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적 연결망의 특성과 우울

        박찬웅(Park, Chan-ung),배영(Bae, Young) 한국인구학회 2016 한국인구학 Vol.39 No.4

        이 연구는 사회적 지지를 제공하는 관계와 중요한 일을 상의하는 관계를 중심으로 개인이 속한 연결망 특성이 우울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연결망을 이루는 사회적 관계를 유형별로 분석했고, 연결망 크기 이외에 연결망을 이루는 관계의 다양성과 연결망의 구조적 특성을 보여주는 연결망 밀도의 효과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첫째, 연결망 크기가 클수록 우울 수준이 낮게 나타났다. 다만, 연결망 크기의 비선형 효과는 상의 관계에서만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를 제공하는 관계가 다양할수록, 우울 수준이 낮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셋째, 중요한 일을 상의하는 연결망 밀도가 높을수록, 우울 수준이 낮은 것이 관찰되었다. 이는 사회적 자본에 관한 선행 연구에서 관계 구성원들끼리 서로 밀접한 통합형 사회적 자본이 서로 다른 사회적 영역의 구성원들과 교류하는 교량형 사회적 자본에 비해 통합이나 정서적 지지를 보다 높은 수준에서 제공한다는 연구 결과가 우울 수준에도 적용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끝으로, 연결망 밀도와 연결망 크기의 상호작용 효과는 같은 연결망 크기라도 연결망 밀도가 높을수록, 우울 수준을 낮추는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In the present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of social networks for social support and discussion on depression. We analyzed two types of social networks, and we also examined the effects of relational diversity for social support network and network density for discussion network. We found, first, the size of network decreased the level of depression. We also found non-linear effect of discussion network, but we did not find such effect in social support network. Second, we found that the diversity of social relations for social support decreased the level of depression. Third, the results shows that the network density of discussion network decreased the level of depression. Finally,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network density and network size was negative, indicating that network density increases the effect of network size to decrease the depression level by providing a higher level of social integration to individuals.

      • KCI등재

        배태성, 성과, 그리고 연결망의 진화

        정동일(Jung Dong-Il) 한국사회학회 2011 韓國社會學 Vol.45 No.4

        최근 들어 연결망 진화에 대한 연구들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견고하게 확립되어 있는 연결망을 대상으로 한 이 연구들 대부분은 사회학적 연결망 이론의 핵심적 명제 중 하나인 배태성명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따라서 비교적 안정적이고 점진적인 성격의 진화 양상을 부각시켜 왔다. 하지만 연결망이 최초로 등장하여 모양을 잡아나가는 연결망 진화의 초기 단계에서 어떤 기제들이 작동하며, 이것이 연결망 진화의 과정에 어떠한 함의를 갖는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 지지 않았다. 이 논문은 대학신입생들 간에 형성된 학습연결망이 한 학기를 거치면서 어떻게 변화했으며, 그 변화를 이끈 기제가 무엇이었는지 분석함으로써 연결망 진화에 관한 연구에 기여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갓 형성된 학습연결망의 진화에서도 다양한 형태의 배태성이 비교적 강하게 작동했던 것으로 나타났지만, 기존 연결의 해체와 배태성을 벗어나는 원거리 연결 또한 매우 빈번하게 이루어졌다. 결과적으로 학습연결망의 구조는 한 학기에 걸쳐 원래의 형태를 알아보기 힘들 정도로 판이하게 변화되었다. 공동학습의 성과 및 기대성과에 따른 연결의 선택적 해체와 형성이 학습연결망의 진화를 이끈 핵심적인 기제였던 것으로 드러났다. 학습연결망의 초기적 진화에 대한 이러한 분석결과는 배태적 속성을 지닌 견고한 연결망이 형성되기 이전 단계에서, 사회적 행위자들은 다른 행위자들에 대한 신선한 정보를 획득하고 이에 기초하여 다양한 형태의 실험과 검증을 시도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연결망 진화의 초기 단계에서 만족할 만한 파트너를 찾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쇼핑’ 행위가 이루어진다는 점을 감안할 때, 지속적 사회관계 속에 ‘주어진 것’으로만 여겨져 왔던 배태성의 속성을 재검토해 보아야 할 필요성이 있다. Recently, the interest in network evolution has flourished, Analyzing established networks, much research on network evolution has attempted to test embeddedness hypothesis, which is one of the core theoretical concepts in sociological network theory, showing that network evolves in a rather smooth and path-dependent fashion.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how task-oriented network initially emerges and what happens in the initial stage of network evolution, in which social relations among actors are still unstable and value-adding information is increasingly available. Taking as an examplary case a study network of 43 university freshmen who took Social Research Methods in the first semester of 2010, this paper examines evolutionary patterns of a task-oriented network and mechanisms involved in its evolution. We found that the initial network structure evolved toward a totally different shape, with many previous ties dissolved and long-distance ties frequently formed. These unexpected patterns of tie formation result from the fact that students tended to select study partners on the basis of past performance, measured by mid-term exam scores. The findings suggest that embbeddedness is not only something ‘given’ in ongoing social relations, but also an emergent property arising partly from ‘shopping’ activities - activities to find acceptable, reliable, and useful partners - especially in the initial stages of network evolution.

