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미지 해석을 통한 역사 그림책 교육 방안

        강서희(Choi, Sae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8

        이 연구은 역사 그림책에서 이미지 해석에 초점을 맞춘 교육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역사 그림책은 역사 소설, 역사 동화와 함께 역사적 사건을 배경으로 서사적 진실을 밝혀내고자 하는 장르이다. 그러나 역사 소설이나 역사 동화와 달리 이미지의 미적 사용을 통해 주제 의식을 강화한다. 역사 그림책은 명시적인 글과 달리 이미지를 통해 암시적인 의미를 전달하며, 독자의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해석이 이루어질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한다. 이 연구는 권윤덕의 『나무 도장』을 예시로 삼아 역사 그림책에서 이미지가 서사적 주제 의식을 강화하는 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표면적으로는 제주 4⋅3 사건의 전개를 알리며 비극성을 전달하는 것으로 보이나, 이미지의 상징적 의미를 해석하며 이념적 갈등 아래에서는 인간성 상실의 국면이 나타날 수밖에 없다는 보편적 의미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론적 배경과 양상의 탐구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교육 원리를 세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글과 이미지의 표면적 이해를 통한 역사적 사건의 이해, 둘째, 가추법을 활용한 이미지의 상징적 의미 탐색, 셋째, 상호텍스트적 감상을 통한 역사적 이해의 확장으로 제안하였다. 각각의 교육 원리에 대해 Ⅲ장에서 분석한 『나무 도장』을 예시로 그 구체적인 양태를 설명하였다. 이 연구는 역사 그림책에 대한 구체적인 문학교육적 접근 방법을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educational way focusing on image interpretation in historical picture books. History picture books are a genre that seeks to uncover narrative truths based on historical events along with historical novels and historical children’s narrative. However, unlike historical novels or historical children’s narrative, the theme consciousness is reinforced through the aesthetic use of images. Unlike the explicit narrative of the text, historical picture books use images implicitly and provide a clue for the reader s active interpretation. Using Kwon Yun-deok s 『Wood Seal』 as an example, this study analyzed the aspect of image reinforcement of narrative subject consciousness in historical picture book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surface, it seems to convey the tragedy by notifying the unfolding of the Jeju 4⋅3 incident, but by interpreting the symbol of the image, it was possible to find a universal meaning that a phase of loss of humanity must appear under ideological conflict.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pattern, this study presented three principles of education. First, an understanding of historical events through the superficial understanding of texts and images, second, exploration of the symbolic meaning of images using a subtraction method, and third, expansion of historical understanding through intertextual appreciation. The specific aspects of each educational principle were explained using 『Wood Seal』 analyzed in Chapter III as an exampl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s a specific literary education approach to historical picture books.

