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화와 실재의 아포리아 : 미르체아 엘리아데의 소설 『이반(Ivan)』, 『도랑(Sanţurile)』에서의 이중테마

        한성숙(Seong Suk Han)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21 동유럽발칸연구 Vol.45 No.2

        미르체아 엘리아데(1907~1986)에게 글쓰기는 역사적 시간으로부터 탈출하는 것이고 실재를 인식하는 작업이기도 하다. 1960~70년대는 엘리아데의 과거 정치적 행적에 대해 사방에서 정치적으로 공격을 받았을 때였다. 엘리아데는 루마니아 과거의 상처를 안은 채 역사의 지평을 넘어 실재를 찾아내는 데에 열중하였다. 정치적인 관심은 문학으로의 관심으로 전환되어 그는 수많은 환상소설을 쓰면서 문학가의 삶을 살았다. 엘리아데는 자신의 글쓰기 안에서 위장된 환상이 현대인들에게 보이지 않는 것에 대한 감식력을 회복시켜 준다고 믿고, 서구사상의 ‘경험과 이성’의 틀이나 현상, 분석이 아닌 세계문화 저변에 깔린 근본적인 것에 관심을 두었다. 엘리아데의 소설 <이반>과 <도랑>에서는 공통으로 역사적 공간과 꿈속의 공간이 겹쳐지고, 독자들이 실제인지 꿈인지 모호한 세계의 언어를 해독하게 함으로써 그들에게 역사 속 ‘열려’있는 신화적 세계로의 진입을 유도한다. 이 두 소설에 공통으로 나오는 공간적 배경은 바로 전쟁터이다. 전쟁터는 삶과 죽음이 공존하는 공간이며 실재한다. 엘리아데의 문학에서는 주로 자신의 조국인 루마니아라는 공간과 지극히 평범한 인물이 등장한다. 그 평범한 인물이 겪는 공간은 다른 곳과 구별된 자신만의 중심이 되고, 그 중심은 루마니아의 미오리짜 공간이 된다. 엘리아데 소설의 비밀을 밝혀내는 것은 이러한 인간의 경험 안에서 초월적인 것의 현존을 확인하는 것으로 일상 속에서 초월적인 것과 초역사적인 것의 현존을 드러내는 작업과 상응하고, 꿈속에서 경험을 실재와 연결한다. 이 작업은 그저 평범하게 문서를 읽어내는 것이 아닌 엘리아데가 말하는 창조적 해석학으로 세속적인 일상에 전면적으로 대항하고 있는 그의 목표이기도 하다. 역사적인 공간에서 인간의 행위는 초월적인 것의 현존을 확인하게 되고, 이것은 ‘무의식’의 거대한 총체 안에서 초의식적인 것을 분리하는 행위가 된다. 그러면 일상적인 것 안에서 가치를 획득하고, 실재가 된다. 엘리아데의 책 <신화와 현실>에서 보면 시간의 지배에 압도당하고 자신의 역사성에 사로잡힌 현대인들은 현 세계의 광대함 속에서 새로운 차원을 획득함으로써 세계를 향해 ‘자기를 여는’ 노력을 해야 한다. 참된 역사학적인 회상이 바로 인간이 문화적 행동 유형을 설립했던, 그 원시적인 시간으로 돌아가게 한다. For Mircea Eliade (1907~1986), writing is an escape from historical time and a work of recognizing Existence. The 1960~70s were a time when Eliade’s past political actions were politically attacked from all sides. He turned his interest into literature and lived as a writer by wring many fantasy novels. He believed that his contemporaries would recover their discernment through covered fantasy in his Romanian works. He was interested in fundamental thing of universal culture abandoning the frame of western european experience and reason. In Eliade’s novels Ivan and The Ditches, the historical space and the dream space are overlapped in common, and Eliade induces readers to enter into ‘open’ mythical world by letting them to interpret the language of vague area. The spatial background common to these two novels is the battlefield. The battlefield is a space where life and death coexist, and it is real. In Eliade’s literature are mainly the space of Romania, which is his own country, and extremely ordinary characters. And the space in which the ordinary character exists becomes his own center, distinct from other places, and the center becomes a sacred place. To disclose the secret of Eliade’s fantasy novel is to confirm the being beyond world and history in our experience and realize the happenings in dreams. He aims to contradict daily routine by creative interpretation by refusing to read documents plainly. So he complicates events by positioning sub-texts which can’t be accessed by one paragraph. This work is not just an ordinary reading of documents, but also his goal, which Eliade speaks of creative hermeneutics, who is totally opposed to secular daily life. Man shapes himself through due initial trials of the subconscious or those of the conscious. Human behavior perceive the existence of the transcendence in historical space, and Eliade calls it the separating of the superconscious. Eliade’s work Myth and Reality urges modern man who is pressed under time and preoccupied by his history to be opened to new world by acquiring new level. Like Eliade who said that creation can resist the ‘terror of history’, through creation we can reach new human being type in Mioritic Space and daily routine extends to everlasting moments.

