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핵심역량 기반의 대학 교양교육 운영 방안 - 단국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전은화 단국대학교 교양기초교육연구소 2021 교양기초교육연구 Vol.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교양교육에 있어서 핵심역량을 어떻게 교육과정에 반영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며, 환류를 통해 교육과정을 개선할 수 있을지에 대한 대안을 제 시하는 데 있었다. 본 연구를 위해 교양교육과정에서 어떻게 핵심역량을 설정하고 측정하는지에 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교양교육과정에 역 량 중심 교육과정을 효과적으로 도입하기 위해서는 역량 중심 교육과정 운영을 단 순히 인력 양성을 위한 사회 기능적 관점으로 볼 것이 아니라 학생의 고른 성장을 돕기 위한 적절한 교육과정, 교육방법, 그리고 교육환경적인 인프라를 총체적으로 구축한다는 측면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 교육과정을 역량 중심으로 운영하는 목 적은 학생의 측면에서는 강의실에서 배우는 것과 실제 수행 간의 간극을 좁힘으로 써 실행력을 함양하도록 돕고, 조직의 측면에서는 교육과정 운영 성과를 기반으로 정책을 세울 뿐 아니라 정책 적용의 결과로 실제 교육과정을 개선하고 환류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실제로 역량중심 교양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해서 는 교양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핵심역량을 정의하고, 대학의 인재상과 교양교육대 학의 목표에 부합하는 핵심역량의 구성 비율을 설정한 후, 교과목별로 주요 핵심역 량을 매치할 필요성이 있다. 교육과정을 운영한 후에는 핵심역량의 변화 정도를 분 석하고 그 결과를 교육과정 개선을 통해 환류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향후 역량 중심 교육과정이 효과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적절한 교양교육 방법과 교수 모 형의 보급, 신뢰로운 평가 도구의 개발, 그리고 교육과정에 대해 내용 중심이 아니 라 목표와 방법 중심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lternatives for how to reflect core competencies in curriculum of liberal arts education, analyze the effects, and improve the curriculum. For this study, previous researches on how to set and measure core competencies in the liberal arts education were analyzed and implications were drawn. Introducing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the liberal arts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operation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not simply as a social and functional point of view for nurturing human resources, but from the aspect of overall construction of an appropriate curriculum, educational methods, and educational infrastructure to help students grow even. The purpose of operating the curriculum centered on competencies is to help students to develop real world problem solving skills by narrowing the gap between learning in the classroom and actual performance from personal perspectives, and not only to establish policies but also to support and improve the educational environments as organizational perspectives. In order to actually operate a competencycentered liberal arts curriculum effectively, there have to be defined the core competencies pursued in the liberal arts curriculum, set the ratio of the core competencies that meet the goals of the liberal arts education and selected the core competencies matching the subjects. After the curriculum operation, there should be analyzed the degree of improvements in students’ core competencies and returned the results through curriculum improvement. In order for the competency-centered curriculum to operate effectively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appropriate teaching methods, models and reliable evaluation tools not centered on contents but focused on goals and methods for the liberal arts education.

      • RISS 인기논문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한 학교 및 교실 수준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설계 유형 탐색

        조현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9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2 No.2