      • KCI등재

        역사극의 시학에 대한 소고 : 함세덕의〈낙화암〉을 중심으로

        김기영 ( Kee Young Kim ) 한국드라마학회 2010 드라마연구 Vol.- No.32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universal rules of the poetics of historical plays by examining the process of creating a historical play and its results. Further, it applies the rules to interpret the most representative Korean historical play in colonial Korea, Ham Se-duck`s Nakhwaam published in 1940. Finally, the interpretation of Nakhwaam demonstrates the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of Korean historical plays in colonial Korea. The universal rules of the poetics of historical play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An historical play should construct an artificial world containing in itself the condition and result of an historical event (artificiality). (2) An historical play should represent the universal situation recurring in human society (universality). (3) An historical play should show the recreated and remodeled normative character and attitude of historical figures (normativeness). (4) An historical play should transform historical material into a parable which functions to satisfy the taste of the audience and send a didactic message (popularity and didacticism). (5) An historical play should contribute to shaping the identity of a nation and state (identity). (6) An historical play should understand and criticize the present situation to suggest future prospects (prospects). The application of the universal rules to Nakhwaam reveals that the work is structured by the rules of the poetics of historical plays as follows. The organization of the artificial world is set during the period of the fall of Baek-jae Dynasty; there is a dramatization of the universal situation of conflict between loyal and disloyal people in the dynasty; the representation of the normative character and attitude is realized in the figure of Prince Ryung; the satisfaction of the audience`s taste is fulfilled by offering a visualization of the history of the fall; a didactic message is sent; and the preservation of the memory of Baek-jae Dynasty`s nobility is an important concern. Additionally, the particularity of Korean historical plays lies in the fact that Nakhwaam is characteristic of the genre of tragedy, which the colonial situation in Korea must have inspired the dramatist to select. In conclusion, Nakhwaam was found to demonstrate both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conventions found in the historical play genre. 역사와 문학이 맺는 관계가 분명하지 않기에 역사극은 그 정체가 불분명한 장르로 인식되어 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고는 역사극의 구성방식과 결과의 관점에서 규범적 시학을 재구성하여 역사극 장르의 정체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고는 역사극을 구성하는 시학적 원리로서 인공성, 보편성, 모범성, 대중성, 교훈성, 정체성, 전망성을 추출해냈다. 다시 말해서, 역사극은 역사소재의 변형을 통해서 조건과 결과를 자신 안에 포함하는 인과적인 세계를 인공적으로 구성해야 한다(인공성). 역사극은 역사소재를 전형화함으로써 인간 공동체 삶에서 반복해서 등장하는 보편적인 상황을 재현해야 한다(보편성). 역사극은 과거라는 거울을 통해 현재를 비추어 모범적인 인물을 형상화해야 한다(모범성). 역사극은 역사적 사실을 우화로서의 역사로 구조화하여 대중적인 취향을 만족시키고 교훈적인 메시지를 전달해야 한다(대중성과 교훈성). 역사극은 민족이나 국가 공동체의 혼이 담긴 역사를 소재로 삼아서 민족이나 국가의 정체성을 확립해야 한다(정체성). 마지막으로, 역사극은 현실을 이해하고 비판함으로써 미래에 대한 전망을 제시해야 한다(전망성). 이러한 원리에 따라서 역사소재는 그 역사적 특수성에서 벗어나서 문학적 역사로 구조화한다는 것이다. 이상의 역사극 시학 원리를 기준으로, 함세덕이 1940년에 발표한 역사극〈낙화암〉을 분석함으로써 1940년대 한국 역사극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보여주고자 하였다.〈낙화암〉은 (1) 의자왕의 인간적 결함이란 조건이 어떻게 백제멸망이란 결과를 낳는지를 보여주는 허구적인 세계를 구성한다(인공성). (2) 나라의 흥망과 관련하여 선한 세력과 악한 세력, 부자 관계 등의 보편적 갈등상황을 전개한다(보편성). (3) 이와 같은 상황 속에서 태자와 같은 애국적인 인물을 전형화하여 모범적인 태도를 형상화한다(모범성). (4) 애국적이고 고귀한 영웅과 그의 유지를 받드는 백성의 모습으로 조선민족의 정체성을 보여준다. (5) 왕의 인간적 결함과 내부 세력들 사이의 갈등이 초래하는 망국에 대한 교훈성을 담는다. (6) 나라의 멸망을 무대 위에 장경화하여 대중적 감각과 취향을 만족시킨다(대중성). (7) 식민지 현실의 전망부재 상황에서도 문학의 매체 속에서는 고귀한 백제로 영원히 기억되리라는 미래를 제시한다(전망성). 이처럼〈낙화암〉은 역사극의 보편적 시학의 원리를 충족한다. 다른 한편으로〈낙화암〉은 비록 멜로드라마적 특성을 띠지만 대체로 비극 장르의 문법에 맞게 구성되었다는 점에서 1940년대 한국 역사극의 특수성을 잘 보여준다. 이 작품은 저항정신과 애국정신으로 무장한 고귀한 영웅들의 몰락으로 도덕적 우월성을 강조하면서 비극적 정서를 환기하고, 미학적이고 윤리적인 세계를 구축하여 식민지 현실이란 전망부재 상황을 극복하려고 했기 때문이다.

      • KCI등재

        역사 다큐멘터리의 미학적 쟁점과 전망

        김은경(KIM, Eun-Kyung) 한국사학사학회 2015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32