      • KCI등재

        계층적 오드 연결망(HON) : 오드 연결망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상호연결망

        김종석(Jongseok Kim),이형옥(Hyeongok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9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36 No.5

        본 논문에서는 오드 연결망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상호연결망, 계층적 오드 연결망 HON(C<SUB>d</SUB>,C<SUB>d</SUB>)을 제안한다. 그리고 HON(C<SUB>d</SUB>,C<SUB>d</SUB>)의 여러 가지 망성질(연결도, 라우팅 알고리즘, 지름, 방송 등)을 분석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HON(C<SUB>d</SUB>,C<SUB>d</SUB>)가 오드 연결망과 HCN(m,m), HFN(m,m)보다 우수한 연결망임을 보인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interconnection network, hierarchical odd network HON(C<SUB>d</SUB>,C<SUB>d</SUB>), which used the odd network as basic modules. We investigate various topological properties of HON(C<SUB>d</SUB>,C<SUB>d</SUB>), including connectivity, routing algorithm, diameter and broadcasting. We show that HON(C<SUB>d</SUB>,C<SUB>d</SUB>) outperforms the three networks, i.e. the odd network, HCN(m,m), and HFN(m,m).

      • KCI등재

        A Qualitative Study of Social Network Intervention for Young Adults with Mental Illness : Implication for Mental Health Professionals 정신보건 전문요원을 위한 함의

        Kang, Sun-Kyung 한국 정신보건 사회사업학회 2002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13 No.-

