한 지평일 뿐이라는 존재론적 인식과 맞닿아 있는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그녀’는 죽음에 대한 은유로 비본래성의 삶을 살던 ‘그’로 하여금 타자성을 일깨우고 자신 실존의 본질인 죽음과 대면하게 하는 계기로 작용한다. 이 텍스트는 이러한 인식에 근거 죽음의 본질이 무엇인지에 대한 극렬한 물음을 전제하고 있다. ‘그’는 ‘그녀’의 죽음에 대한 응시를 통해 죽음 본질의 텅빔을 인식한다. 이는 ‘그’로 하여금 열락의 죽음에 이르게 하는 계기로 작용한다. 그것은 어머니의 바다로 환유되는 휘영청 달밤 복사꽃 바다에 빠져 복상사하는 죽음이었다. 이는 금지된 어머니와의 향락을 통한 죽음을 의도한다. 죽음의 역겨움과 터부를 ‘그녀’의 죽음을 통해 형상화한 『주름』은 이처럼 죽음의 본질이 우리의 삶의 본능과 직결돼 있음에 대한 통렬한 인식을 보여준다. This study considers the death discourse in a long novel, 『Wrinkle』 written by PARK BEOM SIN. His novel, 『Wrinkle』proposes the death discourse that the human beings have to reach eventually. This novel starts from the event that ‘he’, who has lived unoriginally as an ordinary head of household and a leadership position in the company, abandons all things and disappears because he is attracted by an older poetress. Since ‘she’ is given several times to live, ‘she’ is an existence seeing the existence, the death. After then, ‘she’ starts a death journey by following ‘her’ having started a long journey from Lake Baikal to Africa. Whereas ’she’ has to continue to travel for delaying death as a terminally ill patient, ’his’ blind worship becomes a motivation for him to find the original himself. ’Meeting with her - leaving - her death - returning - my death "of the plot structure is implied by’ time journey. This can be said to change after the "wrinkle of time. Human ontology is directly related to the folds of the end of time. In this meaning, ‘she’ makes ‘him’, whom has lived unoriginally, realize the otherness and the death as the essence of himself by a metaphor of death. This novel premises a keen question of what the essence of the death is based on this recognition. ‘He’ recognizes the emptiness of the death itself by gaze into ‘her’ death. This makes ‘him’ reach the death of jouissance. It is a coition death at the bottom of the peach blossom on a glorious silvery moonlit night as the metonymy of the mother’s sea. This means the death by a forbidden pleasure with his mother. The novel 『Wrinkle』, which embodies the disgust and taboo of the death by ‘her’ death, shows a keen recognition that the essence of the death closely relates to the instinct of our life.