        이 글은 ‘구텐베르크 은하계의 종말’이 운위되는 시대에 역사 다큐멘터리에서 새로운 전망을 찾으려는 시도에서 출발했다. 이를 위해 과거 재현가능성을 둘러싼 논의와 미적 재현에 관련된 쟁점들을 살펴보았다. 영화의 과거 재현 가능성에 대해서는 회의론, 제한적 긍정론, 긍정론의 견해를 검토하였다. 미학적 쟁점은 그동안 가장 논쟁이 되어 왔던 두 문제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하나는 역사적 트라우마를 미적 양식화하는 문제로 홀로코스트 재현의 윤리성에 대한 논쟁이다. 다른 하나는 정치선전의 미학화 문제로 나치의 다큐멘터리를 둘러싼 논쟁이다. 역사 다큐멘터리에서 미학은 가공할 역사의 참상을 현재로 불러와 성찰의 기회를 제공하는 기획이기도 하고, 생활세계와 감각을 식민화하는 권력의 기획이기도 하다. 하지만 후자의 경우조차 미적 기술은 논의를 촉발하는 역할을 한다. 그동안 예술이나 미학은 역사적 진실을 은폐하고 신비화하는 것으로 인식되어 왔지만 예술과 역사의 접점인 역사 다큐멘터리는 ‘반역사(anti-history)’가 아니라 ‘대항역사(counter-history)’가 될 수 있다. 그것은 텍스트, 생산, 수용의 측면에서 이해해 볼 수 있다. 첫째, 텍스트의 측면에서 미적인 텍스트로서 역사 다큐멘터리는 다의적인 해석 가능성을 내포한다는 점에서 대항역사가 될 수 있다. 둘째, 생산의측면에서 볼 때 새로운 기술발전과 사회 환경의 변화는 대안적인 역사영화의 생산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권력과 거대자본의 영향을 벗어난 ‘독립’ 다큐멘터리나 사적 경험을 역사화하는 ‘작은’ 다큐멘터리는 주류 해석이나 거 대담론에 균열을 낼 수 있다. 셋째, 수용의 측면에서 관객은 미적이고 주관적인 체험을 통해 수많은 역사적 ‘진실들’을 생산한다. 이는 공식역사를 거스르는 역사담론을 형성하는데 기여할 뿐만 아니라, ‘계몽적 역사’를 넘어 ‘수행적 역사(performative history)’의 장을 열 것이다. I try to explore how can history films show historical vision in the period called as “the end of Galaxy of Gutenberg" in this article. I examined preceding researches focusing on important issues from the possibility of representation to aesthetic representation in history films. I considered skeptical reaction, retrictive affirmation, and positive reaction in former issues. In addition, I studied the aesthetic representation of historical trauma and aesthetic of politics on history documentaries. In conclusion, art and aesthetics have regarded as anti-historical things that threaten reality and thruth of history. However, history documentary, as an interspace of art and history, can be not ‘anti-history' but ‘counter-history'. This can be considered in the three aspects - text, production, and acceptance. Specially, the last one will lead to not ‘enlightening history' but ‘performative history'. History documentaries should be aesthetic texts which are bring about arguments and diverse interpretaion so that those can be counter-discourse. Pleasure and feeling of aesthetics help revitalizing public sphere where various meanings are exchanged and accepted. Nowadays, we should think about art in historical studies.

