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제주여성결혼이민자들의 결혼이주, 딜레마와 적응

        염미경,김규리 지역사회학회 2008 지역사회학 Vol.9 No.2

        이 글은 결혼이주를 선택한 ‘외국인’ 여성, 특히 제주사회에 살고 있는 여성결혼이민자들과의 심층연접자료를 중심으로 하여 그들의 결혼이주 선택과정과 딜레마, 그리고 적응과정을 살펴보았다. 자료 수집은 2007년 7월부터 10월까지 이루어졌다. 제주외국인근로자센터(제주이주민센터)와 서귀포종합사회복지관이 운영하는 관련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을 중심으로 해 눈덩이표집방법에 의해 조사대상자를 선정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여성결혼이민자들이 가정에서 겪고 있는 어려움 가운데 가장 큰 문제로는 언어소통, 문화갈등, 법적, 제도적 문제, 경제적 사정, 자녀교육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언어차이로 인해 가정에서 일상적인 의사소통문제가 있는 것은 물론, 시댁과의 갈등이나 제사나 예절 등 한국 혹은 제주문화를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고, 이들의 의사소통문제는 다시 자녀교육에서의 어려움으로 연결된다. 앞으로 여성결혼이민자들을 위한 지원프로그램의 확대와 내실화도 중요하지만 여성결혼이민자들의 가족, 즉 시댁과 지역사회 차원의 관심과 지원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여성결혼이민자들이 한국사회에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활동도 중요하지만 문화적 다양성과 상대 문화에 대한 존중차원에서 남편과 시부모 등 여성결혼이민자들의 가족이 그들의 가족성원이 된 여성결혼이민자들의 문화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프로그램이나 사업들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이때 지역사회의 각 장(場)을 중심으로 한 다문화교육이나 인권교육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In this article, we pay attention to this particular issue. We try to express the thought of the transition and life story of the 'foreign' women who opted for migration by marriage, in particular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who chose to live in Jeju society as well as their dilemma, discord and adjustments from their point of view. In this paper, we attempt to record some characteristics of the background of these 'foreign women' and some statements on their motive for moving and living in Jeju. In this article, we assume that the migration through international marriage is the best choice of 'foreign women' in their desire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and that their choice is an independent act. This includes their identity discord and the adjustments as well as cultural conflicts in their life as 'foreign women' who are adjusting themselves upon marrying into a culture new to them. This paper is an illumination of the lives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from Asia by retelling the story of their lives. Collection of oral data from July to October in 2007. Subjects of this investigation have been selected from a number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who participate in the programs operated by Jeju Migrant Workers' Center and Social Welfare Center of Seogwipo City. The sampling method used is snowball sampling. In selecting female marriage immigrants for oral data collection, we gathered those who were considering their migration course, their residency period, their hometown, and their possible Korean nationality acquisition, as well as presence of a child and a divorce experience. The paper shows how their interpretation of life has changed, the circumstances they dealt with, and their recognition of this situation.

      • KCI등재

        여성결혼이민자의 임금결정요인 분석: 중국, 중국(한국계), 베트남, 필리핀을 중심으로

        조선주,민현주 한국노동연구원 2017 노동정책연구 Vol.17 No.3

        This study examines the determinants of the wages among Asian female married immigrants from China, China_Korea, Vietnam and Philippines, using the ‘2015 National Survey on Multicultural Families.’ This study adopts the Heckman’s two stage model to correct the selection bias in regard to the labor supply, with a special attention to the effects of human capital, the proficiency at Korean language and the presence of the young child (ren) at home on the wages.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 first, educational attainments from the mother country are likely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entering the labor market, to be related to the wage rates among immigrant women. For immigrant women from mainland China, more educational attainments are likely to lower the probability of the labor market participation while those are likely to increase the wage for immigrant women from Korean-Chinese and Philippines. Second, immigrant married women are likely to get higher earnings as they attain better ability of listening, comprehending and writing Korean. Third, immigrant women from China and Chinese Korean women experience lower earnings as they stay longer in Korea. Fourth, the presence of preschool children at home aren’t likely to lower earnings for all the immigrant women. Finally, immigrant women experience higher earnings as their net family income (not including immigrant women’s own earnings) increases or decreases. 본 논문은 여성결혼이민자의 경제활동의 의의를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여성결혼이민자의 임금에 미치는 영향을「2015년 전국다문화실태조사」원자료를 사용하여 실증분석한 것이다. 헤크만의 2단계 추정모형을 이용하여 (1)여성결혼이민자의 인적자본이 좋을수록 경제활동참가 및 임금이 높을 것인지, (2) 여성결혼이민자의 자녀양육은 경제활동참가를 낮출 것인지, (3) 국가별로 결과에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인적자본 변수인 모국에서 취득한 학력은 여성결혼이민자의 경제활동참여 및 임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중국(한국계) 여성결혼이민자의 경우에는 학력이 경제활동참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중국(한국계), 필리핀 여성결혼이민자의 경우는 임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어 듣기, 읽기, 쓰기 능력은 여성결혼이민자의 임금에 각각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여성결혼이민자에게는 한국의 체류기간이 길지 않을수록 임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8세 이하의 자녀양육 여부는 중국, 중국(한국계), 베트남, 필리핀 여성결혼이민자 모두의 경제활동참여와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 순가구 소득 또한 국가별 여성결혼이민자의 개인임금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났다.