      • KCI등재

        엘리아데 문학의 토포스 “까메라 삼보(Camera Sambô)” 연구

        한성숙 세계문학비교학회 2017 世界文學比較硏究 Vol.6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opos of Mircea Eliade's (1907-1986) literature and principle of creation, so that we can acquire the universality of Mircea Eliade's literature and understand his value system. As a young child, Mircea Eliade had a mysterious experience about a room. This leads to man's real experience by discovering a mystery in one's memory. For Mircea Eliade, a room is a link that can communicate between man and divine things. The very link is enacted in ‘Camera Sambô' which is man's personal universe and 'Mansarda(Attic)' where he worked as his office. By revealing man's own existence, as the source of Eliade's literature, these two spaces enrich the world. A space seems 'familiar' to man is opened to another world. Universal value makes man step out of their subjective circumstance and gives man an objective value of their personal experiences. Eventually, reaching to an objective world means man is getting closer to a prototype, and it gives an open view of the sacred. Camera Sambô is the meaning of the beginning of all the creation that transforms into possibilities. The room becomes a unique personal thing with a paradisiacal point of view, also it represents humanity which can be recognized by overall prototype mind of Jung, Carl Gustav. It is always the revelation of existence: it is an encounter with a thing that saves man by attaching meaning to the existence of man. Sambô is a person's own paradise, also it means a beginning of all creation turns into possibilities. This existential experience allows man to have an illusion, and it is the source of his writing principle that covers all the true meanings of mankind overall Eliade's literature. For Eliade as a religious scholar and a novelist, both religion and literature are connected to the creation of the new world, and through the literary creation, he recovers meaningful existential human values by presenting shows unsuspected things to people who has never experienced Sambô. In the other words, to Eliade, an artist is understood as a creator who goes beyond the concept of time and space. Therefore, a creator must interpret the scared and, ultimately, has responsible for transforming people. 본 논문은 미르체아 엘리아데(1907-1986) 문학의 토포스(topos)를 발견하고 창작원리를 밝혀 엘리아데 문학의 보편성을 획득하고 세계에 대한 엘리아데의 가치체계를 이해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엘리아데는 유년기에 어느 한 방에 대한 미스터리한 경험을 한다. 이것은 곧 인간의 기억 속에서 존재하는 신비함을 발견할 수 있는 인간의 실재적 경험으로 이어진다. 엘리아데에게 있어서 ‘방’이라는 공간은 인간과 성스러운 것 사이에 교통할 수 있는 매개체이다. 그 매개체는 바로 그의 작업실 ‘다락방’과 인간의 개인적 우주라고 할 수 있는 ‘까메라 삼보 * 이 논문은 2015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5S1A5B5A07042277) 본 연구에서는 엘리아데 소설 속에 나온 ‘까메라 삼보(Camera Sambô)’ 라는 단어가 그의 문학 전체를 한정하는 집합 장소, 토포스로 정의하였기 때문에 그 의미를 축소시키지 않기 위해서, 삼보의 방으로 번역하여 쓰지 않고 원형 그대로 표기한다. 루마니아어에서 까메라(Camera)는 방이라는 뜻이며, ‘삼보’ 라는 단어는 살람보(Salammbô)라는 단어의 축약형으로 살람보에서 유래된 것으로 알려져있다. 살람보는 프랑스 소설가 귀스타프 플로베르(Gustave Flaubert)가 지은 역사소설의 제목으로 카르타고 용장(勇將) 하밀카르 바르카의 딸 이름이다. 소설에서 그녀는 적군의 수장 마토와 만나 사랑에 빠지지만 두 사람의 사랑은 비극으로 끝이 난다. ’에서 이루어진다. 이 두 공간은 엘리아데 학문의 근원지로써 인간 스스로의 존재를 밝혀 세상을 풍부하게 만든다. 인간에게 ‘친근하게’ 느껴지는 공간은 또 다른 세상을 향해 열려 있다. 이러한 공간의 우주적 가치는 인간으로 하여금 주관적인 상황에서 벗어나 자신의 개인적 경험의 객관적인 가치를 깨닫게 해준다. 객관적인 세계로의 접근은 결국 보편적인 것, 원형에 가까워진다는 것을 의미하고, 성스러움에 대한 열린 시각을 제공한다. 엘리아데에게 까메라 삼보는 개인 고유의 낙원이자 모든 창조가 가능성으로 변하는 시작을 의미한다. 이 실재적 경험은 엘리아데 문학 전체에 걸쳐 인간에 대한 진정한 가치를 획득하는 그의 글쓰기 원리의 근원이라 할 수 있다. 종교학자이면서 동시에 소설가인 엘리아데에게 문학은 종교 현상의 의미를 회복을 의미하며, 문학적 창조를 통해 ‘삼보’를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인간에게 보편적이고 모범적인 진실을 일깨워줌으로써 인간의 본질적 가치를 발견하게 한다.

