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프로야구 홈 여성관중의 경기장 공간 인식이 응원 팀 인식에 미치는 영향

        이완영(Wan-Young Lee) 신라대학교 여성문제연구소 2020 젠더와 사회 Vol.3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ro baseball female spectators spatial perceptions of stadiums on their favorite teams. Such a purpose implies the extension of pro baseball female fans perception categories. Many studies on pro baseball female spectators often deal with the phenomenon of female fandom in terms of software and enlarged attraction of female spectators by qualitatively improving facilities in terms of hardware. On the other hand, there are little studies on the circumstances in which female spectators perceptions are manifested and the perceptions on their favorite teams, of them who are the subjects in them. This study, therefore, attempted to set the stadium spaces in which female spectators are placed as circumstances and analyze what effects the perceptions manifested in stadiums have on their favorite teams, the reasons on which they visit stadiums. To this end, it administered questionnaires to a total of 300 home female spectators who visit Sajik Stadium to watch the Lotte-LG match or Jamsil Stadium to view the Dusan-Hanhwa match, and finally used a total of 276 copies in this study. The data collected were electronically treated by using SPSS 21.0, and correlation and multi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show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attachment perception among spatial perceptions on stadium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ir perceptions on athletes among the perceptions on favorite teams. Second, both subject and attachment perceptions have positive effects on their perceptions on corporations which own baseball teams. Third, both subject and attachment perceptions have positive effects on their perceptions on parent companies. In general, the attachment to the spatial placeness of stadiums and subject awareness should be enhanced to increase female spectators loyalty to their favorite teams and positively improve their perceptions on parent companies of the corporations. This means that hardware approaches to stadiums are not enough to form the fandom of female spectators or increasingly attract them. More significant outcomes can be expected, only if female spectators attachment to stadiums and their subject awareness are improved in advance, by using a variety of human stories, nostalgia and historicity, which are embedded in stadiums. 이 연구는 프로야구 여성관중의 경기장 공간 인식이 응원팀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이 가지는 함의는 지금까지 이루어져 왔던 프로야구 여성팬에 관한 인식 범주의 확장이다. 프로야구 관람객을 주제로 한 많은 연구에서 여성 팬에 관한 연구는 소프트웨어적 측면에서는 여성 팬덤 형성을 주제로, 하드웨어적 측면에서는 시설의 질적 제고를 통한 여성관람객 유입 확대 방안 탐구가 주를 이룬다. 반면 여성 관람객들의 인식이 발현되는 환경, 그리고 그 환경 속에서 그들이 주체로서 자신들이 응원하는 팀에 가지는 인식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여성 관람객들이 위치해 있는 경기장 공간을 유의미한 환경으로 설정하고 경기장에서 발현되는 인식이 경기장을 여성 관중들이 응원하는 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직야구장에서 열리는 롯데-LG경기와 잠실야구장에서 열리는 두산-한화 경기 관람을 위해 방문한 홈 여성 관중 총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76부의 설문지를 본 연구를 위해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처리하였으며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경기장 공간 인식 중 애착 인식이 응원팀 인식 중 선수 인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경기장 공간 인식 중 주체 인식과 애착 인식이 응원팀 인식 중 구단 인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경기장 공간 인식 중 주체 인식과 애착 인식이 모기업 인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종합적으로 여성 관중으로 하여금 응원팀에 대한 충성도를 높이고 나아가 구단 모기업의 인식을 긍정적으로 제고하기 위해서는 경기장 공간 장소성의 애착도와 주체의식을 높일 수 있어야 한다. 이는 여성 관중의 팬덤 형성 또는 유입 증대를 위해 경기장을 단순히 하드웨어적 관점에서만 접근해서는 안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경기장 내에는 다양한 휴먼스토리와, 토포필리아적 요소, 역사성 등이 내포되어 있으며 이를 활용한 여성 관중의 경기장 애착도와 주체의식 제고가 선행되어야 여성 관중 확보에 더욱 유의미한 결과를 기대할 수 있겠다.

