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열등의식의 문학적 탐구 : 김승옥의 「더 많은 덫을」에 대하여

        김영찬(Kim Young-chan),김승옥 한국근대문학회 2010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1 No.1

        김승옥은 1966년 대중적 상업주간지인 『주간한국』이 지령 100호 기념으로 지식인 100명에게 투표를 의뢰하여 발표한 ‘오늘의 작가’에 선정된바 있다. 김승옥의 소설 「더 많은 덫을」은 그 선정결과가 발표된 『주간한국』 100호 기념호에 〈100인이 선정한 ‘오늘의 작가’의 ‘오늘의 작품’〉이라는 타이틀 아래 실린 것이다. 김승옥의 소설 「더 많은 덫을」은 그동안 독자의 기억에서나 문학연구의 영역에서나 유실되었던 작품이다. 그러나 「더 많은 덫을」은 ‘서울에서 산다는 것’에 임상심리 보고서로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을 뿐 아니라, 이 시기 그의 다른 작품과 비교할 때 작품의 질에서도 당연히 뒤떨어지지 않는다. 이 소설에서 주목되는 것은 전라도에서 상경한 촌놈으로서의 자의식, 그리고 그와 얽혀 있는 당대 한국사회의 사회문화적 환경과 사회심리의 표정, 그에 대한 심리적 반응 등이 거의 날것 그대로라 할 만큼 생생하게 증언되고 있다는 점이다. 그런 측면에서 이 소설은 김승옥 소설의 배면에 은밀하게 깔려 있는, 열등의식 가득찬 고단한 ‘상경 촌놈’의 내면풍경을 그 특유의 미려한 장식을 걷어내고 더욱 깊숙이 들여다볼 수 있는 흥미로운 자료로서의 가치도 높다. 김승옥의 소설 「마지막 덫을」은 비루한 자기보존을 위해 남모르는 안간힘을 써야 하는 소외된 열등생의 불행하고 눈물겨운 자의식의 분투를 보여준다. 그런 측면에서 이 소설은 너무나 욕된 생활 속을 죄충우돌 살아가야 했던 열등한 상경 촌놈들의 ‘서울살이’에 대한 또 하나의 눈물겨운 임상심리 보고서다. 그런 가운데서도 이 소설은 김승옥의 여타 임상심리 보고와 의미 있는 차이를 보여준다. 그것은 ‘열등생’이라는 김승옥 고유의 토픽이, 열등감의 사회경제적 배후와 지역차별에 대한 문제의식과 결합되면서 한층 구체적이고도 집중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더욱이 전라도 출신에 대한 차별과 편견이라는, 사회적으로 중요하지만 문학에서 쉬 발설되지 않았던 민감한 문제를 소설 속으로 적극적으로 끌고 들어온 것 자체만으로도 이 소설이 갖는 문제성은 크다. 무엇보다 이 소설이, 소외된 주변의 욕망을 관리하는 동시에 식민화하는 1960년대 한국사회 근대화 과정의 심리적 결과를 화자의 복잡 미묘한 갈등의 굴곡을 통해 정면으로 포착하고 있다는 사실은 중요하다. 그런 측면에서 이것은 ‘서울에서 산다는 것’에 대한 김승옥식 임상심리 보고의 연장이자 그 사회문화적 구체화라 할 만하다. Seung-ok Kim was selected in 1966 as a “writer of the day” in the poll made by a popular magazine Weekly Korea; his fiction 「Even More Traps」 was published in the magazine as a "fiction of today novelist of today" selected by one hundred people. 「Even More Traps」 has been neglected by common readers and literary scholars. However, it is significant as a report of clinical analysis of ‘living or surviving in Seoul’ and comparable to his other works in terms of quality. What draws our attention in the work is that the psychological dynamism of the main character is so vividly described naked: his self-consciousness as a churl from the Cholla Province, a wretched rural area in Korean history; his psychological response to the socio-cultural milieu and mentality of the Korean society at the moment. In this respect, 「Even More Traps」 can be called a hard-boiled testimony of the inner landscapes of a churl who has come to Seoul, undecorated with the writer’s characteristic refined style. The writer carries out a more detailed profound investigation of his own topic of ‘losers’, regarding the socio-economic backgrounds of inferiority complex and the criticism of unjust discriminations against the rural. Furthermore, it is noteworthy his attempt to shed light on the sensitive issue-the discrimination and prejudices of those who are from the Cholla Province, for it has been neglected in literature in spite of its social connotation. More fundamentally, it is important that 「Even More Traps」 faces the psychological outcomes of the modernization of Korean society in 1960’s by the means of the dramatization of sophisticated inner conflicts of the narrator; it is a detailed version of the writer’s signature analysis of society from a clinical perspective.