      • KCI등재

        엘리아데와 환상 : 초기 엘리아데 환상문학을 중심으로

        한성숙(Han, SeongSuk)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12 동유럽발칸연구 Vol.29 No.-

        지금까지 엘리아데의 연구는 대부분 종교 철학 분야로 국한되어 있었다. 그러나 엘리아데를 연구하는 데 있어서 그의 본질적인 문학세계를 이해하지 못한다면 하나만 알고 둘은 알지 못하는 격이 된다. 이에 본 연구는 종교학자로 알려진 세계적인 석학 미르체아 엘리아데의 문학을 소개하고 특히 그의 초기 환상문학의 특징과 그의 문학이 지닌 본질적인 부분을 밝히고자 한다. 엘리아데 초기 환상문학은 초현실적 요소가 개입하는 비의(秘儀)의 세계를 인식하고 우리 눈으로는 인지할 수 없지만 존재하는 이 세계에 위장된 또 다른 세계의 '폭로'로 그 의미가 확장된다. 문학은 종교와 마찬가지로 초자연적인 요소가 존재하는 공간 속에 인간의 실재 경험을 통해서 이루어지는데, 엘리아데에게 있어서 그 실재 경험은 루마니아 민속과 인도의 신비로움의 환상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환상'은 속(俗)의 반대 개념인 성스러움(聖)의 의미로 초경험적 대상을 포함한 주체의 통일을 실현하는 경험이라 할 수 있다. 엘리아데는 소설 속에서 '환상'을 통한 위장(camuflaj)된 성스러움과 그 위장 안에서 인간 조건의 상징적 의미를 표현하려고 애썼다. 왜냐하면 초역사적인 것은 항상 역사적인 것 속에, 초일상적인 것은 일상적인것 안에 감추어진 채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엘리아데의 확신에서 그의 환상 소설이 단지 도피주의가 아닌 '창조(creaţa)'의 의미로써 가치가 있는 것이다. Until now, most of the studies about Eliade have been limitedly related to his religious philosophy field. However, in order to study Eliade entirely the study should be preceded by an essential understanding of his literary world. Accordingly I would like to introduce Eliade, known as the world's leading religious scholar, and his fantasy literature, especially to explain the literary features and the values in his literature. In Eliade's early fantasy literature, it is recognized a magic world where surrealistic element appear, and it is expanded into another parallel world that our eyes can not perceive and which is camouflaged in this world. As religion, literature is represented through the experience of humankind in this world where the supernatural elements exist. This experience could be called a 'fantasy' like in Rumanian folklore or mysticism in Indian conception. However, the term 'fantasy' has a meaning of sacred as opposed to profane, and it could be mentioned that through experience the unification of subject including the super-empirical object is realized. Eliade always tried to camouflage the fantastic within ordinary daily life in his literature. Moreover, he made efforts to express the symbolic meaning of human condition in this camouflage, because he believed that trans-history is always camouflaged in history, and the extra-ordinary in ordinary. Eliade strongly believed that his fantastic literature is not just a escapism but is as valuable as a 'creation'. Although most of the studies about Eliade are biased more on religious ideas, I hope you can discover in this paper precisely the objective conception through the study of his fantastic literature.