      • 충북 농촌여성결혼 이민자 지원방안

        김학실 忠北大學校 社會大 社會科學硏究所 2011 사회과학연구 Vol.28 No.2

        본 연구는 충청북도 농촌 여성결혼 이민자 정착 지원방안에 관한 것이다. 매년 충청북도는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에 대한 지원방안이 다양화 되고 있지 못한 가운데 사회적응 및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 여성결혼이민자들은 경제활동을 원하고 있으나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교육 프로그램은 주로 언어교육에 치중하고 있어 여성들의 요구를 반영하고 있지 못한다. 이런 점을 고려하여 충북지역에 거주하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의 경제활동욕구를 분석하고, 충청북도의 지원정책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정착 지원방안으로써 생애주기를 고려한 정부지원, 장기적 관점에서의 영농후계자로 양성하기 위한 방안마련, 교육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한 교육지원금 지원등과 같은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자녀 교육 능력 향상을 위한 여성결혼이민자 특별 교육 프로그램 설계

        박선옥(Park Sun-Ok),김하림(Kim Ha-Rim),최수현(Choi Soo-Hyu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인문과학연구 Vol.0 No.26

        이 연구는 다문화 가정 여성결혼이민자의 자녀 교육 상황을 살피고 여성결혼이민자가 자녀를 교육하는 데 겪는 어려움을 조사·분석하여 원활한 자녀 교육을 위한 부모로서 여성결혼이민자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는 데 목적을 둔다. 다문화 가정의 자녀가 학교 교육을 잘 받지 못하는 여러 원인 중 하나는 부모가 여성결혼이민자이기 때문이다. 부모로서 여성결혼이민자의 교육에 관한 연구는 비교적 최근에 이루어지고 있는데 그 내용은 주로 여성결혼이민자의 교육이 체계적이지 못하다거나 부모 교육이 필요하다는 정도를 언급하는 데 그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자녀 교육을 위한 여성결혼이민자의 부모 교육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 교육과정 설계를 위하여 먼저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요구 조사를 실시하고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설문 항목은 11개의 대항목에 대하여 총 55개의 세부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분석 결과 부모로서 역할에 대한 중요도는 모든 항목에서 평균 4점 이상의 응답률을 보였으며 자녀 교육 능력 향상 프로그램에 대한 필요도와 참여 의사 역시 모든 항목에서 평균 4점 이상의 응답률을 보였다. 이와 같은 설문조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부모로서 여성결혼이민자 특별 교육과정의 교육목적, 교육목표, 교육 내용 중 교수요목을 설계하였다. 부모로서 여성결혼이민자 특별 교육과정은 총 40시간(1일 2시간*주 2회*10주)으로 편성하며, 여성결혼이민자의 자녀 교육 능력 향상을 교육목적으로 한다. 교육목적 달성을 위한 교육목표는 첫째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능력을 향상시켜 자녀 교육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둘째 자녀 지도를 할 때 필요한 정보와 지도 방법을 익혀 자녀 교육을 잘 수행하도록 한다. 셋째는 자녀 교육의 주변 인물과 원만한 관계를 맺고 정보와 의견 교환을 원활히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도록 한다는 것이다. 교수요목은 ‘주제상황, 단원별 학습 목표, 기능, 어휘’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이 연구는 실제적 조사를 근간으로 여성결혼이민자의 자녀 교육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의 토대를 마련하여, 실제 교육기관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본 내용을 구축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다만 교재 구성과 교수방법론, 평가에 대한 논의는 다음 연구과제로 남겨 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ypes of problems married immigrant women have when they bring up children in Korea, and to promote the design of curriculum that will help them raise their children. One of the reasons that their children cannot have a good education is because immigrant women may lack specific resources on how to educate themselves and their children in Korea. Lately, there have been numerous studies of married immigrant women however, these studies have not inspired the design of curriculum intended to help the women raise their children. These studies have only shown how difficult it is for married immigrant women to rear children in Korea and consequently implied that a curriculum is necessar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lso to design the curriculum. At first, we surveyed and analyzed what kinds of abilities women need when they raise their children. A questionnaire we used consists of 50 questions which belong to 11 big articles. The survey found married immigrant women tend to think that conducting a mother's work is important and want to attend a class which teaches them how to raise their children well. We designed the education purpose, goals, and contents of the curriculum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The curriculum was conducted for 40 hours (one day for two hours at two times per week), and the purpose of the curriculum was to improve the ability to be a mother. The three goals were to improve their Korean ability to raise their children well, to offer information which is useful for raising their children and a method for teaching their children, and to improve their relationships with people to exchange information about raising their children. The syllabus is designed by the situations of a theme, unit, goal of studying, competence, and vocabulary. Each situation is made up of eight themes, such as teaching children, learning about the school system, understanding the subjects that children study, sending a school newsletter back to their school, helping with their children's homework, searching information on how to teach their children with the internet, visiting cultural places with their children, and participating in school events. The strength of this study is the fact that it has designed basic contents which are useful for married immigrant women according to a real survey. Furthermore, it can be designed in a real institution. This study just leaves the discussions on the study of a textbook, a teaching method, and assessment for the next study task.