        본 논문은 학교 및 교실 수준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설계에서 나타나는 의사결정 사안을 규명하고, 이러한 의사결정의 결과로서 창출되는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다양한 설계 유형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첫째, 역량기반 교육과정에 관한 주요 현안 및 쟁점을 바탕으로 역량기반 교육과정 설계에서 직면하는 의사결정 사안을 크게 두 차원으로 규명하였다. 이러한 의사결정의 한 차원은 역량기반 교육과정과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공존가능성에 대한 쟁점에서 비롯된 것으로, 핵심개념 및 일반화된 지식에 대한 이해(understanding)와 역량(competency) 중 무엇을 중심으로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내용 및 활동을 선정․조직할 것인지에 관한 의사결정으로 가시화된다. 다른 한 차원의 의사결정은 학교 및 교실 수준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설계에서 성취기준을 어떻게 이해하고 활용해야 하는가에 관한 쟁점에서 비롯된 것으로, ‘성취기준에 의거한(standards-driven)’ 교육과정 설계와 ‘성취기준을 의식한(standards-conscious)’ 교육과정 설계 사이의 의사결정으로 가시화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두 차원의 의사결정을 기반으로 역량기반 교육과정 설계의 4가지 유형(Type A, Type B, Type C, Type D)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교육과정 체제에 적합한 역량기반 교육과정 설계 유형을 모색하고, 나아가 역량기반 교육과정 관련 정책 및 실행의 개선 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ypes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design based upon teachers’ decision-making for their curriculum planning. By investigating current issues related to competency-based curriculum reforms, this study identified two axes of teachers’ decision-making for their competency-based curriculum planning. One axis deals with what to present as a pivot for selecting and/or organizing curriculum content and activities, such as teachers’ decision-making between a deep understanding of core concepts and generalized knowledge and a key competency, which is caused from the controversy as to whether there is a thread of connections between the Understanding by Design (UbD) and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e other axis deals with how to understand and utilize curriculum standards, such as teachers' decision-making between standards-driven curriculum planning and standards-conscious curriculum planning, which is rooted in different epistemological stances. This study reveals that these two axes of decision-making come up with four types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design.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a type for competency-based curriculum design that best fits the current status of South Korean education system.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policies and practices were also provided.

      • KCI등재

        프랑스 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특징과 시사점 : 프랑스 2015 국가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김영실(Kim Youngsi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8

        본 연구는 프랑스의 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도입과 2015 국가 교육과정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역량 중심 교육과정에 줄 수 있는 시사점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프랑스에서는 1980년대 초, 지식기반 사회 담론의 도래 이후 학교교육과 경제를 밀접하게 관련시키려는 흐름이 강해졌으며 1990년대 초에 역량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편찬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이후 OECD와 유럽의회에서 추동한 글로벌 담론의 영향으로 ‘공정한 학교 만들기’ 정책이 역량 중심 교육과정 편찬으로 이어졌다. 이 노력의 첫 번째 결과물로서 2015 국가교육과정은 교과 교육과정 내용과 역량을 밀접하게 관련시켜 총론과 교과 교육과정의 연계를 추구하되, 교과 교육의 성격과 자율성에 좀 더 비중을 두었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두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 번째, 프랑스에서는 교육과정 구성의 중심을 지식에서 역량으로 전환하는 과정에 프랑스 고유의 논리를 개발해 일국의 내적 조건에 맞게 글로벌 담론을 활용하였다. 두 번째, 역량을 교육과정 내용을 관통하는 축으로 활용하였으며, 학생에게 제공될 상황, 활동, 도구의 예로 교과 교육과정 내용을 제시하였고, 교과통합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방안까지 교육과정 수준에서 제안하였다. 역량 중심 교육과정에서 프랑스의 이와 같은 고유의 논리 개발 과정과 적용 사례는 한국 교육과정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introduction of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France and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to research an example of how competencies and subject curriculum are integrated. In France, since the advent of a knowledge-based society discourse in the early 1980s, school education and the economy have been closely related. And in the early 1990s,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was proposed. Since then, the “making a fair school” policy has led to the publication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under the influence of global discourses such as the OECD, etc. As the first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France,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seeks to connect the competencies and the subject curriculum by giving more emphasis on the autonomy of the subject curriculum. From the above discussion, the case study of France deduces two implications. First, in France, in the process of changing the center of the curriculum composition from knowledge to competence, a French-specific logic was developed and the global discourse was utilized in accordance with the internal conditions of a country. Second, competency is used as an axis to penetrate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contents of the curriculum are presented as examples of situations, activities, and tools to be provided to students, and integrated lessons are also proposed at the curriculum level.

