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학의 역사성과 그 의미

        최천집 동학학회 2021 동학학보 Vol.- No.58

        이 연구는 동학의 역사성과 그 의미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동학은 역사성을 가진 사상이면서 문화로 볼 수 있지만 이에 대한 논의는 이루어지지 않아 역사성에 대한 고민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역사성은 동학의 정체성뿐만 아니라 현실성 등을 파악할 수 있는 논의의 가치가 충분한 주제이지만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아 논의의 필요는 충분하다. 동학은 역사성을 구성하는 요소로서 인간이 주체가 되어 역사를 이끌어나가야 한다는 관점을 강조하고 있다. 동학에서의 인간은 그 가치나 위상에 대한 지배적인 인식이 잘못 전해지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그것에서 그들만의 새로운 인간의 개념에 대한 역사를 세워나가는 장이었다. 동학은 인간관의 기반을 다진 데에서 역사를 통해 사상이 가진 사회적 적응과 대응을 모색해 가는 과정을 밟아나가면서 사상의 정체성과 실천성을 보다 수준 높게 역사성을 확보해나갔다. 동학은 시간을 중심으로 하는 역사성을 형성하고 있으면서도 중시하기도 한다. 최제우가 보인 역사에 대한 성격을 두고 고민한 흔적은 특별한 것이기도 하고 근원이 오래되기도 하여 동학 역사성의 형성에 기본적인 틀로 축적되어 온 문화적 토양으로부터 물려받은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그것은 동양에서 시간을 인식하는 근본적인 관점의 한 양상인 순환론적 시간관을 따른다는 것이다. 동학에서는 시간이 역사의 주요한 점이며 그것이 순환하면서 무한으로 반복한다는 기본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다. 이런 점에 따라 지금의 시대는 후천개벽의 시대에 해당하는데 이는 소강절의 역학론에 따른 시대구분을 끌어들여 역사를 구분하고 있는 것이다. 용어를 끌어들일 뿐만 아니라 시대가 진행되는 시간도 5만년으로 설정하는데 이런 점도 소강절의 역학론의 중요한 잣대를 시간 단위로 수용한 것이다. 동학이 가진 역사성은 동학이 발생한 시기의 역사전개과정에서 가장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한 것은 무엇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어떤 인식을 지니고 역사를 바라보아야 하며 그 과정에서 이론과 실천을 어떻게 결합하고 조절하는지를 고민하고 있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역사의 본질에 대해 계속하여 질문을 던지고 인간이 역사에서 차지하는 위상이 어떠해야 하는가를 반성적으로 탐색한다는 점은 동학 역사성의 정체성과 생명력을 확보하는 요소로 작용한 것이다. 이와 같은 것 이외에도 동학의 역사성에는 사상이 사회와 만나 지속을 하면서 축적하는 측면은 무엇이고 지속에서 단절로 바뀌면서 폭발하는 측면은 무엇인지를 보여준다는 의미를 갖기도 한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Donghak and its meaning. Donghak can be regarded as both a historical ideology and a culture, but there is no discussion about it, which raises the need to worry about historicality. Historicality is a topic that is worth discussing not only the identity of Donghak, but also the reality, but the need for discussion is sufficient because there is no discussion. Donghak emphasizes the point of view that humans must lead history as a component of historicality. Humans in Donghak pointed out that the dominant perception of their value or status is being misrepresented, and from that, it was a field to build a history of their own new human concept. Donghak has secured the identity and practicality of the ideology to a higher level as he has pursued the process of seeking the social adaptation and response of ideology through history from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 human view. Donghak also emphasizes while forming a historicity centered on time. The traces of Choi Je-woo's agonizing over the history of history are both special and old, so they can be regarded as inherited from the cultural soil that has been accumulated as a basic framework for the formation of Donghak's historicity. It follows a circular view of time, an aspect of the fundamental view of time in the East. Donghak has the basic idea that time is the main point of history and that it repeats infinitely as it cycles. In accordance with this point, the present era corresponds to the era of the later period, which divides the history by bringing in the period division according to the dynamic theory of Sogangjeol. Not only does the term draw in the term, but the time period is set at 50,000 years, and this is also the acceptance of the important criterion of the dynamic theory of the sublime in units of hours. The historical nature of Donghak is what emerged as the most serious social problem in the process of history development at the time when Donghak occurred, and in order to solve it, we must look at history with what kind of perception, and consider how to combine and control theory and practice in the process. It has the meaning of doing. The fact that he constantly asks questions about the essence of history and reflects on what human status should be in history served as an element to secure the identity and vitality of Donghak's historicity. In addition to these things, the historicality of Donghak also has a meaning to show what aspects of ideology accumulate while meeting society and continuing, and what aspects exploded from continuity to disconnection.