      • KCI등재후보

        1950년대 여성소설의 전쟁인식과 '기억의 정치학'-강신재의 초기단편을 중심으로

        김복순 한국여성문학학회 2003 여성문학연구 Vol.10 No.-

        It makes women have a different perception on history from that of men, that women have been The Others in History. Since men have been the 'subjects' and women the others in history and society, it is unavoidable, It is another way of perceptions on world. So far, the subject of perception on history has been nation, or man. In case of Korean War, the perspectives of either ordinary people or women are excluded, Only those of nation or men are found. Kang Sin Jae did not interpret the war from the standpoint of historical events. While men describe historical events or show perceptions mainly based on historical events, women wrote her story from rather personal standpoints of view. In Kang Sin Jae's short stories, the war was described such personal things as 'neighbors running away' or 'handing out of rice". Those things were used to emphasize the tragedy of lives. Women dream of romantic love affairs even during the war, and the stories were usually ended in the message that 'humans beings are nothing but the absolute solitude existences themselves'. Such a perception is not a escape from history. Women perceive that the world is absurd and history is meaningless. This is ‘herstorical consciousness’. Women's perception on time was not lineal but personal. In that respect, it is different from that of modern times, ‘Women's way of knowing’ and ‘women's way of seeing’, could be explained by the concept of ‘relative self’ of Nancy Chodorow's and Carol Giligan's theory. And communication theory also emphasize the different conversation styles between men and women. Her early short stories well reflect the politics of silence and exclusion in Korean society. It was changed to anti-communism, the hegemonical ideology in South Korean society, in her novel ‘Dandelions on the Imgin River’ written in 1962, Such a change is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of politics of memory. It shows us the homology between novel and society. 역사 속 타자 였던 여성의 특수한 경험은 여성들로 하여금 남성과 다른 역사인식을 갖게 하였다. '주체' 와 '타자', 지식인 엘리트와 민중, 남성과 여성의 역사인식은 다를 수밖에 없으며, 이는 총체적 인식의 부족, 당대성의 결여 등으로 타매될 것이 아니라 하나의 세계인식방법으로 자리매김 될 필요가 있다. 종래의 역사해석 내지 인식의 주체는 국가 내지 민족이었으며, 대체로 남성과 동일시되어 왔다. 한국전쟁에 관한 한 민중, 여성의 관점은 완전히 배제되어 있으며, 오로지 국가, 반공의 관점만 있다. 강신재는 전쟁을 '사건' 중심으로 해석하지 않았다. 남성 작가의 소설이 통상 사건사. 정치사중심의 거대사적 접근 및 인식을 드러낸다면, 여성소설은 대개 개인-가족 일상 중심이다. 민중 여성 계열에서 전쟁은 이웃사람들이 피난 가는 소리 쌀배급 으로 인식되었고, 삶의 비극성을 표면화시키는 매개로 작용한다. 실존의식 계열에서는 전쟁을 매개로 낭만적 사랑을 추구하지만 인간은 결국 절대고독자라는 실존의식으로 귀결되었다. 강신재 초기 단편은 역사 속 타자의 인식방법을 강조해 드러냄으로써 비판성을 획득하며, 여성서사의 새로운 전망을 보여 준다. 여성의 시간인식은 근대의 시간관인 직선적 시간관과 다르게 나타났다. 사건 중심이 아니라 개인-가족-일상 중심의 비사건적, 비직선적 시간이다. 이러한 차아는 낸시 초도로우와 캐를 길리건이 말한 관계적 자아 와, 여성의 인식방법 (women's way of knowing, women's way of seeing), 남녀 대화방식의 차이를 강조하는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원용하여 설명할 수 있었다. 강신재 초기 단편은 침묵과 배제의 기억의 정치학을 잘 보여주여, 초기 단편에서 1960년대의 장편 「임진강의 민들레」에 이어지는 과정은 서술자의 시각, 등장인물들의 발언을 통해 반공주의시각이 이 사회에 확실히 정착했음을 반증해 준다. 이러한 변모는 남한의 공식 역사에서 기억의정치학이 작동되는 전개과정과 정확히 일치한다. 소설과 사회의 상동성(homology)이다.

      • KCI등재

        생애사를 통해 본 '여성주의' 인식전환 경험 연구

        김한지영(Kim, Han Ji Young) 한국평생교육학회 2014 평생교육학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여성은 어떠한 경험을 통해 여성주의를 인식하게 되는가?' 라는 물음으로부터 시작하여, 여성의 삶에서 불평등을 인식하게 되는 생애사건을 중심으로 인식전환 과정을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여성학 전공자이며, 여성관련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 30~40대 여성주의자 3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여성주의 인식 형성 맥락에서 여성들은 성불평등 사건을 지속적으로 경험하면서 성별 감수성을 학습하게 된다. 인식전환에 영향을 끼치는 생애 사건은 존재하며, 성인기 이후 성불평등 인식은 어린 시절의 경험과 연결되어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여성주의 인식전환 과정에서 여성들은 고민과 갈등을 통해서 치열한 성찰학습을 경험하게 된다. 여성학 강의를 수강하면서 개인적 경험이 여성주이 이론을 만나게 된다. 결정적 생애 사건들은 여성주의 학습과정에서 경험의 공유를 통해 지지받게 되며 긍정적 경험으로 치환하게 된다. 셋째, 여성주의 인식 전환을 통한 삶의 변화는 실천학습과 관련되어 있다. 일상에서 불평등한 요소를 찾고, 가정과 사회에서 성 평등한 세상을 만들고자 노력하고 있었다. 여성주의자의 삶은 경험학습, 성찰학습, 실천학습 등의 평생교육의 현장이자, 결국 '여성주의' 인식전환 과정들이었다. 이것은 평생교육과 여성주의가 만나는 지점을 발견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began with the question "Through what kind of experimental learning do women come to become aware of feminism?" It examines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and associated changes in the life of women by looking at critical life events which act as the trigger. For this, three feminist women in their 30s and 40s, who are graduates of women's studies and currently working in a women-related field, were interviewed in-depth. Research findings indicated that, First, as women continuously experience gender inequality cases in life contexts prior to recognitions of feminism, they perceive gender discrimination. Second, in the process of transformative learning experiences of feminism, women access to theories explaining their own experiences through lectures of women's studies. As a fruit of intensive reflections on and concerns for current status as a woman, this thesis is completed. Third, feminists find unequal factors through everyday Life Learning, and make an effort to develop sexually equal world in homes or societies. It is the very feminism, an analysis tool to read everything in routine lives, which makes it possible to realize politics in everyday lives, inaugurated from me, and enjoy a new life. In this study, lives of the feminists are fields of lifelong education such as daily, experiential and practical learning, and consequently are transformative learning processes of the 'feminism'. It can be said to be a discovery of meeting point of lifelong education and feminism.