        사회연결망 중심의 개입이란 개인 각각의 연결망을 확대하여 그 개인의 사회연결망을 재구조, 재조직하며 개혁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비록 사회복지사들이 건전한 사회연결망의 가치를 알고 있고, 여러 해 동안 생태학적 사고에 입각하여 정신질환자 클라이언트를 평가해 왔으나, 실제로 이러한 연결망을 통한 개입은 쉬운 일이 아니다. 이러한 취지에 입각하여 어떻게 청년기 정신질환자들이 각자의 사회적 연결망을 이용하여 어떻게 도움을 받는가를 본 연구의 문제(research question)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5명의 청년기 정신질환자와 3명의 사회복지사들을 인터뷰하였다. 문제의 성격상 본 연구는 연구 대상자들이 관련된 이슈들에 대한 문제들을 제기하는 질적 근거이론(a qualitative grounded theory)방법으로 이루어 졌다. 수집된 자료는 청년기 정신질환자들의 사회연결망이 이들이 공통적으로 갖는 문제들을 적절하게 대처하는 기능을 하고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사회 혹은 그 지역에 성공적 적응을 위해서는 정신질환자 클라이언트의 사회적 연결망이 중요함을 보여주었다. 사회복지사들이 중심이 되어 사회연결망들의 고유한 기능을 강화시킴으로써 이러한 사회연결망을 클라이언트들이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더 나아가 본 연구는 사회연결망의 적절한 개입을 위하여 앞으로 더 많은 연구와 보다 광범위하고 체계적인 임상적 관찰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사회연결망의 통합적인 기능을 통하여 청년기 정신질환자들이 공통적으로 갖는 문제들을 어떻게 풀어나갈 수 있는지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Mental Health Professionals have long been aware of the importance of the social environment for an individual's well-being. In recent years, one element of the social environment-the social network-has received an increasing amount of attention as a contributor to health, both physical and emotional. It has also come to be seen as an appropriate target for intervention on several levels through such mechanisms as enhancing of personal networks, volunteers linking, developing mutual aid networks, consulting with neighborhood helpers, and encouraging community empowerment. Network centered interventions aim to restructure, reorganize or reform an individual's network to improve the helping processes of the network, which then enlarges his or her access to social support. For this purpose, 5 young adults with mental illness aged 18~25 and 3 social workers were interviewed. The research questions was how young adults with mental illness can be helped to make optimal use of their existing social networks. The nature of the question led itself to qualitative research and was approached by interviewing the young adults and getting them to talk about their concerned problems: lack of self determination , hostility and resistance(or, difficulty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helplessness(or, deficiency in copying skills), and frustration and satisfactions(or, acute vulnerability to stress). Date were analyzed based on a qualitative, grounded theory through problems presentation to check whether the individuals have adequate social networks to deal with their common struggles-related problems. Overall, the study showed the significance of a client's social networks for a successful social and community adjustment. Social workers can initiate an intervention to elicit bigger support from the social networks, to effectively utilize the networks, and to integrate the networks, by reinforcing the unique function of each social network of an young adult patient. The results help clarify what professional care providers might do to promote social adjustment using the clients' natural sources of support. Through further study and systematic clinical observation, the knowledge necessary to identify appropriate interventions may become available. Also, there remains a great deal to be learned about how social networks may be integrated to help young adult patients better cope with their common struggles, regardless of their specific diagnosis and symptoms, i.e., including the problems such as acute vulnerability to stress, difficulty in making stable relationships, inability to get something good in their lives, and so on.

      • KCI등재

        사회과학 방법론으로서의 연결망 분석기법 적용의 의의와 연구과제 -의미의 연결망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중심으로-

        한관종 ( Han Kwanjong )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03 사회과교육연구 Vol.1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유망한 방법론으로 대두하고 있는 연결망 분석 기법을 방법론의 시각을 중심으로 소개하되 사회문화 분야 연구에의 접목 가능성이 특히 높은 의미의 연결망 분석의 적용 의의와 앞으로의 연구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연결망 분석은 철학적으로 볼 때 실체론이나 환원론과 대비되는 관계론에 입각한 방법론으로, 속성변수가 아닌 관계적 자료를 그 분석의 대상으로 한다. 특히, 의미의 연결망 분석은 관계의 ‘형태’에 주목하는 기존의 연결망 분석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관계의 형태 속에서 송수신되는 메시지의 ‘내용’까지도 분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 구조를 찾는 유력한 방법론의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이런 의미의 연결망 분석은 특히 텍스트 분석의 한 방법으로서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사회문화 교과 연구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유용성을 갖는다. 첫째, 기존의 내용 분석에서 주로 행해졌던 개념 자체의 독립성에 근거한 분석을 넘어서 개념 사이의 관계에 대해서도 분석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이다. 둘째, 기존의 내용 분석이 갖는 주관적 해석의 한계를 극복하였다는 점이다. 셋째, 다양한 연결망 지표 분석은 물론 집락 분석, 판별 분석과 같은 다른 통계적 분석 방법과 결합해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분석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앞으로 사회문화 연구 방법론으로서 의미의 연결망 분석이 가진 장점을 십분 활용하여 연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지만, 의미의 연결망 분석뿐만 아니라 연결망 분석 자체를 가지고 사회문화 교과와 연관되는 주제에 대한 연구를 할 필요성이 있으며, 나아가 연결망 분석 자체로 분석을 끝내기 보다는 다른 통계적 방법들과 같이 사용함으로써 보다 분석의 폭을 넓힐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의미의 연결망 분석 그 자체는 어떤 새로운 ‘숨은 구조’의 발견에 불과하고, 그 발견에서 시작하여 의미를 해석하는 것은 연구자 본인이라는 사실을 명확히 인식하여 연결망 분석 결과를 이론 틀에 맞춰 해석하려는 적극적 노력을 경주해야 한다. In this article, network analysis is introduced by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perspective. Theoretically it is under theory of relation and methodologically it deals with relational data. Especially, 'semantic network analysis' which deals with not only forms of relation but also contents of relation is deeply discussed with examples because it's more useful for socio-cultural text studies: 1) traditional content analysis can analyze only substantial and independent words, but semantic network analysis can deal relations of words, 2) semantic network analysis can overcome researcher's valuing problem because its data is gathered through mechanically, 3) semantic network analysis can analyze with other statistical method such as cluster analysis or discriminant analysis. For further studies and development, 1) area of research had better be enlarged, 2) usual network analysis is also a good methodology to study socio-cultural themes such as juvenile problem, 3) other statistical method can be used together, 4) semantic network needs more theoretical discussion.