      • KCI등재

        역사와 문학을 보는 관점

        송희복(Song Hui Bog) 동악어문학회 2011 동악어문학 Vol.56 No.-

        본 연구는 그 동안 소설가들이 창작한 장보고 관련 역사소설을 분석과 성찰의 대상으로 삼아서 그들이 한 시대의 역사 인물을 오늘날 삶의 지평 속에서 어떻게 형상화하고 재구성했느냐, 또한 그들이 텍스트의 담론을 생성하고 텍스트 상호간에 대한 비평적인 의미망을 연결시키고 있었느냐 하는 점을 고찰하고, 규명해 보고자 하는 데 있다. 그러기 위해서 좀 더 섬세한 통찰 속에서 역사문학의 이론적 근거를 밝히기 위해 문학의 역사성, 문학의 반(反)역사성, 문학의 탈(脫)역사성으로 개념을 세분화하였다. 정한숙의 「바다의 왕자」는 민족주의의 입장에서 장보고의 인간됨을 묘사하고 있다. 민중주의의 시각에서 그 인물을 만들어가고 있다. 이 대목에선 그가 민족의 영웅이 아닌 민중지도자의 인간상에 해당한다. 이 말은 그가 민족주의와 민중주의 가운데 어느 한 곳에도 편벽되지 않겠다는 의도를 보여준 것이라고 할 것이다. 홍명희의 『임꺽정』의 영향권에서 벗어나지 못한 경우라고 하겠다. 홍명희 경우처럼, 정한숙의 장보고는 계급적으로 상하층을 아우르며 연결하고 있다는 점에서 현저히 중도적이다. 그런데 유현종의 『해왕』은 장보고의 왜구 소탕 과정을 다룬 소설로 사실과 합치되지 않거나 성실하지 않는 역사 고증의 문제로 역사소설로서는 신뢰성이 없는 경우라고 해야 할 것이다. 역사를 포장한 반역사의 성격이 드러나 있는 이 같은 유의 역사소설은 우리 주변에 흔하게 발견되고 있어서 비평적인 옥석의 구분이 요구된다고 할 것이다. 이중원의 역사소설 『장보고』(2004)도 역사성의 바람직한 방향이 아닌 역방향으로 지향하고 있는 성격의 것이 아닌가 생각되는 작품이다. 비교적 최근에 발표된 역사소설 중에서 문학의 역사성이란 관점에서 논의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있다면 가장 전형적인 경우가 최인호의 『해신』(2003)이다. 이 작품은 통일 신라 시대의 해상왕으로 잘 알려진 진취적인 인물 장보고의 일대기를 서술한 것. TV드라마로도 제작이 되어 일반 대중에게도 잘 알려진 이 작품의 기저를 이루는 것은 민족주의적인 정조를 자극시키는 데 있다. 역사소설과 민족주의의 상관관계는 가장 익숙한 문학적인 컨벤션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최인호의 『해신』은 진일보한 역사소설이라고 말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인호의 『해신』에는 역사성만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탈(脫)역사성도 존재하고 있다. 이 소설의 문학적인 특성이 강조될 때 부각될 수 있는 이 개념은 역사성과 반(反)역사성 중간 지점에 놓이고는 한다. 이 대목에서 거론한 이른바 탈역사의 개념이 수면에 떠오르게 된 것은 포스트모더니즘의 등장과도 관계가 있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하는 작품이다. This paper is about ‘A viewpoi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History, and Comparison of and Prospect for historical Novels with the Jangbogo-subject’. They already had discussed many years of relation between history and literature. There are three points of view between history and literature. First, there is a history of literature. Second, there is an anti-history of literature. And third, there is an ex-history of literature. Literature has a historic nature. This is well represented by the Clio who is one of the Muses in Greek mythology. Northrop Fyre, a Canadian literary critic, stated that, “History includes a general concept of Art.” Korean modern novels have developed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history and literature. Most Korean novelists think that the purpose of a novel is to pursue a better life. But, some novelists think that literature does not have a historic nature or must never have had a historic nature. All in one, critics who support a formalism and structuralism have this position. They insist that a novelist use history as a means because they want to remedy a grievance of reality. The novelist sinks into pseudo-history, lack of historic truth, or imaginary history that reveal an anti-history of literature. Recently, Korean historical novel have formed a new trend. It is a growing trend that opposes the existing historical novel such as; group consciousness, ideology, and mega discourse. These days, historical novels which, important factions, rather than fact, is popular. It seems that ‘post-histories’- a new historical view of post-modernists, affects this kind of historical novel. This is in relation to the changed desire of readers who want to over a boundary of reality and imaginary. Jung Han-sook's historical novel, 「King of the Sea : Jangbogo」, is hardly looking up a description of Jangbogo's heroic behavior. This is a very exceptional thing. Lukacs said, “His work is a historical novel which is shunning excess of Hero and Villain, People and The people.” In between characters is a classical feature of a historical novel.