      • KCI등재

        미르치아 엘리아데 : 상상력의 종교학적 깊이

        송태현(Song Tae-hyeon),진형준(Chin Hyung-joon) 대한철학회 2006 哲學硏究 Vol.98 No.-

        본 논문에서 우리는 미르치아 엘리아데(Mircea Eliade, 1907-1986)의 종교학 사상이 상상력 이론에 기여한 바를 고찰하고자 한다. 엘리아데는 인간이 본질적으로 ‘종교적인 존재(homo religiosus)’, 즉 불가피하게 종교적일 수밖에 없는 존재라고 보았다. 종교성을 상실하는 것은 곧 인간성을 상실하는 것과 마찬가지라는 것이다. 현대인의 질병과 현대 사회의 위기는 근본적으로 인간이 종교성을 상실하여 탈성화(脫聖化, désacralisation)에 이르게 된 데 기인하는 것으로 엘리아데는 파악하였다. 엘리아데에 따르면 속화된 인간이 호모 렐리기오수스의 계승자라는 것이다. 종교사학자이자 작가이기도 한 미르치아 엘리아데는 종교적 구조와 문학 작품 간에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파악했다. 엘리아데는 이야기 만들어 내는 기능인 상상력이 인간에게 필수적임을 역설했다. 그리고 그는 이야기에 대한 욕구가 인간 조건의 구조를 형성한다고 말한다. 인간에게서 이야기를, 또한 그 이야기를 만들어내는 원천인 꿈과 상상력을 빼앗을 수는 없으며 인간에겐 내면에서 그리고 직관을 통해 솟아나는 이야기가 필요하다고 엘리아데는 주장한다. 엘리아데는 원래 신성한 이야기를 의미했던 신화가 점점 속화된 현상을 신화의 ‘타락’이라고 보긴 했지만, 그 신화의 타락을 ‘열매가 풍부한 타락(chute f?conde)’이라 불렀다. 신화는 신성한 이야기의 수준을 벗어나 속화 되면서 신화에 바탕을 둔 혹은 신화적 요소를 포함한 새로운 문학 작품을 창조해내기 때문이다. 신화의 ‘타락’을 통해, 비록 고유한 의미의 신화와는 강도(强度)가 다르긴 하지만, 문학 작품에는 여전히 ‘신화적 원형’ 혹은 ‘신화적 구조’가 존속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엘리아데의 상상력관은 특히 질베르 뒤랑을 비롯한 신화비평가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다.

      • 시베리아 샤머니즘인가, 아니면 엘리아데의 샤머니즘인가?

        양민종 培材大學校 社會科學硏究所 2007 自然科學論文集 Vol.17 No.1

        이 글의 목적은 엘리아데 샤머니즘이론이 시베리아샤머니즘 문화구조 해명에 부적절함을 지적하고, 대안적인 연구방법론을 제기하는 것이다. 우선, 서구연구자들 사이에서 전개되어온 샤머니즘개념에 대한 혼란스러운 이해의 양상들을 살펴본 뒤, 엘리아데 샤머니즘이론이 일종의 종교발생론과 관련된 구조주의적인 담론임을 설명하였다. 엘리아데의 샤머니즘이론 발표 이후 샤머니즘의 일반적인 개념이 이전보다 오히려 더 모호해지고, 시베리아샤머니즘연구가 범세계적인 샤머니즘연구의 일부분화 된 원인으로 엘리아데 샤머니즘이론의 연구대상이 시베리아샤머니즘세계의 전반적인 문화가 아닌 ‘샤먼’과 인간의 ‘영적인 기술’의 발현양상에 국한되었기 때문으로 설명하였다. 기존 시베리아샤머니즘연구와 엘리아데 샤머니즘의 연구대상이 ‘샤머니즘’이라는 용어만 동일할 뿐, 실제로는 서로 다른 영역을 연구대상으로 하고 있는 별개의 이론임을 구체적으로 지적한 것은 이 글의 독창성이라고 할 수 있다. 엘리아데 이론이 시베리아샤머니즘과 시베리아-동아시아 문화를 왜곡시킨 문제점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엘리아데가 샤머니즘연구에 기여한 바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고, 바람직한 샤머니즘세계의 문화연구를 위해 서사시와 신화를 비롯한 구비문학텍스트연구의 필요성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In this paper the author is trying to point out that 'the Eliade's well known theory on the Siberian Shamanism' does not actually reflect the essence of the siberian cultures and the siberian shamanisms. And the Eliade's Shamanism theory has little to do with any contribution to encourage to study the local cultures of the Siberia, because it implies that the Shamanism is not the typical culture of the Siberia but ‘an archaic form of the human spiritual techniques’. The author comments that Eliade's shamanism is not the theory that explains the nature of the Siberian Shamanism itself but a theory that explains an origin of human religious systems and spiritual techniques. Firstly, because the theory is not a structure of the siberian shamanisms but an attempt to extract an element of the siberian shamanisms. Secondly, it became the concept of the religious approach without the consideration of the cultural context of the Siberia. According to the author, after the publication of the Elide's Shamanism, 1951 in Paris, many of the western scholars in this field came to admit that the Shamanism is a human common religious heritage which happened to be found by westerners in the Siberia first but can be found in anyplace-else on the surface of the Earth. That is so-called 'the world-wide phenomenon of the Shamanism'. In this paper the author shows that the Eliade's shamanism is not the very study of the siberian culture and we need to discard the way of Eliade for the further cultural studies in the Siberian area. The possible way of studying the essence and history of the Siberian Shamanism would be the study of the historical facts of Sang Dynasty and the Ancient Korean Kingdoms. The study of Siberian and Eastern Asian Mythology would help to reconstruct the nature of the Siberian Shamanism and the societies of the ancient Eastern Asia.