      • 연결망 분석이 노동연구에 던지는 함의

        은수미 동아대학교 동아시아연구원 2004 동아시아 : 비교와 전망 Vol.2 No.-

        This article focuses on the theoretical implication of network analysis is applied in the labor study. For this, the object of this study is works in four spheres, this is labor market, class study, labor politics and foreign labor.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network analysis doesn't always found on methodological individualism and rational choice theory, and then we can cover it more widely. Secondly, many studies of the network analysis in labour study have interested in microanalysis, but these recently are suppose to go in the direction of micro-macro linkage, for example organization or symbol, which is often dealt in network analysis, is midium-level variables and in the context of medium-level mobilization heads for micro-macro linkage. Thirdly, It offers clue to solve the problems of corporatism theory, which has'nt dealt illegal factor or noninstitutioal factor and considered cultural variables. In conclusion, the network analysis is assumed to contribute expansion of labor study, if this can avoid two points. One, ‘overestimation’ that the network analysis or relational perspective will substitute for substantial perspective. The other, 'underestimation' that the network analysis is like an narrow methodology can be only applied America or advanced countries. 이 글은 노동연구에서 연결망 분석이 가지는 이론적 함의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연결망 분석을 응용한 연구논문 중 주로 노동 분야에 적용한 사례를 중심으로 연결망 분석이 가지는 가능성과 한계를 검토한다. 이때 한국의 사례는 노동시장, 계급, 노동정치 그리고 외국인 노동 등의 네 가지 영역에서의 연결망 분석이 대상이며 한국의 연구 사례가 매우 적다는 점에서 일부 외국의 연구사례를 함께 살펴본다. 또 노동이론의 발전 역시 구조와 행위 및 그것의 상호연계와 미시와 거시 및 그것의 상호연계 등 사회학 이론의 핵심 쟁점들과 불가분의 관계를 가진다는 점에서 구조-행위, 미시-거시 연계의 측면에서 연결망 분석이 노동이론의 발전에 가지는 의의에 주목한다. 결론적으로 이 글은 첫째, 모든 연결망 분석이 근원적으로 ‘합리적 선택에 기초한 방법론적 개인주의’에 입각해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그 포괄 범위를 방법론적 수준에서는 상당 정도 확장할 수 있고 둘째, 아직까지 미시적인 분석에 주목하는 연구들이 많으나 그것조차도 내부에 미시-거시 연계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는 경우가 있고 셋째, 연결망 분석이 다루는 조직이나 상징 등의 변인은 중범위 또 중위동원의 맥락에 있다는 점에서 미시-거시 연계로 나아갈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한다. 넷째, 더욱이 외국 연구사례에서는 거시적 구조의 분석이 이미 행해지고 있다는 것도 간과해서는 안되며 다섯째, 코포라티즘 이론에 기초한 노동연구가 가지는 몇 가지 한계, 예를 들어 비제도적·비합법적인 변수 혹은 상징이나 문화적 변수를 고려하지 못하는 점을 돌파할 가능성이 있으며 여섯째, 연결망 분석이 근거하고 있는 관계적 접근이 실재론적 접근을 모두 대체할 수 있다는 과도한 주장을 피한다면, 또 연결망이 발현·생성·변동 혹은 배태된 사회적 맥락을 적절히 결합할 수만 있다면 노동연구의 발전에 기여할 것임을 강조한다.