      • KCI등재

        구스틀로프호의 침몰에 대해 이야기하기

        오은경(OH, Eun-kyeong) 한국영화학회 2015 영화연구 Vol.0 No.66

        역사책 속에나 살아 있을 인물들이 언젠가부터 대중의 인기를 한 몸에 받고 새롭게 재조명되고 있다. 역사소설, 텔레비전의 사극, 역사를 소재로 한 영화가 대중의 관심을 끄는 이유는 실제 인물과의 비교를 통해 새로운 담론의 장이 생성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논문은 실제 사건과 영화(또는 소설)의 긴장관계를 다루기에 앞서 오랫동안 세상의 기억에서 사라져 있던 사건에 대한 이야기부터 논 의를 시작하고자 한다. 1945년 2차 대전이 종전을 향하는 시점에 침몰한 구스틀 로프호(Die Gustloff)는 50년 동안이나 역사의 바다 밑에 잠겨 있다가 2002년 공론장의 영역으로 떠올랐다. 그 계기가 된 것이 귄터 그라스(Günter Grass)의 소설 『게걸음으로』였고, 이후 발표된 영화 <구스틀로프호>(Joseph Vilsmaier 2008)와 TV-다큐멘터리 <구스틀로프호의 침몰> (Guido Knopp 2008)를 통해 사건은 대중에게 구체적으로 알려졌다. 소설과 영화는 하나의 사건을 다루고 있지만 각각 서로 다른 관점을 부각시켜 사건에 대한 이야기하고 있다. 영화가 사건의 기록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면 소설은 사건이 오랫동안 독일 역사의 금기가 된 이유를 추적한다. 본 논문의 문제제기는 구스틀로프호의 침몰로 목숨을 잃은 9,000여명의 희생자들이 2차 세계대전의 패전국이자 유태인학살에 대한 책임을 져야 했던 독일의 시민이라는 이유로 가해자로 분류되었다는 모순에서 출발한다. 더구나 독일역사는 이들에 대한 침묵을 선택했고, 그 결과 희생자들은 애도의 대상이 되지 못한 채 반 세기가 넘는 시간 동안 그 존재 자체가 부정된 것이다. 본 논문은 소설과 영화가 구스틀로프호의 희생자들을 역사의 공간으로 불러오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구스틀로프호의 침몰처럼 타자화된 사건이 독일역사에서 제 자리를 찾게 된 것은 역사책이 아닌 소설과 영화를 통해서였다. 사건을 역사로 만드는 과정에서(또는 과정으로서) 영화와 소설, 즉 이야기는 후세 사람들에게 역사인식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강조하고 있다. 1945년 구스틀로프호의 침몰은 2014년 한국에서 발생한 세월호의 비극에 투영된다. 두 사건의 관찰에서 우리는 개인의 이야기가 역사라는 거대담론의 일부로만 다루어지는 한 비극은 멈추지 않는다는 교훈을 얻게 될 것이다. Characters that seem to be only living in history have been coming alive again recently. The reason behind the growing popularity of historical novels, historical TV soap operas, and history-themed movies is that they lead to an interesting discussion of comparing actual people to their characters portrayed in novels and movies. However, before examining the conflicts between the actual historical incidents to their portrayal in movies (or novels), this article begins with a discussion of story that has been forgotten from the world or a long period of time. The Wilhelm Gustloff - a German military ship that sunk in 1945 when the Second World War was nearing an end - has been submerged under the cold waters of history for more than fifty years until it suddenly emerged in the public sphere in 2002. Günter Grass’ novel, Crabwalk, incited the interest in the long-sunken ship, and the movie Die Gustloff and the TV documentary Der Untergang der Gustloff(Guido Knopp 2008) illustrated the tragic incident in more detail. The novel and the movie are based on the same incident, but tell a different story with each focusing on different aspects of the incident. Whereas the movie focuses on the records of the incident, the novel tracks the reason why the incident had been a tabu in German history for such a long time. This article starts off by brining up the contradiction that the nine thousand victims who sunk in cold waters with the Wilhelm Gustloff were categorized as perpetrators solely due to the fact that they were citizens of Germany, the defeated perpetrator that was forced to assume the responsibility of the atrocious Jewish Holocaust in World War II. Moreover, Germany chose to acquiesce about these victims, completely neglecting their very existence for more than a half century. The present paper analyzed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 novel and the movie each summons the Gustloff vicitms back to the spotlight of history. The novel and movie - and not the history itself - gave back the incident of Gustloff, a tragic incident that was completely “otherized” by the world, its place in history. Through their storytelling, these two sources again emphasize the significance of an accurate historical awareness to the later generation. The tragedy of the 1945 sinking of the MV Wilhelm Gustloff is similarly projected in Korea, in the 2014 tragic accident of the Sewol Ferry. These two tragic incidents give the lesson that tragedy always be repeated if an individual’s story is only confined within the boundaries of a larger history.

      • KCI등재

        근현대 압구정 마을의 변화 양상과 향우회의 활동

        권혁희 역사문화학회 2020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23 No.1

        Apgujeong-dong in Gangnam-gu has been significantly recognized not only as an urban development history in Seoul, but also as a key area for Korean capitalistic growth. However, this perspective can be said as a product of compressed modernization made only for 20 years since its development in the early 1970s and also as a process of forgetting the history of Apgujeong- dong, which was only a rural village. In this sense, the memory of the people who have been lost in the process of urban development will be a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contemporary history of Seoul as a reflective and historical space with multi-voices rather than a history of development and growth. This paper focuses on the history of Apgujeong village through the records of the 1900s and the memories of residents since the middle of the 20th century. In addition, the process of sharing the history of the people scattered around in the wave of urban development through the activities of the hometown alumni after the development is also an important part of writing the history of Apgujeong village. Such a history of Apgujung village can be said as a history of informal history which can not be written yet and can be explained through the memory of aboriginal people before development. 강남구 압구정동은 서울의 도시개발사뿐만 아니라 한국 자본주의 성장의 가장 핵심적인 지역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가 1970년대 초 개발된 이래 불과 20년이라는 시간동안 이루어진 이른바 압축적 근대의 생산물이라는 점은 도시 이전 농촌이자 한 마을에 불과했던 압구정동의 역사를 망각하는 과정이기도 했다. 마을 전체를 일시에 소개시키고 대 단지 아파트 단지가 만들어졌던 역사는 단순히 공간적 변용의 의미를 넘어선다. 그리고 그곳 에 살아갔던 사람들의 역사는 근대화의 주변부로 밀려나 발견되지 못했던 역사라고 할 수 있 을 것이다. 그런 점에서 개발의 과정에서 소멸되어간 주민들의 기억은 서울을 개발과 성장의 역사만이 아닌 성찰과 다성적인 역사적 공간으로서 서울을 이해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부분 이다. 본 논문은 1900년대 이후 기록자료와 20세기 중반 이후 주민들의 기억을 통해 압구정 마을의 역사를 재구성하고 한다. 특히, 식민지 말기 주민들의 기억을 통해 압구정리는 선명 한 공간적 구분과 장소적 세부들을 재구성할 수 있었다. 일본군 주둔군과 6.25전쟁의 참화 를 거쳐 배가 유명한 마을을 되기까지의 역사는 모두 주민들의 기억을 통해 쓰여질 수 있었 다. 그리고 향우회의 건설을 통해 도시개발의 물결 속에서 주변으로 흩어진 주민들을 다시 모으고 한 마을에 살았던 역사를 서로 공유하는 과정 역시 압구정 마을의 역사를 써 나가게 되는 중요한 일부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압구정 마을의 역사는 그동안 쓰여지지 않는 비공식 역사의 영역으로 원주민의 기억을 통해 설명될 수 있는 역사이다.