      • KCI등재

        황색 피부, 백색 가면

        하상복(Ha, Sang-Bok)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과학연구 Vol.0 No.33

        다문화주의는 동등한 인간으로서 다양한 인종과 민족의 공존을 인정하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그러나 다문화적 국가 정책과 수많은 대중적 관심에도 불구하고 한국 사회의 실제 현실에는 왜곡된 인종주의적 태도와 폭력이 증가하고 있다. 차별을 받았던 식민의 역사와 분단이라는 역경 속에서 민족의 자존을 수립하는 과정의 배타적 민족주의로만 이 현상을 설명하기에는 너무 피상적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본 글은 비록 이러한 상황이 한국의 전반적이고 지배적인 현실이라고 단언하지는 않지만, 백인우월주의가 내재된 인종주의가 황색 피부를 가진 한국인의 현실에서 점점 확대되고 있는 인종의 정치학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논문은 프란츠 파농이 제시한 유색인종의 열등의식과 백인과의 동일시에 대한 성찰을 통해 19세기 이후 한국의 내면화된 인종주의적 경향을 검토하고자 한다. 파농의 성찰을 통해 본 논문은 19세기 말 한국의 인종주의의 수용과 확산이 서구 중심적 근대성에 의해 구성된 ‘지식과 존재의 식민성’에 한국인이 포섭된 결과로 파악한다. 또한 본 논문은 이 내면화된 인종주의가 일제 강점기 이후 동원된 순혈주의, 단일민족 신화, 민족주의를 ‘보충’하며 타자를 배제하고 차별하는 인종주의 형성에 일조하고 있다고 본다. 이런 측면에서 이 글은 오늘날 한국의 인종적 타자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주의 정책은 역사적으로 내면화된 인종주의와 배타적 민족주의의 경향 때문에 인종차별적 측면들을 포함하고 있다고 파악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도래할 한국의 인종적 지형이 가질 위험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우선 공적 및 사적 분야에서 보다 많은 고민과 논의들이 시작되어야 한다고 보고, 그 출발점으로 인종주의 사고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함을 제시한다. 이 인식의 전환은 백인 우월주의가 내재화된 인종주의를 해체할 수 있는, 나아가 식민지이래로 작동하고 있는 ‘지식과 존재의 식민성’을 극복하는 긴 여정의 출발점이다. 이를 통해 서구 중심적 패러다임에 갇혀 동일한 인간에게 우월/열등, 미개/야만이라는 인종적 위계체제를 작동시키고 있는 한국 사회의 고착된 사고를 전환시킬 수 있다. Distorted racialist attitudes and violence have steadily increased in Korean realities. This situation runs counter to Korean multicultural policies and a lot of social discussions about multiculturalism that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various races and peoples must coexist as equal human beings. It could be just superficial to say that this situation has the root in the exclusive nationalism that has been justified to establish national self-respect because of special historical experiences of Japan’s colonial occupation and national division. So Franz Fanon’s thought―especially, his analysis of inferiority complex and obsessed identification with the White of the black people-helps to explore racism with internalized white supremacy that is working as racial politics in the consciousness and everyday life of the Korean people after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nd his examination also helps to understand that the acceptance and proliferation of western racialist perspectives in Korea are the result that Korean people have been won over to ‘coloniality of being and knowledge’ constructed by eurocentric modernity. These racialist perspectives also support and supplement the myth of pure-bloodism, Korean race, and Korean nationalism built by the ruling classes of South Korea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ir impoverished country after the Japanese occupation and the Korean War, and in the guise of multiculturalism they play an important role of controlling and discriminating the colored people as uncivilized races and humble underclasses in the 21st century Korea. This racial situation can get worse and result in more abusive racism and xenophobia. To minimize it, it is needed to set about much more discussions on public and private efforts against racism. For this, the change of the way people think about racism will primarily be made. This change is the starting point for breaking up internalized racism and overcoming ‘coloniality of being and knowledge.’