      • KCI등재

        블로그 연결망의 성향 판정 방안

        윤석호(Seok-Ho Yoon),박선주(Sunju Park),김상욱(Sang-Wook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9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5 No.3

        블로그(blog)는 사용자가 글을 작성하여 게시할 수 있는 일종의 개인 웹사이트이며, 블로그는 다른 블로그와 관계를 맺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블로그와 블로그 간의 관계들로 이루어진 연결망을 블로그 연결망(blog network)이라고 정의한다. 블로그 연결망은 그 내부에 게시된 글의 목적에 따라 정보중시 성향과 친분 중시 성향을 가질 수 있다. 블로그 연결망이 가지고 있는 각 성향의 정도는 블로그 연결망의 비즈니스 정책 결정에 중요한 요소로서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주어진 블로그 연결망의 두 성향의 정도를 판정하는 방안에 관하여 논의한다. 먼저, 데이타 마이닝 기법의 하나인 분류(classification)를 이용하여 블로그 연결망의 기본 단위인 관계 성향의 정도를 판정하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주어진 연결망의 전체 성향의 정도를 판정한다. 또한, 블로그 연결망의 규모에 따라 성향의 정도가 좌우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하는 방안의 우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제 블로그 데이타를 이용한 다양한 실험을 수행한다. 실험 결과에 의하면, 판정된 관계 성향의 정도는 두 성향에 대하여 모두 약 93%의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또한, 실제 블로그 연결망의 각 성향의 정도를 판정함으로써 제안하는 방안이 정보 중시 성향과 친분 중시 성향의 연결망을 올바르게 판정할 수 있는 지를 보였다. A blog is a personal website where its owner publishes his/her articles for others. A blog can have relationships with other blogs. In this paper, we define a network that is composed of blogs connected together with such relationships as a blog network. Blog networks can have two different propensities characterized by the articles published in the blogs: information-valued propensity and friendship-valued propensity. The degree of each propensity of a blog network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ciding business policies for blog networks. In this paper, we address the problem of determining the degrees of two propensities of a given blog network. First, we determine the degree of the propensity of every relationship, a basic unit of a blog network, by using classification that is one of data mining functionalities. Then, by utilizing the result thus obtained, we compute the degrees of two propensities of the whole blog network. Also, we propose a method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degree of propensities depends on the size of blog networks. To verify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approach, we perform extensive experiments using a huge volume of real-world blog data. The results show that our approach provides high accuracy of around 93% in determining the degrees of both propensities of relationships between arbitrary two blogs. We also verify the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approach by showing that if determines the degrees of the information-valued and friendship-valued propensities correctly in real-world blog networks.