      • KCI등재

        인간의 행복에 대한 새로운 접근

        김성동 대동철학회 2007 大同哲學 Vol.41 No.-

        이 글은 인간의 행복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다. 고대 그리스의 아리스토텔레스가 이미 지적하였듯이, 행복은 인간 삶의 궁극목적으로서 인간의 삶의 지침이다. 근대에 들어 인간의 행복은 계속하여 증대되는 듯이 보였지만, 갑작스레 정체를 겪고 있다. 이러한 정체는 이제까지의 행복이해가 더 이상 타당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행복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 행복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위해서 행복에 대한 과거의 접근들 즉 행복의 역사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역사는 사리지는 것이 아니라 축적되어 작동하고 있기 때문이다. 신화시대의 사람들은 행복을 물질적으로 정신적으로 걱정이 없는 상태로 파악했다. 고대의 사람들은 행복을 이성적으로 고통은 피하고 쾌락을 구하는 일로 생각하였다. 중세의 사람들은 행복을 인간과 하느님의 일치로 파악하였다. 근대의 사람들은 행복을 모든 사람들이 물질적으로 풍요한 상태로 파악하였다. 오늘날에도 물질적 풍요가 인간의 행복을 가져온다는 근대의 행복이해는 통용되고 있고, 일정한 수준에 이르지 못한 인간의 삶에서는 여전히 타당하다. 하지만 이른바 풍요로운 사회의 구성원들에게 물질적 풍요는 인간의 적응과 재화의 한계효용 때문에 더 이상 행복을 증대시키지 못한다. 게다가 물질적 풍요는 더욱 불균형하게 분배되기 때문에 상대적인 박탈감은 더욱 증대되고, 더 큰 물질적 풍요를 확보하기 위한 행복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희생 때문에 불행이 오히려 증대된다. 그리고 이러한 물질적 풍요의 터전인 지구의 능력도 한계에 도달하고 있다. 물질에 집착하는 인간의 생물학적 본능은 인류의 만성적인 물질적 결핍에 기인한다. 하지만 오늘날 인류는 그러한 결핍에서 벗어났기 때문에 그러한 본능은 근사 메커니즘에 불과하다. 인간의 두뇌는 세계를 반영할 뿐만 아니라 세계를 기획할 수도 있기 때문에 이러한 메커니즘을 통제하고 자신을 더욱 행복하게 만들 다른 메커니즘을 작동시킬 수도 있다. 긍정심리학의 연구에 따르면 인간은 세계의 긍정적 반영인 쾌락을 넘어서 세계에 대한 긍정적인 기획인 열락까지 누릴 수 있다. 이러한 경험적 지식을 고려하여, 행복에 대한 탈근대적 명제를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간의 행복에는 물질적 풍요가 중요하지만, 그것은 기본적인 의식주의 욕구가 충족되는 수준까지이다. 둘째, 행복은 세계를 반영한 결과이지만 세계에 대한 기획을 통하여 변경될 수 있다. 셋째, 행복은 물질적 풍요로부터 비롯되는 쾌락을 넘어서 건강, 가족, 일과 취미, 교유를 통한 열락으로써 자신을 확장시키는 데에 있다. 이러한 새로운 접근에 따를 때 온전한 행복을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실천적 요구들이 있게 된다. This thesis is the new approach to human happiness. As Aristotle already described, the happiness is the guiding principle as the human ultimate end. In the modern era the happiness seemingly has continued to increase, but it shows the sudden stagnation. This is caused by the invalidness of the last understanding of the happiness. Therefore we need a new one. The examination of the old approaches to happiness, that is, the history of happiness, must precede the new approach to happiness, because the history doesn't pass away but work on accumulatively. The mythical age regard happiness as no problem about the material needs and the spiritual worries. The ancient the reasonable avoiding pains and seeking pleasures. The medieval the human conformity with God. The modern the material richness of all people. The modern understanding of happiness that the material abundance stand alone in the human happiness is current and is available in the life of people who is not over the general material needs. However the abundance cannot increase the people's happiness in the affluent society because of the human adaptation and the decrease of the marginal utility. In addition, the relative deprivation increases owing to the much more impartial distribution and the unhappiness increases due to the sacrifice of the other components of happiness for the abundance. The earth capacity which support to this is reaching at the limit. Human tenacity for the material as the biological instinct is established by the chronic shortage of the material. However the instinct is only the proximate mechanism because the mankind is already beyond the shortage. Such a instinct could be controlled and another mechanism started, because human brain does not only reflect but also project the outer world. Human being can get both the pleasure as the positive reflection and the enjoyment as the positive project of the world according to the positive psychology. Under the consideration of this empirical knowledges the post-modern understanding of happiness might be set as follows. 1. The material abundance is important in human happiness until the basic material needs is fulfilled. 2. The happiness is the result of reflection of the outer world and could be modified by the projection to the outer world. 3. The happiness rely on the extension of self through the enjoyment of health, family, job and hobby, friendship which transcend the pleasure from the material abundance. This new approach to happiness require various kinds of practical endeavor for the whole happiness.