      • KCI등재

        뉴질랜드 교육과정 개혁 동향: 핵심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실천 사례

        소경희(So, Kyung-Hee),이상은(Lee, Sang-Eun),이정희(Lee, Jeong-Hee),허효인(Heo, Hyo-In) 한국비교교육학회 2010 比較敎育硏究 Vol.20 No.2

        학교교육은 학생들이 향후 사회적 삶을 성공적으로 살아가는 데 있어서 필요한능력을 제공해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학교교육에 대한 역량 담론이 주목을받고 있다. 실제로 이러한 담론은 최근 역량중심 교육과정 개혁 논의로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역량중심 교육과정을 학교 현장에 적용한다는 것이 구체적으로 어떤모습인지에 대해서는 심도 있는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특히, 역량중심 교육과정이 학교에서 어떻게 실행될 수 있으며, 학교교육에 어떤 변화를 요구하는지등에 주목한 연구는 드물다. 이러한 상황에서 최근 국가 교육과정에 ‘핵심역량’을새롭게 도입하고 이를 학교 현장에 적용하고 있는 뉴질랜드의 사례는 역량중심교육과정의 실천 모습을 탐색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이 글은 뉴질랜드의 교육과정 개혁 사례를 통해 핵심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실천 모습을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뉴질랜드 교육과정 개혁에서 핵심역량을 도입하게 된 배경과 그 내용을 검토하고, 뉴질랜드의 실험학교 사례를 통해 학교에서의 핵심역량 중심 교육과정이 어떻게 실천되고 있는지를 살펴본 뒤, 그 시사점을 논의해 보았다.1) Recently, the discourse on competencies has received much attention in schooling. This trend results in competencies-based curriculum reform in many countries.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discussion on practical implementation of competencies-based curriculum in schools. Especially, there is no serious study in how competencies-based curriculum could be integrated in existing school curriculum and what kind of changes should be required in that case. Under these conditions, the New Zealand curriculum is supposed to be an appropriate example to explore how competencies-based curriculum could be implemented in schools. It is because that New Zealand lately introduced ‘key competencies’ in the new curriculum structure and has made efforts to support implementation of key competencies-based curriculum in schoo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mplementation of key competencies-based curriculum in schools by reviewing recently reformed curriculum of New Zealand. In order to obtain this purpose, we examined the background of introducing key competencies in the New Zealand curriculum and their contents. Then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implementation of key competencies-based curriculum through six experimental school cases. Lastly, we discussed some implications of key competencies-based curriculum.

      • KCI등재

        국가 교육과정 설계에서 핵심역량 설정의 필요성에 대한 이론적 탐색

        한혜정 ( Hyechong Han ) 한국교육과정학회 2021 교육과정연구 Vol.39 No.2

        본 논문은 국가 교육과정 설계에서 핵심역량을 설정해야 하는 필요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역량 교육 담론과 형식도야이론의 차이점, 역량 교육과 생활적응교육의 차이점, 역량중심 교육과정과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량 교육 담론은 역량이 기성의 능력이 아니라 다양한 교과 교육이 공통적으로 추구하는 상위의 목적이라는 점에서 형식도야이론이 야기하는 ‘내용과 형식의 분리’라는 오류를 저지르지 않는다. 둘째, 역량 교육에서 강조되는 ‘지식교육과 삶의 연계’에서 삶은 생활이 아니라 다양한 인간다운 삶의 양식이 존재하는 사회적 실제를 의미한다는 점에서 역량 교육은 생활적응 교육과 다르다. 셋째, 역량중심 교육과정과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공통점은 양자가 모두 교육내용으로서 지식의 구조에 대한 학습을 강조한다는 데에 있다. 학문중심 교육과정과 달리 역량중심 교육과정은 지식 습득이 삶과 연계되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과 간 통합이나 융합을 강조한다. 이러한 결론에 기반할 때, 국가 교육 과정 설계에서 핵심역량을 설정해야 하는 필요성은 무기력한 지식 학습의 폐단을 극복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지식을 ‘생생하게’ 습득하도록 하는 데에 있다고 볼 수 있다. In order to discuss the reasons for establishing core competencies in national curriculum design, this study tries to explai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discourse of competency education and the theory of formal discipline, the difference between competency education and life adjustment education, and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competency-centered curriculum and academic-centered curriculum.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discourse of competency education does not make the mistake of ‘separation of content and form’ that the theory of formal theory makes. Because the competency is not real abilities of mind but higher aims that various subject educations commonly pursue. Second, in 'the articulation between knowledge education and life' emphasized in competency education, life is not ordinary life but refers to social practices in which various human life modes exist. Therefore, competency education differs from life adjustment education. Third, the commonality between the competency-centered curriculum and the academic-centered curriculum is that both emphasize learning the structure of knowledge. Unlike the academic-centered curriculum,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emphasizes integration between subjects. Based on these conclusions, the reason for establishing core competencies in the national curriculum is to overcome the practice of fragmentary or dead knowledge learning so that students can acquire knowledge vividly in connection with real life.