      • KCI등재

        화서학파의 여성인식

        황수연(Hwang Su yeon)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6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33

        본 논문은 한말 화서학파를 대표하는 인물인 면암 최익현의 여성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 작성되었다. 최익현은 여성 인물을 대상으로 한 35여 편의 글을 남겼는데, 양식상으로는 지인의 묘지명, 묘표, 행장 등의 비지문과 전장문이 가장 많고 내용상으로는 열녀와 효부를 다룬 글이 대다수를 차지한다. 그는 지인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글을 작성한 경우, 어머니라는 여성 자체에 대한 관심보다는 그 어머니의 아들에 대해 관심을 더 보이며 여성은 훌륭한 아들을 통해 드러날 수 있다는 생각을 드러내고 있다. 최익현이 기록한 열녀는 주로 죽음을 수반한 여성이었고 그러한 여성을 가장 높이 평가했는데, 이는 당대 다른 유교 지식인들이 가부장이 부재한 상황에서 가부장의 공백을 메우며 가정을 돌본 여성의 행위를 열행이라고 인정한 것과 구별된다. 최익현은 열행 못지않게 효행을 중시하여 효열부를 다수 형상화하였는데 그에게 효열행은 목숨과 자식을 희생해서라도 지켜야하는 절대적인 가치로 인식되었다. 열행과 효열행이 쇠퇴한 풍속의 교화에 도움을 준다는 효용성에 대해서는 별다른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지만 효열행은 천리가 구현된 것으로 인식함으로써 열행 보다 높이 평가하고 있다. 최익현의 여성에 대한 인식은 전통 유교 사상에 입각한, 경색되고 보수적인 면모를 드러내기도 한다. 하지만 전통과 근대가 혼거하며 인식 체계를 교란하는 시기에 살던 구여성들이 정체성을 찾는데 영향을 주기도 하였다. 구여성은 당시를 선/악의 대결로 인식했던 개화파 지식인과 정/사로 구별했던 유교 지식인의 경직된 사고를 조화롭게 수용하는 유연하고 성숙한 모습을 보인다. 최익현의 여성 인식을 통해 신여성, 개화파 지식인 중심의 편향된 연구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is thesis looks into Ikhyeon Choi s cognition about women, who is the representative of Hwaseohakpa in the last Chosun century. Ik Hyun Choi wrote 35 writings about women, stylistically most of those are Bijimun and Jeonjangmun such as acquaintance s epitaph, grave mark, Haengjang and contently most of those are about virtuous women and devoted daughter in law. When he wrote about his acquaintance s mother, he focused more on mother s child rather than mother itself to show the role of mother who raise a great son. Ik Hyun Choi s writings about virtuous women was mainly about women with death whom he assessed best, which distincts with other confucianism intellects approving women to look after home and family in the absence of patriarchal calling it ’pure patriarchal‘. Ik Hyun considered filial behavior as important as virtuous behavior and wrote a lot about filial behaviors. To him, filial behaviors were perceived as an absolute value to be protected even at the cost of life and children. Ik Hyun s cognition about women sometimes shows stagnate and conservative aspect. But his conventional perception influenced women damaged by social changes such as widow s remarriage which was brought up by other Enlightenment party intellects. I hope Hwaseohakpa intellect s perception about women to be of help to biased research on modern women and civilization.