      • KCI등재

        헤르만 헤세의 시(詩)에서 불(火)에 대한 치유관점의 해석

        손민정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1

        Interpretation of Fire in Poems of Hermann Hessefrom the Viewpoint of TherapyMinjeong Son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mage of fire in the poems of Herman Hesse from the viewpoint of poetry therapy based on the idea of complex proposed in Psychoanalysis of Fire by Gaston Bachelard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mimesis. For the study,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this article outlin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poetry therapy, the four element theory, and the four complexes proposed in the Psychoanalysis of Fire. Then, the four complexes were interpreted by applying them to the poems written by Hesse, from the viewpoint of therapy.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Prometheus Complex had an effect of increasing admiration and intellectual desire. Second, the Empedocles Complex is related to the desire of realizing life values. Third, the Novalis Complex resolves sexual impulse and conflict. Fourth, the Hoffman Complex helps recognize difference in views between individuals and promotes consideration. And then, assuming that writing creative poems has therapeutic effects, the study proposed mimesis as an alternative for people who are not proficient in poetry writing. Whil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plored the image of fire in Hesse’s poems and mimesis from the viewpoint of therapy, further research will be needed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s statistically based on survey. Key Words: Herman Hesse, Poetry Therapy, Image of Fire, Complex, Mimesis 헤르만 헤세의 시(詩)에서 불(火)에 대한 치유관점의 해석손 민 정* 요약: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헤르만 헤세의 서정시에 내재한 火 심상을 바슐라르 불의 정신분석 에서 논한 열등의식(complex)과 융합하여 시(詩) 치유관점에서 고찰하고 모방적 시작(詩作)인 미메시스의 치유 효용성을 연구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논저를 바탕으로 시 치유론에 대한 이론 배경과 심상(image), 4 원소론, 불의 정신분석 의 4가지 열등의식(complex) 등을 개괄하였다. 이어서 4가지 열등의식을 헤르만 헤세의 시에 적용하여 火의 심상을 치유관점에서 해석하였는데 연구 요지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메테우스 콤플렉스’의 인지는 존경의 심리, 지적 욕구를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엠페도클레스 콤플렉스’의 인지는 삶 가치의 실현 의욕을 추동한다. 셋째, ‘노발리스 콤플렉스’의 인지는 이성에 대한 성 충동과 갈등을 개선한다. 넷째, ‘호프만 콤플렉스’의 인지는 개개인의 관점 차이를 인정하고 배려심을 준다. 다음으로 시작 능력이 결여하여 창의적 시작(詩作)의 치유 효과를 얻기 어려운 사람의 시 치유를 위해 ‘미메시스’를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헤르만 헤세 시의 火 심상과 ‘미메시스’를 치유관점으로 고찰한 연구의의가 있으나 문헌 연구에만 국한된 한계가 있으니 설문에 의한 통계 분석을 시행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핵심어: 헤르만 헤세, 시 치유, 불의 심상, 열등의식, 미메시스 □ 접수일: 2022년 1월 8일, 수정일: 2022년 1월 30일, 게재확정일: 2022년 2월 20일*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학과 박사과정 수료(상담심리전공)(Completion of Doctoral Course, Dongbang Culture Univ., Email: capricorn75-@naver.com)