      • KCI등재

        핵심역량에 기초한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이은주(Lee Eunjoo),오성은(Oh Sung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0

        본 연구는 핵심역량에 기초한 기업가정신 교육과정 개발의 방향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기업가정신의 핵심 요인과 핵심역량에 대해 심층적으로 논의하고 연구방법이자 교육과정 개발 모델 중 하나인 과정-탐구 모형에 따라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과정의 교육 목표, 절차의 원리, 평가 준거를 분석하여 제안하였다. 본 논문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역량중심 기업가정신 교육과정 개발은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는가? 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먼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과정에서 강조되는 기업가정신의 핵심 요인과 핵심역량을 추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한 목표 설정은 전통적인 목표 진술 방식에서 벗어나 역량에 초점을 맞춰 논의되어야 하며 세부 목표와 내용은 역량과 매우 밀접한 관련성을 지녀야 함을 강조하였다. 둘째 탐구 과정으로서의 교육 내용 선정을 위해 교육과정 절차의 원리에 따라 핵심 요인을 ‘가치’로, 기업가정신 핵심역량을 ‘기준’으로 보고 그 관계를 분석하였고, 세부 요인으로서 기초 소양 및 발달적 측면을 분석 결과로 제시하였다. 셋째 역량중심 기업가정신 교육과정 평가 준거와 관련하여 기업가정신 핵심 요인과 핵심역량에 관한 수준별 성취기준 및 요구사항을 추출하였다. 본 연구는 지식이나 내용을 강조하는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 의식을 기초로 역량중심 교육과정 설계 방안으로서 ‘과정-탐구’ 모형을 활용하는 동시에,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구체적인 역량을 제시하면서 개발 과정의 방향에 유용한 통찰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The competence-based education has gained much importance in recent years. However,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show about Entrepreneurship of youth by developing competence-based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and the direction of competence-based curriculum design for Entrepreneurship of youth. To accomplish these purposes,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process-inquiry model which can be adjusted to the competence-based curriculum design for Entrepreneurship of yout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ith regards to setting Educational Objectives, This study extracted key factors and key competencies in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r youth. Second, With regards to the principles of procedure, This study analyzed their relationship by viewing the key competency of entrepreneurship as standard and the key factors of entrepreneurship as value . Third, Based on key competencies and key factors, this study extracted the achievement criteria and requirements by level. The Core competencies are a set of related knowledge, skills and abilities that result in essential behaviors for Entrepreneurship of youth. The advantages of the Applicability of competence-based Curriculum design for Entrepreneurship of youth clearly highlighted on this paper.