      • KCI등재후보

        『文章風流三代錄』에 나타난 여성 인식과 의미

        홍현성(Hong Hyun-sung)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 장서각 Vol.0 No.21

        본고는 『文章風流三代錄』(이하 『文章風流』)에 나타난 女性에 대한 認識을 구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文章風流』는 蘇洵 三父子와 그 후손의 이야기로 실재했던 문장가문을 소재로 취하고 허구적 사건을 결구해 서사를 구축했다. 이때 실재했던 문장가문은 허구적 서사의 설득력을 담보한다. 『文章風流』의 서사는 실재했던 가문의 大小事를 통해 여성에 대한 인식을 드러내고 있다. 본고는 이를 여성의 문식을 긍정하는 태도와 문제적 남성 시각에 대한 비판적 시각, 그리고 여성 취향에 대한 옹호적 입장으로 분류해 살피고 의미를 논의했다. 조선 후기 사대부 여성은 소설의 주요 독자로 떠오른다. 소설은 이들을 의식하며 쓰일 수밖에 없었으며 여성에 대한 인식 역시 의식적으로 담았다. 이때 여성에 대한 인식은 사대부가의 보수적 성향을 반영하는 경우가 많으나, 『文章風流』에서는 제한적이나마 차별화된 인식이 나타났다. 여성의 詩詞를 긍정적으로 인정했으며 외모를 중시하는 남성의 異性觀에 비판적으로 접근했다. 그리고 여성의 욕망을 반영해 혼인 적령기의 여인 간에 지기를 맺도록 했다. 이러한 내용은 士大夫家의 인식과 다른, 여성에 대한 차별화된 인식을 보여준다. This article discusses the historical meaning of MunJangFungRu. Though MunJangFungRu is a family novel, it was modified by succeeding forms of former generations. In the center of this change lies 'women.' In the plot organization, the problem concerning the heredity of family tradition centered on the daughter-in-law. At the critical moment when the family custom that had been established through familial writing was about to be defamed by a third-generation offspring, a virtuous woman was brought in as daughter-in-law to stabilize that custom. SoWon attaches himself to the beauty and admits breakage in the family tradition. The incident is resolved by the assistance of wise ladies Ms. Yeo and Ms. Tu. Also, the work satisfied social desire by incorporating scenes in which women forms appreciative friendship and stay out overnight. The critical point that lengthily describes the overnight stay also satisfied feminine taste. In a technical perspective, MunJangFungRu contains both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comparison with the family novel.

      • KCI등재

        중년여성의 평생학습 참여가 주관적인 삶의 질 인식에 미치는 영향

        안은미(An, Eun-mi),허정무(Hurh, Jeong-moo) 한국노년교육학회 2015 노년교육연구 Vol.1 No.1

        In this study, by searching for them on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impact of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middle-aged woman, was presented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women's lifelong learning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women on the basis of subjective results. This study will vary by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lifelong learning satisfaction, and subjective quality of life, lifelong learning in a middle-aged woman, was determined by a process comprising causing the overload of interaction are influenced by these three factors. Extract affects the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women's subjective factors on the basis of hypothetic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model and the influence relationship was verified. The findings from the age of 40 participating in lifelong learning survey questionnaire appeared to target the middle-aged woman of 59 years results. First, most important the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women subjective determinants of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and lifelong learning satisfaction motivation, personal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lifelong learning through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motivation and lifelong learning satisfaction indirectly affect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women found that to give. This was the biggest impact on the lives of middle-aged women subjective factors directly affect lifelong participation motivation was followed by life-long learning experience. Showed that a larger influence of indirect rather than direct effects personal background characteristic factor. Second, to describe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of the indirect effects of relevant factors on subjective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women the proportion of large path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 lifelong learning satisfaction → subjective quality of life’of middle-aged women' path. Because it was,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is important in determining the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women,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lifelong learning satisfaction than personal background characteristic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based on the findings. First, need to run a program to develop a customized strategy and may consider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lifelong learning satisfaction differently motivated individual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middle-aged women, women targets in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This effort is being supported when such involvement leading to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motive and enhance the lifelong learning satisfaction level of middle-aged female students as subjective quality of life and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lifelong learning may increase. Second, it should be established and operated by the practice education program targeting middle-aged women in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support the positive strategies that can enhance the satisfaction oriented and activity-oriented learning grant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for middle-aged women. 이 연구에서는 중년여성의 평생학습 참여가 그들의 주관적인 삶의 질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중년여성의 주관적인 삶의 질 인식 제고를 위한 여성 평생학습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평생학습에 참여하고 있는 40세 부터 59세 까지의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분석한 결과, 중년여성의 주관적인 삶의 질 인식에 영향을 미 치는 가장 중요한 결정요인은 평생학습 참여동기와 평생학습 만족도이며, 개인배경특 성은 평생학습 참여동기와 평생학습 만족도를 거쳐 중년여성의 주관적인 삶의 질 인식 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접적으로 중년여성의 주관적인 삶의 질 인식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큰 요인은 평생학습 참여동기였으며, 그 다음으로 는 평생학습 만족도였다. 개인배경특성요인은 직접적인 영향보다는 간접적인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중년여성의 주관적인 삶의 질 인식에 대한 관련요인의 간접적 인 영향 중 주관적인 삶의 질 인식을 설명하는데 가장 비중이 큰 경로는 ‘개인배경특 성 → 평생학습 참여동기 → 중년여성의 주관적인 삶의 질 인식’ 경로였으므로, 개인 배경특성 보다는 평생학습 참여동기 및 평생학습 만족도가 중년여성의 주관적인 삶의 질 인식을 결정하는데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여 성대상 평생교육기관에서는 평생학습 참여동기와 평생학습 만족도가 중년여성들의 개 인배경특성변인별로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고려하여 고객맞춤형 전략을 수립하고 관련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중년여성을 대상 으로 하는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평생교육기관들은 학습지향적이고 활동지향적인 평생학습 참여동기를 부여해주고 만족도를 제고시킬 수 있는 적극적인 지원전략을 수립하고 실천할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김기림 시의 여성인식 변모양상 연구