      • KCI등재

        공공역사: 개념, 역사, 전망

        이동기 한국독일사학회 2016 독일연구 Vol.- No.31

        공공역사는 대학과 학계의 외부인 공공영역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역사 재현이다. 공공역사는 과거에 대한 공공의 의식과 접근성을 확대하는데 의의가 있다. 역사학은 한편으로 역사에 대한 대중의 폭발적 수요와 사회적 요구에 능동적으로 응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이 학문과 사회의 새로운 소통의 문제를 분석하고 연구해야 한다. 공공역사는 역사가 재현되고 해석되는 방식을 바꾸고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상업화나 학문적 엄밀성의 소실 우려 등 공공역사에서 생겨날 위험에도 주목해야 한다. 독일은 공공역사의 보고다. 역사박물관과 역사전시, 역사재단과 역사기념, 역사저술서와 매체, 전통과 역사유적지 조성, 역사정책과 과거사 정리, 역사 인물의 기념과 추모 논쟁, 지역별 다양한 문화축제, 시민 역사교육과 정치교육, 아카이브와 공동체 역사 프로제트 등. 독일의 공공역사의 양상을 분석하고 소개하는 일은 한국 사회의 공적 역사 인식과 재현을 둘러싼 정치적 학문적 토론의 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Public history can be understood as the diverse representation of the history outside the university and professional studies of the history. It aims to widen public awareness and accessibility to the past. The academic studies of the history have not only to respond to the social demand and popular need of the history, but also to analyse the new mode of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scholarship and the society on the historical discussion. Public history has changed the way history is presented and interpreted. But, the historians have to confront with the risks resulted from the new way of the representation of history as commercialism and the loss of academic rigidity. Gemany has got a variety of aspects and developments of the historical representation in the public sphere as historical museums and exhibitions, heritage managements, politics on historical justice, political and historical education, popular writing on history and media history, and archive and community history projects. Our analyse and guide of the German public history in this journal can make a meaningful contribution to the Korean political and academic discussion on the public representation of history.