      • KCI등재

        문화사 방법론의 진전을 위한 ‘역사성(Geschichtlichkeit)’의 재범주화: 독일 역사이론의 쟁점을 중심으로

        전진성(Jin-Sung Chun) 한국독일사학회 2019 독일연구 Vol.- No.42

        본고는 역사성 범주의 급진화를 통해 역사학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실마리를 얻고자했다. 근대적 의미의 역사란 과부화된 시간의 체계로, 인간의 의지에 의해 초래된 모든 우발적인 사건을 역사의 선형적 궤도 안에 말끔하게 편입시켰지만, 경험공간으로서의 현재의 입지를 극도로 축소시킴으로 써 과거와 현재를 아무런 이념적 매개도 없이 착종시키는 ‘현재주의’라는 역설적 결과를 얻었다. 역사적 시간의 이러한 자기모순을 극복하려면 이념/ 서사를 끊임없이 와해시키는 낯선 타자인 역사성에 관한 제반 이론들로부터 영감을 얻을 필요가 있다. 프로이트의 ‘역사적 트라우마’ 이론은 인류 역사의 시원에 자리하고 있는 근원적 트라우마를 발굴함으로써 반복되는 과거의 생경함을 역사의 본령으로 규정했으며, 하이데거의 ‘본래적 역사성’ 이론도 과거-현재-미래 대신 ‘기재-현재-장래’라는 색다른 시간질서를 제시함으로써 희망찬 미래가 아니라 이미 있어왔던 실존의 반복되는 가능성들에서 역사의 본령을 찾았다. 이들의 이론은 역사학의 궁극적 지시대상이 과거도 미래도 아니고 오로지 현재의 순간에 드러나는 열린 가능성, 즉 역사성임을 깨닫게 해준다. 역사학은 역사성 범주를 새롭게 받아들임으로써 과연 ‘역사적으로 사유’ 한다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깊은 성찰의 기회를 얻는다. 역사는 이념/서사로 환원될 수 없으며 늘 외부적 요소의 충격적 개입에 의해 변질된다. 이념/서사의 ‘외부’로서의 역사성은 현재의 거울이나 기원으로서의 과거, 혹은 장밋빛 미래가 아니라 오히려 현재의 한가운데에 출현하는 생경한 과거에 주목하게 만든다. 이를 통해 비로소 구조와 우연의 교차로에서 역사적 진실에 대해 사유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된다. 이는 또한 ‘쓰기’라는 역사학 고유의 재현양식에 대한 성찰을 도모하는바, 재현과 그 임계점으로서의 현실 사이에서 진실을 찾는 과정을 통해 역사서술은 역사성의 내적 계기를 이루게 된다. 문화사 서술이야말로 이러한 원리에 가장 부합하는 접근법으로, 기존의 이념/서사 외부의 시간들과 그 시간을 살아온 사람들의 정치적 결단과 행위의 자유를 위한 자리를 마련하고자한다. This paper seeks to gain clues to open up a new horizon in historiography through the radicalization of the category of historicity(Geschichtlichkeit). History in the modern sense is an overloaded system of time, which has meant to neatly incorporate all accidental events caused by human will into the linear orbit of history, but by extremely threatening the present spaces of experience it has resulted in the paradoxical deadlock of “presentism” that entwines the past and present without any ideological intermediation. To overcome this inherent self-contradiction of the modern historical time, one can make reference to the German theories of historicity, which took issue with the strange other that would constantly disrupt dominant ideology/narrative. While Freud’s theory of “historical trauma” highlights the uncanniness of the compulsively repeated past as the essence of history by excavating the underlying trauma from deep strata of human history, Heidegger’s theory of “authentic historicity(eigentliche Geschichtlichkeit)” replaces the common temporal scheme of past-present-future by the ternary ecstases of ‘having-been-ness’-‘presencing’-‘future,’ which forecloses a hopeful vision of the future in favor of the repeated possibilities of the having-been. These classical theories shared the idea that the ultimate referent of historiography is neither the past nor the future, but the open possibility, which is revealed in the present moment, the historicity, tout court. By reappropriating the category of historicity in this way, historiography is given an opportunity to take issue on the “historical thinking.” History namely cannot be reduced to a scheme of ideology/narrative, but is always altered by the shocking intervention of external factors. Historicity as the outside of ideology/narrative is meant to highlight the uncanny past haunted in the midst of the present, rather than fixing to the past as a mirror of the present or a rosy future. This approach provides a platform for thinking about historical truth at the crossroad of structure and contingency. It also seeks to reflect on “writing” as the unique mode of historiographical representation, as historiography establishes the inner moment of historicity in the process of exploring the truth between representation and outer reality. Cultural historiography fitting for this purpose ultimately affords a place for the political decisions and actions of those who have lived in the temporality outside the dominant ideology/narrative.