        서안나(Seo, An-na) 한국비평문학회 2015 批評文學 Vol.- No.56

        김기림 시 세계에 나타나는 여성인식은 해방을 전후하여 급격한 변모 양상을 보이고 있다. 김기림이 해방 이전 시집에서 ‘신여성’을 부정적으로 인식한 반면, 해방 이후 시집에서는 ‘신여성’이 ‘어머니’나 ‘누님’으로 변주되어 긍정적으로 전회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해방 전후 김기림 시에 나타나는 급격한 여성인식 전회가 김기림 개인적 측면의 시적 인식을 넘어서서 당대 지배 이데올로기의 전유에 있다는 점을 밝히는 데 있다. 김기림은 해방 이전 시집에서 ‘신여성’은 성 역할이 고정된 현모양처의 대척점에 세워져, 근대적 여성주체가 아닌 근대화라는 남성적 지배 담론에 타자로 주변화한다. 김기림의 시에서 ‘신여성’은 미숙하고 열등하며 서구 근대화의 부정적 상징인 소비주체인 동시에 더 나아가 성적 욕망의 대상으로 기호화한다. 이러한 김기림의 여성인식은 곧 당대 식민 지배이데올로기에 의해 구성된 담론이며, 일제의 정치 메커니즘이 1930년대 조선 식민지 지식인의 내면화된 결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해방 후 김기림 시에 등장하는 여성은 해방 전 ‘신여성’과 달리 새로운 조선 건설이라는 시대의 요구에 부응하여 국가재건의 노동력 주체로 변주되고 있다. 국가 재건을 최우선의 목표로 삼는 시대의 요구에 여성은 새롭게 건설될 “自由로운 朝鮮”을 위해 지혜를 짜내고, 민족 전체와 일체감을 지녀야 하는 존재로 “우리”라는 공동체의 일원으로 포획된 존재라 할 수 있다. 즉, 김기림 시에 나타나는 급격한 여성인식 전회는 국가 재건을 최우선의 목표로 삼는 당대 지배 이데올로기 전유에 있다는 점이다. 김기림의 시집『기상도』(1936)와 『태양의 풍속』(1939)에 나타난 타자화된 신여성이 일제 식민 지배 이데올로기 내면화의 결과로 구성된 개념이라면, 해방 후 발간된 『바다와 나비』(1946)에 나타난 여성상 역시 “새나라 건설”이라는 국가 재건을 위한 노동력 주체로 부각되고 있다는 공통점을 추출할 수 있다. 이는 김기림 시에 나타나는 여성인식 변모가 곧 당대 지배이데올로기 담론에 순응한 결과임을 알 수 있다. 김기림 시에 나타나는 여성인식을 통해 ‘신여성’이 만들어진 담론이며 김기림의 시에 나타나는 여성인식의 변모 또한 작가 내면의 필연성에 따른 의지라기보다 시대 상황이 요구하는 시대적 지배 이데올로기에 부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recognition of the women in Kim Gi Rim"s poetic world shows a drastic change before and after liberation. In his collection of poems before liberation, while he has a negative recognition of new women, he holds a positively changing recognition by metaphorically expressing Mother or Elder Sister as Joseon or the nation after libe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at new women are a formed discourse and his drastically changing recognition of the women before and after liberation exclusively possesses the ruling ideology of the times beyond his personal recognition. He takes new women as an immature and inferior being against a good wife and wise mother in his poems before liberation. In his poems, new women are an immature and inferior being, a negative symbol of the modernization in the West as a main consumption agent and an object of sexual desire. It is shown that his recognition of the women is the result of the Japanese political mechanism internalized to an intellectual in the colony of Joseon in the 1930’s. And new women?’s concern with appearance and consumption-orientation is negatively denigrated to differentiate from old women. But after liberation his poems show a positive recognition of the women. They are changed into ‘Mother’ or ‘Elder Sister’. It is emphasized that they are new women who are a source of labor power, make an effort to build a new ‘freed Joseon’ and have a sense of unity with the whole nation. The dramatic change in the recognition of the women in his poems exclusively possesses the ruling ideology of the times preferentially aiming at the reconstruction of the nation, whereas after liberation ‘new women’ appear as main agents of labor power to rebuild the nation by meeting the needs of the times, i.e. the construction of a new Joseon. In accordance with the needs of the times which give priority to the reconstruction of the nation, the role of the women is emphasized as a main agent along with the men. In his poems, while the negative recognition of new women before liberation is the result of the internalized colonial ruling ideology, it is shown that the positive image of the women after liberation is also the result of adapting to the discourse on the ruling ideology of the construction of the new nation. In his poetic world before liberation, while new women in the poetical works of The Meteorological Chart and The Sun"s Custom represent the concept constituted by the ruling ideology of Japanese colonialism, new women in the poetical works of The Sea and the Butterfly (1946) published after liberation stand out as a main agent of labor power to rebuild the nation. New women are a discourse formed through the recognition of the women in his poems. And it is also shown that the change in the recognition of women accords with the ruling ideology of the times rather than the will by the necessity of the poet"s inner side.