      • KCI등재

        인정욕구에 대한 심리학적 해석을 통한 심리역동 상호성 연구

        김상인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인성교육연구원 2022 인성교육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인정욕구에 대한 심리학적 해석을 통한 심리역동 상호성에 대한패러다임을 정립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주제와 관련 있는 1차 자료와 2 차 자료를 참고로 한 인정욕구의 심리역동 상호성에 대한 문헌연구이다. 연구주제는 인정욕구를 중심으로 자기애, 열등감, 완벽심리, 우월에 추구의 개념에 대해학자의 이론과 주장을 기초하여 논하였다. 이론적 배경은 헤겔과 후쿠야마를 중심으로 인정욕구에 대한 철학적 인식과 개념을 연구하였다. 심리학적 연구는 미드, 매슬로우, 머레이가 주장하는 이론과 설명을 중심으로 개념에 대해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인정욕구는 자기애와 완벽심리, 열등감과 우월에의 추구, 자기애와열등감, 완벽심리와 우월에의 추구가 서로 연결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중심에심리역동의 인정욕구가 있다는 것이다. 인정욕구는 자기애를 만들어 가며, 열등의식 극복과 완벽행동을 추구하는 원초적 에너지이다. 인정욕구는 우월추구 행동을 반복하게 만드는 원동력이며 사회공동체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 심리이다. 본 연구를 기초하여 인정욕구에 대한 개인별 사례중심의 연구와 사회변동과예술문화, 그리고 역사적 인물 중심의 관점에서 질적 연구 접근을 제안한다.

      • KCI등재

        ‘유토피아’的 지식인의 분열증적 양상, 90년대 시적 주체의 한 갈래(2)–유하를 中心으로–

        김정현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3 어문연구(語文硏究) Vol.51 No.1

        Following the author’s recently published study of Jang Jung-il, this study discusses the divisive and intellectual subjects that appeared in Yu Ha’s poetry in the 90s. In the 90s, Yu Ha’s divisive (small) subject was an intellectual who criticized capitalist desires (“Kichi Reflector”). At the same time, however, he suppressed his taste (“kichi addict”) through “guilty” and “sham”'. Behind Yu Ha's divisive (small) subject, located between his hometown and the city, are great seniors who evoke an intellectual mission. Yu Ha hides these intellectuals as “Other”. The image of senior intellectuals, who are noble but cannot be approached, are Other hidden by his divisive (small) subjects in the 90s. By Other, Yu Ha’s poem had to perform an intellectual mission (“Kichi Reflector”) aimed at utopian fantasy. The divisive aspect of this (small) subject is revealed when analyzing Yu Ha's poem in écriture (writing). This study can be the basis for various perspectives on reviewing the subjects of literature in the 90s. Yu Ha and Jang Jung-il show similar writing such as kitsch and parody. However, the difference between Yu Ha's “Utopia” intellectual and Jang Jung-il's “Heterotopia” intellectual is important. This difference demonstrates the diversity and complexity of Korean literature in the 90s. 김정현, 2023, ‘유토피아’적 지식인의 분열증적 양상, 90년대 시적 주체의 한 갈래(2), 어문연구, 197 : 169~204 본 연구는 최근 진행된 장정일 연구에 이어 90년대 유하시에 나타나는 지식인적 주체의 분열증적 양상을 검토한 것이다. 본고는 90년대 유하의 분열증적 (소)주체가 지식인적 태도로서 자본주의적 욕망을 비판(‘키치 반성자’)하면서도 동시에 자신의 취향과 추억(‘키치 중독자’)을 ‘죄의식’과 ‘부끄러움’이란 기제를 통해 억압할 수밖에 없었다는 점을 논의했다. 하나대(고향)와 세운상가(청년기) 그리고 자본주의적 욕망의 표상인 압구정동 사이에 위치한 유하의 분열증적 (소)주체 이면에는 ‘키치 반성자’로서 지식인적 사명을 추동하는 위대한 선배들이 (무)의식적인 대타자로 위치해 있다. 숭고한 그러나 다가갈 순 없는 선배 지식인들의 이미지는 ‘유토피아적’ 환상이자 지식인적 임무를 수행해야 했던 유하의 90년대식 시적 주체가 지닌 말해지지 않았던 의미론적 중핵으로 작동한다. 이 (소)주체의 분열증적 양상은 유하의 시텍스트를 에크리튀르적으로 검토하는 관점에서만 인식된다. 차후 본 연구의 관점은 향후 90년대 문학의 주체들을 검토하는 다양한 관점의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키치와 패러디라는 유사한 글쓰기 이면에 존재하는 유하의 ‘유토피아’적인 지식인과 장정일의 ‘헤테로토피아’적 지성인의 에크리튀르적 차이는 유의미하다. 이 차이는 진정성과 내면성의 개인으로 단일하게 호명된 90년대 한국문학의 다양성과 복합성 측면에서 이해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나’에 이르는 공백과 서사적 곤궁의 윤리: 김승옥의 <더 많은 덫을>에 대하여