      • KCI등재

        제주 섬의 역사성과 복수성을 활용한 제주도 해양관광콘텐츠 개발방안 연구

        이웅규 ( Lee Woong-kyu ),정민의 ( Jung Min-eue ) 한국도서(섬)학회 2018 韓國島嶼硏究 Vol.30 No.1

        본 연구는 제주도가 섬의 정체성을 나타내고 매력 있는 해양관광도시로서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하기 위한 방안 중의 하나로 제주도의 역사성과 복수성을 활용하여 해양관광콘텐츠로 개발하고자 한다. 그 방안을 적극적으로 고찰하기 위해 국내외에서 발간된 다양한 연구논문과 정기간행물, 정부문서와 신문기사 등의 2차 자료를 중심으로 문헌 고찰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해양관광콘텐츠란 본래 창의력·상상력을 원천으로 문화적 요소가 체화되어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문화관광상품을 의미한다고 정의하였다. 그래서 섬의 역사성과 복수성을 활용한 제주도의 해양관광콘텐츠 개발을 위해서는 정책적으로는 영화, 에니메이션, 음악, 비디오물, 게임물, 멀티미디어콘텐츠, 캐릭터, 만화 및 디지털콘텐츠 등 각 분야의 시설확충과 전문인력 양성, 고부가가치 문화상품, 문화산업의 해외지원 확대뿐만 아니라 그 속에 내재되어 있는 문화적 상상력을 총체적으로 발휘해야 한다고 논의했다. 특히, 제주도의 해양문화 콘텐츠 원형에 창의력과 상상력이 가미되면 제주도의 역사성과 복수성을 더욱 부각시키며 정체성과 공적 이미지 창출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해양관광콘텐츠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제주도의 역사성과 복수성으로 수렴되는 해양관광콘텐츠는 제주도의 해양문화콘텐츠 원형 발굴에서 시작된다는 전제하에 문헌고찰을 통해 세 가지 범주에서 제시하였다. 첫째 사람, 문화, 물자 교류의 역사성과 복수성을 보여주는 문화원형을 개발해야 한다. 둘째, 국제성을 보여 주는 문화원형을 발굴하여 초국가적 영역성을 개발해야 한다. 셋째, 다층적인 문화가 누적된 문화원형 발굴을 통해 한국현대사의 질곡의 현장이 가득한 시·공간을 개발해야 한다. 특히, 제주도를 해항도시로 자리매김 한다면, 해항도시가 가진 역사적, 철학적 비전이 다양성과 창의성을 기반으로 하는 창의도시의 그것보다 훨씬 유연하고 역동성을 담으며 제주도의 역사성과 복수성에 어울릴 것이다. 또한 ‘21세기 해양의 시대의 해양전진기지, 제주’보다는 ‘21세기 유라시아 해항도시 네트워크의 결절점, 제주’가 역사성과 복수성을 반영하면서도 미래 지향적인 비전으로 다가올 것이다. 해항도시 제주가 가진 교류의 역사성, 복수성, 국제성, 문화의 잡종성을 드러내는 문화콘텐츠 원형은 여기에 상상력이 가미될 때 생명력을 가지며 나아가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해양관광콘텐츠가 될 것이다. 향후 제주 섬의 역사성과 복수성을 활용한 해양관광콘텐츠 개발방안은 반드시 정치적 요구에 따라 각종 특별법을 만들어 섬 성(性)을 무시한 정책개발들을 남발해서는 안 된다. 제주섬 정책은 국토종합계획과 다른 차원에서 수립되어야 한다. 지역 간 경계도 없고 국가 간 물리적 경계도 존재하지 않는 해양과 바다의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제주도민들과 해양문화콘텐츠의 원형복원을 고려한 육지와 차별화된 해양관광콘텐츠 프로그램, 지역주민의 참여가 이루어지면서 미래가치가 우선적으로 고려된 제주 섬의 역사성과 복수성을 활용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JejuIsland as an attractive marine tourism city. For this purpose, we will develop the contents of marine tourism using the historical and plural nature of Jeju Island. In order to positively examine these methods,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focusing on secondary research articles such as research papers, periodicals, government documents and newspaper articles published in and outside the country. In this study, the definition of marine tourism contents is defined as cultural tourism products that create economic value by incorporating cultural elements originating from creativity and imagination. Therefore, we would like to develop Jeju Island’s marine tourism contents utilizing the history and pluralism of the island. The policy was to expand the facilities, expertise, and support for high value-added cultural products and cultural industries in the fields of film, animation, music, video, game, multimedia, character, cartoon and digital contents. They also discussed that the cultural imagination inherent in itshould be exercised as a whole. Especially, Jeju Island’s creativity and imagination are needed for the prototype of marine culture contents. If we emphasize the historical and pluralism of Jeju Island, it will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identity and public image. It will also be a marine tourism content that creates economic value. This study pointed out that Jeju Island marine tourism contents, which are represented by history and plurality, originated from the exploration of marine culture content prototypes. First, we must develop a culture prototype showing the history and pluralism of the exchange of people, culture, and materials.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transcontinental territoriality by discovering cultural prototypes showing internationality.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ity and a space filled with Korean history through the accumulation of multi-layered cultural circles. Especially, if Jeju Island becomes a sea port city, it will become a maritime tourism city filled with the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vision of the sea port city. In addition, ‘Nautical point of Eurasia maritime city network in the 21st century, Jeju’ rather than ‘Maritime advance base of the 21st century marine era, Jeju’ will come to be a future-oriented vision reflecting historical and pluralism. It is important to find a cultural content prototype that reveals the history, sexuality, internationality, and cultural hybridity of an exchange city Jeju. If imagination is added to this, it will become Jeju Island with vitality, and it will become a marine tourism content that creates economic value.