      • KCI등재

        공간 인식과 여성에 대한 폭력 - 하성란 · 조경란의 소설을 중심으로 -

        유진아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9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85 No.-

        The study in terms of feminist geography and aimed at to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violence against women. For this purpose, in Cho Kyung-ran’s novel “The French Optical Shop,” “As Strange as Heaven” and Ha Sung-ran’s novel “The Bad Dream” and “The Baby Fingers,” I analyzed the gendering implications of the space where female violence occurs, and looked at how the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the space caused by the gender relate to violence against women. Space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social spatiality where are condensed various social relationships, including genders, classes, and races, and this makes it political and ideological.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the space is not just a difference of experience, but the difference in political and ideological components inherent in the society. For this reason, it is an important task of our time to focus on the political nature and ideology of society through the phenomena that took place there, rather than simply looking at space as a physical construct. First, I looked at the workplace to reveal the relevance of violence women to the gender implication. Next, I looked at the taxi which is public space along with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space. Finally, I looked at home, which was generally perceived as a place of protection, a place of comfort, through a difference between genders in spatial understanding. Due to hierarchical order in the public domain, we could find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the workplace. This difference in perception also contributes to violence against women, which has been perpetrated mainly by those who do not consider women to be coworkers and think of women as sexual objects. Nextly, public space can be a place of fear and fear for women, unlike men who freely use public places and enjoy freedom of passage. The fear and anxiety felt by women taking late-night taxis was created by women’s prior experience, which showed that events in society were perceived as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s for women, making a difference in perception of public space. And we can see that violence in the public space is also the root of our society’s wrong sense of sexuality, which sees women as sexual objects. Finally, the domestic violence against women makes them realize that home is never a safe place and rather a place of violence. Violence against women in home occurred mostly in the absence of male guardians, in which case, the absence of guardians means the public use of possession to intruders. Just as the perception of space can be approached as a matter of violence against women, violence against women can reduce violence against women from a more fundamental problem. 이 연구에서는 젠더 지리학의 관점에서 공간과 여성 폭력의 상관성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조경란의 단편소설 「불란서 안경원」, 「천국처럼 낯선」과 하성란의 단편소설 「악몽」, 「새끼손가락」에서 여성에 대한 폭력이 발생하는 공간의 젠더 함의를 분석하고, 공간에 대한 이해의 차이가 여성에 대한 폭력과 어떤 연관성을 가지는가를 살펴보았다. 공간은 젠더와 계급 등의 다양한 사회관계가 응축되어 나타나는 사회 공간으로서의 성격을 지니며, 이로 인해 정치와 이데올로기의 영향을 받는다. 공간에 대한 젠더 인식의 차이는 단순한 경험만의 차이가 아니며 그 사회에 내재된 정치적이며 이데올로기적 구성물의 차이가 원인으로 작용한다. 이런 이유로 공간을 단순히 물리적인 구성물로서 보는 것이 아닌 그곳에서 일어난 현상들을 통해 사회의 정치성과 이데올로기를 밝히는 것이 우리시대의 중요한 과제이다. 여성에 대한 폭력이 발생하는 공간의 젠더 함의와 여성에 대한 폭력의 연관성을 밝히기 위해 먼저, 직장이라는 공간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공공의 공간인 택시에서 발생하는 여성에 대한 폭력을 공간 인식에 대한 젠더 차이와 함께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일반적으로 보호의 공간, 편안한 공간으로 인식되던 집에서 발생하는 여성에 대한 폭력을 공간 이해에 대한 젠더 차이를 통해 알아보았다. 공적 영역에서의 위계화 된 질서로 인해 직장이라는 공간의 인식에서 젠더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인식의 차이는 여성 폭력의 원인이 되기도 하는데, 이는 주로 여성을 동료라고 생각하지 않고 여성을 성적 대상으로 생각하는 이들에 의해 여성에 대한 폭력이 행해졌다. 이러한 기저에는 남성중심의 이데올로기가 작동함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공공의 공간에 대한 인식의 젠더 차이는 자유롭게 공공장소를 이용하고 통행의 자유를 누리는 남성과는 달리 공공장소는 여성에게는 두려움과 공포의 장소가 되기도 한다. 밤늦은 시간 택시를 타는 여성이 느끼는 공포와 불안은 여성의 선험적 경험에 의해 생성된 것으로, 사회 사건들이 여성들에게 직·간접경험으로 인식되어 공공의 공간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만든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공공의 공간에서 발생하는 폭력 또한 여성을 성적 대상으로 보는 우리 사회의 그릇된 성의식이 근원에 자리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여성이 자신의 집에서 성폭력을 당하는 사건은 여성으로 하여금 집이라는 공간이 결코 안전한 곳이 아니며 오히려 또 다른 폭력의 장소임을 인식하게 한다. 집이라는 공간에서 발생하는 여성 폭력은 대부분 남성 보호자가 부재한 상황에서 일어났으며, 이 경우 보호자의 부재는 침입자에게는 곧 소유의 공용을 의미하기도 한다. 공간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여성에 대한 폭력의 문제로 접근할 수 있는 것처럼 여성에 대한 폭력은 보다 더 근원적인 문제에서부터 접근할 때야 비로소 여성에 대한 폭력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김기림 시의 여성인식 변모양상 연구