      • 여성결혼이민자의 취업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지윤숙 동아대학교 동아시아연구원 2012 동아시아 : 비교와 전망 Vol.11 No.1

        본 논문은 다문화 가정의 여성결혼이민자들이 한국에 들어와 취업을 하는데 결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 즉 여성결혼이민자의 개인특성과 이들의 취업지원을 위해 각 지자체별로 운용하고 있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특성들이 이들의 취업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한 취업 효과성을 분석하는 데 있다. 현재까지 국내에 들어와 살고 있는 여성결혼이민자들에 관한 연구 동향을 살펴보면, 아직까지도 가정의 생계지원과 한국사회에서의 정착이라는 소극적인 복지 차원을 넘어서지 못하고 있음을 여실히 확인할 수 있다. 즉, 사회문화적 적응을 주제로 한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사회통합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가 대부분의 주류를 형성하고 있으나, 이들의 경제적 적응 맥락에서 논의하고 있는 사회통합 연구는 오히려 매우 희소한 실정이다. 특히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취업 창구라고 할 수 있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이용한 이들의 노동시장 진입과 노동시장에서의 취업 가능성에 관한 실증적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그러나 여성결혼이민자들의 한국사회 적응문제를 논의할 때는 보다 한 차원 높은 근원적인 문제들, 즉 취업이나 소득향상 등 경제적인 적응문제로의 전환이 시급하다. 왜냐하면 이들의 경제적인 안정성 문제는 그 세대에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빈곤의 다세대간 전이라고 하는 장기적인 문제로 악순환이 대물림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경제적 관심 촉구는 국가적·사회적으로 매우 필요하다. 특히 취업은 이들에게 단순한 생계유지를 위한 수단만이 아니라, 사회의 실질적인 구성원이 되도록 하는 발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더욱 중요하다. 또한 직업이 없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은 정부와 소속된 지역사회에 커다란 부담을 지우게 되고, 공정한 보수를 받지 못하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은 비슷한 기술능력을 가진 내국인들에게 임금의 걸림돌을 형성하게 된다는 점에서 이들의 취업이 사회통합을 이루는데 빠질 수 없는 필수적인 요소인 것이다. 따라서 여성결혼이민자들에 대한 취업 효과성 연구는 우리사회가 지향해야 하는 이들과의 사회통합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연구 분야이다. This study is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employment about decisive factors of employment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of multi-cultural family in Korea, which are, about their individualities and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for their employment supporting classified by districts. According to studies about female marriage immigrants living in Korea, it is just passive welfare that contains supporting livings and settlement in Korea so far. That is, although the mainstream of these studies are about the ways of their social and cultural adaptation and unity, it is very rare to discuss on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economically. Especially, there are only few studies about entering the labor market and getting employment by using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which are gateway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employment. However, when discuss adaptation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to Korean society, it has to deal with more fundamental issues, namely economical adaptation problems such as employment or improvement of income. Because the problem about securing their economical stability is not only matters just that generation, but also matters next generations with the vicious circle of poverty. Consequently, an economical interest in them is strongly required nationally and socially. Particularly, employment is necessary for them to join the social community as well as to keep their lives. Moreover, their employment is requisite for the social unity because unemployed female marriage immigrants are a burden to the government and their local community, also female marriage immigrants, who are paid unfairly make obstacles to wages of home workers who have similar abilities. In these reasons,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he employment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is essential research area for the social unity with people who go ahead with our community.