        이정숙 ( Lee Jung-suk )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2016 漢城語文學 Vol.35 No.-

        김승옥의 소설 <더 많은 덫을>은 열등한 상경 촌놈들의 ‘서울살이’를 다루는 초기 단편의 계보를 잇고 있으면서도 의미 있는 차이를 보여준다. 그것은 이 소설이 한 청년의 빈약한 자기서사라는 점, 즉 자신에 대해 굳이 설명을 해야만 ‘너’들의 인정구조를 문제 삼을 수 있는 위치에 놓여있다는 점에서 비롯한다. ‘시시한’ 열등의식이 구조화되는 과정을 서술함으로써 <더 많은 덫을>은 ‘낮은’ ‘정치’에 정박한다. 전라도 출신의 삼류대학생이라는 사회적 편견 속에 살아가는 ‘나’를 설명하는 구조 안에 이미 ‘너’를 전제로 하는 말걸기의 구조가 포함돼 있으며, 개별성이 지워진 ‘나’란이미 사회성, 관계성 혹은 주체의 기원으로서의 타자가 된다. 프라이드가 전혀 없는 인물을 통해 이 타자를 드러내는 동시에 자기 속에 기입된 타자화 전략의 폭력성을 드러내는 방식이 곧 <더 많은 덫을>의 주인공이 자기 자신을 설명하는 방식의 요체인 셈이다. 이로 인해, ‘나’를 구성할 수 있는 지지대 없이 자기위안을 가장하는 결론으로 나아가는 서사적 곤궁이야말로 이 작품에 내재된 윤리적 함의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Seung-ok Kim’s < Even More Traps > continues the tradition of early short novels dealing with ‘living in Seoul’ of inferior hillbillies but shows the meaningful differentiation either. The differentiation emerges from a point that this novel is the meager self-narrate of a young man, in other words, it comes from the position placed to make an issue of the recognition structure by ‘You’ only when a character obstinately describes oneself. < Even More Traps > anchors at ``low quality`` ‘politics’ as it narrates the structuralization process of ‘trivial’ inferiority complex. The structure describing ‘I’, as a less prestigious university student from Jeonlado who is living under social prejudices, has already includes the constitution of conversation which is required ‘You’ to speak. ‘I’ as a person whom the singularity is eliminated from become ‘the others’ represented as sociality, relationship and/or the origin of main agent. Revealing ‘the others’ through a character having no pride, and exposing the violence of otherization strategies dwelling in oneself. This is the key factor of the way how the protagonist of < Even More Traps > accounts for himself. Without any support fixture to constitute ‘I’, the impoverished narrate reaching to the conclusion disguised as a self-comforting is the ethical undertone which is inherent in this novel.