      • KCI등재

        플라톤 대화편에 나타난 등장인물의 역사성

        김진(Kim, Jin) 한국서양고전학회 2009 西洋古典學硏究 Vol.37 No.-

        플라톤의 대화편을 이해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여러 가지 요소 중 본 논문은 대화편에 등장하는 대화자나 참여자의 역사성을 논의한다. 플라톤의 대화편에 등장하는 인물 중 이름이나 아버지의 이름으로 지칭된 인물은 대략 81명인데 이 들은 모두 역사적 인물이다. 플라톤의 대화편을 사실과 거리가 있는 허구적인 작품으로 이해하는 경우에도 이러한 등장인물의 역사성은 단순히 허구적으로만 취급될 수는 없다. 본 논문은 이러한 등장인물의 역사성이 허구적 창작물로서의 대화편 내에서 어떤 방식으로 이해될 수 있는지를 다루며, 특히 이러한 등장인물의 역사성이 대화편의 철학적 내용 이해에 어떤 방식으로 관여할 수 있는지를 다룬다. 우선 등장인물의 역사성을 대화편 이해에 적용하고 있는 몇 안되는 기존의 연구 중의 하나인 에버트의 『파이돈』이해를 살펴보고, 이를 범례로 삼아『파르메니데스』의 서두에 등장하는 케팔로스의 해설문을 분석한다. 이 도입부분은 『파르메니데스』에서 논의되는 소위 이데아론 비판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 구체적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케팔로스-안티폰-피토도로스라는 다층적 해설 층위와 세 해설자 모두 비아테네권의 철학자 내지 철학에서의 문외한임을 제시하고, 대화편의 본론에서 이데아론에 대해 잘 알고 이를 비판하는 당사자가 소크라테스가 아닌 남부 이태리 출신의 파르메니데스임을 환기시켜, 『파르메니데스』에서 비판되는 이데아론이 그 당시 남부이태리에서 잘 알려져 있는 이론, 즉 피타고라스주의자들의 것임을 밝힌다. 『파르메니데스』편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역사성을 통해 이 대화편에서 논의되는 철학적 내용 이해를 위한 배경적 지식을 얻어낼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시도는 플라톤 대화편이 갖는 독특한 특징인 문학적이고 철학적인 면을 동시에 고려하는 해석학적 연구의 일환으로 수행된 것이다.

      • KCI등재

        하이데거에 있어서 사물존재와 역사성

        엄필선 한국하이데거학회 2009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19

        Die in Heideggers gesamten Denkweg aufgeworfenen Fragen zum Sein des Dings beziehen sich auf die Auslegung des Menschenseins und des Seins selbst in Hinsicht auf den ontologischen Sinn der Zeit- und Räumlichkeit. Diese Fragen gelten je als die Thematisierung der Geschichtlichkeit des Menschenseins und die der Geschichtlichkeit des Seins. Die Frage nach all diesen ist überhaupt möglich aufgrund ihrer ontologischen Identität. Dagegen sind die beiden Geschichtlichkeiten aufgrund ihrer ontologischen Differenz im Unterschied zu einander thematisiert zu werden und mit unterschiedlicher Herangehensweise. Die Entwicklungsgestalt von Heideggers Denkweg beruht gerade darauf, ob die Untersuchung auf der ontologischen Identität dieser beiden Geschichtlichkeiten gründet oder auf ihrer ontologischen Differenz. Es ist bemerkenswert dabei, dass das Verständnis des Dingseins nicht nur bei der Auffassung von beiden Geschichtlichkeiten überhaupt, sondern sogar bei der Auffassung der ontologischen Differenz der beiden eine entscheidende Rolle spielt. Der daraus folgende Hinweis zeigt, wie das Verständnis des Dingseins zum wichtigen Belang wird und welche wichtige Rolle dieses Verständnis bei der Entwicklung Heideggers Denkwegs spielt. Die bisherige Interpretation vom Sein des Dings bei Heidegger hat allerdings dieses übersehen. Ein Hauptziel dieser Arbeit besteht daher vor allem darin, das Verständnis des Dingseins in jeder Denkphase und den Bezug zwischen diesem Verständnis und der Entwicklung der Denkphasen darzustellen. Darüber hinaus wird aber auch hier ein anderes Ziel ins Auge gefasst, was und wie die Welt ist, und ob diese Welt möglich wäre. 하이데거 전 사유과정에 걸쳐 제기된 사물존재에 대한 물음은 인간존재의 시ㆍ공간성과 존재의 시ㆍ공간성이 지닌 존재론적 의미와 연관되어 있으며, 이는 각각 인간존재의 역사성과 존재의 역사성으로 규정될 수 있다. 두 역사성에서는 존재론적 동일성과 차이성이 드러나는데, 그 중 동일성은 우리가 두 역사성을 사유함이 가능하도록 하지만, 차이성은 두 역사성을 구분된 가운데 이해하도록, 즉 다른 이해의 접근방식을 취하도록 한다. 하이데거 사유과정의 전개는 바로 이러한 두 역사성의 존재론적 동일성에 근거한 고찰인가 아니면 차이성에 근거한 고찰인가에 기인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구분된다. 그런데 여기서 주목할 만한 것은, 사물존재에 대한 이해가 두 역사성에 대한 이해뿐 아니라 둘의 존재론적 차이성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결정적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사물존재에 대한 이해가 하이데거 사유의 핵심을 이해함에 있어서도 중요하지만, 사유전개과정을 이해함에 있어서 또한 중요함을 지적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하이데거 사유의 해석 작업에서는 이 둘 모두가 간과되어왔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사유의 각 시기 속에서 사물존재가 어떻게 이해되는지, 이러한 이해가 사유의 전개와 어떠한 연관성을 지니는지 살펴봄을 일차적 과제로 삼고 있다. 그리고 사물존재에 대한 이해의 총체적 윤곽제시를 넘어, 이에 대한 이해에 의해 가능한 세계, 그것의 가능성을 조망해 보고자 한다.