      • KCI등재

        연결망 분석을 통한 친구집단과 일탈행동의 재고찰

        박성훈 대한범죄학회 2020 한국범죄학 Vol.14 No.2

        This article is aimed to examine the debating issue in criminological theories on delinquent peers and their deviance from a new perspective that is network analysis. Using data of identifying ego-centric networks of delinquents who received protective sentencing from the juvenile court and calculating various indicators to analyze the network effects on each type of drinking problems, gambling problems, cybercrimes, violent behaviors, and sexual problems, this study found some findings as follows. First, female teenagers were more easily exposed to drinking problems and older male teenagers were more easily exposed to gambling problems or cybercrimes. Second, the more juveniles felt a normative pressure by high criminality of their networks, the more likely they were to participate in deviant behaviors. Third, even if the ratio of friends or peers in their network was high, the negative effect of them could be moderated by the criminal propensity of their network. Fourth, while drinking problems or violent behaviors were more likely to occur if the network had a large degree of interaction, gambling problems or cybercrimes were more likely occurred in the network with high ratio of male friends and a hierarchical form. Sexual problems were more likely to occur when a boy had loose connections with several girls. Network analysis explicitly can show the broader structural contexts within social actors are embedded apart from the individualistic and variable-centric traditions. 이 논문은 범죄발생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인 친구⋅동료집단의 영향을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연결망 분석을 통해 새로운 시각에서 접근하였다. 이를 위해 법원으로부터 보호처분을 받은 소년들의 자아중심 연결망 자료를 수집하였고, 다양한 연결망 지표를 산출하여 음주문제, 도박문제, 사이버일탈, 폭력행동, 성적일탈 등 세부 유형별로 연결망 효과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첫째로 보호처분 경험이 있는 소년들의 연결망은 대부분 가족⋅교사 중심보다는 친구⋅선후배 중심의 강한 연결망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자 청소년일수록 음주문제에, 남자 청소년일수록 도박문제나 사이버일탈에 더 자주 노출되는 것으로 나타나 일탈유형에 따른 성별 차이를 보였다. 셋째, 연결망 내 친구⋅동료의 비율이 높을수록, 비행성향이 높은 사람이 많을수록 일탈행동에 가담할 가능성이 크게 나타났다. 넷째, 연결망 내 친구⋅동료비율의 효과는 자신이 속한 연결망의 비행성향에 따라 그 영향에 차이를 보였다. 즉, 연결망 내 친구⋅동료의 비율이 높아도 집단의 비행성향이높은 경우 친구⋅동료의 효과는 미미하게 작용하는 반면, 비행성향이 낮은 연결망에서는 친구⋅동료가 많을수록 일탈행동에 가담할 가능성이 높았다. 다섯째, 일탈유형별로 연결망 특성을 비교한 결과, 음주문제와 폭력행동은 상호영향을 주고받는 정도가 많은 친구⋅동료 중심의 연결망일수록, 도박문제나 사이버일탈은 남성 비율이 높은 위계적 성격의 연결망일수록, 성적일탈은 남성이 여러명의 여성과 느슨한 연결을 많이 가진 연결망일수록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결망 분석은 개인의 속성에 기초한 분석으로는 발견하기 어려운 집단수준의 복잡한 관계와 특성을포착함으로써 범죄현상에 대한 이해의 폭을 확장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 KCI등재

        사회연결망 분석을 이용한 사회복지조직 연결망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박현주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1

        사회연결망 분석을 이용한 사회복지조직 연결망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박 현 주* 요약: 본 연구는 사회연결망분석 기법을 사용하여 사회복지조직의 연결망의 구조적 특성과 중심성 지표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및 내용으로 D광역시의 사회복지조직들과 각 조직들간의 연결의 정도와 중심성을 준연결망 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사회복지조직 즉 참여 노드는 총 869개이며, 디그리의 총합은 2,844개이며, 평균디그리는 3.273이다. 전체 연결망의 특성을 나타내는 중심성지표로 연결정도중심성, 매개중심성, 근접중심성을 분석하였다. 연결정도중심성과 매개중심성에는 복지행정조직이 상위였고, 근접중심성에는 민간지원조직들이 상위였다. 결론 및 시사점으로 사회복지조직의 사회연결망 분석은 각 사회복지조직들이 어떻게 연결되고 기능하는지는 보여주는 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 핵심어: 사회연결망 분석, 사회복지조직, 연결망의 구조적 특성, 노드와 디그리, 중심성값 □ 접수일: 2022년 1월 18일, 수정일: 2022년 2월 6일, 게재확정일: 2022년 2월 20일* 충남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박사수료(Completion of Doctoral Course, Chungnam National Univ., Email: joopark@cnu.ac.kr) A Study 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Social WelfareOrganization Networks Using SNAHyunjoo Park Abstract: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centrality indicators of the networks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by using the social network analysis technique. As a research method and content, the degree and centrality of connection between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in D metropolitan city and each organization were analyzed by applying the quasi-network techniqu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are a total of 869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that is, participating nodes, and the total number of degrees is 2,844, and the average degree is 3.273. As the centrality index indica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ntire network, the degree centrality, the betweenness centrality, and the closeness centrality were analyzed. Welfare administration organizations ranked higher in degree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and private support organizations ranked higher in closeness centrality. As a conclusion and implications, the SNA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can be used as an indicator to show how each social welfare organization is connected and functions. Key Words: Social Network Analysis, Social Welfare Organization,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Network, Node and Degree, Centrality Value