      • KCI등재

        다자이 오사무의 문학작품에 보이는 탈중심화

        김경숙(Kim, Kyung Sook) 동아시아일본학회 2015 일본문화연구 Vol.0 No.54

        본고는 다자이 오사무의 전시체제 중의 작품들에 보이는 상대적인 표현들이 대체로 당시의 중심화 된 지배이념들의 가치체제를 탈중심화 시키는 작업과 맞물려 있음에 주목하여 그것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표출되고 있는지 그 양상의 일면을 밝힌 것이다. 그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동체라는 집단으로부터 벗어나 고유의 존재로서의 개인의 삶을 추구하는 인물상을 등장시킴으로써 일본 파시즘의 중심적 이데올로기이었던 ‘가족국가공동체’의식을 해체하고 있었다. 둘째, 국가에 대한 충성과 애국을 강요하는 시대적인 요구를 풍자하며 등장인물들의 서로 다른 다양한 대상에 대한 헌신을 그림으로써 국가를 위한 헌신만이 정당한 것으로 강조되었던 중심적 가치관을 탈중심화 시키고 있었다. 셋째, 국민이 전쟁의 인적자원으로서 인식되어 ‘우량’에 대한 지향과 ‘열등’에 대한 배제가 정당화되었던 당시에 오히려 ‘열등’자에게 존재의 가치를 부여함으로써 대립하는 양자의 가치질서를 흔들고 있었다. 다자이 작품들에 보이는 이러한 탈중심화는 인간을 정신적 신체적으로 억압하는 전시체제의 절대적이고 획일적인 가치체제에 대한 이탈이자 저항의 의미를 갖는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focuses on Dazai Osamu’s decentering way of thinking and examines how it is expressed in his works in the war period. The first chapter discusses that his works present figures who diverge from the group of community and seek individual life as unique beings, and thus dismantle “the sense of family-nation community,” which was the central ideology of Japanese fascism. The second chapter confirms that by satirizing the demand of the times to require the loyalty of the people to the nation and depicting the devotion of the characters to various objects, his works were decentering the value that emphasized that devotion to the country is the only valid way to exist. The third chapter, by giving significance of existence to the inferior character at a time when people were viewed as human resources for war and the pursuit of the superior and the elimination of the inferior were justified, shakes up the value system based on these conflicting opposites.

      • KCI등재
      • KCI등재

        『季刊三千里』における日本進歩的知識人の「在日朝鮮人観」

        Kaneko Ruriko(金子るり子) 일본어문학회 2017 일본어문학 Vol.79 No.-

        朝鮮が日本帝国主義の支配から解放されて30年目の節目にあたる1975年に創刊された『季刊三千里』は、主に在日韓国· 朝鮮人を中心に執筆と刊行がなされ50号まで続いた日本語の総合雑誌である。この雑誌では朝鮮半島と在日朝鮮人に関して、古代から近代に至るまで幅広いテーマが取り上げられ特集が組まれた。そして、これを通して日本で確実に結果を出したものが、NHKに朝鮮語講座が開設されたことであった。このように新たな関係構築のための架け橋になりたいという主旨で始まったこの雑誌は、在日朝鮮人の知識人と日本の「進歩的知識人」たちとの出会いの場でもあった。 本稿では、50号まで発行された『季刊三千里』のうち時代を区切って、1号から10号(1975年~1977年)までに掲載された日本の進歩的知識人の言説に焦点を当てて分析する。そして、この雑誌が発行されてきた1970年代の時代的様相と、日本の進歩的知識人が韓国や北朝鮮を含めて、当時の彼らの感情や思考の特徴を明らかにすることで、在日朝鮮人観を浮彫りにすることを目的とする。 Gaegan Samcheonri(季刊三千里), founded in 1975, when 30 years have passed after the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imperialism’s ruling of Joseon, have been written and published mainly by Korean/Joseon residents in Japan. NHK has ever opened the Korean language lecture, which was a firm result in Japan, by the influence of this magazine. This magazine, which started with the intention to become a bridge for building a new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and Japan, was the venue for the meeting between Korean intellectuals and Japanese progressive intellectuals in Japan. This study explores which view Japanese intellectuals had on Korean residents in Japan, North Korea and South Korea, how they acted, which agonies, conflict and envy they had, which was their restriction including the aspect of times covering 1970s, the time when this magazine was founded to research the situations until the above phenomena from the writing and words of Japanese intellectual. The present study focuses on the articles written by Japanese progressive intellectuals published from No. 1 issue to No. 10 issue(1975-1977) by classifying them over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