      • 하이데거에 있어서 사물존재와 역사성

        엄필선 ( Aum Pil-sun ) 한국하이데거학회 2009 존재론 연구 Vol.19 No.-

        하이데거 전 사유과정에 걸쳐 제기된 사물존재에 대한 물음은 인간존재의 시 · 공간성과 존재의 시 · 공간성이 지닌 존재론적 의미와 연관되어 있으며, 이는 각각 인간존재의 역사성과 존재의 역사성으로 규정될 수 있다. 두 역사성에서는 존재론적 동일성과 차이성이 드러나는데, 그 중 동일성은 우리가 두 역사성을 사유함이 가능하도록 하지만, 차이성은 두 역사성을 구분된 가운데 이해하도록, 즉 다른 이해의 접근방식을 취하도록 한다. 하이데거 사유과정의 전개는 바로 이러한 두 역사성의 존재론적 동일성에 근거한 고찰인가 아니면 차이성에 근거한 고찰인가에 기인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구분된다. 그런데 여기서 주목할 만한 것은, 사물존재에 대한 이해가 두 역사성에 대한 이해뿐 아니라 둘의 존재론적 차이성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결정적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사물존재에 대한 이해가 하이데거 사유의 핵심을 이해함에 있어서도 중요하지만, 사유전개과정을 이해함에 있어서 또한 중요함을 지적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하이데거 사유의 해석 작업에서는 이 둘 모두가 간과되어왔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사유의 각 시기 속에서 사물존재가 어떻게 이해되는지, 이러한 이해가 사유의 전개와 어떠한 연관성을 지니는지 살펴봄을 일차적 과제로 삼고 있다. 그리고 사물존재에 대한 이해의 총체적 윤곽제시를 넘어, 이에 대한 이해에 의해 가능한 세계, 그것의 가능성을 조망해 보고자 한다. Die in Heideggers gesamten Denkweg aufgeworfenen Fragen zum Sein des Dings beziehen sich auf die Auslegung des Menschenseins und des Seins selbst in Hinsicht auf den ontologischen Sinn der Zeit- und Raumlichkeit. Diese Fragen gelten je als die Thematisierung der Geschichtlichkeit des Menschenseins und die der Geschichtlichkeit des Seins. Die Frage nach all diesen ist uberhaupt moglich aufgrund ihrer ontologischen Identitat. Dagegen sind die beiden Geschichtlichkeiten aufgrund ihrer ontologischen Differenz im Unterschied zu einander thematisiert zu werden und mit unterschiedlicher Herangehensweise. Die Entwicklungsgestalt von Heideggers Denkweg beruht gerade darauf, ob die Untersuchung auf der ontologischen Identitat dieser beiden Geschichtlichkeiten grundet oder auf ihrer ontologischen Differenz. Es ist bemerkenswert dabei, dass das Verstandnis des Dingseins nicht nur bei der Auffassung von beiden Geschichtlichkeiten uberhaupt, sondem sogar bei der Auffassung der ontologischen Differenz der beiden eine entscheidende Rolle spielt. Der daraus folgende Hinweis zeigt, wie das Verstandnis des Dingseins zum wichtigen Belang wird und welche wichtige Rolle dieses Verstandnis bei der Entwicklung Heideggers Denkwegs spielt. Die bisherige Interpretation vom Sein des Dings bei Heidegger hat allerdings dieses ubersehen. Ein Hauptziel dieser Arbeit besteht daher vor allem darin, das Verstandnis des Dingseins in jeder Denkphase und den Bezug zwischen diesem Verstandnis und der Entwicklung der Denkphasen darzustellen. Daruber hinaus wird aber auch hier ein anderes Ziel ins Auge gefasst, was und wie die Welt ist, und ob diese Welt moglich ware.