      • KCI등재

        역사계 박물관의 기획전시를 위한 인터랙티브 미디어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곽정은 ( Kwack¸ Jeongeun ),최익서 ( Choi¸ Ikse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6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의 수많은 역사계 박물관은 미래세대를 위한 기록의 보존과 지식의 확장, 문화의 향유라는 목적 아래 존재해오고 있다. 세계의 역사적 기록물인 박물관 소장품은 전문적인 보존 및 복원 과정을 통해 미래세대에게 전달되기 때문에 이러한 과정은 역사계 박물관의 가장 중요한 역할로 볼 수 있으며, 이렇게 보존된 소장품들은 박물관 전시의 중심 콘텐츠가 된다. 최근 역사계 박물관에서는 가변성이 뛰어나 다양한 전시 연출이 시도되는 기획전시에서 다방면으로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인터랙티브 미디어가 활용된 콘텐츠를 통해 관람객들의 방문을 유도하며 흥미와 체험을 더한다. 그러나 시도에 따라 소장품 손상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실을 근거로 소장품 보존에 대한 사전연구가 필수적이며, 인터랙티브 미디어의 특성이 전시에 부합하도록 활용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박물관 소장품 예방 보존법과 인터랙티브 미디어의 특성을 바탕으로 역사계 박물관 기획전시에서의 인터랙티브 미디어 활용방안 제시를 위한 지표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역사계 박물관의 소장품 손상 요인 및 예방 보존 방안과 인터랙티브 미디어의 대표적 특성에 대한 내용을 바탕으로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사례분석은 역사계 박물관에 활용된 인터랙티브 미디어의 부합성 평가와 비교를 위해 인터랙티브 미디어가 활용된 국내 및 해외의 역사계 박물관 전시 여덟가지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고, 각 전시의 인터랙티브 미디어 특성 부합도를 평가한 결과를 종합하여 최종적으로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인터랙티브 미디어의 다섯가지 특성인 상호작용성, 조작가능성, 복합성, 유희적 참여성, 소장품 연출성의 부합성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 각 특성의 연관성을 살펴볼 수 있으며, 국내와 해외의 역사계 박물관 전시의 인터랙티브 미디어 연출의 차이를 증명하여 향후 인터랙티브 미디어 활용 시 상호보완적 연출이 필요시 됨을 증명한다. (결론) 본 연구는 인터랙티브 미디어가 역사계 박물관의 소장품과 함께 기획전시에 연출되기 위해서는 소장품의 안전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되 인터랙티브 미디어의 특성이 역사계 박물관의 전시에 부합하도록 활용해야 함을 강조한다. 이를 위해선 역사계 박물관 소장품의 특성과 기획전시의 특성에 대한 전문적인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로 미래의 역사계 박물관의 기획전시를 위한 인터랙티브 미디어 콘텐츠 연출 시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활용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적 자료를 마련한 것에 연구의 의의를 둔다. (Background and Purpose) Many modern historical museums exist for the purpose of preserving records, expanding knowledge, and enjoying culture for future generations. Museum collections, which are historical records of the world, are transmitted to future generations through professional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processes, so this process can be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role of historical museums, and these preserved collections become the central contents of museum exhibitions. Recently, in the historical museums, the interactive media that interacts in various ways from planning exhibitions in which various exhibitions are attempted due to its excellent variability induces visitors to visit and adds interest and experience. However, it can be seen that, depending on the attempt, it may cause damage to the collection, and based on this fact, preliminary research on the preservation of the collection is essential, and a method to utilize the characteristics of interactive media to match the exhibition should be prepared.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prepare an index for presenting the method of using interactive media in planning exhibitions of historical museum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interactive media and preservation prevention methods. (Method) In this study, a cas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causes of damage to the collections and preventive preservation measures in the history museum and the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s of interactive media. In the case study, eight exhibitions of historical museums in Korea and abroad using interactive media were selected in order to evaluate and compare the conformity of interactive media used in history museums, and the results of the interactive media analysis of each exhibition are synthesized and finally compared. (Results) A case analysis of five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s of interactive media: interactivity, operability, complexity, playfulness, and consistency of collection participation, shows the associations of each characteristic; proves that complementary production is necessary when utilizing interactive media by demonstrating differences of interactive media content production in exhibitions of historical museums in Korea and abroad. (Conclusions) This study emphasize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interactive media should be reflected in conformity with the exhibitions in history museums in order for interactive media to be directed in planning exhibitions together with the collections of historical museums while considering the safety of the collections first. For this purpose, professional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collections in history museum and the characteristics of planning exhibitions should be carried out continuously. It is meaningful that basic data has been created as a result of this study, in order to present concrete and systematic utilization measures when producing interactive media contents for the planning and exhibition of history museums in the future.

      • KCI등재

        중국 대학 역사교재의 고조선(한4군)과 임나일본부에 대한 서술 변화 - 식민사학의 영향과 중화주의가 결합한 한국고대사상(像)