      • KCI등재

        여성결혼이민자 수기(手記)에 나타난 문화 변용 양상 연구

        박선옥(Sun-ok Park)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1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1

        한국 사회는 다문화사회가 되었다. 다문화가정, 다문화사회의 주요 구성원인 여성결혼이민자가 겪는 문화 변용 양상을 조사?분석하여 한국인들이 그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프로그램에 활용하는 것은 한국 사회가 건강하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발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여성결혼이민자가의 수기를 분석 대상으로 하여 문화 변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여성결혼이민자 수기는 여성결혼이민자가 자기를 표현 대상으로 하여 여성결혼이민자로서 겪은 경험을 바탕으로 자신의 느낌과의견을 자유로운 형식으로 표현한 글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문화 변용은 ‘문화 변용 과정’(1~3단계)과 ‘문화 변용 결과’(4단계)로 나눈다. 문화 변용 과정 1단계는 한국 문화에 대한 호기심, 흥미, 신비감을 느끼는 단계이다. 수기에 나타난 1단계 양상은 한국이 경제적으로 발달한 나라라는 데 호기심을 느끼고, 한국에서 자신의 꿈을 이룰 수 있거나 경제적으로 잘 살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을 보인다. 2단계는 자신의 문화와 차이로 인한 불안과 위기를 느끼고 고통을 겪는 단계이다. 수기에는 의사소통의 어려움, 시집살이에 대한 고충, 생활 문화나 음식 문화 차이로 인한 고통, 관혼상제 문화차이에 따른 불편함, 기후의 차이에 따른 고통, 경제적 어려움에 대한 고난과 갈등, 주변 사람들의 곱지 않은 시선과 사생활을 침해받는다는 고통 등으로 나타났다. 3단계는 불안과 위기, 고통이 완화되고 문화 차이를 이해하게 되는 단계이다. 수기에는 남편과 시댁가족의 사랑과 배려, 다문화가정지원센터의 도움이 있었지만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려는 자신의 의지가 있었다는 이야기가 나타나있다. 마지막 4단계는 자신의 문화와 새로운 문화에 대한 태도가 ‘통합(intergration)’, ‘동화(assimilation)’ 또는 ‘분리(separation)’, ‘주변화(marginalization)’로 귀결되는 것이다. 대부분의 수기에 나타나는 문화 변용 결과는 ‘통합’과 ‘동화’이다. 여성결혼이민자 수기에는 이민자인 자신이 한국에 이주하여 다문화가족의 구성원으로서 살아가며 겪은 경험과 사연, 애환 및 느낀점이 잘 나타나 있다. 여성결혼이민자가 그들의 입장에서 사실적으로 진술한 수기를 통해 한국 문화 변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Korea became a multi-cultural society. Married immigrant women who are the main members of the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are suffering the difficulties from the cultural differences and trying to get over them for living as Korean society members. In order to develop Korean society in the desired direction, we should study about married immigrant women’s acculturation. Also, the result of the study can be used for making Korean people understand about married immigrant women well and used for making the program for married immigrant women. Although interview or speaking can be used for studying about married immigrant women’s acculturation, this study looked at their handwriting. At first, we defined married immigrant women’s handwriting and looked at the features. Married immigrant women’s handwriting can be defined the writing which expresses their feelings and opinions and shows their experiences. Acculturation is divided to four steps. The first step to third step is the process of acculturation and the fourth step is the result of acculturation. The first step is that they feel interested, become curious. In their handwriting, it seems that they become curious about Korea’s economic development and expect they can make a dream in Korea. The second step is the suffering step. They feel anxiety and feel sense of crisis because of the cultual differences. In handwriting, there are many difficulties such as communication problem, cultural shock, nostalgia, uncomfortable feeling, different weather, different living life, different food, financial hardship, feeling hollow and other people’s prejudice. The third step is understanding step about the anxiousness, the crisis, and the cultural differences. On the other hand, there are also husband and his family member’s carrying and love to married immigrant women, Korean people’s consideration about them, the help from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and their willingness to overcome their problems. The last 4th step is that their attitude between their own culture and the new culture become integrations, assimilation, or separation, marginalization. The conclusion of acculturation is the integrations and the assimilation in their handwriting. Married immigrant women’s handwriting well shows their experience, story, sadness, and feeling through their living life in Korea. This study looks at the aspects of acculturation through married immigrant women’s handwriting which has their truth of their hearts.