      • KCI등재

        탑파 문화재의 지식 구조와 교육 방안 : 문화재 교육의 이론화 시론

        오인택 한국문화교육학회 2014 문화예술교육연구 Vol.9 No.1

        본고는 현재 공개된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국보 제9호)의 설명문을 분석하여 석탑 문화재의 지식 구조를 탐색하고, 그에 따른 석탑의 학습 방안을 모색한 것이다.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국보 제9호)의 설명문에 나타난 지식 구조는 관찰 가능한 ‘조형성’, 조형의 역사적 의미를 읽는 ‘역사성’, 조형과 역사적 의미에 대한 직관적 통찰인 ‘미학적 해석’의 세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이 중에서 역사성은 ‘석탑의 생애사’와 ‘석탑의 양식사’로 나뉘었다. ‘석탑의 생애사’는 석탑 일생의 역사이며, ‘석탑의 양식사’는 석탑의 양식 계보를 말한다. 학습의 난이도는 조형성, 석탑의 생애사(역사성), 석탑의 양식사(역사성), 미학적 해석의 순서이다. 석탑의 양식사(역사성)와 미학적 해석은 전문적인 영역이고, 조형성과 석탑의 생애사(역사성)는 비전문적인 영역이며 단순한 지식 구조이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면 초등학교(5학년 이상)는 조형성과 석탑의 생애사(역사성), 중학교 이상은 석탑의 양식사(역사성) 교육이 가능하다. 미학적 해석의 교육에서는 전문가의 추상 개념이 강요되어서는 안되며 학습자의 소박한 해석이 허용된 방식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A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explanatory texts on "five storied stone pagoda of Jeongnim temple site"(Korea's National Treasure Number 9) circulated in Korean society today and to find a new teaching method on the basis of their intellectual structures. The intellectual structures of explanatory texts on "a five storied stone pagoda of Jeongnim temple site" consisted of three elements: formative aspects to be visible, historical aspects reading historical contexts, and aesthetic interpretations, insight penetrating into formative and historical aspects. Historical features were divided into two parts, 'a life history of stone pagoda' to pursue the changes in social function of a stone pagoda and 'a history of a style of building' to find its position in the genealogy of stone pagoda. The order of the higher degree of difficulty to learn puts an aesthetic interpretations first, followed by 'a history of building style', 'a life history of stone pagoda' and formative aspects. While a history of building style and aesthetic interpretations are professional areas of study, 'a life history of stone pagoda' and the formative aspects are amateur areas of study. In consideration of these points, a teaching orientation and method of pagoda have to be fitted to the goal of learning and level of learners.

      • KCI등재

        문학사의 조건: 문학 개념과 문학의 역사성

        라영균(Ra, Young-Kyun)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20 외국문학연구 Vol.- No.77

        문학사가 무엇을 어떻게 기술하는지는 전적으로 문학 개념에 달려있다. 역사적으로 변화하는 문학 개념은 문학사의 선별과 평가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문학의 어떤 측면과 영역이 문학사 기술의 중심 과제가 되는지를 결정한다. 문학이 문학사의 대상이 되기 위해서는 생성 당시의 연관관계에 묶여있지 않고 지금 여기에 있으며 우리에게 계속 영향을 미쳐야 한다. 이것이 바로 문학이 갖고 있는 특별한 역사성이다. 문학사가 가능한 것은 바로 문학이 역사성을 갖기 때문이다. 이것은 우선 텍스트 내적인 조건과 관계가 있다. 문학 텍스트에는 다양한 의미가 내재되어 있다. 이 의미의 가능성들은 독자의 수용을 통해 역사적으로 계속 구체화된다. 두 번째로 문학의 역사성은 이해의 역사성에 기반한다. 이해는 우리의 역사적 상황에 의존하며 역사적으로 미리 주어진 관점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것은 현재의 관점에 의한 적용, 다시 말해 과거가 현재를 통해 전달되는 점을 동시에 의미한다. 해석학적 관점에서 보면 이해는 과거의 지평과 현재의 지평이 서로 융합하는 과정이다. 문학사의 목적은 과거의 지평을 복원하거나 반복하는 데 있지 않다. 문학사는 문학사의 대상은 객관적으로 주어진 것이 아니라 변화하는 문학 지평 속에서 특정한 관점에 따라 이해되고 해석된 텍스트들이다. 그러므로 문학사는 선별된 것이고 특정 관점에 의해 해석된 구성물이며 과거와 현재의 지평이 융합되는 과정에서 새롭게 취득한 의미의 관계들이다. The method and content of literary history primarily depends on a respective concept of literature. The concept of literature, which is subject to historical change, influences selection and evaluation. In order to become the subject of literary history, literature should be tied not only to its historical context, but also it should be accessible, so as to have a continuous effect on us. This is the special historicity of literature, and precisely because of this authenticity, literary history is possible. The historicity of literature is based on the historicity of understanding. This means that in a hermeneutic situation, a text is interpreted and understood within a historically specified position. In this regard, the subject of literary history becomes text which is individually interpreted in terms of certain and specific perspectives.