        권은주(Kwen Eunju) 동북아역사재단 2021 東北亞歷史論叢 Vol.- No.74

        근대 중국의 역사학은 중국을 중심으로 동아시아를 바라봤던 중화주의 역사인식에 기반하여, 근대 일본의 역사학(식민사학과 만선사관)에서 큰 영향을 받았다. 그 결과 중국 학자들은 두 가지 역사 인식이 결합된 왜곡된 한국고대사 이미지를 만들었다. 중국은 일본의 중국 침략이 본격화되는 시기에는 일본의 만선사에 대항하여 중국의 동북사 체계를 확립해나갔다. 그러나 고조선(한4군), 고구려, 발해를 중국 동북의 역사로 여기면서, 모순되게도 오직 남선(南鮮)만 한국고대사의 역사공간으로 여겼던 만선사와 맥을 같이하였다. 이러한 역사 인식은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비주류가 되었으나, 중국의 개혁개방 이후 다시 주류가 되어 역사교과서에 반영되었다. 중국 대학에서 사용되는 주요 역사교과서에 이러한 인식이 잘 드러난다. 최근 중국은 초중등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이어 대학 역사교재도 국정화하려는 의지를 보이고 있어 향후 이러한 경향은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Modern Chinese history has been greatly influenced by Japanese colonial historiography and Manseon historiography, on the basis of the Sino-centric belief which regards China centered in East Asia. Consequently, Chinese scholars have created a distorted image of the Korean ancient history, derived from an inherently conflicting mixture of both historical perceptions. During the period when Japan’s invasion of China was in full swing, China established a historiography of Northeast China against Japan’s Manseon historiography. However, it was in line with the Manseon historiography in the sense that it regards Gojoseon including Four Commanderies of Han), Goguryeo, and Balhae as the history of northeast China, and views only Namseon as the historical space of the Korean ancient history. The Chinese perception of history did not become a mainstream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but after China’s reform and opening up, it became a mainstream again and was reflected in their history textbooks. The perception has been inscribed in the major history textbooks in their universities. In recent years, China is showing its will to nationalize university history textbooks, following the nationalization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s, and its insistence is likely to be intensified in the future.

      • KCI등재

        『한국사』 교과서에서 동아시아의 역사와 역사교육

        신주백(Ju-back Sin) 한일관계사학회 2011 한일관계사연구 Vol.40 No.-

        이 글은 고등학교 『한국사』교과서에서 동아시아의 역사에 관해 어떻게 기술하고 있는지를 검토하고, 연계성의 측면에서 『동아시아사』교과서와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사』교과서에서 동아시아의 역사는 한국사를 이해하기 위한 간접적인 ‘배경’에 머무르고 있어 한국근현대사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지 않다. 동아시아라는 공간 범주도 한중일 삼국 곧, 동북아를 동아시아로 기술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한국 중심적인 지역관념을 드러내고 있다. 보통의 한국 사람 대부분이 동북아 중심적인 동아시아관을 가지고 있음을 반영한 기술이라고도 말할 수 있겠다. 그런데 『동아시아사』교과서에서는 베트남까지를 동아시아의 공간 범주로 제시하고 있다. 동북아 중심적인 역사관을 드러내고 있는 『한국사』교과서 가운데 베트남까지를 포괄하며 지역의 역사를 파악하려고 노력한 경우는 사실상 한 종에 불과하다. 이로 인해 2012학년도부터 『한국사』와 『동아시아사』교과서 사이의 통일성과 연계성도 떨어지고 공간 범주 자체도 불일치한 상태에서 역사교육을 실시할 수밖에 없는 현실이다. 더구나 『동아시아사』교과서 자체도 동아시아의 공간 범주를 文化圈論으로 접근한 결과, 오늘날 진행되고 있는 학문적인 논의와 국제정치의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고 있지도 못하다. 동아시아의 역사에 관한 한국사 교육의 문제점은 각 대단원의 내용을 학교 현장의 역사교사가 보완하는 방향에서 우선 해소해야 한다. 보다 근본적인 대책은 제국과 식민, 냉전과 분단을 설명할 수 있는 ‘지역으로서 동아시아’관을 정립하고, 동아시아의 공간 범주에 대해 통일성을 갖추어 학년간 내지는 교과간 연계성 있는 역사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다시 만들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how the Korean History textbook covers the history of East Asia, and examines its relationship with the History of East Asia textbook in terms of how the two are linked. In the Korean History textbook, the history of East Asia is presented only as a “background” for understanding Korean history, and is not explained in dose connection with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of Korea. fast Asia as a geographical category is often used only to describe the three countries in northeast Asia, namely Korea, China and Japan, and does not include Vietnam, which is mentioned in the History of East Asia textbook. The Korean History textbook reveals a very Korea-biased regional perspective, lacking correlation with the History of East Asiatextbook and with the geographical category itself inconsistently applied. Also, since the History of East Asia textbook itself approaches the history of East Asia in terms of cultural area theory, academic discussions and international realities are not properly reflected. The cause of this situation lies in making textbook selections ‘without methodical preparations and hastily putting together aneducational program based on political considerations.