      • KCI등재

        미르체아 엘리아데 환상소설의 문학적 의미

        한성숙(Han Seongsuk)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1 동유럽발칸연구 Vol.26 No.1

        미르체아 엘리아데(1907-1986)의 환상문학은 그의 삶 전체적으로 살펴볼 때 그의 종교학적 경험과 무관하지 않다. 엘리아데의 환상문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의 종교현상학, 방법론, 해석학과 그것에 관한연구가 병행되어야 한다. 현대의 인류는 계몽주의 전통의 합리적, 자연주의적, 과학적인 방식으로 살아가기 때문에 비종교적이고 지극히 비신화적이다. 그러나 우리가 이런 신화적이고 종교적인 것을 배제하고 살아간다면, 현대의 무의식과 환상, 꿈, 이데올로기, 폭력과 전쟁 등의 현대의 다른 현상들을 똑바로 이해할 수 없을뿐더러, 현대인류와 현대 세계를 성찰할 수 없을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엘리아데의 환상문학은 현대 인류에게 감춰져있던 또 다른 세계를 열어주는 빛의 역할을 한다. 엘리아데는 종교학자이지만 결코 그의 문학을 종교학에서 영감을 얻었다거나, 신화에 관한 자료들이나 신화의 상징적 의미들을 의도적으로 사용했던 적은 없다. 그러나 엘리아데는 자신의 문학을 평범한 일상에 속하는 우주를 바탕으로 형상화된 세계이면서, 동시에 공간과 시간에 대한 개인적인 특별한 경험으로 인해 구별되는 우주에 대한 주관적 개념을 종합시킨 것으로 정의하였다. 그의 문학은 엘리아데의 풍요로운 개념을 발전시키는 데 커다란 공헌을 했으며, 결국 그의 문학과 종교학은 서로 연관되어 현대 인류의 속성과 처한 상황을 이해하고, 과거 영적인 역사에서 무엇이 가장 중요하며 가치 있는지를 구체화하는 의미의 문화적 갱신의 중요성을 일깨워준다. 그는 제임스 조이스처럼 작품들을 직관에 따라 드러냄의 언어로 표현하지만 주로 미로와 같은 독특한 문체를 즐겨 썼다. 엘리아데는 작품 속에 루마니아에서 발생한 역사적 비극을 다루면서, 그것을 환상적 소설의 형식으로 나타내고 더 나아가 '창조적 해석학'이라는 방법을 통해 한층 더 가치 있게 만들었다. 즉 이러한 방법은 그의 소설과 마찬가지로 일상 한가운데 존재하는 성(聖)을 드러내는 작업이며 결국 그가 추구하는 절대성을 인정하는 길이라 하겠다. Mircea Eliade (1907-1986)'s fantasy literature is not irrelevant to his religious experience in his whole life. In order to understand Eliade's fantasy literature, one should study first hermeneutics, then phenomenology and methodology. The modern human being is very non-mythological and non-religious because he lives in the tradition of rational enlightenment, in a naturalistic, and scientific way. However, if one lives in a world that exclude these kind of religious and mythological things, he can not understand other modern phenomena such as the unconscious, dreams, ideology, violence and also will not be able to reflect the modern world. In this context, fantasy literature of Eliade plays an important role to open another world, a world that is hidden to modern human. Eliade is a religious scholar, but his literature was never inspired from religion. Also, he has never intentionally used the material or the symbolic meaning of myths. Eliade defined his literature as the manifested world in the basis of the universe, which belongs to common life. Simultaneously, it is defined as the total subjective concept that is distinct due to the personal experiences in both space and time. His literature contributes to develop Eliade's own concept, and as his literary and religious studies are related to each other, it reminds us to understand the situation of modern human and the importance of cultural renewal that was most important and valuable in the our spiritual history. He usually wrote in the literary style, like a labyrinth, in accordance with his intuition. While Eliade deals with the historical tragedy in his works, he represents the fantasy, and made his writings more valuable through 'creative hermeneutics'. In other words, these methods as well as his novels represent the manifestation of the sacred, which are actually the way to acknowledge the absolutes that Eliade had sought continuously throughout new humanism.

      • KCI등재

        시베리아 샤머니즘인가, 아니면 엘리아데의 샤머니즘인가?