      • KCI등재

        헌법개정논의의 정치적 원리 - 역사성, 민주성, 국제성 : 헌법개정논의의 정치적 원리

        이승현(Lee Seung-Hyun),김명섭(Kim Myong-sob) 한국헌법학회 2006 憲法學硏究 Vol.12 No.1

        일단 개헌작업이 시작되면 그것은 단지 권력구조 개편에 한정되지 않고, 전반적인 헌법의 개정논의로 비화될 가능성이 높다. 한국에서의 개헌논의는 역사성, 민주성, 국제성 등의 원리에 충실하게 진행될 필요가 있다. 첫째, 역사성의 원리에 충실해야 한다. 개헌논의는 역사적 정체성 문제와 직결된다. 이것은 새로운 헌법(the Constitution)을 통해 구성(constitute)하고자 하는 실체의 역사적 근원과 관련된 문제이다. 어떠한 시간대 위에 구성하고자 하는 국가를 올려놓을 것인가에 대한 합의의 문제이다. 이것은 헌법의 전문에 명문화되는 동시에 헌법의 각 조항들에 스며든다. 따라서 헌법을 개정하고자 한다면, 서로가 어떠한 역사성에 대한 합의 위에서 논의를 전개하고 있는 지를 분명히 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전문의 수정이 이루어질 경우, 항일독립운동사는 물론 5천년의 유구한 역사적 전통을 좀 더 담아낼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며, 미래지향적인 내용을 담아내려는 노력도 아울러 견지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대한민국이 독립협회의 활동을 통해 대한제국을 극복하고 탄생한 계승 국가임을 밝힐 필요성에 대해서도 검토해야 한다. 둘째, 민주성의 원리에 충실해야 한다. 민주성을 강조하기 위한 맥락에서 현재 한국의 헌법은 4·19민주이념을 적시하고 있다. 일단 개헌을 향한 봇물이 터지게 되면 왜 민주성을 강조하기 위한 적시의 대상이 4·19민주이념으로 한정되어야 하는가하는 논란이 빚어질 것이다 (예. 5·18민주이념의 적시문제). 현재 헌법 4조의 "자유민주질서"라는 개념도 쟁점이 될 수 있고, 이미 되고 있다. 헌법의 민주성이란 헌법(the Constitution)에 따라 하나의 국민으로 구성(constitute)되는 개인들의 의지에 헌법이 부합해야 함을 의미한다. 역사성과 민주성이 충돌할 경우, 우선하는 것은 민주성의 원리이다. 특정지역의 귀속과 관련하여 먼저 고려되어야 할 것은 그 지역이 지니고 있는 역사성의 문제이지만, 최종적 결정은 그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주민의 의사에 따른다. 자결(self-determination)에 있어서의 자(self)는 민족을 의미할 수도 있지만, 개인을 의미할 수도 있다. 따라서 한 공동체를 구성하는 개인의 충분히 반영되는 것이 중요하다. 헌법을 둘러싼 논의과정은 개인의 의사가 충분히 반영된 국민적 합의에 기초해야 한다. 한국의 경우, 국민적 합의가 민족적 합의와 다른 내포를 지닌다. 두 개념 모두 영어로는 national consensus라고 쓸 수 있지만, 국민적 합의의 경우는 대한민국 내의 합의를 의미하며, 민족적 합의는 남과 북, 그리고 해외동포까지를 포괄하는 합의를 의미한다. 원론적으로 대한민국 헌법개정은 국민적 합의에 기초해야 하는 것이지 민족적 합의에 기초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그렇지만 민족적 합의의 측면을 고려하지 않을 수도 없다. 따라서 국민적 합의에 기초하되 민족적 합의를 아울러 지향해야 한다. 그런데 이것이 시간적 순차개념은 아닐 수 있다. 민족적 합의를 지향할 때, 오히려 더 완벽한 국민적 합의가 도출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셋째, 국제성의 원리에 충실해야 한다. 국제적으로 존재하는 다수의 나라들이 북한과 수교하고 있는 상황, 남한과 북한이 공히 유엔에 가입해 있는 국제적 상황, 그리고 남북정상회담이후 공동선언을 통해 상호 국호를 사용하는 상황이 고려되어야 한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동북아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미국 For more productive debate on the ROK constitutional amendment, this paper is trying to bring into focus three principles; historicity, democracy, and internationality. First, the principle of historicity. The issue of constitutional amendment is closely related to the historical identity. A conditio sine qua non is a consensus on the historical identity to be reconstituted by the amendment of the Constitution. Second, the principle of democracy. If there is a conflict between historicity and democracy, the priority is given to the latter that to the former as we can see in the case of the Saar dur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treaty of Versailles. Third, the principle of internationality. The internationality embedded in the constitution of ROK should be carefully taken into consideration. Especially, more legal and political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quasi-internationality of South-North Korean relationship already approved by Inter-Korean agreements and both Koreas" accession to the U. 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