      • KCI등재

        사회 연결망 분석과 문학 연구 : 영미문학과 한국문학을 중심으로

        김용수(Yongsoo Kim) 한국비평이론학회 2021 비평과이론 Vol.26 No.2

        사회 연결망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은 20세기 내내 사회과학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발전해온 사회구조 분석 이론이자 방법으로서 개체, 조직, 인간, 사물 사이의 복잡다기한 연결을 거시적, 미시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관계형 데이터를 구축하고 이를 연결망으로 시각화하여 유동적이면서도 구조화된 전체 장을 파악하고자 하는 분야이다. 이러한 사회 연결망 분석은 최근 인문학 연구 분야에서, 특히 2000년대 이후 디지털인문학이 각광을 받기 시작하면서 그 방법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영미문학 연구 분야에서도 사회 연결망 분석의 이론과 기법을 영문학 자료에 적용하여 그 동안 전통적인 연구 방법으로 파악하기 어려웠던 특정 국면의 문학 관계망을 복원한 성과들이 나타나고 있다. 한국의 국문학 연구 분야 역시 사회 연결망 분석 기법을 적용한 사례가 드물지만 꾸준히 등장하고 있다. 본 논문은 사회 연결망 분석 이론 및 방법이 문학 연구에 지닌 함의와 가능성에 주목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소개하여 한국 학계의 디지털인문학적 문학 연구를 활성화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먼저 사회 연결망 이론을 소개하며 그 의미와 역사를 되짚어 본다. 그리고 이것이 인문학, 그 중에서도 문학 연구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은 무엇인지 등을 점검하기 위해 영미문학 분야 연구 성과들을 비판적으로 점검한다. 나아가서 사회 연결망 분석이 국문학계에서는 어떤 성과들을 축적하고 있는지 검토하여 한국에서의 사회 연결망 분석 기법을 활용한 문학 연구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Social network analysis has been evolving as a social structure analysis theory and methodology in the social science discipline throughout the 20th century. It strives to understand the complex networked relationships among entities such as objects, individuals, social groups, organizations, etc. by preparing and visualizing their relational data so as to grasp the fluid dynamics of any given field. Many humanities scholars have also paid close attention to social network analysis as a new research method as digital humanities emerges as a formidable discourse in the new millennium. There are quite a few remarkable cases that apply social network analysis concepts and techniques to English literary data and thus manage to delineate literary networks at the particular junctures in literary history, which might have remained opaque otherwise. A similar trend can be observed in Korean literary studies though only a small number of researchers are interested in the method. This paper introduces social network analysis, focusing on its possibilities as a new literary research method and hence facilitating digital humanities approaches to literature in Korean academia. First, it briefly presents social network analysis theory, its history and concepts, and its methodological significance. And then, it goes on to critically review the actual research cases in the fields of English and Korean literature to examine how social network analysis can be employed in literary scholarship and what potentials it contains as a research method. Finally, this paper suggests that social network analysis helps deepen our knowledge and appreciation of literature by engaging literary history with a fresh loo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