        양민종 ( Yang¸ Min-jong )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07 한국시베리아연구 Vol.11 No.1

        이 글의 목적은 엘리아데 샤머니즘이론이 시베리아샤머니즘 문화구조 해명에 부적절함을 지적하고, 대안적인 연구방법론을 제기하는 것이다. 우선, 서구연구자들 사이에서 전개되어온 샤머니즘개념에 대한 혼란스러운 이해의 양상들을 살펴본 뒤, 엘리아데 샤머니즘이론이 일종의 종교발생론과 관련된 구조주의적인 담론임을 설명하였다. 엘리아데의 샤머니즘이론 발표 이후 샤머니즘의 일반적인 개념이 이전보다 오히려 더 모호해지고, 시베리아샤머니즘연구가 범세계적인 샤머니즘 연구의 일부분화 된 원인으로 엘리아데 샤머니즘이론의 연구대상이 시베리아샤머니즘세계의 전반적인 문화가 아닌 ‘샤먼’과 인간의 ‘영적인 기술’의 발현양상에 국한되었기 때문으로 설명하였다. 기존 시베리아 샤머니즘연구와 엘리아데 샤머니즘의 연구대상이 ‘샤머니즘’이라는 용어만 동일할 뿐, 실제로는 서로 다른 영역을 연구대상으로 하고 있는 별개의 이론임을 구체적으로 지적한 것은 이 글의 독창성이라고 할 수 있다. 엘리아데 이론이 시베리아샤머니즘과 시베리아-동아시아 문화를 왜곡시킨 문제점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엘리아데가 샤머니즘연구에 기여한 바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고, 바람직한 샤머니즘세계의 문화연구를 위해 서사시와 신화를 비롯한 구비문학텍스트연구의 필요성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In this paper the author is trying to point out that 'the Eliade's well known theory on the Siberian Shamanism' does not actually reflect the essence of the siberian cultures and the siberian shamanisms. And the Eliade's Shamanism theory has little to do with any contribution to encourage to study the local cultures of the Siberia, because it implies that the Shamanism is not the typical culture of the Siberia but ‘an archaic form of the human spiritual techniques’. The author comments that Eliade's shamanism is not the theory that explains the nature of the Siberian Shamanism itself but a theory that explains an origin of human religious systems and spiritual techniques. Firstly, because the theory is not a structure of the siberian shamanisms but an attempt to extract an element of the siberian shamanisms. Secondly, it became the concept of the religious approach without the consideration of the cultural context of the Siberia. According to the author, after the publication of the Elide's Shamanism, 1951 in Paris, many of the western scholars in this field came to admit that the Shamanism is a human common religious heritage which happened to be found by westerners in the Siberia first but can be found in anyplace-else on the surface of the Earth. That is so-called 'the world-wide phenomenon of the Shamanism'. In this paper the author shows that the Eliade's shamanism is not the very study of the siberian culture and we need to discard the way of Eliade for the further cultural studies in the Siberian area. The possible way of studying the essence and history of the Siberian Shamanism would be the study of the historical facts of Sang Dynasty and the Ancient Korean Kingdoms. The study of Siberian and Eastern Asian Mythology would help to reconstruct the nature of the Siberian Shamanism and the societies of the ancient Eastern Asia.

      • KCI등재

        엘리아데의 종교적 관점으로 본 프로이트의 “문명 속의 불편”

        배병훈(Bae Byung Hoon)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8 인문사회과학연구 Vol.60 No.1

        본 논문은 엘리아데의 자서전과 저널을 중심으로 프로이트의 ‘문명 속의 불편’을 비판적인 입장으로 살펴보면서, 엘리아데와 프로이트 사상의 본질적 가치를 새로운 시각으로 들여다보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엘리아데의 사상이 단지 본질만을 추구하는 초월적 관념이 아니라, 한 인간의 구체적 삶의 경험에 입각한 인간의 실존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학문임을 밝혀 보고자 하였다. 엘리아데와 프로이트의 본질적 차이는 삶과 문명에 대한 궁극적인 입장의 차이이다. 프로이트는 인간의 욕동과 무의식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인간의 문명이 초래한 비극적 고통은 에로스의 확장에 의한 공감적 유대로 해결할 수 있으리라고 보았다. 하지만 엘리아데는 일상을 통해 지속적으로 삶을 살아가는 역사적인 존재인 인간에게는 신화적이며 종교학적 관점의 새로운 휴머니즘이 요청된다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지금까지 인류가 경험하고 축적한 모든 삶의 지혜가 신화와 상징 그리고 종교적 경험을 통해 면면히 내려오고 있기 때문이다. 앞으로 계속적으로 새로운 역사적 고난을 창조적으로 헤쳐 나가야 할 인간에게 엘리아데의 관점이 더욱 요청된다고 여겨진다.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examine Sigmund Freud s Civilization and Its Discontents from the background and intrinsic value of Mircea Eliade’s ideas, focusing on Eliade s autobiography and journals. This work shows that Eliade s approach is not derived from a notion of essentialism that is far from reality, but from an examination of the existential problems of actual human life based on real life experiences and factual data. The crucial difference between Eliade and Freud is the contrast of their decisive attitude about life and civilization. Freud insisted that the tragic pain caused by human civilization could be solved by the empathic ties of expansion of Eros. On the other hand, Eliade argued that a human being, a historical being who lives through his daily life, is demanding a new humanism through a mythical and religious meaning. Eliade s view seems to be more appropriate for the future of mankind because we will be able to overcome creatively any new hardships by regaining symbolic meanings.