      • KCI등재

        학문중심 교육과정 및 이해중심 교육과정과의 비교를 통한 역량기반 교육과정 이해

        한혜정 ( Hye-chong Han ),이주연 ( Joo-youn Lee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7 교육과정연구 Vol.35 No.3

        본 논문은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특성을 학문중심 교육과정 및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명료한 이론적 확립을 위해 향후 규명되어야 할 질문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세 가지 유형의 교육과정이 가지는 이론적 입장과 관련하여, (1) 무엇을 교육내용으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하는지, (2) 어떤 능력의 발달에 초점을 두고 있는지, (3) 교육의 효과를 무엇으로 보는지에 대한 관점의 차이를 중심으로 살펴 본 결과, 학문중심 교육과정과 이해중심 교육과정은 서로 유사한 이론적 관점을 공유하고 있는 데 반해, 역량기반 교육과정은 이들과 다른 토대의 이론적 입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명료한 이론적 확립을 위해서는 역량 함양을 위하여 학문적 지식에 대한 이해가 어느 정도로, 어떤 방식으로 필요한지, 이론적 성격이 강한 교과와 기능적 성격이 강한 교과 등 교과의 성격에 따라 역량 함양 방식은 어떻게 달라지는지, 교과 교육 이외의 비교과 영역은 역량 함양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 등의 연구문제들이 더욱 규명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certain questions to facilitate a full understanding of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by comparing it with the discipline-centered curriculum and understanding by design. The paper examines these three types of curriculum, focusing on the following: (1) What educational content is emphasized as being worth teaching? (2) Which aspects of abilities are focused on? (3) What is considered to be the effect of education? As a result, the discipline-centered curriculum and understanding by design maintain a similar theoretical position, while the theoretical position of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discipline-centered curriculum and understanding by design. In order to allow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need to be clarified: (1) In what way and to what extent is the understanding of disciplinary knowledge needed in order to cultivate competency? (2) How does the method of cultivating competency change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subject? (3) How can extra-curricular activities contribute to competency development?