      • KCI등재

        대만 결혼여성이민자 현황 및 워라밸에 관한 연구: 직무 스트레스, 직장내 괴롭힘, 직업 만족도 및 삶의 만족도를 중심으로

        김혜나,Yun-Hsiang Hsu 계명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22 국제학논총 Vol.35 No.-

        결혼여성이민자의 증가는 세계적인 흐름으로 대만에서도 주요한 사회 현상이 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에서는 이들을 전통적인 어머니, 며느리, 부인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대만에서 일하는 근로자로서 이들의 워라밸에 관한 논의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많은 결혼여성이민자들이 대만내에서 가정밖에서 고용되어 일을 하고 있으나 이들은 직무에서 받는 스트레스와 직장내 괴롭힘의 대상이 되기도 하며 일과 삶에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직무에서 오는 스트레스와 직장 내 괴롭힘은 결혼여성이민자들의 워라밸에 많은 장애를 주기에 이들의 직업 만족도와 삶의 만족도가 큰 영향을 받게 된다.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여 본 연구는 대만 결혼여성이민자들의 현황 및 워라밸에 영향을 주는 직장 내 괴롭힘, 직무 스트레스, 삶의 만족도, 직업 만족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대만 타오위안 정부의 협조를 받아 타오위안에 소재한 제조업체 공장에서 일하는 대만내 결혼여성이민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STATA 프로그램을 통하여 총 5개의 가설을 구조방정식(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이용하여 검증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결혼여성이민자들 직무 스트레스가 이들의 직무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며 결혼여성이민자들에 대한 직장 내 괴롭힘 역시 이들의 직무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며 결혼여성이민자들의 직업 만족도는 이들의 삶의 만족도에 긴밀한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밝혔다. 특히 직무만족도가 직무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 그리고 직장내 괴롭힘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를 매개한다는 사실을 증명하였다. 본 연구는 제조업체들이 결혼여성이민자들의 심리적인 면을 고려하여 직무 스트레스와 직장내 따돌림을 방지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하여 직무만족도를 향상시켜 그들의 삶의 만족도도 함께 증진시킬 것을 제안하였다. 특히 직장내에서 결혼여성이민자들을 대상으로 온보딩 프로그램 (Onboarding Program)을 실시할 때 직무 스트레스와 따돌림에 관하여 어떻게 대처하고 지원받을 수 있는지에 관한 내용을 포함시킬 것을 제언하였다. 이러한 대책이 구비되어야 이들의 워라밸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이들의 워라밸을 위해 정부, 제조업체, NGO간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강조하였다. 추후 싱가포르, 한국, 일본 등의 국가들과의 비교연구를 통하여 보다 심층적인 연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 구성 방안

        유해준(Hae-jun, Yoo)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1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0