        서안나 한국비평문학회 2015 批評文學 Vol.- No.56

        김기림 시 세계에 나타나는 여성인식은 해방을 전후하여 급격한 변모 양상을 보이고 있다. 김기림이 해방 이전 시집에서 ‘신여성’을 부정적으로 인식한 반면, 해방 이후 시집에서는 ‘신여성’이 ‘어머니’나 ‘누님’으로 변주되어 긍정적으로 전회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해방 전후 김기림 시에 나타나는 급격한 여성인식 전회가 김기림 개인적 측면의 시적 인식을 넘어서서 당대 지배 이데올로기의 전유에 있다는 점을 밝히는 데 있다. 김기림은 해방 이전 시집에서 ‘신여성’은 성 역할이 고정된 현모양처의 대척점에 세워져, 근대적 여성주체가 아닌 근대화라는 남성적 지배 담론에 타자로 주변화한다. 김기림의 시에서 ‘신여성’은 미숙하고 열등하며 서구 근대화의 부정적 상징인 소비주체인 동시에 더 나아가 성적 욕망의 대상으로 기호화한다. 이러한 김기림의 여성인식은 곧 당대 식민 지배이데올로기에 의해 구성된 담론이며, 일제의 정치 메커니즘이 1930년대 조선 식민지 지식인의 내면화된 결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해방 후 김기림 시에 등장하는 여성은 해방 전 ‘신여성’과 달리 새로운 조선 건설이라는 시대의 요구에 부응하여 국가재건의 노동력 주체로 변주되고 있다. 국가 재건을 최우선의 목표로 삼는 시대의 요구에 여성은 새롭게 건설될 “自由로운 朝鮮”을 위해 지혜를 짜내고, 민족 전체와 일체감을 지녀야 하는 존재로 “우리”라는 공동체의 일원으로 포획된 존재라 할 수 있다. 즉, 김기림 시에 나타나는 급격한 여성인식 전회는 국가 재건을 최우선의 목표로 삼는 당대 지배 이데올로기 전유에 있다는 점이다. 김기림의 시집 『기상도』(1936)와 『태양의 풍속』(1939)에 나타난 타자화 된 신여성이 일제 식민 지배 이데올로기 내면화의 결과로 구성된 개념이라면, 해방 후 발간된 『바다와 나비』(1946)에 나타난 여성상 역시 “새나라 건설”이라는 국가 재건을 위한 노동력 주체로 부각되고 있다는 공통점을 추출할 수 있다. 이는 김기림 시에 나타나는 여성인식 변모가 곧 당대 지배이데올로기 담론에 순응한 결과임을 알 수 있다. 김기림 시에 나타나는 여성인식을 통해 ‘신여성’이 만들어진 담론이며 김기림의 시에 나타나는 여성인식의 변모 또한 작가 내면의 필연성에 따른 의지라기보다 시대 상황이 요구하는 시대적 지배 이데올로기에 부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recognition of the women in Kim Gi Rim's poetic world shows a drastic change before and after liberation. In his collection of poems before liberation, while he has a negative recognition of new women, he holds a positively changing recognition by metaphorically expressing Mother or Elder Sister as Joseon or the nation after libe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at new women are a formed discourse and his drastically changing recognition of the women before and after liberation exclusively possesses the ruling ideology of the times beyond his personal recognition. He takes new women as an immature and inferior being against a good wife and wise mother in his poems before liberation. In his poems, new women are an immature and inferior being, a negative symbol of the modernization in the West as a main consumption agent and an object of sexual desire. It is shown that his recognition of the women is the result of the Japanese political mechanism internalized to an intellectual in the colony of Joseon in the 1930’s. And new women’s concern with appearance and consumption―orientation is negatively denigrated to differentiate from old women. But after liberation his poems show a positive recognition of the women. They are changed into ‘Mother’ or ‘Elder Sister’. It is emphasized that they are new women who are a source of labor power, make an effort to build a new ‘freed Joseon’ and have a sense of unity with the whole nation. The dramatic change in the recognition of the women in his poems exclusively possesses the ruling ideology of the times preferentially aiming at the reconstruction of the nation, whereas after liberation ‘new women’ appear as main agents of labor power to rebuild the nation by meeting the needs of the times, i.e. the construction of a new Joseon. In accordance with the needs of the times which give priority to the reconstruction of the nation, the role of the women is emphasized as a main agent along with the men. In his poems, while the negative recognition of new women before liberation is the result of the internalized colonial ruling ideology, it is shown that the positive image of the women after liberation is also the result of adapting to the discourse on the ruling ideology of the construction of the new nation. In his poetic world before liberation, while new women in the poetical works of The Meteorological Chart and The Sun's Custom represent the concept constituted by the ruling ideology of Japanese colonialism, new women in the poetical works of The Sea and the Butterfly (1946) published after liberation stand out as a main agent of labor power to rebuild the nation. New women are a discourse formed through the recognition of the women in his poems. And it is also shown that the change in the recognition of women accords with the ruling ideology of the times rather than the will by the necessity of the poet's inner side.