      • KCI등재

        미르체아 엘리아데 환상소설의 문학적 의미

        한성숙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2011 동유럽발칸연구 Vol.26 No.1

        Mircea Eliade (1907-1986)'s fantasy literature is not irrelevant to his religious experience in his whole life. In order to understand Eliade's fantasy literature, one should study first hermeneutics, then phenomenology and methodology. The modern human being is very non-mythological and non-religious because he lives in the tradition of rational enlightenment, in a naturalistic, and scientific way. However, if one lives in a world that exclude these kind of religious and mythological things, he can not understand other modern phenomena such as the unconscious, dreams, ideology, violence and also will not be able to reflect the modern world. In this context, fantasy literature of Eliade plays an important role to open another world, a world that is hidden to modern human. Eliade is a religious scholar, but his literature was never inspired from religion. Also, he has never intentionally used the material or the symbolic meaning of myths. Eliade defined his literature as the manifested world in the basis of the universe, which belongs to common life. Simultaneously, it is defined as the total subjective concept that is distinct due to the personal experiences in both space and time. His literature contributes to develop Eliade's own concept, and as his literary and religious studies are related to each other, it reminds us to understand the situation of modern human and the importance of cultural renewal that was most important and valuable in the our spiritual history. He usually wrote in the literary style, like a labyrinth, in accordance with his intuition. While Eliade deals with the historical tragedy in his works, he represents the fantasy, and made his writings more valuable through 'creative hermeneutics'. In other words, these methods as well as his novels represent the manifestation of the sacred, which are actually the way to acknowledge the absolutes that Eliade had sought continuously throughout new humanism. 미르체아 엘리아데(1907-1986)의 환상문학은 그의 삶 전체적으로 살펴볼 때 그의 종교학적 경험과 무관하지 않다. 엘리아데의 환상문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의 종교현상학, 방법론, 해석학과 그것에 관한 연구가 병행되어야 한다. 현대의 인류는 계몽주의 전통의 합리적, 자연주의적, 과학적인 방식으로 살아가기 때문에 비종교적이고 지극히 비 신화적이다. 그러나 우리가 이런 신화적이고 종교적인 것을 배제하고 살아간다면, 현대의 무의식과 환상, 꿈, 이데올로기, 폭력과 전쟁 등의 현대의 다른 현상들을 똑바로 이해할 수 없을뿐더러, 현대인류와 현대 세계를 성찰할 수 없을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엘리아데의 환상문학은 현대 인류에게 감춰져있던 또 다른 세계를 열어주는 빛의 역할을 한다. 엘리아데는 종교학자이지만 결코 그의 문학을 종교학에서 영감을 얻었다거나, 신화에 관한 자료들이나 신화의 상징적 의미들을 의도적으로 사용했던 적은 없다. 그러나 엘리아데는 자신의 문학을 평범한 일상에 속하는 우주를 바탕으로 형상화된 세계이면서, 동시에 공간과 시간에 대한 개인적인 특별한 경험으로 인해 구별되는 우주에 대한 주관적 개념을 종합시킨 것으로 정의하였다. 그의 문학은 엘리아데의 풍요로운 개념을 발전시키는 데 커다란 공헌을 했으며, 결국 그의 문학과 종교학은 서로 연관되어 현대 인류의 속성과 처한 상황을 이해하고, 과거 영적인 역사에서 무엇이 가장 중요하며 가치 있는지를 구체화하는 의미의 문화적 갱신의 중요성을 일깨워준다. 그는 제임스 조이스처럼 작품들을 직관에 따라 드러냄의 언어로 표현하지만 주로 미로와 같은 독특한 문체를 즐겨 썼다. 엘리아데는 작품 속에 루마니아에서 발생한 역사적 비극을 다루면서, 그것을 환상적 소설의 형식으로 나타내고 더 나아가 '창조적 해석학'이라는 방법을 통해 한층 더 가치 있게 만들었다. 즉 이러한 방법은 그의 소설과 마찬가지로 일상 한가운데 존재하는 성(聖)을 드러내는 작업이며 결국 그가 추구하는 절대성을 인정하는 길이라 하겠다.