      • KCI등재

        역량중심 교육과정의 적용에 대한 독일 역사교육의 사례 : 역사적 사고 지향의 FUER모델을 중심으로

        박미향(Park, mihyang) 한국역사교육학회 2021 역사교육연구 Vol.- No.40

        독일은 국제학업성취도 평가인 PISA에서 독일 학생들의 저조한 성적에 대한 극복 방안으로 2000년대 중반 역량중심 교육과정을 도입하였다. 이에 역사과목의 역량모델들이 개발되었는데, FUER모델(2006/2007), 한스 위르겐 판델 모델(Hans-Jürgen Pandel)(2005), 페터 가우치 모델(Peter Gautschi)(2009), 독일역사교사협회의 교육표준(2006, 2010)이 그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역량모델들 중에서 가장 체계적인 모델로 인정받으며 독일 각 주의 역량개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FUER모델을 중심으로 독일의 역량중심 교육과정을 살펴보았다. 또한 독일 역사교육에서 논의되었던 역사의식 이론들이 FUER모델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 지를 고찰하였다. FUER모델은 학생들의 생활세계에서도 전이가능하고 적용 가능한 ‘역사적 사고의 과정’을 제시하였고, 이러한 과정으로부터 역사적 역량을 도출하였다. FUER모델에서 제시한 역사적 사고 과정은 학생들이 과거와 역사에 대해 스스로 질문을 제기하고, 비판하면서 해체하고, 자료들을 토대로 과거를 재구성하여 그것을 삶에 적용하는 그런 일련의 ‘과정’이다. 질문제기, 재구성과 해체, 방향설정 과정과 이러한 과정에서 이해해야할 역사적 원리, 개념 등에 대한 지식을 토대로, FUER모델은 역사적 질문역량, 역사적 방법역량, 역사적 방향설정역량, 역사적 사실역량을 도출했던 것이다. 이렇게 역사적 사고를 하나의 역동적인 과정으로 이해한 것은 역사의식 이론의 영향이라 할 수 있다. 역사의식을 역사해석에 대한 성찰적이고 비판적인 ‘활동’으로 이해했던 야이스만과 역사의식을 합리적인 역사서사 ‘행위’로 이해했던 뤼젠의 이론이 그것이다. 이러한 영향으로 역사의식이 역량중심 교육과정에서는 역사적 사고의 ‘과정’으로 치환되었다. 역사적 역량은 역사적 사고의 학습으로 정의되었다. 이러한 결론에 이르기까지 독일 역사교육은 다음과 같은 근원적인 질문들을 제기했다: 역사교육은 학생들에게 ‘무엇을’ 가르치는 것인가? 역사를 학습하고 난 이후 학생들은 무엇을 할 수 있어야 하고, 어떤 능력이나 역량을 가질 수 있어야 하는가? 학생들에게 그러한 역량을 키워주기 위해서 역사수업은 어떤 방식으로 조직되어야 하는가? 역량중심 교육과정을 적용해야 할 한국의 역사교육 역시 이러한 근본적 질문들을 피할 수 없어 보인다. 구체적인 역사적 역량들은 그 답을 찾는 과정에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Germany introduced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since the mid-2000s as a way to overcome the poor grades of German students in PISA,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As a result, competency models for history subjects were developed: FUER Model (2006/2007), Hans-Jürgen Pandel Model(2005), Peter Gautschi Model (2009), Educational standards of the Association of History Teachers in Germany(2006, 2010). Among these competency models, this paper examines the German competency-based curriculum centering on the FUER Model. At the same time, how theoretical discussions on historical consciousness are applied to the FUER Model were examined. The FUER model presented a ‘process of historical thinking’ that is transferable and applicable even in the social life of students, and historical competence was derived from this process. The historical thinking process presented by the FUER model is a series of ‘processes’ in which students ask questions about the past and history themselves, deconstruct it while criticizing it, reconstruct the past based on data, and apply it to their lives. Based on the process of questioning, reconstruction, deconstruction, and direction setting and knowledge of historical principles and concepts to be understood in these processes, the FUER model derived historical questioning competence, historical method competence, historical direction setting competence, and historical fact competence. This understanding of historical thinking as a dynamic process can be said to be the influence of previous theories of historical consciousness. These are the theories of Jeismann, who understood historical consciousness as a reflective and critical ‘activity’ for historical interpretation, and Ruesen’s theory, who understood historical consciousness as a rational historical narrative ‘action’. As such, in German history education, historical consciousness was understood as an ‘activity’ or ‘action’ rather than any substance, theory, or philosophy, so it was reduced to a ‘process’ of historical thinking in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As suggested by the FUER Model, Germany s history education seems to have taken a major direction in defining historical competence as the learning of historical thinking. Until this conclusion, Germany s history education faced and discussed the following fundamental questions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What does history education teach students? What should students be able to do after studying history, and what abilities or competencies should they have? How should history lessons be organized in order to develop such competencies in students? History education in Korea, which should apply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also seems to answer these fundamental questions.

