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추법 교육활동이 예비교사의 창의적 연구가설 설정에 미치는 영향

        허영주 한국교육방법학회 2012 교육방법연구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how experience of abduction's educational program changed pre-teachers' creative hypotheses mak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88 pre-teachers who selected randomly out of 3 different universities. These pre-teachers were assigned to any one of the two groups which includ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t provide to an account of abduction's concept, process, features and 'form of abduction' in generating hypothesis through abduction for experimental group. The data collected after experiment carried out ANCOVA with pretest score as covariate variable. The results showed that experimental group' score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 group's. It means that experience of abduction's educational program has positive effect for the creative hypotheses making. Also, experimental group' score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 group's, regardless of sex, academic year, grade level. Only, score of pre-teachers who study nature science and engineering are less increase than score of pre-teachers who study social and human science, arts and physical education. In conclustion, I proposed that provide to abduction's education program for pre-teachers and teachers in methodological approaches education. Also, it proposed for abduction's education program that varied strategies and communication methods give aid to abduction's process, practical use methods of abduction's form, investigation of sensitive factor with abduction process certainly be studied. 이 연구는 가추법을 설명하고 가추법 양식을 제공하는 가추법 교육활동이 예비교사들의 창의적 가설설정 능력을 향상시키는 지를 알아보며, 창의적 가설설정 능력의 향상 정도가 예비교사들의 성별ㆍ전공계열ㆍ학년ㆍ성적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3개 대학의 교직과정 이수 학생 488명을 대상으로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을 분류한 후, 실험집단에게 가추법 교육활동을 제공하였다. 연구가설의 창의성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사후검사 결과에 대한 일원 공분산분석(One-Way ANCOVA)을 실시한 결과, 가추법 교육활동이 제공된 실험집단이 가추법 교육활동이 제공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연구가설의 창의성이 유의적으로 더 높아진 것을 알 수 있었다. 더욱이 이러한 경향은 예비교사의 성별ㆍ전공계열ㆍ학년ㆍ성적에 상관없이 모두 동일하게 높아진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연구자는 예비교사의 연구방법론 교육내용으로 가추법이 제공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효과적인 가추법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가추법의 각 과정을 도울 수 있는 전략들에 대한 연구, 가추법 교육활동에서 활용될 수 있는 의사소통 방법의 구안, 가추법 양식의 효과적인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 가추법 과정에 수반되는 감성적 요인들에 관한 연구 등이 후속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