      • KCI등재

        미르체아 엘리아데 연작소설에서 나타난 청년담론과 문화 정치적 역할 연구 I

        한성숙(Seong Suk Han)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4 동유럽발칸연구 Vol.38 No.5

        20세기 위대한 종교사학자 중 한명인 미르체아 엘리아데(1907-1986)는 1930년대 자신이 속한 청년세대를 위해 새로운 활력과 원대한 희망을 불어넣어 주었다. 창조적인 문화의 필요성과 새로운 시각에서 문화들 간의 만남을 강조한 그의 사상은 새로운 세대에게 무엇보다 적극적인 실천적 표상이라는 신선한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엘리아데는 1930년대 루마니아 사회에서 지적 지도자로서의 역할을 감당하기 위해 크리테리온이라는 단체를 주도하면서 새로운 세대와 직접적인 소통을 이어나가고, ‘문화적 공감’이라는 새로운 사회학을 형성하였다. 엘리아데는 자신의 새로운 청년담론을 ‘훌리거니즘(Huliganism)'이라 정의하였다. 원래 훌리거니즘의 루마니아 사전적 의미는 사회의 규칙이나 규범에 맞지않는 행동, 행위를 통해 야기되는 공공의 질서 및 도덕적인 동요나 혼란을 뜻한다. 그러나 훌리거니즘은 그 당시의 반동적 이데올로기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청년만이 지니고 있는 생명력과 창의력을 지닌 잠재적 가능성을 신뢰하는 강력한 힘을 가진 단어로 재탄생한다. 엘리아데에게 있어서 ‘훌리건’은 새로운 세대청년들을 가리키는 말이면서 새로운 세대를 열어 가야 할 사명을 띤 세대를 의미한다. 이러한 양상은 그의 글쓰기에서도 나타난다. 그 당시에 엘리아데는 3권의 연작 소설을 발표하는데, 이 중 첫 번째 소설『낙원에서의 귀환』에서 그는 세대의 교체와 더불어 청년 세대가 사회적 주체의 자리를 잡는 과정 가운데 니힐리즘적인 성향을 지닌 혼란스러운 청년상을 그리기 시작했다. 이들에게는 모두 공통적으로 자신의 인생을 속이는 공포, 즉 인생을 잃어버리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존재한다. 그들은 역사의 폭력 앞에서 무모하거나, 기성의 체계나 권위를 무시하는 허무적인 태도를 지닌다. 첫 번째 소설이 청년 세대가 사춘기에서 벗어나 성장해나가는 과정을 그린 것이라면, 두 번째 소설『훌리건』은 인간으로써 청년 내면에 존재하는 자유, 창의성, 운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서술하면서 지식인으로서의 훌리건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회에 대한 분노가 표출되어 난동을 부리는 사회세력을 훌리건이라 말하는데, 소설에서는 훌리건은 창조성을 마비시키는 맹목적인 행동을 과감히 버리고 자신의 세대에 부과된 책임을 다해야만 한다는 청년상을 제시한다. 엘리아데의 연작소설은 통일이라는 낙원과 절대적 사랑의 노스탤지어를 잃어버린 청년 세대에게 리더십을 제공하기 위한 노력의 산물인 것이다. One of the great religious historians of the 20th century, Mircea Eliade(1907-1986), had given to young men a new energy and a hope in 1930s. He emphasized the necessity of creative culture and meetings between cultures from a new perspective, and his ideas aroused a fresh sensation that it is a practical theory for a new generation. He organized an association named of Criterion, and this association was formed a new social studies called “cultural empathy” with the young generation. Eliade defined that a new youth discourse is as Hooliganism. The Hooliganism is not the reactionary ideology of that time. It means a images of youth, who trust their potential power with a vitality and creativity. For Eliade, a hooligan is the new generation, and it also means that the generation is charged with a new mission to lead the next generation. This ideology is shown well in his writing. Eliade published three books in the series of that period of time. The first novel, titled Return of Paradise, describes that a confused young generation who having nihilistic character, and placing the young generation in social subjects with a shift in generations. In the novel there is a fear of losing their own life because of history terror, especially the terror of cheating their life in common. They are rash in front of the terror of history and they have the attitude to ignore the established system of authority. If the first novel is drawn the process of growing out of the teen generation, the second novel the hooligans describes freedom, creativity, and destiny of the youth as human in details, and it emphasizes a roles of hooligans called intellectuals. In general a hooligan is violent young troublemaker to society. However, Eliade’s novel presents that a hooligan has to throw out a blind acts which paralyzes creativity, and they have their own responsibility for young gen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