      • KCI등재

        역량 중심 음악과 교육과정의 구성: 독일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주대창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2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structural models of music curricula based on competencies by analyzing recent German ones, so that music key competencies can be used as useful means to set up educational contents for school music. For this, the writer deals with five new music curricula of German states, namely Baden-Württemberg, Bayern, Berlin and Brandenburg, Sachsen, and Schleswig-Holstein. The cross curricular system for music education in school has become a common phenomenon in four cases except Sachsen. They introduce common competencies for all subjects as well as key competencies for music class to identify overarching goals in school. These two basic criteria can be mixed or merged in learning field of the subject of music. Consequentially, teaching guidelines in curricula are not classified according to musical knowledge or skills, but stated as some comprehensive lesson themes including attitude and value students have to achieve. To conclude, key competencies for music class in school should be rightly valued for their contribution to measurable benefits for students’ successful life not only in school but also in society, in the here and the hereafter. Therefore, music educators do not place a massive premium on certain knowledge or skills in relation to music even though those factors seem to be necessary for teaching music. Alternatively, they can organize some competencies for applying music to life. In this way, students can customize their musical ability to complete expected competencies, of which levels can be phased. 본 연구에서는 최근의 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경향에 따라 음악과 교육과정의 역량 설계 방안을 탐색 하기 위해 음악교과의 전통이 강한 독일의 사례를 살펴본다. 2015년 이후 현장에 적용되고 있는 5개 주 교육과정의 범교과 공통역량과 음악교과 역량의 관계를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 지칭 용어에서 다 소 차이가 있으나 모두 범교과 역량과 음악교과 역량을 결합시키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모든 주의 교 육과정에서는 전체 학교교육의 취지 및 범교과 목표를 소화할 수 있는 과정적 역량 또는 활동 기준을 음악교과 내에서 추가로 제시하고 그것과 연계하여 음악교과의 역량 분야를 유목화하는 이원적 접근 을 취하고 있다. 아울러 음악교과의 내용이 음악적 지식이나 기능의 전수에 편중되지 않도록 전반적으 로 음악 활용 방식에 초점을 두고 진술된다. 이것은 지식, 기능, 태도, 가치를 아우르는 포괄적 역량을 지향하는 것으로 이해되며, 교육 현장에서 지엽적 사항을 넘어선 주제 중심의 음악수업을 기대하게 한 다. 향후 역량 중심으로 음악과 교육과정을 개정하려고 할 때 상위의 교육목적과 하위의 교육내용이 유기적으로 연결되게 하는 방안을 찾아야 하는데, 독일의 최근 사례는 개별 음악적 사항이 분절적으로 다루어지는 방식을 피하는 방법적 노하우를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존 듀이의 성장 개념에 기반한 역량중심 교육과정과 교육성과 관리의 의미

        권정선(Jungson Kwon)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22 敎育思想硏究 Vol.3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f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and performance management of education based on Dewey’s concept of growth. Many universities are moving toward the establishment of core competencies focused on preparing for professional employment using curriculum and performance management for objective evaluation and measurement. Therefore, the need for reflection on the original concept of competency has emerged. Dewey’s concept of growth involves efficient habits in one’s actions gained through experience that prepare the individual to create the adequacy of life. This idea is very much in line with the meaning of competence in early competency education discours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growth, the educational process is one of continual reorganizing, reconstructing, and transforming. Therefore, the university’s competency-based curriculum must be constantly revised by evaluating the growth goals and social environment needs. Further, managing performance is similar to managing environmental resources to support student growth. Based on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circumstances of each university,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and performance management depends on a discussion at each university that should be preceded by a deep reflection on competency concepts and curricula. 본 연구의 목적은 듀이의 성장 개념에 근거하여 역량중심 교육과정 및 교육성과 관리의 의미를 밝히는 데 있다. 많은 대학들의 역량중심 교육 혁신의 노력이 직업세계에 대한 준비로 초점 맞춰진 핵심역량 설정과 교육과정 운영, 객관적 평가 및 측정 가능한 것으로서의 교육성과 관리로 나아가고 있다는 점에서 ‘역량’ 개념에 대한 성찰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듀이의 성장 개념은 좋은 삶(사회)을 만들어가기 위한 준비로서 다양한 반응을 통해 경험을 쌓음으로써 얻게 되는 효율적인 행동 방법인 습관으로, 이는 초기 역량 교육 담론에서의 역량의 의미와 상당 부분 맞닿아 있어 참고하여 교육과정 및 성과 관리의 의미를 음미해 볼 수 있다. 끊임없이 재조직, 재구성되는 변형의 과정으로서 성장을 바라보는 듀이의 관점에서 학교교육은 성장의 과정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노력의 하나이다. 그러므로 대학의 역량중심 교육과정은 학습자의 성장 목표와 사회환경의 필요를 함께 읽어내며 끊임없이 수정될 수밖에 없고, 교육의 성과 평가 및 관리는 학습자의 성장을 위한 물리적・정서적 환경 자원을 관리하는 것과 같게 된다. 이는 대학마다의 특성과 상황에 따라 달리 이루어져야 하므로, 역량중심 교육과정과 교육성과 관리의 효과성 제고는 대학마다의 역량 개념 및 교육과정에 대한 충분한 성찰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논의로 귀결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