        여성결혼이민자는 자녀들이 한 사회 내에 정착하고 타문화와 소통하며 시민성을 갖추도록 하는 부모 교육의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여성결혼이민자들은 스스로가 자녀들보다 먼저 다문화에 대한 이해와 그에 따른 능력을 갖추기를 원한다. 이는 사회의 안정성과도 직결된다. 즉,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은 당사자에 그치는 교육이 아니고 한국사회의 일원으로 성장하게 될 다문화 가정 자녀들에게도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교육이 되는 것이다. Banks(2007)는 ‘다문화 가정 자녀들의 문화가 학교의 문화와 다르며 사회가 가장 중시하는 주류문화와 다르기 때문에 그들에게는 적응에 필요한 공간과 시간이 필요하다’고 했다. 한국 사회에서도 여성결혼이민자들과 그들의 자녀들이 적응에 필요한 공간과 시간을 만들어 주는 다문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여성결혼이민자들을 위한 한국어 교육도 다문화 교육의 일환으로 그들에게 적응에 필요한 공간과 시간을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해야 한다. 하지만 아직까지 여성결혼이민자들에게 어떠한 방식으로 어느 범위까지의 한국어를 가르칠 것인지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고에서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의 한국어 교육에 대한 관심만큼 그들의 필요를 한국어 교육용 교재 안에서도 담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는 한국 사회에 적응하기 위해 제공되는 문화 요소와 언어 지식간의 연계 속에서 교육적 효용성을 설정할 수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Married female immigrants play the role of parent education so the children can settle within the society, communicate with other cultures, and be equipped with the citizenship. Therefore, married female immigrants desire to procure the ability to understand the multiculture first before their children. This is also directly linked to the social stability. In other words, the education targeting the married female immigrants does not end with the education for those people but it is an important education that will affect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who will grow into a member of the Korean society. Banks (2007) stated that “the culture of the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and the culture of the school are different and since it is also different from the mainstream culture which the society values the most, it is necessary for the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to have time and space to adapt”. It is also necessary to provide multicultural education which will create the space and time for the married female immigrants and their children to adapt to the Korean society. However, there are not many studies until now on how we will teach Korean to these married female immigrants and to which ext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whether the needs and interests of married female immigrant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contained in the Korean educational materials. This study will become a study set with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in the linkages between cultural elements and language knowledge provided for them to adapt to the Korean society.

      • KCI등재

        여성 결혼이민자 한국사회 정착화 과정 연구 : 정착 지원서비스 수요와 공급체계를 중심으로

        김규식,소진광 한국지역개발학회 2016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28 No.3

        이 연구는 최근 한국사회에 급증하는 이민자의 정착화 과정을 지원정책 수요와 공급 관점에서 검토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민자의 정착화 실태와 지원정책은 질적·양적연구를 병행하여 접근하였다. 조사대상은 경기도내 거주 여성결혼이민자로 한정하였고,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결혼이민자의 정착화 과정에서 가장 힘든 것은 한국어 문제이다. 둘째, 가장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는 차별·편견 해소이다. 셋째, 출신국별·연령대별 맞춤형 정책 및 지원 프로그램이 부족하다. 넷째, 지원정책 프로그램의 분야별 중요도와 문제점 정도는 한국어·한국문화 이해와 직업기술·취업지원이 각각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지원정책 개선방안을 제안하면 우선, 다양한 의사소통을 위한 한국 글과 말, 한국문화를 연계한 종합적인 언어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주류사회의 여성결혼이민자와 2세 자녀들에 대한 차별의식과 편견을 철폐하기 위한 이민자사회의 해에 대한 교육 강화이다. 셋째, 출신국별·연령대별 맞춤형 정책 및 지원 프로그램의 확충이다. 넷째, 여성결혼이민자가 직접 경제활동, 즉 창업과 취업 등에 참여하는 제2의 사회화 지원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supply and demand of policies for supporting the settlement of female immigrants by marriage, who have been increasing in Korean society, and present improvement measures. For this, this study employs mixed research methods in which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es complement one another. As a result of analyzing female immigrants by marriage living in Gyeonggi-do, difficulties during the settlement process included the Korean language, which was the most difficult issue. Second, the number one priority issue to be resolved is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Third, there are insufficient policies customized by country, age and support programs. Fourth, the most significant and problematic issue of support policies and programs of each sector was learning Korean language and culture, and approaching to job technology and employment support,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questionnaire survey to public officials concerned with settlement service in local governments in Gyeonggi–do, shows somewhat different results. On the supply side of settlement service for female immigrants by marriage, those services such as children’s education especially Korean language teaching service, customized service by country and age, teaching service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mitigating couple’s conflicts service are prior to. This gap between the demand and supply in supporting service for female immigrants by marriage can be geared with policy improvements for female immigrants by marri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