      • KCI등재

        백석 시에 형상화된 백색 이미지와 음양오행의 상징성 연구

        김지연 한국문학회 2023 韓國文學論叢 Vol.93 No.-

        백석은 일제강점기 민중의 삶을 민족어로 시화하면서, 실존의 고통과 초월의 문제를 통찰한 시인이다. 그는 삶의 아포리아에 맞서는 순수한 시심을 전통과 모더니즘을 융합한 방법론으로 형상화하여, 한국의 시사에서 개성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백석의 시에 형상화된 백색 이미지를 음양오행의 관점에서 상상력의 근원과 상징적 의미를 탐색하였다. 백석의 시에 형상화된 백색 이미지는 세속적 욕망 또는 비극적 운명에 대항하는 신성하고 순정한 ‘생명’을 표상한다. 백석의 시에 형상화된 백색 이미지와 음양오행의 상징성은 「선우사」―청정한 친구와 교감하는 순정한 생명의 합일, 「백화」―영원한 고향 ‘백화’에서 울려 퍼지는 생명의 화음, 「국수」―고담하고 소박한 국수, 민중의 감고를 관통하는 생명의 향연, 「힌 바람벽이 있어」―고독한 운명을 뚫고 고결하게 날아오르는 생명의 열락 등으로 해석되었다. 백석에게 있어서 백색 이미지는 자존과 견인불발의 정신으로 구극의 아름다움을 지향하는 원형성을 지닌다. 백석은 우리 민족에게 수장되어 있던 백색의 원형성을 끌어내 자신의 생동적인 상상력을 형상화했다. 백색의 상상력을 통해 실존의 고투를 뚫고 고결하게 날아오르는 생명의 열락을 구가했던 것이다. 과도한 발전과 팽창으로 번화의 소용돌이에 휩쓸려 있는 이 시대에, 백석의 시에 표현된 백색 이미지는 조열의 불균형을 정화시키는 서늘한 교감과 치유의 체험으로 이끈다.

      • KCI등재

        전통주택 마당에 나타나는 정원양식의 현대적 분화

        박은영 ( Eun Yeong Park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1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29 No.2

        주거는 그 시대의 사회·문화적 가치관이 총체적으로 표현되는 것으로 지속성과 변화를 반영한다. 한국 전통주택의 마당은 외부공간이긴 하나, 안채와 맞물린 한 짝의 공간으로 내부공간에서 못다 이룬 주거기능의 많은 부분을 수행하고 있다. 개화기 이후 우리의 주거문화는 급격한 환경변화의 과정 속에서 가치관과 주생활 양식의 변화와 함께 마당의 형태, 기능, 의미가 달라지고 있다. 이에 47개 연구대상지를 통해 주택마당의 현황과 실태를 파악하여 마당의 변용과 분화를 분석, 종합하였다. 연구대상지에 전통주택 마당의 원형과 달리 분화된 방식으로 표현되고 있는 대표적인 요소는 재식의 재료와 방법, 점경물의 이용, 포장재료, 물의 이용, 텃밭의 변화 등이었다. 전통주택 마당에 나타나는 정원양식의 현대적인 분화는 마당의 역할이 변화함에 따라 정원 영역의 분화가 나타났고, 경계와 적극성의 정도에 따라 정원 형태의 분화가 나타나고 있었다. 또한 장식성과 실용성의 추구에 의한 정원의 기능 분화와 편리성 추구에 따라 정원의 소재 분화가 나타났다. 그 밖에 상징과 일상적인 의미에서 상업성, 개방정원의 의미가 추가되어 정원의 이용 분화가 나타나고 있었다. Dwelling reflects the continuance and change that, in general, expresses the era`s cultural and social values. The yard of Korean traditional dwelling, although it is an exterior space, it is a companion space that is engaged with the main house. It operates many housing functions that were not achieved within the interior space. After the time of enlightenment, shape, function and the meaning of Korean traditional house yard along with the change of values and major living style has been changing. Therefore, to understand how the Chosun Dynasty`s house yard is being used in modern days,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search of 47 sites and conducted a study regarding the acculturation and division the house yards. Typical elements in the target garden site that are expressed in a way differentiated from the original form of the Korean traditional house yard were the materials and methods of planting, the use of garden ornaments, paving materials, the use of water, and changes in kitchen gardens. As the role of house yards changes, the modern division of the style of gardens occurred; the areas in a garden have been divided and the form of a garden has been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limit and initiative. The pursuit of ornamentality and practicality led to the differentiation of gardens` functions, while seeking after convenience resulted in the division of gardens` materials. The use of gardens has also been differentiated by adding commerciality and a concept of open garden in both symbolic and daily mann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