      • KCI등재

        조선후기 유학자의 여성인식 : 다산 정약용의 가(家)의식을 중심으로

        박미해 東洋社會思想學會 2014 사회사상과 문화 Vol.29 No.-

        조선후기 다산 정약용의 여성인식을 살펴본 이 연구는 다산이 부인, 형수와 서 모에 대해서는 존경과 감사를 표현한 반면에 며느리에 대해서는 가문을 이어갈 책임감을 내비치며 엄격한 경계를 보이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자신의 집안 손아 래 여성들에게 보이는 다산의 다소 엄격한 여성인식은 집안의 중흥에 대한 책임 과 기대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보인다. 즉, 며느리들에게는 집안 웃어른들의 희생 과 내조를 본보기로 삼아서 친족 간의 화합을 도모하는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다산과 남성 유학자들과의 공통점은 여전히 가(家)에 구속된 남성의 여성인식 이라는 것을 지적할 수 있다. 이것은 17세기 송시열 등의 주자학자들이 가졌던 가부장적 가의식과도 맥을 같이 하고, 가문(家門)을 중심으로 한 확고한 목표의식 을 갖고 가문을 이어갈 며느리에 대해서 엄격했던 점은 동시대의 이덕무 등과도 공유하는 점이며, 현대 여성학자들이 여성의 도구적 역할이라고 지목하는 지점과 맞닿아 있다. 이러한 가부장적 사고는 17세기 이후 강화되는 주자성리학이 부계 위주의 가(家)의 이념을 강화시켜서 나타나는 유가(儒家)의 여성인식이다. 이전 시기 유학자들과 다른 점은 여성을 사회적 약자로 인식하며, 집안에서는 자기주도적인 가장의 역할을 실천하려고 노력하였다는 점이다. 다산은 여성의 성 품이 치우친 면을 인식하였으나, 여성을 무조건적으로 비하하지 않았으며, 하층여 성들의 의견을 경청하고 때로는 존경하는 마음을 표현하였다. 다산은 여성의 역 할을 남성 가장과의 상보적인 관계로 설정하였으나 남성의 역할을 더 무겁게 설 정하고 아버지와 남편의 역할을 실천하려고 노력하였다. 다산의 여성인식은 비록 근대적 양성평등에는 못 미치지만, 부부의 상호성을 유념하고 실천하려고 한 유 학자의 사례로서 조선후기 가부장제에 시사하는 바가 있다. This article examined how by Jeong Yak Yong, a famous scholar in late-Choseon dynasty, recognized women. First of all, we examined how his wife, sister-in-law, step-mother, then daughter-in-law were recognized. Later, we examined how lower-class women who did not belong to his family -an old woman, former entertainer, maid, diver, and a blind person- was examined. Absolute supportive admiration went to Jeong's wife, his elder brother’s wife, and step-mother who contributed to the Jeong family’s survival. However, Jeong paid strict attention to his daughter-in-laws because he thought they were responsible for the next generation of the Jeong family. On the other hand, he showed very warm sympathy toward lower-class women who did not belong to his family. The way he recognized women was focused on his consciousness women's role to succeed his family, based on persistence and prosperity. Jeong recognized that women’s role in a family was important as a facilitator and mediator which can lead to harmonious relationship among kin. The similarity between Jeong and Confucian scholars of the 18th century is the fact that their recognition of women was based on the goal of succeeding the paternal lineage. However, Jeong was aware of the harmonious relations between the male leader and the female follower in governing the family and kin. Jeong did his best as a father and husband in practicing his role within a family. Therefore, unlike ideological Confucian scholars of the 17th century, Jeong not only stressed the harmonious relationship between the husband and wife, but also performed his role according to Confucian ethics. The case of Jeong cast the implication of late-Choseon patriarchy in the Yangban fami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