      • KCI등재

        역사부정 규제를 둘러싼 기억의 정치 : 5・18왜곡처벌 법안 관련 논의를 중심으로

        이소영 법과사회이론학회 2019 법과 사회 Vol.0 No.61

        Provoked by the ludicrous statements made by some politicians earlier this year that ridiculed and distorted the memory of May 18 Democratic Uprising, voices asserting the need for juridical punishment became prominent in civil society. In fact, this was not the first time that distortion of traumatic past greatly impacted the social discourse, and several bills have been proposed in order to punish such misdeed.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neither to examine the normative legitimacy of juridification nor to rectify the controversial clauses within the bills in order to get it amended. Rather, it aims to analyze the political effect of such juridification within the social discourse. This article thereby deals with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questions. The first one is about the implication of enacting such punitive clauses. Due to the difficulties in finding ‘definite and alive’ victims because of long gap of time between traumatic abuses and present-day claims, it is not easy to punish distorters by crimes against reputation within the Criminal Law. Thus, it would have been necessary to reframe the issue under the framework of ‘harm to our historical memory’ rather than ‘harm to one’s reputation’. In that respect, it can be said that the Rechtsgut of the bills is not human rights of individual victims but rather the historical truth, or furthermore, the social memory. The second question is about the way Auschwitzlüge is dealt within public discourse in Korea. Although the laws against negationism in Europe currently reveals various problems including the dispute over victimhood among conflicting memories or the hierarchy of the historical trauma, it appears that they are regarded as perfect model of coming to terms with the past. Meanwhile the third question is on whether such aim of regulating history denial would be truly effective. Since the memory of May 18 Democratic Uprising is no longer oppressed or marginalized, but emerged as dominant public memory since mid-1990s through legal recognition as well as cultural commemoration, the regulated may, at times, claim themselves as victims and demand the legal recognition of their own distorted memories of the contested past as well. It demonstrates an unexpected and paradoxical side effect – the victimization of the regulated, who had been the target of regulation for distorting the victimhood. 올해 초 이른바 5.18망언을 둘러싸고 역사부정 발언에 대한 사법적 처벌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역사왜곡 발언으로 사회적 파장이 인 것은 비단 이번 일만이 아니며, 이를 처벌하기 위한 법안이 수차례 입안된 바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역사부정 처벌법의 규범적 타당성을 입증하거나 헌법적 정당성을 심사하는 데에 있지 않으며, 국회에 계류 중인 법안이 통과되기 위해 무엇이 어떻게 보완되어야 할지 검토하는 데에 있지도 않다. 그보다 그러한 법제화가 공동체의 담론구조 안에서 만들어내는 정치 효과를 분석하는 데에 있다. 지금, 우리 사회에서 역사부정 규제가 담론화되는 방식과 처벌 법안 발의를 둘러싼 기억의 정치를 읽어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아래 세 쟁점을 다루었다. 첫 번째는 역사부정처벌법 입안의 배경과 그 법적 성격에 관한 것이다. 현행 형법상의 명예에 관한 죄를 역사부정행위에 적용하기 어려운 제반 조건들로 인해 개인이 입은 ‘명예에 관한 피해’만이 아닌 공동체가 입은 ‘역사적 사실에 관한 피해’를 처벌할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리라고 본 논문은 분석했다. 아울러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인 역사왜곡처벌 법안들은 피해자의 인권을 넘어 역사적 사실, 더 나아가 사회적 기억을 보호법익으로 한 ‘역사기억법’임을 논증했다. 두 번째는 이른바 ‘아우슈비츠 거짓말법’이 국내에서 담론화되는 방식에 관한 것이다. 현재 유럽의 역사부정 처벌법은 트랜스내셔널 기억의 장에서 대항기억들의 충돌과 피해집단 간의 서열화, ‘기억해야 할 의무’에 대한 사회적 반작용 등 다양한 문제들을 노정하고 있다. 그럼에도 국내 과거청산 논의에서 ‘유럽에서는 홀로코스트 부정이 처벌된다’는 것이 모범적 과거청산의 전범으로만 담론화 되는 상황을 문제화했다. 한편 세 번째는 역사부정처벌 법안이 실제 그 목적을 달성하는 데 있어 과연 효과적인가 하는 것이다. 5・18민주화운동처럼 국가차원에서 진상규명이 이루어지고 피해자의 대항기억이 공식기억으로 자리 잡은 사안에서, 왜곡하는 쪽의 의도는 진실에 대한 역사적 이견표출보다 악의적 정치세력결집에 있다고 보인다. 그럴 때 법적 규제가 사안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부각시켜 역사부정자들을 도리어 피해자화하지 않을지, 만일 상이한 정치집단들이 각기 자신의 역사적 기억도 부정되지 않게 보호해 달라 법에 요청하는 상황이 발생한다면 어떻게 할지, 법정이 역사부정세력과 다투기 적절한 장소가 맞을지를 논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